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077A - 이미퀴모드 제제 - Google Patents

이미퀴모드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077A
KR20100117077A KR1020107018105A KR20107018105A KR20100117077A KR 20100117077 A KR20100117077 A KR 20100117077A KR 1020107018105 A KR1020107018105 A KR 1020107018105A KR 20107018105 A KR20107018105 A KR 20107018105A KR 20100117077 A KR20100117077 A KR 20100117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imiquimod
water
concentration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렛 윙클
데이비드 더블유. 오스본
Original Assignee
다우 파마슈티컬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파마슈티컬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다우 파마슈티컬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17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07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이미다조퀴놀린 패밀리인 약물의 멤버, 예컨대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용액이 하나 이상의 비수성 용매 및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매 시스템에서 약물을 조합하여 제조되고, 여기서 용매 시스템은 낮은 수준의 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미퀴모드 제제 {IMIQUIMOD FORMULATION}
본 발명은 제약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의 용해도 분야, 특히 이미퀴모드 및 이미다조퀴놀린 패밀리인 약물의 다른 멤버의 용해도, 안정성, 및 피부 침투 향상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미퀴모드 (1-(2-메틸프로필)-1H-이미다조[4,5-c]퀴놀린-4-아민)은 이미다조퀴놀린 패밀리인 약물의 멤버이다. 이러한 패밀리의 다른 멤버에는 R-848(레시퀴모드), R-842(이미퀴모드의 하이드록실화 대사물), S-27609, 및 S-28463과 같은 이미퀴모드의 유사체가 포함된다. 이러한 약물의 패밀리는 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와 유사하며, 비록 이들 작용의 정확한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면역반응 조절제 및 촉진제의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퀴모드 및 이의 유사체는 국소 도포시 기저 세포 암종(basal cell carcinoma), 광선 각화증(actinic keratosis) 및 보웬병(Bowen's disease)(편평세포상피내암종(squamous cell carcinoma in situ))을 포함하는 다양한 피부 질병의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Navi 및 Huntley의 Dermatology Online Journal, 10(1):4 (2004), Gerster의 미국특허 제4,689,338호는 이미퀴모드의 추가적인 유사체를 개시하고, 이미퀴모드와 이의 유사체가 항바이러스 효능(efficacy)을 가짐을 개시한다. 이미퀴모드 및 이의 유사체의 면역반응 조절제로서의 효능 및 종양과 바이러스 질병을 포함하는 다양한 피부 질환의 치료를 위한 효능이 Skwierczynski의 미국특허 제6,245,776호, 및 Wick의 미국특허 제5,238,944호에 개시된다.
이미퀴모드는 현재 제품명 알다라 크림(Aldara® Cream)(Graceway Pharmaceuticals, Bristol, Tennessee)으로 판매되는 크림 제제로서 국소 도포용으로 판매된다. 알다라 크림 제제는 광선 각화증, 기저 세포 암종, 외음부 및 항문 사마귀의 치료용으로 FDA의 승인을 받았다. 알다라 크림은 비록 피부 사마귀 용도로는 승인되지 않았지만, 생식기 및 항문 사마귀 이외에 피부 사마귀 치료에도 사용된다.
이미퀴모드는 화학식 (I)인 아래에 나타난 구조식을 가진다.
Figure pct00001
화학식 (I)
이미퀴모드는 인접한 이미퀴모드 분자와 상호작용하는 경향이 있어 잠재적으로 적층된(stacked) 배열을 형성하는 평면형 방향족 분자이다. 강한 이미퀴모드-이미퀴모드 분자간 힘 및 적층 경향은 이미퀴모드를 물과 유기 용매에 상당히 불용성이 되도록 만들고, 또한 용액 중의 인접한 이미퀴모드 분자들이 상호작용하고 서로 적층되며 용액으로부터 침전하므로 이미퀴모드의 용액을 불안정하게 만든다.
Wick의 미국특허 제5,238,944호, 및 Skwierczynski의 미국특허 제6,245,776호는 이미퀴모드를 이소스테아르산 또는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과 조합하여 오일상(oil phase)을 제조하여, 이미퀴모드를 포함하는 수중유적(oil-in-water) 에멀젼 제제를 수득할 수 있음을 개시한다. Wick는 크림, 연고, 또는 감압(pressure-sensitive) 점착 조성물 형태의 이미퀴모드 제약학적 제제를 개시한다. 연고 및 감압 조성물에는 물이 없다. 크림 제제에는 물이 45% 내지 85%의 농도로 존재한다.
Skwierczynski는 이미퀴모드, 지방산, 에멀젼화제, 점도증강제(viscosity enhancing agent), 및 보존제를 포함하는 제제를 개시한다. 제제의 잔부는 물로 이루어진다.
현재 판매되는 이미퀴모드 제제인 알다라 크림은 5% 이미퀴모드와 25% 이소스테아르산을 포함하는 Wick의 개시에 기초하는 에멀젼이다. 이미퀴모드와 이소스테아르산을 포함하는 수중유적 알다라 크림 에멀젼은 해결될 필요가 있는 몇 가지 문제점을 나타낸다. 에멀전의 오일상 중의 이미퀴모드 용액은 안정하지 않으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미퀴모드가 침전하는 경향이 있다. 이미퀴모드 에멀젼의 물리적 안정성 결핍은, 알다라 크림이 일회용 패킷(single-use packet)으로 판매되고 치료 기간 동안 사용하지 않은 패킷을 처분하도록 권장하는 한 이유인 것으로 생각된다.
두 번째로, 알다라 크림의 이미퀴모드는 비각질화(non-keratinized) 인간 피부에 침투하는 것이 불량하고, 각질화 인간 피부를 통해서는 침투가 더욱 어렵다.생식기 및 항문 부분 이외의 위치에 발생하는 피부 사마귀는 생식기 및 항문 사마귀보다 훨씬 더 각질화된다. 각질화 인간 피부를 통한 알다라 크림 제제로부터의 이미퀴모드의 매우 불량한 침투성으로 인하여, 알다라 크림을 사용한 피부 사마귀의 치료는 흔히 차단 랩(occlusive wrap)을 사용하여 수행되는데, 차단 랩은 치료상 불편할 뿐만 아니라, 효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지지도 않았다.
알다라 크림은 또한 투여 부위의 매우 높은 자극 발생률(incidence)과 관련이 있다. 알다라 크림의 자극 가능성의 일부는 고농도의 지방산 용매, 예컨대 이소스테아르산의 존재로 인한 듯 한데, 지방산 용매는 에멀젼의 오일상에서 이미퀴모드를 가용화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자극의 두 번째 원인은 이미퀴모드 자체로 인한 것이다. 알다라 크림에서 이미퀴모드는 5% 농도로 존재한다. 이러한 고농도는 인간 피부를 통한 이미퀴모드의 불량한 침투성으로 인하여 부득이하다.
Yosha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7/0264317호는 알다라 크림 제제와 관련된 문제, 특히 알다라 크림 제제에 포함된 이미퀴모드의 불량한 침투성 및 고농도의 이소스테아르산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한다. Yosha의 조성물은 미소화된(micronized) 형태의 이미퀴모드를 포함하는데, 이는 이미퀴모드의 우수한 침투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으로 개시된다. Yosha에 개시된 조성물 각각은 적어도 40% 물을 포함한다. Yosha의 조성물은 스테아르산 및 올레일 알코올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와 함께, 올레산 또는 리놀레산과 같은 지방산을 추가로 포함한다. Yosha가 올레산 또는 리놀레산을 포함하는 이미퀴모드 제제의 자극 가능성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올레산과 같은 액체 지방산은 피부를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리적으로 안정하고, 이미퀴모드를 포함하는 선행기술의 제제보다 감소된 자극 가능성을 가지며, 피부, 특히 각질화 피부에 대한 이미퀴모드의 개선된 침투를 제공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제약학적 제제에 대한 상당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이미퀴모드 및 R-848, R-842, S-27609, S-28463와 같은 이미퀴모드의 유사체의 용해도가, 낮은 수준의 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물이 없는 용매 시스템에서 이미퀴모드 또는 유사체를 적절한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과 조합하여 증가됨이 발견되었다. 이렇게 수득한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액체인 지방산을 낮은 수준으로 가지거나 실온에서 액체인 지방산이 실질적으로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제가 이미퀴모드를 포함하는 선행기술의 제제와 비교하여 인간 피부에 대한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향상된 침투를 제공함이 추가로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미퀴모드를 포함하는 선행기술의 제제와 관련된 문제점에 대한 몇 가지 해결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소스테아르산을 낮은 수준으로 가지거나 이소스테아르산이 실질적으로 없고,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액체인 임의의 지방산을 낮은 수준으로 가지거나 실온에서 액체인 임의의 지방산이 실제로 없는 이미퀴모드의 용액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지방산, 특히 높은 수준의 지방산의 존재로 인한 자극은 본 발명의 제제를 사용할 경우 더 이상 우려 사항이 아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제가 인간 피부에 대한 이미퀴모드의 향상된 침투성을 제공하므로, 더 낮은 농도의 이미퀴모드가 현재 이용 가능한 선행 기술의 5% 이미퀴모드 제제보다 효과 있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고농도의 이미퀴모드 존재로 인한 이미퀴모드 제제의 자극 가능성은, 이러한 본 발명의 제제 투여시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이미퀴모드 또는 유사체의 효과적인 제약학적 조성물 제조 비용이 실질적으로 감소하는데, 상기 화합물들은 선행기술에서 합성하기에 비용이 많이 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이 주로 이미퀴모드에 대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미퀴모드는 본 이미다조퀴놀린 패밀리인 약물의 예시이고, 명세서에 개시된 것을 포함하는 이미퀴모드의 유사체가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는 본 발명의 제제에 혼입되기 전에 임의의 입자 크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퀴모드 또는 유사체는 입자 크기에 대해서 제어되지 않거나, 조립질(coarse)이거나 미분화(micronized)되거나 또는 나노미립성(nanoparticulat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의 성분의 농도는 중량 퍼센트(% w/w)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제제의 성분 농도는 실온과 해면 대기압의 표준 상태에서 결정된다.
용어 "낮은 수준의 물"은 제제에서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과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도체 사이의 안정한 복합체(complex) 형성을 방지할 물의 양보다 적은 양의 물을 의미한다. 물은 극도로 안정한 수소 결합을 쉽게 형성하는데, 물이 수소 결합 형성제와 안정한 수소 결합을 형성할 것으로 제안된다. 그 결과, 충분한 양의 물의 존재가 이미퀴모드와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 사이의 수소 결합의 형성을 성공적이고 경쟁적으로 억제할 것으로 이론이 제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제에서 물 함량 제어 목적은 수소 결합 형성제와 물 사이의 경쟁적인 수소 결합 형성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여 수소 결합 형성제와 이미퀴모드 사이의 수소 결합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적용의 목적으로, 제제에서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과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도체 사이의 안정한 복합체 형성을 방지할 물의 양보다 적은 물의 양은 제제 중량의 30% 이하이다. 따라서,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과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 사이의 안정한 복합체의 형성을 방지할 물의 양보다 적은 양의 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제는 30%, 25%, 20%, 15%, 10%, 5%, 또는 0%의 물을 포함하거나, 0% 내지 30%의 임의의 농도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본질적으로 물이 없다"는 제제가 10% w/w 미만의 양의 물을 포함함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물이 없는 제제는 5% w/w 미만의 농도의 물을 가진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물의 농도가 3% 미만이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물의 농도는 약 2%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제 중 물의 농도는 제제에 용해된 이미퀴모드의 농도의 열 배 미만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의 농도는 용해된 이미퀴모드의 농도의 다섯 배 미만이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물의 농도는 용해된 이미퀴모드의 농도의 두 배 미만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의 농도는 용해된 이미퀴모드의 농도 미만이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물의 농도는 제제에서 용해된 이미퀴모드의 농도의 50% 미만이다.
따라서, 1%의 용해된 이미퀴모드를 포함하는 제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물의 농도가 1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2%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미만이어야 한다. 물의 농도가 0.5% 미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물의 공비 혼합물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제 중 물의 농도가 상기한 수준으로 감소될 수 없는 경우, 비록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용매 시스템 중의 물의 농도가 각각의 개별적인 용매에서 증류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는 물의 최소 농도의 세 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 중 물의 농도가 각각의 개별적인 용매에서 증류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는 물의 최소 농도의 두 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물의 농도가 각각의 개별적인 용매에서 증류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는 물의 최소 농도 이하여야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의 공비 혼합물의 예에는 에탄올, 글리세린, 벤질 알코올, 1-N-메틸-2-피롤리돈(NMP), 및 프로필렌 글리콜이 포함된다.
이소스테아르산 또는 실온에서 액체인 지방산을 언급할 경우에, 용어 "낮은 수준"은 제제가 12.5% 이하의 이러한 이소스테아르산 또는 지방산을 포함함을 의미한다.
이소스테아르산 또는 실온에서 액체인 지방산을 언급할 경우에, 용어 "실질적으로 없다"는 제제가 2.5% 이하의 이러한 이소스테아르산 또는 지방산을 포함함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제가 1.0% 이하의 이소스테아르산 또는 지방산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제가 0.5% 이하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제가 0.25% 이하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제제에는 이소스테아르산 또는 실온에서 액체인 다른 지방산이 완전히 없다.
본 발명의 제제는, 필요한 경우 스테아르산과 같이 실온에서 고체인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체 지방산은 순하고, 피부에 비자극성이다. 이러한 고체 지방산의 농도는 제제에 실온에서 액체인 지방산이 실질적으로 없는지를 결정할 경우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은 이미퀴모드와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거나, 이미퀴모드와의 비공유성 분자간 결합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미퀴모드에 양성자를 제공 또는 일부 제공할 수 있거나, 이미퀴모드와의 비공유성 분자간 결합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미퀴모드로부터 양성자를 수용 또는 일부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둘의 부위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은 본 발명의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을 의미하도록 사용된다.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은 비수성 용매에서 이미퀴모드와 함께 이미퀴모드와의 복합체를 생성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복합체는 비수성 용매에서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의 부재하의 이미퀴모드보다 더 용해성이다.
제제 중의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의 농도는, 낮은 수준의 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물이 없는 제제에서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농도이다.
복합체에서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과 이미퀴모드의 몰비(molar ratio)는, 사용되는 특정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 및 용액에 존재하는 이미퀴모드,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 물의 상대 농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과 이미퀴모드의 복합체에서 1:1의 몰비가 바람직한 것으로 이론이 제기된다. 그러나, 비율은 1:1보다 높을 수 있고, 예를 들어 2:1, 3:1, 또는 심지어 4:1이다. 대안으로, 비율이 1:1보다 낮을 수 있고, 예를 들어 1:2, 1:3, 또는 심지어 1:4이다. 또한 복합체에서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과 이미퀴모드의 몰비가 4:1보다 높을 수 있거나 1:4보다 낮을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방법과 제제에 적절한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의 예에는 락트산 및 글리콜산과 같은 알파-하이드록시산; 살리실산 및 젠티스산(gentisic acid)과 같은 베타-하이드록시산; 코코일 사르코신 및 N-라로일 사르코신과 같은 알킬-사르코시네이트; 디메티콘 PEG-7 프탈레이트, 디메티콘 PEG-7 석시네이트, 및 디메티콘 PEG-8 포스페이트와 같은 음이온성 페길레이티드(pegylated) 디메티콘 유도체; 올레스-3 포스페이트와 같은 음이온성 올레일 에테르 계면활성제; 라우레스-4 카르복시산과 같은 음이온성 라우레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벤조산 및 갈산과 같은 환형 산; 및 글루쿠론산과 같은 환형 산성 당이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퀴모드를 포함하는 용액 제조를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이미퀴모드 및 하나 이상의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은 비수성 용매 시스템에서 조합되는데, 이는 낮은 수준의 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물이 없다. 이렇게 얻은 이미퀴모드의 포화 용해 농도는, 하나 이상의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이 조합되지 않은 동일한 비수성 용매 시스템에서의 이미퀴모드의 포화 용해 농도보다 높다.
본 발명의 비수성 용매 시스템은 이미퀴모드와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의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임의의 용매 시스템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낮은 수준의 물을 포함하는 임의의 용매 시스템, 예컨대 본질적으로 비수성인 용매 시스템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하나 이상의 극성 용매를 포함하는 용매 시스템이 이미퀴모드 또는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더 우수한 이미퀴모드의 용해도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론이 제기된다. 또한 본 발명의 극성 무수 용매 시스템이 이미퀴모드-이미퀴모드 상호작용의 억제에 더욱 기여할 수 있다는 이론이 제기된다. 뿐만 아니라, 극성 용매는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 및 이미퀴모드와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복합체를 더욱 잘 용해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극성 용매가 비극성 용매에 비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매 시스템은 단지 단일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본 발명의 용매 시스템은 다수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매 시스템은 제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해야 하고, 물에서의 이미퀴모드의 고유 용해도(inherent solubility)보다 더 높은, 이미퀴모드에 대한 어느 정도의 고유 용해도를 가져야 하며, 또한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에 대한 어느 정도의 고유 용해도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용매 시스템은 이미퀴모드와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 사이의 상호작용을 촉진한다.
본 발명의 용매 시스템에 적절한 용매의 예에는 NMP 및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와 같은 비양성자성 용매; 벤질 알코올과 같은 환형 알코올; 에탄올과 같은 단쇄 액체 알코올 및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부틸렌 글리콜과 같은 디올 또는 트리올; 미리스틸 락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및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즉 트랜스커톨(Transcutol®), Gattefosse, Gennevilliers, France) 및 디메틸 이소소르비드와 같은 에테르;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제약학적 오일; 및 실리콘, 예컨대 디메티콘 및 사이클로메티콘과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실리콘이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액은 물리적으로 안정하다. 이미퀴모드의 용해 수준은 용액 제조 후 12 주에 정상 상태(steady state) 수준으로 측정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조성물은 25℃, 40℃, 또는 50℃에서의 12주 숙성 후 이미퀴모드의 침전물이 본질적으로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앞에서 나열한 바람직한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과 바람직한 비수성 용매의 조합은 선행기술의 제품(알다라 크림)과 비교하여, 뜻밖의 현저히 향상된 국소 전달 및 피부 침투를 야기한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조성물에서 실질적으로 더 낮은 이미퀴모드 부하 용량(loading dose)을 사용할지라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더 우수한 전달이 달성되었다. 본 발명의 용매 및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에 의하여 매개된, 피부에서의 향상된 이미퀴모드 용해도 및 각질층(stratum corneum) 지질의 가용화(solubilization)/유동화(fluidization)의 조합으로 인하여 이러한 결과를 얻은 것으로 제안되었다.
이미퀴모드 및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 이외에도, 본 발명의 용액은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는 증점제(thickening agent)로서 작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이미퀴모드 용액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분자 제제,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PC), 카르보머(카르복시 비닐 고분자),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이 '유리(free)' 이미퀴모드와 수소 결합 유형 상호작용을 형성할 수 있고, 이로써 가용화제(solubilizers) 및 핵형성방지제(anti-nucleating agent)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이론이 제기된다. 뿐만 아니라, 고분자가 인접한 이미퀴모드 분자의 상호작용에 대한 입체장애(steric hindrance)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용매 시스템에서 이미퀴모드의 물리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HPC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일부 경우에는 또한 향상된 점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바람직하게는, 고분자가 제제의 용매 시스템에서 적어도 0.01%의 용해도를 가져야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분자가 용매 시스템에서 적어도 0.05%의 용해도를 가진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분자가 용매 시스템에서 적어도 0.10%의 용해도를 가진다. 고분자가 제제에 포함될 경우, 고분자가 수소 결합과 같은 비공유성 결합으로 이미퀴모드와 조합하는 능력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호작용이 더 작용하여 본 발명의 용액을 안정화할 것이다.
본 발명의 용액에 적합한 고분자의 예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에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상품명 유드라짓(Eudragit®)(Evonik Industries AG, Essen, Germany)으로 판매되는 것과 같은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상품명 카르보폴(Carbopol®) 또는 페뮬렌(Pemulen®)(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Cleveland, Ohio)로 판매되는 것과 같은 카르보머; 폴리비닐 피롤리돈(PVP)과 같은 피롤리돈-함유 고분자; 폴리에틸렌 글리콜, 예컨대 PEG 400, 및 폴리옥스(Polyox™)(The Dow Chemical Co., Midland, Michigan)와 같은 폴리옥시에틸렌; 폴록사머(BASF Corporation, Florham Park, New Jersey USA)와 같은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 알코올이 포함된다. 고분자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제제의 10% w/w 미만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농도는 5% 미만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미만이다.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고분자의 농도는 1%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제제는, 제제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고 당업자에게 공지인 제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고분자성 및/또는 비고분자성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형제에는 예를 들어, 증점제 및/또는 겔화제(gelling agent), 지방산 에스테르계 또는 왁스성 겔화제, 습윤제(humectant), 연화제(emollient), pH 안정화제, 보존제, 및 항산화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용액이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용액이 본 발명의 제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이 에멀젼, 특히 비수성 에멀젼의 내부 또는 외부 상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제에 있어서, 뜻밖에도 이러한 제제의 이미퀴모드가 피부에 국소적으로 도포될 경우 향상된 침투를 나타내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러한 제제는 이미퀴모드, 상기한 하나 이상의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 상기한 용매 시스템에 더하여 상기한 선택적인 부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임의의 제제가 선행기술의 알다라 제제와 비교하여 사실상 이미퀴모드의 증가된 피부 침투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9 가지의 상이한 제제가 제조되고 이미퀴모드의 피부 침투에 대하여 테스트되었다. 테스트된 제제 중 여덟 가지가 알다라 크림의 이미퀴모드의 침투와 비교하여 향상된 이미퀴모드의 피부 침투를 제공했다.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제 각각이 1% 이미퀴모드만을 포함한 반면, 테스트된 알다라 크림 제제는 5% 이미퀴모드를 포함했다. 테스트된 아홉 가지 제제 중 여덟 가지에서, 침투한 이미퀴모드의 % 도포 용량이 알다라 크림보다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여덟 가지 중 다섯 가지에서, 침투한 이미퀴모드의 % 도포 용량이 알다라 크림보다 적어도 5 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비록 테스트 제제가 알다라 크림의 단지 20%의 농도의 이미퀴모드를 포함했지만, 피부에 침투하는 것으로 밝혀진 이미퀴모드의 절대량은 알다라 크림으로부터 침투량보다 높았다.
따라서,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증가된 이미퀴모드의 피부 침투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이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용액을 포함하는 제제가 수득되고 피부에 국소적으로 도포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비제한적 실시예에서 더 설명된다.
실시예 1 - 개별적인 액체 부형제에서 이미퀴모드 포화 용해도
이미퀴모드의 용액을 아래 표 1에 나타나는 다양한 개별적인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했다. 과량의 이미퀴모드를 사용하여 용액을 제조하고, 일정한 교반하에 25℃에서 약 1 주 동안 인큐베이션(incubation)했다. 과량의 이미퀴모드를 원심분리 또는 여과로 제거했고, 투명한 상청액의 이미퀴모드의 농도를 HPLC-UV로 결정했다.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미퀴모드는 상이한 여러 종류의 순수한(neat) 액체 부형제에서 다양한 범위의 용해도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2 - 다양한 용매에서 다양한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에 의하여 매개되는 향상된 용해도
용매로서 N-메틸 피롤리돈(NMP) 또는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를 사용하여 단순 시스템에서의 다양한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의 가용화 효과를 평가했다. 과량의 이미퀴모드를 사용하여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용매 용액을 제조했고, 25℃, 40℃ 및 50℃에서 최대 12 주 동안 인큐베이션했다. 샘플을 최초, 4주 및 12주 간격으로 수거했다. 과량의 이미퀴모드를 원심분리 또는 여과로 제거했고, 투명한 상청액의 이미퀴모드의 농도를 HPLC-UV로 결정했다.
실시예 2A - NMP
5% 이미퀴모드, 용매 NMP 및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제제를 제조했다. 이러한 제제들의 성분이 표 2에 나타난다. 40℃에서 12 주 동안 인큐베이션 후, 25℃에서 각 제제에 용해된 이미퀴모드의 농도가 표 3에 나타난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표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NMP/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 용액의 상청액 중 이미퀴모드의 농도가 초기와 4 주 채취 시점 사이에 감소했다. 그러나, 이후 이미퀴모드 농도가 4주와 12 주의 채취 간격 사이에서 정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NMP에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을 혼입하여 제공되는 이미퀴모드 용해도 향상 정도가 표 4에 요약되는데, 이는 25℃에서 12 주 동안 보관한 후, NMP 단독에 용해된 이미퀴모드 용해도와 비교하여 NMP 및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제에서의 이미퀴모드 용해도 증가를 나타낸다. 데이터는 100% NMP에 용해된 이미퀴모드의 포화 용해도(0.17% w/w)에 대하여 계산한 것이다.
Figure pct00005
실시예 2B - DMSO
5% 이미퀴모드, 용매 DMSO 및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제제를 제조했다. 이러한 제제들의 성분이 표 5에 나타난다. 40℃에서 12 주 동안 인큐베이션 후, 상기한 바와 같이 결정된 각 제제에 용해된 이미퀴모드의 농도가 표 6에 나타난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표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DMSO/살리실산 및 DMSO/젠티스산의 조합은 다른 DMSO/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 조합보다 현저하게 더 큰 이미퀴모드 용해도를 나타냈고, 상기 용해도는 12 주의 연구에 걸쳐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DMSO에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을 혼입하여 제공되는 이미퀴모드 용해도 향상 정도가 표 7에 요약되고, 이는 25℃에서 12 주 동안 보관한 후, DMSO 단독에 용해된 이미퀴모드 용해도와 비교하여 DMSO 및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제에서의 이미퀴모드 용해도 증가를 나타낸다. 데이터는 100% DMSO에 용해된 이미퀴모드의 포화 용해도(0.09% w/w)에 대하여 계산된 것이다.
Figure pct00008
실시예 2A의 NMP/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 제제 및 실시예 2B의 DMSO/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 제제에서의 이미퀴모드의 초기 포화 용해도를 비교했고, 아래의 표 8에 나타난다. 25℃에서 12 주 동안 보관한 후 이러한 제제에서의 이미퀴모드의 포화 용해도가 아래의 표 9에 나타난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이 실시예의 연구는 본 발명의 용매와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이미퀴모드의 향상된 용해도를 제공하며, 25℃에서 12 주의 기간 동안 보관하여 결정한 바와 같이, 이미퀴모드의 향상된 용해도가 안정함을 입증한다.
실시예 3 - 상이한 여러 액체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 사용으로 인한 용매에서의 이미퀴모드 용해도 향상
실시예 1의 용해도 연구에 따라, 다양한 용매와 조합하여 네 가지의 표 10의 부형제를 액체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로서 사용했다. 테스트된 네 가지의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은 올레스-3 포스페이트(O-3P), 코코일 사르코신, 디메티콘 PEG-7 프탈레이트, 및 트리라우레스-4 포스페이트였다 (표 1). 가지각색의 극성 및 용해도의 단일 용매 시스템들을 용해도 향상제로서 네 가지의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과 함께 사용했다. 이소프로필 알코올은 이미퀴모드에 대하여 낮은 용해도를 가지는 극성이고 휘발성인 용매이다. NMP는 이미퀴모드에 대하여 다소 높은 용해도를 가지는 극성이고 비휘발성인 용매이다. 미리스틸 락테이트는 이미퀴모드에 대하여 NMP와 유사한 가용화 능력을 가지는 비교적 비극성이고 비휘발성인 용매이다.
과량의 이미퀴모드을 사용하여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과 용매의 용액을 제조하고, 일정한 교반하에 25℃에서 약 1주 동안 인큐베이션했다. 과량의 이미퀴모드를 원심분리 또는 여과로 제거했고, 투명한 상청액의 이미퀴모드의 농도를 HPLC-UV로 결정했다. 각 용액의 조성 및 이미퀴모드 용해도가 표 10에 나타난다.
Figure pct00011
표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용매와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의 조합물이 용매 및 액체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에서의 이미퀴모드의 개별적인 용해도의 합에 기초한 계산된 이상 용해도와 비교하여 현저한 이미퀴모드 용해도 증가를 제공했다. 이 데이터는 본 발명의 조합물 사용시의 예기치 않은 시너지적 이미퀴모드 가용화를 입증한다. 상기 데이터는 또한 NMP와 디메티콘 PEG-7 프탈레이트의 조합물 사용시 계산된 이상 용해도와 비교하여 포화 용해도 감소를 나타낸다. 이는 비록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로서 디메티콘 PEG-7 프탈레이트를 여러 용매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시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기는 하지만, NMP와 디메티콘 PEG-7 프탈레이트의 조합물이 이미퀴모드 용해에서 이러한 시너지를 발생시키기 않음을 제시한다.
실시예 4 -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용매 시스템에 의하여 매개되는 향상된 용해도
본질적으로 물이 없는 극성 용매 혼합물 및 예시적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인 올레스-3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제제의 이미퀴모드에 대한 가용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몇 가지 용매 혼합물을 제조했다.
과량의 이미퀴모드를 사용하여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용매 용액을 제조하고, 일정한 교반하에 25℃에서 약 1 주 동안 인큐베이션했다. 과량의 이미퀴모드를 원심분리 또는 여과로 제거했고 투명한 상청액의 이미퀴모드의 농도를 HPLC-UV로 결정했다. 용매의 블렌드 및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인 올레스-3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제제의 조성, 및 각 제제에서의 이미퀴모드 용해도가 표 11에 나타난다.
Figure pct00012
표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용매 블렌드와 대표적인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인 올레스-3 포스페이트의 조합물이, 블렌드의 용매들 각각 및 올레스-3 포스페이트에서의 이미퀴모드의 개별적인 용해도의 합계에 기초하는 계산된 이상 용해도와 비교하여 현저한 이미퀴모드 용해도 증가를 제공했다. 이 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무수 용매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이러한 조합물을 사용할 경우 이미퀴모드의 가용화에서 얻어지는 시너지를 입증한다.
실시예 5 - 이미퀴모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용액의 향상된 안정성
1% w/w 이미퀴모드를 포함하는, 선택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안정성을 평가했다. 평가된 제제의 조성이 표 12에 요약된다.
Figure pct00013
각 제제를 5/50°사이클링, 25°, 40°, 50°, 및 70°에서 최대 12 주 동안 유리 신틸레이션 바이알에서 최대 12 주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HPLC-UV를 사용하여 이 기간에 걸친 화학적, 물리적 안정성에 대하여 평가했다. 모든 보관 조건에 대하여 수득한 데이터를 대표하는 50° 인큐베이션에 대한 결과가 표 13에 나타난다. 표 13에 나타나는 데이터는 실시간 및 가속 조건에서의 인큐베이션에 따라 현저한 이미퀴모드 농도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음을 입증한다. 이 데이터는 조성물이 바람직한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을 보임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4
실시예 6 - 향상된 이미퀴모드 포화 용해도
바람직한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질적으로 물이 없는 극성 용매 조성물의 가용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몇 가지 용매 혼합물을 제조했다. 과량의 이미퀴모드를 사용하여 다수의 비수성 용매의 블렌드 및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고, 일정한 교반하에 25℃에서 1 주 동안 인큐베이션했다. 과량의 이미퀴모드를 원심분리 또는 여과로 제거했고, 투명한 상청액의 이미퀴모드의 농도를 HPLC-UV로 결정했다. 각 용액의 조성 및 각 용액에서의 이미퀴모드의 용해도가 표 14에 나타난다.
Figure pct00015
표 14의 데이터는 계산된 이상 용해도를 초과하는 향상이 제제 59A, 59B, 및 59C를 사용하여 달성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이상 용해도를 초과하는 향상은 제제 60A 및 60B 사용으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 데이터는 비록 용매들의 블렌드 사용시 수소 결합 형성제 화합물와 조합으로 특정 용매가 이미퀴모드 용해도를 증가시키기도 하지만, 이러한 용매 시스템이 실험적으로 최적화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실시예 7 - 이미퀴모드의 피부 침투의 향상
상용의 이미퀴모드 제품인 알다라 크림과 비교하여, 절제된 인간 피부에 국소 도포한 후의 본 발명의 아홉 가지 제제로부터 (14C)-이미퀴모드의 생체 외(in vitro) 경피 침투를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했다. 테스트된 제제의 조성이 표 15에 나타난다. 알다라 크림이 5% w/w 이미퀴모드를 포함하는 반면, 본 발명의 제제는 1% w/w 이미퀴모드를 포함했다.
Figure pct00016
대기 복부성형술(elective abdominoplasty) 후의 단일 제공자로부터, 채취된(dermatomed) 인간 피부를 얻었다. 명목(nominal) 1.0 μCi/용량으로 방사성표지된(radiolabeled) 이미퀴모드를 섞은, 셀당 명목 3.2 mg 용량에 해당하는 5 mg/㎠의 제제를 조직에 투여했다. 32℃에서 Bronaugh 동적 확산 셀(flow-through diffusion cell)에 채취된 조직을 장착하여 경피 흡수를 평가했다. 각 제제에 대하여 다섯 번 반복 수행했다. 신선한 리셉터(receptor) 유체인, 0.1% w/v 소듐 아자이드 및 1.5% w/v 올레스-20를 포함하는 PBS를, 1 ml/hr의 명목 유속으로 피부 아래에서 계속하여 펌핑하고 6-시간 간격으로 수집했다. 24-시간의 노출 기간 후, 피부 표면에 남아있는 잔류 제제를 반복 테이프 스트리핑(tape stripping)으로 제거했다 (3 스트립/셀). 이어서, 부드러운 벗김으로 표피를 진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했다. 액체 신틸레이션 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테이프-스트립, 표피, 진피, 및 리셉터 상(phase) 샘플의 방사능 양을 결정했다. 연구 말기에 용량 회수(책임)는 도포 용량의 87.6 내지 101 퍼센트 범위였다. 조직 침투 데이터(% 침투한 도포 용량 및 평균 침투량, ng/㎠)가 표 15의 아래 부분에 나타난다.
표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알다라 크림의 (14C)-이미퀴모드의 리셉터 상 수준, 즉 피부에 침투한 질량은, 도포 용량의 0.09±0.04 퍼센트(215±90 ng/㎠)였다. 1% 이미퀴모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아홉 가지 제제로부터의 조직 침투는 제제 2592-17B 및 2592-15A로부터 각각 도포 용량의 0.03 내지 1.64 퍼센트 (16.1 ng/㎠ 내지 820 ng/㎠의 이미퀴모드에 상당함) 범위였다. 따라서, 테스트된 9 제제 중 8가지로부터 더 높은 퍼센트의 이미퀴모드 도포 용량이 피부에 침투할 뿐만 아니라, 비록 본 발명의 제제에 포함된 이미퀴모드의 양이 알다라 크림 제제에 포함된 양의 20%에 불과하지만, 본 발명의9 가지의 제제 중 7 가지로부터 피부에 침투한 이미퀴모드의 절대량이 알다라 크림으로부터 피부에 침투량과 거의 같거나 더 높았다.
실시예 8 - 다중 양성자 주개를 가지는 이미퀴모드의 향상된 용해도
다수의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본질적으로 물이 없는 극성 용매 조성물의 가용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몇 가지 용매 혼합물을 제조했다. 과량의 이미퀴모드를 사용하여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용매 용액을 제조하고, 일정한 교반하에 25℃에서 1 주 동안 인큐베이션했다. 과량의 이미퀴모드를 원심분리 또는 여과로 제거했고, 투명한 상청액의 이미퀴모드의 농도를 HPLC-UV로 결정했다. 각 용액의 조성 및 각 용액에서의 이미퀴모드의 용해도가 표 16에 나타난다.
Figure pct00017
표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용해도 향상은 테스트된 본 발명의 4 가지 제제 중 3 가지에서 관찰되었다. 표 16의 데이터는 다중 수소 결합 형성제의 사용이 해당하는 개별적인 수소 결합 형성제와 비교하여 이미퀴모드의 용해도를 추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데이터는 올레스-3 포스페이트 및 살리실산과 같이 두 가지 수소 결합 형성제가 조합될 경우 시너지적 이미퀴모드 용해도 향상을 제시한다.
실시예 9 - 향상된 이미퀴모드 피부 침투
상용의 이미퀴모드 제품인 알다라 크림과 비교하여, 절제된 인간 피부에 국소 도포한 후의 본 발명의 아홉 가지 제제로부터 (14C)-이미퀴모드의 생체 외 경피 침투를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했다. 테스트된 제제의 조성이 표 17에 나타난다. 알다라 크림이 5% w/w 이미퀴모드를 포함하는 한편, 본 발명의 제제는 0.5 내지 1% w/w 이미퀴모드를 포함했다.
Figure pct00018
대기 복부성형술 후의 단일 제공자로부터, 채취된 인간 피부를 얻었다. 명목 1.0 μCi/용량으로 방사성표지된 이미퀴모드를 섞은, 셀당 명목 3.2 mg 용량에 해당하는 5 mg/㎠의 제제를 조직에 투여했다. 32℃에서 Bronaugh 동적 확산 셀에 채취된 조직을 장착하여 경피 흡수를 평가했다. 각 제제에 대해여 다섯 번 반복 수행했다. 신선한 리셉터 유체인, 0.1% w/v 소듐 아자이드와 1.5% w/v 올레스-20를 포함하는 PBS를 1 ml/hr의 명목 유속으로 피부 아래에서 계속하여 펌핑하고 6-시간 간격으로 수집했다. 24-시간의 노출 기간 후, 피부 표면에 남아있는 잔류 제제를 반복 테이프 스트리핑으로 제거했다 (3 스트립/셀). 이어서, 부드러운 벗김으로 표피를 진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했다. 액체 신틸레이션 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테이프-스트립, 표피, 진피, 및 리셉터 상 샘플의 방사능 양을 결정했다. 연구 말기에 용량 회수(책임)는 도포 용량의 82.7 내지 88.9 퍼센트 범위였다.
Figure pct00019
표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알다라 크림에서 나온 (14C)-이미퀴모드의 리셉터 상 수준, 즉 피부에 침투한 질량은 0.238(±0.04) 퍼센트인 도포 용량 (594+89 ng/㎠)였다. 0.5 또는 1% 이미퀴모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아홉 가지 제제로부터의 조직 침투는 도포 용량의 0.198 내지 20.2 퍼센트 범위였다. 피부에 침투한 이미퀴모드의 질량은 49.6 내지 5638 ng/㎠ 범위였다. 따라서, 테스트된 9 가지의 제제 중 6 가지로부터 더 많은 이미퀴모드의 도포 용량이 피부에 침투할 뿐만 아니라, 비록 본 발명의 제제에 포함된 이미퀴모드의 양이 선행기술의 알다라 크림 제제에 포함된 이미퀴모드 양의 10% 또는 20%에 불과할지라도, 본 발명의 9 가지의 제제 중 6 가지로부터 피부에 침투한 이미퀴모드의 절대량이 알다라 크림으로부터 피부에 침투한 양과 거의 같거나 더 높았다.
실시예 10 - 향상된 이미퀴모드의 용해도
다양한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본질적으로 물이 없는 극성 용매 조성물의 가용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몇 가지 용매 혼합물을 제조했다. 과량의 이미퀴모드를 사용하여 다수의 비수성 용매의 블렌드 및 여러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고, 일정한 교반하에 25℃에서 약 1 주 동안 인큐베이션했다. 과량의 이미퀴모드를 원심분리 또는 여과로 제거했고, 투명한 상청액의 이미퀴모드의 농도를 HPLC-UV로 결정했다. 각 용액의 조성 및 각 용액에서의 이미퀴모드의 용해도가 표 19에 나타난다.
Figure pct00020
표 19의 데이터는 상기 계산된 이상 용해도의 향상이 본 발명의 모든 제제로써 달성되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11 - 향상된 본 발명의 제제로부터의 이미퀴모드 전달
상용의 이미퀴모드 제품인 알다라 크림과 비교하여, 절제된 인간 피부에 국소 도포한 후의 본 발명의 아홉 가지 제제로부터 (14C)-이미퀴모드의 생체 외 경피 침투를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했다. 테스트된 제제의 조성 및 침투 데이터가 표 20에 나타난다. 알다라 크림이 5% w/w 이미퀴모드를 포함하는 반면, 본 발명의 제제는 0.5 내지 1.0% w/w 이미퀴모드를 포함했다.
대기 복부성형술 후의 단일 제공자로부터, 채취된 인간 피부를 얻었다. 명목 1.0 μCi/용량으로 방사성표지된 이미퀴모드를 섞은, 셀당 명목 3.2 mg 용량에 해당하는 5 mg/㎠의 제제를 조직에 투여했다. 32℃에서 Bronaugh 동적 확산 셀에 채취된 조직을 장착하여 경피 흡수를 평가했다. 각 제제에 대해여 다섯 번 반복 수행했다. 신선한 리셉터 유체인, 0.1% w/v 소듐 아자이드와 1.5% w/v 올레스-20를 포함하는 PBS를 1 ml/hr의 명목 유속으로 피부 아래에서 계속하여 펌핑하고 6-시간 간격으로 수집했다. 24-시간의 노출 기간 후, 피부 표면에 남아있는 잔류 제제를 반복 테이프 스트리핑으로 제거했다 (3 스트립/셀). 이어서, 부드러운 벗김으로 표피를 진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했다. 액체 신틸레이션 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테이프-스트립, 표피, 진피, 및 리셉터 상 샘플의 방사능 양을 결정했다. 연구 말기에 용량 회수(책임)는 도포 용량의 83.2 내지 98.6 퍼센트 범위였다.
Figure pct00021
표 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알다라 크림의 (14C)-이미퀴모드의 리셉터 상 수준은 134 ng/㎠에 해당하는, 도포 용량의 0.0536 퍼센트였다. (14C)-이미퀴모드의 조직 침투는 본 발명의 제제의 도포 용량의 0.023 내지 0.563(23.3 ng/㎠ 내지 493 ng/㎠의 이미퀴모드에 해당) 범위였다. 제제 2737-74B 및 2737-77A는 각각 도포 용량의 0.424 및 0.563 퍼센트(424 ng/㎠ 및 493 ng/㎠의 이미퀴모드에 해당)인 가장 높은 (14C)-이미퀴모드 침투량을 야기했다. 따라서, 테스트된 10 가지 제제 중 8 가지로부터 피부에 침투한 이미퀴모드의 도포 용량의 백분율이 더 높을 뿐만 아니라, 비록 본 발명의 제제에 포함된 이미퀴모드의 양이 알다라 크림 제제에 포함된 양의 10% 또는 20%에 불과할지라도, 본 발명의 10 가지의 제제 중 5 가지로부터 피부에 침투한 이미퀴모드의 절대량은 알다라 크림으로부터 피부에 침투량과 거의 같거나 더 높았다.
실시예 12 - 향상된 본 발명의 이미퀴모드 제제의 안정성
피부 침투 및 사전의 물리적 안정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두 제제인 2737-77A 및 2737-74B를 안정성 특징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샘플을 냉동/해동 사이클링(F/T), 5℃, 25℃, 40℃ 및 50℃에 두고, 최대 12 주 기간 동안에 관찰하고 평가했다. 제제 2737-77A 및 2737-74B에 대한 안정성 데이터가 표 21 및 22에 각각 요약된다.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표 21 및 2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제는 테스트한 모든 온도에서 12 주의 기간 동안 우수한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냈다. 40℃ 및 50℃의 가속 조건에서의 안정성 테스트는 12 주 보다 훨씬 긴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제제가 실온과 같은 저온에서 안정함을 나타낸다. 글리세린과 같은 폴리올의 존재는 시간에 따라 이미퀴모드의 침전물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제의 물리적 안정성의 향상을 나타낸다.
실시예 13 - 증가된 농도의 휘발성 용매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제의 향상된 용해도 및 안정성
제제에 증가한 양의 휘발성 성분을 첨가하는 것은, 문질러 바름(rub-in)의 용이성과 같은 피부 도포 요인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흔히 유용하다. 알코올, 예컨대 에탄올과 같은 휘발성 성분은 비폐색(unoccluded) 국소 도포 후 신속하게 휘발하며, 문질러 바름과 피부로의 흡수를 필요로 하는 잔류 비휘발성 물질의 양을 감소시킨다. 향상된 도포의 용이성은 환자의 수용 상태(patient compliance)를 개선할 수 있고 따라서 효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에탄올과 같은 휘발성 성분의 양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기초 제제를 선택하고 변형했다. 기초 제제 조성이 표 23에 나열되고, 시너지적 용해도 향상을 증명했으며, 물리적 안정성(25℃ 및 40℃에서 12 주 동안 침전물 없음) 및 매우 효과적인 피부 침투(알다라 크림보다 우수한 효율)를 필요로 했다.
Figure pct00024
테스트된 제제의 조성은 표 24에 나열되고, 2.2 내지 3.0% w/w 이미퀴모드 및 휘발성 성분으로서 34 내지 60% w/w 에탄올을 포함했다. 기초 제제보다 변형된 조성물에 1.3 내지 1.7 배 더 많은 이미퀴모드를 용해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되었고, 이로써 증가된 농도의 휘발성 성분의 존재로 인한 시너지적인 용해도 향상을 증명한다. 제제는 5℃, 25℃, 40℃ 및 50℃에 12 주 후 침전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또한 물리적으로 안정했다.
Figure pct00025
실시예 14 - 30% 초과의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제로부터 이미퀴모드의 유사한 피부 전달
상용의 이미퀴모드 제품인 알다라 크림과 비교하여, 절제된 인간 피부에 국소 도포한 후의 증가된 농도의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여덟 가지 제제로부터 (14C)-이미퀴모드의 생체 외 경피 침투를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했다. 선택 기준으로서 조성 변화 및 물리적 안정성을 이용하여 피부 침투 평가를 위하여 실시예 13의 몇 가지 제제를 선택했다. 테스트된 제제의 조성 및 침투 데이터가 표 25에 나타난다. 알다라 크림이 5% w/w 이미퀴모드를 포함하는 반면,본 발명의 제제는 2.5 내지 3.0% w/w 이미퀴모드를 포함했다.
대기 복부성형술 후의 단일 제공자로부터, 채취된 인간 피부를 얻었다. 명목 1.0 μCi/용량으로 방사성표지된 이미퀴모드를 섞은, 셀당 명목 3.2 mg 용량에 해당하는 5 mg/㎠의 제제를 조직에 투여했다. 32℃에서 Bronaugh 동적 확산 셀에 채취된 조직을 장착하여 경피 흡수를 평가했다. 각 제제에 대해여 여섯 번 반복 수행했다. 신선한 리셉터 유체인, 0.1% w/v 소듐 아자이드와 1.5% w/v 올레스-20를 포함하는 PBS를 1 ml/hr의 명목 유속으로 피부 아래에서 계속하여 펌핑하고 6-시간 간격으로 수집했다. 24-시간의 노출 기간 후, 피부 표면에 남아있는 잔류 제제를 반복 테이프 스트리핑으로 제거했다 (3 스트립/셀). 이어서, 부드러운 벗김으로 표피를 진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했다. 액체 신틸레이션 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테이프-스트립, 표피, 진피, 및 리셉터 상 샘플의 방사능 양을 결정했다. 연구 말기에 용량 회수(책임)는 도포 용량의 73.6 내지 83.5 퍼센터 범위였다.
Figure pct00026
표 2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알다라 크림의 (14C)-이미퀴모드의 리셉터 상 수준은 420 ng/㎠의 이미퀴모드에 해당하는, 도포 용량의0.168 퍼센트였다. (14C)-이미퀴모드의 조직 침투는 본 발명의 제제의 도포 용량의 0.105 내지 0.223 퍼센트(131 ng/㎠ 내지 279 ng/㎠의 이미퀴모드에 해당) 범위였다. 제제 2828-1C(3% 이미퀴모드) 및 2828-9A(2.5% 이미퀴모드)는 각각 도포 용량의 0.213 및 0.223 퍼센트(319 ng/㎠ 및 279 ng/㎠의 이미퀴모드에 해당)인 가장 높은 (14C)-이미퀴모드 침투 효율을 가졌다. 본 발명의 8 가지 제제 중 5 가지로부터의 전달 효율(퍼센트 도포 용량)이 알다라 크림보다 더 컸다.
실시예 15 - 낮은 수준의 실온에서 액체인 지방산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제
표 26에 나타나는 다음의 본 발명의 제제는 실온에서 액체인 하나 이상의 지방산을 낮은 수준으로 포함하도록 제조된다. 제제는 향상된 이미퀴모드 용해도 및 우수한 물리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27
본 명세서에 기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용도 및 적용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은 상기 명세서 및 다음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63)

  1. 물이 아닌 하나 이상의 극성 용매, 상기 하나 이상의 용매에 용해된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용매에 용해된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 그리고 선택적으로 물을 포함하고, 이때 30% w/w 이하의 물을 포함하는 용액.
  2. 제1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물이 없음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3. 제1항에 있어서, 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에 포함된 물의 농도가 상기 용액에 포함된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농도의 5 배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25% 미만의 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20% 미만의 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15% 미만의 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8. 제1항에 있어서, 낮은 수준의 실온에서 액체인 지방산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9. 제8항에 있어서, 실온에서 액체인 지방산이 실질적으로 없음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와 상기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의 몰비가 4:1 내지 1:4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은 알파-하이드록시산, 베타-하이드록시산, 알킬-사르코시네이트, 음이온성 페길레이티드(pegylated) 디메티콘 유도체, 음이온성 올레일 에테르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라우레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환형 산, 및 환형 산성 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비양성자성 용매, 환형 알코올, 단쇄 액체 알코올, 디올, 트리올, 에스테르, 에테르, 제약학적 오일,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용매에서 적어도 0.01%의 용해도를 가지는 고분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카르보머, 피롤리돈-함유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15. 제13항에 있어서, 용액 중 상기 고분자의 농도가 10% w/w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16.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용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17. 제1항에 있어서, 에멀젼의 외부상 또는 내부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18.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30% w/w의 휘발성 용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1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용매는 알코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20.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22. 물이 아닌 하나 이상의 극성 용매를 조합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용매에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 및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을 용액에서 이미퀴모드 또는 유사체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용해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액에 물을 30% 이하의 w/w 농도로 선택적으로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액 제조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물이 상기 용액에 조합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물이 상기 용액에 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에 조합되는 물의 농도가 용액에 조합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농도의 5 배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물이 상기 용액의 25% w/w 미만의 농도로 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물이 상기 용액의 20% w/w 미만의 농도로 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물이 상기 용액의 15% w/w 미만의 농도로 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방법.
  29. 제22항에 있어서, 실온에서 액체인 지방산이 상기 용액에서 12.5% w/w 이하의 농도로 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방법.
  30. 제22항에 있어서, 실온에서 액체인 지방산이 실질적으로 상기 용액에 조합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방법.
  3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 및 상기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은 4:1 내지 1:4의 몰비로 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방법.
  3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은 알파-하이드록시산, 베타-하이드록시산, 알킬-사르코시네이트, 음이온성 페길레이티드 디메티콘 유도체, 음이온성 올레일 에테르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라우레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환형 산, 및 환형 산성 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방법.
  3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성 용매는 비양성자성 용매, 환형 알코올, 단쇄 액체 알코올, 디올, 트리올, 에스테르, 에테르, 제약학적 오일,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방법.
  34. 제22항에 있어서, 적어도 0.01%의 용해도를 가지는 고분자가 용액에 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카르보머, 피롤리돈-함유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용액 중 상기 고분자의 농도가 10% w/w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방법.
  37. 제22항에 있어서, 물이 아닌 다수의 극성 용매가 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물이 아닌 적어도 하나의 극성 용매는 30%를 초과하는 농도의 휘발성 용매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용매는 알코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방법.
  40. 제22항에 있어서, 폴리올이 용액에 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제조 방법.
  42. 물이 아닌 하나 이상의 극성 용매, 상기 하나 이상의 용매에 용해된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용매에 용해된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 및 선택적으로 물을 포함하고, 이때30% w/w 이하의 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포함하는 제약학적 제제를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비양성자성 용매, 환형 알코올, 단쇄 액체 알코올, 디올, 트리올, 에스테르, 에테르, 제약학적 오일,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에 본질적으로 물이 없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중 물의 농도가 상기 용액에 포함된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농도의 5 배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중의 물의 농도가 25%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중의 물의 농도가 20%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중의 물의 농도가 15%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50.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낮은 수준의 실온에서 액체인 지방산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51.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에 실온에서 액체인 지방산이 실질적으로 없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52.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에서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와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의 몰비가 4:1 내지 1:4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5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결합 형성 화합물은 알파-하이드록시산, 베타-하이드록시산, 알킬-사르코시네이트, 음이온성 페길레이티드 디메티콘 유도체, 음이온성 올레일 에테르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라우레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환형 산, 및 환형 산성 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5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비양성자성 용매, 환형 알코올, 단쇄 액체 알코올, 디올, 트리올, 에스테르, 에테르, 제약학적 오일,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5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상기 하나 이상의 용매에서 적어도 0.01%의 용해도를 가지는 고분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카르보머, 피롤리돈-함유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중 상기 고분자의 농도가 10% w/w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58.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물이 아닌 다수의 용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59.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에멀젼의 외부상 또는 내부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60. 제5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용매가 용액에서 적어도 30% w/w 농도의 휘발성 용매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용매는 알코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62.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폴리올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퀴모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피부 침투를 증가시키는 방법.
KR1020107018105A 2008-01-15 2009-01-14 이미퀴모드 제제 KR201001170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0608P 2008-01-15 2008-01-15
US61/011,106 2008-0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077A true KR20100117077A (ko) 2010-11-02

Family

ID=4085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105A KR20100117077A (ko) 2008-01-15 2009-01-14 이미퀴모드 제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90182004A1 (ko)
EP (1) EP2237805A1 (ko)
JP (1) JP2011510001A (ko)
KR (1) KR20100117077A (ko)
CN (1) CN101909664A (ko)
AU (1) AU2009205700A1 (ko)
BR (1) BRPI0907191A2 (ko)
CA (1) CA2708203A1 (ko)
MX (1) MX2010007410A (ko)
RU (1) RU2010123618A (ko)
WO (1) WO2009091541A1 (ko)
ZA (1) ZA2010041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0368A1 (en) * 2008-08-18 2010-06-24 Gregory Jefferson J Methods of Treating Dermatological Disorders and Inducing Interferon Biosynthesis With Shorter Durations of Imiquimod Therapy
SI2378876T1 (sl) 2008-12-19 2019-05-31 Medicis Pharmaceutical Corporation Formulacije z nižjo dozirno jakostjo imikvimoda in kratki odmerni režimi za zdravljenje aktinične keratoze
WO2010088924A1 (en) * 2009-02-06 2010-08-12 Telormedix Sa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imidazoquinolin(amines) and derivatives thereof suitable for local administration
EA025993B1 (ru) 2009-07-13 2017-02-28 Медисис Фармасьютикал Корпорейшн Композиции с более низким содержанием имиквимода и короткие режимы дозирования для лечения остроконечных и перианальных бородавок
NZ610136A (en) * 2010-11-04 2015-06-26 442 Ventures Llc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skin conditions
US20180263925A1 (en) * 2014-12-03 2018-09-20 Rxi Pharmaceuticals Corporation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alopecia areata utilizing gene modulation approaches
KR101729236B1 (ko) * 2015-06-01 2017-04-21 (주)노터스생명과학 Tlr7 항진제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EP4167975A1 (en) * 2020-06-23 2023-04-26 Celista Pharmaceuticals Llc Imiquimod cocrystals
CN116942609A (zh) * 2021-11-05 2023-10-27 苏州百迈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咪喹莫特混悬液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120738B (zh) * 2022-07-20 2023-05-12 山东大学 一种咪喹莫特前药纳米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73534A (en) * 1983-11-18 1990-12-23 Riker Laboratories Inc 1h-imidazo(4,5-c)quinoline-4-amines,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certain such compounds
US5238944A (en) * 1988-12-15 1993-08-24 Riker Laboratories, Inc. Topical formulations and transdermal delivery systems containing 1-isobutyl-1H-imidazo[4,5-c]quinolin-4-amine
GB8928281D0 (en) * 1989-12-14 1990-02-21 Smith Kline French Lab Compounds
JPH10298181A (ja) * 1997-04-25 1998-11-10 Sumitomo Pharmaceut Co Ltd タイプ2ヘルパーt細胞選択的免疫応答抑制剤
AU776654B2 (en) * 1999-01-08 2004-09-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mucosal associated conditions with an immune response modifier
US20020058674A1 (en) * 1999-01-08 2002-05-16 Hedenstrom John 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a mucosal surface
US7091214B2 (en) * 2002-12-20 2006-08-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ryl substituted Imidazoquinolines
US20040143026A1 (en) * 2002-12-31 2004-07-22 Shah Kishore R. Bioadhesive hydrophilic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mammalian skin
US20070196453A1 (en) * 2004-06-07 2007-08-23 Jie Zhang Two or more non-volatile solvent-contai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rmal delivery of drugs
US20070264317A1 (en) * 2006-05-15 2007-11-15 Perrigo Israel Pharmaceuticals Ltd. Imiquimod cream formulation
WO2008118881A1 (en) * 2007-03-23 2008-10-02 Graceway Pharmaceuticals, Llc Method and packages to enhance safety when using imiquimod to treat children diagnosed with skin disor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08203A1 (en) 2009-07-23
CN101909664A (zh) 2010-12-08
JP2011510001A (ja) 2011-03-31
EP2237805A1 (en) 2010-10-13
MX2010007410A (es) 2011-02-25
WO2009091541A1 (en) 2009-07-23
ZA201004145B (en) 2011-02-23
BRPI0907191A2 (pt) 2015-07-14
AU2009205700A1 (en) 2009-07-23
RU2010123618A (ru) 2012-02-27
US20090182004A1 (en)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7077A (ko) 이미퀴모드 제제
JP5938497B2 (ja) 抗真菌医薬組成物
EP2131813B1 (en) Topical pharmaceutical formulation
JP5734479B2 (ja) ジクロフェナクの新規な非水性外用溶液およびそれを調製するためのプロセス
US20130202650A1 (en)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penetration enhancing agents
JP4542429B2 (ja) フェンタニル経皮外用貼付剤
MX2011008095A (es) La administracion transdermica del diclofenaco, la carbamazepina y la bencidamina.
JP5052558B2 (ja) ゲル軟膏
AU2010331761A1 (en) Composition of dexibuprofen transdermal hydrogel
JP4387639B2 (ja) 経皮吸収製剤
WO2016104889A1 (en) Composition for a self-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comprising dutasteride
US10028927B2 (en) Topical pharmaceutical formulation
JP4195178B2 (ja) 消炎鎮痛外用剤
EP0255485A2 (en) Transdermal compositions
KR101894891B1 (ko) 흡수가 증가된 덱시부프로펜 에멀젼 함유 겔 제형
JP5722364B2 (ja) 医薬組成物
KR100212969B1 (ko) 진통소염 외용 액제
JPH0517354A (ja) イソキサゾ−ル誘導体含有経皮吸収製剤
EP3355867A1 (fr) Mousse chimique non rincée comprenant de l'ivermectine
WO2003092704A1 (fr) Preparation externe de vidarabine a propriete systemique amelioree
JPH08283161A (ja) 鎮痛用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