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459B1 -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한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한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459B1
KR101952459B1 KR1020137015950A KR20137015950A KR101952459B1 KR 101952459 B1 KR101952459 B1 KR 101952459B1 KR 1020137015950 A KR1020137015950 A KR 1020137015950A KR 20137015950 A KR20137015950 A KR 20137015950A KR 101952459 B1 KR101952459 B1 KR 101952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veratrol
cosmetic composition
topical cosmetic
pe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5310A (ko
Inventor
마레이케 베크
브라베 커스틴 덴
쥬아나-루시아 플로레스-칸디아
윙지 루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filed Critical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30115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국소 화장품 조성물 중의 레스베라트롤의 피부 침투를 향상시키기 위한, 필요에 따라 폴리올과 조합한, 자외선 필터의 용도.

Description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한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RESVERATROL}
본 발명은 가장 넓은 의미에서, 레스베라트롤, 3,4',5-트라이하이드록시스틸벤, 특히 트랜스-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하는 국소 화장품 조성물, 특히 피부 미백을 위한 이러한 국소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국소 화장품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자외선(UV) 필터 및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폴리올과 조합한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하여, 용해성 및 피부 침투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하나의 중요한 양태는 국소 화장품 조성물, 특히 피부 미백을 위한 조성물 중의 레스베라트롤의 피부 침투를 향상시키기 위한, 필요에 따라 폴리올과 조합한, 자외선 필터의 용도이다.
레스베라트롤은 자외선 감수성이고, 화장품용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낮아 데이 케어(day care) 화장품 조성물에서의 안정성 및 효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레스베라트롤과 자외선 필터 및 필요에 따라 폴리올과의 조합은 하기 이점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a) 자외선 유도된 레스베라트롤 붕괴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킴,
b) 피부 침투를 향상시켜, 생물학적 이용가능성을 개선시킴,
c) 레스베라트롤의 재결정화를 회피함, 및
d) 화장품 배합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킴.
용어 "붕괴"는 트랜스-레스베라트롤이 겪을 수 있는, 생물학적 활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임의의 화학적 변화, 예컨대 산화, 수소화 및 특히 이성질화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는 균일하고 보다 밝은 피부톤을 달성하는데 강한 관심을 나타내기 때문에, 피부 관리(skin care) 시장의 가장 중요한 분야 중 하나는 향상된 피부 미백 특성을 갖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광 흑색점, 염증후 색소침착 과잉증 및 기미는 인구에 널리 분포된 피부 질환이다. 또한, 피부 담색화는 주로 아시아 시장의 확대에 의해 및 특정 소비자 구분(즉, 남성 관리)으로의 피부 미백 제품의 확대에 의해 추진되어 있는, 가장 큰 성장을 보이는 화장품 시장 구분 중 하나이다. 피부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제품(예컨대, 아스코르빌 글루코시드, 알부틴, 식물 추출물, 코지산, 비타민 C 유도체)이 시장에 존재하지만, 이들은 종종 배합 또는 침투 제약을 보이고/보이거나 생체 내에서 낮은 효능을 갖고/갖거나 안전성 우려를 낳고 있다. 이러한 미백제의 일부에 관한 독성 문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커지고 있으므로, 효과적이고 안전한 미백 활성 성분이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왕호장근(giant knotweed), 포도 및 따라서 적색 와인 내에서 발견되는 천연 분자인 레스베라트롤이 최근 주요한 연구 주제였다. 레스베라트롤의 다기능 효과를 증명하는 과학 보고서가 증가하고 있다. 레스베라트롤은 매우 강력한 항산화제이고, 신호 전달을 통한 유전적 발현의 조절제이고, 염증 매개자의 억제제이며, 식물 호르몬 효과를 갖고, 멜라닌 합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레스베라트롤은 이와 같이 생물학적 기능 및 화장 효과를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 관리 제품을 위한 특별한 활성 성분이 된다.
1989년 2월 8일에 공개된 JP 64-38009는 0.00001 내지 10 중량%의 농도의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스틸벤, 예컨대 레스베라트롤만을 기초로 하는 피부 담색화 화장품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 조성물은 통상의 화장품 보조제 및 첨가제/담체, 예컨대 오일, 보존제, 향수, 및 유화제,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을 포함한다.
상기의 모든 생물학적 특성 및 이의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에도 불구하고, 레스베라트롤은 화장품 조성물로 개발할 때 일련의 과제를 안고 있다. 용해성이 불량하기 때문에 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중에서 결정으로서 침전되는 경향이 있다. 고함량의 레스베라트롤은 실질적으로 물-비함유 화장품 조성물 중에서만 실현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주어진 화장품 조성의 함수로서 레스베라트롤의 피부 침투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트랜스-레스베라트롤(활성형)의 화학적 안정성에 관한 공개 데이터는 매우 불규칙했다. 시스/트랜스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에 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화된 활성형 레스베라트롤이 피부에 충분한 양으로 침투할 수 있는 레스베라트롤 함유 미백 화장품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발견하는 것이었다.
도 1은 자외선 필터를 포함하지 않는 것(I) 및 자외선 필터를 포함하는 것(II)의 2종의 화장품용 담체 중의 트랜스-레스베라트롤 함량에 대한 자외선 조사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2는 표준 수중유(O/W)형 화장품 조성물에서의 활성 성분 수준의 함수로서 레스베라트롤의 피부 침투 (A) 0.01% 레스베라트롤(4마리의 공여체, 13회의 반복시험, 97.5% ± 6.2%의 회수율) 및 (B) 0.05% 레스베라트롤(4마리의 공여체, 12회의 반복시험, 92.1% ± 6.3%의 회수율)을 나타낸다. 침투는 도포된 용량의 %로 도시된다.
도 3은 레스베라트롤 피부 침투에 대한 자외선 필터의 영향을 나타낸다. (B) 0.05%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한 O/W형 화장품 조성물(4마리의 공여체, 12회의 반복시험, 92.1% ± 6.3%의 회수율); 및 (C) 자외선 필터 및 0.05%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한 O/W형 화장품 조성물(4마리의 공여체, 8회의 반복시험, 97.3% ± 2.7%의 회수율). 침투는 도포된 용량의 %로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한 국소 화장품 조성물, 특히 피부 미백을 위한 국소 화장품 조성물 중에 하나 이상의 자외선 필터를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폴리올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유리함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조성물 중에서, 레스베라트롤, 특히 트랜스-이성질체는 안정화되고, 피부에 보다 잘 침투할 수 있고, 개선된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성물 중의 레스베라트롤의 양은 각각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 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필터는 자외선을 차단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유기 자외선 필터 물질의 바람직한 예는, 부틸메톡시다이벤조일 에탄; 2-(4-에톡시-아닐리노메틸렌)-프로판다이오산 다이에틸 에스터; 에틸헥실메톡시 신남에이트;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다이메티코 다이에틸벤잘말론에이트; 2,4-비스((4-(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라이아진;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라이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1-(4-3급-부틸페닐)-3-(4-메톡시페닐)-프로판-1,3-다이온; 2-시아노-3,3-다이페닐-아크릴산 2-에틸-헥실 에스터; (E)-rac-1,7,7-트라이메틸-3-(4-메틸-벤질리덴)-바이사이클로-[2.2.1]-헵탄-2-온; 3,3,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실 살리실레이트; 2-페닐-1H-벤즈이미다졸-5-설폰산; 3-(4-메톡시-페닐)-프로피온산 2-에틸-헥실 에스터; 2-에틸헥실 3-(4-메톡시페닐)-2-프로펜오에이트; 및 폴리실리콘-1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부틸메톡시다이벤조일메탄 및/또는 옥토크릴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무기 자외선 필터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이산화 티탄 및 산화 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사용된 (하나 이상의) 자외선 필터 물질의 양은 자외선에 대한 목적하는 보호도 및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된 트랜스-레스베라트롤의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각각 통상적으로 4 내지 27 중량%,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5 중량%의 범위이다.
자외선 필터 물질 대 레스베라트롤의 중량비는 150:1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1 내지 10:1, 가장 바람직하게는 50:1 내지 10:1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은 레스베라트롤을 용해시킬 수 있는 비수성 극성 유기 용매이다. 선형 및 분지쇄 알킬 폴리하이드록실 화합물인 폴리올 중에서, 실례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소르비톨, 부틸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이 있다. 중합체성 폴리올,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유도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체성 폴리올의 예로는, PEG-18, PPG-18, 다이메티콘 코폴리머,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PEG-20 스테아레이트, PEG-20 메틸 글루코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 PEG-120 메틸 글루코스 다이올리에이트, 세테아레쓰-12, 코세쓰-7, PPG-1-PEG-9 라우릴 글리콜 에터, PEG-3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및 에톡시글리콜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성물 중의 하나 이상의 폴리올의 양은 각각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7 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의 하나 이상의 폴리올 대 레스베라트롤의 중량비는 50:1 미만, 바람직하게는 30:1 내지 20:1, 보다 바람직하게는 15:1 내지 5:1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국소 화장품 조성물은 통상의 화장품 보조제 및 첨가제, 예컨대 보존제/항산화제, 지방 물질/오일, 물, 유기 용매, 실리콘, 증점제, 연화제, 유화제, 자외선 차단제, 소포제, 보습제, 미적 성분, 예컨대 향료, 계면활성제, 충진제, 금속 이온 봉쇄제,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추진제, 산성화제 또는 염기성화제, 염료, 착색제/착색료, 연마제, 흡수제, 정유, 피부 감각제(skin sensate), 수렴제, 안료 또는 나노안료, 또는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배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피부 관리 산업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러한 화장품 성분은, 예컨대 문헌[CTFA Cosmetic Ingredient Handbook, Second Edition (1992)]에 기재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국소 조성물"은 포유동물의 케라틴 조직에 국소적으로 도포될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화장품 제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은 문헌[Rompp Lexikon Chemie, 10th edition 1997,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New York]의 항목 "Kosmetika"에 정의되어 있는 화장품 조성물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국소 조성물은 용매 또는 지방 물질 중의 현탁액 또는 분산액 형태, 또는 다르게는 에멀젼 또는 마이크로에멀젼(특히 수중유(O/W)형 또는 유중수(W/O)형), PIT-에멀젼, 다중 에멀젼(예컨대 유중수중유(O/W/O)형 또는 수중유중수(W/O/W)형), 피커링(pickering) 에멀젼, 하이드로젤, 알콜젤, 리포젤, 단일상 또는 다중상 용액 또는 소낭성 분산액 형태, 또는 펜으로, 마스크로서 또는 스프레이로서 도포될 수도 있는 다른 통상의 형태이다. 국소 조성물이 에멀젼이거나 에멀젼을 포함하는 경우, 또한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수중유형, 유중수형 또는 실리콘-물형 에멀젼, 나노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 다중 에멀젼, 수성 또는 무수 젤 및 용액이 바람직하다. 수중유형 에멀젼 및/또는 젤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국소 조성물은 피부 관리 제제, 장식용 제제, 광 보호 제제 및 기능성 제제이다.
피부 관리 제제의 예로는 특히 얼굴 크림, 바디 오일, 바디 로션, 바디 젤, 트리트먼트 크림, 피부 보호 연고, 면도용 제제, 예컨대 면도용 폼(foam) 또는 젤, 스킨 파우더, 예컨대 베이비 파우더, 보습 젤, 보습 스프레이, 리바이탈라이징 바디 스프레이, 셀룰라이트 젤, 얼굴 및/또는 신체용 보습제, 얼굴 및/또는 신체용 세정제, 얼굴 마스크, 항여드름 제제 및/또는 필링 제제가 있다. 얼굴 관리 제품이 가장 바람직하다.
장식용 제제의 예로는 특히 립스틱, 아이 섀도우, 마스카라, 건조 및 습윤 메이크업 제형, 루즈, 파우더 및/또는 선탠 로션이 있다.
기능성 제제의 예로는 추가 활성 성분, 예컨대 호르몬 제제, 비타민 제제, 식물 및/또는 과일 추출물, 항노화 제제 및/또는 항미생물(항균 또는 항진균) 제제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국소 조성물은 액체, 로션, 증점 로션, 젤, 크림, 유액, 연고, 페이스트, 파우더, 메이크업 또는 고체 튜브 스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임의적으로 에어로졸로서 포장될 수 있고, 무스, 예컨대 에어로졸 무스, 폼 또는 스프레이 폼, 스프레이, 스틱, 플라스터, 세정제, 비누 또는 와이프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국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피부 담색화, 태닝 방지, 색소침착 과잉증의 치료, 여드름, 주름, 라인, 위축 및/또는 염증의 예방 또는 감소를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 화장품 활성 성분; 및 국소 항미생물제 및/또는 항진균제; 킬레이트제 및/또는 금속 이온 봉쇄제; 항셀룰라이트제(예컨대, 피탄산) 및/또는 국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함유할 수 있다. 화장품 및 피부과용 보조제 및 첨가제의 필요량은 목적 생성물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조성물 및 실험에 관한 하기 기재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된다.
실시예
레스베라트롤의 안정성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은, pH와 관계 없이, 장기간 저장 조건 하에 주광에 노출시 암색 착색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관찰에 기초하여 레스베라트롤의 광 안정성을 더욱 주의깊게 살피기로 하였다. 이 목적이기 때문에, 1 중량%의 레스베라트롤을 하기 2종의 상이한 화장품용 담체에 용해시켰다:
I) 미리톨(Mirytol)(29 중량%) 및 이소프로판올(70 중량%);
II) 미리톨(29 중량%), 부틸메톡시다이벤조일메탄(4 중량%), 옥토크릴렌(10 중량%) 및 이소프로판올(70 중량%).
6 x 20 μl의 화장품 용액 I 및 II를 각각 유리판 상에 분배하고, 10 MED로 조사하였다. 조사한 후,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HLPC로 측정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용 담체 I 중에서는 자외선 조사로 인해 초기 트랜스-레스베라트롤의 약 70%가 손실된 것으로 발견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액 II 중에 자외선 필터를 사용한 경우는, 이러한 손실이 거의 70%로부터 10%로 감소하였다.
자외선 필터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중의 레스베라트롤의 용해성, 상용성 및 안정성
안정성 및 유기 및 무기 자외선 필터와의 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레스베라트롤을 표 1 및 2에 제시된 화장품 조성물 중에 배합하였다. 아보벤존 및 옥토크릴렌은 데이 케어 화장품 조성물 중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자외선 필터이기 때문에 유기 자외선 필터에서는 이들을 선택하였다. 무기 자외선 필터에서는 코팅된 형태 또는 이산화 티탄을 선택하였다.
[표 1]
레스베라트롤 및 유기 자외선 필터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상 A 및 상 B를 가열하고, 상 B를 상 A에 첨가하고, 에멀젼을 균질화시키고, 에멀젼이 실온에 도달한 후 상 C를 첨가함으로써 제조하였다.
Figure 112016109795642-pct00011
[표 2]
레스베라트롤 및 유기 및 무기 자외선 필터의 조합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상 A 및 상 B를 가열하고, 상 B를 상 A에 첨가하고, 에멀젼을 균질화시키고, 에멀젼이 실온에 도달한 후 상 C를 첨가함으로써 제조하였다.
Figure 112016109795642-pct00012
하기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레스베라트롤은 유기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상용성이 있다. 시험된 배합물 둘다에 충분히 용해되었다. 다양한 범위의 온도 하에 장기간 저장한 후, 결정도 변색도 관찰되지 않았다. 다양한 저장 조건 하에 나타나는 트랜스-레스베라트롤 함량으로 판단하건대 이 배합물은 안정하였다.
[표 3]
삭제
Figure 112016109795642-pct00013
레스베라트롤의 피부 침투
갓 절제된 돼지 귀 피부(피부 분절, 약 300 μm의 두께)를 사용하여 레스베라트롤의 시험관 내 경피 침투를 측정하였다. 유통식 확산 셀을 갖는 시스템으로 [페닐-14C]-레스베라트롤의 피부 침투를 탐사하였다.
시험 물질을 유화제 브리즈(Brij)-72 및 브리즈-721을 사용하는 0.01% 및 0.05% O/W형 크림으로서(배합물 A 및 B, 표 5) 및 유화제 임위터(Imwitor) 372 P 및 리코시레(Licocire) NA를 사용하고 자외선 필터도 함유하는 0.05% O/W형 크림으로서(배합물 C, 표 6) 배합하였다. 실제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배합물 A, B 및 C 중에서 각각 0.009%, 0.055% 및 0.061%로 측정되었다. 32℃의 온도에서 비폐색된 조건 하에 크림을 피부 1 cm2 당 배합물 4.3 내지 6.7 mg의 용량 수준으로 도포하였다. 1 배합물 당 4마리의 상이한 공여체 동물을 사용하였다.
3H2O 투과 측정으로 피부의 완전성을 시험하고, 후속 레스베라트롤 투과 실험에 포함되는 피부 샘플의 기준은 (a) Kp < 2.5 x 10-3 cm/시간 및 (b) 6시간 이내에서 총 투과 < 용량의 25%이었다. 시험된 1 배합물 당 인가된 각각의 확산 셀을 8 내지 13개 사용하였다.
수용체 용액을 수집함으로써 24시간에 걸쳐 시험 물질의 침투를 측정하였다. 수용체 유체는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5% 소 혈청 알부민이 보충된 세포 배양 배지(DMEM)였고, 수집 간격은 배합물 B에서는 도포 후 0 내지 0.5시간, 0.5 내지 1시간, 1 내지 3시간, 3 내지 5시간, 5 내지 7시간, 7 내지 9시간, 및 9 내지 24시간이고, 배합물 A 및 C에서는 도포 후 0 내지 3시간, 3 내지 6시간, 6 내지 12시간, 12 내지 18시간, 및 18 내지 24시간이었다. 시험 물질을 도포한지 24시간 후, 피부를 순한 비누 용액으로 세척하고, 각질층을 테이프 스트리핑(tape stripping)하여 제거하고, 잔여 피부를 표피와 진피로 분리하였다. 수집된 모든 샘플에서의 총 방사능을 액체 섬광 계수로 측정하였다.
하기 국제적으로 허용된 지침 및 권고에 지시된 절차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였다:
- [OECD 428: Skin Absorption: In vitro Method, 2004년 4월 13일 채택];
- [OECD Guidance Document No. 28: Guidance Document for the Conduct of Skin Absorption Studies, ENV/JM/MONO (2004) 2, 2004년 3월 5일 채택];
- [SCCP Opinion on Basic Criteria for the in vitro Assessment of Dermal Absorption of Cosmetic Ingredients - 2006년 3월 갱신, SCCP/0970/06, 2006년 3월 28일 채택].
방사능의 총 회수율은 배합물 A, B 및 C 각각에 대해 도포된 용량의 93.6%, 91.8% 및 97.3%였다. 방사능의 대부분(91% 초과)을 세척할 수 있었다. 소량의 방사능을 각질층, 표피, 진피 및 수용체 유체로부터 회수할 수 있었다.
[표 4]
자외선 필터의 부재 하에 O/W형 배합물 A(0.01% 레스베라트롤) 및 배합물 B(0.05% 레스베라트롤)에 대한 기본 배합물의 제조
Figure 112016109795642-pct00014
절차
- 상 A를 80℃로 가열하였다. 모두 용해되면, 교반하면서 상 B를 첨가하였다.
- 상 C를 80℃로 가열하고 상 A/B에 첨가하고, 균질화시켰다.
- 에멀젼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pH 약 5.1).
- 상 D(에탄올 중의 14C-레스베라트롤)를 첨가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표 5]
삭제
Figure 112016109795642-pct00015
절차
- 상 A 및 상 B를 80℃로 가열하였다.
- 균질화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상 B를 상 A에 첨가하였다.
- 에멀젼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 상 C(트라이에탄올아민)를 사용하여 pH를 5 내지 5.5로 조절하였다.
- 상 D(에탄올 중의 14C-레스베라트롤)를 첨가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상과는 달리, 낮은 레스베라트롤 함량(0.01%)을 갖는 배합물은 특히 표피층에서 높은 침투율을 보였다. 추출물의 평가에서, 배합물 둘다의 방사성-순도는 높지만 시스-이성질체가 발견됨을 보였다(표 6). 흥미롭게도, 표피 침투율이 낮은 배합물(B)은 시스-이성질체의 2배 함량을 보였으며, 이는 분자 완전성과 침투율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성질화도의 차이는 크림의 제조 도중 및/또는 일련의 실험 과정에서의 추출 절차 도중의 광 노출의 정도로 설명될 수 있었다.
이러한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0.05% 레스베라트롤(배합물 B)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아보벤존 및 옥토크릴렌의 조합(배합물 C)을 강화하였다. 놀랍게도 시스-이성질체가 검출되지 않았고(표 6), 가장 놀랍게도 레스베라트롤의 표피 침투가 약 250% 증가하였다(도 3).
[표 6]
배합물에서의 방사능 분석.
14C-레스베라트롤의 비활성: 902.39 MBq/mmol(3.954 kBq/μg) 또는 237264 dpm/μg.
Figure 112013054955725-pct00006
안정한 화장품 조성물 중에 고함량의 레스베라트롤을 가능하게 함
레스베라트롤의 안정성 및 침투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에 관한 이해가 개선되었으므로,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을 0.05%로부터 20배 증가시키는 것을 시도하였다. 이는 하기 표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필터, PEG/PPG-18/18 다이메티콘 및 프로필렌 글리콜의 조합으로 미세 조정함으로써 달성되었다. 이 배합물은 6개월 넘게 안정한 것으로 보였다.
[표 7]
Figure 112016109795642-pct00016

Claims (10)

  1. 자외선 필터를 국소 화장품 조성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국소 화장품 조성물 중의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의 피부 침투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국소 화장품 조성물이 수중유형 에멀젼 또는 젤의 형태이고,
    상기 국소 화장품 조성물이 소르비톨, 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18, PPG-18, 다이메티콘 코폴리머,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PEG-20 스테아레이트, PEG-20 메틸 글루코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 PEG-120 메틸 글루코스 다이올리에이트, 세테아레쓰-12, 코세쓰-7, PPG-1-PEG-9 라우릴 글리콜 에터, PEG-3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및 에톡시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을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필터가 옥토크릴렌 및 1-(4-3급-부틸페닐)-3-(4-메톡시페닐)-프로판-1,3-다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 화장품 조성물이 피부 미백용 국소 화장품 조성물인,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이 폴리에틸렌 글리콜인, 방법.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 화장품 조성물 중의 레스베라트롤의 양이 상기 국소 화장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5 중량%의 범위인,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 화장품 조성물 중의 하나 이상의 자외선 필터의 양이 상기 국소 화장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4 내지 27 중량%의 범위인,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 화장품 조성물 중의 하나 이상의 폴리올의 양이 상기 국소 화장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30 중량%의 범위인, 방법.
KR1020137015950A 2010-11-22 2011-11-17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한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KR101952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014848.5 2010-11-22
EP10014848 2010-11-22
PCT/EP2011/070392 WO2012069362A1 (en) 2010-11-22 2011-11-17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resvera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310A KR20130115310A (ko) 2013-10-21
KR101952459B1 true KR101952459B1 (ko) 2019-02-26

Family

ID=4392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950A KR101952459B1 (ko) 2010-11-22 2011-11-17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한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315848A1 (ko)
EP (1) EP2642973B1 (ko)
JP (1) JP2013542969A (ko)
KR (1) KR101952459B1 (ko)
CN (1) CN103221025B (ko)
BR (1) BR112013012586B1 (ko)
WO (1) WO20120693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06547B2 (en) * 2012-10-12 2022-10-26 L'Oréal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hydrotrope and at least one active compound
FR2999911A1 (fr) * 2012-12-21 2014-06-27 Oreal Composition a base de trans-resveratrol ou d'un derive de trans-resveratrol.
CN103432621A (zh) * 2013-08-04 2013-12-11 南京天纵易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透明质酸敷料及其应用方法
CN106572986A (zh) 2014-03-10 2017-04-19 本杰明·M·余 用于经皮递送的方法和组合物
FR3036617B1 (fr) * 2015-05-27 2018-08-31 L'oreal Derives (1-phenyl-2-phenyl) ethylene polyhydroxyles a titre d'agent anti-age et photoprotecteur
KR20180030721A (ko) 2015-08-10 2018-03-23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국소 조성물들
JP6930964B2 (ja) * 2015-09-07 2021-09-01 メドスキン ソリューションズ ドクトル ズベラック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MedSkin Solutions Dr. Suwelack AG ジメチルイソソルビド、ポリオール、およびフェノール性またはポリフェノール性抗酸化剤を含む、局所適用のための組成物
FR3046060B1 (fr) * 2015-12-24 2019-11-29 L'oreal Emulsion de resveratrol
US10149808B2 (en) 2016-03-31 2018-12-11 L'oreal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viding full spectrum photo protection
US10695278B2 (en) 2016-03-31 2020-06-30 L'oreal Photo-stabilize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10137072B2 (en) 2016-03-31 2018-11-27 L'oreal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oviding broad spectrum photo protection using antioxidants
CN106511108B (zh) * 2016-12-15 2019-06-14 天津市益倍建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含白藜芦醇的美白补水面膜泥及其制备方法与应用
US20220040081A1 (en) * 2020-08-05 2022-02-10 Northwestern University Organic counteranion co-assembly strategy for the formation of cyclodextrin-containing hybrid frameworks
CN113181065A (zh) * 2021-05-11 2021-07-30 上海创元化妆品有限公司 皮克林乳液型护肤品
IT202100012806A1 (it) 2021-05-18 2021-08-18 Avicenna Natural Inst Glicoconiugato sintetico e membrana polimerica comprendente tale glicoconiugat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9937A (ja) * 1998-08-28 2000-03-07 Sakai Chem Ind Co Ltd レスベラトロールを成分として含む天然産物と アルギン酸塩とからなる健康補助食品
WO2004006881A2 (fr) * 2002-07-10 2004-01-22 Caudalie Nouvelles applications cosmetiques de polyphenols et de leurs derives
WO2004103265A2 (en) 2003-05-26 2004-12-02 Enprani Co., Ltd. Whitening and antioxidativ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resveratro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WO2009129627A1 (en) 2008-04-25 2009-10-29 Pharmascience Inc. Novel resveratrol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2318B2 (ja) 1987-07-31 1996-05-29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美白化粧料
US6270780B1 (en) * 1997-07-25 2001-08-07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resveratrol
US6358517B1 (en) * 1999-10-22 2002-03-19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resveratrol and retinoids
ITNA20000037A1 (it) * 2000-06-02 2001-12-02 Dev Biotechnological Proces Se Filtro solare multifunzione innovativo.
US20060078530A1 (en) * 2004-10-12 2006-04-13 Liu Kay M Using high-density grapes to rejuvenate human skin
JP2010202617A (ja) * 2009-03-05 2010-09-16 Kose Corp 一重項酸素消去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ならびに化粧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9937A (ja) * 1998-08-28 2000-03-07 Sakai Chem Ind Co Ltd レスベラトロールを成分として含む天然産物と アルギン酸塩とからなる健康補助食品
WO2004006881A2 (fr) * 2002-07-10 2004-01-22 Caudalie Nouvelles applications cosmetiques de polyphenols et de leurs derives
WO2004103265A2 (en) 2003-05-26 2004-12-02 Enprani Co., Ltd. Whitening and antioxidativ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resveratro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WO2009129627A1 (en) 2008-04-25 2009-10-29 Pharmascience Inc. Novel resveratrol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69362A1 (en) 2012-05-31
BR112013012586B1 (pt) 2018-02-06
JP2013542969A (ja) 2013-11-28
US20130315848A1 (en) 2013-11-28
EP2642973B1 (en) 2018-03-21
CN103221025A (zh) 2013-07-24
BR112013012586A2 (pt) 2016-07-12
CN103221025B (zh) 2017-04-05
KR20130115310A (ko) 2013-10-21
EP2642973A1 (en)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459B1 (ko)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한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US9402793B2 (en) Use of UV-filters to stabilize resveratrol in topical cosmetic compositions
EP2455157B1 (de) Lösungsvermittler für kosmetische zubereitungen
KR101823036B1 (ko)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A2800092C (en) High spf/uvapf sunscreens comprising low amounts of organic sunscreens, a non-ionic surfactant and a polymer
JP2009522338A (ja) ジフェニルメタン誘導体を含む低油含量の製剤
JP2009522336A (ja) フェノール化合物とベンゾフェノンを含む安定化製剤
CA2813094C (en) A sunscreen composition
US20190231668A1 (en)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mannosylerythritol lipid
US20100034763A1 (en) Skin Ligh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CO2 Extracts
EA027437B1 (ru) Солнцезащитная композиция
US20140242129A1 (en) Photoprotective personal care composition
JP4326512B2 (ja) 美白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美白化粧料
JP5701872B2 (ja) ゼデロンを安定して含む組成物
EP2405887B1 (en)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lightening
JP2016150916A (ja) 皮脂分泌抑制剤
US20100158829A1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Color Modulation
US11419803B2 (en) Skin darkening composition
JP3527406B2 (ja) 美白用皮膚外用剤
JPH0930948A (ja) 美白用皮膚外用剤
WO2024099715A1 (en) A skin brightening composition
JP2017171635A (ja) 白毛化抑制剤、細胞死抑制剤、活性酸素発生抑制剤、dna損傷抑制剤、ミトコンドリア損傷抑制剤
JP3388950B2 (ja) 皮膚外用剤
JPH11139952A (ja) 美白用皮膚外用剤
CN114096233A (zh) 生物能量的组合和使用其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