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718B1 -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718B1
KR101411718B1 KR1020070069218A KR20070069218A KR101411718B1 KR 101411718 B1 KR101411718 B1 KR 101411718B1 KR 1020070069218 A KR1020070069218 A KR 1020070069218A KR 20070069218 A KR20070069218 A KR 20070069218A KR 101411718 B1 KR101411718 B1 KR 101411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essage
portable terminal
battery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848A (ko
Inventor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9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718B1/ko
Publication of KR20090005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를 알리는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상기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배터리 용량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과 상기 계산된 배터리 용량의 용량을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전원 오프 메시지에 상기 GPS 수신기를 통해 확인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GPS 수신기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상대방에게 알릴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전원 오프, 메시지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OF POWER OFF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를 알리는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 능이 추가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메일, 인터넷, 게임 등과 같 은 기능을 비롯하여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는 데이터 및 화상까지 전달하는 멀티 미디어 기능도 계속 추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는 것은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나, 단말기에서 전력량 즉, 배터리 사용량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면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증가되는 배터리 사용량에 따라 사용자들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예전보다 자주 충전해야하는 실정이다.
한편,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배터리 잔존용량 값이 미리 설정된 저전압 경고 값 이하가 되면 배터리 충전이 필요함을 알리는 메시지 또는 경고음을 출력하며, 이후 배터리 잔존용량 값이 미리 설정된 전원 오프 값 이하가 될 경우 휴대 단 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있다.
때문에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를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 충전이 필요함을 알리는 메시지 또는 경고음 확인 시 배터리 전원을 충전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나 경고음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될 경우, 사용자는 긴급하게 자신의 위치를 상대방에게 알려야 할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자신의 위치를 상대방에게 알리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알릴 수 있는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를 알리는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상기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배터리 용량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과 상기 계산된 배터리 용량을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전원 오프 메시지에 상기 GPS 수신기를 통해 확인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전원 오프를 알리는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상기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배터리 용량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과 상기 계산된 배터리 용량을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전원 오프 메시지에 기지국에서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GPS 수신기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상대방에게 알릴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키입력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제어부(140), GPS 수신부(150), 무선송수신부(160) 및 오디오 처리부(170)를 포함한다.
키입력부(110)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문자키, 숫자키와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표시부(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표시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 오프를 알리는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할 상대방 전화번호(또는 전자메일 주소)를 등록하는 과정에 필요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전원 오프 메시지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 오프를 알리기 위한 메시지로서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모두 가능하다.
한편, 표시부(120)는 상기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 영상처리부(미도시)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 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및 사용자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
즉.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해 제어부(140)를 통해 액세스되는 운영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롬(ROM)과, 제어부(140)의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제어 명령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또한 메모리(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 오프를 알리는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할 상대방 전화번호를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저장하며, 상기 전원 오프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 메시지이거나 사용자 음성이 녹음된 음성 메시지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할 상대방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등록된 전화번호를 메모리(13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전화번호를 등록한 후, 상기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상기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배터리 용량을 계산한다. 즉, 제어부(140)는 상기 등록된 전화번호의 개수가 1개이면 1개의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배터리 용량을 계산하고, 상기 등록된 전화번호의 개수가 5개이면 5개의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배터리 용량을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부(150)에 수신된 GPS 신호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예컨대, 위도와 경도)를 확인하고, 배터리 잔존 용량을 측정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주기와 배터리 잔존 용량을 측정하는 주기를 별도로 설정할 수도 있으나,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할 때 배터리 잔존 용량도 함께 측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측정된 배터리 잔존 용량이 상기 계산된 배터리 용량과 일치하면 미리 저장된 전원 오프 메시지에 상기 확인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상기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이 완료되면,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기(100)가 GPS 수신부(150)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휴대 단말기(100)가 GPS 수신부(150)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40)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기지국(미도시)로부터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기지국이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기술은 공지된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 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전화번호를 등록한다(S110).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 오프를 알리기 위한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할 전화번호를 의미한다. 이 때 사용자는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할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등록할 수도 있으나, 폰 북에 등록된 전화번호 중에서 상기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할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등록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배터리 용량을 계산한다(S120). 예컨대, 제어부(140)는 상기 등록된 전화번호의 개수가 1개이면 1개의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배터리 용량을 계산하고, 상기 등록된 전화번호의 개수가 5개이면 5개의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배터리 용량을 계산한다.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GPS 수신부(150)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S130). 이 때 제어부(14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잔존 용량을 측정한다(S140).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40)가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배터리 잔존 용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어부(140)가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주기와 배터리 잔존 용량을 측정하는 주기를 별도로 설정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할 때 배터 리 잔존 용량도 함께 측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측정된 배터리 잔존 용량과 상기 계산된 배터리 용량이 일치하는지 체크한다(S150).
제어부(140)는 상기 측정된 배터리 잔존 용량과 상기 계산된 배터리 용량이 일치하면 메모리(130)에 저장된 전원 오프 메시지에 상기 확인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전송한다(S160). 이 때 제어부(140)는 전원 오프 메시지를 상기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모두 전송하기 전에 전원이 오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정된 배터리 잔존 용량이 상기 계산된 배터리 용량보다 일정 용량 정도 여유가 있을 때 상기 S160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어부(140)는 상기 전원 오프 메시지가 모두 전송되면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을 오프시킨다(S170).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전화번호를 등록한다(S210).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 오프를 알리기 위한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할 전화번호를 의미한다. 이 때 사용자는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할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등록할 수도 있으나, 폰 북에 등록된 전화번호 중에서 상기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할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등록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등록된 각각의 상대방 전화번호로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배터리 용량을 계산한다(S220).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기지국(미도시)로부터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S230). 이 때 제어부(14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잔존 용량을 측정한다(S240).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40)가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후, 배터리 잔존 용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제어부(140)가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주기와 배터리 잔존 용량을 측정하는 주기를 별도로 설정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지국으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때 배터리 잔존 용량도 함께 측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측정된 배터리 잔존 용량과 상기 계산된 배터리 용량이 일치하는지 체크한다(S250).
제어부(140)는 상기 측정된 배터리 잔존 용량과 상기 계산된 배터리 용량이 일치하면 메모리(130)에 저장된 전원 오프 메시지에 상기 확인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전송한다(S260). 이 때 제어부(140)는 전원 오프 메시지를 상기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모두 전송하기 전에 전원이 오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정된 배터리 잔존 용량이 상기 계산된 배터리 용량보다 일정 용량 정도 여유가 있을 때 상기 S160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 직하다.
제어부(140)는 상기 전원 오프 메시지가 모두 전송되면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을 오프시킨다(S270).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Claims (8)

  1.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를 알리는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상기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배터리 용량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과 상기 계산된 배터리 용량을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전원 오프 메시지에 상기 GPS 수신기를 통해 확인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수신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GPS 수신기를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수신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과정은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할 때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수신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오프 메시지를 상기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전송한 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수신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
  5. 휴대 단말기에서 전원 오프를 알리는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상기 전원 오프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배터리 용량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과 상기 계산된 배터리 용량을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전원 오프 메시지에 기지국에서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기지국으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과정은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배터리의 잔존 용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오프 메시지를 상기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전송한 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
KR1020070069218A 2007-07-10 2007-07-10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411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218A KR101411718B1 (ko) 2007-07-10 2007-07-10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218A KR101411718B1 (ko) 2007-07-10 2007-07-10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848A KR20090005848A (ko) 2009-01-14
KR101411718B1 true KR101411718B1 (ko) 2014-06-25

Family

ID=4048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218A KR101411718B1 (ko) 2007-07-10 2007-07-10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7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0216A (zh) * 2019-05-07 2019-08-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用电设备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用电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088A (ko) * 2003-08-29 2005-03-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및 위치정보 전송 방법
KR20050026207A (ko) * 2003-09-09 2005-03-1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전압 알람 방법
KR20050046223A (ko) * 2003-11-13 2005-05-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의 방전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088A (ko) * 2003-08-29 2005-03-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및 위치정보 전송 방법
KR20050026207A (ko) * 2003-09-09 2005-03-1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전압 알람 방법
KR20050046223A (ko) * 2003-11-13 2005-05-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의 방전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0216A (zh) * 2019-05-07 2019-08-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用电设备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用电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848A (ko)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91869A (ja) 移動通信端末機の文字サイズ調節装置及び方法
KR20060093286A (ko)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스케쥴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TW546942B (en) Battery status voice alert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JP2009033313A (ja) 電話端末装置およびその緊急通報方法
US20150113301A1 (en) Charging method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JP4721920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101131291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존 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US2007024388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411718B1 (ko)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 메시지 전송 방법
JP5973283B2 (ja) 通信端末装置
EP4099037B1 (en) Prediction method and apparatus of battery health, and storage medium
KR1005571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 내역 정보 이용 방법
KR2008005368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원 오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JP2001211480A (ja)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充電状態報知方法
JP2012058907A (ja) 情報端末機器、利用状態報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00065595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및 사용 예상 시간 표시 방법
CN108536508B (zh) 界面处理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KR10064048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원차단 레벨을 측정하는 시스템 및방법
KR100582412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의 방전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072051B1 (ko)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 전송 표시장치 및 방법
JP2006033409A (ja) 携帯電話機、該携帯電話機に用いられる二次電池管理方法及び二次電池管理制御プログラム
JP2007026359A (ja) 端末装置、端末装置の制御方法、端末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20100128064A (ko) 배터리 잔량을 음성으로 알리는 이동 단말 및 그 알림 방법
KR20060022018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인디케이터를 선택적으로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KR100790153B1 (ko)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