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002A -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 - Google Patents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002A
KR20100116002A KR1020090034698A KR20090034698A KR20100116002A KR 20100116002 A KR20100116002 A KR 20100116002A KR 1020090034698 A KR1020090034698 A KR 1020090034698A KR 20090034698 A KR20090034698 A KR 20090034698A KR 20100116002 A KR20100116002 A KR 20100116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sensor
footrest
unit
preven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1896B1 (ko
Inventor
남승우
Original Assignee
남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승우 filed Critical 남승우
Priority to KR1020090034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896B1/ko
Publication of KR20100116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2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responsive to, or preventing, jamming by foreign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3Methods or algorithms therefor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사고 예방을 통하여 이용자들의 안전확보와 더불어 큰 개,보수 작업 없이 에스컬레이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부에 의해 순환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양측에 설치되어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핸드레일을 가지고 설치되는 난간과, 상기 난간의 하부에는 발판과 동일한 속도로 순환되는 핸드레일의 구동장치를 수용하는 내부패널과 스커트가드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에스컬레이터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이용자의 옷자락, 신발끈, 신체 또는 기타 물품이 발판과 스커트가드 사이에 끼여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이용자의 옷, 신발끈, 신체의 일부 또는 기타 물품이 발판과 스커트가드 사이에 끼이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인가받아 발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하여 위험인자를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에스컬레이터, 발판, 스커트가드, 안전사고, 예방, 방지

Description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THE ESCALATOR WHICH HAS AN ACCIDENT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스컬레이터의 발판과 스커트 가드 사이의 틈새 또는 발판의 이동이 마무리되는 끝단부에 형성된 틈새에 이용자의 옷자락이나 신발끈 등 기타 물품이 끼여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에스컬레이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발판을 구동시켜 사람을 연속적으로 승강시키는 장치로써, 엘리베이터나 무빙워크와 같이 유동인구가 많은 지하철이나 백화점, 공항 등에 설치되어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에스컬레이터는 발판과 스커트 가드의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통하여 이용자의 옷자락이나 신발끈 등 기타물품이 끼어져 중대한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 또한 특허(제 789485 호)를 등록받은 바 있으며, 이의 기술내용을 도 7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동부에 의하여 순환되는 발판(1)을 가지고 양측 상부에 핸드레일(2)과 난간(3)을 가지는 스커트가드(4)가 설치되는 에스컬레이터(5)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가드(4)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부 표면이 발판(1)과 스커트가드(4)의 사이에 노출되는 회전봉(6)과, 상기 스커트가드(4)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봉(6)과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회전봉(6)의 회전을 제어하는 디스크 브레이크(7)와,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7)가 작동되면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감지부(8)와, 상기 감지부(8)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발판과 스커트가드 사이에 이용자의 옷이나 신발 끈이 끼이면 회전봉이 디스크브레이크에 의하여 정지하면 감지부가 제어부로 인가하여 구동부로 하여금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함으로서 이용자의 옷이나 신발을 이탈시킨 후 다시 작동시키게 되는 작동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새로이 설치되는 에스컬레이터에는 스커트가드를 가공한 상태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으나, 기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의 경우에는 스커트가드를 이탈시킨 후 회전봉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가공하여 재장착하여야 하므로 적용이 쉽지 않게 된다.
또한, 기 설치된 에스컬레이터 내부에 회전봉과 디스크브레이크, 감지부 및 제어부를 설치하여야 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설치한 후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비하여 투자비용이 너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에스컬레이터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이용자의 옷자락과 신발 끈과 같은 기타 물품이 끼여 구동이 정지될 경우 에스컬레이터 정지로 인한 2차적인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상당히 높게 된다.
이는 에스컬레이터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정지할 경우 계속하여 움직이려고 하는 힘에 의하여 이용자들이 넘어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작동 안전성이 높은 특성에 의하여 이용자들이 핸드레일을 손으로 잡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넘어지는 것에 대하여 대비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에스컬레이터의 특성상 좁은 공간을 이용하여 높은 곳 또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므로 경사도가 심하기 때문에 급정지시 이용자들이 단순하게 넘어지는 것 외에 에스컬레이터의 아래 방향으로 굴러 떨어지게 되므로 더욱더 많은 대인 대물 손상을 야기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구동부에 의해 순환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양측에 설치되어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핸드레일을 가지고 설치되는 난간과, 상기 난간의 하부에는 발판과 동일한 속도로 순환되는 핸드레일의 구동장치를 수용하는 내부패널과 스커트가드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에스컬레이터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이용자의 옷자락, 신발끈, 신체 또는 기타 물품이 발판과 스커트가드 사이에 끼여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이용자의 옷, 신발끈, 신체의 일부 또는 기타 물품이 발판과 스커트가드 사이에 끼이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인가받아 발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위험인자를 제거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사고 예방을 통하여 이용자들의 안전확보와 더불어 큰 개,보수 작업 없이 에스컬레이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를 구성하는 발판과 스커트가드 사이의 틈새 또는 발판의 이동이 마무리되는 끝 부분에 형성된 틈새에 이용자의 옷자락이나 신발끈, 손가락 등 기타 물품이 끼임으로 인해 발생 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1차, 2차에 걸쳐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를 구성하여 에스컬레이터가 작동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감지(인식)함과 아울러 정지시 에스컬레이터의 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급격한 정지를 방지하므로 이용자들의 2차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은 물론, 에스컬레이터의 품질을 한층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인 안전사고 방지기능이 장착된 에스컬레이터를 도시한 각략 단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를 도시한 제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의 제어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의 동작 흐름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에스컬레이터(100)는 구동부에 의해 순환되는 발판(101)과, 상기 발판(101)의 양측에 설치되어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핸드레일(102)을 가 지는 난간(103)이 설치된다.
상기 난간(103)의 하부에는 발판(101)과 동일한 속도로 순환되는 핸드레일(102)의 구동장치를 수용하는 내부패널(104)과 스커트가드(105)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에스컬레이터(100)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이용자의 옷자락, 신발끈, 신체 또는 기타 물품이 발판(101)과 스커트가드(105) 사이에 끼여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안전장치(110)를 설치한다.
상기 안전장치(110)는 이용자의 옷, 신발끈, 신체의 일부 또는 기타 물품이 발판(101)과 스커트가드(105) 사이에 끼이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11)와, 상기 감지센서(111)의 감지정보를 인가받아 발판(10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2)로 크게 구성한다.
상기 감지센서(111)는 에스컬레이터(100)의 발판(101)과 스커트가드(105) 사이의 틈새 또는 발판(101)의 이동이 마무리되는 끝 부분에 형성된 틈새를 기준으로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감지센서(111)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발광부(113) 및 적외선을 검출하는 수광부(114)로 이루어져, 스스로 적외선을 복사하여 빛이 차단됨으로써 변화를 감지하는 능동적인 적외선센서를 채택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감지센서(111)는 사람의 열을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를 사용함으로서 이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옷, 옷자락, 신발 끈, 신체의 일부를 쉽게 인식하여 안전사고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적외선센서는 에스컬레이터(100)가 설치되는 규격에 따라 얼마든지 적외선의 파장 인식범위가 변화하기 때문에 상황에 맞도록 중간지점마다 추가로 적외선센서를 부착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한다.
또한 적외선센서는 에스컬레이터(100)의 발판(101)에 황색으로 도색 되는 안전마크의 폭만큼만 적외선 파장을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처음 부착되는 적외선센서는 에스컬레이터(100)의 발판(101)의 이동이 시작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설치된 스커트가드(105)의 밑 부분에 부착하여 반대편과 수평을 유지하며 일정한 거리만큼 구동부에 의해 이동하는 발판(101)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부착되는 적외선센서는 에스컬레이터(100)의 스커트가드(105) 부분이 경우에 따라 위로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기울어지는 구조나 아래로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기울어지는 구조가 시작되는 부분에 부착하고, 반대편과 수평을 유지하며 일정한 거리만큼 구동부에 의해 이동하는 발판(101)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추가로 부착되는 적외선센서는 에스컬레이터(100)의 스커트가드(105) 부분이 위, 아래로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기울어지는 구조에서 다시 수평으로 형성되는 스커트가드(105) 부분의 양 측면과 반대편에 수평을 유지하며 일정한 거리만큼 구동부에 의해 이동하는 발판(101)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부착되는 적외선센서는 발판(101)의 이동이 마무리되는 끝 부분에 형성된 틈새 부분을 기준으로 스커트가드(105)의 양 측면과 반대편에 수평을 유 지하며 일정한 거리만큼 구동부에 의해 이동하는 발판(101)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즉, 감지센서(111)는 에스컬레이터(100)의 시작위치(SA) 시작점(S)과 끝점(E)에 설치하고, 에스컬레이터(100)의 경사위치(MA) 시작점(S1)과 끝점(E1)에 설치하고, 에스컬레이터(100)의 종료위치(EA) 시작점(S2)과 끝점(E2) 및 상승부 끝점(E2) 양측에 발광부(113)와 수광부(114)가 대향 되게 설치하고 맞은편 위치에도 동일하게 설치한다.
물론, 상기 감지센서(111)는 한 구간에 한 쌍으로 설치하여 발판(101)에 근접한 인너센서(115)와 스커트가드(105)에 근접한 아웃센서(116)로 구성하여 인너센서(115)에 의하여 이상감지시 제어부(112)는 경고와 함께 에스컬레이터(100)의 속도를 줄이도록 하고, 아웃센서(116)에 이상감지시에는 제어부(112)는 에스컬레이터(100)를 정지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12)는 감지센서(111)로부터 위험인자의 정보를 인가받는 수신부(117)와 수신된 정보를 주처리부(118)의 저장정보와 비교하여 인너센서(115) 또는 아웃센서(116)로부터 입력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119)를 구비한다.
상기 비교판단부(119)의 판단정보를 토대로 이용자 또는 에스컬레이터(100)관리자에게 음성 또는 시각적으로 위험상황임을 알려주는 경고부(120)와, 수신된 정보에 따라 에스컬레이터(100)의 속도를 낮추거나 정지시켜 위험인자를 해소하기 위하여 에스컬레이드(100) 구동수단을 완전하게 정지시키는 구동제어부(121)로 구성한다.
물론, 상기 비교판단부(119)에 의하여 위험인자 감지시 에스컬레이터(10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무선상으로 정보를 인가시켜 신속하게 대처하여 위험인자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송부(12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100)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에스컬레이터(100)가 작동하는 과정에서는 에스컬레이터(100)의 시작위치(SA)와 경사위치(MA) 및 종료위치(EA)의 시작점(S,S1,S2)과 끝점(E, E1, E2) 사이 및 상승부 및 하강부 끝점(E2) 양측에 발광부(113)와 수광부(114)를 가지고, 동일한 위치에 인너센서(115)와 아웃센서(116)로 한 쌍으로 구성되게 설치되는 감지센서(111)가 작동하여 이용자의 옷자락이나 신발끈 또는 기타 물품이 감지센서(111)의 감지영역에 들어오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감지작동 과정에서 이용자들의 옷자락이나 신발끈 또는 기타 물품이 감지센서(111)에 근접하거나 발판(101)과 스커트가드(105) 사이로 진입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12)로 인가하고 제어부(112)에서는 에스컬레이터(100)를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안전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즉, 발판(101)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감지센서(111) 중 인너센서(115)의 발광부(113)와 수광부(114)를 포함하는 적외선 센서부(10)에 옷자락이나 신발끈 또는 기타 물품이 진입하면 발광 및 수광상태가 정지되므로 감지가 되고,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112)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111)의 감지정보는 제어부(112)를 구성하는 수신부(117)를 통하여 인가받게 되고, 인가된 정보는 주처리부(118)에 기 설정된 정보(데이터베이스 등)를 토대로 비교판단부(119)에 의하여 입력되는 정보가 인너센서(115)의 감지인지 아웃센서(116)의 감지인지 판단한 후 경고부(120)와 구동제어부(121)로 신호를 보내어 경고조치와 에스컬레이터(100)의 구동수단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발판(101)과 근접한 위치에 있는 인너센서(115)에 의하여 옷자락이나 신발끈 또는 기타 물품이 감지된 경우에는 이를 인식, 판단하여 경고부(120)를 통하여 음성 또는 시각적으로 위험상황임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데, 이는 스피커를 통한 안내 멘트 또는 경광램프 작동을 통한 인지 등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동시에 구동제어부(121)는 에스컬레이터(100)를 움직이는 구동수단의 속도를 줄여 신속하게 위험인자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경고와 더불어 에스컬레이터(100)의 속도를 줄여 위험인자가 해소된 경우에는 다시 정상적인 속도로 복귀하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인너센서(115)의 감지로 경고와 동시에 속도를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연이어 스커트가드(105)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아웃센서(116)에 의하여 옷자락이나 신발끈 또는 기타 물품이 감지된 경우에는 다시 경고부(120)를 통하여 경고함과 동시에 속도가 줄어든 에스컬레이터(100)를 안전하게 정지시킨 후 관리자 또는 이용자에 의하여 위험인자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인너센서(115) 또는 아웃센서(116)에 의하여 이물질을 감지하여 경고부(120)를 통하여 음성 또는 시각적으로 경고하고 구동제어부(121)로 하여금 에스컬레이터(100)의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시킴과 동시에 전송부(122)를 통하여 관 리자에게 무선으로 이를 알려줌으로서 관리자가 에스컬레이터(100) 근처에 없더라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신설되는 에스컬레이터는 물론 기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에도 큰 변화없이 용이하게 설치가능하고, 설치 후 관리 또는 위험인자 감지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위험인자 발생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되므로 에스컬레이터 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대폭 줄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인 안전사고 방지기능이 장착된 에스컬레이터를 도시한 각략 단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를 도시한 제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의 제어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의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전사고 방지기능이 장착된 에스컬레이터에 감지센서가 장착된 상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전사고 방지기능이 장착된 에스컬레이터에 설치된 감지센서의 발췌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전사고 방지기능이 장착된 에스컬레이터의 상승부 끝단에 설치된 감지센서의 발췌도
도 8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에스컬레이터
101; 발판
105; 스커트가드
110; 안전장치
111; 감지센서
112; 제어부
113; 발광부
114; 수광부
115; 인너센서
116; 아웃센서

Claims (5)

  1. 구동부에 의해 순환되는 발판(101)과;
    상기 발판(101)의 양측에 설치되어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핸드레일(102)을 가지고 설치되는 난간(103)과;
    상기 난간(103)의 하부에는 발판(101)과 동일한 속도로 순환되는 핸드레일(102)의 구동장치를 수용하는 내부패널(104)과 스커트가드(105)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에스컬레이터(100)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이용자의 옷자락, 신발끈, 신체 또는 기타 물품이 발판(101)과 스커트가드(105) 사이에 끼여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110)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110)는 이용자의 옷, 신발끈, 신체의 일부 또는 기타 이물질이 발판(101)과 스커트가드(105) 사이에 끼이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11)와;
    상기 감지센서(111)의 감지정보를 인가받아 발판(10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2)로 구성하여 위험인자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111)는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발광부(113) 및 적외선을 검출하는 수광부(114)로 이루어져 스스로 적외선을 복사하여 빛이 차단됨으로써 변화를 감지하는 능동적인 적외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2)는 감지센서(111)로부터 위험인자의 정보를 인가받는 수신부(117)와;
    수신된 정보를 주처리부(118)의 저장정보와 비교하여 인너센서(115) 또는 아웃센서(116)로부터 입력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119)와;
    상기 비교판단부(119)의 판단정보를 토대로 음성 또는 시각적으로 위험상황임을 알려주는 경고부(120)와;
    수신된 정보에 따라 에스컬레이터(100)의 속도를 낮추거나 정지시켜 위험인자를 해소할 수 있도록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121)와;
    상기 비교판단부(119)에 의하여 위험인자 감지시 관리자에게 무선상으로 정보를 인가시켜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송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111)는 에스컬레이터(100)의 시작위치(SA) 시작점(S)과 끝점(E)과;
    에스컬레이터(100)의 경사위치(MA) 시작점(S1)과 끝점(E1)과;
    에스컬레이터(100)의 종료위치(EA) 시작점(S2)과 끝점(E2)의 맞은편 양측 및;
    상승부 및 하강부 끝점(E2) 양측에 동일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111)는 한 구간에 발판(101)에 근접한 인너센서(115)와;
    스커트가드(105)에 근접한 아웃센서(116)로 구성되는 한 쌍으로 설치하여;
    상기 인너센서(115)에 의하여 이상감지시 제어부(112)는 경고와 함께 에스컬레이터(100)의 속도를 줄이고;
    상기 아웃센서(116)에 이상감지시에는 제어부(112)는 에스컬레이터(100)를 정지하여 대처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
KR1020090034698A 2009-04-21 2009-04-21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 KR101121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698A KR101121896B1 (ko) 2009-04-21 2009-04-21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698A KR101121896B1 (ko) 2009-04-21 2009-04-21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002A true KR20100116002A (ko) 2010-10-29
KR101121896B1 KR101121896B1 (ko) 2012-03-19

Family

ID=43134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698A KR101121896B1 (ko) 2009-04-21 2009-04-21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8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3182A (ko) * 2017-06-05 2018-12-13 송종태 에스컬레이터 스커트가드 끼임발생 검출장치
US10259685B2 (en) 2015-08-26 2019-04-16 Otis Elevator Company Conveyor device
CN109850736A (zh) * 2019-04-04 2019-06-07 陈鹏 一种基于物联网的集中式自动扶梯安全管理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5163A (ja) * 1997-03-25 1998-10-06 Hitachi Ltd エスカレータ制御装置
JP2003341970A (ja) * 2002-05-29 2003-12-03 Toshiba Elevator Co Ltd コンベア装置
JP4967672B2 (ja) * 2007-01-16 2012-07-04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9685B2 (en) 2015-08-26 2019-04-16 Otis Elevator Company Conveyor device
KR20180133182A (ko) * 2017-06-05 2018-12-13 송종태 에스컬레이터 스커트가드 끼임발생 검출장치
CN109850736A (zh) * 2019-04-04 2019-06-07 陈鹏 一种基于物联网的集中式自动扶梯安全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1896B1 (ko) 2012-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5427B2 (en) Elevator with a safety arrangement and method for creating a safe working space i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shaft
JP2013052986A (ja) 電子化エレベータ
KR101622825B1 (ko) 무게감지센서 및 변속수단을 구비한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운행시스템
US2019004782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transport device, namely an escalator or a moving walkway
KR101121896B1 (ko)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
JP6066774B2 (ja) 乗客コンベア
JP2014169176A (ja) 乗客コンベア
JP5683993B2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2015051836A (ja) 乗客コンベア
JP5259676B2 (ja) 乗客コンベア
JP2007302363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5567064B2 (ja) 乗客コンベアの乗客カウント装置
EP0801021A2 (en) Safety apparatus for a passenger conveyor
KR101324093B1 (ko)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JP2012236654A (ja)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JP7279331B2 (ja) 利用者に適した運転を実施するエスカレーターシステム
JP6610820B1 (ja) 乗客検知センサーを具える乗客コンベア
KR100789485B1 (ko) 안전사고 방지용 에스컬레이터
KR102308850B1 (ko)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의 안전운행 제어장치
JP5388055B2 (ja) 乗客コンベア
CN209815462U (zh) 一种扶梯的安全监控系统
KR20120037765A (ko)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장치
JP5859097B1 (ja) 乗客コンベア
JP5847222B2 (ja) 乗客コンベア装置
JP2009091051A (ja) エスカレータ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