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965A -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965A
KR20100112965A KR1020090031528A KR20090031528A KR20100112965A KR 20100112965 A KR20100112965 A KR 20100112965A KR 1020090031528 A KR1020090031528 A KR 1020090031528A KR 20090031528 A KR20090031528 A KR 20090031528A KR 20100112965 A KR20100112965 A KR 20100112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emperature
steam heater
heating vessel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8895B1 (ko
Inventor
양재경
김현정
김양경
이영우
최흥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1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895B1/ko
Publication of KR20100112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02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adapted for the use of two or more kinds of fuel or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3/00Stoves or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4/00Stoves or ranges having self-cleaning provisions, e.g. continuous catalytic cleaning or electrostatic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temperature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73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 H05B6/6479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using steam

Abstract

본 실시예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는, 스팀 히터가 수용되는 가열 용기와, 상기 가열 용기로 공급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가 포함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 탱크에 저장된 물이 최소 수위에 도달하여, 상기 스팀 히터의 작동이 정지되는 단계; 상기 스팀 히터의 재작동 신호의 입력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재작동 신호가 입력된 경우, 감지된 상기 가열 용기 내부 온도가 물 유입 여부 기준 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가열 용기의 내부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가열 용기 내부의 냉각을 위하여, 상기 가열 용기로 물이 공급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조리기기

Description

조리기기의 제어방법{Controlling method of cooking appliance}
본 실시예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원을 이용하여 조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은 히터 또는 마그네트론 등이 있으며, 근래에는 상기 가열원으로서 스팀이 이용되기도 한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스팀 발생기로 물 보충 후 상기 스팀 발생기의 정상 작동될 때 까지의 시간이 단축되도록 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는, 스팀 히터가 수용되는 가열 용기와, 상기 가열 용기로 공급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가 포함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 탱크에 저장된 물이 최소 수위에 도달하여, 상기 스팀 히터의 작동이 정지되는 단계; 상기 스팀 히터의 재작동 신호의 입력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재작동 신호가 입력된 경우, 감지된 상기 가열 용기 내부 온도가 물 유입 여부 기준 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가열 용기의 내부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가열 용기 내부의 냉각을 위하여, 상기 가열 용기로 물이 공급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는, 스팀 히터가 수용되는 가열 용기와, 상기 가열 용기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펌프와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가 포함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용기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에 도달하여, 상기 스팀 히터 및 급수 펌프 작동이 정지되는 단계; 상기 스팀 히터 및 급수 펌프의 재작동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재작동 신호 입력 후, 상기 가열 용기의 내부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급수 펌프의 일시 작동 조 건 여부가 판단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급수 펌프의 작동이 제어되는 단계; 및 상기 스팀 히터의 재작동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스팀 히터가 재작동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는, 스팀 히터가 수용되는 가열 용기와, 상기 가열 용기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펌프와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가 포함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팀 히터 및 상기 급수 펌프의 작동 중,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가열 용기 내부의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 1 기준 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스팀 히터 및 상기 급수 펌프의 작동이 종료되는 단계; 상기 히터 및 펌프 작동 종료 후,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해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 2 기준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 온도에 도달한 경우, 신호 발생부에서 물 보충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신호 발생 중, 상기 스팀 히터 및 급수 펌프의 재작동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재작동 신호 입력후,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3 기준 온도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 3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급수 펌프가 일정 시간 작동 후 정지되고, 이하인 경우 상기 급수 펌프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 용기의 내부의 온도와 상기 제 1 기준 온도 비교에 의해서 상기 스팀 히터 및 상기 급수 펌프의 재작동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물 탱크에 물 보충이 완료된 후에 스팀 히터의 재작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가열 용기의 내부 온도가 높은 경우, 상기 가열 용기로 물이 공급되어 상기 가열 용기의 내부 온도가 신속히 하강될 수 있으므로, 스팀 히터의 재작동을 위한 대기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스팀 히터의 재작동을 위한 대시 시간이 줄어듬에 따라 조리물의 전체조리시간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조를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에는, 음식물이 수용되고 조리되는 조리실(11)을 형성하는 캐비티(10)와, 상기 조리실(11)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을 가열하는 스팀발생기(40)와, 상기 스팀발생기(40)로 공급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20)와, 상기 물 탱크의 물을 상기 스팀발생기(40)로 이동시키기 위한 급수 펌프(3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1)에는 적어도 상기 스팀발생기(40)의 작동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60)와, 상기 조리실(70)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조리기기 위한 하나 이상의 조리 히터(70)와, 상기 입력부(60)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스팀발생기(40), 상기 조리 히터(70), 상기 급수 펌프(30) 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와, 상기 조리 히터(70), 상기 급수 펌프(30), 상기 스팀 발생기 등의 작동 조건이 저장되는 메모리부(80)와, 상기 스팀 발생기(4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90)와, 상기 물 탱크(20)에 물이 남지 않은 경우 물 보충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0), 상기 급수 펌프(30), 상기 스팀발생기(40) 등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부 케이스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물 탱크(20)는 일 례로 상기 외부 케이스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가 상기 외부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물 탱크(20)에 물을 채워넣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물 탱크(20)는 상기 캐비티(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에 별도의 커버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물 탱크로 물을 채워넣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탱크(20)는 수도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와 상기 급수 펌프(30)는 제 1 연결 튜브(32)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급수 펌프(30)와 상기 스팀발생기(40)는 제 2 연결 튜브(34)에 의해서 연결된다. 물론, 상기 급수 펌프(30)는 상기 물 탱크(20)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스팀발생기(4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40)에는, 가열 용기(41)와, 상기 가열 용기(41)에 수용되어 물을 가열하는 스팀 히터(42)가 포함된다.
상기 가열 용기(41)에는 발생된 스팀이 배출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출부(44)가 형성된다. 도 1에는 일 례로 세 개의 배출부(44)가 형성되는 것이 개시되나, 상기 배출부(44)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가열 용기(41)는 일 례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서 상기 캐비티(10)의 외벽에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 용기(41)의 체결 구조는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상기 캐비티(10)에는 상기 배출부(44)와 대응되는 수의 유입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12)를 통하여 상기 스팀발생기(40)에서 발생된 스팀이 상기 조리실(11)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조리 히터(70)는, 상기 캐비티(10)의 내부 및 외부에 하나 이상이 배치되거나, 상기 캐비티(10)의 내부에만 또는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 히터(42) 및 상기 조리 히터(70)로는, 탄소 히터, 시즈 히터, 할로겐 히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히터(42, 7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조리 히터는 단순히 히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부(60)는 다수의 버튼, 터치 방식에 의해서 작동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또는 회전 작동에 의해서 작동 신호를 입력하는 놉(knob)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60)를 통하여, 음식물의 조리 조건, 조리 시간, 캐비티 청소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60)를 통하여, 상기 물 탱크에 물 보충 완료 후, 상기 스팀 히터의 재작동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조리 히터(70) 및 상기 스팀 히터의 작동 시간 등이 결정되며, 이러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히터(42, 70) 등의 작동 조건은 상기 메모리부(80)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80)에는 상기 스팀 히터(42)의 작동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급수 펌프(30)의 작동 조건이 저장된다.
그리고,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스팀 히터(42) 또는 상기 조리 히터(70) 만이 작동되거나, 상기 스팀 히터(42)와 상기 조리 히터(70)가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스팀 히터(42)는 음식물의 조리, 캐비티 청소 등의 경우에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모리부(80)는 상기 제어부(50)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메모리부(80)가 상기 제어부(5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각 히터(42, 70), 급수 펌프(30) 등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상기 제어부(50)는 메인 제어부를 이루고, 상기 각 히터(42, 70), 급수 펌프(30) 등을 제어하는 별도의 서브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신호 발생부(62)는, 상기 제어부(50)에서 상기 물 탱크(200에 물이 남지 않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물 보충 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신호 발생부(62)는, 스피커, 디스플레이부, 부저 회로, 진동 소자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신호 발생부(62)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준다.
상기 온도 감지부(90)는 상기 가열 용기(4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며, 감지된 온도는 상기 제어부(50)로 전송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감지된 온도"는 "가열 용기의 내부 온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조리기기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4는 스팀 히터와 급수 펌프의 작동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5는 스팀 히터의 따른 가열 온도 내부 온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부(60)를 통하여 상기 스팀 히터(42)의 작동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1). 여기서, 상기 스팀 히터(42)의 작동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신호, 캐비티 청소를 위한 신호 등일 수 있다.
상기 스팀 히터(42)의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작동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스팀 히터(42) 및 상기 급수 펌프(30)의 작동 조건이 판단된다. 상기 작동 조건은 상기 스팀 히터(42)의 작동 종료 시간 및 상기 급수 펌프(30)의 작동 종료 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
그 다음, 판단된 작동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스팀 히터(42) 및 상기 급수 펌프가 작동된다(S2).
상기 스팀 히터(42)는 최초 온된 후 지속적으로 온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급수 펌프(30)는 작동 종료 시간까지 온/오프를 반복한다. 즉, 급수 펌프(30)는 일정 시간 동안 온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오프되는 작동을 반복한다.
상기 급수 펌프(30)가 온/오프를 반복하는 경우, 주기적으로 일정량의 물의 상기 가열 용기(41)에 공급되어 상기 스팀 히터(42)에 의해서 가열되므로, 신속하게 스팀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팀 히터(42)가 지속적으로 작동되는 중에는 상기 온도 감지부(90)에서 감지된 온도(Ts)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는 도 5와 같이 온도가 특정 온도를 기준으로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 온도는 미리 설정되는 온도는 아니며, 히터 발열량, 가열 용기의 용량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팀 히터(42)가 지속적으로 작동됨에도 불구하고, 감지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지 않는 이유는 상기 가열 용기(41)로 물이 주기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급수 펌프(30)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물이 지속적으로 가열되어 상기 가열 용기(41)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되나, 상기 급수 펌프(30)가 상기 작동되면, 상기 가열 용기(41) 내부 온도 보다 낮은 온도의 물이 상기 가열 용기(41)로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가열 용기(41) 내부의 온도는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펌프(30)가 온/오프를 반복하게 되면, 상기 가열 용기(41)의 온도는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스팀 히터(42)와 상기 급수 펌프(30)의 작동 중에, 상기 제어부에서는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T1)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3). 상세히, 상기 물 탱크(20)에 물이 남아있지 않은 경우 상기 가열 용기(41)로 물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가열 용기(41)의 온도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 탱크(20)에 물이 없는 경우 상기 스팀 히터(42)의 작동을 종료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50)는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이로써 상기 물 탱크(20)에 물이 없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50)에서 상기 온도 감지부(90)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T1)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판단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상기 스팀 히터 및 급수 펌프의 정상 작동 중에 상기 가열 용기에 저장된 물이 최소 수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상기 물 탱크에 저장된 물이 최소 수위에 도달하는 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기준 온도는 상기 가열 용기(41) 내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온도로서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만약,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T1)에 도달한 경우, 상기 스팀 히터 및 상기 급수 펌프의 작동이 종료된다(S4).
상기 스팀 히터(42)의 작동이 종료되는 경우에도, 상기 스팀 히터(42)의 열기에 의해서 상기 가열 용기(42)의 내부 온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다가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온도 감지부(90)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T1) 보다 큰 제 2 기준 온도(T2: "물 보충 신호발생 기준 온도"라 할 수 있음)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
만약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 온도(T2)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신호 발생부(62)가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신호 발생부(62)에서는 물 보충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S5).
상기 물 보충 신호가 발생되면, 사용자는 상기 신호를 인지하여 상기 물 탱크(20)에 물을 보충할 수 있게 되며, 물 보충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입력부(60)를 통하여 상기 스팀 히터(42)의 재작동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물 보충 신호가 발생되는 중에, 상기 제어부(50)에서는 상기 스팀 히터(42)의 재작동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 그리고, 재작동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온도 감지부(90)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3 기준 온도(T3: "급수 펌프 일시 작동 기준 온도 또는 물 유입 여부 기준 온도"라고도 할 수 있음)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8).
만약, 사용자가 상기 물 보충 신호 발생 후, 곧 상기 물 탱크(20)에 물을 보충한 경우에는 감지된 온도는 제 3 기준 온도(T3) 보다 높을 것이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상기 물 보충 신호 발생 후 오랜 시간 경과 뒤에 물을 보충한 경우에는, 감지된 온도는 상기 제 3 기준 온도(T3) 보다 작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3 기준 온도(T3)는 상기 제 2 기준 온도(T2) 보다는 작고 상기 제 1 기준 온도(T1) 보다는 크다.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 3 기준 온도(T3)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급수 펌프(30)가 일정 시간 동안 작동 후 정지되도록 한다(S9). 그러면, 상기 가열 용기(41)로 상기 물 탱크(20)의 물이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기준 온도(T3)와 상기 감지된 온도의 비교에 결과에 따라서 상기 급수 펌프의 작동 여부가 결정되므로, 단계 S8은 급수 펌프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설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온도 감지부(90)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 시간(T1)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0).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 1 기준 시간(T1)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스팀 히터(42) 및 상기 급수 펌프(30)가 남은 조리 시간 동안 재작동하도록 한다(S11).
여기서, 상기 제 1 기준 온도(T1)는 안전 온도로서의 의미를 가지므로,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 1 기준 온도(T1) 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스팀 히터(42) 및 상기 급수 펌프(30)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단계 S8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온도 감지부(90)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 3 기준 온도(T3)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 S10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급수 펌프는 작동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기술적 의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스팀 히터(42)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 펌프(30)를 일정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이유는 상기 가열 용기(41) 내부의 온도를 신속하게 하강시키기 위함이다.
음식물의 조리 중에 상기 물 탱크(20)에 물이 없어 물 보충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조리가 중단되고 상기 가열 용기의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 까지 하강할 때까지 대기 시간이 요구되며, 상기 대기 시간으로 인하여 전체조리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캐비티 내부의 온도가 하강하게 되어 상기 캐비티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시간이 요구되므로, 전체조리시간은 더욱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음식물의 조리 중에 조리가 중단되면 조리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물 보충 신호 발생 중에,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 3 기준 온도 보다 높은 경우, 상기 급수 펌프를 일정 시간 동안 작동시키므로, 상기 가열 용기의 내부 온도가 신속하게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재작동을 위한 대기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이 때, 상기 급수 펌프의 작동 시간과 관련하여, 상기 물 보충 신호 발생 중에,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 2 기준 온도에 가까울수록, 상기 급수 펌프에서 펌핑되는 물에 의해서, 상기 가열 용기의 내부의 냉각 속도가 빠르게 되고, 상기 가열 용기의 내부 온도의 열기에 의해서 증발되는 양이 많아지게 된다.
증발되는 물의 양이 많다는 것은 상기 가열 용기에 남게되는 물의 양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 1 기준 온도에 가까울수록, 상기 가열 용기에 물이 공급되더라도 상기 가열 용기의 내부의 온도 저하 속도는 크지 않고, 증발되는 물의 양이 적으며, 상기 스팀 히터의 재작동 시간까지의 남은 시간이 크지 않다. 이러한 경우 상기 급수 펌프에서 핌핑되는 대부분의 물이 상기 가열 용기에 남아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스팀 히터 및 상기 급수 펌프가 재작동 되면, 상기 가열 용기에 추가적으로 물이 공급되므로, 상기 가열 용기에 물이 가득차게 되어 물이 상기 가열 용기에서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상기 캐비티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 보충 신호 발생 중,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 3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급수 펌프를 일정시간 작동시켜, 추후 상기 스팀 히터 및 상기 급수 펌프의 재작동 시 상기 가열 용기의 물이 상기 캐비티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는 일 례로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 3 기준 온도 이상에 해당하여 급수 펌프가 작동되는 경우에 대한 그래프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는 하기되는 사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급수 펌프에 의해서 가열 용기로 물 탱크의 물이 유입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와 달리 상기 물 탱크가 상기 가열 용기의 상방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자연 낙하 방식에 의해서 상기 가열 용기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가열 용기와 상기 물 탱크의 연결 부위에는 밸브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한 설명에서 상기 스팀 히터의 재작동 전 상기 급수 펌프의 일시 작동되는 내용은 밸브가 일정 시간 개방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조를 설명하는 블럭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스팀 히터와 급수 펌프의 작동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5는 스팀 히터의 따른 가열 온도 내부 온도를 보여주는 그래프.

Claims (7)

  1. 스팀 히터가 수용되는 가열 용기와, 상기 가열 용기로 공급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가 포함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 탱크에 저장된 물이 최소 수위에 도달하여, 상기 스팀 히터의 작동이 정지되는 단계;
    상기 스팀 히터의 재작동 신호의 입력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재작동 신호가 입력된 경우, 감지된 상기 가열 용기 내부 온도가 물 유입 여부 기준 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가열 용기의 내부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가열 용기 내부의 냉각을 위하여, 상기 가열 용기로 물이 공급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히터의 재작동 조건 만족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재작동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스팀 히터가 재작동되고 상기 가열 용기로 주기적으로 물이 공급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히터의 작동 정지 후에, 물 보충 신호가 외부로 발생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4. 스팀 히터가 수용되는 가열 용기와, 상기 가열 용기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펌프와,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가 포함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용기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에 도달하여, 상기 스팀 히터 및 급수 펌프 작동이 정지되는 단계;
    상기 스팀 히터 및 급수 펌프의 재작동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재작동 신호 입력 후, 상기 가열 용기의 내부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급수 펌프의 일시 작동 조건 여부가 판단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급수 펌프의 작동이 제어되는 단계; 및
    상기 스팀 히터의 재작동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스팀 히터가 재작동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펌프의 일시 작동 조건 여부 판단 결과, 상기 급수 펌프의 작동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급수 펌프는 상기 가열 용기 내부의 냉각을 위하여 일정 시간 동안 작동된 후에 정지되고,
    상기 급수 펌프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급수 펌프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6. 스팀 히터가 수용되는 가열 용기와, 상기 가열 용기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펌프와,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가 포함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팀 히터 및 상기 급수 펌프의 작동 중,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가열 용기 내부의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 1 기준 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스팀 히터 및 상기 급수 펌프의 작동이 종료되는 단계;
    상기 히터 및 펌프 작동 종료 후,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해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 2 기준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 온도에 도달한 경우, 신호 발생부에서 물 보충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신호 발생 중, 상기 스팀 히터 및 급수 펌프의 재작동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재작동 신호 입력후,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3 기준 온도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 3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급수 펌프가 일정 시간 작동 후 정지되고, 이하인 경우 상기 급수 펌프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 용기의 내부의 온도와 상기 제 1 기준 온도 비교에 의해서 상기 스팀 히터 및 상기 급수 펌프의 재작동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조리기기 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기준 온도는 상기 제 1 기준 온도 보다 높고 상기 제 2 기준 온도 보다 낮은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20090031528A 2009-04-10 2009-04-10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1388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528A KR101388895B1 (ko) 2009-04-10 2009-04-10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528A KR101388895B1 (ko) 2009-04-10 2009-04-10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965A true KR20100112965A (ko) 2010-10-20
KR101388895B1 KR101388895B1 (ko) 2014-04-23

Family

ID=43132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528A KR101388895B1 (ko) 2009-04-10 2009-04-10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8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9472A1 (ko) * 2011-12-14 2013-06-20 Park Kang-Su 음식물 조리기용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
CN109832957A (zh) * 2017-11-29 2019-06-0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蒸汽循环系统及蒸汽循环控制方法
CN111928222A (zh) * 2020-07-10 2020-11-13 上海纯米电子科技有限公司 蒸汽产生及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2134B2 (ja) * 1999-04-08 2006-10-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過熱蒸気調理器
JP3867637B2 (ja) 2002-07-30 2007-0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蒸気発生装置及び蒸気発生装置を備えた加熱調理装置
JP2004138381A (ja) 2003-12-19 2004-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4448804B2 (ja) * 2005-07-21 2010-04-1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9472A1 (ko) * 2011-12-14 2013-06-20 Park Kang-Su 음식물 조리기용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
CN109832957A (zh) * 2017-11-29 2019-06-0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蒸汽循环系统及蒸汽循环控制方法
CN109832957B (zh) * 2017-11-29 2023-10-20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蒸汽循环系统及蒸汽循环控制方法
CN111928222A (zh) * 2020-07-10 2020-11-13 上海纯米电子科技有限公司 蒸汽产生及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895B1 (ko)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971B1 (ko) 증기 분사식 세탁기의 시간표시 제어방법
JP4409612B1 (ja) 加熱調理器
KR20060115333A (ko) 스팀 오븐으로부터 물을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65134A (ko) 수위센서와 이를 갖는 스팀발생기 및 그 스팀발생기를 갖는조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US11698195B2 (en) Electrical cooking appliance with automatic cleaning of cooking chamber
KR20180127047A (ko)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
KR101388895B1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CN109805741B (zh) 锅炉式蒸汽加热器、食物料理机和防水垢处理方法
KR102433053B1 (ko)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된 전자 조리 기기
US11083321B2 (en)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20057087A1 (en) Electronic cooking apparatus having steam supply device
JP5542525B2 (ja) 加熱調理器
JP4448804B2 (ja) 加熱調理器
KR20210106143A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JP5702876B2 (ja) 加熱調理器
JP2010078243A (ja) 加熱調理器
EP2765232A1 (en) Laundry dryer
JP5064325B2 (ja) 蒸気調理器
KR101388874B1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JP2015132465A (ja) 蒸気発生装置
KR20210025820A (ko) 식기세척기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08032266A (ja) 蒸気発生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加熱調理器
JP5743660B2 (ja) 蒸気発生装置
CN111513555A (zh) 蒸汽发生器工作控制方法
KR102552566B1 (ko) 조리 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