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0880A - 첩부제 - Google Patents

첩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0880A
KR20100110880A KR1020107018888A KR20107018888A KR20100110880A KR 20100110880 A KR20100110880 A KR 20100110880A KR 1020107018888 A KR1020107018888 A KR 1020107018888A KR 20107018888 A KR20107018888 A KR 20107018888A KR 20100110880 A KR20100110880 A KR 20100110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mass
adhesive layer
styren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6499B1 (ko
Inventor
도모미 오카다
시게오 오타
노부오 츠츠미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0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0Salicyl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61K31/618Salicylic acid; Derivatives thereof having the carboxyl group in position 1 esterified, e.g. salsa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7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rosin or other plant res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otan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신축성을 갖는 지지체와, 그 지지체의 적어도 편면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첩부제로서, 상기 신축성을 갖는 지지체는, 권축 가공이 실시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멀티필라멘트사를 2 단 이상 갖는 양면 메리야스뜨기의 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제층은, 그 층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25 ~ 50 질량% 의 액상 유기 성분 및 25 ~ 50 질량% 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고, 상기 액상 유기 성분으로서 살리실산메틸을 상기 기준으로 10 질량% 이상 함유하고 있고, 상기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 (G') 이 10 ㎮, 37°C 에 있어서 30000 ~ 75000 ㎩ 인 첩부제.

Description

첩부제{ADHESIVE PATCH}
본 발명은, 살리실산메틸을 배합하는 첩부제 (帖付劑) 에 관한 것이다.
종래, 외용 소염 진통제에는, 점착제 중에 수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패치제, 또는 함유하는 파프제와 상관없이, 유효 성분으로서 살리실산계 화합물, 인도메타신, 디클로페낙, 케토프로펜 등의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나 냉감제로서의 l-멘톨이 배합된 것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외용 소염 진통 작용을 갖는 파프제는 피부 자극이 적고, 또한 효과를 높이기 위한 냉각 효과가 뛰어나지만, 피부와의 밀착성이 나쁘기 때문에 박리상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실질적으로 수분을 함유하지 않는 패치제는, 피부와의 밀착성이 우수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박리시의 통증을 수반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통증을 억제하는 첩부제로는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공표특허공보 2001-508053호
살리실산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패치제에 있어서는, 수성인 파프제와 비교하여 고체 (膏體) 가 얇기 때문에, 약효 성분인 살리실산메틸을 많이 배합할 필요가 있지만, 이 경우 살리실산메틸 자체가 가소제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첩부시의 박리 (탈락) 가 발생되거나 살리실산메틸의 휘발에 의하여 점착제층의 유연성이 변화하는 경우가 있어 계속적인 첩부성 조절이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살리실산메틸을 함유하는 첩부제는 사지의 관절부에 붙이는 경우가 많고, 관절부는 신축 동작 외에 비트는 동작도 많고, 그 영향으로 첩부제가 박리되기 쉽다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첩부제는 피부 등에 첩부하여 사용하는 점에서, 적당한 첩부성이 요구되는 것은 물론이지만, 소염 진통 효과가 발휘됨으로써 발생되는 자극의 지속성이 특히 중요해진다. 그러나, 상기 공보를 비롯하여 종래 공지된 방법을 적용하여, 우수한 첩부성 및 자극의 지속성을 동시에 구비하는 첩부제를 달성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첩부성 및 자극의 지속성이 우수한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실시한 결과, 특정한 신축성을 갖는 지지체 상에, 25 ~ 50 질량% 의 액상 성분 (이 중에서, 살리실산메틸 10 질량% 이상) 및 25 ~ 50 질량% 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첩부제로서, 그 점착제층이 특정한 저장 탄성률을 갖는 것이 계속적인 첩부성이 양호하여, 관절의 비틀림 동작에도 박리되거나 하지 않고, 자극의 지속성이 우수한 첩부제인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신축성을 갖는 지지체와, 그 지지체의 적어도 편면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첩부제로서, 상기 신축성을 갖는 지지체는, 권축 가공이 실시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멀티필라멘트사를 2 단 이상 갖는 양면 메리야스뜨기의 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제층은 그 층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25 ~ 50 질량% 의 액상 유기 성분 및 25 ~ 50 질량% 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고, 상기 액상 유기 성분으로서 살리실산메틸을 상기 기준으로 10 질량% 이상 함유하고, 상기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 (G´) 이 10 ㎮, 37 ℃ 에 있어서 30000 ~ 75000 ㎩ 인 첩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첩부제는, 상기의 특정 지지체를 사용하여, 점착제층이 그 층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25 ~ 50 질량% 인 액상 유기 성분, 그 액상 유기 성분 중, 그 층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10 질량% 이상인 살리실산메틸, 및 그 층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25 ~ 50 질량% 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함으로써 첩부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이 범위이면, 점착제층의 응집력 및 보형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양호한 첩부성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 (G´) 이 10 ㎮, 37 ℃ 에 있어서 30000 ~ 75000 ㎩ 임으로써, 약물 방출성이나 경피 흡수성이 향상되어 자극의 지속성이 향상된다. 신축성을 갖는 지지체가, 권축 가공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멀티필라멘트사를 2 단 이상 갖는 양면 메리야스뜨기의 직포임으로써, 충분한 신축성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의 첩부제를 국부, 예를 들어 팔꿈치, 무릎 등의 사지에 첩부했을 때에 박리되거나 탈락되는 경우가 적어진다.
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부틸렌 및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취급하기 쉽고, 또한 피부에 대한 불필요한 자극이 비교적 적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점착제층은, 점착 부여제로서 로진계 수지 및/또는 석유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점착제층에 적당한 택과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10 ~ 3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적절한 범위에서 유지되어 첩부시의 박리나 박리시의 통증을 방지할 수 있다.
직포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80 ~ 150 g/㎡ 이고, 또한 세로 방향 (장축 방향) 모듈러스는 2 ~ 12 N/5 ㎝ 이며, 가로 방향 (단축 방향) 모듈러스는 2 ~ 8 N/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 면적당 질량이 이 범위 내인 경우, 점착제를 편포에 도포할 때에 점착 기제가 편포의 메시를 통하여 스며나오지 않고, 또한 편포와 점착 기제의 투묘성 (投錨性) 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첩부제로서의 첩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각 모듈러스가 이 범위 내인 경우, 약물 방출성 및 첩부성이 우수한 첩부제로 할 수 있다.
첩부제 전체로서 온도 40 ℃, 상대 습도 90 % 에서 측정한 투습도는, 1 ~ 350 g/㎡·24 hr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휘발성의 살리실산메틸 및 배합될 가능성이 있는 l-멘톨을 잘 휘발시키지 않고, 점착제 중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첩부제가 첩부되었을 때에 유효량의 약물이 국부에 경피 흡수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휘발성 물질의 양의 변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지속적인 첩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호한 첩부성을 구비함과 함께, 약물 방출성이나 경피 흡수성이 향상되어 자극의 지속성이 우수한 첩부제가 제공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첩부제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멀티필라멘트사를 2 단 갖는 양면 메리야스뜨기의 메시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 은 각 첩부제의 저장 탄성률 (G´) 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살리실산의 혈장중 농도의 시간적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는 살리실산메틸의 혈장중 농도의 시간적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은, l-멘톨의 혈장중 농도의 시간적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경우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첩부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하 좌우 등의 위치 관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 관계에 기초하는 것으로 한다. 더욱, 도면의 치수 비율은 도시된 비율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첩부제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에 있어서, 첩부제 (1) 는, 지지체 (2) 와, 지지체 (2) 상에 배치된 점착제층 (3) 과, 점착제층 (3) 상에 배치된 박리 시트 (4) 로 구성되어 있다. 첩부제 (1) 는, 박리 시트 (4) 를 박리한 후, 환자 등의 피부에 점착제층 (3) 이 밀착되도록 첩부하여 사용된다.
먼저, 신축성을 갖는 지지체 (2) 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지지체 (2) 는, 권축 가공이 실시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멀티필라멘트사를 2 단 이상 갖는 양면 메리야스뜨기의 직포 (편포) 이다. 도 2 에, 멀티필라멘트사를 2 단 갖는 양면 메리야스뜨기의 메시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2 에서는, 메시 구성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해칭을 넣었으며, 실의 종류가 상이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지지체 (2) 로서의 편포는, 그 단위 면적당 질량 (단위당 질량) 이 80 ~ 150 g/㎡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후술하는 점착제를 편포에 도포할 때에, 점착 기제 (점착제층 (3) 을 구성하는 성분 중, 점착성을 갖는 성분을 말한다. 이하 동일) 가 편포의 메시를 통해서 스며나오지 않고,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 기제와의 투묘성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 첩부시에 사지 관절을 비트는 동작을 실시하였다고 해도, 첩부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박리 시에는 점착제를 남기지도 않는다.
또 지지체 (2) 는, JIS L 1018 의 방법에 따라 측정했을 경우, 세로 방향 (장축 방향) 모듈러스가 2 ~ 12 N/5 ㎝, 가로 방향 (단축 방향) 모듈러스가 2 ~ 8 N/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세로 방향이란 편포를 제조하는 공정에서의 흐름 방향을 가리키고, 가로 방향이란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폭 방향을 가리킨다.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이 2 N/5 ㎝ 보다 낮은 모듈러스이면, 점착제를 도포할 때에 편포가 신장되어 메시에서 점착제가 스며나오고, 첩부제로서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고, 또, 세로 방향이 12 N/5 ㎝ 보다 높은 모듈러스인 경우, 또는 가로 방향이 8 N/5 ㎝ 보다 높은 모듈러스인 경우, 신축성이 떨어져 몸의 굴곡부에 적용했을 때 피부의 비틀림에 의한 부분 박리가 발생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모듈러스는 실온 (25 ℃) 의 값이다.
다음으로, 점착제층 (3) 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3) 은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이 점착제는 약물인 살리실산메틸과 점착 기제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점착제층 (3) 에 있어서의 액상 유기 성분의 함유량은, 점착제층 전체 질량 기준으로 25 ~ 50 질량% 이다. 또한, 액상 유기 성분이란 실온 (25 ℃) 에서 유동성이 있는 유기 물질을 말한다. 이 중 살리실산메틸의 함유량은, 점착제층 전체 질량 기준으로 10 질량% 이상이다. 이 농도 범위에 있는 본 발명의 첩부제 (1) 는, 상기한 소정의 지지체 (2) 를 가짐으로써 첩부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살리실산메틸의 함유량은, 충분한 약물 방출성 및 경피 흡수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10 ~ 15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12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제층 (3) 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점착 기제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점착제층 (3) 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25 ~ 50 질량% 함유한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은, 30 ~ 45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25 질량% 를 하회하는 경우에는 탄력성이 약해지는 경향이 있고, 또 50 질량% 를 상회하는 경우에는, 보형성이 열등한 경향이 있다. 점착 기제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계 점착제 이외에,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앞서의 두 가지를 제외함), 폴리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및 이들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계 점착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점착 부여제를 함유하는 것을 들 수 있으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자체가 점착성을 갖는 경우에는 점착 부여제의 사용은 필수적이지 않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계 점착제에 사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아세트산비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부틸렌, 실리콘 고무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중, 응집성, 내후성, 대노화성, 내약품성의 관점에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는, 카리플렉스 TR-1107, TR-1111, TR-1112, TR-1117 (이상, 쉘 화학 (주)), 퀸타크 3530, 3421, 3570 C (이상, 닛폰 제온 (주)), JSR SIS-5000, JSR SIS-5002 (이상, 닛폰 합성고무 (주)), 크레이톤 D-KX401CS, D-1107 CU (이상, 쉘 화학 (주)), 소르푸렌 428 (필립 패트로리엄 (주)) 등을 들 수 있고,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로는,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옥틸,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 모노머의 적어도 1 종을, 첩부제의 사용 온도에서 점착성을 발휘하는 모노머 비로 중합 또는 공중합시킨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여기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한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다른 용법에서도 동일하다. 또한, 공중합을 위한 모노머는 (메트)아크릴계 이외의 모노머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를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통상 그 자체로 점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점착 부여제의 첨가는 필수적이지 않으나, 점착 부여제를 첨가하여 택이나 탄성률 등을 제어해도 된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고 Tg 모노머 (단독 중합했을 때에 유리 전이점이 실온보다 높은 모노머) 와 저 Tg 모노머 (단독 중합했을 때에 유리 전이점이 실온 미만인 모노머) 를 조합한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고 Tg 모노머로는 극성에서 고접착성에 공헌하는 (메트)아크릴산이 바람직하고, 저 Tg 모노머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4 ~ 12 (바람직하게는, 4 ~ 8) 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알킬기의 수소 원자가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가 바람직하다.
고무계 점착제로는 천연 고무계 점착제, 폴리이소부틸렌계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천연 고무계 점착제는 천연 고무와 점착 부여제로 이루어지고, 폴리이소부틸렌계 점착제는 각종 분자량의 폴리이소부틸렌으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서 각종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폴리이소부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의 혼합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계 점착제로는 지방족계 폴리우레탄 점착제, 방향족계 폴리우레탄 점착제를 들 수 있고, 실리콘계 점착제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머, 폴리메틸비닐실록산, 폴리메틸페닐실록산 등의 실리콘 생고무와 MQ 레진 ((CH3)2SiO1/2 등의 「M 단위」와 SiO2 등의 「Q 단위」로 이루어지는 3 차원 구조의 실리콘 레진) 을 함유하는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나 점착 부여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기제의 함유량은, 점착제층 (3) 의 응집력이나 보형성의 관점에서,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35 ~ 9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85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 기제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계 점착제나 고무계 점착제는, 점착성을 발휘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점착 부여제를 함유한다. 점착 부여제를 첨가하지 않고 그 자체가 점착성인 점착 기제에 대해서도 점착 부여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착 부여제로는, 로진계 수지 및/또는 석유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로진계 수지로는, 천연 수지 로진, 변성 로진, 로진에스테르 (로진글리세린에스테르, 로진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 등), 수첨 로진에스테르 (수첨 로진글리세린에스테르, 수첨 로진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 등) 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피부 자극성, 내노화성의 관점에서 수첨 로진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수첨 로진글리세린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로진계 수지로는, 구체적으로는 에스테르 고무 H, 파인 크리스타르 KE-100, KE-311 (이상, 아라카와 화학 공업 (주)), 포라르 85, 포라르 105, 스테베 라이트 에스테르 7, 스테베 라이트 에스테르 10 (이상, 리카 하큐레스 (주)) 등을 들 수 있고,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석유계 수지로는, C5 계 합성 석유 수지 (이소프렌, 시클로펜타디엔, 1,3-펜타디엔, 1-펜텐 중 적어도 2 종의 공중합체 ; 2-펜텐, 디시클로펜타디엔 중 적어도 2 종의 공중합체 ; 1,3-펜타디엔 주체의 수지 등), C9 계 합성 석유 수지 (인덴, 스티렌, 메틸인덴, α-메틸스티렌중 적어도 2 종의 공중합체 등), 디시클로펜타디엔계 합성 석유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을 주체로 하는 이소프렌 및/또는 1,3-펜타디엔과의 공중합체 등) 등을 들 수 있고, 내후성, 점착 기제와의 상용성 관점에서 C9 계 합성 석유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석유계 수지로는, 다른 분류 관점에서, 지환족계 석유 수지 (지환족계 포화 탄화수소 수지 등의 지환족계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계 수첨 석유 수지, 지방족계 석유 수지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 지방족계 수첨 석유 수지, 방향족계 석유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점착력, 점착 기제와의 상용성, 내노화성의 관점에서 지환족계 석유 수지, 지환족계 수첨 석유 수지가 바람직하고, 지환족계 수첨 석유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석유계 수지로는, 구체적으로는 아르콘-P70, 아르콘 P-90, 아르콘 P-100, 아르콘 P-115, 아르콘 P-125 (이상, 아라카와 화학 공업 (주)), 에스코레츠 8000 (엣소 석유 화학 (주)) 등을 들 수 있고,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 (3) 은, 상기한 로진계 수지 및/또는 석유계 수지에 더하여, 테르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 자일렌계 수지 등의 기타 종류의 점착 부여제를 추가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점착 부여제는, 본 발명의 첩부제 (1) 의 점착제층 전체 질량 기준으로 10 ~ 30 질량% 가 배합되고, 바람직하게는 15 ~ 25 질량% 로 배합된다. 또한, 상기한 배합량이 10 질량% 미만에서는 점착 물성의 저하 및 점착시의 박리가 발생하기 쉽고, 배합량이 30 질량% 를 초과하면 발진이나 박리시의 통증 발생을 수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첩부제 (1) 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3) 에는, 상기 약물, 점착 기제 및 점착 부여제 외에 흡수 촉진제를 함유해도 된다. 이와 같은 흡수 촉진제로는, 종래 피부에서의 흡수 촉진 작용이 인정되는 화합물이면 되고, 예를 들어, (1) 탄소 사슬수 6 ~ 20 의 지방산, 지방족계 알코올, 지방산 아미드, 지방산 에테르 (이상은, 포화, 불포화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 고리형, 직쇄형, 분지형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 (2) 방향족계 유기산, 방향족계 알코올, 방향족계 유기산에스테르, 에테르 ; 및 (3) 락트산에스테르류, 아세트산에스테르류, 모노테르펜계 화합물, 세스퀴테르펜계 화합물, 에이존 (Azone), 에이존 (Azone) 유도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Span 계), 폴리소르베이트계 (Tween 계),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계 (HCO 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자당지방산에스테르류, 식물유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프릴산, 카프린산, 카프론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산, 리놀렌산,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 미리스트산미리스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틴산세틸,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계피산, 계피산메틸, 크레졸, 락트산세틸, 락트산라우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제라니올, 티몰, 오이제놀, 테르피네올, l-멘톨, 보르네올, d-리모넨, 이소오이제놀, 이소보르네올, 네롤, dl-캠퍼,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린모노카프레이트,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자당모노라우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20, 프로필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HCO-60, 피로티오데칸, 올리브유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올레산,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 l-멘톨,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린모노카프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피로티오데칸이 보다 바람직하고, 올레산, 올레일알코올, l-멘톨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l-멘톨은, 진통 작용을 가짐과 함께, 살리실산메틸의 경피 흡수를 촉진하는 효과를 갖기 때문에 점착제층 전체 질량 기준으로 1 질량% 이상의 l-멘톨을 함유시킴으로써 국부에 있어서의 소염 진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첩부제 (1) 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3) 에는, 가소제를 추가로 함유시켜도 된다. 이와 같은 가소제로는, 유동 파라핀, 석유계 오일 (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 나프텐계 프로세스 오일, 방향족계 프로세스 오일 등), 스쿠알란, 스쿠알렌, 식물계 오일 (올리브유, 동백유, 피마자유, 톨유, 낙화생유 등), 실리콘 오일, 2염기산에스테르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등), 액상 고무 (폴리부텐, 액상 이소프렌 고무 등), 살리실산글리콜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유동 파라핀, 액상 폴리부텐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가소제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고, 점착제층 (3) 을 구성하는 조성물 전체에 기초하는 가소제의 함유량은, 충분한 투과성 및 첩부제로서의 충분한 응집력의 유지를 고려하여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5 ~ 7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60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50 질량% 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배합된다.
또, 본 발명의 첩부제 (1) 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3) 에는, 필요에 따라서 항산화제, 충전제, 가교제, 방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더욱 배합해도 된다. 이와 같은 항산화제로는, 토코페롤 및 이들 에스테르 유도체,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스테아르산에스테르, 노르디하이드로구아야레트산,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BHT),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등이 바람직하다. 충전제로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규산염 (예를 들어,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등), 규산, 황산바륨, 황산칼슘, 아연산칼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등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는, 아미노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알키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텔 등의 열경화성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유기계 가교제,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 등의 무기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방부제로는, 파라옥시벤조산에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파라옥시벤조산부틸 등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p-아미노 벤조산 유도체, 안트라닐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쿠마린 유도체, 아미노산계 화합물, 이미다졸린 유도체, 피리미딘 유도체, 디옥산 유도체 등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항산화제, 충전제, 가교제, 방부제, 자외선 흡수제는 첩부제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1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2 질량% 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배합된다.
또, 본 발명의 첩부제 (1) 는, 지지체 (2) 및 점착제층 (3) 외에, 박리 시트 (4) 와 같이 사용시에 박리되는 박리 피복물이 추가로 적층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첩부제 (1) 는 제조, 보존 및 사용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박리 피복물로는, 박리 처리 (예를 들어 실리콘 처리) 를 실시하는 박리지, 셀로판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합성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첩부제 (1) 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첩부제 (1) 에 있어서의 제조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적으로 언급되는 용제법, 또는 핫멜트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용제법의 경우에는, 먼저 상기 약물을 함유하는 점착제의 각 구성 성분을 각각 소정 비율이 되도록 헥산, 톨루엔, 아세트산에틸 등의 유기 용제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균일한 용해물을 얻는다. 다음으로, 이 용해물을 지지체 (2) 상에 전연 후 건조기에 의하여 건조시켜 유기 용제를 휘발 제거시킨 후에 박리 피복물로 씌우거나, 혹은 박리 피복물에 전연 후 건조기에 의하여 건조시켜 유기 용제를 휘발 제거시킨 후에 지지체 (2) 에 압착 전사시켜도 된다.
핫멜트법의 경우, 먼저 약물 이외의 상기 점착제를 구성하는 제성분을 각각 소정의 비율로 질소 등의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150 ~ 200 ℃ 의 온도 조건에서 가열 혼합한 후, 약물을 첨가하고, 더욱 교반하여 균일한 융해물을 얻는다. 이 융해물을 직접 지지체 (2) 상에 전연하고, 박리 피복물로 씌운 후에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거나, 혹은 일단 이 융해물을 박리 피복물 상에 전연하고, 더욱 지지체 (2) 상에 씌워 융해물을 지지체 (2) 상에 압착 전사시킨 후에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해도 된다. 에너지 효율이 좋고, 작업자의 건강이나 환경에 대하여 바람직하다는 점으로 핫멜트법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첩부제 (1) 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3) 의 두께 (후술하는 지지체 (2) 및 박리 피복물의 두께는 포함되지 않는다) 는 50 ~ 3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200 ㎛ 이다. 또한, 상기의 두께가 50 ㎛ 미만에서는 점착성이나 부착성의 지속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의 두께가 300 ㎛ 를 초과하면 응집력이나 보형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 점착제층 (3) 의 도포량 (도고량 (塗膏量)) 으로는, 지지체 (2) 상에 80 ~ 210 g/㎡ 의 도고량이 되도록 점착제층 (3) 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20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 180 g/㎡ 이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각 기제 성분, 약물, 그 밖의 첨가 성분을 배합하는 순서는 그 일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첩부제 (1) 의 제조 방법은 이 배합 순서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제층 (3) 의 저장 탄성률 (G´) 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용한 점착제층 (3) 은, 바람직하게는 10 ㎮ (37 ℃) 에 있어서 30000 ~ 75000 ㎩ 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2000 ~ 70000 ㎩ 의 범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0 ~ 65000 ㎩ 범위의 저장 탄성률 (G´) 을 갖는다. 이 범위로 함으로써, 양호한 첩부성과 지지체 (2) 로 스며나오는 것을 억제한 첩부제로 할 수 있다. 저장 탄성률이 30000 ㎩ 미만인 경우에는, 고체 (膏體) 의 잔류물이 발생되는 등 첩부성이 적절하지 않고, 75000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약물 방출성이나 경피 흡수성이 저하되어 자극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첩부제 (1) 의 투습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투습도는, JIS Z 208 에 규정하는 방법에 따라, 온도 40 ℃, 상대 습도 90 % 의 조건에서 측정했을 경우, 1 ~ 350 g/㎡·24 hr 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호한 경피 흡수성 및 지속적인 첩부성을 보다 발휘할 수 있는 관점에서, 투습도는 1 ~ 200 g/㎡·24 h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 100 g/㎡·24 h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첩부제 (1) 의 투습도는, 고체의 두께나 첩부제 제조시의 압착도에 의해서 좌우되지만, 당업자라면 투습도를 상기 범위가 되도록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첩부제 (1) 에 있어서의, 살리실산메틸, 그 대사물이며 소염 진통 작용을 발휘하는 물질인 살리실산, 및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의 1 질량% 이상 배합되는 경우의 l-멘톨의 혈장중의 AUC0 -24 (혈중 농도 시간 곡선하 면적) 와 Cmax (최대 혈중 농도) 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의 약물 및 대사물의 혈중 농도의 측정은, 예를 들어 FDA (미국 식품 의약품국) 의 가이드 라인 (Gaidance for Industry = Bioanalytical Method Validation) 에 준거하여 실시된다.
살리실산메틸이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의 10 % 이상 배합된 본 발명의 첩부제 (1) 의 경우, 첩부제 (1) 의 도고량이 50 ~ 300 g/㎡ 이고, 또한 280 ㎠ 의 면적에서 인간에게 8 시간 경피 투여되었을 때, 살리실산메틸의 혈장중의 AUC0 -24 가 6 ~ 60 ng·hr/㎖ 로 되고, 살리실산의 혈장중의 AUC0 -24 가 2900 ~ 24000 ng·hr/㎖ 로 되고, l-멘톨의 혈장중의 AUC0 -24 가 13 ~ 220 ng·hr/㎖ 로 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국부에 있어서의 소염 진통 효과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첩부 조건하에서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 및 l-멘톨의 AUC0 -24 는, 각각 8 ~ 30 ng·hr/㎖, 4000 ~ 8000 ng·hr/㎖, 25 ~ 80 ng·hr/㎖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첩부제 (1) 는, 상기의 첩부 조건하에서 살리실산메틸의 혈장중의 Cmax 가 2 ~ 125 ng/㎖ 로 되고, 살리실산의 혈장중의 Cmax 가 450 ~ 2700 ng/㎖ 로 되고, l-멘톨의 혈장중의 Cmax 가 2 ~ 30 ng/㎖ 로 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국부에 있어서의 소염 진통 효과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의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 및 l-멘톨의 Cmax 는 각각 5 ~ 20 ng/㎖, 750 ~ 1400 ng/㎖, 5 ~ 15 ng/㎖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첩부제 (1) 에 의하면, 상기 범위 내의 AUC0 -24 및 Cmax 를 얻을 수 있다. AUC0 -24 및 Cmax 는 첩부제 (1) 의 면적, 고체의 두께 및 피험자의 개인차에 따라서 좌우되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첩부제 (1) 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파라미터를 소정의 수치 범위 내가 되도록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첩부제 (1) 을 70 ㎠ 또는 그 밖의 면적에서 8 시간 첩부한 경우에는, AUC0-24 및 Cmax 는 투여 면적의 감소에 따라 작아지는 것은 분명하다. 또, 상기의 파라미터는, 첩부제 (1) 을 적용함으로써 얻어진 값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 표 1 의 성분 (질량%) 중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제성분 (약물 이외) 을 각각 소정의 비율로 질소 등의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150 ~ 200 ℃ 에서 가열 혼합하고, 약물을 첨가한 후에 더욱 교반하여 균일한 용해물을 얻는다. 다음으로, 용해물을 박리 피복물 상에 전연하고, 추가로 지지체로서 양면 메리야스뜨기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표 2 참조) 에 씌워 용해물을 압착 전사시킨 후, 7 × 10 ㎝ 가 되도록 사각으로 절단하고, 첩부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저장 탄성률의 측정)
각 온도 및 주파수에 대한 저장 탄성률 (G´) 을 얻기 위하여,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ARES :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 를 사용한다. 이 장치는 Orchestrator 소프트웨어 버전 6.5.8 로 제어하였다. 약 2 ㎜ 의 간극으로 분리된 직경 8 ㎜ 의 평행하는 플레이트를 사용한다. 측정 포인트 수는 각 오더에 있어서 10 포인트 측정하고, 각 포인트에서 3 초 간 방치하고, 측정 온도는 37 ℃ 로 하였다. 주파수는 10 ㎮ 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시험의 디스토션은 0.1 ~ 30 % 로 측정하였다. 이상의 측정 조건을 설정한 후, 디스토션 의존적 측정을 개시하였다. 이 디스토션의 데이터로부터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저장 탄성률 (G´) 을 계산하였다. 결과를 표 3 및 도 3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인간에 의한 자극성 시험)
실시예 1 ~ 3, 비교예 1, 2 에 대하여, 이하의 수법에 의하여 관능성을 평가하였다. 6 명의 피험자 (건강한 정상인·남성) 의 팔의 팔꿈치부 또는 다리의 무릎부의 좌우에 6 시간 첩부하여, 자극의 지속성 및 박리 후의 고체 잔류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자극의 지속성에 대해서는, 자극의 세기를 「적당」또는 「약함」으로 평가하고, 고체 잔류물에 대해서는, 고체의 유무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4 및 5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비교예 1 및 2 는, 어느 것이나 자극의 지속성이 약하고, 또한 비교예 1 에서는 고체 잔류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일방, 저장 탄성률 (G´) 이 30000 ~ 75000 ㎩ 인 실시예 1 ~ 3 에 의해 자극의 지속성과 첩부성이 우수한 첩부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 3 에 대해서는, 6 시간의 첩부성은 양호하여 발진도 발생되지 않았다.
(투습도의 측정)
실시예 1 의 첩부제의 투습도는, 컵법 (JIS Z 0208) 에 따라, 온도 40 ℃, 상대 습도 90 % 에서 측정하였다.
시험편으로는, 실시예 1 에 따라 제조한 첩부제를 직경 약 70 ㎜ 의 원형으로 타발 (打拔) 한 것 (n = 3) 을 사용하고, 흡습제로는 무수 염화칼슘 (입도는 표준 채 2380 ㎛ 를 통과하고 590 ㎛ 에서 걸러지는 것) 을 사용하고, 컵은, Y.S.S 테스터 No.3525 (야스다 기계 제작소) 를 사용하였다.
먼저, 흡습제를 넣은 유리 접시를 컵에 넣고, 수평으로 유지한 컵 대에 얹었다. 첩부제의 지지체가 위가 되도록, 시험편을 컵과 동심이 되는 위치에 얹고, 가이드를 컵 대의 홈에 맞추어 씌웠다. 가이드에 맞추어 시험편이 컵의 상측 가장자리에 밀착될 때까지 링을 밀어넣고, 그 위에 추를 얹고, 그 후 링이 이동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가이드를 수직으로 끌어올려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컵을 수평하게 회전시키면서, 용융된 봉랍제 (封蠟劑) 를 컵의 둘레 가장자리의 홈에 흘려 넣어 시험편의 가장자리를 봉하고, 봉랍이 고화 (固化) 된 후에 추 및 컵대를 제거하여 시험체로 하였다 (n = 3).
컵의 초기 질량을 측정한 후, 시험체를 온도 40 ℃, 상대 습도 90 % 의 시험 조건으로 유지한 항온 항습 장치 중에 방치하고, 24 시간 후 꺼냈다. 시험체를 30 분간 데시케이터에 보관하고, 칭량하는 조작을 2 회 반복하여 컵의 질량을 측정하였다. 이 질량에서 초기 질량을 뺀 값을 질량 증가량으로 하고, 1 ㎡ 당으로 환산한 질량 증가량을 투습도 (g/㎡·24 h) 로 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의 첩부제의 투습도는, 5 ~ 120 g/㎡·24 h 였다.
(혈장중 농도의 측정)
실시예 1 의 첩부제 280 ㎠ (살리실산메틸 : 336 mg ; l-멘톨 : 100 mg) 이 되도록 7 명의 피험자 (건강한 정상인·남성) 에게 8 시간 첩부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채혈을 실시하였다. 채혈은 첩부 개시시부터, 0, 0.5, 1, 2, 3, 4, 6, 8, 10, 12, 18, 및 24 시간 후에 각각 실시하고 1 회의 채혈량은 7 ㎖ 였다.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메틸의 대사물인 살리실산, 및 l-멘톨의 혈장중 농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은, 살리실산에 대하여 액체 크로마토그램 매스스펙트럼법에 의해서, 살리실산메틸 및 l-멘톨에 대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램 매스스펙트럼법에 의해서 실시된다. 각각의 측정법은, 사전에 측정 신뢰성을 확인 (밸리데이트) 하였다. 또한, 첩부중의 혈장중 농도로는, 실제의 측정값에서, 첩부전의 내인성 농도 (첩부 개시 후 0 시간의 측정값) 를 뺀 값을 사용하였다. Cmax 및 AUC0 -24 는, 이것들의 혈장중 농도의 측정값의 시간적 추이에서 산출하였다.
살리실산, 살리실산메틸 및 l-멘톨의 혈장중 농도의 시간적 추이를 도 4 ~ 도 6 에 나타낸다. 또, 각각의 약물에 대한 동태 파라미터 (Cmax 및 AUC0-24 의 평균치, 최대치, 최소치) 를 표 6 에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의 평균치는 7 명의 피험자의 평균치로서, 표준 편차 (SD) 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또한, 이 혈중 농도의 측정은, FDA (미국 식품 의약품국) 의 가이드 라인 (Gaidance for Industry = Bioanalytical Method Validation) 에 준거하여 실시하였다.
Figure pct00006
상기에서 얻어진 혈장중의 각 파라미터를, Journal of Clin Pharmacol 2004 ; 44 : 1151-1157 로 측정한 살리실산메틸 및 l-멘톨의 혈장중 농도로부터 0 시간의 값을 뺀 값과 비교할 경우, 본 발명의 첩부제 280 ㎠ (살리실산메틸 : 336 mg ; l-멘톨 : 100 mg) 를 첩부했을 경우의 살리실산메틸 및 l-멘톨의 Cmax 및 AUC0 -24 는, Journal of Clin Pharmacol 2004 ; 44 : 1151-1157의 첩부제 8 매 (살리실산메틸, 74.88 mg × 8 = 599 mg ; l-멘톨, 37.44 × 8 = 299.5 mg) 를 첩부했을 때의 값에 가까웠다. 이 점에서, 본 발명의 첩부제에 의하면, 각 유효 성분의 충분한 혈장중 농도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첩부제에 의하여, 국소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의 경피 흡수도 충분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첩부제는 국소에 있어서의 소염 진통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Claims (6)

  1. 신축성을 갖는 지지체와, 그 지지체의 적어도 편면에 적층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첩부제로서,
    상기 신축성을 갖는 지지체는, 권축 가공이 실시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멀티필라멘트사를 2 단 이상 갖는 양면 메리야스뜨기의 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제층은, 그 층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25 ~ 50 질량% 의 액상 유기 성분 및 25 ~ 50 질량% 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고, 상기 액상 유기 성분으로서 살리실산메틸을 상기 기준으로 10 질량% 이상 함유하고 있고,
    상기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 (G´) 이 10 ㎮, 37 ℃ 에 있어서 30000 ~ 75000 ㎩ 인 첩부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부틸렌 및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첩부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점착 부여제로서 로진계 수지 및/또는 석유계 수지를 함유하는 첩부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은, 상기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10 ~ 30 질량% 인 첩부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포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80 ~ 150 g/㎡ 이고, 또한, 세로 방향 (장축 방향) 모듈러스는 2 ~ 12 N/5 ㎝ 이며, 가로 방향 (단축 방향) 모듈러스는 2 ~ 8 N/5 ㎝ 인 첩부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첩부제 전체로서 온도 40 ℃, 상대 습도 90 % 에서 측정한 투습도는, 1 ~ 350 g/㎡·24 hr 인 첩부제.
KR1020107018888A 2008-01-31 2009-01-22 첩부제 KR101496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21636 2008-01-31
JP2008021636 2008-01-31
PCT/JP2009/050987 WO2009096315A1 (ja) 2008-01-31 2009-01-22 貼付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880A true KR20100110880A (ko) 2010-10-13
KR101496499B1 KR101496499B1 (ko) 2015-02-26

Family

ID=40912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888A KR101496499B1 (ko) 2008-01-31 2009-01-22 첩부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382729B2 (ko)
EP (1) EP2246059B1 (ko)
JP (1) JP5738531B2 (ko)
KR (1) KR101496499B1 (ko)
CN (1) CN101932329A (ko)
AU (1) AU2009210117B2 (ko)
BR (1) BRPI0906630B1 (ko)
CA (1) CA2713946C (ko)
MX (1) MX2010008456A (ko)
MY (1) MY163481A (ko)
NZ (1) NZ587115A (ko)
RU (1) RU2474418C2 (ko)
TW (1) TWI424857B (ko)
WO (1) WO20090963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9574A (ko) 2012-12-17 2014-06-2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균일하게 개선된 생분해성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6112A1 (en) * 2010-09-03 2013-08-29 Medrx Co., Ltd. Percutaneous absorbent and adhesive sheet for skin patch
CN103834347B (zh) * 2012-11-20 2016-06-08 黄斐 粘胶、采用粘胶制备的粘胶贴、粘胶贴的制造方法及应用
US20160128950A1 (en) * 2013-06-28 2016-05-12 Sumair Mitroo Tape having transdermal analgesic properties
JP2018537451A (ja) * 2015-11-16 2018-12-20 ノーヴェン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経皮薬物送達システムのための伸縮可能なバッキング層
CN110114064A (zh) * 2016-12-28 2019-08-09 久光制药株式会社 贴剂
MY193644A (en) * 2018-03-30 2022-10-21 Mitsui Chemicals Inc Multilayer nonwoven fabric, stretchable multilayer nonwoven fabric, fiber product, absorbent article, and sanitary mask
US11872320B2 (en) 2021-02-25 2024-01-16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Method for treating osteoarthriti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886B1 (ko) 1981-08-30 1997-06-19 히사미쯔세이야꾸 가부시기가이샤 소염진통 첩부제
US5607388A (en) * 1994-06-16 1997-03-04 Hercules Incorporated Multi-purpose wound dressing
TW411277B (en) * 1996-05-13 2000-11-1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Percutaneous tape preparation containing fentanyl
JPH10109945A (ja) * 1996-10-04 1998-04-28 Hisamitsu Pharmaceut Co Inc 可塑剤および該可塑剤を含有する貼付剤
US6620430B2 (en) 1996-12-06 2003-09-16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Plaster containing felbinac
CN1126540C (zh) 1996-12-06 2003-11-05 久光制药株式会社 含有联苯乙酸的贴剂
KR20000069655A (ko) 1996-12-23 2000-11-25 데이비드 엠 모이어 피부에 확고히 국소 부착되고 편안하게 떼어지는 접착제
JP4584381B2 (ja) 1999-07-30 2010-11-17 久光製薬株式会社 フェルビナク含有貼付剤
WO2001043729A1 (fr) 1999-12-15 2001-06-2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Preparations d'adhesifs
US6924410B2 (en) 2000-03-17 2005-08-02 Hisamitsu Pharmaceutical Co., Ltd. Ultraviolet-screening patch
US6914169B1 (en) 2000-05-19 2005-07-05 Hisamitsu Pharmaceutical., Inc. Patch agent
BR0111580A (pt) * 2000-06-13 2003-09-16 Hisamitsu Pharmaceutical Co Curativo
US6448303B1 (en) * 2000-12-29 2002-09-10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Hot melt adhesives for dermal application
JP2003169823A (ja) * 2001-09-27 2003-06-17 Lion Corp 貼付剤
JP2004121828A (ja) * 2002-08-02 2004-04-22 Bando Chem Ind Ltd 皮膚貼付薬用基材シートとこれを用いてなる皮膚貼付薬
TWI327074B (en) 2003-05-07 2010-07-1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Ultra violet shielding patch
JP4596751B2 (ja) * 2003-06-11 2010-12-15 帝國製薬株式会社 消炎鎮痛貼付剤
JP2005187331A (ja) * 2003-12-24 2005-07-14 Lion Corp 口腔粘膜又は歯茎貼付用製品及びゲル組成物の選定方法
JP4664281B2 (ja) 2004-03-29 2011-04-06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JP4812268B2 (ja) * 2004-08-03 2011-11-0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揮発抑制剤、揮発性成分含有組成物および貼付剤
JP2006248996A (ja) * 2005-03-10 2006-09-21 Nitto Denko Corp 経皮吸収型貼付剤
AU2006221389B2 (en) 2005-03-10 2011-04-28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Adhesive and adhesive patch
US20060263420A1 (en) 2005-03-10 2006-11-23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Adhesive and plaster
KR101396446B1 (ko) * 2005-06-01 2014-05-20 니프로 패치 가부시키가이샤 첩부제
JP2007015963A (ja) * 2005-07-06 2007-01-25 Hisamitsu Pharmaceut Co Inc 貼付剤
JP5129925B2 (ja) 2005-12-07 2013-01-30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GB0621926D0 (en) * 2006-11-03 2006-12-13 Medlock Medical Ltd Multi directional stretch tubular bandag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9574A (ko) 2012-12-17 2014-06-2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균일하게 개선된 생분해성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38531B2 (ja) 2015-06-24
EP2246059B1 (en) 2014-06-04
JPWO2009096315A1 (ja) 2011-05-26
MX2010008456A (es) 2010-08-30
NZ587115A (en) 2011-10-28
US8382729B2 (en) 2013-02-26
EP2246059A4 (en) 2013-10-09
RU2474418C2 (ru) 2013-02-10
BRPI0906630A2 (pt) 2015-07-14
TW200946145A (en) 2009-11-16
CN101932329A (zh) 2010-12-29
TWI424857B (zh) 2014-02-01
MY163481A (en) 2017-09-15
EP2246059A1 (en) 2010-11-03
AU2009210117A1 (en) 2009-08-06
CA2713946A1 (en) 2009-08-06
KR101496499B1 (ko) 2015-02-26
RU2010136318A (ru) 2012-03-10
US20100318042A1 (en) 2010-12-16
WO2009096315A1 (ja) 2009-08-06
CA2713946C (en) 2015-12-15
AU2009210117B2 (en) 2013-10-03
BRPI0906630B1 (pt)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4299B (zh) Patch
KR20100110880A (ko) 첩부제
KR20200074186A (ko) 로티고틴 함유 첩부제
KR102477519B1 (ko) 첩부제
KR20210137247A (ko) 로티고틴 함유 첩부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