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6466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6466A
KR20100106466A KR1020107015153A KR20107015153A KR20100106466A KR 20100106466 A KR20100106466 A KR 20100106466A KR 1020107015153 A KR1020107015153 A KR 1020107015153A KR 20107015153 A KR20107015153 A KR 20107015153A KR 20100106466 A KR20100106466 A KR 20100106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e mover
screen
engine
image information
scree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8950B1 (ko
Inventor
노부에이 아리가
히데노부 쯔까다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6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1Surveying the work-site to be tre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2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 B60R1/23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 B60R1/26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to the rear of the veh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66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combustion eng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7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an event-triggered choice to display a specific image among a selection of captured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9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obstacle warning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작업 개시시에 차체 주위의 확인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차체 주위에 장해물이 존재하고 있을 때라도 원동기의 시동이 가능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엔진 키 스위치 장치(16)로부터 출력되는 ON 신호에 기초하여, 모니터 장치(13)의 화면을 감시 카메라(12)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주위 화상 정보 화면으로 절환하는 화면 절환 수단(22)을 포함하는 화면 표시 제어 수단과, 상술한 ON 신호가 출력된 후 주위 화상 정보 화면으로 계속해서 유지하는 설정 시간을 미리 기억하는 기억부(19), 모니터 장치(13)에 표시되는 주위 화상 정보 화면의 표시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화면 표시 시간 판별 수단(23) 및 상술한 ON 신호에 기초하여, 엔진(8)을 시동 불능으로 유지하고, 화면 표시 시간 판별 수단(23)의 판별 결과에 따라서 엔진(8)의 시동이 가능해지도록 제어하는 엔진 시동 제어 수단(21)을 포함하는 엔진 시동 지연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에 의한 차체 주위의 감시와, 원동기의 시동 제어를 관련시킨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차체 주위의 감시와 원동기의 시동 제어를 관련시킨 종래 기술로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것이 있다. 이 종래 기술은, 엔진 시동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에, 차량 하방의 촬영이 행해지고, 이 촬영 화상에 따라서 차량의 하방에 장해물이 있는지 여부가 차분 연산에 의해 자동적으로 판정되어, 장해물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엔진의 시동을 금지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138720 공보
상술한 종래 기술은, 차체 하방에 장해물이 있다고 판정되면 엔진의 시동을 금지하므로, 건설 기계에의 적용은 곤란하다. 건설 기계, 예를 들어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유압 셔블에 있어서는, 작업의 개시시에, 차체의 주위에 장해물이 존재하는 경우, 장해물을 피하기 위해 선회체를 선회시키거나, 프론트 작업기의 자세를 변경하거나, 주행체를 주행시키는 동작이 필요해진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장해물이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엔진의 시동을 금지하면, 이러한 장해물을 피하는 동작을 실시할 수 없어, 작업을 개시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유압 셔블이 활용되는 작업 현장에 있어서는, 유압 셔블의 주위에 각종 자재가 적재되거나, 토석 등이 산적되는 경우가 많다. 이들 자재나 토석 등이 작업 개시시에 종래 기술에 있어서와 같이 장해물이라 판정되어 엔진의 시동이 금지되면, 작업을 개시할 수 없게 된다. 즉, 상술한 종래 기술을 건설 기계에 적용한 경우에는, 감시에 의해 장해물이 발견되었을 때에 엔진의 시동이 금지되어 버리므로, 이러한 때에 건설 기계의 작업을 실시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실상으로부터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작업 개시시에 차체 주위의 확인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차체 주위에 장해물이 존재하고 있을 때라도 원동기의 시동이 가능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동기와, 이 원동기의 구동에 의해 작동하는 작업기와, 상기 원동기의 시동을 가능하게 하는 시동 지시 신호를 출력하는 원동기 시동 지시 장치와, 소정의 차량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정보 검출 수단과, 차체 주위를 감시하여 주위 화상 정보를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감시 카메라와, 상기 차량 정보 검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 및 상기 감시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주위 화상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 가능한 모니터 장치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원동기 시동 지시 장치로부터 상기 시동 지시 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의 설정 시간 동안, 상기 모니터 장치에 상기 주위 화상 정보를 화면 표시시키는 화면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원동기의 시동을 지연시키는 원동기 시동 지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작업기에 의한 작업 개시시에, 원동기 시동 지시 장치를 조작하면, 이 원동기 시동 지시 장치로부터 시동 지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동 지시 신호에 따라서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은, 모니터 장치에, 차체 주위를 감시하고 있는 감시 카메라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주위 화상 정보를, 원동기 시동 지시 장치로부터 시동 지시 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의 설정 시간 동안 화면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이 건설 기계의 작업자는, 차체 주위의 장해물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장해물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장해물을 피하는 동작을 행한 후에 작업을 개시해야 하는 것을 깨닫게 된다. 상술한 설정 시간 동안은, 원동기 시동 지연 수단에 의해 원동기의 시동이 지연된다. 작업자에 의해 차체 주위의 장해물의 확인이 완료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원동기의 시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장해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장해물을 피하는 당해 건설 기계의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원동기의 구동에 의해 작업기를 작동시킬 수 있어, 장해물이 차체 주위에 존재할 때라도 작업기에 의한 소정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 개시시에, 화상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한 모니터 장치의 주위 화상 정보에 의해 차체 주위의 확인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차체 주위에 장해물이 존재하고 있었을 때라도, 원동기 시동 지시 장치로부터 시동 지시 신호가 출력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에, 원동기의 시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이, 상기 원동기 시동 지시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시동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니터 장치의 화면을 주위 화상 정보 화면으로 절환하는 화면 절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원동기 시동 지연 수단이, 상기 설정 시간을 미리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모니터 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주위 화상 정보 화면의 표시 시간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기 설정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화면 표시 시간 판별 수단과, 상기 원동기 시동 지시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시동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원동기를 시동 불능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화면 표시 시간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모니터 장치의 상기 주위 화상 정보 화면의 표시 시간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기 설정 시간에 도달하였다고 판별되었을 때에, 상기 원동기의 시동이 가능해지도록 제어하는 원동기 시동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원동기 시동 지시 장치로부터 시동 지시 신호가 출력되면, 원동기 시동 지연 수단의 원동기 시동 제어 수단에 의해 원동기의 시동이 불능으로 되도록 유지되는 동시에, 화면 절환 수단은, 시동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모니터 장치의 화면을 주위 화상 정보 화면으로 절환한다. 이 주위 화상 정보 화면은, 원동기 시동 지연 수단의 화면 표시 시간 판별 수단에 의해, 주위 화상 정보 화면의 표시 시간이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설정 시간에 도달하였다고 판별될 때까지 계속해서 표시된다. 따라서, 이 건설 기계의 작업자는, 모니터 장치의 주위 화상 정보 화면을 보고 차체 주위에 장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원동기 시동 지연 수단의 화면 표시 시간 판별 수단에 의해, 주위 화상 정보 화면의 표시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하였다고 판별되면, 예를 들어 화면 절환 수단에 의해, 차량 정보 및 주위 화상 정보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통상 화면으로 절환되는 동시에, 원동기 시동 지연 수단의 원동기 시동 제어 수단에 의해 차체 주위에 장해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원동기의 시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건설 기계가 유압 셔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유압 셔블의 작업 개시시에 있어서의 차체 주위의 자재나 토사 등이 장해물로 되어 있는 경우에, 그러한 장해물의 확인과, 장해물을 피하는 대응 동작을 실시할 수 있어, 원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동기 시동 지시 장치로부터 시동 지시 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의 설정 시간 동안, 모니터 장치에 주위 화상 정보를 화면 표시시키는 화면 표시 제어 수단과, 설정 시간 동안, 원동기의 시동을 지연시키는 원동기 시동 지연 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작업 개시시에, 화면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표시 제어되는 모니터 장치의 화면의 주위 화상 정보에 의해 차체 주위의 확인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 개시시의 안전 확보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원동기 시동 지연 수단에 의한 원동기의 시동 지연 처리 후에는, 차체 주위에 장해물이 존재하고 있을 때라도 원동기의 시동이 가능해지고, 이에 의해 장해물을 피하는 동작의 실시도 포함하여 당해 건설 기계에 있어서 요구되는 모든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종래 기술에서는 곤란했던 우수한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일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유압 셔블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주요부 구성에 포함되는 메인 컨트롤러에 있어서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를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일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유압 셔블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건설 기계는, 예를 들어 유압 셔블이며, 주행체(1)와, 이 주행체(1) 상에 배치되는 선회체(2)를 구비하고 있다. 선회체(2)에는, 전방측 위치에 운전실(3)이 배치되고, 후방측 위치에 중량 밸런스를 확보하는 카운터 웨이트(4)가 배치되어 있다. 선회체(2)에는, 전방 위치에 토사의 굴삭 등에 활용되는 프론트 작업기가 장착되어 있다. 이 프론트 작업기는, 예를 들어 선회체(2)에 상하 방향의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붐(5)과, 이 붐(5)의 선단부에 상하 방향의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아암(6)과, 이 아암(6)의 선단부에 상하 방향의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킷(7)을 포함하고 있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술한 도 1에 도시하는 유압 셔블은, 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프론트 작업기 등을 구동하는 유압을 토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유압 펌프를 구동하는 원동기, 즉 엔진(8)과, 이 엔진(8)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9)를 구비하고 있다. 엔진(8)에는, 이 엔진(8)을 구동하는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 분사 펌프(10) 외에, 엔진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엔진 냉각수온 검출 센서(11)가 부설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도 1에 도시하는 카운터 웨이트(4)의 상부에 배치되고, 차체 주위를 감시하여 주위 화상 정보를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감시 카메라(12)와, 운전실(3) 내에 배치되고, 감시 카메라(1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주위 화상 정보를 표시 가능한 모니터 장치(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14)와, 이 연료 탱크(14) 내의 연료의 잔량을 검출하는 잔량 검출 센서(1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잔량 검출 센서(15)나 상술한 엔진 냉각수온 검출 센서(11) 등은, 이 유압 셔블에 관한 작동 정보, 즉 차량 정보를 검출하는 차량 정보 검출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모니터 장치(13)에는, 통상 화면으로서 상술한 차량 정보 및 상술한 주위 화상 정보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와 주위 화상 정보의 양쪽의 표시나, 차량 정보만의 표시가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동기 시동 지시 장치, 예를 들어 엔진 키 스위치 장치(1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엔진 키 스위치 장치(16)는, 복수의 절환 위치, 예를 들어 엔진(8)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OFF 위치, 엔진(8)을 구동 가능한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ON 위치 및 엔진(8)을 시동시키는 S 위치, 즉 스타트 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는 특히, 원동기 시동 지시 장치, 즉 엔진 키 스위치 장치(16)로부터 시동 지시 신호, 즉 ON 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의 설정 시간 동안, 모니터 장치(13)에 예를 들어 상술한 통상 화면 대신에 감시 카메라(12)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주위 화상 정보만을 화면 표시시키는 화면 표시 수단과, 상술한 설정 시간 동안, 엔진(8)의 시동을 지연시키는 원동기 시동 지연 수단, 즉 엔진 시동 지연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화면 표시 수단과 엔진 시동 지연 수단은, 후술하는 메인 컨트롤러(17)의 구성 요소로서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설정 시간은, 운전실(3) 내의 작업자가 감시 카메라(12)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모니터 장치(13)의 주위 화상 정보 화면을 보고, 이 유압 셔블의 주위 화상 정보, 예를 들어 후방 시야 정보를 인식 가능하게 되는 시간으로 정해져 있다.
상술한 메인 컨트롤러(17)는, 상기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 냉각수온 센서(11), 잔량 검출 센서(15)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 및 엔진 키 스위치 장치(16)로부터 출력되는 ON 신호 등을 입력하는 입력부(18)와, 엔진 키 스위치 장치(16)로부터의 ON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키 스위치 신호 판별 수단(20)과, 이 메인 컨트롤러(17)에 있어서의 처리 결과에 따른 신호를 엔진 컨트롤러(9) 혹은 모니터 장치(13)에 출력하는 출력부(2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컨트롤러(17)는, 상술한 화면 표시 제어 수단에 포함되고, 엔진 키 스위치 장치(16)로부터 출력되는 ON 신호에 기초하여, 모니터 장치(13)의 화면을 감시 카메라(12)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주위 화상 정보만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절환하는 화면 절환 수단(2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컨트롤러(17)는, 상술한 엔진 시동 지연 수단에 포함되고, 상술한 설정 시간을 미리 기억하는 기억 수단, 즉 기억부(19)와, 모니터 장치(13)에 표시되는 주위 화상 정보 화면의 표시 시간이 기억부(19)에 기억되는 설정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화면 표시 시간 판별 수단(23)과, 엔진 키 스위치 장치(16)로부터 출력되는 ON 신호에 기초하여, 엔진(8)을 시동 불능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화면 표시 시간 판별 수단(23)에 의해 모니터 장치(13)의 주위 화상 정보 화면의 표시 시간이 기억부(19)에 기억되는 설정 시간에 도달하였다고 판별되었을 때에, 엔진(8)의 시동이 가능해지도록 제어하는 원동기 시동 제어 수단, 즉 엔진 시동 제어 수단(21)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 메인 컨트롤러(17)에 의해 실시되는 처리 동작을 포함하여 본 실시 형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주요부 구성에 포함되는 메인 컨트롤러에 있어서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미리 메인 컨트롤러(17)의 기억부(19)에, 설정 시간으로서「5」를 기억시키는 처리가 행해진다.
상술한 프론트 작업기에 의한 작업 개시시에, 엔진 키 스위치 장치(16)를 OFF 위치로부터 예를 들어 ON 위치로 조작하면, 이 엔진 키 스위치 장치(16)로부터 시동 지시 신호, 즉 ON 신호가 출력된다.
메인 컨트롤러(17)의 키 스위치 신호 판별 수단(20)에서는, 상기 도 3의 수순 S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키 스위치 장치(16)로부터의 ON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여기서는, ON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별되고, 수순 S2로 이행한다.
이 수순 S2에서는, 엔진 시동 지연 수단에 포함되는 엔진 시동 제어 수단(21)에 의해 엔진(8)의 시동이 일시적으로 불능이 되도록 유지된다. 다음에 수순 S3으로 이행한다.
이 수순 S3에서는, 화면 표시 제어 수단에 포함되는 화면 절환 수단(22)에 의해, 모니터 장치(13)의 화면을, 예를 들어 감시 카메라(12)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주위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절환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다음에 수순 S4로 이행한다.
이 수순 S4에서는, 메인 컨트롤러(17)에 포함되는 타이머에, 계측시의 단위 시간에 상응하는「1」을 더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다음에 수순 S5로 이행한다.
수순 S5에서는, 엔진 시동 지연 수단에 포함되는 화면 표시 시간 판별 수단(23)에 의해, 타이머에 의해 계측되는 단위 시간의 적산치인 모니터 장치(13)의 주위 화상 정보 화면의 표시 시간이「5」이상으로 되었는지 여부의 판별이 행해진다. 이 판별이 "아니오"이면, 수순 S3으로 되돌아가, 모니터 장치(13)에 주위 화상 정보 화면이 계속 표시된다. 따라서, 운전실(3) 내의 작업자는, 모니터 장치(13)의 주위 화상 정보 화면을 보고, 이 유압 셔블의 주위, 특히 후방에 장해물이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동안 운전실(3) 내의 프론트 작업기의 조작 장치, 주행체(1)의 조작 장치, 혹은 선회체(2)의 조작 장치에 실수로 작업자의 손 등이 접촉하는 경우가 있어도, 엔진(8)은 정지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이 유압 셔블은 작동하는 일 없이 안전하게 유지된다.
상술한 수순 S5의 판별이 "예"로 되었을 때, 즉, 타이머에 의해 계측되는 주위 화상 정보 화면의 표시 시간이 기억부(19)에 기억되는 시간「5」에 도달하였다고 화면 표시 시간 판별 수단(23)에 의해 판별되면, 수순 S6으로 이행한다.
수순 S6에서는, 화면 절환 수단(22)에 의해, 모니터 장치(13)의 화면이 주위 화상 정보 화면으로부터 통상 화면으로 절환되는 처리가 행해진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엔진 냉각수온 검출 센서(11)나, 연료 탱크(14)에 부설된 잔량 검출 센서(15)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는 차량 정보와, 감시 카메라(12)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상술한 주위 화상 정보의 양쪽이 표시되는 화면이 된다. 다음에 수순 S7로 이행한다.
수순 S7에서는, 엔진 시동 제어 수단(21)에 의해, 엔진 시동 허가 제어, 즉 엔진(8)의 시동이 가능한 상태로 제어된다. 다음에 수순 S8로 이행한다.
이 수순 S8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엔진 키 스위치 장치(16)가 스타트 위치(S 위치)까지 조작되었는지 여부가, 이 메인 컨트롤러(17)에 의해 판별된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엔진 키 스위치 장치(16)는 ON 위치까지 조작된 상태이므로, 이 수순 S6의 판별은 "아니오"가 되어, 엔진(8)은 시동 가능한 대기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엔진 키 스위치 장치(16)를 스타트 위치까지 조작하면, 이 수순 S8의 판별이 "예"가 되어, 수순 S9로 이행한다.
이 수순 S9에서는, 엔진 시동 신호를 출력부(24)를 통해 엔진 컨트롤러(9)에 출력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이에 의해, 엔진 컨트롤러(9)로부터 연료 분사 장치(10)에 구동 신호가 출력되어, 엔진(8)이 시동한다.
따라서, 모니터 장치(13)의 주위 화상 정보 화면에 의해 장해물의 존재가 확인되지 않을 때에는, 예를 들어 프론트 작업기를 구동하여 원하는 굴삭 작업 등을 바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 장치(13)의 주위 화상 정보 화면에 의해 장해물의 존재가 확인되었을 때에는, 주행체(1)를 주행시키거나, 선회체(2)를 선회시키거나, 프론트 작업기의 자세를 변경하는 등의 장해물을 피하는 적절한 동작을 행한 후, 원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작업의 종료 후에, 엔진 키 스위치 장치(16)를 OFF 위치로 복귀시키면, 엔진(8)이 정지한다.
또한 상기에서는, 작업 개시시에 엔진 키 스위치 장치(16)를 ON 위치까지 조작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스타트 위치(S 위치)까지 조작해도 좋고, 이와 같이 스타트 위치까지 조작한 경우에는, 도 3의 수순 S8의 판단이 "예"가 되어, 바로 수순 S9로 이행하여, 상술한 엔진 시동 신호가 엔진 컨트롤러(9)에 출력되어, 상술한 각 동작이 실시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엔진 키 스위치 장치(16)의 조작에 의해 시동 지시 신호, 즉 ON 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의 설정 시간 동안, 모니터 장치(13)에 주위 화상 정보를 화면 표시시키는 화면 절환 수단(22)을 포함하는 화면 표시 제어 수단과, 설정 시간 동안, 엔진(8)의 시동을 지연시키는 기억부(19), 화면 표시 시간 판별 수단(23) 및 엔진 시동 제어 수단(21)을 포함하는 엔진 시동 지연 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작업 개시시에, 화면 절환 수단(22)에 의해 절환되는 모니터 장치(13)의 화면의 주위 화상 정보에 의해 차체 주위의 확인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 개시시의 안전 확보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엔진 시동 지연 수단에 의한 엔진(8)의 시동의 지연 처리가 종료된 후에는, 차체 주위에 장해물이 존재하고 있을 때라도 원동기의 시동이 가능해지고, 이에 의해 장해물을 피하는 동작의 실시도 포함하여 이 유압 셔블에 있어서 요구되는 모든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우수한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
1 : 주행체
2 : 선회체
3 : 운전실
4 : 카운터 웨이트
5 : 붐
6 : 아암
7 : 버킷
8 : 엔진(원동기)
9 : 엔진 컨트롤러
10 : 연료 분사 장치
11 : 엔진 냉각수온 검출 센서(차량 정보 검출 수단)
12 : 감시 카메라
13 : 모니터 장치
14 : 연료 탱크
15 : 잔량 검출 센서(차량 정보 검출 수단)
16 : 엔진 키 스위치 장치(원동기 시동 지시 장치)
17 : 메인 컨트롤러
18 : 입력부
19 : 기억부(기억 수단)
20 : 키 스위치 신호 판별 수단
21 : 엔진 시동 제어 수단(원동기 시동 제어 수단)
22 : 화면 절환 수단
23 : 화상 표시 시간 판별 수단
24 : 출력부

Claims (3)

  1. 원동기와, 이 원동기의 구동에 의해 작동하는 작업기와, 상기 원동기의 시동을 가능하게 하는 시동 지시 신호를 출력하는 원동기 시동 지시 장치와, 소정의 차량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정보 검출 수단과, 차체 주위를 감시하여 주위 화상 정보를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감시 카메라와, 상기 차량 정보 검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 및 상기 감시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주위 화상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 가능한 모니터 장치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원동기 시동 지시 장치로부터 상기 시동 지시 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의 설정 시간 동안, 상기 모니터 장치에 상기 주위 화상 정보를 화면 표시시키는 화면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원동기의 시동을 지연시키는 원동기 시동 지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이, 상기 원동기 시동 지시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시동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니터 장치의 화면을 주위 화상 정보 화면으로 절환하는 화면 절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원동기 시동 지연 수단이,
    상기 설정 시간을 미리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모니터 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주위 화상 정보 화면의 표시 시간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기 설정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화면 표시 시간 판별 수단과,
    상기 원동기 시동 지시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시동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원동기를 시동 불능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화면 표시 시간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모니터 장치의 상기 주위 화상 정보 화면의 표시 시간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기 설정 시간에 도달하였다고 판별되었을 때에, 상기 원동기의 시동이 가능해지도록 제어하는 원동기 시동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압 셔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KR1020107015153A 2007-12-10 2008-12-08 건설 기계 KR101528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18692 2007-12-10
JP2007318692A JP4885833B2 (ja) 2007-12-10 2007-12-10 建設機械
PCT/JP2008/072265 WO2009075251A1 (ja) 2007-12-10 2008-12-08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466A true KR20100106466A (ko) 2010-10-01
KR101528950B1 KR101528950B1 (ko) 2015-06-15

Family

ID=40755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153A KR101528950B1 (ko) 2007-12-10 2008-12-08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77590A1 (ko)
EP (1) EP2233647B1 (ko)
JP (1) JP4885833B2 (ko)
KR (1) KR101528950B1 (ko)
CN (1) CN101883899B (ko)
WO (1) WO20090752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878A (ko) * 2011-12-13 2014-09-16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 장비의 사방 위험 감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341B1 (ko) * 2009-02-12 2011-11-01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후방 감시수단이 구비된 건설장비
JP5637554B2 (ja) * 2010-06-25 2014-12-10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におけるエンジン始動装置
CN109644250A (zh) * 2016-12-28 2019-04-16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车辆及作业车辆的控制系统
JP7009327B2 (ja) * 2018-07-10 2022-01-25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JP7153595B2 (ja) * 2019-03-26 2022-10-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WO2023190323A1 (ja) * 2022-03-29 2023-10-05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及び作業機械の遠隔操作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5969B2 (ja) * 1994-12-02 2001-01-22 鹿島建設株式会社 移動体からの対象近接検出方法
CN1249307C (zh) * 2000-11-17 2006-04-05 日立建机株式会社 建筑机械的显示装置和显示控制装置
DE10207871A1 (de) * 2001-03-29 2002-10-10 Heidelberger Druckmasch Ag Sicherheitsein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s nicht einsehbaren Gefahrenbereichs an einer Druckmaschine
JP2002327469A (ja) * 2001-05-02 2002-11-15 Komatsu Ltd 建設機械における周囲安全装置
JP4310632B2 (ja) * 2003-11-07 2009-08-1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2005138720A (ja) * 2003-11-07 2005-06-02 Denso Corp 障害物検出装置、障害物検出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569739B2 (ja) * 2003-11-28 2010-10-2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4079113B2 (ja) * 2004-04-19 2008-04-2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4817620B2 (ja) * 2004-07-05 2011-11-1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2008179940A (ja) * 2005-03-31 2008-08-07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の周囲監視装置
US20070021894A1 (en) * 2005-07-21 2007-01-25 Caterpillar Inc. Method for initiating start-up of an electrical system
JP5054294B2 (ja) * 2005-08-05 2012-10-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用車両に搭載される表示装置、及び同表示装置の表示方法
JP2007056679A (ja) * 2005-08-22 2007-03-08 Nikki Co Ltd エンジンのlpg燃料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878A (ko) * 2011-12-13 2014-09-16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 장비의 사방 위험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77590A1 (en) 2010-11-04
WO2009075251A1 (ja) 2009-06-18
EP2233647A1 (en) 2010-09-29
KR101528950B1 (ko) 2015-06-15
CN101883899A (zh) 2010-11-10
EP2233647B1 (en) 2014-07-30
CN101883899B (zh) 2012-06-06
JP2009138497A (ja) 2009-06-25
JP4885833B2 (ja) 2012-02-29
EP2233647A4 (en) 201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253B1 (ko)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JP4310632B2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KR101528950B1 (ko) 건설 기계
KR100639272B1 (ko) 건설 기계의 화상 표시 장치
KR101849250B1 (ko) 작업 기계의 표시 시스템
US8917292B2 (en) Display system for working machine
JP6633052B2 (ja) ショベル
KR102522714B1 (ko) 쇼벨
KR101005478B1 (ko) 작업용 차량에 장착되는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EP3581715A1 (en) Construction machine
JP2005113397A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4569739B2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2008266976A (ja) 作業機械の制御装置
JP2018053605A (ja) 建設機械
KR102508279B1 (ko) 유압 셔블
JP4627280B2 (ja) 油圧ショベルの油圧制御装置
JP2022001699A (ja) 建設機械
JP2022157410A (ja) 作業機械
JPH10299719A (ja) 作業機械のオーバヒート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