KR20100117520A -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 및 피부 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 및 피부 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520A
KR20100117520A KR1020100037120A KR20100037120A KR20100117520A KR 20100117520 A KR20100117520 A KR 20100117520A KR 1020100037120 A KR1020100037120 A KR 1020100037120A KR 20100037120 A KR20100037120 A KR 20100037120A KR 20100117520 A KR20100117520 A KR 20100117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solution
polyoxypropylene
silybin
glycosides
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 고타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77761A external-priority patent/JP564742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Publication of KR20100117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6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poly (methyl vinyl ether-co-maleic anhydr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색 안정성이 우수한 실리빈 배당체 용액을 개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은, 폴리옥시알킬렌디글리시딜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1,2-헥산디올, 1,2-펜탄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1,3-부탄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 실리빈 배당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 및 피부 외용 조성물{Aqueous solution of silybin glycosides and external skin treatm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실리빈 용해 기술 및 그 용해액의 이용기술에 관한 것이다.
실리마린(silymarin)은 I형 콜라겐 생산 촉진작용, 엘라스틴 생산 촉진작용(특허문헌 1: WO2004/85429호 공보), 표피세포 분화 억제작용(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4-91397호 공보), 광노화 방지작용(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265186호 공보), 이상 단백질 제거작용(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7-99650호 공보)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한편, 실리빈은 물, 기름에는 거의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피부 외용제 등의 조성물에 배합하기 어렵다는 과제점을 가지고 있어, 다가 알코올, 계면활성제, 강염기를 사용하여 분산하는 기술(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89418호 공보), 인지질,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을 사용하여 분산하는 기술(특허문헌 6: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282568호 공보)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을 사용하면 처방 설계상의 제약이 있다.
실리빈의 글루코오스 배당체, 갈락토오스 배당체, 락토오스 배당체, 말토오스 배당체가, 실리빈과 비교하여 수용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1: Kosina P. et al., Phytother. Res. 16, S33-S39(2002) 참조).
본 출원인은 실리빈 배당체의 연구를 계속하고 있어, 실리빈 배당체를 함유하여, 주름 형성 억제효과, 표피 각화세포(角化細胞) 분화 억제효과, I형 콜라겐 생산 촉진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 조성물을 특허출원하고 있다(일본국 특허출원 제2008-14361).
본 발명자는 실리빈 배당체를 피부 외용제에 배합했을 때에, 실리빈 배당체 용액의 경시적인 갈변의 문제에 직면하였다.
국제공개 제2004-8542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4-9139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26518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7-9965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89418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282568호 공보
Kosina P. et al., Phytother. Res. 16, S33-S39(2002)
본 발명은 착색 안정성이 우수한 실리빈 배당체 용액을 개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주된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폴리옥시알킬렌디글리세릴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1,2-헥산디올, 1,2-펜탄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1,3-부탄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 실리빈 배당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
2. 실리빈 배당체를, 폴리옥시프로필렌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용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
3. 폴리옥시프로필렌기를 갖는 화합물이,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부틸렌글리세린,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소르비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에 기재된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
4. 실리빈 배당체가 실리빈 말토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6.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을 함유하는 주름 형성 억제제.
폴리옥시알킬렌디글리세릴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1,2-헥산디올, 1,2-펜탄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1,3-부탄디올 중 어느 하나를 배합함으로써, 경시적인 갈변을 억제할 수 있는 안정된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을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부틸렌글리세린,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소르비톨 등의 폴리옥시프로필렌기를 갖는 화합물을 배합함으로써, 경시적인 갈변을 억제할 수 있는 안정된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을 실현할 수 있었다.
안정된 장기 보존 및 투명성이 우수한 실리빈 고농도 수용액을 실현할 수 있었기 때문에, 수용액을 사용한 피부 외용제나 화장료 등의 제형으로, 실용적인 적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었다.
즉,
1. 용해성이 높은 실리빈 배당체를 사용함으로써, 실리빈의 작용 메커니즘을 향상시킨 피부 외용 조성물, 주름 형성 억제제, 표피 각화세포 분화 억제제, 노화방지용 피부 외용 조성물, I형 콜라겐 생산 촉진제, 햇볕에 그을림에 의한 피부 거칠어짐 개선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특히, 수용해성이 높아, 안전성, 저자극성, 사용범위가 향상된다.
2. 특히, 실리빈 배당체로서 화학식 1에 나타내어지는 실리빈 말토시드가 유효하다.
3.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실리빈 배당체는 수용성이 높아, 수용액 타입의 제형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화장수, 겔상 미용액, 유액, 크림, 팩 등의 피부 외용 조성물, 메이크업 베이스 로션, 메이크업 크림, 유액상 또는 크림상의 파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피부 외용 조성물, 핸드 크림, 레그 크림, 바디로션 등의 신체용 피부 외용 조성물, 입욕제 등으로 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실리빈 배당체는 유액이나 크림 등의 경우에도 수성 부분에 고배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50℃ 5개월 보존시험에 의한 색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50℃ 보존 색변화에 대해서 30일간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3에 있어서의 50℃ 3개월 보존시험에 의한 색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표피 각화세포 증식 유지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I형 콜라겐 생산 촉진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은, 폴리옥시알킬렌디글리세릴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1,2-헥산디올, 1,2-펜탄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1,3-부탄디올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실리빈 배당체가 용해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은, 폴리옥시프로필렌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실리빈 배당체가 용해되어 있는 것이다. 폴리옥시프로필렌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부틸렌글리세린,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소르비톨을 들 수 있다.
실리빈(Silybin; CAS No. 22888-70-6)은, 국화과 마리아 엉겅퀴(학명 실리붐·마리아눔 Silibum marianum Gaertn, 별명 오오아자미, 오오히레아자미, 밀크 엉겅퀴; CAS No. 84604-20-6)로부터 추출되는 플라보노리그난(Flavonolignan)의 일종이다. 마리아 엉겅퀴로부터 추출되는 플라보노리그난은 실리마린(Silymarin; CAS No. 65666-07-1)의 총칭으로 불리고, 실리빈 이외에, 실리디아닌(Silydianin; CAS No. 29782-68-1), 실리크리스틴(Silychristin; CAS No.33889-69-9), 이소실리빈(Isosilybin; CAS No. 72581-71-6) 등이 포함되어 있다.
실리빈은 실리마린으로부터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단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시약을 구입하여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실리빈 배당체는 문헌(Kren V. et al., J. Chem. Soc., Perkin Trans 1, 2467-2474(1997))에 따라서 루이스산을 촉매로 하고, 실리빈에 아세틸기로 수산기를 보호한 당을 결합하여, 탈아세틸화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이 반응계에서는 실리마린의 제1급 알코올의 수산기에 당이 선택적으로 글리코시드 결합한다.
실리빈에, 루이스산을 촉매로 하여, 퍼아세틸말토오스를 반응시켜 글리코시드 결합을 생성하고, 탈아세틸화함으로써, 화학식 1의 실리빈 말토시드가 얻어진다.
Figure pat00001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순서에 의해 실리빈 말토시드를 합성할 수 있다.
[실리빈 말토시드의 합성]
헬페리히(Helferich)의 방법에 따라서 실리빈 말토시드를 합성하였다.
실리빈(3.0 g, 6.2 ㏖)과 옥타-O-아세틸-D-말토오스(6.3 g, 9.2 ㏖)를 180 ㎖의 디클로로메탄-아세토니트릴(1:1, v/v)의 용매 중에서, 삼플루오르화붕소 디메틸에테르 착체(1.14 ㎖, 12.4 m㏖)를 질소 존재하, 실온에서 19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빙냉하면서 포화 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고, 150 ㎖ 디클로로메탄으로 2회 추출처리하여, 무수 황산나트륨처리 후에 추출용매를 증발기(evaporator)로 제거하였다.
트리에틸아민-메탄올-물(1:8:1)을 35℃에서 30시간 반응시킨 후, 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하였다. BONDESIL-C18(Varian)을 사용해서 정제를 행하여, 실리빈 말토시드(1.0 g, 수율 20%)를 얻었다. 얻어진 실리빈 말토시드를 MS 스펙트럼으로 확인하고, [M+H]+: 807.5의 피크를 검출하였다.
실리빈에, 루이스산을 촉매로 하여, 퍼아세틸락토오스를 반응시켜 글리코시드 결합을 생성하고, 탈아세틸화함으로써, 화학식 2의 실리빈 락토시드가 얻어진다.
Figure pat00002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순서에 의해 실리빈 락토시드를 합성할 수 있다.
[실리빈 락토시드의 합성]
헬페리히의 방법에 따라서 실리빈 락토시드를 합성하였다.
실리빈(3.0 g, 6.2 ㏖)과 옥타-O-아세틸-D-락토오스(6.3 g, 9.2 ㏖)를 180 ㎖의 디클로로메탄-아세토니트릴(1:1, v/v)의 용매 중에서, 삼플루오르화붕소 디메틸에테르 착체(1.14 ㎖, 12.4 m㏖)를 질소 존재하, 실온에서 19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빙냉하면서 포화 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고, 150 ㎖ 디클로로메탄으로 2회 추출처리하여, 무수 황산나트륨처리 후에 추출용매를 증발기로 제거하였다.
트리에틸아민-메탄올-물(1:8:1)을 35℃에서 30시간 반응시킨 후, 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하였다. BONDESIL-C18(Varian)을 사용해서 정제를 행하여, 실리빈 락토시드(1.0 g, 수율 20%)를 얻었다. 얻어진 실리빈 락토시드를 MS 스펙트럼으로 확인하고, [M+H]+: 807.5의 피크를 검출하였다.
본 발명의 실리빈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주름 형성 억제제로서는, 화장수, 유액, 크림, 팩 등의 주름 개선용 피부 외용 조성물, 주름 개선용 의약부외품, 주름 개선용 의약품을 들 수 있다. 유액이나 크림의 경우에도, 수성 부분에 실리빈 배당체를 고농도로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리빈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표피 각화세포 분화 억제제는, 표피 각화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증식을 유지하여, 턴오버의 지연을 예방, 방지, 개선하고, 가령(加齡)이나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생되는 표피의 편평화를 방지하고, 노화된 피부를 재생하는 작용을 갖기 때문에, 노화 방지용 피부 외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리빈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I형 콜라겐 생산 촉진제는, 피부의 탱탱함과 탄력성을 향상시키고, 주름과 처짐을 예방, 방지, 개선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노화 방지용 피부 외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옥시알킬렌디글리세릴에테르는, 디글리세린에 산화알킬렌을 부가중합하여 얻어지는 화합물이다.
폴리옥시알킬렌디글리세릴에테르로서는, 디글리세린에 산화프로필렌을 부가중합한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 디글리세린에 산화에틸렌을 부가중합한 폴리옥시에틸렌디글리세릴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사카모토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SY-DP4(표시명칭 PPG-4 디글리세릴:디글리세린으로의 산화프로필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4), SY-DP9(표시명칭 PPG-9 디글리세릴:디글리세린으로의 산화프로필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9), SY-DP14T(표시명칭 PPG-14 디글리세릴:디글리세린으로의 산화프로필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14), SC-P400, SC-P750, SC-P1000,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루브 DGP-700(표시명칭 PPG-9 디글리세릴:디글리세린으로의 산화프로필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9), DGP-950(표시명칭 PPG-14 디글리세릴:디글리세린으로의 산화프로필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14)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디글리세릴에테르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사카모토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SC-E450, SC-E750, SC-E1000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는, 메틸글루코시드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에테르로, CH3(C6H10O5)(OC(CH3)HCH2)nOH로 표시된다.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니치유제 맥비오브라이드 MG-10P(POP(10)메틸글루코시드 표시명칭 PPG-10 메틸글루코오스:에테르 결합하고 있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사슬길이 n의 평균은 10), 맥비오브라이드 MG-20P(POP(20)메틸글루코시드 표시명칭 PPG-20 메틸글루코오스:에테르 결합하고 있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사슬길이 n의 평균은 20), 노베온제 GLUCAM P-10(POP(10)메틸글루코시드 표시명칭 PPG-10 메틸글루코오스), GLUCAM P-20(POP(20)메틸글루코시드 표시명칭 PPG-20 메틸글루코오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부틸렌글리세린은, 글리세린의 모든 히드록시기에 에틸렌옥시드, 프로필렌옥시드, 부틸렌옥시드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화합물로,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니치유제 윌브라이드 S-753(표시명칭 PEG-PPG/폴리부틸렌글리콜-8/5/3 글리세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는, 글리세린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에테르로, C3H7O2(OC(CH3)HCH2)nOH로 표시된다.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니치유제 유니올 TG-1000(표시명칭 PPG-16 글리세릴:에테르 결합하고 있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사슬길이 n의 평균은 16), 유니올 SGP-65(표시명칭 PPG-8 글리세릴:에테르 결합하고 있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사슬길이 n의 평균은 8), 유니올 TG-1500(표시명칭 PPG-24 글리세릴:에테르 결합하고 있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사슬길이 n의 평균은 24)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는, 고급 알코올에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부가한 에테르로, R-(OC(CH3)CH2)X(OCH2CH2)YOH로 표시된다.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닛코 케미컬즈사제 PEN-4620(POE(20)POP(6)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표시명칭 PPG-6 데실테트라데세스-20:데실테트라데칸올에 평균 6 몰의 프로필렌옥시드와 평균 20 몰의 에틸렌옥시드를 부가중합한 화합물), PEN-4612(POE(12)POP(6)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표시명칭 PPG-6 데실테트라데세스-12:데실테트라데칸올에 평균 6 몰의 프로필렌옥시드와 평균 12 몰의 에틸렌옥시드를 부가중합한 화합물), PEN-4630(POE(30)POP(6)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표시명칭 PPG-6 데실테트라데세스-30:데실테트라데칸올에 평균 6 몰의 프로필렌옥시드와 평균 30 몰의 에틸렌옥시드를 부가중합한 화합물), 니치유제 유니루브 50MT-2200B(POE(24)POP(13)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표시명칭 PPG-13 데실테트라데세스-24:데실테트라데칸올에 평균 13 몰의 프로필렌옥시드와 평균 24 몰의 에틸렌옥시드를 부가중합한 화합물), 유니루브 50MT-2000B(POE(10)POP(20)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표시명칭 PPG-20 데실테트라데세스-10:데실테트라데칸올에 평균 20 몰의 프로필렌옥시드와 평균 10 몰의 에틸렌옥시드를 부가중합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옥시프로필렌소르비톨은 소르비톨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에테르이다.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니치유제 유니올 HS-1600D(POP(25)소르비톨 표시명칭 PPG-25 소르비톨:프로필렌옥시드의 평균 부가 몰수는 25)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디프로필렌글리콜(DPG), 1,2-헥산디올(1,2-HD), 1,2-펜탄디올(1,2-PD), 폴리에틸렌글리콜(PEG 1540, PEG 4000),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메틸글루세스-10), 1,3-부탄디올은 모두 화장품 원료로서 범용되고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1,2-헥산디올은 가부시키가이샤 간코샤제 KMO-6 등을 사용할 수 있다. 1,2-펜탄디올은 심라이즈 가부시키가이샤제 하이드로라이트-5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은 도호 화학 공업 가부시키가이샤제 PEG 1540, PEG 400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는 닛폰 루브리졸 가부시키가이샤제 겔캄 E-10,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제 맥비오브라이드 MG-10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는, 화장료, 의약부외품, 의약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용액 뿐 아니라, 유화 조성물이어도 된다. 유화 조성물은 수중유형, 유중수형 중 어느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장수, 유액, 크림, 미용액, 팩 등의 제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에는, 유제(油劑), 계면활성제, 방부제, 다가 알코올, 에탄올, 당류, 금속 이온 봉쇄제, 수용성 고분자와 같은 고분자, 증점제, 분체성분,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단제, 보습제, 향료, pH 조정제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비타민류, 피부 부활제, 혈행 촉진제, 상재균 조절제, 활성 산소 소거제, 항염증제, 미백제, 살균제 등의 다른 약효성분, 생리활성성분을 함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
1.0 질량% 상당량의 실리빈 말토시드(이와키 세이야쿠사제)를 50 질량% 상당량의 이하의 16종류의 친수성 용매(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4량체, 폴리글리세린 10량체, 폴리글리세린 6량체, 1,3-프로판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POE(10)메틸글루코시드,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PEG 1540(폴리에틸렌글리콜), PEG 4000(폴리에틸렌글리콜),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SY-DP14T(PPG-14 디글리세릴:폴리옥시에틸렌디글리세릴에테르 디글리세린의 히드록시기에 합계로 14 몰의 산화프로필렌이 부가중합된 화합물), SY-DP9(PPG-9 디글리세릴:폴리옥시에틸렌디글리세릴에테르 디글리세린의 히드록시기에 합계로 9 몰의 산화프로필렌이 부가중합된 화합물))에 분산한 후, 정제수에 용해하여, 1% KOH 수용액으로 pH를 5.5로 조정하여, 100 질량%로 하였다.
코니카 미놀타제 분광측색계 CM-3500d를 사용하여, 두께 2 ㎜의 글래스셀(CM-A97)에 16종류의 실리빈 말토시드 수용액을 넣고, 투과법에 의해 측색하였다.
16종류의 실리빈 말토시드 수용액을 50℃에서 5개월 보존하고, 동일하게 측색하여, 50℃에서 보존하기 전과의 색차를 구하였다. 또한, 이하의 기준에 의해, 50℃ 5개월 보존 후의 갈변 정도를 육안 평가하였다.
육안 평가의 기준
○ : 극히 조금 황변, 거의 변화 없음
△ : 다소 황변
× : 갈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의 결과를 도 1에 그래프화하였다.
Figure pat00003
[실시예 2]
1.0 질량% 상당량의 실리빈 말토시드(이와키 세이야쿠사제)를 50 질량% 상당량의 이하의 5종류의 친수성 용매(디글리세린, SY-DP4(PPG-4 디글리세릴:디글리세린의 히드록시기에 합계 4 몰의 산화프로필렌이 부가중합된 화합물), SY-DP9(PPG-9 디글리세릴:디글리세린의 히드록시기에 합계 9 몰의 산화프로필렌이 부가중합된 화합물), SY-DP14T(PPG-14 디글리세릴:디글리세린의 히드록시기에 합계 14 몰의 산화프로필렌이 부가중합된 화합물), SC-E750(디글리세린의 히드록시기에 합계 13 몰의 산화에틸렌이 부가중합된 화합물)에 분산한 후, 정제수에 용해하고, 1% KOH 수용액으로 pH를 5.5로 조정하여, 100 질량%로 하였다.
코니카 미놀타제 분광측색계 CM-3500d를 사용하여, 두께 2 ㎜의 글래스셀(CM-A97)에 5종류의 실리빈 말토시드 수용액을 넣고, 투과법에 의해 측색하였다.
5종류의 실리빈 말토시드 수용액을 50℃에 보존하고, 7일 후, 14일 후, 28일 후에 동일하게 측색하여, 50℃에서 보존하기 전과의 색차를 구하였다.
결과를 도 2에 그래프화하였다.
[실시예 3]
1.0 질량% 상당량의 실리빈 말토시드(이와키 세이야쿠사제)를 50 질량% 상당량의 이하의 7종류의 친수성 용매(POP(10)메틸글루코시드(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 니치유제 맥비오브라이드 MG-10P), PPG-14 디글리세릴(폴리옥시에틸렌디글리세릴에테르 사카모토 야쿠힌 고교제 SY-DP14T 디글리세린의 히드록시기에 합계로 14 몰의 산화프로필렌이 부가중합된 화합물), PEG/PPG/폴리부틸렌글리콜-8/5/3 글리세린(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부틸렌글리세린 니치유제 윌브라이드 S-753), PPG-16 글리세릴(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 니치유제 유니올 TG-1000), PPG-9 디글리세릴(폴리옥시에틸렌디글리세릴에테르 사카모토 야쿠힌 고교제 SY-DP9 디글리세린의 히드록시기에 합계로 9 몰의 산화프로필렌이 부가중합된 화합물)), POE(20)POP(16)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닛코 케미컬즈제 PEN-4620), PPG-25 소르비톨(폴리옥시프로필렌소르비톨 니치유제 유니올 HS-1600D)에 분산한 후, 정제수에 용해하고, 1% KOH 수용액으로 pH를 5.5로 조정하여, 100 질량%로 하였다.
코니카 미놀타제 분광측색계 CM-3500d를 사용하여, 두께 2 ㎜의 글래스셀(CM-A97)에 7종류의 실리빈 말토시드 수용액을 넣고, 투과법에 의해 측색하였다.
7종류의 실리빈 말토시드 수용액을 50℃에서 3개월 보존하고, 동일하게 측색하여, 50℃에서 보존하기 전과의 색차를 구하였다. 또한, 이하의 기준에 의해, 50℃ 3개월 보존 후의 갈변 정도를 육안 평가하였다.
육안 평가의 기준
○ : 극히 조금 황변, 거의 변화 없음
△ : 다소 황변
× : 갈변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표 5의 결과를 도 3에 그래프화하였다.
Figure pat00004
실시예 1에서, PPG-14 디글리세릴의 50℃ 보관 5개월 후의 색차는 10.8이었으나, 실시예 3에 있어서는 50℃ 3개월 후의 색차가 14.5였다. 한편, 실시예 1에서 PPG-9 디글리세릴의 50℃ 보관 5개월 후의 색차는 9.1이었으나, 실시예 3에 있어서는 50℃ 보관 3개월 후의 색차가 7.3이었다. 이러한 차가 생긴 것은 다른 시기에, 다른 로트의 실리빈 말토시드로 실험을 행하였기 때문이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PPG-14 디글리세릴과 PPG-9 디글리세릴은 실리빈 말토시드 수용액의 경시적인 갈변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데, 마찬가지로 폴리옥시에틸렌기를 갖는 POP(10)메틸글루코시드(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 PEG/PPG/폴리부틸렌글리콜-8/5/3 글리세린(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부틸렌글리세린), PPG-16 글리세릴에테르(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 POE(20)POP(16)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PPG-25 소르비톨(폴리옥시프로필렌소르비톨)에 대해서도, 실리빈 말토시드 수용액의 경시적인 갈변을 억제하는 우수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시험예 1]
표피 각화세포 분화 억제시험·증식 유지작용
1. 실험재료
1.1 인간 정상 표피 각화세포
인간 정상 표피 각화세포 NHEK(아사히 테크노글래스)를 표피 각화세포용 배지: KGM(아사히 테크노글래스)에서 37℃-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본 실험에는 계대 수가 3~5대인 세포를 이용하였다.
1.2 KGM(표피 각화세포용 배지)
KGM은 표피 각화세포 기초 배지에 인간 상피세포 증식인자(0.1 ng/㎖), 인슐린(5.0 ㎍/㎖), 하이드로코르티손(0.5 ㎍/㎖), 겐타마이신(50 ㎍/㎖), 암포테리신 B(50 ㎍/㎖), 소 뇌하수체 추출액(2 ㎖)을 첨가한 것이다. 실리빈 배당체를 비롯한 샘플을 세포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소 뇌하수체 추출액만을 제거한 KGM 배지를 사용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1.3 첨가 샘플
실리빈(SB), 실리빈 말토시드(SBM), 실리빈 락토시드(SBL)를 DMSO(디메틸설폭시드: 와코순약)에 용해하고, 각종 농도로 첨가하였다.
2. 실험방법
2.1 표피 각화세포 분화 억제시험
NHEK를 KGM에서 5×104/㎖가 되도록 현탁하고, 4 ㎖/웰로 6웰 플레이트에 파종하여, 24시간 배양해서, 플레이트에 세포를 접착시켰다. 각 화합물을 첨가한 소 뇌하수체 추출액을 제거한 KGM을 4 ㎖/웰로 처리하고, 이틀마다 배지를 교환하면서, 8~10일간 배양하였다. 매일 현미경으로 형태관찰을 행하여, DMSO 처리한 대조 세포가 분화 유사의 형태 변화(편평화)를 나타낸 시점에서 사진 촬영을 행하고, 배양을 종료하였다.
2.2 표피 각화세포 증식 유지시험
상기 실험에서 얻어진 세포를 트립신처리에 의해 플레이트로부터 박리한 후에, KGM 중에서 2.5×104/㎖가 되도록 현탁하였다. 세포 현탁액을 2 ㎖/웰로 24웰 플레이트에 파종하여, 이틀마다 배지를 교환하면서, 8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NHEK를 트립신처리에 의해 플레이트로부터 박리하고, 콜 카운터(베크만쿨터)에 의해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3. 실험결과
3.1 표피 각화세포 분화 억제시험
DMSO를 처리한 비교대조군인 Control 및 SB 3 μM(실리빈을 3 μM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에서는, 표피 각화세포는 편평화되어, 분화 유사의 형태 변화를 나타내었다. 그에 대해, SBM 3 μM, SBL 3μM에서는 분화 유사의 형태는 확인되지 않았다. SB, SBL, SBM을 각각 10 μM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에는, 모두 표피 각화세포의 분화가 억제되었다. SB, SBL, SBM은 표피 각화세포의 분화 억제작용을 갖지만, SBM, SBL은 SB에 비해 표피 각화세포 분화 억제효과가 우수하다.
3.2 표피 각화세포 증식 유지시험
상기의 표피 각화세포 분화 억제시험에 있어서, 분화가 억제되어 있으면 세포는 증식능을 유지하여, 계대작업을 함으로써 순차 증식할 것이다. 분화 유도된 세포는 분화가 부가역적(付加逆的)인 반응이기 때문에 증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상기 시험에서 얻어진 세포를 계대하여, 유지되어 있는 증식능을 증식한 세포의 수를 측정함으로써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시료 농도 3 μM에서는 SB를 첨가한 것에 대해서 세포 증식능은 대부분 유지되어 있지 않지만, SBM은 시료 무첨가와 비교하여 1.8배, SBL은 시료 무첨가와 비교하여 1.4배로 세포수가 증가하여, 세포 증식능의 유지효과가 인정되었다. 시료농도 10 μM에서는 SB, SBM, SBL 모두 세포수가 증가하고, SB는 시료 무첨가와 비교하여 1.5배, SBM은 시료 무첨가와 비교하여 2.1배, SBL은 시료 무첨가와 비교하여 1.8배로 세포수가 증가하여, 세포 증식능의 유지효과가 인정되었다. SB와 비교하여, SBM, SBL의 세포 증식능의 유지효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I형 콜라겐 생산 촉진작용
1. 실험재료
1.1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CCD1074SK(다이닛폰 스미토모 제약)를 D-MEM 중에서 37℃-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본 실험에는 계대 수가 10~15대인 세포를 이용하였다.
1.2 D-MEM
D-MEM은, D-MEM 기초 배지(GIBCO)에 소 태아 혈청(Hyclone)을 10%가 되도록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샘플을 처리할 때에는, 소 태아 혈청을 넣지 않는 D-MEM을 사용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2. 실험방법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CCD1074SK를 10% 소 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3×105/㎖가 되도록 현탁하고, 10 ㎝ 샬레에 1 ㎖ 파종하여, 24시간 배양해서, 플레이트에 세포를 접착시켰다. 배지를 DMSO에 용해시킨 각 샘플을 각 농도로 첨가한 소 태아 혈청을 넣지 않는 D-MEM 배지로 교환하였다. 배지 교환 48시간 후에 세포 배양액을 회수하고, 한외여과장치를 사용하여 배양액을 농축하였다. 약 500 ㎖ 이하로 농축한 후, 단백질 정량을 행하여, 단백질량을 맞춘 후에, 세포 배양액 농축 샘플로서 웨스턴 블로팅에 사용하였다.
1레인당 10 ㎍의 단백질을 사용하여, SDS-PAGE로 분리한 후, 니트로셀룰로오스막에 전사하였다. 전사 후의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을 블로킹 용액(탈지유를 5% 농도가 되도록 0.1%의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를 포함하는 PBS로 용해한 용액)에 침지하고, 4℃에서 하루 블로킹하였다. 세정액{0.1%의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를 포함하는 PBS}으로 세정한 후, 1차 항체{세정액으로 500 ng/㎖로 조제한 I형 콜라겐에 대한 다중클론항체(록랜드)}에 침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세정 후, 2차 항체(세정액으로 250 ng/㎖로 조제한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아제 표지화 항 토끼 면역글로불린 G)에 침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세정 후, ECL 플러스 웨스턴 블로팅 검출시약(아머샴 바이오사이언스사)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실험결과
실험결과, SB와 마찬가지로 SBL, SBM 양자에도 I형 콜라겐 생산 촉진작용이 확인되었다. 실험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얻어진 밴드의 강도를 프로그램 소프트 Image J에 의해 수치화한 결과, 및 DMSO 처리시의 I형 콜라겐의 생산량을 1로 하였을 때의 비교 생산량을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5
SB, SBM, SBL 모두 I형 콜라겐 생산 촉진작용을 나타내었다. SB와 비교하여, SBM, SBL은 I형 콜라겐 생산 촉진효과가 강하다. 특히, 시료농도 10 μM에서는 SBM, SBL의 작용효과가 커, 고농도에서의 현저한 작용효과가 인정된다.
[시험예 3]
자외선 조사에 의한 수분 증산 억제작용 주름 형성 억제작용
1. 실험재료·기구
실험동물 무모 마우스 Hos; HR 1 ♀ 5주령(호시노 실험재료)
1.2 자외선 조사장치
자외선 A파(FL32SBL/DMR: (주)클리니컬 서플라이제)
자외선 B파(FL32SE/DMR: (주)클리니컬 서플라이제)
1.3 경피(經皮) 수분 증산량 측정장치
Vapometer(키 사이언스사제)
1.4 레플리카 채취기구 및 레플리카 해석 시스템
(유)아사히 바이오메드제 반사형 레플리카 채취 키트 및 레플리카 해석 시스템 ASA-03RXD
2. 실험방법
2.1 사육환경
25℃±2℃, 습도 50%±5%, 식이는 사료 MR, 수돗물을 각각 자유 섭취할 수 있는 통상의 사육환경에서 사육하였다.
1군당 5마리를 군을 나누어 동일한 케이지에서 사육하였다.
일조는 오전 7시~오후 7시까지의 12시간마다 주야를 설정하였다.
2.2 자외선 조사
무모 마우스 Hos; HR 1을 1주간 순화(馴化)한 후 자외선 조사를 개시하였다. 자외선 조사시는 무모 마우스를 전용 케이지로 옮기고, 1군씩 UVB 20 mJ/㎠ 및 UVA 10 J/㎠의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월, 수, 금의 주 3일의 사이클로 10주간 실시하여, 합계 30회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2.3 군 설정
자외선 조사 후 30분 이내에 SB, SBL, SBM 메탄올 용액 또는 용매(메탄올)를 마우스 등(背部) 피부 전면에 100 μL 처리하였다. SB, SBL, SBM 도포의 농도설정을 각각 1.0%, 0.3%, 0.1%의 3점 설정하고, 이들 전체 군에 대해서는 자외선 조사를 행하였다. 용매인 메탄올만을 도포하는 것에 대해서, 자외선 비조사 및 자외선 조사군을 준비하였다. 용매로 메탄올을 사용한 것은 SB를 용해하기 위함이다. 메탄올 중에서, SBM, SBL은 1% 농도에서도 완전히 용해되어 있었지만, SB는 0.1%만이 완전히 용해되어 있으나, 0.3%는 약간 석출이 확인되며, 1%에서는 불용물이 확인되었다. SB 메탄올 용액에 불용물이 확인된 경우도 그대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2.4 경피 수분 증산량의 측정
경피 수분 증산량의 측정은 VapoMeter(키스톤 사이언티픽사제)를 사용하여, 등의 꼬리가 붙어 있는 밑동부분에서 목을 향해서 2 ㎝, 요추에서 오른쪽으로 0.5 ㎝ 부위를 3회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측정 말단의 개구부는 Nail 모드(개구부를 좁게 함으로써, 마우스 피부의 좁은 범위에 대응한)를 사용하여, 1회마다 측정시간에 약 19초를 소요하였다. 측정일은 자외선 조사 10주간 후에 행하였다.
2.5 레플리카 화상 해석
주름의 형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레플리카를 채취하였다. 레플리카 화상 해석은 반사용 레플리카 해석 시스템 ASA-03RXD((유)아사히 바이오메드제)를 사용해서 행하였다. ASA-03RXD를 사용하여, 채취한 레플리카에 각도 27도로부터의 평행광(LED광원)을 조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주름의 형상에 따른 음영화상을 CCD 카메라로 촬상하고, 컴퓨터로 읽어들여 화상처리함으로써 레플리카 표면의 주름 체적율(μ㎥/㎟/100)을 계측하였다.
2.6 통계해석
시험결과는 평균값±표준편차(S.D.)로 표시하고, 유의차 검정은 등분산성의 검정을 바틀릿 검정(Bartlett's test)으로 행하였다. 등분산성의 가정이 기각되지 않았을 때는 던넷(Dunnett)의 다중검정을 행하고, 등분산성의 가정이 기각되었을 때는 참고 데이터로서 던넷(Dunnett)의 다중검정을 행하였다.
3. 시험결과
3.1 체중변동, 외관관찰
10주간 조사 종료 후, 각 군 사이에서 체중 변천에 눈에 띄는 차이는 없었다. 심각한 병변을 나타낸 마우스도 없었다.
마우스 피부의 외관을 관찰한 결과, 군 2의 자외선 조사 메탄올 처리군에서는 주름 형성이 확인되는 것에 대해, 군 4의 0.3% 실리빈 도포군, 군 6~군 8의 모든 SBM 도포군, 군 9~군 11의 모든 SBL 도포군에 있어서 주름 억제작용이 확인되었다.
3.2 경피 수분 증산량
피부 거칠어짐의 지표로서, 자외선 조사 10주간 후에 VapoMeter를 사용하여 각 군의 수분 증산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군 1의 자외선 비조사군에 비해 군 2의 자외선 조사군에서는 경피 수분 증산량이 높아진다. 군 3~군 11의 실리빈(SB), 실리빈 배당체(SBM, SBL) 도포군에서는 위험률 1% 이하에서 유의하게 경피 수분 증산량의 상승이 억제되어 있었다.
1군(자외선 비조사, 메탄올 도포)의 수분 증산량을 0%, 2군(자외선 조사, 메탄올 도포)의 수분 증산량을 100%로 하였을 때, 3~5군(자외선 조사, SB 0.1~1% 도포)의 수분 증산량은 26~76%, 6~8군(자외선 조사, SBM 0.1~1% 도포)의 수분 증산량은 11~21%, 9~11군(자외선 조사, SBL 0.1~1% 도포)의 수분 증산량은 24~27%가 되어, SB, SBM, SBL을 첨가함으로써 수분 증산량의 상승이 억제되었다. 특히, 실리빈 배당체인 SBM, SBL의 수분 증산량의 상승 억제효과가 높다. 즉 햇볕에 그을림에 의한 피부 거칠어짐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Figure pat00006
3.3 주름 체적율
10주간 조사 종료 후, 주름의 형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레플리카를 채취하고, 화상해석에 의해 레플리카 표면의 주름 체적율(μ㎥/㎟/100)을 계측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던넷(Dunnett)의 유의차 검정을 실시한 결과, 군 2(자외선 조사 메탄올 도포)에 대해, 군 1(자외선 비조사 메탄올 도포), 군 4(자외선 조사 SB 0.3% 도포), 군 7(자외선 조사 SBM 0.3% 도포), 군 11(자외선 조사 SBL 1.0% 도포)은 각각 위험률 5% 이하에서 유의하게 주름 체적이 억제되었다.
Figure pat00007
[처방예 1 화장수]
질량%
1. 실리빈 말토시드 0.3
2. SY-DP9(디글리세린의 히드록시기에 합계로 9 몰의 산화프로필렌이 부가중합된 화합물) 5.0
3. 디프로필렌글리콜 5.0
4. 수산화칼륨 적량
5. 구연산 적량
6. 정제수 잔여
(제법)
6에 1~5를 용해하였다.
[처방예 2 유액]
질량%
1. 실리빈 말토시드 3.0
2.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0.7
3. 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HLB 12) 2.0
4. SY-DP9(디글리세린의 히드록시기에 합계로 9 몰의 산화프로필렌이 부가중합된 화합물) 8.0
5. 올리브유 8.0
6. 베헤닐알코올 1.0
7. 디프로필렌글리콜 8.0
8.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9. 크산탄검 0.2
10. 수산화칼륨 적량
11. 구연산 적량
12. 정제수 잔여
(제법)
1~4 및 7~12를 80℃에서 가온 용해한다. 여기에, 약 80℃로 가온한 5, 6을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교반 혼합하고, 30℃까지 냉각하여, 유액을 얻었다.
[처방예 3 모이스처 미용액]
질량%
1. 실리빈 말토시드 0.2
2.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0.6
3. 모노올레산 데카글리세릴(HLB 12) 1.5
4. 디프로필렌글리콜 7.0
5. 1,3-부탄디올 5.0
6. 폴리에틸렌글리콜4000 0.1
7. 스쿠알렌 5.0
8. 실리콘 0.5
9. 라우로일글루타민산 디(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
0.2
10. 크산탄검 0.3
11. 수산화칼륨 적량
12. 구연산 적량
13. 정제수 잔여
(제법)
1 및 11~13을 교반 용해하고, 4~6, 10을 첨가한 후, 약 80℃로 가온 용해한다. 여기에, 약 80℃로 가온한 2, 3, 7~9를 첨가하고, 30℃까지 냉각하여, 모이스처 미용액을 얻었다.
[처방예 4 에몰리언트 크림]
질량%
1. 실리빈 말토시드 0.5
2. SY-DP9(디글리세린의 히드록시기에 합계로 9 몰의 산화프로필렌이 부가중합된 화합물) 10.0
3. 디프로필렌글리콜 8.0
4. 1,2-펜탄디올 0.5
5. L-세린 0.01
6. 디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HLB 9.5) 0.5
7. 모노미리스트산 데카글리세릴(HLB 14) 1.5
8. 올리브유 10.0
9. 마카다미아 너트유 1.0
10. 베헤닐알코올 1.5
11. 실리콘 2.0
12. 호호바 오일 3.0
13. 토코페롤 0.001
14. SIMULGEL NS(SEPPIC사제) 2.0
15. 크산탄검 0.1
16. 수산화칼륨 적량
17. 구연산 적량
18. 정제수 잔여
(제법)
1 및 16~18을 교반 용해하고, 2~5를 첨가한 후, 약 80℃로 가온 용해한다. 여기에, 약 80℃로 가온한 6~14를 첨가하고, 30℃까지 냉각하여, 에몰리언트 크림을 얻었다.
[처방예 5 바디용 유액]
질량%
1. 실리빈 말토시드 0.2
2. PEG-60 수소첨가 피마자유(HLB 14) 1.5
3. SY-DP14T(디글리세린의 히드록시기에 합계로 14 몰의 산화프로필렌이 부가중합된 화합물) 9.0
4. 디프로필렌글리콜 7.0
5. 히알루론산 Na 0.001
6. 유동 파라핀 10.0
7. 실리콘 3.0
8. 옥틸도데칸올 4.0
9. (아크릴산/아크릴산알킬(C10-30)) 코폴리머 0.2
10. 수산화칼륨 적량
11. 구연산 적량
12. 정제수 잔여
13. 에탄올 2.5
(제법)
1 및 10~12를 교반 용해하고, 2~5, 9를 첨가한 후, 약 80℃로 가온 용해한다. 여기에, 약 80℃로 가온한 6~8을 첨가하여, 30℃까지 냉각하고, 13을 첨가하여, 바디용 유액을 얻었다.
[처방예 6 마사지 크림]
질량%
1. 실리빈 말토시드 0.05
2. SY-DP4(디글리세린의 히드록시기에 합계로 4 몰의 산화프로필렌이 부가중합된 화합물) 10.0
3. POE(10)메틸글루코시드 2.0
4. 디프로필렌글리콜 7.0
5. 모노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릴(HLB 12) 1.0
6. 에틸헥산산세틸 12.0
7. 베헤닐알코올 2.0
8. 스테아르산 0.5
9. 세피노브 EMT10(SEPPIC사제) 0.5
10. 향료 적량
11. 페녹시에탄올 0.3
12. 수산화칼륨 적량
13. 구연산 적량
14. 정제수 잔여
(제법)
1 및 11~14를 교반 용해하고, 2~4를 첨가한 후, 약 80℃로 가온 용해한다. 여기에, 약 80℃로 가온한 5~9를 첨가하여, 30℃까지 냉각하고, 10을 첨가하여, 마사지 크림을 얻었다.
[처방예 7 유화형 파운데이션]
질량%
1. 실리빈 말토시드 0.1
2. SY-DP9(디글리세린의 히드록시기에 합계로 9 몰의 산화프로필렌이 부가중합된 화합물) 10.0
3. 디프로필렌글리콜 8.0
4. 1,2-펜탄디올 1.0
5. 크산탄검 0.3
6.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2 1.0
7. 시클로메티콘 8.0
8. 실리콘 5.0
9. 네오펜탄산 이소스테아릴 5.0
10. 이소스테아르산 1.5
11. 베헤닐알코올 0.5
12. 팔미트산 덱스트린 1.0
13. 탈크 3.0
14. 이산화티탄 5.0
15. 벵갈라 0.5
16. 황산화철 1.4
17. 흑산화철 0.1
18. 수산화칼륨 적량
19. 구연산 적량
20. 정제수 잔여
(제법)
1 및 18~20을 교반 용해하고, 2~5를 첨가한 후, 약 70℃로 가온 용해한다. 다음으로, 잘 분쇄한 13~17을 첨가하여, 교반 혼합한다. 여기에, 약 80℃로 가온한 6~12를 첨가하고, 30℃까지 냉각하여, 유화형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처방예 8 겔상 미용액]
질량%
1. 실리빈 말토시드 1.0
2. 유니루브 DGP-700 5.0
3. 1,3-부탄디올 7.0
4. 베타인 2.0
5. 히알루론산 Na(1% 수용액) 1.0
6. 스클레로티움검 0.1
7.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8. 수산화칼륨 적량
9. 정제수 잔여
(제법)
9에 7을 용해시키고, 1~6을 교반 용해한다. 8을 첨가하여 겔상 미용액을 얻었다.
[처방예 9 시트상 마스크]
질량%
1. 실리빈 말토시드 0.5
2. 유니루브 DGP-700 5.0
3. 디프로필렌글리콜 8.0
4. 윌브라이드 S-753 1.0
5. 네오펜탄산 이소스테아릴 5.0
6. 비타민A유 0.001
7.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1.0
8. 폴리소르베이트 60 0.2
9. 알칼리게네스 생산 다당체 0.1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수산화칼륨 적량
12. 정제수 잔여
(제법)
5~8까지 80℃로 가온 용해하고, 1~4 및 9, 10, 12를 가온 용해한 것을 첨가하여, 교반 혼합한다.
11을 첨가하여 중화한 후, 30℃까지 냉각한다.
그 후, 부직포에 함침시켜 시트상 마스크로 한다.

Claims (6)

  1. 폴리옥시알킬렌디글리세릴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1,2-헥산디올, 1,2-펜탄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1,3-부탄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 실리빈 배당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
  2. 실리빈 배당체를, 폴리옥시프로필렌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용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
  3. 제2항에 있어서,
    폴리옥시프로필렌기를 갖는 화합물이,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부틸렌글리세린,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소르비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빈 배당체가 실리빈 말토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을 함유하는 주름 형성 억제제.
KR1020100037120A 2009-04-24 2010-04-22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 및 피부 외용 조성물 KR201001175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05766 2009-04-24
JPJP-P-2009-105766 2009-04-24
JP2010077761A JP5647428B2 (ja) 2009-04-24 2010-03-30 シリビン配糖体水溶液及び皮膚外用組成物
JPJP-P-2010-077761 2010-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520A true KR20100117520A (ko) 2010-11-03

Family

ID=42994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120A KR20100117520A (ko) 2009-04-24 2010-04-22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 및 피부 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117520A (ko)
CN (1) CN101869573B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56893B (en) * 2003-03-25 2006-06-21 Fancl Corp Composition for promoting production of type I collagen and/or elastin
JP4033877B2 (ja) * 2005-09-29 2008-01-16 株式会社ファンケル I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用組成物
JP3914244B2 (ja) * 2005-10-03 2007-05-16 株式会社ファンケル 異常タンパク質除去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69573A (zh) 2010-10-27
CN101869573B (zh)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75671B (zh) 抗老化用之皮膚外用組成物及其製造方法
KR101952459B1 (ko)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한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US11234918B2 (en) Methods for botanical and/or algae extraction
JP2008208128A (ja) 皮膚のための新規なポリオール−グリコシド組成物
CN101491485B (zh) 含有水飞蓟宾糖苷的皮肤外用组合物
US20210052481A1 (en) External composition containing ascorbic acid and/or salt thereof
KR20170050062A (ko) 병풀로부터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및 마데카식산을 포함하는 음료 및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5306831A (ja) 皮膚外用剤
US9592183B2 (en) Inhibitor of endothelin action and skin-whitening agent
JP4530832B2 (ja) 美白用皮膚外用剤、美白剤、美白方法および美白用皮膚外用剤の製造方法
KR20050096953A (ko) 물의 존재에 민감한 하나 이상의 활성제를 함유하는 반전에멀젼 유형 조성물, 및 미용 및 피부과에서의 그의 용도
JP2008088075A (ja) プロフィラグリン/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表皮角化細胞増殖促進剤、表皮/角層正常化用皮膚外用剤、プロフィラグリン及び/又は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方法、及び表皮角化細胞増殖促進方法
JP5647428B2 (ja) シリビン配糖体水溶液及び皮膚外用組成物
CN100411622C (zh) 由麦角甾醇衍生物制成的黑色素生成抑制剂和美白剂及含有麦角甾醇衍生物的组合物
US20210338565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transparency and reducing dullness
US8217074B2 (en) Use of sargachromenol
KR20100117520A (ko) 실리빈 배당체 수용액 및 피부 외용 조성물
JP2009184997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CN105338978A (zh) 用于促进胶原蛋白生成、促进弹性蛋白生成和/或促进角质形成细胞迁移的组合物及其应用
KR101418979B1 (ko) 콜라겐 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화장품
US20220023196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improvement comprising green barley extract
JP2013040218A (ja) シリビン配糖体含有皮膚外用組成物
JP2008247841A (ja) 美白剤およびメラニン生成抑制剤
JP5937465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しわ改善剤および皮膚外用剤
CN116350531A (zh) 猫眼草酚d的抗糖化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