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351B1 -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351B1
KR100640351B1 KR1020040021347A KR20040021347A KR100640351B1 KR 100640351 B1 KR100640351 B1 KR 100640351B1 KR 1020040021347 A KR1020040021347 A KR 1020040021347A KR 20040021347 A KR20040021347 A KR 20040021347A KR 100640351 B1 KR100640351 B1 KR 100640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reference voltage
capacity valu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6079A (ko
Inventor
박철웅
박주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1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351B1/ko
Publication of KR20050096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21State of charge of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충전인터페이스부,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을 산출 및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충전 전압값 및 충전 전압값의 충전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산출하는 산출부, 배터리에 설정된 최초 충전 가능 용량값 및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부에 저장된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산출부에서 산출한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이 제1충전기준전압 이하이면 충전 동작을 유지하고 제2충전전압에 도달하면 제3충전전압에 도달할 때까지의 충전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산출하도록 산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휴대용 단말기, 배터리, 충전, 용량, 표시

Description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CHARGABLE CAPACITY INFORMATION OF BATTERY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충전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서 배터리에 충전되는 전류에 대응하는 전압값을 크기를 시간축을 기준으로 나타낸 그래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 제공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을 체크하여 상기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용량값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한 번 충전된 배터리의 사용시간 제한성으로 인하여 배터리 충전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에 소정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장치에 연결되어 배터리 충전을 수행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용 배터리는 소모성을 갖는 특성으로 인하여 최초 구입시보다 충전 횟수가 늘어날수록 배터리의 사용 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상기 배터리를 일정 기간 사용하게 되면 결국 배터리로서의 충전수명이 다하여 더 이상 배터리로서의 기능을 못하게 된다. 또한 배터리 셀(Cell)이 고장나는 경우에도 배터리로서의 기능을 못하게 된다.
이러한 배터리 소모성의 문제에 대해 현 휴대폰 단말기 제조업자들은 예를 들어, 구입후 6개월이라는 배터리 보증기간을 정하고 이 기간 내에 배터리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보상을 해 주고 있다. 그러나, 배터리는 사용에 따라 수명이 변하게 되는데 배터리 수명에 대한 기준이 없다. 배터리의 수명이 다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이러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기능이 없다. 이에 따라, 사용하는 일단 배터리를 구입하면 언제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가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는 배터리 교체 시기를 경험에 의해 임의로 판단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배터리의 충전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 측정모듈을 휴대용 단말기에 실장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품 단가를 올리는 요인이 되며,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 인쇄회로기판에 별도의 전류 측정모듈을 실장해야하기 때문에, 회로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가능 용량값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배터리의 교체 시기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고 배터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가능 용량값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충전인터페이스부;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을 산출 및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충전 전압값 및 충전 전압값의 충전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산출하는 산출부; 배터리에 설정된 최초 충전 가능 용량값 및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부에 저장된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산출부에서 산출한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이, 제1충전기준전압 이하이면 충전 동작을 유지하고 제2충전전압에 도달하면 제3충전전압에 도달할 때까지의 충전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산출하도록 산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출부는 아래 수학식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산출한다.
[수학식]
배터리 충전 가능 용량값(Cu) = Tu ÷ Ti × 800mAh
여기서, Tu : 배터리 충전시 상기 제2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하는 시점의 충전시각(t1) 부터 상기 제3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하는 시점의 충전시각(t2) 까지의 소요시간(t2-t1)
Ti : 상기 배터리에 설정된 최초 충전 가능 용량값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시 상기 제2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하는 시점의 충전시각 부터 상기 제3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하는 시점의 충전시각 까지의 소요시간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충전기준전압은 3.7[V]이고, 상기 제2충전기준전압은 3.7[V]이며, 상기 제3충전기준전압은 4.2[V]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충전중인 배터리의 충전 전압이 제1충전기준전압 이하이면, 충전 전압이 제2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할 때 까지 충전 동작을 유지하는 단계; b) 배터리의 충전 전압이 제2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하면, 충전 전압이 제3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할 때 까지 충전 동작을 유지하고 충전 전 압이 제2충전기준전압에서 제3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걸린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산출하는 단계; c) 산출한 충전 가능 용량값이 기 저장된 배터리의 용량값 이하이면, 기 저장된 배터리의 용량값을 산출한 충전 가능 용량값으로 변경 및 저장하는 단계; 및 d) 산출 및 변경/저장한 충전 가능 용량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의 충전 가능한 용량값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 마모 정도 및 교체 시기를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충전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장치(10)는 휴대용 단말기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3)와 안착부(3)에 형성되는 충전단자(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충전단자(5)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을 충전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충전장치(10)는 충전중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상태를 알리는 충전지시램프들(9)을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배터리에 충전되는 전류에 대응하는 전압값을 크기를 시간축을 기준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10), RF부(120), 음성처리부(130), 키입력부(140), 표시부(150), 충전인터페이스부(160), 산출부(170), 및 저장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11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어부(110)는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에 충전전류가 입력되면,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측정 및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RF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안테나(3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변조 또는 복조한다.
음성처리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RF부(12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40)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rophone)(50)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키입력부(140)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표시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각종 메시지 및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상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115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디스플레이한다.
충전인터페이스부(160)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해주는 배터리가 장착된다.
산출부(170)는 충전인터페이스부(160)에 장착된 배터리가 충전장치에 장착되 어 전류가 충전되는 동안,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산출한다. 여기서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이란 배터리의 충전 수명을 의미한다. 이때 산출부(170)는 산출한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저장부(180)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도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저장부(180)는 최초 제품 생산시 설정된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 및 산출부(170)에서 산출한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새로운 용량값이 입력되면, 저장된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새로 입력된 용량값으로 업데이트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은 최초 800mAh로 생산된다. 이후 배터리를 충전시킴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은 700mAh, 600mAh...로 점차 떨어지게된다. 따라서 배터리를 만충시키더라도 최대 충전 가능 용량값이 600mAh인 경우, 배터리의 사용 시간이 신제품에 비해 떨어지게는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에는 리튬 이온이 주로 이용된다. 여기서 리튬 이온 셀의 고유 특성은 충전 전류량과 방전 전류량(소모 전류량)이 같은 특성이 있다. 즉, 배터리의 리튬 이온 셀 용량의 변화에 따라 충전 시간이 변하게된다. 이에 따라, 셀 용량이 줄어든 배터리는 만충이 될 때까지의 충전 시간도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산출부(170)는 배터리의 충전 시간을 측정하여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산출할 수 있다.
배터리에 충전되는 용량값에 따라 배터리의 전압은 서로 다른 값을 갖게된 다. 즉,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작을수록 배터리의 충전 전압은 낮고,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클수록 배터리의 충전 전압은 높다. 일반적으로 배터리가 만충 상태가 되면 충전 전압은 4.2V가 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제공하는 예를 설명한다.
충전인터페이스부(160)에 배터리가 장착되면, 제어부(110)는 도 1의 충전장치로부터 충전전류가 유입되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배터리에는 충전장치로부터 유입되는 충전 전류가 충전된다. 충전전류가 배터리에 충전되면,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산출하도록 산출부(170)를 제어한다.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산출부(170)는 현재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체크한다. 산출부(170)는 체크한 배터리의 충전전압과 제1충전기준전압의 크기를 비교한다. 산출부(170)는 상기 비교 결과 정보를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산출부(170)에서 출력된 비교 결과 정보에 따라 체크한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제1충전기준전압 큰 경우,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유지하고 저장부(180)에 기 저장된 충전 가능 용량값을 변경 없이 유지한다. 여기서 제1충전기준전압은 3.7V이다.
체크한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제1충전기준전압 이하인 경우, 산출부(170)는 충전 중인 배터리의 충전 전압이 제2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할 때 까지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체크한다. 여기서 제2충전기준전압은 3.9V이다. 배터리의 충전 전압이 제2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하면, 산출부(170)는 제2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할 때의 충전 시각(t1)부터 만충 시각(t2) 까지 충전 시간(Tu)을 카운트한다. 배터리가 만충될 때의 충전 전압은 4.2V이다. 한편 저장부(180)에는 최초 제품 제작시 배터리의 제2충전기준전압(3.9V)에 도달할 때 충전시각 부터 만충시 충전시각 까지의 소요시간(Ti)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충전인터페이스부(160)에 장착된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측정하는 도중 배터리가 만충 상태가 되면, 산출부(170)는 아래 수학식 1을 참조하여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Cu)을 산출한다.
배터리 충전 가능 용량값(Cu) = Tu ÷ Ti × 800mAh
여기서, Tu : 배터리 충전시 충전 기준전압(3.9V)에 도달할 때 충전시각(t1) 부터 만충시 충전시각(t2) 까지의 소요시간(t2-t1)
Ti : 최초 제품 제작시 충전 기준전압(3.9V)에 도달할 때 충전시각 부터 만충시 충전시각 까지의 소요시간
이때 산출부(170)는 충전 중인 배터리에 대해 산출한 충전 가능 용량값(Cu)을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제어부(110)는 산출부(170)에서 출력된 충전 중인 배터리에 대해 산출한 충전 가능 용량값(Cu)과 저장부(180)에 기 저장된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Cn)의 크기를 비교한다. 산출한 충전 가능 용량값(Cu)이 기 저장된 충전 가능 용량값(Cn) 보다 작으면, 제어부(110)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충전 가능 용량값(Cn)을 산출한 충전 가능 용량값(Cu)로 변경 및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저장부(180)에 변경 저장한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Cu)을 표시부(15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충전 가능 용량값(Cu)은 숫자, 문자, 그림 등으로 표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150)에 표시된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확인하고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새로운 배터리로의 교체 및 구입 시기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 제공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충전인터페이스부(160)에 배터리가 장착되면, 배터리에 충전이 시작된다(S110). 이때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을 측정하도록 산출부(170)를 제어한다. 산출부(170)는 배터리에 전류가 충전되는 동안 충전 전압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값을 제어부(110)로 제공한다.
제어부(110)는 산출부(170)에서 산출한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과 설정된 제1충전기준전압(3.7V)의 크기를 비교한다(S120).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이 상기 제1충전기준전압(3.7V) 보다 크면, 제어부(110)는 저장부(180)에 기 저장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값(Cn)을 유지한다(S240).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이 상기 제1충전기준전압(3.7V) 이하 이면, 제어부(110)는 배터리에 충전되는 전류의 충전 동작을 유지한다(S130). 배터리에 전류가 충전되는 동안, 산출부(170)는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을 계속적으로 산출하여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제어부(110)는 산출부(170)에서 산출한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과 제2충전기준전압(3.9V)의 값이 동일한 크기를 갖는 값인지를 비교한다(S140).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이 제2충전기준전압(3.9V)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인 경우, 즉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이 제2충전기준전압(3.9V) 보다 작으면,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동작을 유지하는 S130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이 제2충전기준전압(3.9V)에 도달한 상태인 경우, 즉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이 제2충전기준전압(3.9V)과 같은 값인 경우,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이 상기 제2충전기준전압(3.9V)에 도달한 시점에서의 충전 시각(t1)을 체크 및 상기 충전 시각(t1)에서 부터 충전 시간을 카운트한다(S150).
제어부(110)는 산출부(170)에서 산출한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과 제3충전기준전압(4.2V)의 값이 동일한 크기를 갖는 값인지를 비교한다(S160).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이 제3충전기준전압(4.2V)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인 경우, 즉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이 제3충전기준전압(4.2V) 보다 작으면,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동작을 유지한다(S220).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이 제3충전기준전압(4.2V)에 도달한 상태인 경우, 즉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이 제3충전기준전압(4.2V)과 같은 값인 경우,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이 상기 제3충전기준전압(4.2V)에 도달한 시점에서의 충전 시각(t2)을 체크한다(S170).
이때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이 제3충전기준전압(4.2V)에 도달 한 시점에서, 배터리 충전 용량값(Cu)을 산출하도록 산출부(170)를 제어한다(S180). 제어부(110)는 저장부(180)에 기 저장된 배터리의 용량값(Cn)과 상기 산출한 배터리 충전 용량값(Cu)의 크기를 비교한다(S190).
저장부(180)에 기 저장된 배터리의 용량값(Cn)이 산출한 배터리 충전 용량값(Cu) 보다 작으면, 제어부(110)는 저장부(110)에 기 저장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값을 유지하는 S240 단계를 수행한다. 저장부(180)에 기 저장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값(Cn)이 산출한 배터리 충전 용량값(Cu) 이상의 값이면, 제어부(110)는 저장부(110)에 기 저장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값(Cn)을 산출한 배터리 충전 용량값(Cu)으로 변경 및 업데이트 저장한다(S200).
한편, 제어부(110)는 저장부(180)에 저장한 배터리의 충전 용량값(Cu)을 디스플레이한다(S210).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값(Cu)을 확인하고 배터리의 교체 시기를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의 충전 가능한 용량값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 마모 정도 및 교체 시기를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충전인터페이스부;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을 검출하여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이 제2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하면 제3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할 때까지의 충전 시간을 파악하여 파악된 상기 충전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배터리에 설정된 최초 충전 가능 용량값 및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상기 산출부에서 출력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이, 제1충전기준전압 이하이면 충전 동작을 유지하고 상기 제2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제3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할 때까지의 충전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산출하도록 상기 산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충전기준전압보다 상기 제2충전기준전압이 크고, 상기 제2충전기준전압보다 상기 제3충전기준전압이 더 큼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아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수학식]
    배터리 충전 가능 용량값(Cu) = Tu ÷ Ti × 800mAh
    여기서, Tu : 배터리 충전시 상기 제2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하는 시점의 충전시각(t1) 부터 상기 제3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하는 시점의 충전시각(t2) 까지의 소요시간(t2-t1)
    Ti : 상기 배터리에 설정된 최초 충전 가능 용량값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시 상기 제2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하는 시점의 충전시각 부터 상기 제3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하는 시점의 충전시각 까지의 소요시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전기준전압은 3.7[V]이고, 상기 제2충전기준전압은 3.9[V]이며, 상기 제3충전기준전압은 4.2[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충전중인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이 제1충전기준전압 이하이면, 상기 충전 전압이 제2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할 때 까지 충전 동작을 유지하는 단계;
    b)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이 상기 제2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충전 전압이 제3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할 때 까지 충전 동작을 유지하고 상기 충전 전압이 상기 제2충전기준전압에서 상기 제3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걸린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산출한 충전 가능 용량값이 기 저장된 배터리의 용량값 이하이면, 상기 기 저장된 배터리의 용량값을 상기 산출한 충전 가능 용량값으로 변경 및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산출 및 변경/저장한 충전 가능 용량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충전기준전압보다 상기 제2충전기준전압이 크고, 상기 제2충전기준전압보다 상기 제3충전기준전압이 더 큼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아래 수학식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수학식]
    배터리 충전 가능 용량값(Cu) = Tu ÷ Ti × 800mAh
    여기서, Tu : 배터리 충전시 상기 제2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하는 시점의 충전시각(t1) 부터 상기 제3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하는 시점의 충전시각(t2) 까지의 소요시간(t2-t1)
    Ti : 상기 배터리에 설정된 최초 충전 가능 용량값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시 상기 제2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하는 시점의 충전시각 부터 상기 제3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하는 시점의 충전시각 까지의 소요시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전기준전압은 3.7[V]이고, 상기 제2충전기준전압은 3.9[V]이며, 상기 제3충전기준전압은 4.2[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40021347A 2004-03-29 2004-03-29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40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347A KR100640351B1 (ko) 2004-03-29 2004-03-29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347A KR100640351B1 (ko) 2004-03-29 2004-03-29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079A KR20050096079A (ko) 2005-10-05
KR100640351B1 true KR100640351B1 (ko) 2006-10-30

Family

ID=37276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347A KR100640351B1 (ko) 2004-03-29 2004-03-29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3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766B1 (ko) * 2019-07-16 2020-07-02 슈에 밍 바이 보조 배터리 대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898A (ko) * 1999-12-13 2001-07-04 홍경 이동단말기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 표시 방법
KR20030049107A (ko) * 2001-12-14 2003-06-2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 충전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898A (ko) * 1999-12-13 2001-07-04 홍경 이동단말기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 표시 방법
KR20030049107A (ko) * 2001-12-14 2003-06-2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 충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079A (ko)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1986B2 (en) Power supply for battery powered devices
US7133703B2 (en) Small electronic device having battery level detection unit
US66308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rechargeable battery
JP4161854B2 (ja) 電池残容量算出方法、電池残容量算出装置および電池残容量算出プログラム
KR930003826B1 (ko) 배터리의 잔여용량 감시 장치 및 잔여 전하값 표시방법
US7741812B2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including notification control unit
JPH10136574A (ja) バッテリ制御装置
JP5103162B2 (ja) 携帯電子機器
JPH0765864A (ja) 携帯用電子機器とその電池パックとその充電器とそのアタッチメント
JP3859608B2 (ja) 電池パック、電子機器、電池残量予測システム及び半導体装置
KR101131291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JP2010019653A (ja) 電池残容量算出システム
JP2914425B2 (ja) 自動電源制御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100640351B1 (ko)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방법
JPH09181804A (ja) 電池残量表示装置付携帯無線機
JP5491047B2 (ja) 端末装置、バッテリ残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108491A (ja) 電子機器
JP2009216681A (ja) 二次電池の劣化判定方法および携帯情報処理装置
KR20020068576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및 수신감도 표시 방법
KR20060082912A (ko) 절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060008064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교환 시기 알림 방법
JP2004286473A (ja) 小型電気機器
JP2003185720A (ja) 電池残量測定方法および該測定方法を用いた小型電気機器並びに電池パック
JP2009207347A (ja) 携帯電子機器及び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及び充電システム
JPH08186941A (ja) 充電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