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0953A - 키조개 장조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키조개 장조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0953A
KR20100110953A KR1020090029246A KR20090029246A KR20100110953A KR 20100110953 A KR20100110953 A KR 20100110953A KR 1020090029246 A KR1020090029246 A KR 1020090029246A KR 20090029246 A KR20090029246 A KR 20090029246A KR 20100110953 A KR20100110953 A KR 20100110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hell
clam
immer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순
Original Assignee
김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순 filed Critical 김인순
Priority to KR1020090029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0953A/ko
Publication of KR20100110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95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40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2Preserving by means of inorganic salts
    • A23B4/023Preserving by means of inorganic salts by kitchen salt or mixtures thereof with inorganic or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조개 장조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조개 장조림의 보관성을 높이고, 어패류 특유의 비린 맛을 제거하며, 가열에 의해 키조개의 질감이 질겨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제1차 조림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1차 조림액에 간장, 청량고추, 표고버섯 및 물엿을 첨가하여 제2차 조림액을 제조하는 단계; 키조개 관자를 데치는 단계 및 데친 키조개를 제2차 조림액에 침지시켜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조개 장조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키조개, 관자, 장조림, 제조방법

Description

키조개 장조림의 제조방법{METHOD OF PREPARING COMB PEN SHELL BOILED IN SOY}
본 발명은 키조개 장조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조개 장조림의 보관성을 높이고 키조개 장조림의 비린 맛을 제거하고, 가열에 의해 키조개의 질감이 질겨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키조개 장조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키조개(comb pen shell)는 사새목 키조개과의 연체동물(Atrina pectinata)로 주로 우리나라 동해 및 남해와 일본에 분포되어 있고, 내해나 내만의 조간대의 수심 5 내지 50m의 진흙에 살며,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형태를 하고 있는 대형 패류로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고 있다. 키조개는 단백질과 글리코겐이 풍부하고 지질과 수분함량이 낮아 쇠고기에 비하여 성인병을 유발할 가능성이 낮고, 베타인(betaine)류 특히, 베타-알라민베타인(β-alaminebetaine)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오히려 성인병이나 대사질환의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맛의 척도로 사용되고 있는 엑스분 질소 함량을 기준으로 보면, 소라, 백합, 바지락 및 굴보다 풍부하여, 그 미감이 더 우수한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한편, 장조림이란 특정 재료를 간장에 넣고 조린 반찬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간장에다 쇠고기를 넣고 조린 반찬인 쇠고기 장조림을 의미한다. 쇠고기 장조림은 짜게 조린 것이므로 특히 여름철에 단백질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보존식품으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널리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쇠고기 파동 등과 관련하여 쇠고기의 안전성 문제가 제시되고 있고, 육지에서 사육하는 동물의 고기의 경우 다량의 지방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성인병의 원인이 된다는 연구보고 등이 제시되어 그 대안으로 바다에서 얻을 수 있는 어류나 어패류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상기한 쇠고기 장조림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어류 또는 어패류를 이용한 음식 특히, 쇠고기를 어료 또는 어패류로 대처하려는 노력이 증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쇠고기를 키조개로 대체하고, 기존에 어패류를 이용한 장조림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보관성을 증가시키고, 해조류 특유의 비린 맛을 제거하며, 가열에 의해 어패류의 질감이 질겨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키조개 장조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키조개 장조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키조개 장조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조개 장조림의 보관성을 높이고, 어패류 특유의 비린 맛을 제거하며, 가열에 의해 어패류의 질감이 질겨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제1차 조림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1차 조리액에 간장, 청량고추, 표고버섯 및 물엿을 첨가하여 제2차 조림액을 제조하는 단계; 키조개 관자를 데치는 단계 및 데친 키조개를 제2차 조림액에 침지시켜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조개 장조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키조개 장조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쇠고기를 대체하기 위하여 다양한 어패류로 장조림을 제조한 결과, 무우, 파, 배, 멸치, 다시마, 생강마늘 및 감초를 우려 내어 제1차 조림액을 제조한 후, 제1차 조림액에 간장, 청량고추, 표고버섯 및 물엿을 첨가하여 제2차 조림액을 제조하는 경우, 키조개 장조림의 비린 맛이 현저하게 감소될 뿐만 아니라, 충분한 염도에 의한 보관성이 향상되고, 키조개 관자를 조리는 방법이 아니라, 키조개 관자를 데친 후에, 상기 조림액에 침지시켜 숙성시키는 경우, 가열에 의해 어패류의 질감이 질겨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다른 어패류에 비하여 키조개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조림액에 의해 비린 맛이 제거되는 정도가 현저하게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키조개 장조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키조개 장조림이란 키조개를 간장을 이용하여 조리한 음식을 의미한다.
상기 키조개(Atrina pectinata)란 사새목 키조개과의 연체동물로 주로 우리나라 동해 및 남해와 일본에 분포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형태를 하고 있는 대형 패류이다. 상기 키조개는 단백질과 글리코겐이 풍부하고 지질과 수분함량이 낮으며, 베타인(betaine)류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어, 성인병이나 대사질환의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조림이란 특정 재료, 일 예로 채소, 육류, 어패류 또는 두부 등의 재료를 간장으로 조리한 음식 또는 요리를 의미하며, 조리법은 약한 불에서 오래 익힌 방법 또는 조림액에 침지하는 방법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량부란 통상의 의미 구체적으로, 특정 성분의 질량을 기준으로 다른 성분의 질량을 대비하여 표시하는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키조개 장조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무우, 파, 배, 멸치, 다시마, 생강마늘 및 감초를 우려 내어 제1차 조림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차 조림액에 간장, 청량고추, 표고버섯 및 물엿을 첨가하여 제2차 조림액을 제조하는 단계;
키조개 관자를 데치는 단계 및
데친 키조개를 상기 제2차 조림액에 침지시켜 숙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조개 장조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우, 파, 배, 멸치, 다시마, 생강마늘 및 감초를 우려 내어 제1차 조림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물 1000 중량부에 무우 80 내지 85 중량부, 파 16 내지 17 중량부, 배 80 내지 85 중량부, 멸치 33 내지 35 중량부, 다시마 66 내지 68 중량부, 생강마늘 16 내지 17 중량부 및 감초 3 내지 4 중량부를 첨가하고, 6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15℃,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에서 10분 내지 6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2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40분 내지 60분 동안 열을 가하여 우려내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차 조림액에 간장, 청량고추, 표고버섯 및 물엿을 첨가하여 제2차 조림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1차 조림액 1000 중량부에 간장 140 내지 160 중량부, 청량고추 9 내지 11 중량부, 표고버섯 9 내지 11 중량부 및 물엿 16 내지 17 중량부를 첨가하고, 8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에서 30분 내지 3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40분 내지 2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50분 내지 70분 동안 끓이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키조개 관자를 데치는 단계는 키조개를 세척하고 손질한 후, 8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의 조건으로 물 또는 소금물에 일정 시간, 일 예로 3초 내지 30초, 바람직하게는 5초 내지 15초, 더욱 바람직하게는 7초 내지 12초 담그었다가 빼는 방법인 브런칭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키조개의 손질은 키조개로부터 키조개의 관자만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친 키조개를 상기 제2차 조림액에 침지시켜 숙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데친 키조개를 상기 제2차 조림액에 완전히 침지시킨 후, 3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에서 16시간 내지 36시간, 바람직하게는 20시간 내지 30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23시간 내지 25시간 동안 침지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키조개 장조림 제조방법은 물 1000 중량부에 무우 80 내지 85 중량부, 파 16 내지 17 중량부, 배 80 내지 85 중량부, 멸치 33 내지 35 중량부, 다시마 66 내지 68 중량부, 생강마늘 16 내지 17 중량부 및 감초 3 내지 4 중량부를 첨가하고, 6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에서 10분 내지 6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2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40분 내지 60분 동안 열을 가하여 우려내는 방법으로 제1차 조림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차 조림액 1000 중량부에 간장 140 내지 160 중량부, 청량고추 9 내지 11 중량부, 표고버섯 9 내지 11 중량부 및 물엿 16 내지 17 중량부를 첨가하고, 8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에서 30분 내지 3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40분 내지 2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50분 내지 70분 동안 끓이는 방법으로 제2차 조림액을 제조하는 단계; 키조개를 세척하고 세척된 키조개로부터 키조개의 관자를 분리한 후, 80 내지 120℃ 물 또는 소금물에 일정 시간, 일 예로 3초 내지 30초, 바람직하게는 7초 내지 12초 담그었다가 빼는 방법으로 키조개 관자를 데치는 단계 및 상기 데친 키조개를 상기 제2차 조림액에 완전히 침지시킨 후, 16시간 내지 36시간, 바람직하게는 20시간 내지 30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23시간 내지 25시간 동안 침지하는 방법으로 상기 데친 키조개를 상기 제2차 조림액에 침지시켜 숙성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청량고추란 캅사이신(Capsaicin)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매운맛이 강한 만생종 고추를 의미한다. 상기 캅사이신은 알카로이드의 일종으로 고추의 매운 맛을 내는 성분으로, 상기 청량고추는 상기 캅사이신이 다른 고추에 비해 월등히 많이 함유되어 있고, 미네랄 등 갖종 영양소가 풍부하며, 또한 향기가 강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청량고추를 첨가하면, 상기 청량고추의 매운 맛이 키조개와 같은 어패류 특유의 비릿만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특유의 매운 맛으로 인해 청량한 맛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감초(Glycyrrhiza uralensis)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특히 감초의 뿌리는 단맛이나서 감미료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이란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느타리과의 버섯으로, 비타민 D가 풍부하여 골다공증에 좋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키조개 장조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키조개 장조림일 수 있다.
상기 키조개 장조림은 단맛과 짠맛이 적절하게 조화되어 우수한 풍미가 인정될 뿐만 아니라, 키조개 장조림의 보관성을 높이고, 어패류 특유의 비린 맛을 제거 하며, 가열에 의해 키조개의 질감이 질겨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비린 맛에 거부감이 있는 사람 또는 기존 질긴 어패류 장조림에 대해 거부감이 있는 사람을 포함한 다양한 연령층이 부담없이 먹을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상기 키조개 장조림은 별도의 포장 없이 또는 통조림과 같은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포장 형태로 포장되어 유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조개 장조림 제조방법은 어패류의 염도를 높일 수 있는 간장을 사용하고, 식중독균 및 부패균을 번식시킬 수 있는 설탕을 이용하지 아니하므로, 키조개 장조림의 보관성을 높일 수 있고, 청량고추의 매운 맛과 감초의 단맛으로 인하여 어패류 특유의 비린 맛이 제거될 뿐만 아니라, 가열에 의해 키조개 관자의 질감이 질겨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키조개 장조림의 사용범위를 넓힐 수 있어, 풍부한 해산 자원의 응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산업적 효과가 매우 크다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기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비교예 ]
실시예
물 3 kg에 무우 250 g, 파 50 g, 배 250 g, 멸치 100 g, 다시마 200 g, 생강마늘 50 g 및 감초 10 g를 첨가하고, 100 ℃에서 50분 동안 열을 가하여 우려내는 방법으로 제1차 조림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차 조림액을 제조한 후, 상기 제1차 조림액 3 kg에 간장(조미장) 450 g, 청량고추 30 g, 표고버섯 30 g 및 물엿 50 g을 첨가하고, 100 ℃에서 60분 동안 끓이는 방법으로 제2차 조림액을 제조하였다.
한편, 시장에서 구입한 키조개를 세척하고 세척된 키조개로부터 키조개의 관자를 분리한 후, 100 ℃ 소금물에 10초 담그었다가 빼서 키조개 관자를 브런칭하였다.
상기 브런칭한 키조개를 상기 제조된 제2차 조림액에 완전히 침지시킨 후, 4℃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시켜 키조개 장조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키조개 대신 전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키조개를 데치는 과정을 100℃에서 15분간 데치는 방법으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상기 제조한 키조개 장조림의 비린 맛 제거여부, 질감 및 전체적인 맛의 선 호도를 10대부터 50대까지 각 년령대 별로 2인씩 총 10명에게 조사하였다.
상기 비린 맛 제거여부 및 질감은 현재 유통되고 있는 할인마트 식품매장에서 구입한 어패류 장조림인 전복 장조림을 우선 맛보게 하고, 이를 기준으로 냄새, 질감 및 맛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맛의 선호도 평가는 키조개 장조림을 제조한 후, 16 시간 이 경과한 후에 평가한 평가내용이다.
상기 비린맛의 제거여부 및 질감에 대한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고, 맛에 대한 전체 평가의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표 1]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전체평균
비린 맛
제거여부
실시예 3 3.5 3 3.5 4
비교예 1 2.5 2.5 2.5 2.5 2.5
비교예 2 2.5 3 3 3 3
질감 실시예 1 4 4.5 4.5 3.5 3.5
비교예 1 4 4 3.5 3.5 3.5
비교예 2 2 2 2 2 1.5
상기 표 1과 관련하여, 기재된 수치는 하기와 같다.
5 : 전혀 비릿하지 않음 / 전혀 질기지 않고 부드러움
4 : 약간 비릿하나 문제되지 않음 / 부드러움
3 : 시중에서 판매되는 통상의 어패류 장조림보다는 덜 비림 / 시중에서 판매되는 통상의 어패류 장조림보다는 부드러움
2 : 시중에서 판매되는 통상의 어패류 장조림 정도임 / 시중에서 판매되는 통상의 어패류 장조림보다 질김
1 : 시중에서 판매되는 통상의 키조개 장조림보다 더 비림 / 시중에서 판매되는 통상의 어패류 장조림보다 더 질김
0 : 비린 맛 때문에 불쾌감을 느낌 / 너무 질겨 씹어서 삼키기 어려움
[표 2]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전체평균
전체적인
실시예 3 3.5 3 3.5 3
비교예 1 2.5 3 3 3 3
비교예 2 2.5 2.5 2.5 2 1.5
상기 표 2와 관련하여, 기재된 수치는 하기와 같다.
5 : 매우 맛있음 / 4 : 맛있음 / 3 : 시중에서 판매되는 통상의 어패류 장조림보다는 맛있음 / 2 : 시중에서 판매되는 통상의 어패류 장조림 정도임 / 1 : 시중에서 판매되는 통상의 어패류 장조림보다 맛없음 / 0 : 너무 맛없음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는 경우, 다른 어패류를 사용하는 경우(비교예 1)에 비하여, 키조개 관자를 사용하는 경우 비린 맛의 제거 효과와 전체적인 맛의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일한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비린 맛의 제거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나, 전체적인 맛에 대한 평가도 이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표 1 및 표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 방법과 같이 10분 이상 조개를 데치는 경우, 어패류의 비린 맛의 제거 효과는 우수하였으나, 질감의 측면에서 장조림이 질긴 것으로 확인되어, 전체적인 맛의 평가에서 나이가 많은 연령층일수록 거부감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키조개 장조림은 장조림에 사용되는 관자가 부드러울 뿐만 아니라, 비린 맛도 제거되어 비린 만에 거부감이 있는 10대와 20대뿐만 아니라 질긴 어패류에 대한 거부감이 있는 40대와 50대에 까지 모든 연령층에 대해 맛의 선호도가 높아 여러 연령대에서 환영받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3)

  1. 물 1000 중량부에 무우 80 내지 85 중량부, 파 16 내지 17 중량부, 배 80 내지 85 중량부, 멸치 33 내지 35 중량부, 다시마 66 내지 68 중량부, 생강마늘 16 내지 17 중량부 및 감초 3 내지 4 중량부를 첨가하고, 80 내지 115℃에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열을 가하여 우려내는 제1차 조림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차 조림액 1000 중량부에 간장 140 내지 160 중량부, 청량고추 9 내지 11 중량부, 표고버섯 9 내지 11 중량부 및 물엿 16 내지 17 중량부를 첨가하고, 80 내지 120℃에서 40분 내지 2시간 동안 끓이는 방법으로 제2차 조림액을 제조하는 단계;
    키조개를 세척하고 세척된 키조개로부터 키조개의 관자를 분리한 후, 80 내지 120℃ 물 또는 소금물에 5초 내지 15초 담그었다가 빼는 방법으로 키조개 관자를 데치는 단계; 및
    상기 데친 키조개를 상기 제2차 조림액에 완전히 침지시킨 후, 20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침지하는 방법으로 상기 데친 키조개를 상기 제2차 조림액에 침지시켜 숙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조개 장조림 제조방법.
  2. 물 1000 중량부에 무우 80 내지 85 중량부, 파 16 내지 17 중량부, 배 80 내지 85 중량부, 멸치 33 내지 35 중량부, 다시마 66 내지 68 중량부, 생강마늘 16 내지 17 중량부 및 감초 3 내지 4 중량부를 첨가하고, 90 내지 110 ℃에서 40분 내지 60분 동안 열을 가하여 우려내는 방법으로 제1차 조림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차 조림액 1000 중량부에 간장 140 내지 160 중량부, 청량고추 9 내지 11 중량부, 표고버섯 9 내지 11 중량부 및 물엿 16 내지 17 중량부를 첨가하고, 90 내지 110 ℃에서 50분 내지 70분 동안 끓이는 방법으로 제2차 조림액을 제조하는 단계;
    키조개를 세척하고 세척된 키조개로부터 키조개의 관자를 분리한 후, 90 내지 110 ℃ 소금물에 7초 내지 12초 담그었다가 빼는 방법으로 키조개 관자를 데치는 단계; 및
    상기 데친 키조개를 상기 제2차 조림액에 완전히 침지시킨 후, 3 내지 10℃에서 23시간 내지 25시간 동안 침지하는 방법으로 상기 데친 키조개를 상기 제2차 조림액에 침지시켜 숙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조개 장조림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조개 장조림.
KR1020090029246A 2009-04-06 2009-04-06 키조개 장조림의 제조방법 KR20100110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246A KR20100110953A (ko) 2009-04-06 2009-04-06 키조개 장조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246A KR20100110953A (ko) 2009-04-06 2009-04-06 키조개 장조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953A true KR20100110953A (ko) 2010-10-14

Family

ID=4313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246A KR20100110953A (ko) 2009-04-06 2009-04-06 키조개 장조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09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662B1 (ko) * 2020-11-27 2021-11-17 이현석 표고버섯을 이용한 구운계란 장조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8661B1 (ko) * 2020-11-27 2021-11-17 이현석 팽이버섯을 이용한 반숙계란 장조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662B1 (ko) * 2020-11-27 2021-11-17 이현석 표고버섯을 이용한 구운계란 장조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8661B1 (ko) * 2020-11-27 2021-11-17 이현석 팽이버섯을 이용한 반숙계란 장조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232B1 (ko) 새우장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51785B1 (ko) 해삼장 제조방법
CN103355694A (zh) 一种鱼头的制作方法
CN103976322B (zh) 一种以黄花菜为原料制作调味菜的方法
CN103689669B (zh) 一种烧烤三文鱼片食品的制作方法
CN103653065A (zh) 一种麻辣味油炸花生仁的生产方法
CN103859336B (zh) 一种炝炒鱼调料及其炝炒鱼的烹制方法
CN105011226A (zh) 一种秋刀鱼的加工方法
KR101318412B1 (ko) 산채와 버섯이 함유된 훈제오리전골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훈제오리전골
KR100948983B1 (ko) 전복 깻잎 장아찌 제조방법
KR20100110953A (ko) 키조개 장조림의 제조방법
KR101784396B1 (ko) 코다리 회무침 제조방법
KR101521503B1 (ko) 오징어먹물 찜닭의 제조방법
CN103355644A (zh) 一种番茄酱的制作方法
CN107149100A (zh) 一种小黄鱼烤香鱼及加工技术
KR101466871B1 (ko) 모시 육수의 제조방법법
KR101418803B1 (ko) 메기의 가공방법 및 가공된 메기를 이용한 조리방법
KR20150139476A (ko) 양배추와 쇠고기로 조리한 장터국밥 및 그 조리 방법
CN105124650A (zh) 一种罗非鱼罐头及其制备方法
KR100913663B1 (ko) 김치 닭볶음의 제조방법
KR101687328B1 (ko) 동해부인 장수탕면 제조방법
KR101297312B1 (ko) 돼지고기와 쭈꾸미를 이용한 찜의 제조방법
KR20140091850A (ko) 바지락 수라 들깨탕 제조방법
KR102568723B1 (ko) 상해식 양념완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8655B1 (ko) 냉짬뽕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