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519B1 - 첩부제 - Google Patents

첩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519B1
KR102477519B1 KR1020217029702A KR20217029702A KR102477519B1 KR 102477519 B1 KR102477519 B1 KR 102477519B1 KR 1020217029702 A KR1020217029702 A KR 1020217029702A KR 20217029702 A KR20217029702 A KR 20217029702A KR 102477519 B1 KR102477519 B1 KR 102477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adhesive layer
acid
sensitive adhes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9123A (ko
Inventor
나오토 가마쿠라
아키오 다케우치
히사카즈 구리타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29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5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6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group being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anthranilic acid, mefenamic acid, diclofenac, chlorambuc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0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sulfur, e.g. dimethyl sulfoxide [DMSO], docusate, sodium lauryl sulfate or aminosulfon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체 상에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첩부제로서, 점착제층이, 약물, DMSO 및 점착 기제를 함유하고, 점착 기제가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고,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가 35 ∼ 65 % 의 트리 블록 함유율을 갖는, 첩부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첩부제
본 발명은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디메틸술폭시드 (DMSO) 는, 약물의 용해성이 우수한 유기 용매로서, 첩부제에서의 사용도 검토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고농도의 디클로페낙 및 그 나트륨염의 결정이 석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DMSO 함유 첩부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는, 특정한 투습성을 구비하는 지지체와 추가로 조합함으로써, 장시간 첩부한 후에도 첩부제의 부착성을 유지할 수 있는 첩부제가 개시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3/191128호 국제 공개 제2018/124089호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동작시에 신축할 수 있는 부위 (피부) 에 특허문헌 1 및 2 에 기재된 첩부제를 첩부하면, 첩부제의 일부가 박리되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아냈다.
관절은, 뼈와 뼈가 연결된 부분을 가리키고, 주로 가동 관절, 반관절, 부동 관절로 분류된다. 또한, 뼈와 뼈 사이에는 연골이 존재하여, 충격을 흡수하거나, 뼈끼리가 스쳐 다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관절의 운동에는, 굴곡, 진전, 외전, 내전, 외선, 내선, 회내, 회외, 배굴, 저굴 등이 있다. 가동 관절은, 관절두라고 하는 볼록형 형상부와 관절와라고 하는 오목형 형상부가 조합되어 이루어져 있다. 가동 관절로는, 예를 들어, 구관절 (견관절, 고관절 등), 경첩 관절 (주관절, 지절간 관절, 슬관절 등), 차축 관절 (팔꿈치의 완요 관절, 목의 환축 관절 등), 타원 관절 (손 관절 등), 안관절 (제 1 수근 중수 관절 등), 평면 관절 (족근부, 수근부 등) 을 들 수 있다. 반관절은, 뼈끼리가 연골로 결합되어 있고, 수 밀리의 범위에서 움직이는 관절로서, 연골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흡수된다. 반관절로는, 예를 들어, 치골 결합, 척주의 추간판을 들 수 있다. 부동 관절은, 뼈와 뼈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전혀 움직이지 않는 관절이며, 그 대부분은 두개골에 존재한다.
가동 관절의 근처에 있는 피부는, 주로 일상 생활 동작 또는 운동 중 등의 자세를 변화시킬 때에, 관절의 운동에 따라서 여러 방향으로 신축을 반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첩부 부위 주변의 피부가 신축을 반복하면, 첩부제 자체에도 스트레스가 가해져, 첩부제의 일부가 박리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작시에 신축할 수 있는 부위 (피부) 에 첩부했을 경우에도 잘 박리되지 않는 DMSO 함유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한 트리 블록 함유율을 갖는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점착제층에 배합하면, 가동 관절 또는 굴곡부에 첩부해도 잘 박리되지 않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 ∼ [6] 을 제공한다.
[1] 지지체 상에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첩부제로서, 점착제층이, 약물, DMSO 및 점착 기제를 함유하고, 점착 기제가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고,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가 35 ∼ 65 % 의 트리 블록 함유율을 갖는, 첩부제.
[2] 60 ℃ 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점도가 450 ∼ 900 ㎩·s 인, [1] 에 기재된 첩부제.
[3] 60 ℃ 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멜트 플로 레이트가 1.1 ∼ 2 g/10 분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첩부제.
[4] 1 ㎐ 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tanδ 가 0.53 ∼ 0.8 인,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첩부제.
[5] 동작시에 신축할 수 있는 피부에 첩부되는,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첩부제.
[6] 지지체 상에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점착제층의 지지체와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는 첩부제의 제조 방법으로서,
약물과, DMSO 와,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점착 기제를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는 공정 A 와,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가 35 ∼ 65 % 의 트리 블록 함유율이 되도록, 점착제 조성물을 질소 기류하에서 믹서를 사용하여 교반하는 공정 B 와,
공정 B 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 라이너 상에 전연 (展延) 하고, 전연된 점착제 조성물 위에 지지체를 적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첩부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동작시에 신축할 수 있는 부위 (피부) 에 첩부했을 경우에도, 잘 박리되지 않는 DMSO 함유 첩부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시에 신축할 수 있는 부위란, 예를 들어, 가동 관절 (특히, 견관절, 고관절, 주관절, 지절간 관절, 슬관절, 팔꿈치의 완요 관절, 목의 환축 관절, 손 관절, 제 1 수근 중수 관절, 족근부, 수근부) 의 움직임에 따라 신축하는 피부로서, 목부, 어깨부, 상배부, 팔꿈치부, 손목부, 요부, 하복부, 무릎부, 발목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첩부제는, 또한 응집력도 우수하여, 첩부 중 또는 첩부제를 박리할 때의 고체 잔여물을 억제할 수 있어, 의류 등을 오염시키지 않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첩부제는, 지지체 상에 점착제층을 구비한다. 점착제층은 통상적으로, 지지체의 일방의 면에 적층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점착제층의 다른 일방의 면에 박리 가능한 필름이 적층된다.
지지체는, 점착제층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지지체로는, 예를 들어, 직포 (편포도 포함한다), 부직포, 또는 무공성 혹은 다공성의 필름 (시트) 을 들 수 있다. 지지체는, 직포 및 필름의 적층체, 부직포 및 필름의 적층체여도 된다.
지지체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 폴리올레핀 (에틸렌, 프로필렌, 아세트산비닐,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비닐계 모노머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나일론 또는 비단 등), 폴리우레탄 (PU), 또는 셀룰로오스 (목면 또는 삼 등) 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두께는, 예를 들어, 0.1 ㎜ ∼ 2 ㎜ 이다. 지지체의 겉보기 중량은, 예를 들어, 30 g/㎡ ∼ 200 g/㎡ 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지지체의 두께 및 겉보기 중량은, JIS L 1906 : 2000 의 규격에 준하여 측정된다.
지지체가 직포 또는 부직포인 경우, 지지체는 추가로 고무 조성물로 코팅되어 있어도 된다. 고무 조성물은,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PIB), 폴리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SI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스티렌-이소프렌 고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고무 조성물은, 점착 부여제, 가소제, 충전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점착 부여제는, 예를 들어,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수소 첨가 로진에스테르, 테르펜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지지체가 편포인 경우, 지지체의 세로 방향 (재료 흐름 방향) 및 가로 방향 (재료 폭 방향) 의 어느 방향의 50 % 모듈러스 (JIS L 1018 : 1999) 도, 1 N/50 ㎜ ∼ 12 N/5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50 % 모듈러스가 12 N/50 ㎜ 이하인 경우, 피부의 신축에 의해 첩부제가 받는 스트레스가 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부착성이 더욱 양호해진다.
지지체가 필름인 경우, 재질은 폴리우레탄과 같은, 고투습성 (고 DMSO 투과성) 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은, 신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첩부제의, 피부에 대한 부착성 및 신축 추종성을 높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지지체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혹은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편포, 고무 조성물로 코팅된 폴리에스테르의 천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체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필름과 폴리우레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적층체, PET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또는 고무 조성물로 코팅된 폴리에스테르의 천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투습도는 400 g/㎡·24 시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높은 투습도의 지지체를 사용하면, 피부에 적용한 첩부제로부터 DMSO 가 서서히 휘산하기 때문에, 첩부제의 점착성이 보다 향상되어, 첩부제를 장시간 적용해도 박리되어 잘 떨어지지 않는다. 투습도는 본래, 물의 투과성에 대한 지표이지만, 본 발명자들은, 투습도가 높은 지지체는, 높은 DMSO 의 투과성 (휘발성) 도 갖는 것을 알아냈다. 지지체의 투습도는, 예를 들어, 422 g/㎡·24 시간 이상, 750 g/㎡·24 시간 이상, 2000 g/㎡·24 시간 이상, 2077 g/㎡·24 시간 이상, 4000 g/㎡·24 시간 이상, 5500 g/㎡·24 시간 이상, 5667 g/㎡·24 시간 이상, 또는 8408 g/㎡·24 시간 이상이어도 된다. 투습도의 상한치는, 20000 g/㎡·24 시간이어도 된다. 지지체의 투습도가 이와 같은 범위에 있으면, DMSO 가 점착제층으로부터 보다 휘산하기 쉽기 때문에, 첩부제의 점착성의 향상에, 보다 효과적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지지체의 투습도는, JIS Z 0208 : 1976 의 규격 (방습 포장 재료의 투습도 시험 방법 (컵법)) 에 있어서 정의되는, 40 ℃ 에 있어서의 투습도를 의미한다.
점착제층은, 첩부제 적용시에 피부에 압착하는 부위로서, 약물, DMSO, 및 점착 기제를 적어도 포함한다. 또한, 점착 기제는, 적어도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
약물은 DMSO 에 가용이고, 경피 투여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약물로는, 예를 들어, 록소프로펜, 펠비낙, 풀루르비프로펜,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디클로페낙 등의 소염 진통약, 부프레노르핀, 펜타닐, 부토르파놀 등의 마약성 진통약, 클로니딘, 에스트라디올, 툴로부테롤, 옥시부티닌 등을 들 수 있다. 약물은, 유리체,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으로는, 염산염, 질산염, 인산염 등의 무기산염, 아세트산염, 락트산염, 벤젠술폰산염 등의 유기산염,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등의 무기 염기염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는, 록소프로펜나트륨, 디클로페낙나트륨, 펜타닐시트르산염, 부토르파놀타르타르산염, 클로니딘염산염, 툴로부테롤염산염, 옥시부티닌염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약물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1 ∼ 30 질량% 또는 2 ∼ 20 질량% 또는 3 ∼ 10 질량% 이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로 함유되는 약물은, 그 유리체로 환산된다.
DMSO 는 약물을 용해시켜, 약물의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점착제층의 점착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들의 밸런스를 잡는 점에서, DMSO 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 ∼ 2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15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 10 질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 ∼ 10 질량%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DMSO 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약물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 : 0.1 ∼ 1 : 5 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약물이 디클로페낙나트륨인 경우, DMSO 의 함유량은, 디클로페낙나트륨을 기준으로 하여, 1 : 0.3 ∼ 1 : 4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0.4 ∼ 1 : 3, 1 : 0.6 ∼ 1 : 3, 또는 1 : 0.72 ∼ 1 : 3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DMSO 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이면, 디클로페낙나트륨의 피부 투과성이 보다 향상되고, 디클로페낙나트륨의 결정도 보다 석출되기 어렵다.
점착 기제는,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고 있으면 되고, 첩부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 기제는,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이외의 고무계 점착 기제, 아크릴계 점착 기제, 또는 실리콘계 점착 기제를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는, 가열에 의해 가소성을 나타내는 엘라스토머로서, 모노머 단위로서 스티렌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SIS) 트리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 (SI) 디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트리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디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또는 스티렌-이소프렌 고무를 들 수 있다.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트리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트리 블록 공중합체는, SIS 트리 블록 공중합체이다.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는, SIS 트리 블록 공중합체 및 SI 디블록 공중합체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소정 트리 블록 함유율을 갖는다. 트리 블록 함유율은, 35 ∼ 65 % 이면 되고, 43 ∼ 58 %, 43.54 ∼ 57.44 %, 또는 50.71 ∼ 57.44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 블록 함유율이 35 % 이상이면, 점착제층의 고체 잔여물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되고, 65 % 이하이면 부착성이 더욱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트리 블록 함유율」 이란,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전체량에 대한 트리 블록 공중합체의 비율을 의미한다. 트리 블록 함유율은, 점착제층을 유기 용매로 용해시켜, 그 전체량을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부여하고, 시차 굴절계로 검출했을 때에 얻어지는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각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피크 면적치의 비로부터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트리 블록 함유율 [%] = (트리 블록 공중합체의 피크 면적치)/(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피크 면적치의 합계) × 100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트리 블록 함유율을 원하는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트리 블록 공중합체와 다른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함유비를 적절히 조정하여 혼합해도 되고, 트리 블록 공중합체를 개질시켜도 된다. 트리 블록 공중합체를 개질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질소 기류하에서 믹서를 사용하여 교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질소 유량, 믹서의 온도, 교반하는 속도 또는 시간을 각각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트리 블록 함유율이 되도록 트리 블록 공중합체를 개질시킬 수 있다.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이외의 고무계 점착 기제는, 천연 또는 합성 고무를 주체로 하는 고분자이면 된다. 이와 같은 고무계 점착 기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PIB), 폴리부타디엔을 들 수 있다. 특히, SIS 블록 공중합체와 PIB 를 조합하면, 약물의 피부 투과성이 더욱 높아지고, 첩부제의 점착성도 보다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점착 기제가 고무계 점착 기제인 경우, 점착 기제의 함유량은, 첩부제의 점착성의 점에서,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 ∼ 70 질량%, 10 ∼ 40 질량%, 15 ∼ 50 질량%, 15 ∼ 35 질량%, 또는 30 ∼ 4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 기제는, (메트)아크릴산 또는 그 에스테르를 모노머 단위로서 포함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아크릴계 점착 기제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등의 (메트)아크릴 모노머 중 적어도 1 종을 중합 또는 공중합시킨 점착제이다. 아크릴계 점착 기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메틸/아크릴산 2-에틸헥실), 폴리(메타크릴산/아크릴산 n-부틸) 을 들 수 있다.
점착 기제가 아크릴계 점착 기제 또는 실리콘계 점착 기제인 경우, 점착 기제의 함유량은,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50 ∼ 9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 및 이것과 유사한 말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이들 양방을 의미한다.
실리콘계 점착 기제는, 예를 들어, 폴리디메틸폴리실록산, 폴리메틸비닐실록산, 및 폴리메틸페닐실록산 등의 실리콘 고무를 주성분으로 한다.
점착제층은, 그 밖의 성분 (점착 부여제, 가소제, 충전제, 안정화제, 약물의 경피 흡수 촉진제, 향료, 착색료 등) 을 추가로 함유해도 된다.
점착 부여제로서, 예를 들어, 테르펜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로진에스테르 수지, 수소 첨가 로진에스테르 수지,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및 석유계 수지를 들 수 있다. 테르펜 수지는, 수소 첨가된 테르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테르펜 수지로서, 예를 들어, α-피넨 수지, β-피넨 수지,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 및 테르펜페놀 수지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점착 부여제는, 수소 첨가 로진에스테르 수지,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및 이들의 조합이다.
가소제로서, 예를 들어, 파라핀 오일 (유동 파라핀 등), 스쿠알란, 스쿠알렌, 식물유류 (올리브유, 동백유, 피마자유, 톨유, 낙화생유, 스피어민트유, 유칼리유, 호호바유, 장뇌 백유, 해바라기유, 오렌지유 등), 유지류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등), 및 액상 고무 (액상 폴리부텐, 액상 이소프렌 고무 등) 를 들 수 있다.
충전제로는, 예를 들어, 금속 화합물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산화티탄, 탄산칼슘 등), 세라믹스 (탤크, 클레이, 카올린, 실리카,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합성 규산알루미늄,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등) 또는 유기 화합물 (셀룰로오스 분말, 스테아르산염 등) 의, 분말 또는 이것들을 포함하는 수지의 단섬유를 들 수 있다.
경피 흡수 촉진제는, 종래, 피부에서의 경피 흡수 촉진 작용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는 화합물이면 된다. 경피 흡수 촉진제로는, 예를 들어, 유기산 및 그 염 (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 6 ∼ 20 의 지방족 카르복실산 (이하, 「지방산」 이라고도 한다) 및 그 염, 신남산 및 그 염), 유기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지방산에스테르, 신남산에스테르), 유기산 아미드 (예를 들어, 지방산아미드), 지방 알코올, 다가 알코올, 에테르 (예를 들어, 지방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흡수 촉진제는, 불포화 결합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고리형, 직사슬형 또는 분기형의 화학 구조여도 된다. 또한, 경피 흡수 촉진제는, 모노테르펜계 화합물, 세스퀴테르펜계 화합물, 및 식물유 (예를 들어, 올리브유) 여도 된다. 이들 경피 흡수 촉진제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유기산으로는, 지방족 (모노, 디 또는 트리) 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시트르산 (무수 시트르산을 포함한다), 이소부티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지방산, 락트산, 말레산, 피루브산, 옥살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등), 방향족 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프탈산, 살리실산, 벤조산, 아세틸살리실산 등), 신남산, 알칸술폰산 (예를 들어,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프로판술폰산, 부탄술폰산), 알킬술폰산 유도체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술폰산, N-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N'-2-에탄술폰산), 콜산 유도체 (예를 들어, 디하이드로콜산 등) 를 들 수 있다. 이들 유기산은, 나트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지방족 카르복실산, 방향족 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염이 바람직하고, 아세트산, 아세트산나트륨 또는 시트르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을 들 수 있다.
유기산 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락트산세틸, 락트산라우릴,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신남산메틸, 지방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지방산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라우르산메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미리스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세틸을 들 수 있다. 지방산에스테르는,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여도 된다. 지방산에스테르의 구체예로는,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린모노카프레이트,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자당모노라우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20 (상품명), 프로필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Span20, Span40, Span60, Span80, Span120 (상품명), Tween20, Tween21, Tween40, Tween60, Tween80 (상품명), NIKKOL HCO-60 (상품명) 을 들 수 있다.
유기산 아미드로는, 예를 들어, 지방산아미드 (예를 들어,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 헥사하이드로-1-도데실-2H-아제핀-2-온 (Azone 이라고도 한다) 및 그 유도체, 피로티오데칸을 들 수 있다.
지방 알코올이란, 탄소 원자수 6 ∼ 20 의 지방족 알코올을 의미한다. 지방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를 들 수 있다.
모노테르펜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게라니올, 티몰, 오이게놀, 테르피네올, l-멘톨, 보르네올, d-리모넨, 이소오이게놀, 이소보르네올, 네롤, dl-캠퍼를 들 수 있다.
올레일알코올, 라우릴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린모노카프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또는 피로티오데칸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방산이 바람직하고, 올레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점도는, 60 ℃ 에 있어서 측정했을 경우에, 450 ∼ 900 ㎩·s 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 700 ㎩·s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도가 450 ∼ 900 ㎩·s 의 범위이면, 보다 양호한 부착성을 나타낸다. 점도가 450 ㎩·s 미만이면, 점착제층이 지지체에 파고들기 쉬워져, 점착력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점도가 900 ㎩·s 를 초과하면, 점착제층이 딱딱해져, 점착력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점도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점착제층의 멜트 플로 레이트는, 60 ℃ 에 있어서 측정했을 경우에, 1.1 ∼ 2 g/10 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 1.8 g/10 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멜트 플로 레이트가 1.1 ∼ 2 g/10 분의 범위이면, 보다 양호한 부착성을 나타낸다. 멜트 플로 레이트가 1.1 g/10 분 미만이면, 점착제층이 지지체에 파고들기 쉬워져, 점착력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멜트 플로 레이트가 2 g/10 분을 초과하면, 점착제층의 유동성이 나빠져, 가동 관절 또는 굴곡부에 첩부했을 때에 박리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멜트 플로 레이트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점착제층은, 32 ℃, 주파수 1 ㎐ 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 (tanδ) 이 0.53 ∼ 0.8 인 것이 바람직하고, 0.55 ∼ 0.7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손실 정접 (tanδ) 이 0.53 ∼ 0.8 의 범위이면, 보다 양호한 부착성을 나타낸다. 손실 정접 (tanδ) 이 0.53 미만이면, 점착제층의 탄성이 높아져, 가동 관절 또는 굴곡부에 첩부했을 때에 박리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손실 정접 (tanδ) 이 0.8 을 초과하면, 점착제층이 지지체에 파고들기 쉬워져, 점착력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손실 정접 (tanδ) 이란, 동적 점탄성 측정에 있어서, 약물, DMSO 및 점착 기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2 개의 판으로 사이에 끼워, 편방의 판에 주기적으로 진동하는 변형을 가했을 때의 응력의 변화를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되는 값이다. 또한, 동적 점탄성 측정은, 예를 들어, 회전식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온도 32 ℃, 주파수 1 ㎐ 에서 실시한다.
손실 정접 (tanδ) = 손실 탄성률 (G")/저장 탄성률 (G')
점착제층은, 지지체와는 반대측의, 피부에 접하는 면 상에 박리 라이너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박리 라이너는, 첩부제를 사용할 때에 제거되는 라이너로서, 첩부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박리 라이너의 재질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및 셀룰로오스 화합물 (종이 등) 을 들 수 있다. 박리 라이너는, 상기 재질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시트상이어도 된다. 박리 라이너의 표면은, 실리콘 또는 불소화 폴리올레핀 등에 의해 이형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동 관절 또는 굴곡부에 첩부해도 잘 박리되지 않는다」 란, 직사각형 (20 ㎜ × 70 ㎜) 으로 재단한 첩부제를 고무 시트 (피착체) 에 첩부하여, 압착한 후, 소정 직경을 갖는 원기둥형의 물체의 곡면부를 따라 고정시켰을 경우에, 박리된 부분의 길이 (최초로 박리된 점착제층의 단부로부터의 거리) 가 30 ㎜ 이하이고, 또한, 프로브 택 값이 0.75 N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당해 박리된 부분의 길이가 보다 짧을수록, 또는, 프로브 택 값이 높을수록, 당해 효과는 우수한 것이 된다. 이들 평가는, 예를 들어, 시험예 3 및 4 의 기재를 참고로 실시한 시험의 결과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첩부제는, 예를 들어, 다음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먼저,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균일한 조성물을 얻는다. 다음으로, 얻어진 조성물을, 박리 라이너 상에 소정 두께로 전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점착제층이 박리 라이너와 지지체 사이에 끼워지도록, 점착제층에 지지체를 압착한다. 마지막으로,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함으로써, 첩부제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박리 라이너는, 첩부제의 적용시에 제거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첩부제에 대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첩부제의 조제)
SIS 트리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및 유동 파라핀을 표 1 에 기재된 양으로 칭량하고, 질소 기류하, 믹서로 혼합한 후, 나머지 성분을 첨가하여 조성물을 얻었다. 믹서에 의한 혼합 과정에 의해, SIS 트리 블록 공중합체는, SIS 트리 블록 공중합체와 SI 디블록 공중합체의 혼합물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로 개질되었다. 얻어진 조성물을, 박리 라이너 (이형 처리를 한 PET 필름) 상에 균일하게 전연하여, 점착제층 (두께 214 ㎛, 단위 질량 214 g/㎡) 을 형성하였다. 점착제층 상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의 부직포 (지지체) 를 적층하여, 첩부제를 얻었다. 표 1 중, 각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시판되는 SIS 트리 블록 공중합체를, 각각 상이한 조건으로 개질시켜 조제한 것이다. 비교예 1 및 2 의 첩부제는 각각, 특허문헌 1 및 2 의 첩부제에 상당한다.
(트리 블록 함유율의 측정)
각 첩부제의 점착제층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으로 용해시키고, 불용물을 여과하여 시료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시료 용액을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부여하고, 이하의 조건으로 분리하여, SIS 트리 블록 공중합체 및 SI 디블록 공중합체의 피크 면적을 측정하였다. 이하의 식에 의해, 트리 블록 함유율 (SIS 함유율) 을 산출하였다.
트리 블록 함유율 (%) = (SIS 의 피크 면적치)/(SIS 의 피크 면적치 + SI 의 피크 면적치) × 100
<분석 조건>
장치명 :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시스템 (시마즈 제작소 제조)
칼럼 : TSKgel G500011XL
칼럼 온도 : 40 ℃
검출기 : 시차 굴절계 (리스폰스 시간 : 500 msec)
유속 : 1 ㎖/분
주입량 : 100 ㎕
이동상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산출된 트리 블록 함유율을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21106608491-pct00001
시험예 1 : 점도 및 멜트 플로 레이트의 측정
각 첩부제의 점착제층을 약 1 g 칭량하고, 다이공 직경 0.5 ㎜, 다이 길이 1 ㎜, 온도 60 ℃ 의 조건으로, 플로 테스터 (시마즈 제작소 제조) 를 사용하여, 점도 (단위 : ㎩·s) 및 멜트 플로 레이트 (단위 : g/10 분) 를 측정하였다.
시험예 2 : 동적 점탄성 tanδ 의 측정
각 첩부제의 점착제층을 약 130 mg 칭량하고, 플레이트 사이즈 8 ㎜, 변형 1 %, 온도 32 ℃, 갭 1 ㎜ 의 조건으로, 레오미터 (서모피셔 사이언티픽사 제조) 를 사용하여, 주파수를 0.01 ∼ 80 ㎐ 사이에서 변화시키면서, 동적 점탄성 tanδ 를 측정하였다.
시험예 3 : 내반발성 시험
각 첩부제를 직사각형 (20 ㎜ × 70 ㎜) 으로 재단하고, 지지체측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두께 250 ㎛, 20 ㎜ × 70 ㎜ 의 직사각형) 을 양면 점착 테이프로 첩부하였다. 그 후, 첩부제의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여, 고무 시트 (피착체) 에 첩부하고, 질량 1.5 ㎏ 의 롤러를 1 왕복 굴리도록 하여 압착함으로써, PET 필름, 첩부제 및 고무 시트의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직경 30 ㎜ 의 원기둥형의 물체의 곡면부를 따라 고정시켰다. 고정시키고 나서 1 분 후, 박리된 부분의 거리 (최초로 박리된 점착제층의 단부로부터의 거리, 단위 : ㎜) 를 측정하였다.
시험예 4 : 프로브 택 값의 측정
각 첩부제를 원형 (직경 22 ㎜) 으로 타발하고, 속도 1 ㎝/sec, 접촉 시간 1 초의 조건으로, 스테인리스 프로브를 사용한 프로브 택 테스터 (테스터 산업사 제조) 로 점착제층의 프로브 택 값 (단위 : N) 을 측정하였다.
시험예 5 : 90°필 측정 시험
첩부제를 직사각형 (40 ㎜ × 20 ㎜) 으로 재단하고,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였다. 노출된 점착제층의 장변측 끝으로부터 5 ㎜ 의 위치에, 직사각형 (60 ㎜ × 30 ㎜) 의 종이의 단변측 끝을 첩부한 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판에 첩부하고, 질량 2 ㎏ 의 고무 롤러를 사용하여 3000 ㎜/분의 속도로 2 왕복 굴리도록 하여 압착하였다. 즉, 종이의 일부가, 점착제층과 PTFE 판 사이에 끼워져 있고, 종이의 나머지 부분은, 점착제층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종이가 돌출된 부분을, PTFE 판의 피착면에 대하여 90˚가 되도록 되접어 꺾고, 오토 그래프 장치 (시마즈 제작소 제조) 에 세트하였다. 300 ㎜/분의 속도로 종이를 인장함으로써, 점착제층을 PTFE 판으로부터 박리했을 때의 고체 잔여물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시험예 1 ∼ 5 의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및 2 의 첩부제는, 비교예 1 및 2 의 첩부제와 비교하여, 시험예 1 ∼ 4, 특히 시험예 3 및 4 의 결과가 양호하였다. 특히 실시예 1 및 2 의 첩부제는, 가동 관절 또는 굴곡부에 첩부해도 잘 박리되지 않는 것이 시사되었다.
Figure 112021106608491-pct00002
(첩부제의 조제)
SIS 트리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및 유동 파라핀을 표 1 에 기재된 양으로 칭량하고, 질소 기류하, 믹서로 혼합한 후, 나머지 성분을 첨가하여 조성물을 얻었다. 믹서에 의한 혼합 과정에 의해, SIS 트리 블록 공중합체는, SIS 트리 블록 공중합체와 SI 디블록 공중합체의 혼합물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로 개질되었다. 얻어진 조성물을, 박리 라이너 (이형 처리를 한 PET 필름) 상에 균일하게 전연하여, 점착제층 (두께 214 ㎛, 단위 질량 214 g/㎡) 을 형성하였다. 점착제층 상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의 부직포 (지지체) 를 적층하여, 첩부제를 얻었다. 표 3 중, 각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시판되는 SIS 트리 블록 공중합체를, 각각 상이한 조건으로 개질시켜 조제한 것이다.
Figure 112021106608491-pct00003
얻어진 첩부제에 대하여, 시험예 1 ∼ 5 를 실시한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 5 의 첩부제는, 시험예 1 ∼ 4 의 결과가 양호하였다. 특히 실시예 5 의 첩부제는, 가동 관절 또는 굴곡부에 첩부해도 잘 박리되지 않는 것이 시사되었다.
Figure 112021106608491-pct00004

Claims (5)

  1. 지지체 상에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첩부제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약물, DMSO 및 점착 기제를 함유하고,
    상기 점착 기제가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고, 스티렌계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가 35 ∼ 65 % 의 트리 블록 함유율을 갖는, 첩부제.
  2. 제 1 항에 있어서,
    60 ℃ 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점도가 450 ∼ 900 ㎩·s 인, 첩부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60 ℃ 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멜트 플로 레이트가 1.1 ∼ 2 g/10 분인, 첩부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1 ㎐ 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손실 정접이 0.53 ∼ 0.8 인, 첩부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동작시에 신축할 수 있는 피부에 첩부되는, 첩부제.
KR1020217029702A 2019-02-27 2020-02-21 첩부제 KR102477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34363 2019-02-27
JP2019034363 2019-02-27
PCT/JP2020/007182 WO2020175395A1 (ja) 2019-02-27 2020-02-21 貼付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123A KR20210129123A (ko) 2021-10-27
KR102477519B1 true KR102477519B1 (ko) 2022-12-13

Family

ID=7223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702A KR102477519B1 (ko) 2019-02-27 2020-02-21 첩부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142940A1 (ko)
EP (1) EP3932489B1 (ko)
JP (1) JP7124201B2 (ko)
KR (1) KR102477519B1 (ko)
CN (1) CN113474043B (ko)
BR (1) BR112021016517A2 (ko)
ES (1) ES2966840T3 (ko)
TW (1) TWI773967B (ko)
WO (1) WO2020175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9653A (ko) * 2021-11-04 2024-05-07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128A1 (ja) 2012-06-20 2013-12-27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955A (ja) * 2001-08-29 2003-03-05 Nichiban Co Ltd 経皮吸収型貼付剤
JP2003319967A (ja) * 2002-05-02 2003-11-11 Daio Paper Corp 貼付シートまたはテープ
CN103497713B (zh) * 2004-08-05 2018-07-17 考里安国际公司 粘合剂组合物
JP4799874B2 (ja) * 2005-01-25 2011-10-26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剤
JP2007015963A (ja) * 2005-07-06 2007-01-25 Hisamitsu Pharmaceut Co Inc 貼付剤
NZ572705A (en) * 2006-08-04 2011-12-22 Hisamitsu Pharmaceutical Co ADHESIVE PREPARATION containing methyl salicylate
US20100178323A1 (en) * 2007-07-10 2010-07-15 Agis Kydonieus Dermal Delivery Device
AU2009214596B2 (en) * 2008-02-14 2014-07-31 Avery Dennison Corporation Fluid absorbent adhesive articles
JP2013184977A (ja) * 2012-03-07 2013-09-19 Km Transderm Ltd 貼付剤
WO2013187451A1 (ja) * 2012-06-12 2013-12-19 株式会社 ケイ・エム トランスダーム 貼付剤
JP2016135744A (ja) * 2013-05-08 2016-07-28 株式会社 ケイ・エム トランスダーム 貼付剤
US20180215910A1 (en) * 2015-02-11 2018-08-02 Polyone Corporation Super-vibration damping thermoplastic elastomer blends
CN105949701A (zh) * 2016-05-16 2016-09-21 上海交通大学 一种富勒烯可逆交联改性热塑性弹性体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EP3498272B1 (en) * 2016-10-11 2024-01-3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Oxybutynin-containing transdermal absorption preparation
ES2893527T3 (es) 2016-12-28 2022-02-09 Hisamitsu Pharmaceutical Co Parch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128A1 (ja) 2012-06-20 2013-12-27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24201B2 (ja) 2022-08-23
US20220142940A1 (en) 2022-05-12
TW202103695A (zh) 2021-02-01
ES2966840T3 (es) 2024-04-24
EP3932489A1 (en) 2022-01-05
CN113474043B (zh) 2024-05-14
JPWO2020175395A1 (ja) 2021-09-30
WO2020175395A1 (ja) 2020-09-03
TWI773967B (zh) 2022-08-11
BR112021016517A2 (pt) 2021-10-26
EP3932489A4 (en) 2022-11-23
KR20210129123A (ko) 2021-10-27
EP3932489B1 (en) 2023-10-25
CN113474043A (zh)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79643B2 (en) Adhesive preparation
KR102363218B1 (ko) 로티고틴 함유 첩부제
JP5738531B2 (ja) 貼付剤
KR102477519B1 (ko) 첩부제
WO2023080103A1 (ja) カバー材付き貼付剤
CN117677384A (zh) 抑制双氯芬酸吲哚酮体的生成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