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333A -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 - Google Patents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333A
KR20100114333A KR1020090032821A KR20090032821A KR20100114333A KR 20100114333 A KR20100114333 A KR 20100114333A KR 1020090032821 A KR1020090032821 A KR 1020090032821A KR 20090032821 A KR20090032821 A KR 20090032821A KR 20100114333 A KR20100114333 A KR 20100114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strogen
composition
menopaus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7608B1 (ko
Inventor
김재수
곽보연
이권택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주)내츄럴엔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내츄럴엔도텍 filed Critical (주)내츄럴엔도텍
Priority to KR1020090032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608B1/ko
Priority to PCT/KR2010/002349 priority patent/WO2010120133A2/ko
Publication of KR20100114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7Lilium, e.g. tiger lily or Easter l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9Polygalaceae (Milkwor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합, 벌사상자, 원지 및 상백피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최소 1종 이상 선택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에스트로겐 길항 및 항진성을 나타내어 안전한 식물성에스트로겐으로서의 활성을 보여, 갱년기 또는 폐경기에 나타나는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다양한 증상을 완화 또는 예방할 수 있고, 에스트로겐 길항제로 작용함으로써, 종래 호르몬 대체 요법의 문제점을 야기 시키지 않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종래로부터 약제로 사용되고 있는 천연물이기 때문에 인체에 부작용이 극히 적어, 약제학적 조성물, 기능성 식품(nutraceutical)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백합, 원지, 벌사상자, 상백피, 식물성에스트로겐, 폐경기 갱년기 증상

Description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Phytoestrog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Climacteric or Menopausal Syndrome}
본 발명은 백합, 벌사상자, 원지 및 상백피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최소 1종 이상 선택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에스트로겐은 난소 내의 난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서, 생식기를 발육시키고 그 기능을 나타내도록 하여 제 2차 성징을 발달시키며 자궁 발육·내막 증식, 젖샘 발육 또는 규칙적 월경 등을 촉진한다. 에스트로겐은 난소 이외에도 태반을 비롯하여 부신피질이나 정소로부터 소량 분비되는데, 에스트론, 에스트라디올 및 인체에서 볼 수 있는 에스트리올 등 3종류의 스테로이드가 알려져 있다.
폐경 전의 에스트라디올/에스트론 비율은 일반적으로 1 보다 크다(3). 폐경 후에는 부신 안드로스테네디온의 전환으로부터 생기는 에스트론이 가장 많은 에스트로겐이 된다.
에스트로겐의 보다 복잡한 작용으로는 2-히드록시화를 통한 대사 경로가 있 는데, 이를 통해 카테콜레스테로겐이 형성된다. 이 과정은 말초 조직보다는 뇌와 같은 중추 신경계에서 훨씬 중요하다. 에스트로겐은 카테콜아민 대사를 변경시켜 그 효과를 낼 수 있다(1). 카테콜아민은 아드레날린의 전구체인 도파민 수용체, 알파 1-아드레날린 수용체 및 세로토닌 수용체와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또한, 에스트로겐의 히드록시 유도체들은 다른 작용을 한다. 예컨대, 4-히드록시 에스트로겐은 에스트로겐 작용을 하나, 2-히드록시 에스트로겐은 그렇지 않다. 그러나, 에스트라디올의 2-히드록시 유도체는 에스트로겐 작용뿐만 아니라, 카테콜아민 작용도 한다(1). 이것은 에스트로겐이 중추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부분적으로 설명한다.
에스트로겐의 주요 생리 작용은 유선, 자궁, 난소를 포함한 생식 조직의 성장, 분화 및 작용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4). 에스트로겐은 자궁 내막, 자궁 근육, 질 및 요도 상피의 성장을 자극한다. 또한, 생식기의 혈관 흐름을 원활히 하고, 자궁선 분비를 증가시키며, 프로게스테론과 황체형성 호르몬 수용체의 발현을 유도한다. 에스트로겐은 여성 생식 기관과 제 2차 성징 발현 외에도, 골격 성장과 발달, 여성의 지방 분배, 지질 대사 등에 영향을 준다. 또한, 피부와 콜라겐 조직, 뉴런, 심혈관계 등에 작용한다.
에스트로겐이 결핍되면, 혈관 운동 불안정으로 인하여 일과성 열감과 같은 증상이 일어나며, 장기적으로는 비뇨 생식기의 퇴화, 골다공증, 치아 손상, 동맥경화증, 관상 심장질환 등이 일어나고, 치매의 위험이 있다(5-6).
폐경기 이후, 여성들은 난소 기능이 저하되면서 에스트로겐의 분비 부족으로 인한 안면홍조, 우울증 등의 각종 폐경기 증상을 경험하는데, 폐경기 이후 에스트로겐의 생성이 줄어든 여성의 체내에 인위적으로 에스트로겐을 투여함으로써 폐경기 증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호르몬 대체 요법이다.
폐경기 여성들에게 에스트로겐을 투여하면, 혈관 운동과 비뇨 생식기 질환을 덜어주고 골다공증 예방과 관리가 가능하며,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5).
그러나, 이러한 호르몬 대체 요법은 암 유발 유전자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유방암 및 자궁암 등의 발병 위험을 높일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요컨대, 에스트로겐은 나이가 듦에 따라 분비량이 적어지고 그 분비 패턴의 변화는 노화의 추세와 직접적인 상관성을 지니며, 호르몬 대체제의 복용을 통해 전반적인 폐경기 증상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지만 기존의 호르몬 대체제는 부작용이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폐경기 여성에 대한 호르몬 대체 요법에 사용되는 에스트로겐 대체제의 효능을 갖는 식물성에스트로겐을 천연물(natural source)로부터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백합, 벌사상자, 원지 또는 상백피로부터 유래된 추출물이 우수한 식물성 에스트로겐 및 항 에스트로겐 활성을 보여, 여성의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 또는 예방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스트로겐-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백합(Lilium longiflorum), 벌사상자(Cnidium monieri (L). Cuss ), 원지(Polygala tenuifolia Willdenow) 및 상백피(Morus alba)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최소 1종 이상 선택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 겐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백합(Lilium longiflorum), 벌사상자(Cnidium monieri (L). Cuss ), 원지(Polygala tenuifolia Willdenow) 및 상백피(Morus alba)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최소 1종 이상 선택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스트로겐-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폐경기 여성에 대한 호르몬 대체 요법에 사용되는 에스트로겐 대체제의 효능을 갖는 식물성에스트로겐을 천연물(natural source)로부터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백합, 벌사상자, 원지 또는 상백피로부터 유래된 추출물이 우수한 식물성에스트로겐(에스트로겐 항진 및 길항 효과) 활성을 보여, 여성의 폐경기 또는 갱년기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 또는 예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은 단일 유효성분으로서 백합, 벌사상자, 원지 또는 상백피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백합은 류큐 원산이고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참나리의 비늘줄기를 건조하여 사용한다. 백합은 진해, 최면, 항 피로 작용, 지연형 과민반응 억제 또는 항 위궤양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벌사상자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벌사상자(Cnidium monieri (L). Cuss) 및 동속식물의 과실이다. 벌사상자에는 정유가 1.3% 함유되어 있고 정유의 주성분은 카딘(cadinene) 이고, 다른 주요성분들은 엘-피넨(l-pinene), 엘-캄펜(l-camphene), 보르네올 이소발레릭 에스테르(borneol isovaleric ester), 이소보르네올(isoborneol), 오스톨(osthole), 에덜틴(Edultin(cnidimine)), 이소핌피넬린(isopimpinellin) 또는 베르갑텐(bergapten) 등이 포함되어 있다. 벌사상자는 복통, 파상풍, 채물중독, 치통, 통변, 백적대하증, 관절염, 항진균 또는 구충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으로서, 원지는 원지과(Polygalaceae)에 속하는 원지(Polygala tenuifolia Willdenow)의 뿌리(Polygalae Radix) 추출물을 이용하며, 주성분으로 사포닌인 테누이게닌 A(tenuigenin A) 또는 테누이게닌 B(tenuigenin B)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에 지방유, 폴리갈리톨(polygalitol), 온시신(onsicin) 또는 수지 등을 함유하며, 안심효과, 거담작용, 혈압강하작용 또는 항균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백피는 상과(Moraceae)에 속한 낙엽교목인 뽕나무 Morus alba L. 및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껍질을 건조한 것으로, 주요성분으로 베투린산(betulinic acid), 디히드로모린(dihydromorin), 디히드로카엠프페롤(dihydrokaempferol), A-아미린(A-Amyrin), 아데닌(Adenine), 베타인(Betaine) 및 펙틴(Pectin) 등을 가지며, 이뇨작용, 혈압강하작용, 심박억제, 자율운동억제, 진정작용, 진통, 체온하강 또는 항염증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 추출온도 70℃ 내지 120℃에서 물, 추출온도 0℃ 내지 50℃에서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또는 (g)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적합한 양은 백합, 벌사상자, 원지 또는 상백피 건조 중량의 1-20 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배이다.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상기의 추출용매 처리 이후에 추가적인 정제 과정을 거쳐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백합, 벌사상자, 원지 및 상백피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루 20 mg에서 1500 mg을 섭취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각 생약 추출물을 0.5-99 중량%로 포함한다. 백합, 원지 또는 상백피 추출물은 일일섭취량이 5 mg 내지 500 mg인 경우에, 그리고 벌사상자 추출물은 1.25 mg 내지 250 mg인 경우에 에스트로겐 활성 및 항에스트로겐 활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은 폐경기 여성에게서 호르몬 생산의 감소로 인하여 발생하는 증상을 의미하고,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은 일반적으로, 안면홍조, 발한, 수면 중 발한, 피부 건조, 질 건조증, 질 위축, 하부 요도 위축, 성교 통, 질염, 방광염, 배뇨통, 급뇨, 집중장애, 단기 기억장애, 불안, 신경과민, 기억력 감소, 성욕 감퇴, 근육통, 관절통 또는 골다공증 등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질환인 에스트로겐-의존성 질환은 유방암 및 자궁암 등과 같은 에스트로겐-의존성 암이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백합 추출물, 벌사상자 추출물, 원지 추출물 또는 상백피 추출물은 에스트로겐이 부족한 상태에서는 에스트로겐 활성을 보여, 식물성에스트로겐으로 이용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종래 호르몬 대체 요법의 문제점인 유방암 및 자궁암 등의 부작용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기능성 식품(nutraceutical)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술한 본 발명 유효성분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본 발명 유효성분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경비 분사, 설하 분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또는 설하 분사로 투여하는 것이면, 가장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50 내지 1000 ㎎/day(체중 60kg 기준) 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상술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물, 대추 추출물, 감초 추출물, 속단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당귀 추출물 또는 이소플라본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에스트로겐이 없는 상태에서 에스트로겐활성을 보이고, 에스트로겐이 생리적 수준 또는 그 이상 존재할 때는 효과적으로 그 작용을 차단하며, 종래로부터 약제로 사용되고 있는 천연물인 백합, 벌사상자, 원지 또는 상백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인체에 부작용이 화학적 합성 의약 보다 극히 적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백합, 벌사상자, 원지 및 상백피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최소 1종 이상 선택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성에스트로겐의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에스트로겐 활성 및 길항작용을 보여 안전한 식물성에스트로겐으로서의 활성을 보여, 갱년기 또는 폐경기에 나타나는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다양한 증상을 완화 또는 예방할 수 있고, 에스트로겐 길항제로 작용함으로써, 종래 호르몬 대체 요법의 문제점을 야기 시키지 않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종래로부터 약제로 사용되고 있는 천연물이기 때문에 인체에 부작용이 극히 적어, 약제학적 조성물, 기능성 식품(nutraceutical)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추출물의 제조
천연 생약재인 백합(Lilium longiflorum), 사상자(Torilis japonica Decandolle), 원지(Polygala tenuifolia Willdenow) 또는 상백피(Morus alba)를 각각 10 배액의 물로 95-105℃의 온도에서 6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 하면서 추출하여 여과한 다음 건조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생약재는 경동시장으로부터 구입하여 이용하였다.
실시예 2: 에스트로겐 및 항에스트로겐 활성 측정
본 발명의 추출물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에스트로겐 활성(Estrogenicity)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인 에스트로겐에 반응하는 유방암세포주인 MCF-7 세포를 이용하여 in vitro 시험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MCF-7 세포는 에스트로겐에 의해 세포의 증식이 촉진되고 반대로 이 조건에 에스트로겐 길항 제(antagonist)를 투여하면 세포의 증식이 억제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에서는 MCF-7 세포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백합, 원지, 사상자 또는 상백피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과 항에스트로겐(antiestrogen) 효과를 확인하였다.
MCF-7 세포주를 10% 우태아 혈청(FBS)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RPMI1640(phenol red free, PAA Austria)배지에서 계대하여 유지하였다.
에스트로겐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10% 활성탄 처리한 FBS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RPMI1640(phenol red free, PAA Austria) 배지조건의 5 x 103 세포액을 분주하고, 추출물 시료를 0.0625, 0.25, 1 또는 4 ㎍/mL 농도로 첨가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항에스트로겐(antiestrogenic)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대조군과 비교군으로 4-히드록시 타목시펜(Sigma)처리군(0.4 ㎍/mL) 및 시료 처리군(추출물 0.0625, 0.25, 1, 또는 4 ㎍/mL 농도) 각각에 에스트라디올(estradiol, E2, Sigma)을 9 x 10-9 M을 처리하고 7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5 mg/mL의 MTT(Sigma) 10 uL를 처리하고 4시간 배양한 다음 1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이에 100 ㎕의 DMSO를 처리하여 세포와 색소를 용해시키고 BioRad microplate Reader550 기기를 이용하여 흡광도로 세포의 증식을 측정하였다.
백합, 벌사상자, 원지 또는 상백피 각각의 추출물에 대한 세포 증식 실험결 과는 도 1 내지 도 4에 각각 나타내었다.
시험예 1: 에스트로겐 활성 평가
백합, 원지, 사상자 및 상백피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은 에스트라디올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100으로 하여 그 상대적인 값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에스트로겐 활성(Relative Estrogenic Activity, REA(%))
=(추출물 시료 처리군 흡광도-대조군 흡광도)/(E2 처리군 흡광도-대조군 흡광도) x 100
백합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
본 발명의 백합 추출물의 농도별 에스트로겐 활성 평균값은 다음 표 1에 정리하였다:
실험군 에스트라디올
(E2, 9x10-9 M)
백합 추출물
(0.0625 ㎍/mL)
백합 추출물
(0.25 ㎍/mL)
백합 추출물
(1 ㎍/mL)
백합 추출물
(4 ㎍/mL)
REA(%) 평균 100 -3.43 5.48 21.39 40.26
표준편차 7.43 2.47 2.28 1.95 2.36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백합 추출물은 최소농도인 0.0625 ㎍/mL에서는 대조군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에스트로겐 활성이 증가하여 4 ㎍/ml 농도에서는 에스트로겐인 에스트라디올의 40.26% 수준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보였다.
벌사상자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
본 발명의 벌사상자 추출물의 농도별 에스트로겐 활성 평균값은 다음 표 2에 정리하였다:
실험군 에스트라디올
(E2, 9x10-9 M)
벌사상자 추출물
(0.0625 ㎍/mL)
벌사상자 추출물
(0.25 ㎍/mL)
벌사상자 추출물
(1 ㎍/mL)
벌사상자 추출물
(4 ㎍/mL)
REA(%) 평균 100 29.44 32.08 39.77 34.52
표준편차 7.43 4.57 8.56 41.65 1.32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벌사상자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에스트로겐 활성이 증가하여 4 ㎍/ml 농도에서는 에스트라디올의 34.52% 수준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보였다
원지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
본 발명의 원지 추출물의 농도별 에스트로겐 활성 평균값은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에스트라디올
(E2, 9x10-9 M)
원지 추출물
(0.0625 ㎍/mL)
원지 추출물
(0.25 ㎍/mL)
원지 추출물
(1 ㎍/mL)
원지 추출물
(4 ㎍/mL)
REA(%) 평균 100 -31.35 7.20 38.28 49.9
표준편차 7.43 16.27 0.41 1.59 12.01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원지 추출물은 최소농도인 0.0625 ㎍/mL에서는 대조군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에스트로겐 활성이 증가하여 4 ㎍/ml 농도에서는 가장 강력한 에스트로겐인 에스트라디올의 49.90% 수준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보였다.
상백피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
본 발명의 상백피 추출물의 농도별 에스트로겐 활성 평균값은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에스트라디올
(E2, 9x10-9 M)
상백피 추출물
(0.0625 ㎍/mL)
상백피 추출물
(0.25 ㎍/mL)
상백피 추출물
(1 ㎍/mL)
상백피 추출물
(4 ㎍/mL)
REA(%) 평균 100 -18.88 8.52 36.44 44.69
표준편차 7.43 3.64 6.52 1.66 5.52
상기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상백피 추출물은 최소농도인 0.0625 ㎍/mL에서는 대조군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농도-의존적으로 에스트로겐 활성이 증가하여 4 ㎍/ml 농도에서는 가장 강력한 에스트로겐인 에스트라디올의 44.69% 수준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보였다.
시험예 2: 항에스트로겐 활성 평가
백합, 원지, 사상자 또는 상백피 추출물에 대한 항에스트로겐 활성은 에스트라디올의 에스트라겐 활성 증가분을 100으로 하였을 때 상대적인 값을 억제 정도로 구하고, 이를 저해율(%)로 표시하여 다음 수학식 2로부터 계산하였다:
저해율(%)=100-(시료 추출물 처리군 흡광도-대조군 흡광도)/(E2 처리군 흡광도-대조군 흡광도) x 100
백합 추출물의 항에스트로겐 활성
9 x 10-9 M 농도의 에스트라디올이 투여된 조건에서 본 발명의 백합 추출물의 처리에 의한 에스트로겐 활성억제는 다음 표 5에 저해율로 정리하였다: 에스트로겐 길항제(antagonist)인 4-히드록시 타목시펜 처리군을 비교군으로 이용하였다.
실험군 4-히드록시
타목시펜
(0.4 ㎍/mL)
백합 추출물
(0.0625 ㎍/mL)
백합 추출물
(0.25 ㎍/mL)
백합 추출물
(1 ㎍/mL)
백합 추출물
(4 ㎍/mL)
저해율(%) 55.78 106.6 107.99 103.37 103.83
표준편차 3.34 7.23 2.06 4.20 28.86
상기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백합 추출물은 비교군과 비교하여, 보다 적은 농도에서도 우수한 에스트로겐 활성 억제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사상자 추출물의 항에스트로겐 활성
9 x 10-9 M 농도의 에스트라디올이 투여된 조건에서 본 발명의 사상자 추출물의 처리에 의한 에스트로겐 활성억제는 하기 표 6에서와 같이 저해율로서 나타내었다: 에스트로겐 길항제(antagonist)인 4-히드록시 타목시펜 처리군을 비교군으로 이용하였다.
실험군 4-히드록시
타목시펜
(0.4 ㎍/mL)
벌사상자
추출물
(0.0625 ㎍/mL)
벌사상자
추출물
(0.25 ㎍/mL)
벌사상자
추출물
(1 ㎍/mL)
벌사상자
추출물
(4 ㎍/mL)
저해율(%) 55.78 56.83 62.28 68.38 83.77
표준편차 3.34 2.31 1.83 7.14 1.02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벌사상자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항에스트로겐 활성이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다.
원지 추출물의 항에스트로겐 활성
9 x 10-9 M 농도의 에스트라디올이 투여된 조건에서 본 발명의 원지 추출물의 처리에 의한 에스트로겐 활성억제는 다음 표 7과 같이 저해율로 나타내었다: 에스트로겐 길항제(antagonist)인 4-히드록시 타목시펜 처리군을 비교군으로 이용하였다.
실험군 4-히드록시
타목시펜
(0.4 ㎍/mL)
원지 추출물
(0.0625 ㎍/mL)
원지 추출물
(0.25 ㎍/mL)
원지 추출물
(1 ㎍/mL)
원지 추출물
(4 ㎍/mL)
저해율(%) 55.78 109.77 85.41 81.78 57.82
표준편차 3.34 1.73 0.34 0.50 13.55
상기 표 7에서 볼 수 있는 듯이, 본 발명의 원지 추출물도 에스트로겐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을 알 수 있다.
상백피 추출물의 항에스트로겐 활성
9 x 10-9 M 농도의 에스트라디올이 투여된 조건에서 본 발명의 상백피 추출물의 처리에 의한 에스트로겐 활성억제는 다음 표 8에 저해율로서 정리하였다: 에스트로겐 길항제(antagonist)인 4-히드록시 타목시펜 처리군을 비교군으로 이용하였다.
실험군 4-히드록시
타목시펜
(0.4 ㎍/mL)
상백피 추출물
(0.0625 ㎍/mL)
상백피 추출물
(0.25 ㎍/mL)
상백피 추출물
(1 ㎍/mL)
상백피 추출물
(4 ㎍/mL)
저해율(%) 55.78 81.78 103.89 102.24 104.75
표준편차 3.34 2.89 6.93 7.21 1.98
상기 표 8에서 확인할 수 듯이, 본 발명의 상백피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항에스토겐 활성이 증가하였고, 비교군과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시험예 1 및 2를 통해서 보건대, 본 발명의 백합, 사상자, 원지 및 상백피 추출물 각각은 에스트로겐이 없는 상태에서 에스트로겐활성을 보여, 에스트로겐이 부족한 상태에서는 에스트로겐 작용제(agonist)로서 작용하고, 에스트로겐이 생리적 수준 또는 그 이상 존재할 때는 효과적으로 그 작용을 차단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폐경 전후 여성에 대한 호르몬 대체 요법시 우려되는 유방암 등의 부작용 우려 없이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각종 갱년기 증상을 치료하거나 경감시켜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참조문헌
1. Lievertz RW. Pharmacology and pharmacokinetics of estrogen. Am J Obstet Gynecol 156:1289-1293(1987)
2. Anderson F. Kinetics and pharmacology of estrogens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Int J Fertil 38(suppl 1):53-64(1993))
3. Odonnell MB. Pharmacokinetic and pharmacologic variation between different estrogen products. J Clin Pharmacol 35(suppl):18S-24S(1995)
4. Kuiper GGJM, Carlsson B, Grandien K, et al. Comparison of the ligand binding specificity and transcript tissue distribution of estrogen receptors alpha and beta. Endocrinology 138:863-870(1997)
5. Maddox RW, Carson DS, Barnes CL. Estrogens and postmenopausal women. US Pharmacist 23:141-150(1998)
6. Guyton AC, Hall JE.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9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1996
도 1은 본 발명의 백합 추출물의 유방암세포주인 MCF-7 세포에 대한 세포 증식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에스트라디올(E2) 무처리군을 대조군, 타목시펜(TM) 처리군으로 비교군으로 이용하였다. 에스트라디올 및 타목시펜은 각각 9 x 10-9 M 및 0.4 ㎍/mL 농도로 처리하였고, 백합 추출물은 0.0625, 0.25, 1, 또는 4 ㎍/mL 농도로 처리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자 추출물의 유방암세포주인 MCF-7 세포에 대한 세포 증식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에스트라디올(E2) 무처리군을 대조군, 타목시펜(TM) 처리군으로 비교군으로 이용하였다. 에스트라디올 및 타목시펜은 각각 9 x 10-9 M 및 0.4 ㎍/mL 농도로 처리하였고, 벌사상자 추출물은 0.0625, 0.25, 1, 또는 4 ㎍/mL 농도로 처리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지 추출물의 유방암세포주인 MCF-7 세포에 대한 세포 증식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에스트라디올(E2) 무처리군을 대조군, 타목시펜(TM) 처리군으로 비교군으로 이용하였다. 에스트라디올 및 타목시펜은 각각 9 x 10-9 M 및 0.4 ㎍/mL 농도로 처리하였고, 원지 추출물은 0.0625, 0.25, 1, 또는 4 ㎍/mL 농도로 처리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백피 추출물의 유방암세포주인 MCF-7 세포에 대한 세포 증식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에스트라디올(E2) 무처리군을 대조군, 타목시펜(TM) 처리군으로 비교군으로 이용하였다. 에스트라디올 및 타목시펜은 각 각 9 x 10-9 M 및 0.4 ㎍/mL 농도로 처리하였고, 원지 추출물은 0.0625, 0.25, 1, 또는 4 ㎍/mL 농도로 처리하였다.

Claims (6)

  1. 백합(Lilium longiflorum), 벌사상자(Cnidium monieri (L). Cuss ), 원지(Polygala tenuifolia Willdenow) 및 상백피(Morus alba)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최소 1종 이상 선택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백합, 벌사상자, 원지 또는 상백피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은 안면홍조, 발한, 피부 건조, 질 건조증, 질 위축, 하부 요도 위축, 성교 통, 질염, 방광염, 배뇨통, 급뇨, 집중장애, 단기 기억장애, 불안, 신경과민, 기억력 감소, 성욕 감퇴, 근육통, 관절통 또는 골다공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
  4. 백합(Lilium longiflorum), 벌사상자(Cnidium monieri (L). Cuss), 원지(Polygala tenuifolia Willdenow) 및 상백피(Morus alba)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최소 1종 이상 선택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스트로겐-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백합, 벌사상자, 원지 또는 상백피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트로겐-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트로겐-의존성 질환은 유방암 또는 자궁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트로겐-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
KR1020090032821A 2009-04-15 2009-04-15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 KR101087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821A KR101087608B1 (ko) 2009-04-15 2009-04-15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
PCT/KR2010/002349 WO2010120133A2 (ko) 2009-04-15 2010-04-15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821A KR101087608B1 (ko) 2009-04-15 2009-04-15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850A Division KR20110017419A (ko) 2011-02-10 2011-02-10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333A true KR20100114333A (ko) 2010-10-25
KR101087608B1 KR101087608B1 (ko) 2011-11-29

Family

ID=42983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821A KR101087608B1 (ko) 2009-04-15 2009-04-15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87608B1 (ko)
WO (1) WO201012013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227A (ko) 2016-01-14 2016-02-03 김득수 녹용차 제조방법
WO2016190682A3 (ko) * 2015-05-26 2017-01-19 (주)뉴트리 모루신, 구와논 지 또는 상백피를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344B1 (ko) 2014-10-27 2016-12-07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카르노식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80098459A (ko) * 2017-02-24 2018-09-04 한국 한의학 연구원 백합 비늘줄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75836B1 (ko) 2018-05-31 2020-02-10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마키베리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시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3872A (ja) * 2004-06-07 2005-12-15 Kao Corp アロマターゼ活性化剤
US7815949B2 (en) * 2004-12-17 2010-10-19 Bionovo, Inc. Estrogenic extracts of Morus alba and uses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682A3 (ko) * 2015-05-26 2017-01-19 (주)뉴트리 모루신, 구와논 지 또는 상백피를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US10576057B2 (en) 2015-05-26 2020-03-03 Newtree Co., Ltd. Methods for treating muscle wasting and degeneration diseases
KR20160013227A (ko) 2016-01-14 2016-02-03 김득수 녹용차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20133A3 (ko) 2011-03-03
WO2010120133A2 (ko) 2010-10-21
KR101087608B1 (ko) 201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u et al. Towards a better understanding of medicinal uses of Carthamus tinctorius L.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review
CN100512858C (zh) 一种治疗心脑血管病的中药制剂
EP3498288A1 (en) Herbal combinations for treatment of a skin condition
CN100402081C (zh) 治疗妇科疾病的中成药及其制备方法
KR101087608B1 (ko)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
JP2011244819A (ja) エストロゲン分泌促進及び女性生殖器組織細胞再生のための組成物
US8747917B2 (en) Composition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a and Coix lachryma-jobi for suppressing obesity or lowering blood sugar, and use thereof
CN1806840B (zh) 一种中药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CN108463231B (zh) 含有黃漆木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更年期疾病的预防及治疗用组合物
US20160136218A1 (en) Molecular and Herbal Combinations for Disease Therapy
KR20110017419A (ko)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용 식물성에스트로겐 조성물
KR101600751B1 (ko) 녹용을 함유하는 여성 불임증 치료용 한약 조성물 제조 방법
CN102218127B (zh) 治疗痛经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288096B (zh) 一种治疗青春痘的药物
KR101822834B1 (ko)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CN101199771A (zh) 一种治疗更年期综合征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50037208A (ko)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
CN103933216B (zh) 一种治疗代谢性高血压病的复方降压胶囊及其制备与应用
TWI721367B (zh) 調節內分泌、提高免疫力、延緩衰老以及預防或治療便秘的組合物、其應用及其製備方法
EP4026552A2 (en)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s, including chrysanthemum sibiricum extract
CN102579773A (zh) 一种补肾壮阳中药片剂、胶囊剂的制备方法
KR101804976B1 (ko) 천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여성의 통증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41078A (ko) 천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여성의 통증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40010176A (ko)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 기능을 갖는 생약조성물을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KR20200071380A (ko) 목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