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9653A -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 - Google Patents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9653A
KR20240059653A KR1020247014064A KR20247014064A KR20240059653A KR 20240059653 A KR20240059653 A KR 20240059653A KR 1020247014064 A KR1020247014064 A KR 1020247014064A KR 20247014064 A KR20247014064 A KR 20247014064A KR 20240059653 A KR20240059653 A KR 20240059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dhesive
patch
layer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4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루 구리바야시
마사후미 다케오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59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965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84Transdermal patches having a drug layer or reservoir, and one or more separate drug-free skin-adhesive layers, e.g. between drug reservoir and skin, or surrounding the drug reservoir; Liquid-filled reservoir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Abstract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는 지지체와, 지지체 상에 형성된 약물층을 갖는 첩부제부와, 커버층과, 커버층 상에 형성된 커버 점착층을 갖는 커버부를 구비하고, 첩부제부를 덮도록 커버 점착층이 지지체에 접합되어 있다. 커버층은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또한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연신율이 50 내지 300%이다. 커버 점착층은 고무계 점착 기제를 주된 점착 기제로 하는 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또한 32℃, 0.1㎐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이 0.7 내지 0.95이다.

Description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
본 발명은,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1년 11월 4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21-180374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부터, 약물을 생체 내에 투여하는 제제로서 경피·경점막 흡수 제제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취급이 용이하고 또한 약물의 유효 혈중 농도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첩부제가 주목받고 있다.
첩부제의 투여 중에 그 일부 혹은 전부가 피부로부터 박리되면, 약물의 혈중 농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첩부제를 덮도록 하여 피부에 부착함으로써, 첩부제의 박리를 방지하고, 첩부제가 피부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커버재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특정한 점착력과 신축 특성을 겸비함으로써, 첩부 제제의 피부 접착력을 보충함과 함께, 피부면에 대한 밀착성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커버 시트, 및 그 사용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1-343232호 공보
특허문헌 1을 포함하는 종래의 커버재에 있어서는, 부착성이 불충분하거나, 첩부 중의 사용자의 동작이나 진동 등의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점차 점착제가 제제의 주위로 비어져 나와서 불쾌한 끈적거림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발명자들은, 커버재의 지지체와 점착제에 착안하여 여러 가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특정한 지지체와 점착제를 조합함으로써, 상기의 과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상술한 사정을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은 첩부제가 피부와 접촉한 상태를 적합하게 유지하고, 커버재가 부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불쾌한 끈적거림이 억제되어 있는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지체와, 지지체 상에 형성된 약물층을 갖는 첩부제부와, 커버층과, 커버층 상에 형성된 커버 점착층을 갖는 커버부를 구비하고, 첩부제부를 덮도록 커버 점착층이 지지체에 접합된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이다.
커버층은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또한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연신율이 50 내지 300%이다.
커버 점착층은, 고무계 점착 기제를 주된 점착 기제로 하는 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또한 32℃, 0.1㎐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이 0.7 내지 0.95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첩부제가 피부와 접촉한 상태를 적합하게 유지하고, 부착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불쾌한 끈적거림이 억제된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1)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1)는, 약제를 포함하는 첩부제부(10)와, 첩부제부(10)에 접합된 커버부(3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첩부제부(10)는 약물층(11)과, 지지체(12)를 갖는다. 약물층(11)에는, 원하는 약물이 함유되어, 피부와 접촉함으로써, 약물이 경피적으로 사용자의 체내로 흡수된다.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1)는, 주로 커버부(30)의 점착에 의해 약물층(11)과 피부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약물층(11)은 점착성을 갖거나 갖지 않아도 되지만, 약물층(11)이 점착성을 갖고 있으면, 약물층(11)과 피부의 접촉 상태가 적합하게 유지되어, 약물의 지속 투여가 보다 확실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약물층(11)은 기제와 약물을 함유한다. 기제 중, 약물층(11)에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점착 기제는, 예를 들어 고무계 점착 기제, 아크릴계 점착 기제, 실리콘계 점착 기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 기제는 고무계 점착 기제, 아크릴계 점착 기제 및 실리콘계 점착 기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기제는 고무계 점착 기제, 아크릴계 점착 기제 및 실리콘계 점착 기제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이들 조합이어도 된다. 점착 기제의 총 함유량은 약물층(11)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0질량% 내지 95질량%로 할 수 있고, 20질량% 내지 90질량%여도 된다.
약물층(11)은, 실질적으로 물을 함유하지 않은 것(비수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물을 함유하지 않는다」란, 제조 공정 중에 약물층에 의도적으로 물을 배합하는 공정이 없는 것을 의미하고, 제조 공정 중에 함유된 공기 중 등의 수분이나 첩부제의 피부에의 적용 중에 땀 등을 흡수한 수분까지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고무계 점착 기제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텐,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천연 고무, 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및 폴리부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성, 전연성, 응집력의 관점에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이소부틸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고무계 점착 기제 중,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구체예로서는, Quintac(등록 상표) 3570C(상품명, 닛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제), SIS5002, SIS5229, SIS5505(상품명, JSR 가부시키가이샤제), SIBSTAR(등록 상표) T102(상품명,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이소부틸렌에는, 소위 부틸 고무(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고무)도 포함된다. 폴리이소부틸렌의 구체예로서는, Oppanol(등록 상표) N50, N80, N100, N150, B11, B12, B50, B80, B100, B120, B150, B220(상품명, BASF사제), JSR(등록 상표) Butyl 065, 268, 365(상품명, JSR 가부시키가이샤제), X_Butyl(등록 상표) RB100, 101-3, 301, 402(상품명, ARLANXEO사제), Exxon(등록 상표) Butyl 065, 065S, 068, 068S, 268, 268S, 365, 365S(상품명, Exxon Mobile사제), Butyl 065, 268, 365(상품명, 닛폰 부틸 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약물층(11)이 고무계 점착 기제를 함유하는 경우, 고무계 점착 기제의 함유량은 약물층(11)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0질량% 내지 95질량%로 할 수 있고, 20질량% 내지 90질량%여도 된다.
아크릴계 점착 기제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종 또는 2종 이상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이다.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헥실, (메트)아크릴산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데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이라는 용어는,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의미하고, 유사한 표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정의된다.
아크릴계 점착 기제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주모노머)와 코모노머로 형성되는 공중합체여도 된다. 주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헥실, (메트)아크릴산헵틸, (메트)아크릴산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코모노머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할 수 있는 성분이면 된다. 코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 에틸렌, 프로필렌, 스티렌, 아세트산비닐, N-비닐피롤리돈,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코모노머는, 상술한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아크릴계 점착 기제로서는, 구체예로서는, DURO-TAK(등록 상표) 387-2510, DURO-TAK(등록 상표) 87-2510, DURO-TAK(등록 상표) 387-2287, DURO-TAK(등록 상표) 87-2287, DURO-TAK(등록 상표) 87-4287, DURO-TAK(등록 상표) 387-2516, DURO-TAK(등록 상표) 87-2516, DURO-TAK(등록 상표) 87-2074, DURO-TAK(등록 상표) 87-900A, DURO-TAK(등록 상표) 87-901A, DURO-TAK(등록 상표) 87-9301, DURO-TAK(등록 상표) 87-4098 등의 DURO-TAK 시리즈(Henkel사제); GELVA(등록 상표) GMS 788, GELVA(등록 상표) GMS 3083, GELVA(등록 상표) GMS 3253 등의 GELVA 시리즈(Henkel사제); MAS811(상품명), MAS683(상품명) 등의 MAS 시리즈(코스메디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Eudragit(등록 상표) 시리즈(에보닉사제), 니카졸(등록 상표) 시리즈(닛폰 카바이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울트라졸(등록 상표) 시리즈(아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를 들 수 있다.
약물층(11)이 아크릴계 점착 기제를 함유하는 경우, 아크릴계 점착 기제의 함유량은 약물층(11)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0질량% 내지 95질량%로 할 수 있고, 20질량% 내지 90질량%여도 된다.
실리콘계 점착 기제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다. 실리콘계 점착 기제로서는, 예를 들어 디메틸폴리실록산, 폴리메틸비닐실록산, 폴리메틸페닐실록산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실리콘계 점착 기제로서는, 예를 들어 MD7-4502 Silicone Adhesive, MD7-4602 Silicone Adhesive 등의 MD 시리즈(듀퐁·도레이·스페셜티·머티리얼 가부시키가이샤제); BIO-PSA(등록 상표) 7-4301 Silicone Adhesive, BIO-PSA(등록 상표) 7-4302 Silicone Adhesive, BIO-PSA(등록 상표) 7-4201 Silicone Adhesive, BIO-PSA(등록 상표) 7-4202 Silicone Adhesive, BIO-PSA(등록 상표) 7-4101 Silicone Adhesive, BIO-PSA(등록 상표) 7-4102 Silicone Adhesive, BIO-PSA(등록 상표) 7-4601 Silicone Adhesive, BIO-PSA(등록 상표) 7-4602 Silicone Adhesive, BIO-PSA(등록 상표) 7-4501 Silicone Adhesive, BIO-PSA(등록 상표) 7-4502 Silicone Adhesive, BIO-PSA(등록 상표) 7-4401 Silicone Adhesive, BIO-PSA(등록 상표) 7-4402 Silicone Adhesive 등의 BIO-PSA 시리즈(듀퐁·도레이·스페셜티·머티리얼 가부시키가이샤제), Dow Corning(등록 상표) 7-9800A, Dow Corning(등록 상표) 7-9800B, Dow Corning(등록 상표) 7-9700A, Dow Corning(등록 상표) 7-9700B를 들 수 있다.
약물층(11)이 실리콘계 점착 기제를 함유하는 경우, 실리콘계 점착 기제의 함유량은 약물층(11)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0질량% 내지 95질량%로 할 수 있고, 20질량% 내지 90질량%여도 된다.
약물로서는, 경피적으로 흡수 가능한 정도의 분자량을 갖고, 예를 들어 1주일 정도의 장기 투여 가능한 약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약물로서는, 약효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최면·진정제(플루라제팜, 릴마자폰, 페노바비탈, 아모바르비탈, 메데토미딘, 덱스메데토신 등), 해열 소염 진통제(부토르파놀, 페리속살, 아세트아미노펜, 메페남산, 디클로페낙나트륨, 아스피린, 알클로페나크, 케토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나프록센, 피록시캄, 펜타조신, 인도메타신, 펠비낙, 살리실산글리콜, 아미노피린, 록소프로펜, 멜록시캄, 로르녹시캄 등),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히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베타메타손 등), 흥분·각성제(메스암페타민, 암페타민, 메틸페니데이트 등), 정신신경용제(이미프라민, 디아제팜, 세르트랄린, 플루복사민, 파록세틴, 시탈로프람, 플루옥세틴, 알프라졸람, 할로페리돌, 클로미프라민, 아미트리프틸린, 데시프라민, 아목사핀, 마프로틸린, 미안세린, 세티프틸린, 트라조리돈, 로페프라민, 밀나시프란, 둘록세틴, 벤라팍신, 클로르프로마진, 티오리다진, 디아제팜, 메프로바메이트, 에티졸람, 리스페리돈, 아세나핀 등), 호르몬제(에스트라디올, 에스트리올, 프로게스테론, 노르에티스테론, 메테놀론, 테스토스테론 등), 국소 마취제(리도카인, 프로카인, 테트라카인, 디부카인, 프로피토카인 등), 비뇨기관용제(옥시부티닌, 탐술로신, 프로피베린, 이미다페나신, 솔리페나신, 톨테로딘 등), 골격근이완제(티자니딘, 에페리손, 푸리디놀, 숙사메토늄 등), 생식기관용제(리토드린, 멜루아드린), 항간질제(발프로산나트륨, 클로나제팜, 카르바마제핀 등), 자율신경용제(카프로늄, 네오스티그민, 베타네콜 등), 항파킨슨병제(페르골리드, 브로모크립틴, 트리헥시페니딜, 아만타딘, 탈리펙솔, 카베르골린, 드록시도파, 비페리덴, 셀레길린, 로피니롤 등), 이뇨제(히드로플루메티아지드, 푸로세미드 등), 호흡 촉진제(로벨린, 디모르폴라민, 날록손 등), 항편두통제(디히드로에르고타민, 수마트립탄, 에르고타민, 플루나리진, 사이프로헵타딘 등), 항히스타민제(클레마스틴, 디펜히드라민, 클로르페니라민, 디페닐피랄린, 프로메타진 등), 기관지 확장제(툴로부테롤, 프로카테롤, 살부타몰, 클렌부테롤, 페노테롤, 테르부탈린, 이소프레날린, 포르모테롤 등), 강심제(이소프레날린, 도파민 등), 관 혈관 확장제(딜티아젬, 베라파밀, 이소소르비드, 니트로글리세린, 니코란딜 등), 모세혈관 확장제(니카메테이트, 톨라졸린 등), 금연 보조약(니코틴, 발레니클린 등), 순환기관용제(플루나리진, 니카르디핀, 니트렌디핀, 니솔디핀, 펠로디핀, 암로디핀, 니페디핀, 닐바디핀, 마니디핀, 베니디핀, 에날라프릴, 테모카프릴, 알라세프릴, 이미다푸릴, 실라자프릴, 리시노프릴, 캡토프릴, 트란돌라프릴, 페린도프릴에르부민, 아테놀롤, 비소프롤롤, 메토프롤롤, 베탁솔롤, 아로티놀롤, 셀리프롤롤, 카르베딜롤, 카르테올롤, 베반톨롤, 발사르탄, 칸데사르탄실렉세틸, 로사르탄칼륨, 클로니딘 등), 부정맥용제(프로프라놀롤, 알프레놀롤, 프로카인아미드, 멕실레틴, 나돌롤, 디소피라미드 등), 항악성 궤양제(시클로포스파미드, 플루오로우라실, 테가푸르, 프로카르바진, 라니무스틴, 이리노테칸, 플루리딘 등), 항지혈증제(프라바스타틴, 심바스타틴, 베자피브레이트, 프로부콜 등), 혈당 강하제(글리벤클라미드, 클로르프로파미드, 톨부타미드, 글리미딘나트륨, 글리부졸, 부포르민 등), 소화성 궤양 치료제(프로글루미드, 세트락세이트, 스피조푸론, 시메티딘, 글리코피로늄 등), 이담제(우루소데옥시콜산, 오살미드 등), 소화관 운동 개선제(돔페리돈, 시사프라이드 등), 간장질환용제(티오프로닌 등), 항알레르기제(케토티펜, 아젤라스틴, 에메다스틴 등), 항바이러스제(아시클로비르 등), 어지러움 억제제(베타히스틴, 디페니돌 등), 항생제(세팔로리딘, 세프디니르, 세프포독심프록세틸, 세파클로르, 클래리스로마이신, 에리트로마이신, 메틸에리트로마이신, 카나마이신, 사이클로세린, 테트라사이클린, 벤질페니실린칼륨, 프로피실린칼륨, 클록사실린나트륨, 암피실린나트륨, 바캄피실린, 카르베니실린나트륨, 클로람페니콜 등), 습관성 중독용제(시안아미드 등), 식욕 억제제(마진돌 등), 화학 요법제(이소니아지드, 에티오나미드, 피라지나미드 등), 혈액 응고 촉진제(티클로피딘, 와르파린칼륨 등), 항알츠하이머제(피조스티그민, 도네페질, 타크린, 아레콜린, 크사노멜린, 갈란타민, 리바스티그민 등),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 제토제(온단세트론, 그라니세트론, 라모세트론, 아자세트론 등), 통풍 치료제(콜히친, 프로베네시드, 술핀피라존 등), 마약계의 진통제(모르핀, 코데인, 코카인, 페티딘, 펜타닐 등), 항진균류약(테르비나핀, 부테나핀, 아모롤핀, 네티코나졸, 미코나졸, 루리코나졸, 이트라코나졸, 리라나프타트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약물의 함유량은, 약물층(11)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1질량% 내지 30질량%로 할 수 있고, 1질량% 내지 20질량%여도 된다.
약물층(11)은 기제 및 약물 외에도,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점착 부여 수지, 가소제, 흡수 촉진제, 용해제, 안정화제, 충전제, 흡착제, 탈염제, pH 조절제, 향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첨가제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 사용해도 된다.
점착 부여 수지는, 약물층의 점착성을 조정하는 성분이다.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석유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로진계 수지, 페놀계 수지 및 크실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석유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지환족계 석유 수지(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등), 지방족계 석유 수지(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등), 방향족계 석유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콘 P-70, 알콘 P-85, 알콘 P-90, 알콘 P-100, 알콘 P-115, 알콘 P-125, 알콘 M-70, 알콘 M-85, 알콘 M-90, 알콘 M-100, 알콘 M-115, 알콘 M-125(이상, 상품명, 아라카와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에스코렛츠 8000(상품명, 엣소 세키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테르펜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피넨 중합체(α-피넨 중합체, β-피넨 중합체 등), 테르펜 중합체, 디펜텐 중합체, 테르펜-페놀 중합체, 방향족 변성 테르펜 중합체, 피넨-페놀 공중합체를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YS 레진(YS 레진 PXN(1150N, 300N), YS 레진 PX1000, YS 레진 TO125, YS 레진 TO105 등), 클리어론 P105, 클리어론 M115, 클리어론 K100(이상, 상품명, 야스하라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제), 타마놀 901(상품명, 아라카와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을 들 수 있다. 로진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수소 첨가 로진 글리세린에스테르, 초담색 로진, 초담색 로진에스테르, 산 변성 초담색 로진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인크리스탈(KE-311, PE-590, KE-359, KE-100 등)(상품명, 아라카와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는,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약물층이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은 약물층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5질량% 내지 80질량%로 할 수 있고, 25질량% 내지 65질량%여도 된다.
가소제로서, 예를 들어 파라핀 오일(유동 파라핀 등), 스쿠알란, 스쿠알렌, 식물유류(올리브유, 동백유, 피마자유, 톨유, 땅콩유, 스피아민트유, 유칼립투스유, 호호바유, 캄포 백유, 해바라기유, 오렌지유 등), 유지류(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등), 및 액상 고무(액상 폴리부텐, 액상 이소프렌 고무 등)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가소제는, 유동 파라핀이다. 가소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약물층이 가소제를 함유하는 경우, 가소제의 함유량은 약물층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3질량% 내지 50질량%, 5질량% 내지 30질량%, 또는 7질량% 내지 20질량%이다.
경피 흡수 촉진제로서는, 종래 피부에서의 경피 흡수 촉진 작용이 확인되고 있는 화합물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유기산류, 탄소쇄 수 6 내지 20의 지방산, 지방 알코올, 지방산에스테르, 아미드, 에테르류, 방향족계 유기산, 방향족계 알코올, 방향족계 유기산에스테르 및 에테르(이상은 포화, 불포화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한 환상, 직쇄상 분지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됨), 락트산에스테르류, 아세트산에스테르류, 모노테르펜계 화합물, 세스퀴테르펜계 화합물, 에이존(Azone), 에이존(Azone) 유도체, 피로티오데칸,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류,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류(Span계), 폴리소르베이트계(Tween계),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계(HCO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자당 지방산에스테르류 및 식물유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경피 흡수 촉진제로서는 예를 들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라우르산메틸, 라우르산헥실,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미리스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세틸,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신남산, 신남산메틸, 크레졸, 락트산세틸, 락트산라우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게라니올, 티몰, 유게놀, 테르피네올, l-멘톨, 보르네오롤, d-리모넨, 이소유게놀, 이소보르네올, 네롤, dl-캄포,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린모노카플레이트,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자당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20,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피로티오데칸 및 올리브유를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피 흡수 촉진제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경피 흡수 촉진제의 함유량은 약물층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0.1 내지 20질량%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15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용해제로서는, 용해시키는 용질의 종류에도 의존하지만, 예를 들어 지방산(예: 카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등), 지방산에스테르류(예: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등), 지방산 유도체(예: 모노라우르산프로필렌글리콜,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 등), 지방산글리세린에스테르류(예: 모노라우르산글리세린, 모노올레산글리세린 등), 지방산의 다가 알코올에스테르(예: 모노라우르산소르비탄 등), 지방족 알코올(예: 옥틸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등), 다가 알코올류(예: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피롤리돈 유도체(예: N-메틸-2-피롤리돈 등), 유기산(예: 아세트산, 락트산 등), 유기산염(예: 아세트산나트륨, 락트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용해제로서,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용해제의 함유량은 약물층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0 내지 20질량%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15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안정화제로서는, 토코페롤 및 토코페롤의 에스테르 유도체,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스테아릴에스테르, 노르디히드로그아야레틴산,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안정화제의 함유량은 약물층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0.1 내지 5 질량%가 바람직하다.
충전제로서는, 실리카,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탈크, 클레이, 카올린, 유리, 황산바륨, 탄산칼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스 등의 무기 화합물류; 셀룰로오스, 실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메타크릴산에스테르, 폴리스티렌 등의 유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충전제로서,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충전제의 함유량은 약물층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0.1 내지 5 질량%가 바람직하다.
흡착제로서는, 흡습성을 갖는 무기 및/또는 유기의 물질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탈크, 카올린, 벤토나이트 등의 광물; 퓸드 실리카(에어로실(등록 상표) 등), 함수 실리카 등의 규소 화합물; 산화아연, 건조 수산화알루미늄 겔 등의 금속 화합물; 락트산, 아세트산 등의 약산; 덱스트린 등의 당; 폴리비닐피롤리돈,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크로스포비돈,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및 부틸메타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등의 고분자 폴리머를 들 수 있다. 흡착제로서,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흡착제의 함유량은 약물층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0.1 내지 20질량%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1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탈염제 및 pH 조절제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아세트산나트륨(무수 아세트산나트륨을 포함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마그네슘,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시트르산나트륨, 락트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탈염제 및 pH 조절제로서,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탈염제 및 pH 조절제의 함유량은 약물층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0.1 내지 5 질량%가 바람직하다.
약물층의 페이스터 질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20 내지 500g/㎡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300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지체(12)는 약물층(11)을 지지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약물층(11)에 포함되는 약물이 투과하지 않거나 혹은 투과하기 어려운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12)의 재질로서는, 각종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와 같은 합성 수지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종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지지체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어 필름; 발포 시트, 다공 시트, 미다공 시트 등의 시트; 직포, 편포, 부직포 등의 포백; 박; 및 이들 적층체를 들 수 있다. 지지체로서는, 약물층으로부터 커버 점착층으로의 약물의 이행을 보다 충분히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약물을 투과하지 않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유연성 및 약물 비투과성이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제의 필름이 바람직하다.
지지체(12)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통상 2 내지 6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커버부(30)와 충분히 밀착시킬 수 있어, 보다 장기간의 피부에의 첩부가 가능해진다는 관점에서는, 5 내지 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커버부(30)는 커버층(31)과 커버 점착층(32)을 갖고, 지지체(12)측으로부터 첩부제부(10)에 접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1)의 평면으로 보아, 커버부(30)는 완전히 첩부제부(10)를 덮고 있고, 커버 점착층(32)의 일부가 지지체(12)에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커버층(31)은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재질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타디엔 등의 폴리올레핀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류;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류; 견, 수모(예를 들어 양모), 목면과 같은 셀룰로오스류 등의 천연 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PET 등의 합성 수지가 적합하다. 재질이 다른 복수 종류의 섬유가 혼합되어 부직포가 구성되어도 되고, 복수의 부직포가 적층되어 커버층(31)이 구성되어도 된다.
부직포의 제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스펀 레이스 부직포, 서멀 본드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니들 펀치 부직포 등의 모두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10 내지 200g/㎡ 정도가 바람직하고, 30 내지 150g/㎡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내지 100g/㎡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두께는 0.01 내지 3㎜ 정도가 바람직하고, 0.1 내지 2㎜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고, 0.3 내지 1㎜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고, 0.5 내지 0.86㎜ 정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흐름 방향과 폭 방향의 연신율은 모두, 20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3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8 내지 269%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흐름 방향과 폭 방향의 연신율의 평균은 20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3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내지 2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2 내지 207%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흐름 방향과 폭 방향의 신장 회복률은 모두 20 내지 85%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7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흐름 방향」이란, 부직포가 기계에 의해 연속 제조될 때에 조출되거나 혹은 권취되는 방향이고, 「폭 방향」은 흐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유통되고 있는 직사각형의 부직포의 경우, 통상 어떤 1변이 흐름 방향이고, 이 1변에 직교하는 방향이 폭 방향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연신율의 적합한 수치 범위가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에 있어서 동일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커버층이 원형 등의 비직사각형 형상인 경우는, 어떤 일방향과 그것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쪽에 있어서의 연신율의 적합한 수치 범위 내이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커버 점착층(32)은 고무계 점착 기제를 주된 점착 기제로 하는 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무계 점착 기제를 주된 점착 기제로 한다」란, 커버 점착층(32)의 점착 기제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고무계 점착 기제의 비율이 가장 많은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커버 점착층(32)에 고무계 점착 기제 이외의 점착 기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고무계 점착 기제 이외의 점착 기제로서는, 약물층(11)의 점착 기제로서 예시한 아크릴계 점착 기제나 실리콘계 점착 기제를 들 수 있다.
커버 점착층(32)에 있어서의 고무계 점착 기제의 재질로서는,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텐,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및 천연 고무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약물층(11)에 포함되는 약물이나 첨가제가 커버 점착층(32)으로 이행하기 어렵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상술 중,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텐, 폴리이소프렌, 및 폴리부타디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이소부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고무계 점착 기제 중,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구체예로서는, Quintac(등록 상표) 3570C(상품명, 닛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제), SIS5002, SIS5229, SIS5505(상품명, JSR 가부시키가이샤제), SIBSTAR(등록 상표) T102(상품명,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이소부틸렌에는, 소위 부틸 고무(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고무)도 포함된다. 폴리이소부틸렌의 구체예로서는, Oppanol(등록 상표) N50, N80, N100, N150, B11, B12, B50, B80, B100, B120, B150, B220(상품명, BASF사제), JSR(등록 상표) Butyl 065, 268, 365(상품명, JSR 가부시키가이샤제), X_Butyl(등록 상표) RB100, 101-3, 301, 402(상품명, ARLANXEO사제), Exxon(등록 상표) Butyl 065, 065S, 068, 068S, 268, 268S, 365, 365S(상품명, Exxon Mobile사제), Butyl 065, 268, 365(상품명, 닛폰 부틸 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커버 점착층(32)은 고무계 점착 기제를 주된 점착 기제로 하는 고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무계 점착 기제의 함유량은 커버 점착층(32)의 점착 기제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5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95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고, 100질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고무계 점착 기제 중,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텐, 폴리이소프렌, 및 폴리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함유량은, 커버 점착층(32)의 고무계 점착 기제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5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95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고, 100질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커버 점착층(32)은 고무계 점착 기제 이외의 첨가제를 포함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점착 부여 수지, 가소제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커버 점착층(32)의 질량은, 5 내지 300g/㎡ 정도가 바람직하고, 30 내지 200g/㎡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내지 150g/㎡가 더욱 바람직하다. 커버 점착층의 질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점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충분한 두께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약물층(11) 및 첩부제부(10)의 주위에 비어져 나온 커버 점착층(32)은 사용시까지 박리 라이너(2)에 덮여서 보호된다.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1)의 사용 시에는, 박리 라이너(2)를 박리하고, 노출된 약물층(11) 및 커버 점착층(32)을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시켜서 첩부한다.
박리 라이너(2)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공지의 각종 라이너를 사용할 수 있다.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종이;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나일론, 알루미늄 등을 예시할 수 있고, PET제의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박리 라이너(2)는 상질지와 폴리올레핀의 라미네이트 필름 등과 같이, 복수의 재료로 구성되어도 된다. 약물층(11)이나 커버 점착층(32)과 접하는 박리 라이너의 면은, 실리콘 또는 불소화 폴리올레핀 등에 의해 이형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에 있어서는, 당업자에 있어서 몇몇 과제가 인식되어 있다.
하나는, 첩부제의 약물층에 포함되는 약물이 커버재의 점착층으로 이행하는 것이다. 약물이 점착층에 과잉으로 이행하면, 사용자의 체내에서 약물이 목표로 한 혈중 농도에 도달하지 않거나, 혈중 농도를 목표로 한 기간 지속하지 못하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다른 하나는, 커버재의 점착층의 비어져 나옴에 의한 끈적거림의 발생이다. 이것은, 최초에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를 붙인 영역의 외측에 커버재의 점착층이 부착되는 현상이고, 「텅 아웃」이라고도 칭해진다. 투약 기간 종료 후에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를 박리한 후에 남는 텅 아웃은, 「접착제 잔여물」이라고 칭해진다. 접착제 잔여물이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발생시킨다.
발명자들은, 이들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가지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커버층을 부직포로 구성하고,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의 연신율을 50 내지 300%로 한다.
·고무계 점착 기제를 주된 점착 기제로 하는 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하여 커버 점착층을 구성하고, 32℃, 0.1㎐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을 0.7 내지 0.95로 한다.
먼저, 커버재의 점착층으로의 약물의 이행에 대해서는, 종래 다용되고 있는 아크릴계 점착제에 비해, 고무계 점착 기제를 주된 점착 기제로 하는 고무계 점착제의 쪽이 훨씬 적은 것을 알아내었다.
다음에, 접착제 잔여물에 대해서는,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의 사용자의 몸 움직임 등에 의한 첩부면의 변위에 대한, 커버층과 커버 점착층의 추종성의 차이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가설에 기초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각종 검토의 결과, 커버층이 최적의 구성에 도달하였다.
또한, 커버 점착층의 손실 정접에 대해서는, 너무 작으면 점착성이 저하되어 첩부 중에 박리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너무 크면, 첩부 중의 텅 아웃에 의해 박리 후에 접착제 잔여물이 되기 쉬운 경향이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손실 정접의 범위는, 0.75 내지 0.90이 보다 바람직하고, 0.80 내지 0.90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의 각종 구성의 근거가 되는 검토의 결과에 대해서 나타낸다.
(실험 1)
실험 1에서는, 커버 점착층의 조성과 약물층 중의 성분의 이행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하기에 나타내는 양의 성분을 적량의 용매 중에서 충분히 혼합하고, 실험용 약물층이 되는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을 박리 라이너(이형 처리가 실시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필름. 이하 마찬가지) 상에 균일하게 전연하여, 용매를 건조 제거함으로써, 단위 면적당 페이스터 질량이 80g/㎡인 실험용 약물층 1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실험용 약물층의 박리 라이너와 반대측의 면에 PET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를 설치하고, 2.5㎠의 크기로 재단하여, 실험용 첩부제부를 제작하였다.
(실험용 약물층 1)
고무계 점착 기제 23.38질량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이소부틸렌을 질량비 1:1로 함유)
실리콘계 점착 기제(듀퐁·도레이·스페셜티·머티리얼 가부시키가이샤제 BIO-PSA(등록 상표) AC7-4201 Silicone Adhesive) 7.19질량부
테르펜계 수지 26.97질량부
유동 파라핀 14.38질량부
부토르파놀타르타르산염 6질량부
올레일알코올 10질량부
기타 성분(흡착제 및 탈염제) 12.08질량부
다음에, 표 1에 기재된 커버 점착층의 각 성분을 적량의 용매 중에서 충분히 혼합하여, 커버 점착층이 되는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을 박리 라이너 상에 균일하게 전연하여, 용매를 건조 제거함으로써, 단위 면적당 질량이 75g/㎡ 인 커버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커버 점착층의 박리 라이너와 반대측의 면에 PET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커버층을 설치하고, 그 후 5㎠로 재단하여, 각 샘플에 관한 실험용 커버부를 제작하였다.
표 1에 기재된 재료의 상세에 대해서, 이하에 나타낸다.
고무계 점착제 1: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폴리이소부틸렌/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유동 파라핀을, 질량비 16.3:7:51.1:18.6으로 함유하는 것. 또한,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및 유동 파라핀은 첨가물이기 때문에, 고무계 점착제 1은 점착 기제로서 고무계 점착 기제만을 함유하고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 1: MAS811B(코스메디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아크릴계 점착제 2: DURO-TAK(등록 상표) 87-2051(Henkel사제)
아크릴계 점착제 3: DURO-TAK(등록 상표) 87-2194(Henkel사제)
아크릴계 점착제 4: DURO-TAK(등록 상표) 87-2516(Henkel사제)
실험용 커버부의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고, 평면으로 보아 실험용 첩부제부를 완전히 덮도록 실험용 첩부제부의 지지체측에 접합함으로써, 각 샘플에 관한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를 얻었다.
Figure pct00001
각 샘플에 있어서, 커버 점착층으로의 성분 이행을 하기의 수순으로 평가하였다.
각 샘플에 관한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를 포장 주머니에 봉입하여 60℃에서 2주일 보관하였다. 그 후, 포장 주머니로부터 취출하여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고, 실험용 커버부로부터 실험용 첩부제부를 분리하였다. 실험용 커버부의 커버 점착층에 포함되는 부토르파놀 및 올레일알코올의 양을 측정하고, 실험용 약물층으로부터의 이행률을 산출하였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계 점착 기제를 주된 점착 기제로 하는 고무계 점착제로 커버 점착층이 형성된 샘플 1 및 2에서는, 아크릴계 점착 기제를 주된 점착 기제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한 샘플 3 내지 6에 비해, 커버 점착층으로의 부토르파놀 이행이 억제되어 있었다. 특히, 커버 점착층이 폴리이소부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샘플 1에서는, 올레일알코올의 이행률도 낮게 억제되어 있었다.
이상으로부터, 커버 점착층에 있어서 고무계 점착 기제를 주된 점착 기제로 하는 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의 우위성이 확인되었다.
(실험 2)
실험 2에서는, 커버 점착층에 의한 끈적거림의 원인이 되는 접착제 잔여물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하기에 나타내는 양의 성분을 적량의 용매 중에서 충분히 혼합하여, 실험용 약물층이 되는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을 박리 라이너 상에 균일하게 전연하여, 용매를 건조 제거함으로써, 단위 면적당 페이스터 질량이 60g/㎡인 실험용 약물층 2를 형성하였다. 얻어진 실험용 약물층의 박리 라이너와 반대측의 면에 PET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를 설치하고, 30㎠의 크기로 재단하여, 실험용 첩부제부를 제작하였다.
(실험용 약물층 2)
고무계 점착 기제(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이소부틸렌을 질량비 1:1로 함유) 24.88질량부
실리콘계 점착 기제(BIO-PSA(등록 상표) AC7-4201 Silicone Adhesive) 7.65질량부
테르펜계 수지 28.70질량부
유동 파라핀 15.31질량부
타르타르산 1.89질량부
올레일알코올 10질량부
기타 성분(흡착제 및 pH 조절제) 11.57질량부
다음에, 표 2 내지 5에 기재된 커버 점착층의 조성에 따라서 재료를 적량의 용매 중에서 충분히 혼합하여, 커버 점착층이 되는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조성물을 박리 라이너 상에 균일하게 전연하여, 용매를 건조 제거함으로써, 단위 면적당 질량이 75g/㎡인 커버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커버 점착층의 박리 라이너와 반대측의 면에 표 2 내지 5에 기재된 구성의 커버층을 설치하고, 그 후 47.6㎠로 재단하여, 각 샘플에 관한 실험용 커버부를 제작하였다. 또한, 각 표에 기재된 부직포 및 편포에 관하여, 동일한 표기의 것은, 동일한 부직포 또는 편포인 것을 의미한다.
실험용 커버부의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고, 평면으로 보아 실험용 첩부제부를 완전히 덮도록 실험용 첩부제부의 지지체측에 접합함으로써, 각 샘플에 관한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를 얻었다.
각 샘플에 있어서,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손실 정접의 산출)
각 샘플에 있어서, 커버 점착층을 커버층으로부터 박리하고, 레오미터 「HAAKE MARS」(서모 피셔 사이언티픽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사용하여 이하의 측정 조건 하에서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였다. 손실 탄성률 및 저장 탄성률의 측정값을 사용하여, 하기 식에 의해, 각 샘플에 관한 커버 점착층의 손실 정접을 산출하였다.
손실 정접(tanδ)=손실 탄성률(G")/저장 탄성률(G')
[측정 조건]
·시료부: 직경 8㎜의 평판
·갭 간격: 1㎜
·시료량: 0.1 내지 0.5g
·온도: 32℃
·주파수: 0.1㎐
·변형률: 1%
(부착성 평가)
각 샘플에 관한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를, 각각 20명의 피험자의 상완부에 첩부하고, 통상과 마찬가지로 행동하여 24시간 경과한 후의 커버부의 부착성을, 이하의 기준에 기초하여 스코어화하고, 샘플마다의 평균 스코어를 취득하였다. 하기 기준에 있어서의 박리의 정도는 커버 점착층 중, 첩부제부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위(즉, 피험자의 피부와 접촉하고 있는 부위)의 면적을 100으로 한 비율이다.
박리 없음: 100
1/10 정도(1/8 미만) 박리: 80
1/5 정도(1/8 이상 1/4 미만) 박리: 60
1/3 정도(1/4 이상 1/2 미만) 박리: 40
1/2 이상 박리: 20
탈락: 0
또한, 평균 스코어를 이하와 같이 랭크를 부여하고, A만 합격으로 하였다.
A: 평균 스코어 80 이상
B: 평균 스코어 60 이상 80 미만
C: 평균 스코어 60 미만
(접착제 잔여물 평가)
부착성 평가 후에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를 박리하였다. 박리 후의 접착제 잔여물을, 이하의 기준에 기초하여 스코어화하고, 샘플마다의 평균 스코어를 취득하였다.
접착제 잔여물을 확인하지 못함: 100
커버부의 주위 1/10 정도(1/8 미만)에 접착제 잔여물을 확인함: 80
커버부의 주위 1/4 정도(1/8 이상 3/8 미만)에 접착제 잔여물을 확인함: 60
커버부의 주위 1/2 정도(3/8 이상 5/8 미만)에 접착제 잔여물을 확인함: 40
커버부의 주위 3/4 정도(5/8 이상)에 접착제 잔여물을 확인함: 20
커버부의 주위 전체에 접착제 잔여물을 확인함: 0
또한, 평균 스코어를 이하와 같이 랭크를 부여하고, A만 합격으로 하였다.
A: 평균 스코어 80 이상
B: 평균 스코어 60 이상 80 미만
C: 평균 스코어 60 미만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표 2에 나타내는 샘플의 결과로부터, 커버층으로서는 부직포가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손실 정접은 물질의 탄성과 점성의 밸런스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표 3에 나타내는 각 샘플은, 손실 정접이 다른 복수 종류의 폴리이소부틸렌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표 3에 나타내는 샘플의 결과로부터, 커버 점착층의 손실 정접으로서는, 0.7 내지 0.95 정도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표 4에 나타내는 샘플의 결과로부터, 커버 점착층의 손실 정접이 상기 적합 범위 내여도, 커버층이 편포(섬유가 짜여진 천)이면, 접착제 잔여물 억제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즉, 상기 적합 범위 내의 손실 정접을 갖는 커버 점착층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커버층과 조합함으로써 비로소 양호한 접착제 잔여물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5에 나타내는 샘플의 결과로부터, 폴리이소부틸렌 이외의 고무계 점착 기제로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혼합한 커버 점착층이어도, 손실 정접이 상기 적합 범위 내이고, 또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커버층과 조합함으로써 양호한 접착제 잔여물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샘플 21 및 22의 커버 점착층에 있어서의 폴리이소부틸렌과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비율은 9:1이고, 폴리이소부틸렌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실험 3)
실험 3에서는, 커버층으로서 부직포가 적합한 것을 근거로 하여, 부직포의 적합한 물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실험 2에서 사용한 샘플 11에 대하여, 커버층이 되는 부직포만 변경한 샘플 31 내지 35를 준비하였다.
샘플 11, 및 31 내지 35의 커버층으로서 사용한 부직포에 대해, 이하의 측정을 행하였다.
(연신율의 측정)
JIS L 1096:2010에 기재된 8.14.1A에 준거하여 행하였다.
각 샘플에 사용한 부직포를 흐름 방향, 폭 방향을 따라서, 각각 폭 25㎜, 길이 110㎜의 크기가 되도록 채취하여, 시험편으로 하였다. 길이 방향으로 파지 간격이 60㎜가 되도록 시험편을 인장 시험기로 파지하고, 500㎜/min의 인장 속도로 인장하여, 절단 시의 길이(L1)와 원래 길이(L0)로부터 이하의 식에 의해, 연신율(%)을 측정하였다. 각 부직포에 대해, 흐름 방향, 폭 방향으로 각각 3회씩 측정하고, 평균한 것을 연신율의 값으로 하였다.
연신율(%)=(L1-L0)×100/L0
(신장 회복률의 측정)
JIS L 1096:2010에 기재된 8.15.1A에 준거하여 행하였다.
각 샘플에 사용한 부직포에 대해서, 연신율 측정과 마찬가지의 시험편을 준비하였다. 길이 방향으로 파지 간격이 60㎜가 되도록 시험편을 인장 시험기로 파지하고, 500㎜/min의 인장 속도로 원래 길이(L0)의 150%의 길이(L1)까지 잡아늘여, 동일한 속도로 하중을 제거하였다. 응력이 0이 된 시점에서의 길이를 L2라 하여, 이하의 식으로부터 신장 회복률(%)을 산출하였다. 각 부직포에 대해, 각각 3회씩 측정을 행하여, 평균한 것을 신장 회복률의 값으로 하였다.
신장 회복률(%)=(L1-L2)×100/(L1-L0)
샘플 31 내지 35에 대해서는, 실험 2에서 행한 부착성 평가 및 접착제 잔여물 평가도 행하였다.
모든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샘플 35의 부직포 재질은 폴리우레탄이다.
또한, 샘플 31의 부직포는, 원래 길이의 150%의 길이까지 연장되지 않고 단열되었기 때문에, 신장 회복률을 측정할 수 없었다.
Figure pct00006
표 6의 결과로부터, 이하의 지견이 얻어졌다.
·커버층으로서 사용하는 부직포의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의 연신율이 50% 내지 300%의 범위 내에 있으면, 상술한 손실 정접을 갖는 커버 점착층과의 조합에 의해, 접착제 잔여물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커버층으로서 사용하는 부직포의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의 신장 회복률이 20% 내지 85%의 범위 내에 있으면, 상술한 손실 정접을 갖는 커버 점착층과의 조합에 의해, 접착제 잔여물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각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지견에 기초하여 각 부의 구체적 구성이 설정된 본 실시 형태의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1)는 커버부(30)의 부착성이 양호함으로써 약물층(11)이 피부와 접촉한 상태를 적합하게 유지하고, 커버부(30)의 접착제 잔여물을 억제함으로써 사용 중에 있어서의 불쾌한 끈적거림이 억제된다. 또한, 커버 점착층이 고무계 점착 기제를 주된 점착 기제로 하는 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하여 구성됨으로써, 약물층(11)에 포함되는 약물이 커버 점착층으로 이행하는 것도 억제되어, 제제 설계가 하기 쉽다는 이점도 구비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샘플을 사용한 실험과 함께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실시 형태 및 각 샘플의 구체적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본 발명은,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1: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
10: 첩부제부
11: 약물층
12: 지지체
30: 커버부
31: 커버층
32: 커버 점착층

Claims (4)

  1.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 상에 형성된 약물층을 갖는 첩부제부와, 커버층과, 상기 커버층 상에 형성된 커버 점착층을 갖는 커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첩부제부를 덮도록 상기 커버 점착층이 상기 지지체에 접합된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이며,
    상기 커버층은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또한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연신율이 50 내지 300%이고,
    상기 커버 점착층은, 고무계 점착 기제를 주된 점착 기제로 하는 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또한 32℃, 0.1㎐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이 0.7 내지 0.95인,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계 점착 기제는,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텐, 폴리이소프렌, 및 폴리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주성분으로 하는,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계 점착 기제는,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텐, 폴리이소프렌, 및 폴리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 회복률이 85% 이하인,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
KR1020247014064A 2021-11-04 2022-10-31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 KR202400596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80374 2021-11-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9653A true KR20240059653A (ko) 2024-05-0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59666T3 (es) Parche adhesivo
JP4792193B2 (ja) 貼付剤
US20050042269A1 (en) Plaster having laminated support
JP6360494B2 (ja) 積層型貼付剤
EP2258355A1 (en) Patch
JP5415645B1 (ja) 貼付剤の製造方法、貼付剤及び包装体
CN103845309B (zh) 贴剂及其制造方法
JP5711743B2 (ja) 医療用貼付剤
JP5711742B2 (ja) 医療用貼付剤
CA2941446A1 (en) Patch preparation comprising layered support
JP7349591B1 (ja) カバー材付き貼付剤
KR20240059653A (ko) 커버재를 구비하는 첩부제
JP2019026608A (ja) 貼付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