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091A - 시트 이송 트랙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이송 트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091A
KR20100107091A KR1020090025182A KR20090025182A KR20100107091A KR 20100107091 A KR20100107091 A KR 20100107091A KR 1020090025182 A KR1020090025182 A KR 1020090025182A KR 20090025182 A KR20090025182 A KR 20090025182A KR 20100107091 A KR20100107091 A KR 20100107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ocking member
locking
open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8162B1 (ko
Inventor
이광주
조병관
박건영
오범석
박성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to KR1020090025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162B1/ko
Priority to US12/431,557 priority patent/US7780138B1/en
Publication of KR20100107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18Location of the latch in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37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 B60N2/0843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about a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with pin alignment systems, e.g.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ocking pins always aligned w.r.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in-receiv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이송 트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으로 일측 하부에 홈부(111)가 마련되고 타측 상부에 개구(112)가 마련되는 고정레일(110)과; 일측면 하부에 상기 홈부(111)에 대응하여 제1 관통홀(121)이 형성되고 타측면 상부에 상기 개구(112)에 대응하여 제2 관통홀(123)이 형성되는 이송레일(120)과; 상기 이송레일(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동 시 상기 제1 관통홀(121)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레일(110)의 홈부(111)와 결합하는 제1 멈춤부(132)와 상기 제2 관통홀(123)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레일(110)의 개구(112)와 결합하는 제2 멈춤부(133)가 형성되는 로킹부재(130)와; 상기 이송레일(120)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로킹부재(130)를 지지하는 축지지부(151, 152)와 상기 로킹부재(130)를 회동시키는 탄성가압부(153)가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연결부재(150); 및 상기 로킹부재(130)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멈춤부(132)와 상기 홈부(111)의 결합 및 상기 제2 멈춤부(133)와 상기 개구(112)의 결합을 해제하는 작동핀(171)을 구비한 언로킹수단(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보다 간단한 구조를 지니면서도 안정성을 갖는 시트 이송 트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시트트랙(seat track), 로킹피치(locking pitch), 작동핀

Description

시트 이송 트랙 장치{SEAT MOVING TRACK ASSEMBLY}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이송 트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단순하고 적은 부피를 차지하면서도 보다 안정적인 로킹 구조를 갖는 시트 이송 트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갖는 시트 이송 장치에 관한 발명이 자동차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제안되고 있으며, 그 연구가 계속하여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시트를 비롯한 자동차와 관련된 모든 기술분야에서 그 구성부품의 수를 최소화하면서도 종래와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보다 효과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 추세이다.
특히, 시트 이송 트랙 장치와 관련한 기술분야에서는 시트의 이송과 관련하여 상기 이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트랙 장치와 상기 시트를 트랙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하는 로킹 장치에 관한 기술이 현재 활발히 개발 중에 있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특허가 한국특허공개 번호 제2004-0055662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U자형 단면을 갖는 하부 레일과 역U자형 단면을 갖는 상부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트 활주 장치에 있어,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을 로킹 하는 구조에서 별도의 로킹판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하부 레일에 대한 상부 레일의 결합을 확실히 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로킹판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별도의 로킹판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트 활주 장치의 구성부품의 수를 증가시킨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상의 단점은 보다 적은 구성부품을 가지고 원활한 기능을 달성하도록 하기 위한 현재의 기술추세와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원발명과 관련된 다른 특허가 미국특허공개 제2006-0022502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L자형 형상을 각각 갖는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을 가지고 형성된 자동차용 시트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은 수의 부품을 사용하여 상기 시트 가이드를 구현하도록 한 것에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L자형 형상을 각각 갖는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서, 종래의 U자형 레일보다 제조 단가가 더 많이 발생한다는 기술적 문제가 있으며, 또한, 하나의 로킹 부재를 사용함으로 인해 결합의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보다 간단한 구조를 지니면서도 안정성을 갖는 시트 이송 트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트 이송 트랙 장치에 있어서, 채널 구조를 구비하며 내측으로 일측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피치(pitch)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홈부(111)가 마련되고 타측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홈부(111)와 동일한 피치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개구(112)가 마련되는 고정레일(110)과; 상기 고정레일(1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레일(110)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하는 채널 구조를 구비하며, 일측면으로는 하부에 상기 홈부(111)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1 관통홀(121)이 형성되고 타측면으로는 상부에 상기 개구(112)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2 관통홀(123)이 형성되는 이송레일(120)과; 상기 이송레일(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왕복 회동하며, 일방향 회동 시 상기 제1 관통홀(121)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레일(110)의 홈부(111)와 결합하는 복수의 제1 멈춤부(132)와 상기 제2 관통홀(123)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레일(110)의 개구(112)와 결합하는 복수의 제2 멈춤부(133)가 형성되는 로킹부재(130)와; 상기 이송레일(120)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로킹부재(13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151, 152)와 상기 로킹부재(130)를 상기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가압부(153)가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연 결부재(150); 및 외력에 의해 가압 슬라이드되어 상기 로킹부재(130)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멈춤부(132)와 상기 홈부(111)의 결합 및 상기 제2 멈춤부(133)와 상기 개구(112)의 결합을 해제하는 작동핀(171)과, 상기 이송레일(120)에 탑재되어 상기 작동핀(171)의 슬라이드 운동을 가이드하는 연결블록(172) 및 상기 연결블록(172)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핀(171)을 지지하는 복원스프링(173)을 구비한 언로킹수단(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트랙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로킹부재(130)는 상기 탄성연결부재(150)의 축지지부(151, 15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축부(131)와, 상기 연결축부(131)의 일측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입력단부(134)가 형성되고, 상기 언로킹수단(170)은 상기 작동핀(171)에 의해 상기 입력단부(134)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로킹부재(130)를 상기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로킹부재(130)와 상기 탄성연결부재(150)는 상기 이송레일(120)을 따라 각각 전후에서 서로 대칭되게 배치 및 장착되어 한 쌍을 이루고, 상기 이송레일(120)은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121)과 상기 복수의 제2 관통홀(123)이 각각 상기 로킹부재(130, 140)와 상기 탄성연결부재(150, 160)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작동핀(171)은 상기 한 쌍의 로킹부재(130, 140)의 각 입력단부(134, 144)를 함께 가압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로킹부재(130, 140)를 동시에 상기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때, 상기 로킹부재(130)의 복수의 제1 멈춤부(132)와 복수의 제2 멈 춤부(133)는, 각각 하나의 로킹부재(130) 내에서의 피치는 상기 홈부(111) 및 상기 개구(112)의 피치와 일치하되 서로 다른 로킹부재(130, 140) 사이의 제1 멈춤부(132, 142) 간 그리고 제2 멈춤부(133, 143) 간의 피치는 서로 180도 위상차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로킹부재(230)는 상기 탄성연결부재(250)의 축지지부(251, 25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축부(231)와, 상기 연결축부(231)와 상기 제1 멈춤부(232) 사이에 개재하는 입력연장부(234)가 형성되고, 상기 언로킹수단(270)은 상기 작동핀(271)에 의해 상기 입력연장부(234)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로킹부재(230)를 상기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로킹부재(230)와 상기 탄성연결부재(250)는 상기 이송레일(220)을 따라 각각 나란히 복수 개로 배치 및 장착되고, 상기 이송레일(220)은 상기 제1 관통홀(221)과 제2 관통홀(223)이 각각 상기 로킹부재(230)와 상기 탄성연결부재(250)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언로킹수단(270)은 각 로킹부재(230, 240)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로킹부재(230, 240)와 상기 탄성연결부재(250, 260)는 상기 이송레일(220)을 따라 각각 전후 한 쌍으로 배치 및 장착되고, 상기 로킹부재(230, 240)의 복수의 제1 멈춤부(232, 242)와 복수의 제2 멈춤부(233, 243)는, 각각 하나의 로킹부재(230, 240) 내에서의 피치는 상기 홈부(211) 및 상기 개구(212)의 피치와 일치하되 서로 다른 로킹부재(230, 240) 사이의 제1 멈춤부(232, 242) 간 그리 고 제2 멈춤부(233, 243) 간의 피치는 서로 180도 위상차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트 이송 트랙 장치에 있어서, 채널 구조를 구비하며 내측으로 일측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피치(pitch)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홈부(311)가 마련되고 타측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홈부(311)와 동일한 피치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개구(312)가 마련되는 고정레일(310)과; 상기 고정레일(3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레일(310)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하는 채널 구조를 구비하며, 일측면으로는 하부에 상기 홈부(311)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1 관통홀(321)이 형성되고 타측면으로는 상부에 상기 개구(312)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2 관통홀(323)이 형성되는 이송레일(320)과; 상기 이송레일(3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왕복 회동하며, 일방향 회동 시 상기 제1 관통홀(321)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레일(310)의 홈부(311)와 결합하는 복수의 제1 멈춤부(332)와 상기 제2 관통홀(323)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레일(310)의 개구(312)와 결합하는 복수의 제2 멈춤부(333)가 형성되는 로킹부재(330)와; 상기 이송레일(320)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로킹부재(33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351, 352)와 상기 로킹부재(330)를 상기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가압부(353)가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연결부재(350); 및 상기 이송레일(3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력에 의해 가압 회동되어 상기 로킹부재(330)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멈춤부(332)와 상기 홈부(311)의 결합 및 상기 제2 멈춤부(333)와 상기 개구(312)의 결합을 해제하는 작동레버(361)와, 상기 이송레일(3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레버(361)의 회동 운동을 지지하는 연결브래킷(362) 및 상기 연결브래킷(362)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레버(362)를 지지하는 복원스프링(363)을 구비한 언로킹수단(3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트랙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로킹부재(330)는 상기 탄성연결부재(350)의 축지지부(351, 35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축부(331)와, 상기 연결축부(331)의 일측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입력단부(334)가 형성되고, 상기 언로킹수단(360)은 상기 작동레버(361)의 단부(361c)를 통해 상기 입력단부(334)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로킹부재(330)를 상기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시트 이송 트랙 장치는 로킹부재의 구성 및 이에 대응하는 레일의 구성의 간단한 변경을 통해 종래기술보다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그 구성부품을 감소시킨 시트 이송 트랙 장치를 구현하였다는 데에 그 기술적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원발명의 시트 이송 트랙 장치에 의하면 고정레일 및 이송레일 등의 전체적인 형상면에서는 종래기술과 동일하므로 종래기술과의 기술적 호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따른 시트 이송 트랙 장치에 의하면, 로킹부재의 양측에 멈춤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이중으로 고정레일과 이송레일의 고정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양 레일의 보다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발명에 따른 시트 이송 트랙 장치에 의하면, 탄성연결부재로 하여금 로킹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로킹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도 록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시트 이송 트랙 장치의 부품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따른 시트 이송 트랙 장치에 의하면, 이송레일의 내부에 배치되는 로킹부재의 회동을 위해 상기 로킹부재에 연장형성되는 입력단부 내지 입력연장부와 함께 상기 이송레일에 탑재되는 언로킹수단의 작동핀 또는 작동레버를 구비함으로써 전체 구조의 간략화 및 작동상의 안정성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따른 시트 이송 트랙 장치에 의하면, 이송레일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로킹부재와 이를 지지하는 탄성연결부재를 한 쌍으로 구비하여 로킹을 달성함으로써 작동상의 안정성을 더욱 확보하였으며, 특히 한 쌍의 로킹부재 간의 피치가 상기 고정레일의 홈부 내지 개구의 피치와 180도 위상차를 갖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이송레일과 고정레일 간 로킹되는 간격을 상기 피치의 1/2로 줄일 수 있다.
본원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 이송 트랙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측에 장착되는 하부의 고정레일(110), 시트 측에 장착되되 상기 고정레일(110)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의 이송레일(120), 상기 이송레일(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로킹부재(130, 140), 상기 이송레일(1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로킹부재(130, 140)를 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연결부재(150, 160), 상기 이송레일(120)에 탑재되어 상기 한 쌍의 로킹부재(130, 1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언로킹수단(170)을 포함한다.
고정레일(110)은 채널 구조를 구비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우측 하부에 홈부(111)가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피치(pitch)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좌측으로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홈부(111)와 동일한 피치를 갖는 개구(112)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홈부(111)와 개구(112)는 위치상으로 서로 일대일로 일치 대응한다.
이송레일(120)은 상기한 고정레일(1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레일(110)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하는 채널 구조를 갖는다. 이송레일(120)의 우측면 중앙부에는, 도 4에 일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3개의 홀(hole)로 이루어진 제1 관통홀(121, 122)이 전후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들 제1 관통홀(121, 122)은 각각 상기한 고정레일(110)의 홈부(111)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홈부(111)와 동일한 피치를 갖는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관통홀(121, 122) 간에는 피치가 서로 180도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송레일(120)의 좌측면 중앙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3개의 장공으로 이루어진 제2 관통홀(123, 124)이 전후 한 쌍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제2 관통홀(123, 124)은 각각 상기한 고정레일(110)의 개구(112)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112)와 동일한 피치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제1 관통홀(121, 122)과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관통홀(123, 124) 간에는 피치가 서로 180도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로킹부재(130, 14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이송레일(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막대 형상의 연결축부(131, 141)를 가지며, 이 연결축부(131, 141)의 우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3개의 제1 멈춤부(132, 142)와 좌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3개의 제2 멈춤부(133, 143)를 갖는다.
이때, 전방의 로킹부재(130)는 연결축부(131)의 후방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입력단부(134)가 형성되고, 후방의 로킹부재(140)는 해당 연결축부(141)의 전방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입력단부(144)가 형성된다.
한 쌍의 탄성연결부재(150, 16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해당 로킹부재(130, 140)의 연결축부(131, 14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151, 152; 161, 162)가 전후 양단부에 돌출 형성된다.
또한, 각 탄성연결부재(150, 160)는, 우측으로는 탄성가압부(153, 163)가 형성되고 좌측으로는 위치고정부(154, 164)가 형성된다. 탄성가압부(153, 163)는 탄성연결부재(150, 160)가 로킹부재(130, 140)와 결합할 경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킹부재(130, 140)를 가압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위치고정부(154, 164)는 탄성연결부재(150, 160)가 이송레일(120)의 내부에서 정위치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한 쌍의 탄성연결부재(150, 160)는 이송레일(1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면에 형성된 체결공(155, 165)을 상기 이송레일(120)의 전후 한 쌍으로 형성된 체결공(125, 126)에 일치시킨 후 블라인드 리베팅(blind rivetting) 등을 통해 체결함으로써 장착된다.
각기 체결된 탄성연결부재(150, 160)에는 상기한 로킹부재(130, 140)가 각각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한 쌍의 로킹부재(130, 140)의 각 입력단부(134, 144)는 서로 전후로 마주 보게 배치된다.
언로킹수단(170)은 작동핀(171)과 연결블록(172), 복원스프링(173) 등을 포함하는 바, 상기 연결블록(172)은 이송레일(120)의 개방홀(127) 상에 탑재되며 작동핀(171)은 상기 연결블록(172)의 가이드 실린더(172a)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드된다. 복원스프링(172)은 상기 작동핀(171)을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원위치시키도록 기능하며, 와셔(174)는 작동핀(17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복원스프링(173)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 이송 트랙 장치(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a는 시트 이송 트랙 장치(100)의 로킹 상태를, 도 5b는 언로킹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의 로킹 상태에서, 로킹부재(130)의 제1 멈춤부(132)와 제2 멈춤부(133)는 각각 이송레일(120)의 제1, 제2 관통홀(121, 123)을 통해 좌우로 돌출되어 각각 고정레일(110)의 홈부(111) 및 개구(112)와 결합한다.
이때, 외력(도 5b의 F)에 의해 작동핀(171)이 하강하여 로킹부재(130)의 입력단부(134)를 가압하면 로킹부재(1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멈춤부(133)와 제2 멈춤부(143)가 각각 고정레일(110)의 홈부(111)와 개구(112)로부터 이탈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언로킹 상태가 된다. 언로킹 상태에서 이송레일(120)은 고정레일(110) 상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드 가능하다.
언로킹 상태에서 외력(F)을 제거하면 시트 이송 트랙 장치(100)는, 복원스프링(173)의 작용에 의해 작동핀(171)이 상승하고 이와 함께 로킹부재(130)가 탄성연 결부재(150)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가압부(153)의 가압으로 인해 반시계 방향으로 복귀회동하므로, 다시 도 5a의 로킹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 이송 트랙 장치(100)에서, 한 쌍의 로킹부재(130, 140)는 각각 고정레일(110)의 홈부(111) 및 개구(112)와 같은 피치를 갖는 복수의 제1 멈춤부(132, 142)와 복수의 제2 멈춤부(133, 143)를 갖는 반면에, 상기 한 쌍의 로킹부재(130, 140) 사이에서는 제1 멈춤부(132, 142) 간에 피치가 180도로 정반대의 위상차를 갖고, 또한 제2 멈춤부(133, 143) 간에도 피치가 180도로 정반대의 위상차를 갖게 된다.
따라서, 도 5a의 로킹 상태는 상기 한 쌍의 로킹부재(130, 140)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성립하게 된다.
즉, 상기한 로킹 상태는 도 6a와 같은 형태 또는 도 6b와 같은 형태 중 어느 하나로만 이루어지게 된다.
도 6a의 로킹 상태는 전방의 로킹부재(도 2의 130) 측의 제2 멈춤부(133)가 고정레일(110)의 개구(112)에 결합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반대로 도 6b의 로킹 상태는 후방의 로킹부재(도 2의 140) 측 제2 멈춤부(143)가 고정레일(110)의 개구(112)에 결합된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로킹 상태는 전후 한쌍의 제2 멈춤부(133, 143)가 각각으로는 고정레일(110)의 개구(112)와 동일한 피치를 가지나, 상기 한 쌍의 제2 멈춤부(133, 143) 간에는 1/2피치의 위상차를 갖는 것에 기인한다.
즉, 예를 들어, 고정레일(110)의 개구(112)의 피치가 10[mm]인 경우, 전방의 3개의 제2 멈춤부(133)와 후방의 3개의 제2 멈춤부(143)가 각각 10[mm]의 피치를 갖는 반면, 전방의 제2 멈춤부(133)와 후방의 제2 멈춤부(143) 사이에는 10N+5[mm](여기서 N은 자연수)의 간격을 가짐으로써 1/2피치(즉, 5[mm])의 위상차를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후 1/2피치, 즉 제1 및 제2 멈춤부(133, 143) 간 각각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 한 쌍의 로킹부재(130, 140)를 구비할 경우, 이송레일(120)이 고정레일(110)에 로킹되는 최소 간격은 1피치에서 1/2피치(상기 예의 경우에는 10[mm]에서 5[mm])로 반감된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이 1/2피치의 위상차를 갖는 한 쌍의 로킹부재(130, 140)를 갖는 경우 이송레일(120)을 고정레일(11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단위간격은, 단일의 로킹부재(130)를 갖는 경우 이송레일(120)을 고정레일(11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단위간격에 비해 2배로 세분되므로, 착석자는 상기 이송레일(120)을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더욱 근접된 상태에서 로킹시킬 수 있다.
한편, 로킹 상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도 6a 또는 도 6b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만 이루어지게 되나, 언로킹 상태는 두 로킹부재(130, 140) 모두 도 5b의 모습으로 된다. 즉, 언로킹 상태로의 전환 시 단일의 작동핀(171)은, 도 2를 참조하면, 전후 로킹부재(130, 140)의 각 입력단부(134, 144)를 함께 가압하여 회전시킨다.
본원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트 이송 트랙 장치(200)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측에 장착되는 하부의 고정레일(210), 시트 측에 장착되되 상기 고정레일(210)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의 이송레일(220), 상기 이송레일(22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로킹부재(230, 240), 상기 이송레일(2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로킹부재(230, 240)를 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연결부재(250, 260), 상기 이송레일(220)에 탑재되어 상기 한 쌍의 로킹부재(230, 2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언로킹수단(270, 28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송레일(220)은 전후 2개소에 개방홀(227, 228)이 형성되고, 상기 언로킹수단(270, 280)은 각 개방홀(227, 228)에 탑재되어 설치된다.
즉, 각 언로킹수단(270, 280)에서, 연결블록(272, 282)은 이송레일(220)의 해당 개방홀(227, 228) 상에 탑재되며 작동핀(271, 281)은 해당 연결블록(272, 282)의 가이드 실린더(272a, 282a)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드된다. 또한, 각 복원스프링(273, 283)은 해당 작동핀(271, 281)을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원위치시키도록 기능하며, 각 와셔(274, 284)는 해당 작동핀(271, 28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해당 복원스프링(273, 283)의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각 로킹부재(230, 240)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와 달리 입력단부(도 2의 134 참조)가 형성되는 대신에 해당 연결축부(231, 241)와 제1 멈춤부(232, 242) 사이에 개재하는 입력연장부(234, 244)가 형성된다.
상기한 언로킹수단(270, 280)의 작동핀(271, 281)은 이러한 입력연장부(234, 244)를 가압함으로써 로킹부재(230, 240)를 회동시킨다.
도 11a는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시트 이송 트랙 장치(200)의 로킹 상태 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b는 언로킹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강하는 작동핀(271)은 로킹부재(230)의 입력연장부(234)를 접촉 가압함으로써 상기 로킹부재(230)를 언로킹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언로킹 작용 시, 상기한 복수의 작동핀(271, 281)은 동시에 외력에 의해 하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이송 트랙 장치(200)에서는 로킹부재(230, 240)와 언로킹수단(270, 280) 등이 각각 2개씩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3개 이상씩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이때 각 로킹부재(230, 240)는 제1 멈춤부(232, 242)와 제2 멈춤부(233, 243) 간 피치의 위상차가 없이 모두 동시에 로킹 및 언로킹 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들 중 1개만이 또는 2 이상의 소정 개수에 한해 피치가 동일한 위상차를 갖도록 함으로써 이와는 또는 이들과는 180도 위상차의 피치를 갖는 다른 로킹부재들과 로킹 및 언로킹이 반대로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로킹부재들(230, 240)의 제1 및 제2 멈춤부(232, 242; 233, 243) 간 피치가 180도 위상차를 갖는 경우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대동소이하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언로킹수단(270, 280)이 복수개로 구비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일의 언로킹수단(270)을 통해 모든 로킹부재(230, 240)가 언로킹 회동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단일의 작동핀(271)은 하단부에 각 로킹부재(230, 240)에 걸치도록 상기 이송레일(2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bar) 형태의 작용단부가 더 필요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트 이송 트랙 장치(300)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측에 장착되는 하부의 고정레일(310), 시트 측에 장착되되 상기 고정레일(310)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의 이송레일(320), 상기 이송레일(320)의 내부에 배치되는 로킹부재(330), 상기 이송레일(3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로킹부재(330)를 지지하는 탄성연결부재(350), 상기 이송레일(320)에 탑재되어 상기 로킹부재(3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언로킹수단(3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로킹부재(330)와 탄성연결부재(350)는 각각 단일로 구비된다.
로킹부재(330)의 연결축부(331)의 전방 단부에는 입력단부(334)가 수직되게 연장 형성된다.
언로킹수단(360)은 작동레버(361)와 연결브래킷(362) 그리고 복원스프링(363) 등을 포함한다.
작동레버(361)는 중간 부분이 연결브래킷(362)에 수용되어 내측의 힌지공(361a)을 통해 상기 연결브래킷(362)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핀(364)에 의해 결합되고, 복원스프링(363)은 상기 연결핀(364)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연결브래킷(362)에 수용되어 상기 작동레버(361)의 결합공(361b)에 삽입 결합되는 일단부(363a)를 통해 상기 작동레버(361)를 전방(도 13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 록 가압한다.
연결브래킷(362)은 작동레버(361)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이송레일(320)의 내부에 정위치로 배치되어 체결공(362a)을 통해 상기 이송레일(320)에 체결된다. 체결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블라인드 리베팅에 의할 수 있다.
로킹부재(330)의 언로킹 동작을 위해, 작동레버(361)가 회동할 경우 후방 단부(361c)는 하강하여 상기 로킹부재(330)의 입력단부(334)를 가압한다.
도 16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이송 트랙 장치(300)의 로킹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6b는 언로킹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동하는 작동레버(도 13의 361)의 후방 단부(361c)는 하강하면서 로킹부재(330)의 입력단부(334)를 접촉 가압함으로써 상기 로킹부재(330)를 언로킹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언로킹 동작을 위한 작동레버(361)의 회동은 상기 작동레버(361)의 전방 단부(도 13의 361d)에 결합되는 하울바(hawl bar, 도면 미도시)를 상측으로 당김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트 이송 트랙 장치들(100, 200, 300)은 모두 본원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들에 불과한 것이므로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지 권리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원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 이송 트랙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시트 이송 트랙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시트 이송 트랙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시트 이송 트랙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1의 시트 이송 트랙 장치의 로킹 상태 및 언로킹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도 1의 시트 이송 트랙 장치의 로킹 상태의 실 구현례를 도시한 부분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원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트 이송 트랙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시트 이송 트랙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시트 이송 트랙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시트 이송 트랙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도 7의 시트 이송 트랙 장치의 로킹 상태 및 언로킹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원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트 이송 트랙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시트 이송 트랙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시트 이송 트랙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시트 이송 트랙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6a 및 도 16b는 각각 도 12의 시트 이송 트랙 장치의 로킹 상태 및 언로 킹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시트 이송 트랙 장치 110: 고정레일
111: 홈부 112: 개구
120: 이송레일 121, 122: 제1 관통홀
123, 124: 제2 관통홀 125, 126: 체결공
127: 개방홀 130, 140: 로킹부재
131, 141: 연결축부 132, 142: 제1 멈춤부
133, 143: 제2 멈춤부 134, 144: 입력단부
150, 160: 탄성연결부재 151, 152, 161, 162: 축지지부
153, 163: 탄성가압부 154, 164: 위치고정부
155, 165: 체결공 170: 언로킹수단
171: 작동핀 172: 연결블록
173: 복원스프링 174: 와셔
234, 244: 입력연장부 361: 작동레버
362: 연결브래킷 364: 연결핀

Claims (10)

  1. 시트 이송 트랙 장치에 있어서,
    채널 구조를 구비하며 내측으로 일측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피치(pitch)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홈부(111)가 마련되고 타측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홈부(111)와 동일한 피치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개구(112)가 마련되는 고정레일(110)과;
    상기 고정레일(1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레일(110)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하는 채널 구조를 구비하며, 일측면으로는 하부에 상기 홈부(111)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1 관통홀(121)이 형성되고 타측면으로는 상부에 상기 개구(112)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2 관통홀(123)이 형성되는 이송레일(120)과;
    상기 이송레일(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왕복 회동하며, 일방향 회동 시 상기 제1 관통홀(121)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레일(110)의 홈부(111)와 결합하는 복수의 제1 멈춤부(132)와 상기 제2 관통홀(123)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레일(110)의 개구(112)와 결합하는 복수의 제2 멈춤부(133)가 형성되는 로킹부재(130)와;
    상기 이송레일(120)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로킹부재(13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151, 152)와 상기 로킹부재(130)를 상기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가압부(153)가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연결부재(150); 및
    외력에 의해 가압 슬라이드되어 상기 로킹부재(130)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멈춤부(132)와 상기 홈부(111)의 결합 및 상기 제2 멈춤부(133) 와 상기 개구(112)의 결합을 해제하는 작동핀(171)과, 상기 이송레일(120)에 탑재되어 상기 작동핀(171)의 슬라이드 운동을 가이드하는 연결블록(172) 및 상기 연결블록(172)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핀(171)을 지지하는 복원스프링(173)을 구비한 언로킹수단(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트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130)는 상기 탄성연결부재(150)의 축지지부(151, 15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축부(131)와, 상기 연결축부(131)의 일측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입력단부(134)가 형성되고,
    상기 언로킹수단(170)은 상기 작동핀(171)에 의해 상기 입력단부(134)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로킹부재(130)를 상기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트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130)와 상기 탄성연결부재(150)는 상기 이송레일(120)을 따라 각각 전후에서 서로 대칭되게 배치 및 장착되어 한 쌍을 이루고,
    상기 이송레일(120)은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121)과 상기 복수의 제2 관통홀(123)이 각각 상기 로킹부재(130, 140)와 상기 탄성연결부재(150, 160)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작동핀(171)은 상기 한 쌍의 로킹부재(130, 140)의 각 입력단부(134, 144)를 함께 가압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로킹부재(130, 140)를 동시에 상기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트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130)의 복수의 제1 멈춤부(132)와 복수의 제2 멈춤부(133)는, 각각 하나의 로킹부재(130) 내에서의 피치는 상기 홈부(111) 및 상기 개구(112)의 피치와 일치하되 서로 다른 로킹부재(130, 140) 사이의 제1 멈춤부(132, 142) 간 그리고 제2 멈춤부(133, 143) 간의 피치는 서로 180도 위상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트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230)는 상기 탄성연결부재(250)의 축지지부(251, 25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축부(231)와, 상기 연결축부(231)와 상기 제1 멈춤부(232) 사이에 개재하는 입력연장부(234)가 형성되고,
    상기 언로킹수단(270)은 상기 작동핀(271)에 의해 상기 입력연장부(234)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로킹부재(230)를 상기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트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230)와 상기 탄성연결부재(250)는 상기 이송레일(220)을 따라 각각 나란히 복수 개로 배치 및 장착되고,
    상기 이송레일(220)은 상기 제1 관통홀(221)과 제2 관통홀(223)이 각각 상기 로킹부재(230)와 상기 탄성연결부재(250)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트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킹수단(270)은 각 로킹부재(230, 240)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트랙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230, 240)와 상기 탄성연결부재(250, 260)는 상기 이송레일(220)을 따라 각각 전후 한 쌍으로 배치 및 장착되고,
    상기 로킹부재(230, 240)의 복수의 제1 멈춤부(232, 242)와 복수의 제2 멈춤부(233, 243)는, 각각 하나의 로킹부재(230, 240) 내에서의 피치는 상기 홈부(211) 및 상기 개구(212)의 피치와 일치하되 서로 다른 로킹부재(230, 240) 사이의 제1 멈춤부(232, 242) 간 그리고 제2 멈춤부(233, 243) 간의 피치는 서로 180도 위상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트랙 장치.
  9. 시트 이송 트랙 장치에 있어서,
    채널 구조를 구비하며 내측으로 일측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피 치(pitch)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홈부(311)가 마련되고 타측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홈부(311)와 동일한 피치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개구(312)가 마련되는 고정레일(310)과;
    상기 고정레일(3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레일(310)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하는 채널 구조를 구비하며, 일측면으로는 하부에 상기 홈부(311)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1 관통홀(321)이 형성되고 타측면으로는 상부에 상기 개구(312)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2 관통홀(323)이 형성되는 이송레일(320)과;
    상기 이송레일(3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왕복 회동하며, 일방향 회동 시 상기 제1 관통홀(321)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레일(310)의 홈부(311)와 결합하는 복수의 제1 멈춤부(332)와 상기 제2 관통홀(323)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레일(310)의 개구(312)와 결합하는 복수의 제2 멈춤부(333)가 형성되는 로킹부재(330)와;
    상기 이송레일(320)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로킹부재(33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351, 352)와 상기 로킹부재(330)를 상기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가압부(353)가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연결부재(350); 및
    상기 이송레일(3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력에 의해 가압 회동되어 상기 로킹부재(330)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멈춤부(332)와 상기 홈부(311)의 결합 및 상기 제2 멈춤부(333)와 상기 개구(312)의 결합을 해제하는 작동레버(361)와, 상기 이송레일(3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레버(361)의 회동 운동을 지지하는 연결브래킷(362) 및 상기 연결브래킷(362)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레버(362)를 지지하는 복원스프링(363)을 구비한 언로킹수단(3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트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330)는 상기 탄성연결부재(350)의 축지지부(351, 35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축부(331)와, 상기 연결축부(331)의 일측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입력단부(334)가 형성되고,
    상기 언로킹수단(360)은 상기 작동레버(361)의 단부(361c)를 통해 상기 입력단부(334)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로킹부재(330)를 상기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이송 트랙 장치.
KR1020090025182A 2009-03-25 2009-03-25 시트 이송 트랙 장치 KR101048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182A KR101048162B1 (ko) 2009-03-25 2009-03-25 시트 이송 트랙 장치
US12/431,557 US7780138B1 (en) 2009-03-25 2009-04-28 Seat moving track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182A KR101048162B1 (ko) 2009-03-25 2009-03-25 시트 이송 트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091A true KR20100107091A (ko) 2010-10-05
KR101048162B1 KR101048162B1 (ko) 2011-07-08

Family

ID=42583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182A KR101048162B1 (ko) 2009-03-25 2009-03-25 시트 이송 트랙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80138B1 (ko)
KR (1) KR1010481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4710A1 (ko) * 2011-04-21 2012-10-26 주식회사 오스템 시트트랙
KR101352762B1 (ko) * 2012-08-21 2014-01-22 주식회사 오스템 시트트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616733D0 (en) * 2006-08-23 2006-10-04 Accuride Int Ltd A sliding support assembly
KR100848004B1 (ko) * 2007-10-09 2008-07-23 주식회사 오스템 시트 이송 트랙 장치
DE112009003598B4 (de) 2008-12-18 2021-12-02 Lear Corp. Fahrzeugsitz-Schienenanordnung mit formschlüssigem Arretierungssystem
JP5362482B2 (ja) * 2009-08-20 2013-12-1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US8167372B2 (en) * 2009-12-01 2012-05-0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eat assembly having dual actuated locking mechanism
FR2958230B1 (fr) * 2010-04-02 2012-04-13 Faurecia Sieges Automobile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comportant une telle glissiere.
US8870147B2 (en) * 2010-06-28 2014-10-28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Lock mechanism for seat track
KR101136824B1 (ko) * 2010-07-16 2012-04-19 (주)케이엠앤아이 차량용 시트트랙 로킹 시스템
FR2963586B1 (fr) * 2010-08-04 2012-08-31 Faurecia Sieges Automobile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a verrouillage lateral sans jeu
JP2012061993A (ja) * 2010-09-17 2012-03-29 Imasen Electric Ind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9393883B2 (en) * 2010-09-29 2016-07-19 Lear Corporation Adjustable seat track having track engagement structure
DE102010042008B4 (de) * 2010-10-05 2021-09-02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Längsverstellein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JP5816000B2 (ja) * 2010-12-14 2015-11-17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601187B2 (ja) * 2010-12-16 2014-10-0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US10266074B2 (en) * 2011-10-17 2019-04-23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Seat-track assembly
EP3594054B1 (en) 2011-10-17 2023-01-18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Seat-track assembly
DE102011088878B4 (de) * 2011-12-16 2015-03-26 Lear Corporation Formschlüssiger Arretiermechanismus für einen Fahrzeugsitz
FR2996181B1 (fr) * 2012-09-28 2015-07-17 Faurecia Sieges Automobile Glissiere a faible pas de verrouillage et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telle glissiere
DE102013102222A1 (de) * 2013-03-06 2014-09-11 Faurecia Autositze Gmbh Schienenführ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13102224B4 (de) * 2013-03-06 2018-05-30 Faurecia Autositze Gmbh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e Schienenführung eines Fahrzeugsitzes und Schienenführung
DE202013007619U1 (de) * 2013-08-28 2013-10-09 Bernd Siegmund Schiene, Verbindungsrahmen und Rollfuß eines Schienensystems für Schweißtische
KR20160083210A (ko) * 2014-12-30 2016-07-1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1643889B1 (ko) * 2014-12-30 2016-08-0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US10065536B2 (en) * 2015-09-24 2018-09-04 Fca Us Llc Reclining seat for a vehicle
DE102016215958A1 (de) * 2016-04-28 2017-11-02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Längseinsteller
TWI586248B (zh) * 2016-08-16 2017-06-01 The adjustment structure of the quick release group of the servo rail and the support rod group
US10046673B1 (en) * 2017-02-06 2018-08-14 Aisin Technical Center Of America, Inc Seat rail end stop
CN107599897B (zh) * 2017-09-12 2024-02-23 福建省华银铝业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的座椅轨道
US10562409B2 (en) * 2018-07-05 2020-0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unting hardware for vehicle structures
US11225173B2 (en) * 2020-02-12 2022-01-18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Seat-track assembly
DE102021129367A1 (de) * 2020-12-09 2022-06-09 Lear Corporation Elektrische Schienenanordnung
US11718204B2 (en) 2021-03-05 2023-08-08 Camaco, Llc. Anti-chuck mechanism for seat track assembly
US11708011B2 (en) 2021-03-05 2023-07-25 Camaco, Llc. Reinforced track assembly for vehicle seat
JPWO2023074692A1 (ko) * 2021-10-26 2023-05-04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868A (ja) 1994-03-09 1995-09-26 Gifu Shatai Kogyo Kk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におけるロック機構
DE10050959B4 (de) * 2000-10-13 2005-11-24 Keiper Gmbh & Co.Kg Sitzlängsverstellung
JP4542254B2 (ja) 2000-11-21 2010-09-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104969B2 (ja) 2002-12-19 2008-06-18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0590963B1 (ko) 2004-05-07 2006-06-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탈착식 시트를 위한 롱 슬라이드형 레일
DE102005004659B4 (de) 2004-07-28 2023-07-20 Keiper Seating Mechanisms Co., Ltd. Längsführung für Fahrzeugsitze
KR100610431B1 (ko) 2004-10-02 2006-08-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 장치
JP4923514B2 (ja) * 2005-10-24 2012-04-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872313B2 (ja) 2005-11-04 2012-02-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939810B2 (ja) * 2006-01-27 2012-05-30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CN103587436B (zh) * 2006-03-24 2016-08-03 江森自控科技公司 座椅导轨组件、制造其的方法及车辆座椅组件
JP2008049891A (ja) * 2006-08-25 2008-03-06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8074266A (ja) 2006-09-21 2008-04-03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047604B2 (ja) * 2006-12-19 2012-10-10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トラックのロック機構
JP4355963B2 (ja) * 2007-01-30 2009-11-04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5080176B2 (ja) * 2007-08-31 2012-11-21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0848004B1 (ko) 2007-10-09 2008-07-23 주식회사 오스템 시트 이송 트랙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4710A1 (ko) * 2011-04-21 2012-10-26 주식회사 오스템 시트트랙
US9067514B2 (en) 2011-04-21 2015-06-30 Austem Co., Ltd. Seat track
KR101352762B1 (ko) * 2012-08-21 2014-01-22 주식회사 오스템 시트트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80138B1 (en) 2010-08-24
KR101048162B1 (ko) 201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162B1 (ko) 시트 이송 트랙 장치
JP4880404B2 (ja) 取り付け用レールに座席を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
US10173458B2 (en) Lever for a ring binder mechanism
DE102013009865B4 (de) Verriegelungsmechanismus mit Tastensteuerung für schnelle Montage und Demontage eines Wasserklosett-Deckels
US7988229B2 (en) Vehicle seat arrangement,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KR100916395B1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CN101103162B (zh) 手套箱用开闭锁定装置
KR101477581B1 (ko) 시트 트랙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의 록 기구
CN101712332A (zh) 婴儿车及婴儿车与汽车座椅的组合
US5871317A (en) Cargo latch
DE102010054877A1 (de) Kleinkind-Transportvorrichtung mit einem Freigabe-Aktuator, der eine Sicherheits-Verriegelungseinrichtung aufweist
KR20040035546A (ko) 간단한 잠금기구를 가진 차량 물품 캐리어
DE102004063676A1 (de) Längs-Gleitschienen-System für abnehmbaren Fahrzeugsitz
JP2019135138A (ja) ロック装置及び自動車シート回転機構
EP1641651B1 (de) Kindersitz
CN103243992A (zh) 门扇固定器
CN102673444A (zh) 驱动机构及具有该驱动机构的儿童汽车座椅
EP1671839B1 (en) Child seat base
CN109789816B (zh) 座椅支撑机构
CN209467029U (zh) 折叠桌及座椅和汽车
CN208827664U (zh) 可多向开启的盖体与汽车扶手箱
KR101805410B1 (ko) 싱글 메모리 이지 엔트리 시스템
DE10342409B4 (de) Verriegelungssystem, insbesondere an einem Klapptisch eines Kraftfahrzeugsitzes
EP2199529B1 (en) Screen assembly
KR102586269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로킹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