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291B1 -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291B1
KR101131291B1 KR1020070029803A KR20070029803A KR101131291B1 KR 101131291 B1 KR101131291 B1 KR 101131291B1 KR 1020070029803 A KR1020070029803 A KR 1020070029803A KR 20070029803 A KR20070029803 A KR 20070029803A KR 101131291 B1 KR101131291 B1 KR 101131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xternal
internal
remaining capacity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7493A (ko
Inventor
김현일
조기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9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291B1/ko
Priority to US11/947,419 priority patent/US7915862B2/en
Publication of KR2008008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6/00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배터리가 탈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외장배터리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내장배터리가 병렬 연결되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소정 시간동안 상기 병렬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과, 상기 병렬연결이 해제된 시간동안 상기 내장 및 외장배터리의 전압을 체크하여 각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장배터리가 탈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서 내장 및 외장배터리의 정확한 잔존 용량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 사용자에게 정확한 배터리 잔존 용량을 알려줄 수 있고, 내장 및 외장배터리의 상대적 전위에 따른 다양한 충/방전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배터리, 용량, 측정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REMAINING BATTERY CAPACITY IN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잔존 용량 측정을 위해 스위치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을 나타낸 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장배터리가 탈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서 내/외장 배터리의 잔존 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 능이 추가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메일, 인터넷, 게임 등과 같 은 기능을 비롯하여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는 데이터 및 화상까지 전달하는 멀티 미디어 기능도 계속 추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는 것은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나, 단말기에서 전력량 즉, 배터리 사용량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면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증가되는 배터리 사용량에 따라 사용자들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예전보다 자주 충전해야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연결/분리할 수 있는 탈착형 외장배터리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배터리를 자주 충전해야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한편, 외장배터리가 탈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 내장배터리 전압과 외장배터리 전압의 상대적인 전위에 의해 충/방전 알고리즘이 구현된다. 따라서 배터리의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전 구간에 있어서 어느 순간이라도 각 배터리의 전위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충/방전 알고리즘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때문에 일반적으로 외장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경우, 내장 및 외장배터리의 실제 잔존 용량에 해당하는 전위 값을 파악하기 위해 각 배터리의 출력 단자로부터 전압 값을 체크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병렬로 연결되는 내장 및 외장 배터리는 서로간의 전위가 다를 경우 동전위를 유지하려는 물리적인 성질을 가지게 된다. 예컨대 전압이 3.4V인 내장배터리와 전압이 3.8V인 외장배터리가 병렬 연결되면 병렬 연결된 내장배터리와 외장 배터리는 약 3.6V 정도의 전압을 나타내며, 배터리 간 연결이 해제되면 각 배터리는 원래의 전압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가 병렬 연결되었을 때, 단순히 각 배터리 출력단자의 전압 값 을 체크하는 방식으로는 각 배터리의 실제 잔존 용량에 해당하는 정확한 전위 값을 알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내장 및 외장 배터리가 병렬 연결되더라도 배터리 잔존 용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장배터리가 탈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외장배터리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내장배터리가 병렬 연결되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소정 시간동안 상기 병렬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과, 상기 병렬연결이 해제된 시간동안 상기 내장 및 외장배터리의 전압을 체크하여 각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장배터리가 탈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방법이 상기 측정된 내장 및 외장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각각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배터리가 탈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외장배터리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내장배터리를 병렬연결하기 위한 스위치부와, 상기 내장 및 외장배터리가 병렬 연결되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소정 시간동안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병렬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병렬 연결이 해제된 시간동안 상기 내장 및 외장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키입력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제어부(140), 오디오처리부(150), 내장배터리(160), 외장배터리(170), 스위치부(180) 및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한다.
키입력부(110)는 문자 키, 숫자 키, 각종 기능 키 및 외부 볼륨 키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표시부(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때,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20)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
제어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내장배터리(160)의 전원 사용 중에 내장배터리(160)의 잔존 용량을 체크하여 체크된 잔존 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면 스위치부(180)를 온 시켜 내장배터리(160)와 외장배터리(170)를 병렬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스위치부(180)를 통해 내장배터리(160)와 외장배터리(170)가 병렬 연결되면 미리 설정된 주기(예컨대, 1초)마다 소정 시간(예컨대, 20ms)동안 스위치부(180)를 제어하여 상기 병렬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병렬 연결이 해제된 시간동안 내장배터리(160) 및 외장배터리(170)의 전압을 체크하여 잔존 용량을 측정한다. 이 때 휴대 단말기(100)는 내장배터리(160) 및 외장배터리(170)의 전압 레벨을 체크하기 위한 전압 감지부(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내장배터리(160) 및 외장배터리(170)의 전압을 체크한 결과 내장배터리(160)의 전압값이 외장배터리(170)의 전압값 이상이면 스위치부(180)가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40)가 스위치부(180)를 제어하여 배터리간 병렬 연결을 해제하고 내장배터리(160) 및 외장배터리(170)의 전압을 체크하는 시간(예컨대, 20ms)은 전체 알고리즘 수행에 있어 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매우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40)는 내장배터리(160)의 전원 사용 중에 내장배터리(160)의 잔존 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가 되면 외장배터리(170)가 장착되어 있는지 체크하고, 외장배터리(170)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외장배터리(170)가 필요함을 알리는 메시지 즉, 외장배터리(170) 장착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오디오처리부(150)는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송수신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처리부(150)는 무선송수신부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Code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되며 상기 코덱들은 별도로 구비하거나 제어부(14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내장배터리(160) 및 외장배터리(17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전원공급부(190)로 전원을 인가하며, 외장배터리(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탈착 가능하다.
스위치부(18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되어 내장배터리(160)와 외장배터리(170)를 병렬 연결하거나 그 연결을 해제하며, 병렬 연결된 내장배터 리(160)와 외장배터리(170)의 전원을 전원공급부(190)에 전달한다. 이 때 스위치부(180)는 내장배터리(160) 또는 외장배터리(170)의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하여 전원공급부(19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스위치부(180)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을 적정한 레벨로 조정한 후 직류전압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부에 공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잔존 용량 측정을 위해 스위치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을 나타낸 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치부(180)에 인가되는 전압이 하이(HIGH)이면 스위치부(180)는 온 되어 스위치 온 구간 (A)에서 내장배터리(160)와 외장배터리(170)를 병렬 연결하고, 로우(LOW)이면 오프되어 스위치 오프 구간인 (B)에서 내장배터리(160)와 외장배터리(170)의 병렬 연결을 해제한다. 스위치 오프 구간인 (B)는 내장배터리(160)의 전압이 외장배터리(170)의 전압보다 높을 경우 배터리간 병렬 연결이 완전히 해제되는 구간을 의미한다.
한편, 내장배터리(160)와 외장배터리(170)의 전압을 체크하기 위해 배터리 간의 병렬 연결을 해제하는 구간 (C)는 전체 알고리즘 수행에 있어 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설정된 구간이며, 실제적으로는 짧은 스위치 오프구간이지만 알고리즘적인 판단으로는 스위치 온 구간 (A)에 포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휴대 단말기(100)가 부팅되면 내장 배터리(1600)의 전원을 사용한다(S110). 즉, 제어부(140)는 내장배터리(160)와 전원공급부(190)가 연결되도록 스위치부(180)를 제어하고, 내장배터리(1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공급부(190)로 인가한다.
제어부(140)는 내장배터리(160)의 전원 사용 중에 내장배터리(160)의 잔존 용량이 기준값 이하인지 체크한다(S115). 이 때 상기 기준값은 통상적으로 단말기가 배터리 저전압 경고 메시지를 출력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잔존 용량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부(140)는 내장배터리(160)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측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어부(140)는 상기 체크결과 내장배터리(160)의 잔존 용량이 기준값 이하이면 휴대 단말기(100)에 외장배터리(170)가 장착되어 있는지 체크한다(S120).
제어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에 외장배터리(170)가 장착되어 있으면 스위치부(180)를 온 시켜 내장배터리(160)와 외장배터리(170)를 병렬 연결한다(S135).
한편, 제어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에 외장배터리(170)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외장배터리(170)가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메시지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한다(S125).
제어부(140)는 상기 메시지를 출력한 후, 외장배터리(170)가 장착되는지 체크한다(S130).
그리고 제어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에 외장배터리(170)가 장착되면 스위치부(180)를 온 시켜 내장배터리(160)와 외장배터리(170)를 병렬 연결한다(S135).
제어부(140)는 내장배터리(160)와 외장배터리(170)가 병렬 연결되면 미리 설 정된 주기(예컨대, 1초)마다 소정 시간(예컨대, 20ms)동안 스위치부(180)를 오프시켜 병렬 연결을 해제한다(S140). 이 때 스위치부(180)를 오프시키는 소정시간은 내장배터리(160)와 외장배터리(170)의 전압을 체크하기 위한 시간으로서, 전체 알고리즘 수행에 있어 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설정된 시간을 의미한다.
제어부(140)는 상기 두 배터리 간의 병렬 연결이 해제된 소정 시간동안 내장배터리(160)와 외장배터리(170)의 전압을 체크하여 잔존 용량을 측정한다(S145).
제어부(140)는 상기 측정된 내장배터리(160)와 외장배터리(170)의 잔존 용량을 표시부(120)에 각각 디스플레이 한다(S150).
제어부(140)는 상기 체크된 내장배터리(160)의 전압 값이 외장배터리(170)의 전압 값 이상인지 체크한다(S155). 즉, 제어부(140)는 내장배터리(160)의 전압 값 ≥ 외장배터리(170)의 전압 값인지 체크한다.
제어부(140)는 내장배터리(160)의 전압 값이 외장배터리(170)의 전압 값 미만이면 S130 과정으로 리턴하여 상기 소정 시간동안 오프된 스위치부(180)를 다시 온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140)는 내장배터리(160)의 전압 값이 외장배터리(170)의 전압 값 이상이면 스위치부(180)의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종료한다한다(S160). 이는 내장배터리(160)의 전류가 다시 외장배터리(17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에 외장배터리(170)가 장착되었는지 체크한다(S210).
제어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에 외장배터리(170)가 장착되면 내장배터리(160)와 외장배터리(170)의 잔존 용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각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 한다(S220). 통상 측정된 배터리의 잔존 용량은 배터리 모양의 아이콘 형태로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 된다.
제어부(140)는 내장배터리(160)의 전원을 사용한다(S230). 즉, 제어부(140)는 외장배터리(170)가 장착되더라도 내장배터리(160)와 전원공급부(190)가 연결되도록 스위치부(180)를 제어하고, 내장배터리(1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공급부(190)로 인가한다.
제어부(140)는 내장배터리(160)의 전원 사용 중에 내장배터리(160)의 잔존 용량이 기준값 이하인지 체크한다(S240). 이 때 상기 기준값은 통상적으로 단말기가 배터리 저전압 경고 메시지를 출력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잔존 용량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장배터리(160)의 잔존 용량이 기준값 이하가 아니면 계속 내장배터리(160)의 전원을 사용한다.
제어부(140)는 상기 체크결과 내장배터리(160)의 잔존 용량이 기준값 이하이면 스위치부(180)를 온 시켜 내장배터리(160)와 외장배터리(170)를 병렬 연결한다(S250). 이 때 제어부(140)는 내장배터리(160)의 잔존 용량이 부족함을 알리는 메시지 또는 외장배터리(170) 사용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내장배터리(160)와 외장배터리(170)가 병렬 연결되면 미리 설 정된 주기(예컨대, 1초)마다 소정 시간(예컨대, 20ms)동안 스위치부(180)를 오프시켜 병렬 연결을 해제한다(S260). 이 때 제어부(140)가 스위치부(180)를 오프시키는 소정시간은 내장배터리(160)와 외장배터리(170)의 전압을 체크하기 위한 시간으로 전체 알고리즘 수행에 있어 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설정된 시간을 의미한다.
제어부(140)는 상기 두 배터리 간의 병렬 연결이 해제된 소정 시간동안 내장배터리(160)와 외장배터리(170)의 전압을 체크하여 잔존 용량을 측정한다(S270).
제어부(140)는 상기 측정된 내장배터리(160)와 외장배터리(170)의 잔존 용량을 표시부(120)에 각각 디스플레이 한다(S280).
제어부(140)는 상기 체크된 내장배터리(160)의 전압 값이 외장배터리(170)의 전압 값 이상인지 체크한다(S285). 즉, 제어부(140)는 내장배터리(160)의 전압 값 ≥ 외장배터리(170)의 전압 값인지 체크한다.
제어부(140)는 내장배터리(160)의 전압 값이 외장배터리(170)의 전압 값 미만이면 S250 과정으로 리턴하여 상기 소정 시간동안 오프된 스위치부(180)를 다시 온 시켜 두 배터리를 병렬 연결한다.
제어부(140)는 내장배터리(160)의 전압 값이 외장배터리(170)의 전압 값 이상이면 스위치부(180)의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종료한다(S290). 이는 내장배터리(160)의 전류가 다시 외장배터리(17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장배터리가 탈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서 내장 및 외장배터리의 정확한 잔존 용량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 사용자에게 정확한 배터리 잔존 용량을 알려줄 수 있고, 내장 및 외장배터리의 상대적 전위에 따른 다양한 충/방전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Claims (10)

  1. 외장배터리가 탈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외장배터리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내장배터리가 병렬 연결되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소정 시간동안 상기 병렬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과,
    상기 병렬연결이 해제된 시간동안 상기 내장 및 외장배터리의 전압을 체크하여 각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외장배터리 및 내장배터리는 각각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부 및 내부에서 탈착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배터리가 탈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과정은
    상기 내장배터리 잔존 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면 스위치를 온 시켜 상기 내장 및 외장배터리를 병렬 연결하는 단계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소정 시간동안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켜 병렬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배터리가 탈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연결 단계는
    상기 내장배터리의 잔존 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외장배터리가 장착되어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외장배터리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외장배터리가 필요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외장배터리가 장착되면 스위치를 온 시켜 상기 내장 및 외장배터리를 병렬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배터리가 탈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과정은
    상기 내장 및 외장배터리의 전압을 체크한 결과 상기 내장배터리의 전압 값이 외장배터리의 전압 값 이상이면 스위치를 오프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배터리가 탈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내장 및 외장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각각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배터리가 탈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 존 용량 측정 방법.
  6. 외장배터리가 탈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외장배터리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내장배터리를 병렬연결하거나 병렬연결을 해제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내장 및 외장배터리가 병렬 연결되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소정 시간동안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병렬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병렬 연결이 해제된 시간동안 상기 내장 및 외장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장배터리 및 내장배터리는 각각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부 및 내부에서 탈착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배터리가 탈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장배터리의 잔존 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내장배터리 및 외장배터리를 병렬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 치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배터리가 탈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장배터리의 잔존 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가 되면 상기 외장배터리가 장착되어 있는지 체크하고, 상기 외장배터리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외장배터리가 필요함을 알리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배터리가 탈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장 및 외장배터리의 전압을 체크한 결과 상기 내장배터리의 전압 값이 외장배터리의 전압 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내장배터리 및 외장배터리의 병렬 연결을 해제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배터리가 탈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장치.
  10. 제6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내장 및 외장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각각 디스플레이 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배터리가 탈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장치.
KR1020070029803A 2007-03-27 2007-03-27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131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803A KR101131291B1 (ko) 2007-03-27 2007-03-27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US11/947,419 US7915862B2 (en) 2007-03-27 2007-11-29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attery charge level of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803A KR101131291B1 (ko) 2007-03-27 2007-03-27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493A KR20080087493A (ko) 2008-10-01
KR101131291B1 true KR101131291B1 (ko) 2012-03-30

Family

ID=3979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803A KR101131291B1 (ko) 2007-03-27 2007-03-27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15862B2 (ko)
KR (1) KR1011312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3299A1 (fr) * 2006-07-27 2008-01-31 Citizen Holdings Co., Ltd. Dispositif électronique
US8390145B2 (en) * 2009-12-01 2013-03-05 Redarc Technologies Pty Ltd Battery isolator unit
KR20150008948A (ko) 2013-06-26 201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형 전자 장치 및 휴대형 전자 장치에서 배터리 잔량 정보 제공 방법
US10162449B2 (en) * 2013-07-17 2018-12-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512986B1 (ko) * 2015-11-17 2023-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시스템 및 전자 장치
US10686230B2 (en) * 2016-03-25 2020-06-16 Rocco John Colasacco Backup battery system
KR102515606B1 (ko) * 2017-10-31 2023-03-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충전량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배터리 팩 및 전자 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3193A (en) 1991-09-26 1997-04-22 Braun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for controlling battery discharge
US6229287B1 (en) 2000-01-24 2001-05-08 Michael T. Ferris Battery charger
US7133703B2 (en) 2003-03-19 2006-11-07 Hitachi Maxell, Ltd. Small electronic device having battery level detection unit
US7449864B2 (en) 2005-08-09 2008-1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discharge between internal battery and external batte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3193A (en) 1991-09-26 1997-04-22 Braun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for controlling battery discharge
US6229287B1 (en) 2000-01-24 2001-05-08 Michael T. Ferris Battery charger
US7133703B2 (en) 2003-03-19 2006-11-07 Hitachi Maxell, Ltd. Small electronic device having battery level detection unit
US7449864B2 (en) 2005-08-09 2008-1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discharge between internal battery and external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38207A1 (en) 2008-10-02
US7915862B2 (en) 2011-03-29
KR20080087493A (ko)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291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354798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탈착 감지 장치 및 방법
US7741812B2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including notification control unit
EP1577677A1 (en) Battery apparatus and discharge controlling method of battery apparatus
US20100274508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5536172A (ja) 電力消費量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82971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035800B2 (ja) 携帯端末
JP2007198994A (ja) 電子機器
KR100871256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109772A (ko)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용량 검출장치 및 방법
KR20060082912A (ko) 절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010003650A (ko) 무선 단말기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JP2004138588A (ja) 電池残量表示装置及び携帯端末
KR20000065595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및 사용 예상 시간 표시 방법
KR100842560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40351B1 (ko) 배터리의 충전 가능 용량값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10003076A (ko) 배터리 충전상태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JP2009207347A (ja) 携帯電子機器及び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及び充電システム
KR101411718B1 (ko)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
JP2009124424A (ja) 携帯端末
KR2005002758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0460460B1 (ko) 휴대폰의 배터리 용량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728655B1 (ko) 시간과 전압에 따른 무선전화기 밧데리 아이콘 표시장치와표시방법
KR20070010574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의 잔량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