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6921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6921A
KR20100106921A KR1020100023277A KR20100023277A KR20100106921A KR 20100106921 A KR20100106921 A KR 20100106921A KR 1020100023277 A KR1020100023277 A KR 1020100023277A KR 20100023277 A KR20100023277 A KR 20100023277A KR 20100106921 A KR20100106921 A KR 20100106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ignal
contacts
group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5136B1 (ko
Inventor
하야토 곤도
유타카 마스모토
토시하루 미요시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6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4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conductive properties, e.g. by dimension vari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간에서 크로스토크(crosstalk)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TX+신호용 콘택트(210)와 TX-신호용 콘택트(220)와의 사이의 공간에 Vbus용 콘택트(310)가 대향 배치된다. Data-용 콘택트(320)와 Data+용 콘택트(330)와의 사이의 공간에 그라운드용 콘택트(230)가 대향 배치된다. 콘택트(210, 220, 230)는 제 1의 블록(110)으로부터 돌출된 접속부(214, 224, 234)를 가진다. 콘택트(310, 320, 330)는 제 2의 블록(120)으로부터 돌출된 접속부(314, 324, 334)를 가진다. 상기 접속부는, 214, 314, 224, 324, 234, 334의 순서로 동일 높이에 일렬로 배치된다. 접속부(224, 324)의 사이의 거리(B)가, 접속부(214, 224)와 접속부(314)와의 사이의 거리(A) 및 접속부(324, 334)와 접속부(234)와의 사이의 거리(A)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주로 고속 디지털 전송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커넥터로서는, 보디 내에 배열된 상단 및 하단의 콘택트군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있다. 하단의 콘택트군은, 차동신호용 한 쌍의 콘택트와, 그 외의 콘택트를 가진다. 상단의 콘택트군은 한 쌍의 상기 콘택트의 사이의 공간에 대향 배치되는 해당 콘택트에 관련되는 그라운드용 콘택트와, 그 외의 콘택트를 가지고 있다(특허문헌 1의 단락 0032, 0033, 도 2 및 도 5 참조).
하단의 콘택트군의 콘택트는 보디로부터 돌출되는 후단부가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후단부의 수평부분이 기판 위의 배선 라인에 실장되는 접속부로 되어 있다. 또, 상단의 콘택트군의 콘택트도, 보디로부터 돌출되는 후단부가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후단부의 수평부분이 하단의 콘택트군의 콘택트의 상기 후단부의 접속부와 동일 높이에 배치되고, 기판 위의 배선 라인에 실장되는 접속부로 되어 있다(특허문헌 1의 도 7 참조).
일본국특개2005-5272호공보
상술한 커넥터의 경우, 상단 및 하단의 콘택트군의 콘택트의 접속부가 동일 높이에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의 사이의 거리는 대략 일정하다. 이런 연유로, 차동신호용 한 쌍의 콘택트의 접속부와 이 주변의 콘택트의 접속부와의 사이에 크로스토크(crosstalk)가 생길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인접하는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간에서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절연성을 가지는 보디와, 보디 내에 배열된 제 1의 콘택트군과, 보디 내의 제 1의 콘택트와 다른 높이 위치에 대략 평행하게 배열된 제 2의 콘택트군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 1의 콘택트군의 제 1의 콘택트가 제 2의 콘택트군의 한 쌍의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사이의 공간에 대향 배치되고, 제 2의 콘택트군의 제 2의 콘택트가 제 1의 콘택트군의 한 쌍의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사이의 공간에 대향 배치되어 있으며, 제 1의 신호용 콘택트는 보디 외에 배치되는 접속부를 가지며, 제 2의 신호용 콘택트는, 보디 외에 배치되고 또한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와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된 접속부를 가지고 있으며, 제 1의 콘택트는, 보디 외에 배치되고 또한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의 사이에 해당 접속부와 동일 높이에 배치되는 접속부를 가지며, 제 2의 콘택트는, 보디 외에 배치되고 또한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의 사이에 해당 접속부와 동일 높이에 배치되는 접속부를 가지고 있으며,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와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와 제 2의 콘택트의 접속부와의 사이의 거리 및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와 제 1의 콘택트의 접속부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에 의한 경우, 인접하는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와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와 제 2의 콘택트의 접속부와의 사이의 거리 및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와 제 1의 콘택트의 접속부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커지고 있다. 이런 연유로, 각 콘택트의 접속부가 동일 높이에 배열되는 경우에서도, 인접하는 한 쌍의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와 한 쌍의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와의 사이에서,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제 1, 제 2의 콘택트의 접속부가 제 1,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접속부가 기판 위에 접속되는 경우, 제 1, 제 2의 콘택트의 접속부가 접속되는 기판의 신호면 위의 그라운드라인을 기판의 신호면과는 다른 면(예를 들면, 그라운드면)에 접속됨으로써, 기판의 신호면 위에 있어서의 그라운드라인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이런 연유로, 제 1, 제 2의 신호용 콘택트가 접속되는 신호 라인을 기판의 신호면 위에 거의 일직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와 기판의 신호 라인과의 접속이 용이해진다. 또, 기판의 신호 라인이 거의 일직선이므로, 신호 라인의 구부러진 부분에서 신호가 반사 등 해서, 전송특성이 열화(劣化)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제 2의 신호용 콘택트는 차동신호용 콘택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의 콘택트군이 한 쌍의 상기 제 1의 신호용 콘택트를 2조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2의 콘택트군이 상기 제 2의 콘택트를 2개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 1의 콘택트군이 USB 3.0용 콘택트군이며, 제 2의 콘택트군이 USB 2.0용 콘택트군인 경우, 상기 제 2의 콘택트의 한쪽은 그라운드 콘택트이며, 상기 제 2의 콘택트의 다른 쪽은 전원 콘택트이다. 이 경우, USB 3.0용 콘택트군의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사이의 공간에, USB 2.0용 콘택트군의 제 2의 콘택트가 대향 배치된다. 이 제 2의 콘택트는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기준이 되는 그라운드는 아니지만, 고주파적으로는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그라운드 콘택트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제 2의 콘택트를 이용해서 제 1의 신호용 콘택트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실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전송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USB 2.0용 콘택트군의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사이의 공간에, USB 3.0용 콘택트군의 제 1의 콘택트가 대향 배치된다. 이 제 1의 콘택트도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기준이 되는 그라운드는 아니지만, 고주파적으로는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그라운드 콘택트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제 1의 콘택트를 이용해서 제 2의 신호용 콘택트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실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전송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USB 3.0용 콘택트군의 제 1의 콘택트를 이용해서 제 2의 신호용 콘택트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하고, USB 2.0용 콘택트군의 제 2의 콘택트를 이용해서 제 1의 신호용 콘택트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이들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하기 위해서 다른 콘택트를 추가하는 경우에 비해서 구성이 간단해진다. 따라서,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의 콘택트군이 제 1의 규격에 대응해서 배치되고, 제 2의 콘택트군이 제 1의 규격과 다른 제 2의 규격에 대응해서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 1의 콘택트군의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사이의 공간에, 다른 규격에 대응한 제 2의 콘택트군의 제 2의 콘택트가 대향 배치된다. 이 제 2의 콘택트는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기준이 되는 그라운드는 아니지만, 고주파적으로는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그라운드 콘택트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제 2의 콘택트를 이용해서 제 1의 신호용 콘택트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실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전송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의 콘택트군의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사이의 공간에, 다른 규격에 대응한 제 1의 콘택트군의 제 1의 콘택트가 대향 배치된다. 이 제 1의 콘택트도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기준이 되는 그라운드는 아니지만, 고주파적으로는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그라운드 콘택트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제 1의 콘택트를 이용해서 제 2의 신호용 콘택트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실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전송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의 콘택트군의 제 1의 콘택트를 이용해서 제 2의 신호용 콘택트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하고, 제 2의 콘택트군의 제 2의 콘택트를 이용해서 제 1의 신호용 콘택트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이들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하기 위해서 다른 콘택트를 추가하는 경우에 비해서 구성이 간단해진다. 따라서,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1의 신호용 콘택트가,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와, 이 접촉부에 연속되는 본체부를 또한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본체부의 사이의 거리는, 해당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사이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본체부의 사이의 거리가,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와 제 2의 콘택트의 접속부와의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게 조정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의 사이에 제 2의 콘택트의 접속부가 동일 높이에 배치되고,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와 제 2의 콘택트의 접속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본체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아지는 것을 기인으로서,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사이에 임피던스의 차가 생기고 있었다 해도,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본체부의 사이의 거리가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정되므로,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단지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본체부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뿐이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해지지도 않는다.
상기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본체부의 폭치수를 확장하거나, 상기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본체부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하거나 함으로써, 상기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본체부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의 사이에 제 2의 콘택트의 접속부를 배치하기 때문에, 제 1의 신호용 콘택트를 외측에 절곡하는 양을 제로 또는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고주파특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보디는, 제 1의 콘택트군이 배열되는 제 1의 블록과, 제 2의 콘택트군이 배열되는 제 2의 블록을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의 블록이 제 2의 블록에 장착됨으로써, 제 1의 콘택트가 한 쌍의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사이의 공간에, 제 2의 콘택트가 한 쌍의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사이의 공간에 대향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의 블록을 제 2의 블록에 장착하기만 해도, 제 1의 콘택트를 한 쌍의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사이의 공간에, 제 2의 콘택트를 한 쌍의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사이의 공간에 대향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보디에 있어서의 제 1, 제 2의 콘택트군의 배열을 매우 간단히 실행할 수 있다.
제 2의 블록은, 제 1의 콘택트군이 배열되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 위에 배치되고 또한 제 1의 블록의 양측단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2의 블록의 가이드부재의 사이에 제 1의 블록을 삽입하기만 해도, 제 1의 블록을 제 2의 블록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상기 커넥터의 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상기 커넥터의 개략도로서, 도 3(a)가 정면도, 도 3(b)가 배면도, 도 3(c)가 평면도, 도 3(d)가 저면도, 도 3(e)가 측면도;
도 4는 상기 커넥터의 개략적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커넥터의 제 1, 제 2의 콘택트군의 콘택트의 접속부의 사이의 간격을 표시한 개략적 평면도;
도 6은 상기 커넥터의 TX+신호용 콘택트 및 TX-신호용 콘택트의 설계변경을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상기 커넥터의 TX+신호용 콘택트 및 TX-신호용 콘택트의 다른 설계변경을 나타낸 모식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대해서 상기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커넥터는, 기판(10) 위에 실장되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USB 3.0용 플러그 및 USB 2.0용 플러그가 접속 가능한 리셉터클 커넥터이다. 이 커넥터는, 보디(100)와, USB 3.0용 콘택트군(200)(제 1의 콘택트군)과, USB 2.0용 콘택트군(300)(제 2의 콘택트군)과, 셸(400)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 부(部)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기판(10)은 주지된 다층 프린트 기판이다. 이 기판(10)의 최상층의 면(즉, 상부면)이 신호면으로 되어 있다. 한편, 기판(10)의 최하층의 면(즉, 하부면)이 그라운드면으로 되어 있다. 기판(10)의 상부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신호라인(11a, 12a, 13a), 전원라인(11b) 및 그라운드라인(12b, 13b)이 형성되어 있다. 전원라인(11b)은, 신호라인(11a)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기판(10)의 중간층에 접속되어 있다. 그라운드라인(12b)은, 신호라인(12a)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기판(10)의 그라운드면에 접속되어 있다. 그라운드라인(13b)는, 신호라인(13a)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기판(10)의 그라운드면에 접속되어 있다.
USB 3.0용 콘택트군(2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TX+신호용 콘택트(210)(한 쌍의 제 1의 차동신호용 콘택트의 한쪽)와, TX-신호용 콘택트(220)(한 쌍의 제 1의 차동신호용 콘택트의 다른 쪽)와, 그라운드용 콘택트(230)(제 1의 콘택트)와, RX+신호용 콘택트(240)(한 쌍의 제 1의 차동신호용 콘택트의 한쪽)와, RX-신호용 콘택트(250)(한 쌍의 제 1의 차동신호용 콘택트의 다른 쪽)를 가지고 있다.
TX+신호용 콘택트(2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형상의 본체부(211)와, 이 본체부(211)의 선단부에 연속되는 대략 역V자 형상의 접촉부(212)와, 본체부(211)의 후단부에 연속되는 단면에서 보면 대략 역L자 형상의 절곡부(213)와, 이 절곡부(213)의 후단부에 연속되는 직육면체인 접속부(214)를 가진다.
접촉부(212)는 USB 3.0용 플러그의 USB 3.0용 플러그 콘택트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본체부(211)의 후단부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보디(100)의 후술하는 제 1의 블록(110) 내에 매설되어 있다. 한편, 본체부(211)의 선단부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의 블록(110)이 보디(100)의 후술하는 제 2의 블록(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 2의 블록(120)의 가이드홈(123a)에 삽입된다. 이 본체부(211)의 선단부는, 접촉부(212)에 USB 3.0용 플러그의 USB 3.0용 플러그 콘택트가 접촉됨으로써, 아래쪽 방향으로 탄성변형하고, 접촉부(212)와 동시에 제 2의 블록(120)의 후술하는 긴 구멍(121a)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속부(21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100)의 제 1의 블록(110) 외에 배치되고 또한 기판(10) 위의 한쪽 신호라인(11a)에 접속되는 부분이다.
TX-신호용 콘택트(220)는, 도 2 및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224)가 기판(10) 위의 다른 쪽 신호라인(11a)에 접속되는 것 이외에, TX+신호용 콘택트(210)와 거의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TX-신호용 콘택트(220)의 설명은 생략한다.
RX+신호용 콘택트(240)는, 도 2 및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244)가 기판(10) 위의 한쪽 신호라인(13a)에 접속되는 것 이외에, TX+신호용 콘택트(210)와 거의 동일한 것이다. RX-신호용 콘택트(250)는, 접속부(254)가 기판(10) 위의 다른 쪽 신호라인(13a)에 접속되는 것 이외에, TX+신호용 콘택트(210)와 거의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RX+신호용 콘택트(240) 및 RX-신호용 콘택트(250)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라운드용 콘택트(230)는, 도 2 및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234)가 기판(10) 위의 그라운드라인(12b)에 접속되는 것 이외에, TX+신호용 콘택트(210)와 거의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그라운드용 콘택트(230)의 설명도 생략한다.
USB 2.0용 콘택트군(3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Vbus용 콘택트(310)(제 2의 콘택트)와, Data-용 콘택트(320)(한 쌍의 제 2의 차동신호용 콘택트의 한쪽)와, Data+용 콘택트(330)(한 쌍의 제 2의 차동신호용 콘택트의 다른 쪽)와, GND용 콘택트(340)(제 2의 콘택트)를 가지고 있다.
Vbus용 콘택트(310)는, 도 3(d)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형상의 본체부(311)와, 이 본체부(311)의 선단부에 연속되는 평판형상의 접촉부(312)와, 본체부(311)의 후단부에 연속되는 절곡부(313)와, 이 절곡부(313)의 후단부에 연속되는 직육면체인 접속부(314)를 가진다.
본체부(311)의 선단부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보디(100)의 제 2의 블록(120)의 후술하는 베이스부(121) 내에 매설되어 있다. 한편, 본체부(311)의 후단부는 베이스부(121)의 후단부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접촉부(312)는, 베이스부(121)의 후술하는 가이드구멍(121b)에 삽입되고, 베이스부(121)의 상부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이 접촉부(312)의 상부면이 USB 2.0용 플러그의 USB 2.0용 플러그 콘택트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접촉부(312)는 USB 2.0용 플러그 콘택트에 압압됨으로써, 가이드구멍(121b) 내를 아래쪽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절곡부(313)는, 접속부(314)의 하부면이 TX+신호용 콘택트(210)의 접속부(214)의 하부면이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아래쪽 방향을 향해서 절곡되어 있다. 접속부(314)는, 제 2의 블록(120) 외에 배치되고 또한 기판(10) 위의 전원라인(11b)에 접속되는 부분이다.
GND용 콘택트(340)는, 도 2, 도 3(d)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344)가 기판(10) 위의 그라운드라인(13b)에 접속되는 것 이외에, Vbus용 콘택트(310)와 거의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GND용 콘택트(340)의 설명은 생략한다.
Data-용 콘택트(320)는, 도 2, 도 3(d)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322)의 길이 치수가 접촉부(312)의 길이 치수보다도 줄어들고 있으며 또한 접속부(324)가 기판(10) 위의 한쪽 신호라인(12a)에 접속되는 것 이외에, Vbus용 콘택트(310)와 거의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Data-용 콘택트(320)의 설명은 생략한다.
Data+용 콘택트(330)는, 도 2, 도 3(d)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334)가 기판(10) 위의 다른 쪽 신호라인(12a)에 접속되는 것 이외에, Data-용 콘택트(320)와 거의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Data+용 콘택트(330)의 설명은 생략한다.
보디(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면 대략 T자 형상의 절연수지 제품인 제 1의 블록(110)과, 단면에서 보면 대략 L자 형상의 절연수지 제품인 제 2의 블록(120)을 가지고 있다.
제 2의 블록(120)은, 베이스부(121)와, 이 베이스부(121)의 후단부의 폭방향의 양측단부 위에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판(122)(가이드부재)과, 가이드판(122)의 선단부의 사이에 배치된 콘택트 가이드부(123)를 가진다.
베이스부(121)의 후단부에는, USB 2.0용 콘택트군(300)의 Vbus용 콘택트(310), Data-용 콘택트(320), Data+용 콘택트(330), GND용 콘택트(340)의 본체부(311, 321, 331, 341)의 선단부가 제 2의 블록(120)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다.
베이스부(121)의 선단부에는, 도 2, 도 3(a) 및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베이스부(121)를 상하로 관통하는 4개의 가이드구멍(121b)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구멍(121b)에는, USB 2.0용 콘택트군(300)의 Vbus용 콘택트(310), Data-용 콘택트(320), Data+용 콘택트(330), GND용 콘택트(340)의 접촉부(312, 322, 332, 342)가 삽입되어 있다. 접촉부(312, 322, 332, 342)는, 가이드구멍(121b)으로부터 베이스부(121)의 상부면 위로 각각 노출되어 있다.
또, 베이스부(121) 내에 있어서의 Vbus용 콘택트(310), Data-용 콘택트(320), Data+용 콘택트(330), GND용 콘택트(340)의 본체부(311, 321, 331, 341)의 사이에는, 도 3(c)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123a)에 각각 연통하는 5개의 긴 구멍(121a)이 형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판(122)의 후단부의 내부면에는, 제 1의 블록(120)의 후술하는 가이드볼록부(111)가 삽입되는 가이드오목부(122a)가 배치되어 있다. 즉, 가이드볼록부(111)가 가이드오목부(122a)에 안내됨으로써, 제 1의 블록(110)이 제 2의 블록(120)의 한 쌍의 가이드판(122)의 후단부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콘택트 가이드부(123)에는 5개의 가이드홈(12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123a) 중, 중앙의 가이드홈(123a)을 제외한 가이드홈(123a)의 양측가장자리부분에는, 양부(梁部)(123b)가 현가(懸架)되어 있다.
제 1의 블록(110)의 폭치수는, 제 2의 블록(120)의 한 쌍의 가이드판(122)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약간 작아지고 있다. 즉, 제 1의 블록(110)은 제 2의 블록(120)의 한 쌍의 가이드판(122)의 사이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 1의 블록(110)의 폭방향의 양측단부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볼록부(111)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볼록부(111)가 가이드판(122)의 가이드오목부(122a)에 각각 삽입된다. 제 1의 블록(110)의 후단부 폭방향의 양측단부에는 외측에 볼록형상의 한 쌍의 플랜지(112)가 배치되어 있다. 이 플랜지(112)가 제 2의 블록(120)의 가이드판(122)의 후단부에 접촉된다.
제 1의 블록(110)의 상부면 중앙부분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오목부(113)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사오목부(113)에 셸(400)의 걸림편(411)이 걸리게 됨으로써, 제 1의 블록(110)의 후방으로의 빠짐이 방지된다.
또, 제 1의 블록(110) 내에는, USB 3.0용 콘택트군(200)의 TX+신호용 콘택트(210), TX-신호용 콘택트(220), 그라운드용 콘택트(230), RX+신호용 콘택트(240) 및 RX-신호용 콘택트(250)가 제 1의 블록(110)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다.
제 1의 블록(110)이 제 2의 블록(120)의 가이드판(122)에 유지되면, TX+신호용 콘택트(210), TX-신호용 콘택트(220), 그라운드용 콘택트(230), RX+신호용 콘택트(240) 및 RX-신호용 콘택트(250)의 본체부(211, 221, 231, 241, 251)의 선단부가 가이드홈(123a)에 각각 삽입되고, 본체부(211, 221, 231, 241, 251)의 선단부 및 접촉부(212, 222, 232, 242, 252)가 제 2의 블록(120)의 베이스부(121)의 긴 구멍(121a) 위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USB 3.0용 콘택트군(200)과 USB 2.0용 콘택트군(300)이 다른 높이 위치에 동일방향을 향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c) 및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TX+신호용 콘택트(210)와 TX-신호용 콘택트(220)와의 사이의 공간에 Vbus용 콘택트(310)가 대향 배치된다. RX+신호용 콘택트(240)와 RX-신호용 콘택트(250)와의 사이의 공간에 GND용 콘택트(340)가 대향 배치된다. Data-용 콘택트(320)와 Data+용 콘택트(330)와의 사이의 공간에 그라운드용 콘택트(230)가 대향 배치된다. 이런 연유로, USB 3.0용 콘택트군(200) 및 USB 2.0용 콘택트군(300)의 접속부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14, 314, 224, 324, 234, 334, 244, 344, 254의 순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이때, 접속부(224)와 접속부(324)와의 사이 및 접속부(334)와 접속부(244)와의 사이의 거리(B)가, 접속부(214)와 접속부(314)와의 사이나 접속부(224)와 접속부(314)와의 사이 등의 거리(A)보다도 커지고 있다.
또, 이와 같이 USB 3.0용 콘택트군(200) 및 USB 2.0용 콘택트군(300)의 접속부가, 214, 314, 224, 324, 234, 334, 244, 344, 254의 순서로 동일 높이에 일렬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부(224)와 접속부(314)와의 사이 등의 거리(A)가, 본체부(211)와 본체부(221)와의 사이 등의 거리(C)보다도 커지며, 그 결과, TX+신호용 콘택트(210)와 TX-신호용 콘택트(220)와의 사이 등에 임피던스 부정합이 생긴다. 이런 연유로, 본체부(211)와 본체부(221)와의 사이의 거리(C)가, TX+신호용 콘택트(210)와 TX-신호용 콘택트(220)와의 사이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 조정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TX+신호용 콘택트(210)의 본체부(211) 및 TX-신호용 콘택트(220)의 본체부(221)의 폭치수를 내측으로 확장해서 거리(C)를 작게 하거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TX+신호용 콘택트(210)의 본체부(211) 및 TX-신호용 콘택트(220)의 본체부(221)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해서 거리(C)를 작게 하거나 함으로써, 거리(A)와 거리(C)를 거의 동일하게 설정하고 있다. 그 결과, TX+신호용 콘택트(210)와 TX-신호용 콘택트(220)와의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전자의 경우, 접속부(214, 224)의 사이에 접속부(314)를 배치하는 데에 있어서는, TX+신호용 콘택트(210)와 TX-신호용 콘택트(220)를 외측으로 절곡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TX+신호용 콘택트(210) 및 TX-신호용 콘택트(220)의 고주파특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단지, 본체부(211)와 본체부(221)와의 사이의 거리(C)를 조정할 뿐이기 때문에, TX+신호용 콘택트(210)와 TX-신호용 콘택트(220)와의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하는 데에 있어서는, 본 커넥터의 구조가 복잡해지지도 않는다. 또한, RX+신호용 콘택트(240)의 본체부(241)와 RX-신호용 콘택트(250)의 본체부(251)와의 사이의 거리도, 마찬가지로 조정되고 있다.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셸(400)은, 금속제 각형(角型)의 통상체인 셸 본체(410)와, 이 셸 본체(410)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420)를 가진다. 셸 본체(410)는, 결합된 제 1, 제 2의 블록(110, 120)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셸 본체(410)와 제 2의 블록(120)의 베이스부(121)의 선단부와의 사이의 공간이, USB 3.0용 플러그 및 USB 2.0용 플러그가 각각 삽입 가능한 플러그삽입구멍(α)으로 되어 있다. 셸 본체(410)의 상부면 후단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 방향으로 절기(切起)된 걸림편(411)이 배치되어 있다. 이 걸림편(411)이 제 1의 블록(110)의 경사오목부(113)에 걸리게 됨으로써, 제 1의 블록(110)의 후방으로의 빠짐이 방지된다. 또, 셸 본체(410)의 후단부의 하측부분이 잘라져 있다. 셸 본체(410)의 후단부에 다리부(420)가 연설(連設)되어 있다. 다리부(420)는 기판(10)의 도시하지 않은 걸림구멍에 삽입되어서, 해당 걸림구멍의 가장자리부분에 걸리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우선, 제 1의 블록(110)에 매설된 TX+신호용 콘택트(210), TX-신호용 콘택트(220), 그라운드용 콘택트(230), RX+신호용 콘택트(240) 및 RX-신호용 콘택트(250)의 접촉부(212, 222, 232, 242, 252)를, 제 2의 블록(120)의 가이드홈(123a)에 각각 삽입하면서, 제 1의 블록(110)의 가이드볼록부(111)를 제 2의 블록(120)의 한 쌍의 가이드판(122)의 가이드오목부(122a)에 각각 삽입한다. 그러면, TX-신호용 콘택트(220), 그라운드용 콘택트(230), RX+신호용 콘택트(240) 및 RX-신호용 콘택트(250)의 본체부(211, 221, 231, 241, 251)의 선단부가 가이드홈(123a)에 각각 삽입되는 동시에, 해당 본체부(211, 221, 231, 241, 251)의 선단부 및 접촉부(212, 222, 232, 242, 252)가 제 2의 블록(120)의 베이스부(121)의 긴 구멍(121a) 위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 1, 제 2의 블록(110, 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해당 제 1, 제 2의 블록(110, 120)을 셸 본체(410) 내에 삽입한다. 그러면, 셸 본체(410)의 걸림편(411)이 제 2의 블록(120)의 경사오목부(113)에 끼인다.
이상과 같이 조립된 리셉터클 커넥터는 다음과 같이 기판(1O)에 실장된다. 우선, 셸(400)의 다리부(420)를 기판(10)의 걸림구멍에 각각 삽입한다. 그러면, 접속부(214)가 기판(10) 위의 한쪽 신호라인(11a) 위에 설치된다. 접속부(314)가 기판(10) 위의 전원라인(11b) 위에 설치된다. 접속부(224)가 기판(10) 위의 다른 쪽 신호라인(11a) 위에 설치된다. 접속부(324)가 기판(10) 위의 한쪽 신호라인(12a) 위에 설치된다. 접속부(234)가 기판(10) 위의 그라운드라인(12b) 위에 설치된다. 접속부(334)가 기판(10) 위의 다른 쪽 신호라인(12a) 위에 설치된다. 접속부(244)가 기판(10) 위의 한쪽 신호라인(13a) 위에 설치된다. 접속부(344)가 기판(10) 위의 그라운드라인(13b) 위에 설치된다. 접속부(254)가 기판(10) 위의 다른 쪽 신호라인(13a) 위에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접속부(214)를 기판(10) 위의 한쪽 신호라인(11a)에 납땜 접속한다. 접속부(314)를 기판(10)의 전원라인(11b)에 납땜 접속한다. 접속부(224)를 기판(10) 위의 다른 쪽 신호라인(11a) 위에 납땜 접속한다. 접속부(324)를 기판(10)의 한쪽 신호라인(12a)에 납땜 접속한다. 접속부(234)를 기판(10) 위의 그라운드라인(12b)에 납땜 접속한다. 접속부(334)를 기판(10)의 다른 쪽 신호라인(12a)에 납땜 접속한다. 접속부(244)를 기판(10) 위의 한쪽 신호라인(13a)에 납땜 접속한다. 접속부(344)를 기판(10)의 그라운드라인(13b)에 납땜 접속한다. 접속부(254)를 기판(10) 위의 다른 쪽 신호라인(13a)에 납땜 접속한다.
이와 같이 기판(10) 위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는 이하와 같이 USB 3.0용 플러그 및 USB 2.0용 플러그가 접속된다.
USB 3.0용 플러그가 플러그삽입구멍(α)에 삽입되면, USB 3.0용 플러그의 USB 3.0용 플러그 콘택트가 TX+신호용 콘택트(210), TX-신호용 콘택트(220), 그라운드용 콘택트(230), RX+신호용 콘택트(240) 및 RX-신호용 콘택트(250)의 접촉부(212, 222, 232, 242, 252)의 정상부에 각각 접촉된다. 이때, USB 3.0용 플러그 콘택트에 의해 접촉부(212, 222, 232, 242, 252)가 각각 압압되어서, 본체부(211, 221, 231, 241, 251)의 선단부가 아래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러면, 본체부(211, 221, 231, 241, 251)의 선단부 및 접촉부(212, 222, 232, 242, 252)가 제 2의 블록(120)의 긴 구멍(121A)에 각각 삽입된다.
USB 2.0용 플러그가 플러그삽입구멍(α)에 삽입되면, USB 2.0용 플러그의 USB 2.0용 플러그 콘택트가 Vbus용 콘택트(310), Data-용 콘택트(320), Data+용 콘택트(330), GND용 콘택트(340)의 접촉부(312, 322, 332, 342)의 상부면에 각각 접촉된다. 이때, USB 2.0용 플러그의 USB 2.0용 플러그 콘택트에 의해 접촉부(312, 322, 332, 342)가 각각 압압되어서, 해당 접촉부(312, 322, 332, 342)가 제 2의 블록(120)의 가이드구멍(121b) 내를 아래쪽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와 같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한 경우, 접속부(224)와 접속부(324)와의 사이 및 접속부(334)와 접속부(244)와의 사이의 거리(B)가, 접속부(214)와 접속부(314)와의 사이 등의 거리(A)보다도 커지고 있다. 이런 연유로, 차동페어를 이루는 TX+신호용 콘택트(210)의 접속부(214) 및 TX-신호용 콘택트(220)의 접속부(224)와 차동페어를 이루는 Data-용 콘택트(320)의 접속부(324) 및 Data+용 콘택트(330)의 접속부(334)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차동페어를 이루는 Data-용 콘택트(320)의 접속부(324) 및 Data+용 콘택트(330)의 접속부(334)와 차동페어를 이루는 RX+신호용 콘택트(240)의 접속부(244) 및 RX-신호용 콘택트(250)의 접속부(254)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Vbus용 콘택트(310)의 접속부(314)가 TX+신호용 콘택트(210)의 접속부(214)와 TX-신호용 콘택트(220)의 접속부(224)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접속부(314)가 접속되는 기판(10) 위의 전원라인(11b)을 해당 기판(10)의 도시하지 않은 중간층(즉, 신호면과 다른 면)에 접속함으로써, 전원라인(11b)의 기판(10)의 신호면 위에 있어서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접속부(214, 224)가 각각 접속되는 기판(10) 위의 신호라인(11a)을 거의 일직선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접속부(214, 224)를 기판(10) 위의 신호라인(11a)에 간단히 납땜 접속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라운드용 콘택트(230)의 접속부(234)가 Data-용 콘택트(320)의 접속부(324)와 Data+용 콘택트(330)의 접속부(334)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부(234)가 접속되는 기판(10) 위의 그라운드라인(12b)을 해당 기판(10)의 그라운드면에 접속함으로써, 그라운드라인(12b)의 기판(10)의 신호면 위에 있어서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접속부(324, 334)가 각각 접속되는 기판(10) 위의 신호라인(12a)을 거의 일직선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접속부(324, 334)를 기판(10) 위의 신호라인(12a)에 간단히 납땜 접속할 수 있다. 또, GND용 콘택트(340)의 접속부(344)가 RX+신호용 콘택트(240)의 접속부(244)와 RX-신호용 콘택트(250)의 접속부(254)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부(344)가 접속되는 기판(10) 위의 그라운드라인(13b)을 해당 기판(10)의 그라운드면에 접속함으로써, 그라운드라인(13b)의 기판(10)의 신호면 위에 있어서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접속부(244, 254)가 각각 접속되는 기판(10) 위의 신호라인(13a)을 거의 일직선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접속부(244, 254)를 기판(10) 위의 신호라인(13a)에 간단히 납땜 접속할 수 있다. 또, 기판(10)의 신호라인(11a, 12a, 13a)이 거의 일직선이므로, 신호라인(11a, 12a, 13a)의 구부러진 부분에서 신호가 반사 등 해서, 전송특성이 열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USB 3.0용 콘택트군(200)의 차동페어를 이루는 TX+신호용 콘택트(210)와 TX-신호용 콘택트(220)와의 사이의 공간에 USB 2.0용 콘택트군(300)의 Vbus용 콘택트(310)가 대향 배치되어 있다. Vbus용 콘택트(310)는 차동페어를 이루는 TX+신호용 콘택트(210) 및 TX-신호용 콘택트(220)의 기준이 되는 그라운드는 아니지만, 고주파적으로는 TX+신호용 콘택트(210) 및 TX-신호용 콘택트(220)의 그라운드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Vbus용 콘택트(310)를 이용해서 TX+신호용 콘택트(210)와 TX-신호용 콘택트(220)와의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실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TX+신호용 콘택트(210) 및 TX-신호용 콘택트(220)의 전송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USB 3.0용 콘택트군(200)의 차동페어를 이루는 RX+신호용 콘택트(240)와 RX-신호용 콘택트(250)와의 사이의 공간에 USB 2.0용 콘택트군(300)의 GND용 콘택트(340)가 대향 배치되어 있다. GND용 콘택트(340)는, RX+신호용 콘택트(240) 및 RX-신호용 콘택트(250)의 기준이 되는 그라운드는 아니지만, 고주파적으로는 RX+신호용 콘택트(240) 및 RX-신호용 콘택트(250)의 그라운드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GND용 콘택트(340)를 이용해서 RX+신호용 콘택트(240)와 RX-신호용 콘택트(250)와의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실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RX+신호용 콘택트(240) 및 RX-신호용 콘택트(250)의 전송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USB 2.0용 콘택트군(300)의 Data-용 콘택트(320)와 Data+용 콘택트(330)와의 사이의 공간에 USB 3.0용 콘택트군(200)의 그라운드용 콘택트(230)가 대향 배치되어 있다. 그라운드용 콘택트(230)는 Data-용 콘택트(320) 및 Data+용 콘택트(330)의 기준이 되는 그라운드는 아니지만, 고주파적으로는 Data-용 콘택트(320) 및 Data+용 콘택트(330)의 그라운드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그라운드용 콘택트(230)를 이용해서 Data-용 콘택트(320)와 Data+용 콘택트(330)와의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실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Data-용 콘택트(320) 및 Data+용 콘택트(330)의 전송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USB 2.0용 콘택트군(300)의 Vbus용 콘택트(310)를 이용해서 USB 3.0용 콘택트군(200)의 차동페어를 이루는 TX+신호용 콘택트(210)와 TX-신호용 콘택트(220)와의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으며, USB 2.0용 콘택트군(300)의 GND용 콘택트(340)를 이용해서 USB 3.0용 콘택트군(200)의 차동페어를 이루는 RX+신호용 콘택트(240)와 RX-신호용 콘택트(250)와의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USB 3.0용 콘택트군(200)의 Data-용 콘택트(320)와 Data+용 콘택트(330)와의 사이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차동페어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하기 위해 콘택트를 추가하는 경우에 비해서 구성이 간단해진다. 이런 점에서, 본 리셉터클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커넥터는,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보디(100)가 제 1, 제 2의 블록(110, 120)을 가진다고 서술하였지만, 단일의 것이어도 된다. 물론, 보디(100)를 3이상으로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1의 블록(110)의 폭방향의 양측단부면에 가이드볼록부(111)가 배치되고, 제 2의 블록(120)의 가이드판(122)의 내부면에 가이드오목부(122a)가 배치되어 있다고 서술하였지만, 그 외의 장착수단을 이용해서 제 1, 제 2의 블록(110, 120)을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의 블록(110)에 걸림편 또는 걸림구멍을 형성하고, 제 2의 블록(120)의 걸림구멍 또는 걸림편에 걸리게 하도록 해도 된다. 또, 가이드볼록부(111)를 가이드판(122)의 내부면에 배치하고, 가이드오목부(122a)를 제 1의 블록(110)의 양측단부면에 배치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또, USB 3.0용 콘택트군(200), USB 2.0용 콘택트군(300)의 각 콘택트는, 제 1, 제 2의 블록(110, 120)에 각각 매설되어 있다고 서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보디에 장착구멍을 형성하고, 해당 장착구멍에 USB 3.0용 콘택트군(200), USB 2.0용 콘택트군(300)의 각 콘택트를 삽입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 커넥터는, USB 3.0용 콘택트군(200) 및 USB 2.0용 콘택트군(300)을 구비한다고 서술하였지만, 보디 내에 다른 높이 위치에 대략 평행하게 배열되는 제 1, 제 2의 콘택트군을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제 1의 콘택트군을 제 1의 규격에 대향해서 배치하고, 제 2의 콘택트군을 제 1의 규격과 다른 제 2의 규격에 대응시켜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 1의 콘택트군이, 적어도 한 쌍의 제 1의 신호용 콘택트 및 그 외의 제 1의 콘택트를 가지며, 제 2의 콘택트군이, 적어도 한 쌍의 제 2의 신호용 콘택트 및 그 외의 제 2의 콘택트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또, 제 1의 콘택트군의 제 1의 신호용 콘택트를 차동신호용 콘택트로 하는 반면에, 제 2의 콘택트군의 제 2의 신호용 콘택트를 싱글 엔드(single ended) 신호용 콘택트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의 콘택트군의 제 2의 신호용 콘택트를 차동신호용 콘택트로 하는 반면에, 제 1의 콘택트군의 제 1의 신호용 콘택트를 싱글 엔드 신호용 콘택트로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211)와 본체부(221)와의 사이의 거리(C)가 TX+신호용 콘택트(210)와 TX-신호용 콘택트(220)와의 사이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 조정되고, 또한 본체부(241)와 본체부(251)와의 사이의 거리가 RX+신호용 콘택트(240)와 RX-신호용 콘택트(250)와의 사이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 조정되고 있다고 서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점은, 본체부(241) 및 본체부(251)도 동일하다. 또, 적어도, 본체부의 사이의 거리가 차동신호용 콘택트간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 조정되고 있으면 되고, 본체부 이외의 부분(상기 접촉부나 절곡부)의 사이의 거리를 차동신호용 콘택트간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단, 이와 같은 임피던스 정합은,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체부(211) 및 본체부(221)와 같이, USB 2.0의 콘택트군(300)의 본체부(321)와 본체부(331)와의 사이의 거리에 대해서도, Data-용 콘택트(320)와 Data+용 콘택트(330)와의 사이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커넥터는 기판(10)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라고 서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콘택트의 접속부에 케이블 등이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100: 보디 110: 제 1의 블록
120: 제 2의 블록 122: 가이드판(가이드부재)
20O: USB 3.0용 콘택트군
210: TX+신호용 콘택트(제 1의 신호용 콘택트)
211: 본체부 212: 접촉부
213: 절곡부 214: 접속부
220: TX-신호용 콘택트(제 1의 신호용 콘택트)
221: 본체부 222: 접촉부
223: 절곡부 224: 접속부
230: 그라운드용 콘택트(제 1의 콘택트)
231: 본체부 232: 접촉부
233: 절곡부 234: 접속부
240: RX+신호용 콘택트(제 1의 신호용 콘택트)
241: 본체부 242: 접촉부
243: 절곡부 244: 접속부
250: RX-신호용 콘택트(제 1의 신호용 콘택트)
251: 본체부 252: 접촉부
253: 절곡부 254: 접속부
300: USB 2.0용 콘택트군 310: Vbus용 콘택트(제 2의 콘택트)
314: 접속부
320: Data-용 콘택트(제 2의 신호용 콘택트)
324: 접속부
330: Data+용 콘택트(제 2의 신호용 콘택트)
334: 접속부 340: GND용 콘택트(제 2의 콘택트)
344: 접속부 400: 셸

Claims (11)

  1. 절연성을 가지는 보디와,
    보디 내에 배열된 제 1의 콘택트군과,
    보디 내의 제 1의 콘택트와 다른 높이 위치에 대략 평행하게 배열된 제 2의 콘택트군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 1의 콘택트군의 제 1의 콘택트가 제 2의 콘택트군의 한 쌍의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사이의 공간에 대향 배치되고,
    제 2의 콘택트군의 제 2의 콘택트가 제 1의 콘택트군의 한 쌍의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사이의 공간에 대향 배치되어 있으며,
    제 1의 신호용 콘택트는 보디 외에 배치되는 접속부를 가지며,
    제 2의 신호용 콘택트는, 보디 외에 배치되고 또한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와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된 접속부를 가지고 있으며,
    제 1의 콘택트는, 보디 외에 배치되고 또한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의 사이에 해당 접속부와 동일 높이에 배치되는 접속부를 가지며,
    제 2의 콘택트는, 보디 외에 배치되고 또한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의 사이에 해당 접속부와 동일 높이에 배치되는 접속부를 가지고 있으며,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와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와 제 2의 콘택트의 접속부와의 사이의 거리 및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와 제 1의 콘택트의 접속부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제 1, 제 2의 신호용 콘택트가 차동신호용 콘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제 1의 콘택트군은 한 쌍의 상기 제 1의 신호용 콘택트를 2조 가지고 있으며,
    제 2의 콘택트군은 상기 제 2의 콘택트를 2개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제 1의 콘택트군이 USB 3.0용 콘택트군이며, 제 2의 콘택트군이 USB 2.0용 콘택트군이고,
    상기 제 2의 콘택트의 한쪽은 그라운드 콘택트이며, 상기 제 2의 콘택트의 다른 쪽은 전원 콘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의 콘택트군이 제 1의 규격에 대응해서 배치되어 있으며, 제 2의 콘택트군이 제 1의 규격과 다른 제 2의 규격에 대응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신호용 콘택트는,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와, 이 접촉부에 연속되는 본체부를 또한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본체부의 사이의 거리가, 해당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사이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 조정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본체부의 사이의 거리가,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접속부와 제 2의 콘택트의 접속부와의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본체부의 폭치수가 확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본체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디는, 제 1의 콘택트군이 배열되는 제 1의 블록과, 제 2의 콘택트군이 배열되는 제 2의 블록을 가지며,
    제 1의 블록이 제 2의 블록에 장착됨으로써, 제 1의 콘택트가 한 쌍의 제 2의 신호용 콘택트의 사이의 공간에, 제 2의 콘택트가 한 쌍의 제 1의 신호용 콘택트의 사이의 공간에 대향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제 2의 블록은, 제 1의 콘택트군이 배열되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 위에 배치되고 또한 제 1의 블록의 양측단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00023277A 2009-03-24 2010-03-16 커넥터 KR101665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71703 2009-03-24
JP2009071703A JP4887393B2 (ja) 2009-03-24 2009-03-24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921A true KR20100106921A (ko) 2010-10-04
KR101665136B1 KR101665136B1 (ko) 2016-10-11

Family

ID=4234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277A KR101665136B1 (ko) 2009-03-24 2010-03-16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85851B2 (ko)
EP (1) EP2234221B1 (ko)
JP (1) JP4887393B2 (ko)
KR (1) KR101665136B1 (ko)
CN (1) CN101859938B (ko)
TW (1) TWI496352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5310A (ko) * 2011-11-18 2013-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미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594485B1 (ko) * 2015-07-22 2016-02-17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양면 유에스비 타입 소켓 커넥터의 제조방법
KR101645999B1 (ko) * 2015-03-24 2016-08-12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양면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 커넥터
KR20160114327A (ko) * 2015-03-24 2016-10-05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인서트접속단자 조립형 양면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 커넥터
KR101685923B1 (ko) * 2015-08-25 2016-12-14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양면 유에스비 타입 단조 소켓 커넥터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2151B2 (en) * 2009-01-05 2011-07-0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tacts
TW201039513A (en) * 2009-04-22 2010-11-01 Advanced Connectek Inc Electrical connector capable of eliminating interference
CN102025053B (zh) * 2009-09-15 2014-06-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US8570701B2 (en) * 2010-10-05 2013-10-29 Illinois Tool Works Inc. Rackmount I/O signal protector assembly for surge protection
CN102176576A (zh) * 2010-12-03 2011-09-07 华为终端有限公司 Usb插头和与其连接的pcb及usb设备
CN202121180U (zh) * 2011-04-29 2012-01-18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插头连接器和连接器组件
US8414337B2 (en) 2011-05-20 2013-04-09 Apple Inc. Low profile male connector
CN102957013A (zh) * 2011-08-18 2013-03-06 昆山联滔电子有限公司 线缆插头连接器、板端插座连接器及连接器组件
TWM432999U (en) * 2011-11-16 2012-07-01 Innostor Tech Corporation Circuit board and a storage device using the circuit board
JP5605378B2 (ja) * 2012-01-18 2014-10-15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3368010B (zh) * 2012-04-10 2016-03-09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电连接器
TWM439276U (en) * 2012-05-16 2012-10-11 Power Quotient Int Co Ltd The miniaturization usb connector
JP2013242983A (ja) * 2012-05-18 2013-12-05 Hosiden Corp コネクタ
DE102012212881A1 (de) * 2012-07-23 2014-01-23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teckers sowie ein Stecker
JP5952749B2 (ja) * 2013-01-28 2016-07-13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これに接続可能な相手側コネクタ
EP4297200A3 (en) 2013-01-29 2024-03-27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Electronic module and drug delivery device
US9484681B2 (en) * 2013-07-19 2016-11-0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357654B2 (en) 2014-03-03 2016-05-31 Apple Inc. Low-profile plug with cam and flexible circuit board
CN105470675A (zh) * 2014-09-03 2016-04-06 联想(北京)有限公司 电连接器
US9437988B2 (en) * 2014-10-17 2016-09-0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CN105990717A (zh) * 2015-02-12 2016-10-05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连接器及制造连接器的制造方法
JP6483497B2 (ja) * 2015-03-27 2019-03-13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325309B1 (ko) * 2015-05-22 202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M519845U (zh) * 2015-12-16 2016-04-01 Niceconn Technology Co Ltd 複合式連接器(二)
US10826243B2 (en) * 2018-08-28 2020-11-03 Sure-Fire Electrical Corporation Electric connector terminal configuration structure
JP7397295B2 (ja) 2019-10-18 2023-12-1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子デバイス
CN111224269B (zh) * 2020-01-13 2021-05-25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CN111769395B (zh) 2020-07-24 2022-02-01 东莞立讯技术有限公司 端子结构和电连接器
CN112103723B (zh) * 2020-10-09 2022-03-29 东莞立讯技术有限公司 端子结构和电连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5272A (ja) 1999-07-16 2005-01-06 Molex Inc コネクタ
JP2005530309A (ja) * 2002-03-27 2005-10-0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改善された保持性能を有する差動信号コネクタ組立体
JP2005531121A (ja) * 2002-06-21 2005-10-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モジュール構造を有するインピーダンス調整された高密度コネクタ
JP2007080782A (ja) * 2005-09-16 2007-03-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91012A1 (en) 2001-08-01 2004-02-25 Molex Incorporated Impedance-tuned connector
JP2004319257A (ja) * 2003-04-16 2004-11-1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平衡伝送用コネクタ
JP4216287B2 (ja) * 2006-02-20 2009-01-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255607B1 (en) * 2006-12-05 2007-08-1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mpatible electrical connector
JP2007214139A (ja) * 2007-03-30 2007-08-23 Taiko Denki Co Ltd レセプタクルの実装構造
CN201112629Y (zh) 2007-09-27 2008-09-10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组合式电连接器
JP5100449B2 (ja) * 2008-03-05 2012-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複合コネクタ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TWM346203U (en) * 2008-08-19 2008-12-01 Taiwin Electronics Co Ltd Terminal socket of eSATA integrated with DC power supply pin
US7699663B1 (en) * 2009-07-29 2010-04-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contac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5272A (ja) 1999-07-16 2005-01-06 Molex Inc コネクタ
JP2005530309A (ja) * 2002-03-27 2005-10-0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改善された保持性能を有する差動信号コネクタ組立体
JP2005531121A (ja) * 2002-06-21 2005-10-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モジュール構造を有するインピーダンス調整された高密度コネクタ
JP2007080782A (ja) * 2005-09-16 2007-03-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電気コネクタ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5310A (ko) * 2011-11-18 2013-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미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645999B1 (ko) * 2015-03-24 2016-08-12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양면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 커넥터
KR20160114327A (ko) * 2015-03-24 2016-10-05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인서트접속단자 조립형 양면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 커넥터
KR101594485B1 (ko) * 2015-07-22 2016-02-17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양면 유에스비 타입 소켓 커넥터의 제조방법
KR101685923B1 (ko) * 2015-08-25 2016-12-14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양면 유에스비 타입 단조 소켓 커넥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59938B (zh) 2014-01-15
TW201042840A (en) 2010-12-01
CN101859938A (zh) 2010-10-13
US20100248515A1 (en) 2010-09-30
JP2010225426A (ja) 2010-10-07
JP4887393B2 (ja) 2012-02-29
TWI496352B (zh) 2015-08-11
KR101665136B1 (ko) 2016-10-11
US8485851B2 (en) 2013-07-16
EP2234221B1 (en) 2013-09-18
EP2234221A1 (en)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6921A (ko) 커넥터
JP5634095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用プリント基板フットパターン
US945553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 bus
CN103996933B (zh) 连接器和使用该连接器的信号传输方法
US885824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bar to reduce cross talking
CN102856738B (zh) 电连接器
CN101154774B (zh) 连接器
US1130306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apacitive and resistive characteristics to satisfy required matching impedance
JP6703900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2011138775A (ja) コネクタ装置
US906521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ground contact with a solder portion and a pair of grounding contact portions
US8257114B2 (en) Vertical electrical connector
US894484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igh 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environment
US20080132121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terminal
CN101154773A (zh) 连接器
JP2010073436A (ja) 高速伝送用コネクタ、高速伝送コネクタ用プラグ、および、高速伝送コネクタ用ソケット
US20080254685A1 (en) Receptacle connector assembly for reducing EMI and/or crosstalk
CA2463792A1 (en) Female connector and connecting socket for producing a high-power data line connection
US896119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structures
US20150162683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obust heat-dissipation structures
EP2538498A1 (en) Connector and signal line structure
US10164367B2 (en) Connector
US9843136B1 (en) Electrical socket connector
TWM544138U (zh) 連接器結構
CN103208696A (zh) 插座连接器与插头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