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592A - 휴대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03592A KR20100103592A KR1020107015665A KR20107015665A KR20100103592A KR 20100103592 A KR20100103592 A KR 20100103592A KR 1020107015665 A KR1020107015665 A KR 1020107015665A KR 20107015665 A KR20107015665 A KR 20107015665A KR 20100103592 A KR20100103592 A KR 201001035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rechargeable battery
- unit
- charge
- storage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5—Detection of state of health [SOH]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7—Software therefor, e.g. for battery testing using modelling or look-up tabl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전지가 교환된 경우 등에서도, 전지의 수명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휴대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어 블록(48)은, 충전지(32)에 접속되고, 충전지(32)의 전압값의 측정을 행하는 전압 측정부(100)와, 충전지(32)에 대하여 충전의 개시 및 충전의 종료가 생길 때마다, 전압 측정부(100)에서 충전지(32)의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값에 의거하여 특정한 충전 회수 정보를 기억부(42)에 기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01)를 구비한다. 제어부(101)는, 충전지(32)에 관한 충전 회수 정보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49)에서 충전 회수 정보를 취득한 경우, 당해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정보 갱신을 행한다.
제어 블록(48)은, 충전지(32)에 접속되고, 충전지(32)의 전압값의 측정을 행하는 전압 측정부(100)와, 충전지(32)에 대하여 충전의 개시 및 충전의 종료가 생길 때마다, 전압 측정부(100)에서 충전지(32)의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값에 의거하여 특정한 충전 회수 정보를 기억부(42)에 기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01)를 구비한다. 제어부(101)는, 충전지(32)에 관한 충전 회수 정보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49)에서 충전 회수 정보를 취득한 경우, 당해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정보 갱신을 행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충전지가 장착되는 휴대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충전지의 사용상태를 출력하는 휴대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전화용 전지로서는, 리튬 이온전지가 주류이나, 앞으로 점점 더 휴대단말의 소형, 경량화, 또한, 고기능화(디지털 텔레비전의 연속 시청이나, 음악 연속 재생, WEB 열람 등)에 의하여, 전지의 충방전 사이클이, 빨라져, 결과적으로, 휴대단말의 사용기간에 대하여, 전지의 수명이 짧아지는 경향이 되는 것이 예상된다.
여기서, 전지의 수명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전지의 임피던스값의 변화에 의해 전지의 수명을 판단하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이나, 충방전 커브에 관한 함수를 보존하여 두고, 충방전 시에 열화값을 가중하여 계산함으로써 전지의 수명을 판단하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문헌 2를 참조.)이 있다.
또, 일반적으로 전지의 수명이란, 전지 제조 메이커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예를 들면, 약 500∼600회의 충방전에 의해 초기용량의 약 5∼6할 정도까지 저하한 시점의 상태의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 상태를 초과한 경우에는, 내부 저항의 상승 등에 의하여, 휴대단말의 동작에 대하여 소기의 동작을 담보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휴대단말의 소기의 동작을 담보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정확하고 또한 명확하게 전지의 수명을 출력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05-7450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4-264303호 공보
그런데, 휴대단말에서는, 전지를 분리하거나 장착할 수 있어, 전지가 교환된 경우에는, 전지의 수명상태를 판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의 하나는, 간이한 구성에 의하여, 비용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전지가 교환된 경우 등에서도, 전지의 수명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휴대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자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억부와, 장착되는 충전지에 대하여 충전이 생길 때마다, 상기 충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와,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값에 의거하여 특정한 충전 회수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정보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취득부에서 상기 충전지에 관한 충전 회수 정보를 취득한 경우, 당해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정보갱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휴대전자기기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지에 대하여 충전의 종료가 생길 때마다,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상기 충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전자기기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지에 대하여 충전의 개시가 생길 때마다,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상기 충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전자기기에서는, 상기 충전지는, 고유의 ID 정보를 가지고 있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충전지의 ID 정보와 상기 충전 회수 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전자기기에서는, 상기 기억부는, 상기 충전지가 분리되어도, 기억되어 있는 상기 충전 회수 정보 및 상기 ID 정보를 유지하는 구성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지가 장착되었을 때에, 당해 충전지의 ID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당해 ID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ID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정보갱신을 행하고, 당해 ID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당해 충전지의 충전 회수 정보를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하고, 취득한 당해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정보갱신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전자기기에서는,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정보갱신으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충전지의 수명에 관한 정보를 상기 출력부에 의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전자기기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지가 장착되었을 때에, 당해 충전지의 ID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당해 ID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당해 충전지의 ID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등록함과 동시에, 이후의 충전 회수 정보를 당해 ID 정보에 대응지어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전자기기에서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지가 장착되었을 때에, 당해 충전지의 ID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당해 ID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당해 충전지가 미사용품인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 1 선택 메뉴를 상기 출력부에 의해 제시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선택 메뉴로부터 미사용품이라는 취지가 선택된 경우, 당해 충전지의 ID 정보를 신규로 등록함과 동시에, 이후의 충전 회수 정보를 당해 ID 정보에 대응지어 기억하도록 상기 기억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전자기기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선택 메뉴로부터 사용품이라는 취지가 선택된 경우, 당해 충전지의 충전 회수 정보를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전자기기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장착되어 있는 충전지의 충전 회수 정보를,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할 때에,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충전 회수 정보를 취득할 것을 촉구하는 정보를 상기 출력부에 의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전자기기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지가 장착되었을 때에, 당해 충전지의 ID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당해 ID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던 경우, 당해 충전지가 다른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었는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 2 선택 메뉴를 상기 출력부에 의해 제시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2 선택 메뉴로부터 다른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었다는 취지가 선택된 경우, 당해 충전지의 충전 회수 정보를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전자기기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장착되어 있는 충전지의 충전 회수 정보를,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할 때에,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충전 회수 정보를 취득할 것을 촉구하는 정보를 상기 출력부에 의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전자기기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2 선택 메뉴로부터 다른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았다는 취지가 선택된 경우,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고 있던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정보갱신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전자기기에서는, 상기 정보 취득부는, 통신에 의해 정보를 취득하는 통신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장착되어 있는 상기 충전지의 충전 회수 정보를 상기 다른 기기로부터 상기 통신부에 의한 통신을 이용하여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전자기기에서는,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해 직접 통신을 행하는 직접 통신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충전지를 착탈 가능하고, 상기 충전지의 분리가 생겨도 기억되어 있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기억부와, 정보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를 가지는 휴대전자기기에서의 제어방법으로서, 장착되는 충전지에 대하여 충전이 생길 때마다, 상기 충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전압값에 의거하여 충전 회수 정보를 특정하는 단계와, 특정한 충전 회수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취득부에서 상기 충전지에 관한 충전 회수 정보를 취득한 경우, 당해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정보갱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지가 교환된 경우 등에서도, 전지의 수명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조작부측 박스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충전지의 사이클 회수와 방전 용량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제어 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6은 전지수명의 판정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하는 제 1 플로우차트,
도 7은 전지수명의 판정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하는 제 2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조작부측 박스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충전지의 사이클 회수와 방전 용량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제어 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6은 전지수명의 판정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하는 제 1 플로우차트,
도 7은 전지수명의 판정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하는 제 2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자기기의 일례인 휴대전화장치(1)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한, 이하에서는, 휴대전화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포터블 내비게이션장치, 노트 퍼스널컴퓨터 등이어도 된다.
휴대전화장치(1)는, 조작부측 박스체부(2)와, 표시부측 박스체부(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조작부측 박스체부(2)는, 표면부(10)에, 조작키군(11)과, 사용자가 통화 시에 발한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1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조작키군(11)은, 각종 설정이나 전화번호부 기능이나 메일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기능 설정 조작 버튼(13)과, 전화번호의 숫자나 메일 등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조작 버튼(14)과, 각종 조작에서의 결정이나 스크롤 등을 행하는 결정 조작 버튼(1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표시부측 박스체부(3)는, 표면부(20)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1)와, 통화 상대측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조작부측 박스체부(2)의 상단부와 표시부측 박스체부(3)의 하단부는, 힌지기구(4)를 거쳐 연결되어 있다. 또, 휴대전화장치(1)는, 힌지기구(4)를 거쳐 연결된 조작부측 박스체부(2)와 표시부측 박스체부(3)를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조작부측 박스체부(2)와 표시부측 박스체부(3)가 서로 개방된 상태(개방상태)로 하거나, 조작부측 박스체부(2)와 표시부측 박스체부(3)가 접힌 상태(접음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은, 이른바 폴더형의 휴대전화장치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장치의 형태로서는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부측 박스체부(2)와 표시부측 박스체부(3)를 겹친 상태로부터 한쪽의 박스체를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한 슬라이드식이나, 조작부측 박스체부(2)와 표시부측 박스체부(3)의 겹침방향을 따르는 축선을 중심으로 한쪽의 박스체를 회전시키도록 한 회전식(턴 타입) 등이어도 된다.
또, 도 2는, 조작부측 박스체부(2)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조작부측 박스체부(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30)과, 리어 케이스부(31)와, 충전 가능한 전지인 충전지(32)와, 충전지 커버(3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30)은, 소정의 연산처리를 행하는 CPU 등의 소자[뒤에서 설명하는 제어 블록(48)에 상당]가 실장되어 있고, 표면부(10) 상의 조작키군(11)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에, 소정의 신호가 CPU에 공급된다. 또, 회로 기판(30)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전지단자(46)가 실장되어 있다.
리어 케이스부(31)는, 힌지기구(4)를 고정하는 힌지기구 고정부(31A)와,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메인 안테나(70)를 수납하는 메인 안테나 수납부(31B)와, 충전지(32)를 격납하는 충전지 격납부(31C)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 3은, 휴대전화장치(1)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휴대전화장치(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키군(11)과, 마이크(12)와, 디스플레이(21)와, 음성 출력부(22)와, 통신부(41)와, 기억부(42)와, 전원회로(43)와, 음성 처리부(44)와, 스피커(45)와, 전지단자(46)와, 비접촉 리더(47)와,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 블록(48)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지단자(46)에는, 제 1 단자(51)와, 비접촉 리더(47)에 접속되는 RFID 안테나(5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충전지(32)는, 배터리 셀(61)과, 인증용 기억부(62)와, 비접촉 출력부(63)와, 제 2 단자(64)를 구비하고 있다.
또, 휴대전화장치(1)는, 이 휴대전화장치(1)에 대응하는 소정의 충전장치(80) 위에 탑재되면, 전원회로(43)와 충전장치(80)의 서로 대응하는 접속단자끼리가 접촉하여 회로 접속되고, 충전지(32)의 배터리 셀(61)이 충전된다.
즉, 전원회로(43) 내의 일부에는, 충전장치(80)와 충전지(32)의 사이를 회로접속하는 충전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전원회로(43)는, 제어 블록(48)으로부터의 명령에 의거하여, 충전 회로에 의해 행하여지는, 충전장치(80)로부터 충전지(32)에 대한 급전동작의 ON 상태와 OFF 상태가 변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통신부(41)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에 의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메인 안테나(70)와, 변조처리 또는 복조처리 등의 신호처리를 행하는 통신처리부(71)를 구비한다. 또, 통신부(41)는, 전원회로(43)를 거쳐 충전지(32)로부터 전원전압의 공급을 받고 있다. 또, 통신부(41)는, 일반적인 휴대전화장치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CDMA2000_1x 방식 등의 무선통신에 의하여, 근처의 기지국을 거쳐, 공중의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기억부(42)는, 불휘발성 기억매체로서, 복수개의 충전지의 ID 정보가 각각의 사용상황의 정보와 함께 기억되어 있다. 또,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는 내용은, 사용자에 의한 개서를 행할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전원회로(43)는, 충전지(3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전압을 휴대전화장치(1)의 각 부에 공급한다.
음성 처리부(44)는, 제어 블록(48)에 의해 제어되고, 통화 시에 있어서의 상대측의 음성을 음성 출력부(22)로부터 출력하고, 또, 마이크(12)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소리에 신호처리를 행한다. 또, 음성 처리부(44)는, 예를 들면, 기억부(42)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의 재생처리를 행하여 스피커(45)로부터 출력한다.
제 1 단자(51)는, 충전지(32)의 제 2 단자(64)에 접속되고, 배터리 셀(6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전원회로(43)에 공급한다.
또, 충전지(3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증용 기억부(62)와 비접촉출력부(63)가 서로 회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인증용 기억부(62)에는, 충전지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ID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증용 기억부(62)는,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에 끼워져 이루어지는 데이터 영역을 가지고, 또한 에러 정정용 패리티 비트를 포함하는 시리얼 데이터를 저장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데이터 영역에는, ID 정보로서, 충전지(32)의 제조번호 등의 충전지에 고유의 ID 정보나, 충전지의 종별 정보(리튬 이온식, 니켈 수소식, 또는 니켈 카드뮴식 등)나, 메이커 종별, 용량값 등의 정보가 시리얼 열로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 충전지(32)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충전지(32)가 리튬 이온전지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약 500 사이클 정도의 충전·방전동작에 의하여, 용량이 약 60% 정도로까지 저하한다. 또, 용량이 약 60% 정도로까지 저하한 상태를 전지수명에 도달한 상태라고 한다. 또한, 충전지(32)는, 전지수명에 도달한 상태이어도, 아직 사용 가능한 상태이기는 하나,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임피던스도 상승하고 있어, 소기의 성능을 발휘하는 것은 곤란한 상황으로 되어 있다. 또, 용량이 약 60% 미만에 도달한 후는, 용량이 가속도적으로 저하하여 간다(도 4를 참조.).
따라서, 충전지의 충방전의 회수를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에 따라 전지수명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이 요구되나, 충전지가 교환 등이 된 경우, 계속적인 전지수명의 측정을 할 수 없어, 전지수명을 정확하게 판정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장치로부터 충전지가 빼내지고, 당해 충전지를 전용 충전기기 등에 의해 충전을 행한다. 그리고, 그 후, 다시 휴대전화장치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당해 충전지(32)의 충전 사이클 회수 자체는 갱신되어 있으나, 충전지(32)에 이와 같은 갱신정보가 남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정확한 충전 수명을 판단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간이한 구성에 의해 비용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충전지가 교환 등이 된 경우에서도, 전지 수명을 정확하게 판정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 비접촉 리더(47)는, 제어 블록(48)의 제어에 따라,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기술에 의하여, 비접촉 출력부(63)의 사이에서 RFID 안테나(52)를 거쳐 비접촉식(무선식) 통신을 행하여, 충전지(32)의 인증용 기억부(62)에 기억되어 있는 ID 정보를 판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충전지(32)가 휴대전화장치(1)에 장착된 경우에도, 비접촉 리더(47)와 비접촉 출력부(63)는 직접 회로 접속되지 않으나, 충전지(32)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면, 먼저, 제어 블록(48)이 백그라운드(표시나 소리를 수반하지 않는다)에서 개시된다. 그리고, 제어 블록(48)의 명령에 의거하여 비접촉 리더(47)가 인증 요구의 무선 송신을 개시한다. 또, 비접촉 출력부(63)는, 충전지(32) 내의 배터리 셀(61)로부터 전원의 공급을 받지 않고, 비접촉 리더(47)로부터의 인증 요구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동작 전력이 전자유도에 의해 생성된다. 그리고, 비접촉 출력부(63)는, 동작 전력을 전원으로 하여 인증용 기억부(62)에 기억되어 있는 ID 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이 ID 정보를 비접촉 리더(47)에 무선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제어 블록(48)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블록(48)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압 측정부(100)와, 제어부(101)를 구비한다. 전압 측정부(100)는, 충전지(32)에 접속되어, 충전지(32)의 전압값의 측정을 행한다. 제어부(101)는, 충전지(32)에 대하여 충전의 개시 및 충전의 종료가 생길 때마다, 전압 측정부(100)에서 충전지(32)의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값에 의거하여 특정한 충전 회수 정보를 기억부(42)에 기억하도록 제어한다.
또, 휴대전화장치(1)는, 충전지(32)에 관한 충전 회수 정보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49)를 구비한다.
또, 정보 취득부(49)는, 자계 통신에 의해 정보를 취득하는 RFID에 의해 구성되는 자계 통신부(102)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는, 제어부(101)는,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자계 통신부(102)에 의한 자계 통신을 이용하여 장착되어 있는 충전지(32)의 충전 회수 정보를 취득한다.
또, 정보 취득부(49)는, Bluetooth(등록상표)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외에,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유선통신을 행할 수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정보 취득부(49)는, 단말 사이에서, 기지국 등을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통신을 행하는 직접 통신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정보 취득부(49)는, 외부로부터 충전 회수 정보를 취득 가능한 구성이면 되고, RFID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보 취득부(49)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에 의해 구성되는 통신수단이어도 되고, 또, 착탈 가능한 메모리 카드 등의 인터페이스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취득부(49)를 통신부(41)와 독립된 것으로서 설명하나, 정보 취득부(49)는, 통신부(41)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는, 휴대전화장치(1)는, 충전지(32)의 충전 회수 정보를 외부 기기 등으로부터 송신되는 메일 등에 의해 취득한다.
또한, 정보 취득부(49)는, 기지국 등을 거쳐 간접적으로 전지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정보 취득부(49)는, 지하나 빌딩 내 등과 같이 기지국까지 전파가 닿기 어려운 시츄에이션에서 전지교환을 한 경우에, 시간을 두지 않고 정보 취득을 할 수 있는 직접 통신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쪽이 바람직하다.
또, 제어부(101)는, 정보 취득부(49)에서 충전 회수 정보를 취득한 경우, 당해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정보갱신을 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충전지(32)가 교환된 경우[원래의 충전지(32)가 다시 장착된 경우도 포함한다]에 있어서, 다른 기기에 보존되어 있는 교환된 충전지(32)의 충전 회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정보갱신을 행한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에 의하여, 비용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충전지(32)의 수명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 충전지(32)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유의 ID 정보를 가지고 있다. 또, 기억부(42)는, 충전지(32)가 분리되어도, 기억되어 있는 충전 회수 정보 및 ID 정보를 유지하는 구성이다. 또, 제어부(101)는, 충전지(32)가 장착되었을 때에, 충전지(32)의 ID 정보가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ID 정보가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ID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정보갱신을 행한다. 또, 제어부(101)는, ID 정보가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충전지(32)의 충전 회수 정보를 정보 취득부(49)에 의해 취득하고, 취득한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정보갱신을 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충전지(32)가 교환된 경우[원래의 충전지(32)가 다시 장착된 경우도 포함한다]에 있어서, 당해 충전지(32)의 ID 정보가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 즉, 과거에 휴대전화장치(1)에 장착되어, 충전 회수 정보가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당해 판단에 따라, 다른 기기에 보존되어 있는 충전지(32)의 충전 회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정보갱신을 행한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에 의하여, 비용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충전지(32)의 수명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 휴대전화장치(1)는,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디스플레이(21)나 스피커(45)에 상당한다]를 구비한다. 또, 제어부(101)는, 소정의 정보갱신으로서,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는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충전지(32)의 수명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21)나 스피커(45)에 의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충전지(32)가 교환된 경우[원래의 충전지(32)가 다시 장착된 경우도 포함한다]에 있어서, 다른 기기에 보존되어 있는 충전지(32)의 충전 회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충전지(32)의 수명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21)나 스피커(45)에 제시한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에 의하여, 비용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사용자에 대하여 충전지(32)의 수명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다.
또, 제어부(101)는, 충전지(32)가 장착되었을 때에, 충전지(32)의 ID 정보가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ID 정보가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충전지(32)가 미사용품인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 1 선택 메뉴를 출력부[디스플레이(21)나 스피커(45)에 상당한다]에 의해 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조작키군(11)의 조작에 의해 제 1 선택 메뉴로부터 미사용품이라는 취지가 선택된 경우, 충전지(32)의 ID 정보를 신규로 등록함과 동시에, 이후의 충전 회수 정보를 ID 정보에 대응지어 기억하도록 기억부(42)를 제어한다. 또, 제어부(101)는, 조작키군(11)의 조작에 의해 제 1 선택 메뉴로부터 사용품이라는 취지가 선택된 경우, 충전지(32)의 충전 회수 정보를 정보 취득부(49)에 의해 취득할 것을 촉구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21)나 스피커(45)에 의해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충전지(32)가 교환된 경우[원래의 충전지(32)가 다시 장착된 경우도 포함한다]에 있어서, 교환된 충전지(32)가 미사용품인지 사용품인지를 제 1 선택 메뉴 중에서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한다. 그리고, 당해 선택 결과에 따라, 충전지(32)를 신규로 등록하거나, 다른 기기에 보존되어 있는 충전지(32)의 충전 회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기 때문에, 충전지(32)의 수명판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제어부(101)는, 충전지(32)가 장착되었을 때에, 충전지(32)의 ID 정보가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ID 정보가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던 경우, 충전지(32)가 다른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었는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 2 선택 메뉴를 출력부[디스플레이(21)나 스피커(45)에 상당한다]에 의해 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조작키군(11)의 조작에 의해 제 2 선택 메뉴로부터 다른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았다는 취지가 선택된 경우, 기억부(42)에 기억하고 있던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정보갱신을 행한다. 또, 제어부(101)는, 조작키군(11)의 조작에 의해 제 2 선택 메뉴로부터 다른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었다는 취지가 선택된 경우, 충전지(32)의 충전 회수 정보를 정보 취득부(49)에 의해 취득할 것을 촉구하는 정보(메시지)를 디스플레이(21)나 스피커(45)에 의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충전지(32)가 교환된 경우[원래의 충전지(32)가 다시 장착된 경우도 포함한다]에 있어서, 교환된 충전지(32)가 다른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었는지의 여부를 제 2 선택 메뉴 중에서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한다. 그리고, 당해 선택결과에 따라, 다른 기기로부터 충전지(32)의 충전 회수 정보를 취득한다는 취지의 통지를 행하기 때문에, 충전지(32)의 수명판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충전지(32)의 전지수명의 판정을 정확하게 행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비접촉 출력부(63)를 가지는 충전지(32)와 그것을 인식해 충전·방전 회수를 파악하여 전지수명을 판정하는 기능을 가지는 휴대전화장치(1)를 상정하고 있다. 특히, 휴대전화장치(1)에서, 과거에 충전지(32)를 다른 기기에서 사용되고, 다시 휴대전화장치(1)에 장착된 경우에, 충전지(32)의 사용 이력(충전·방전 회수 정보)을 다른 기기로부터 휴대전화장치(1)에 전송한다. 그리고, 휴대전화장치(1)는, 충전지(32)의 전지수명의 판정을 정확하게 출력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단계 S1에서, 휴대전화장치(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주전원이 ON 상태가 되어, 소정의 기동 동작을 행한다.
단계 S2에서, 제어부(101)는, 충전지(32)가 충전지 격납부(31C)로부터 분리되고, 다시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휴대전화장치(1)는, 충전지(32)가 충전지 격납부(31C)로부터 분리된 경우나, 충전지(32)가 충전지 격납부(31C)에 장착된 경우의 이력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당해 이력정보는, 예를 들면, 기억부(42)에 기억 유지된다. 또, 제어부(101)는, 당해 이력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주전원이 OFF 상태로부터, 단계 S1의 공정에 의하여 ON 상태가 되기까지의 사이에, 충전지(32)가 충전지 격납부(31C)로부터 분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충전지(32)가 한번, 충전지 격납부(31C)로부터 분리되고, 다시 장착되었다고 판단한 경우(Yes)에는, 단계 S3으로 진행하고, 충전지(32)가 충전지 격납부(31C)로부터 분리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No)에는, 단계 S19로 진행하여, 충전·방전 회수 정보를 변경하지 않고, 디스플레이(21)에 전지 수명의 표시를 행한다.
단계 S3에서, 제어부(101)는, 충전지(32)의 ID 정보를 확인한다.
단계 S4에서, 제어부(101)는, 단계 S3의 공정에 의해 확인한 충전지(32)의 ID 정보로부터, 당해 충전지(32)가 신규의 충전지인지, 등록이 끝난 충전지인지를 판단한다. 기억부(42)에는, 충전지(32)마다 ID 정보와 충전·방전 회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101)는, 기억부(42)에 액세스하여, 충전지(32)가 신규인 것, 즉 과거에 한번도 휴대전화장치(1)에 장착되지 않은 충전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충전지(32)가 신규의 충전지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7로 진행하고, 충전지(32)가 등록이 끝난 충전지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5로 진행한다.
단계 S5에서, 제어부(101)는, 충전지(32)가 다른 기기에 의해 사용되고 있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 2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조작키군(11)을 조작함으로써 당해 제 2 선택 메뉴 중에서, 충전지(32)가 다른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었는지의 여부를 선택한다.
단계 S6에서, 제어부(101)는, 단계 S5의 공정에 의해 선택된 결과로부터, 충전지(32)가 다른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충전지(32)가 다른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었다고 판단한 경우(Yes)에는, 단계 S10으로 진행하고, 충전지(32)가 다른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No)에는, 단계 S19로 진행한다.
단계 S7에서, 제어부(101)는, 충전지(32)가 미사용품인지 사용품인지를 확인하는 제 1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조작키군(11)을 조작함으로써, 당해 제 1 선택 메뉴 중에서, 충전지(32)가 미사용품인지의 여부를 선택한다.
단계 S8에서, 제어부(101)는, 단계 S7의 공정에 의해 선택된 결과로부터, 충전지(32)가 미사용품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충전지(32)가 미사용품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9로 진행하고, 충전지(32)가 사용품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9에서, 제어부(101)는, 충전·방전 회수 정보를 제로로 하고, 기억부(42)에 충전지(32)의 ID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한다.
단계 S10에서, 제어부(101)는, 사용하고 있던 다른 기기로부터 충전지(32)의 사용 이력 정보(충전·방전 회수 정보)를 취득할지의 여부의 정보(메시지)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조작키군(11)을 조작함으로써, 다른 기기로부터 충전지(32)의 충전·방전 회수 정보를 취득할지의 여부를 선택한다. 다른 기기로부터 충전지(32)의 충전·방전 회수 정보를 취득한다고 선택된 경우(Yes)에는, 단계 S14로 진행하고, 다른 기기로부터 충전지(32)의 충전·방전 회수 정보를 취득하지 않는다고 선택된 경우(No)에는, 단계 S11로 진행한다.
단계 S11에서, 제어부(101)는, 충전지(32)의 수명 판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없기 때문에, 전지수명을 나타내는 표시(전지 수명 미터)를 디스플레이(21) 상에서 삭제한다(해제한다)는 취지의 통지를 행한다.
단계 S12에서, 제어부(101)는, 디스플레이(21)로부터 전지 수명 미터를 해제한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기기로부터 충전지(32)의 충전·방전 회수 정보의 취득의 조작을 행한 경우(단계 S13)에는, 단계 S14로 진행한다.
단계 S14에서, 제어부(101)는, 다른 기기로부터 충전지(32)의 충전·방전 회수 정보의 취득을 행할 때의 수단(예를 들면, RFID, IrDA, 메모리카드 등의 인터페이스 등)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한다.
단계 S15에서, 제어부(101)는, 단계 S14의 공정에 의해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한 메뉴 중에서, 하나의 수단을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한다.
단계 S16에서, 제어부(10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단에 따라,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할 때의 전준비(前準備)를 행한다. 또한, 당해 전준비란, 예를 들면,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준비(핸드 쉐이크) 등이다.
단계 S17에서, 제어부(101)는, 다른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충전지(32)의 충전·방전 회수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다른 기기로부터의 정보전송에 실패한 경우에는, 본 공정에 의한 처리를 반복하여, 소정 회수 재시도를 행한다. 또, 소정 회수의 재시도가 실패한 경우에는, 단계 S11로 진행한다.
단계 S18에서, 제어부(101)는, 다른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충전지(32)의 충전·방전 회수 정보를, 당해 충전지(32)의 ID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부(42)에 저장한다.
단계 S19에서, 제어부(101)는, 단계 S18의 공정에 의해 기억부(42)에 저장된 충전·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전지 수명 미터를 갱신한다.
<충전·방전 회수 정보의 계산방법 및 보정방법>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장치(1)는, 충전·방전 회수 정보의 계산방법 및 보정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제어부(101)는, 충전지(32)의 전압상태를 측정함으로써, 충전지(32)에 의한 충전·방전의 사이클수를 카운트한다. 제어부(101)는, 예를 들면, 충전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때에는, 충전 개시 전의 충전지(32)의 전지전압[열화에 의한 제 1 가중 계수(X)가 가미된다]을 측정함으로써 방전 회수를 카운트한다. 또, 제어부(101)는, 충전기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 때에는, 충전 종료 후의 충전지(32)의 전지전압[열화에 의한 제 2 가중 계수(Y)가 가미된다]을 측정함으로써 충전 회수를 카운트한다.
다음에, 제 1 가중 계수(X) 및 제 2 가중 계수(Y)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가중 계수(X) 및 제 2 가중 계수(Y)는,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고, 충전·방전 회수를 카운트할 때에 참조된다.
제 1 가중 계수(X)는, 예를 들면, 방전 전압에 대한 용량율의 변화에 의거하여,
[충전 개시 직전의 전지전압 → 제 1 가중 계수(X)],
(4.20 V 이상 → 0회),
(4.00 V → 0.1회),
(3.88 V → 0.2회),
(3.83 V → 0.3회),
(3.77 V → 0.4회),
(3.73 V → 0.5회),
(3.69 V → 0.6회),
(3.67 V → 0.7회),
(3.65 V → 0.8회),
(3.60 V → 0.9회),
(3.30 V → 1.0회),
와 같이 결정된다.
또, 제 2 가중 계수(Y)는, 예를 들면, 충전전압에 대한 충전율의 변화에 의거하여,
[충전 완료 직후의 전지전압 → 제 2 가중 계수(Y)],
(3.60 V → 0회),
(3.80 V → 0.1회),
(3.84 V → 0.2회),
(3.88 V → 0.3회),
(3.92 V → 0.4회),
(3.95 V → 0.5회),
(3.98 V → 0.6회),
(4.02 V → 0.7회),
(4.05 V → 0.8회),
(4.10 V → 0.9회),
(4.20 V → 1.0회),
와 같이 결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장치(1)에서는, ID 정보를 가지는 충전지(32)의 충전·방전 회수 정보의 연산을 행하고, 당해 충전·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전지수명을 판정하는 휴대전화장치(1)에 있어서, 충전지(32)가 장착된 경우에, 충전지(32)의 ID 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당해 ID 정보가 신규인 경우에는, 당해 충전지(32)가 미사용품인지의 여부의 확인을 사용자에게 행한다. 또, 사용품인 경우에는, 정보 취득부(49)에 의해 다른 기기로부터 충전지(32)의 사용 이력정보(충전·방전 회수 정보)를 전송시키도록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또, 당해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이고, 사용품을 계속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명 판정을 행하지 않을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따라서, 충전지(32)의 수명 판정의 잘못을 방지할 수 있어, 충전지(32)의 사용상황이나 잔여 수명의 판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충전·방전 회수 정보를 전송하는 기기끼리가 상호 통신을 행할 수 있는 구성이면, 서로 충전·방전 회수 정보를 서로 전송함으로써, 서로에게 충전지(32)의 충전·방전 회수 정보를 공유하여, 갱신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충전지의 정보의 출력지의 예로서는, 디스플레이 외에, 음성 출력부이어도 되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충전지의 정보는, 외부 접속된 모니터 등에 출력되어도 되고, 안테나를 거쳐 무선 접속된 외부 표시장치에 대하여 출력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출력부로서는, 디스플레이 및 음성 출력부 외에, 외부 접속단자나 무선 통신부이어도 되고, 여러가지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1 : 휴대전화장치 21 : 디스플레이(출력부)
32 : 충전지 42 : 기억부
45 : 스피커(출력부) 48 : 제어 블록
49 : 정보 취득부 100 : 전압 측정부
101 : 제어부 102 : 자계 통신부
32 : 충전지 42 : 기억부
45 : 스피커(출력부) 48 : 제어 블록
49 : 정보 취득부 100 : 전압 측정부
101 : 제어부 102 : 자계 통신부
Claims (16)
- 기억부와,
장착되는 충전지에 대하여 충전이 생길 때마다, 상기 충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와,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값에 의거하여 특정한 충전 회수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정보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취득부에서 상기 충전지에 관한 충전 회수 정보를 취득한 경우, 당해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정보갱신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지에 대하여 충전의 종료가 생길 때마다,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상기 충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지에 대하여 충전의 개시가 생길 때마다,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상기 충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는, 고유의 ID 정보를 가지고 있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충전지의 ID 정보와 상기 충전 회수 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충전지가 분리되어도, 기억되어 있는 상기 충전 회수 정보 및 상기 ID 정보를 유지하는 구성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지가 장착되었을 때에, 당해 충전지의 ID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당해 ID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ID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정보갱신을 행하고, 당해 ID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당해 충전지의 충전 회수 정보를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하고, 취득한 당해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정보갱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 제 5항에 있어서,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정보갱신으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충전지의 수명에 관한 정보를 상기 출력부에 의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지가 장착되었을 때에, 당해 충전지의 ID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당해 ID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당해 충전지의 ID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등록함과 동시에, 이후의 충전 회수 정보를 당해 ID 정보에 대응지어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 제 6항에 있어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지가 장착되었을 때에, 당해 충전지의 ID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당해 ID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당해 충전지가 미사용품인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 1 선택 메뉴를 상기 출력부에 의해 제시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선택 메뉴로부터 미사용품이라는 취지가 선택된 경우, 당해 충전지의 ID 정보를 신규로 등록함과 동시에, 이후의 충전 회수 정보를 당해 ID 정보에 대응지어 기억하도록 상기 기억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선택 메뉴로부터 사용품이라는 취지가 선택된 경우, 당해 충전지의 충전 회수 정보를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장착되어 있는 충전지의 충전 회수 정보를,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할 때에,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충전 회수 정보를 취득할 것을 촉구하는 정보를 상기 출력부에 의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지가 장착되었을 때에, 당해 충전지의 ID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당해 ID 정보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던 경우, 당해 충전지가 다른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었는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 2 선택 메뉴를 상기 출력부에 의해 제시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2 선택 메뉴로부터 다른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었다는 취지가 선택된 경우, 당해 충전지의 충전 회수 정보를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장착되어 있는 충전지의 충전 회수 정보를,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할 때에,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충전 회수 정보를 취득할 것을 촉구하는 정보를 상기 출력부에 의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2 선택 메뉴로부터 다른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았다는 취지가 선택된 경우,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고 있던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정보갱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부는, 통신에 의해 정보를 취득하는 통신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장착되어 있는 상기 충전지의 충전 회수 정보를 상기 다른 기기로부터 상기 통신부에 의한 통신을 이용하여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해 직접 통신을 행하는 직접 통신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 충전지를 착탈 가능하고, 상기 충전지의 분리가 생겨도 기억되어 있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기억부와, 정보를 외부로부터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를 가지는 휴대전자기기에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장착되는 충전지에 대하여 충전이 생길 때마다, 상기 충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전압값에 의거하여 충전 회수 정보를 특정하는 단계와,
특정한 충전 회수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취득부에서 상기 충전지에 관한 충전 회수 정보를 취득한 경우, 당해 충전 회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정보갱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에서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7-336661 | 2007-12-27 | ||
JP2007336661A JP5064204B2 (ja) | 2007-12-27 | 2007-12-27 | 携帯電子機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3592A true KR20100103592A (ko) | 2010-09-27 |
Family
ID=40824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15665A KR20100103592A (ko) | 2007-12-27 | 2008-12-26 | 휴대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392131B2 (ko) |
JP (1) | JP5064204B2 (ko) |
KR (1) | KR20100103592A (ko) |
WO (1) | WO200908468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092303A (zh) * | 2011-10-31 | 2013-05-08 |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 电子装置及其启动方法 |
US10380488B2 (en) | 2014-05-30 | 2019-08-13 | Apple Inc. | Methods and system for managing predictive models |
JP6257510B2 (ja) * | 2014-12-26 | 2018-01-10 |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充電制御方法、および、充電機構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294231A (ja) * | 1989-05-01 | 1990-12-05 | Fujikura Ltd | 交換型充電電池パック用充電装置 |
JP2850967B2 (ja) * | 1991-09-02 | 1999-01-27 | 株式会社ダイフク | 移動車用バッテリーの充放電履歴管理装置 |
JPH0574501A (ja) | 1991-09-11 | 1993-03-26 | Honda Motor Co Ltd | バツテリの寿命測定装置 |
US5620810A (en) | 1992-07-22 | 1997-04-15 | Valence Technology, Inc. | Solid, solvent-containing electrolytes and electrolytic cells produced therefrom |
US5780992A (en) * | 1995-08-09 | 1998-07-14 | Norand Corporation | Rechargeable battery system adaptable to a plurality of battery types |
MY125512A (en) | 1999-03-05 | 2006-08-30 | Sony Corp | Battery pack, method for charging/discharging counting and method for setting residual capacity of the battery pack |
US7508168B2 (en) * | 2002-05-16 | 2009-03-24 | Sony Corporation | Electronic apparatus with remaining battery power indicating function |
EP1450173A3 (de) | 2003-02-24 | 2009-07-22 | Daimler AG | Verfahren zur Ermittlung der Alterung einer Batterie |
JP2004281076A (ja) * | 2003-03-12 | 2004-10-07 | Nikon Corp | 表示器付き電池および電気機器 |
JP2004349070A (ja) * | 2003-05-21 | 2004-12-09 | Fuji Photo Film Co Ltd | 携帯電子機器 |
US7352152B2 (en) * | 2003-04-04 | 2008-04-01 | Fujifilm Corporation |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with a battery having a wireless tag containing battery information |
GB0312303D0 (en) | 2003-05-29 | 2003-07-02 | Yuasa Battery Uk Ltd | Battery life monitor and battery state of charge monitor |
JP2006211787A (ja) | 2005-01-26 | 2006-08-10 | Brother Ind Ltd | 電子機器 |
JP2007087707A (ja) * | 2005-09-21 | 2007-04-05 | Yamaha Corp | 携帯装置およびバッテリパック管理システム |
-
2007
- 2007-12-27 JP JP2007336661A patent/JP506420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12-26 KR KR1020107015665A patent/KR2010010359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8-12-26 US US12/810,807 patent/US839213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12-26 WO PCT/JP2008/073855 patent/WO200908468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9084686A1 (ja) | 2009-07-09 |
JP5064204B2 (ja) | 2012-10-31 |
US20100274509A1 (en) | 2010-10-28 |
JP2009158358A (ja) | 2009-07-16 |
US8392131B2 (en) | 2013-03-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09084684A1 (ja) | 携帯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 |
US738227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nected battery | |
EP1921726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rging-state of battery of portable terminal | |
CN102576336A (zh) | 具有电子邮件发送功能的通信终端,用于发送电子邮件的方法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 |
EP1719233A2 (en) | Battery circuit with non-volitable memory and thermistor on a single line | |
KR20100103591A (ko) | 휴대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00103592A (ko) | 휴대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 |
EP2404185B1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rmining energy source unit status | |
JP5090119B2 (ja) | 携帯電子機器 | |
KR101992221B1 (ko) | 비콘을 이용하는 휴대폰 거치용 무선충전 장치 | |
CN201234304Y (zh) | 手机 | |
EP4242677A1 (en) | Universal gauge master solution at multi-battery system | |
KR100640351B1 (ko) |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방법 | |
JPH08186941A (ja) | 充電制御システム | |
KR20060069919A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 |
JP2005080350A (ja) | 充電式電気機器及び充電池 | |
JP2019039895A (ja) | 二次電池の容量測定装置 | |
JP2011223821A (ja) | 携帯電子機器 | |
MXPA06009476A (en) | Battery circuit with non-volitable memory and thermistor on a single l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