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522A -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522A
KR20100103522A KR1020107013444A KR20107013444A KR20100103522A KR 20100103522 A KR20100103522 A KR 20100103522A KR 1020107013444 A KR1020107013444 A KR 1020107013444A KR 20107013444 A KR20107013444 A KR 20107013444A KR 20100103522 A KR20100103522 A KR 20100103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old
phospholipid
phosphatidylethanolamine
pre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5624B1 (ko
Inventor
존 달라스 프루트
린 쿡 윈터톤
베른하르트 자이퍼링
유르겐 보그트
하랄트 보테
Original Assignee
노파르티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파르티스 아게 filed Critical 노파르티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103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6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02B1/043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0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향상된 렌즈 품질 및 증가된 생산 수율을 갖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및 콘택트 렌즈 제조용 유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렌즈-형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체 조성물 내에, 인지질이 부재한 경우와 비교하여 평균 금형 분리력을 약 40% 이상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인지질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METHOD FOR MAKING CONTACT LENSES}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인지질을 이형제로서 사용하는 콘택트 렌즈의 주조-성형 방법에서 금형 분리 및 금형으로부터의 렌즈 제거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의 품질 및 수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택트 렌즈는, 1회용 금형을 사용하는 통상적인 주조-성형 방법 (예, PCT 발행 특허 출원 제WO/87/04390호, 제EP-A 0 367 513호, 미국 특허 제5,894,002호, 상기 문헌은 모두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도입됨)에 의해 또는 재사용가능 금형 및 화학선 방사의 공간적 제약하에서의 경화 (미국 특허 제5,508,317호, 제5,583,163호, 제5,789,464호 및 제5,849,810호)를 포함하는 개선된 주조-성형 방법에 의해 대량 생산 방식으로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금형을 사용하는 렌즈의 생산에서 결정적인 단계는, 렌즈 손상 없이 금형을 개방하고 금형으로부터 렌즈를 이형시키는 단계이다. 콘택트 렌즈 성형 방법의 완결 이후에, 중합된 렌즈는 금형에 강하게 부착되는 경향이 있다. 금형을 개방하고 금형으로부터 콘택트 렌즈를 제거하는 도중에, 렌즈에 갈라짐, 흠집 및/또는 인열이 발생할 수 있거나, 최악의 경우 심지어 콘택트 렌즈는 완전히 깨질 수 있다. 이러한 결함이 있는 콘택트 렌즈는 버려야 하므로 총 생산 수율을 낮춘다.
여러 방법이 개발되거나 제안되어 왔다. 렌즈를 이형시키는 한 방법은 렌즈를 수화시키는 것, 즉 금형 분리 이후 금형 내 렌즈 (lens-in-mold) 조합을 물이 채워진 수화 탱크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종종 수화시키는 것 단독으로는 금형으로부터 렌즈가 이형되지 않는다. 그러하면 손으로 렌즈를 금형으로부터 부드럽게 제거해야 한다. 이러한 손을 이용하는 렌즈 제거는 렌즈를 손상시킬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제US 5,264,161호에는, 금형으로부터 렌즈의 이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화조 (hydration bath)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개선된 금형으로부터의 렌즈 이형 방법이 개시된다. 그러나, 수화조 내에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은 보다 힘이 덜드는 금형 분리를 제공하지 않는다. 금형 분리 도중 발생되는 렌즈 손상은 렌즈 수화에 의해 최소화될 수 없다.
렌즈 이형의 또 다른 방법은, 미국 특허 제4,159,292호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를 내부 이형제로서 금형 자체에 도입하는 것이다. 금형에의 내부 이형제의 도입은 렌즈와 금형 사이의 부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금형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내부 이형제인 계면활성제는 삼출에 의해 고갈될 수 있다.
렌즈 이형의 추가적인 방법은 외부 이형제 (예, 계면활성제)를 필름 또는 코팅의 형태로 금형의 성형 표면 상에 적용하는 것이다 (예, 미국 특허 제4,929,707호 및 제5,542,978호에 개시됨). 외부 이형제를 사용하면, 금형의 성형 표면을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제제의 일부가 중합된 렌즈의 표면 및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추가적인 렌즈 이형 방법은, 콘택트 렌즈 제조용 렌즈-형성 조성물에 내부 이형제를 도입하는 것이다. 내부 이형제는 계면활성제이거나 (미국 특허 제4,534,916호, 제4,929,707호, 제4,946,923호, 제5,013,496호, 제5,021,503호, 제5,126,388호, 제5,594,088호, 제5,753,730호), 비-중합성 중합체일 수 있다 (미국 특허 제6,849,210호). 렌즈-형성 조성물 (또는 렌즈 제형)에 내부 이형제를 도입함으로써, 금형과 렌즈 사이의 부착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금형 분리에 비교적 보다 적은 힘이 요구될 수 있고, 렌즈를 금형으로부터 보다 힘을 덜 들이고 제거할 수 있다. 금형과 렌즈 사이의 부착력 감소에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내부 이형제의 일부가 중합된 렌즈의 표면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정밀도, 충실도 및 재현성을 갖고 저비용이 드는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주조 성형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그러한 생산 기술 중 한 가지는, 미국 특허 제5,508,317호, 제5,583,463호, 제5,789,464호 및 제5,849,810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단량체가 실질적으로 함유되지 않고 에틸렌성-불포화기를 갖는 실질적으로 정제된 예비중합체를 포함하는 렌즈-형성 조성물, 재사용가능 금형 및 화학선 방사 (예, UV)의 공간적 제약하에서의 경화를 포함하는, 소위 라이트스트림 테크놀로지 (Lightstream Technology)™ (시바 비전 (CIBA Vision))이다.
그러나,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생산에서 상기 기술의 우수한 잠재력이 모두 실현되는 것을 방해하는 몇몇의 현실적인 제약이 있다. 예를 들어, 공개된 미국 특허 제7,091,283호, 제7,268,189호 및 제7,238,750호에 기재된 실리콘-함유 예비중합체를 사용하여 실리콘 히드로겔 렌즈 제형을 제조하는 경우, 예비중합체를 가용화하기 위하여 유기 용매가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렌즈 제형을 사용하여 라이트스트림 테크놀로지™에 따라 실리콘 히드로겔을 생산하는 경우, UV 가교결합 후 금형 내의 경화된 렌즈는 용매를 물로 교환하기 전에 유기 용매 내에서 여전히 팽윤되어 있다. 경화된 렌즈는 유기 용매 내에서 팽윤된 상태이고, 부적절한 (예를 들어, 너무 낮은) 강성 및 인성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렌즈는 금형 개방 및 탈형 공정에서 온전하게 나올 수 없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생산 수율이 낮아질 수 있고, 금형 개방 및 탈형 공정 도중에 발생된 렌즈 결함으로부터 유래된 낮은 생산 수율로 인하여 생산 비용이 보다 높아질 수 있다. 그러나, 실리콘-함유 예비중합체로부터의 콘택트 렌즈의 생산에서 통상적인 이형제는 금형 개방 및 탈형 공정 도중 발생되는 렌즈 결함을 감소시키기에 효과적이지 않다. 금형 분리 도중에 발생되는 결함은 라이트스트림 테크놀로지™에 따른 실리콘-함유 예비중합체를 사용한 콘택트 렌즈의 생산에서 큰 문제일 수 있다.
따라서, 콘택트 렌즈 성형을 위한 신규한 이형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성형을 위한 신규한 이형제를 사용하는 방법도 요구된다. 또한, 라이트스트림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실리콘-함유 예비중합체 콘택트 렌즈 성형용인 신규한 이형제를 사용하여, 금형 분리력 및 렌즈-금형 부착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달성되는 향상된 품질 및 증가된 수율을 갖는 콘택트 렌즈의 주조-성형 방법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의 개요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비교적 고품질과 비교적 고수율을 갖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1) 화학선 방사에 의해 가교결합가능 및/또는 중합가능한 렌즈-형성 물질 및 인지질을 포함하는 유체 조성물을 콘택트 렌즈 제조용 금형 내에 도입하는 단계, (2) 금형 내의 렌즈-형성 물질을 가교결합/중합하여 중합체 매트릭스를 갖는 렌즈를 형성하는 단계, 및 (3) 인지질이 부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평균 금형 분리력을 약 40% 이상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인지질이 존재하는 금형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비교적 고품질과 비교적 고수율을 갖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1) 콘택트 렌즈 금형을 제공하는 단계, (2) 금형의 성형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지질 용액의 층을 적용하는 단계, (3) 상기 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건조시키는 단계, (4) 화학선 방사에 의해 가교결합가능 및/또는 중합가능한 렌즈-형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체 조성물을 콘택트 렌즈 제조용 금형 내에 도입하는 단계, (5) 금형 내의 렌즈-형성 물질을 가교결합/중합하여 중합체 매트릭스를 갖는 렌즈를 형성하는 단계, 및 (6) 인지질 또는 이의 유도체가 부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평균 금형 분리력을 약 40% 이상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인지질이 용액 내에 존재하는 금형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주제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여러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실시양태의 일부로서 예시 또는 기재된 특징을 다른 실시양태에 사용하여 또 다른 추가적인 실시양태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 및 그의 동등물의 범위 내에 있는 한, 이러한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측면은 기재되어 있거나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유도된다. 당업자는 본원의 토의 내용이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기재일 뿐이며, 본 발명의 보다 넓은 측면을 제한하는 의도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업계의 보통의 업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원에 사용되는 명명법 및 실험 절차는 널리 공지되어 있고 당해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공정에는 통상적인 방법, 예컨대 당해 업계 및 여러 일반적인 참고문헌에 제공된 방법이 사용된다. 본문에 명백하게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는 복수 측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인지질에 대한 지칭은 하나의 인지질뿐만 아니라 둘 이상의 인지질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명명법 및 하기되는 실험 절차는 당해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본원의 내용에 걸쳐 사용되는 하기 용어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다음의 의미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안구용 장치"는, 본원에서 사용될 때, 콘택트 렌즈 (하드 또는 소프트), 안내 렌즈, 각막 온레이 (onlay), 눈 또는 안구 근처 상에 또는 주변에 사용되는 다른 안구용 장치 (예를 들어, 스텐트, 녹내장 션트 (shunt) 등)를 지칭한다.
"콘택트 렌즈"는 착용자의 눈 위 또는 그 안에 위치할 수 있는 구조물을 지칭한다. 콘택트 렌즈는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 향상 또는 변형시킬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콘택트 렌즈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거나 또는 최근에 개발된 임의의 적절한 물질의 렌즈일 수 있고, 소프트 렌즈, 하드 렌즈 또는 하이브리드 렌즈일 수 있다.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실리콘 히드로겔 물질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를 지칭한다.
콘택트 렌즈의 "앞쪽 또는 전면 표면"은, 본원에서 사용될 때, 착용하는 동안 눈을 향하지 않는 렌즈의 표면을 지칭한다. 보통은 실질적으로 볼록한 전면 표면은 또한 렌즈의 앞쪽 곡면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콘택트 렌즈의 "뒷쪽 또는 후면 표면"은, 본원에서 사용될 때, 착용하는 동안 눈을 향하는 렌즈의 표면을 지칭한다. 보통은 실질적으로 오목한 뒤쪽 표면은 또한 렌즈의 베이스 곡면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히드로겔" 또는 "히드로겔 물질"은 완전히 수화되었을 때 물을 10 중량% 이상 흡수할 수 있는 중합체성 물질을 지칭한다.
"실리콘 히드로겔"은 1종 이상의 실리콘-함유 단량체 또는 1종 이상의 실리콘-함유 거대단량체 또는 1종 이상의 가교결합가능한 실리콘-함유 예비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공중합에 의해 수득된 실리콘-함유 히드로겔을 지칭한다.
"친수성"은, 본원에서 사용될 때, 지질보다는 물과 보다 용이하게 회합될 물질 또는 그의 일부를 기술한다.
"단량체"는 중합될 수 있고 화학선에 의해 가교결합가능한 1개 이상의 기를 포함하는 저분자량 화합물을 의미한다. 저분자량은 통상적으로 700 돌턴 미만의 평균 분자량을 의미한다.
"화학선에 의해 가교결합가능한 기"는 화학선 조사시 동일한 유형 또는 상이한 유형의 다른 기와 반응하여 공유 결합할 수 있는 기를 지칭한다. 화학선에 의해 가교결합가능한 기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아크릴기, 티올기 및 엔 (ene)-함유기가 포함된다. 아크릴기는 화학선 조사시 자유-라디칼 연쇄 반응을 거칠 수 있다.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도입되는, 2006년 12월 13일 출원되고 공개된 동시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60/869,812호 (명칭 "광-유도된 단계 성장 중합을 기초로한 안내 장치의 제조 {PRODUCTION OF OPHTHALMIC DEVICES BASED ON PHOTO-INDUCED STEP GROWTH POLYMERIZATION}")에 기재된 바와 같이, 티올기 (-SH) 및 엔-함유기는 티올-엔 단계 성장 라디칼 중합에 가담할 수 있다.
"아크릴기"는 화학식
Figure pct00001
를 갖는 유기 라디칼이며, 단, 카르보닐은 O 또는 N에 연결된다.
"엔-함유기"는 카르보닐기 (-CO-), 질소 원자 또는 산소 원자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1가 또는 2가 라디칼이며, 하기 화학식 (I) 내지 (III) 중 임의의 하나로 정의된다.
Figure pct00002
식 중, R1은 수소 또는 C1-C10 알킬이고; R2 및 R3은 서로에 독립적으로 수소, C1-C10 알켄 2가 라디칼, C1-C10 알킬 또는 -(R18)a-(X1)b-R19이고 (식 중, R18은 C1-C10 알켄 2가 라디칼이고, X1은 에테르 연결 (-O-), 우레탄 연결 (-N), 우레아 연결, 에스테르 연결, 아미드 연결 또는 카르보닐이고, R19는 수소, 단일 결합,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실기, 카르보닐기, C1-C12 아미노알킬기, C1-C18 알킬아미노알킬기, C1-C18 카르복시알킬기, C1-C18 히드록시알킬기, C1-C18 알킬알콕시기, C1-C12 아미노알콕시기, C1-C18 알킬아미노알콕시기, C1-C18 카르복시알콕시기 또는 C1-C18 히드록시알콕시기이고, a 및 b는 서로에 독립적으로 0 또는 1임), 단, R2 및 R3 중 하나만이 2가 라디칼이고; R4 내지 R9는 서로에 독립적으로 수소, C1-C10 알켄 2가 라디칼, C1-C10 알킬 또는 -(R18)a-(X1)b-R19이며, 단, R4 내지 R9 중 하나 또는 둘 만이 2가 라디칼이고; n 및 m은 서로에 독립적으로 0 내지 9의 정수이며, 단, n과 m의 합은 2 내지 9의 정수이고; R10 내지 R17은 서로에 독립적으로 수소, C1-C10 알켄 2가 라디칼, C1-C10 알킬 또는 -(R18)a-(X1)b-R19이며, 단, R10 내지 R17 중 하나 또는 둘 만이 2가 라디칼이다.
"비닐계 단량체"는, 본원에서 사용될 때, 하나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고, 화학선에 의해 또는 열에 의해 중합될 수 있는 단량체를 지칭한다.
"올레핀성 불포화기" 또는 "에틸렌성 불포화기"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광의의 의미로 사용되며, >C=C< 기를 함유하는 임의의 기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예시적인 에틸렌성 불포화기에는, 비제한적으로, 아크릴로일, 메타크릴로일, 알릴, 비닐, 스티레닐 또는 다른 C=C 함유기가 포함된다.
중합가능한 조성물, 예비중합체 또는 물질의 경화, 가교결합 또는 중합과 관련하여 "화학선에 의해"는, 본원에서 사용될 때, 경화 (예를 들어, 가교결합 및/또는 중합)가 화학선 조사, 예컨대 UV 조사, 이온화된 방사 (예를 들어, 감마선 또는 X-선 조사), 마이크로파 조사 등에 의해 수행됨을 의미한다. 열 경화 또는 화학선 경화 방법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친수성 단량체"는 중합되어 수용성이거나 10 중량% 이상의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단량체를 지칭한다.
"소수성 단량체"는, 본원에서 사용될 때, 중합되어 물에 불용성이고 10 중량% 미만의 물을 흡수할 수 있는 단량체를 지칭한다.
"거대단량체"는 중합 및/또는 가교결합될 수 있고 1종 이상의 화학선에 의해 가교결합가능한 기를 포함하는 중 내지 고분자량 화합물을 지칭한다. 중 내지 고분자량은 통상적으로 평균 분자량 700 돌턴 초과를 의미한다.
"예비중합체"는 화학선에 의해 가교결합가능한 기를 함유하고, 화학선에 의해 경화 (예를 들어, 가교결합)되어 출발 중합체보다 훨씬 높은 분자량을 갖는 가교결합된 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는 출발 중합체를 지칭한다.
"실리콘-함유 예비중합체"는 실리콘을 함유하고, 화학선에 의해 가교결합되어 출발 중합체보다 훨씬 높은 분자량을 갖는 가교결합된 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는 예비중합체를 지칭한다.
중합체성 물질 (단량체성 또는 거대단량체성 물질 포함)의 "분자량"은, 본원에서 사용될 때, 달리 구체적으로 나타내거나 또는 시험 조건이 달리 나타내지 않는다면 수평균 분자량을 지칭한다.
"중합체"는 1종 이상의 단량체를 중합시킴으로써 형성된 물질을 의미한다.
"다중"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사용될 때, 3개 이상을 지칭한다.
"광개시제"는 빛을 사용하여 라디칼 가교결합/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화학물질을 지칭한다. 적합한 광개시제에는, 비제한적으로, 벤조인 메틸 에테르, 디에톡시아세토페논, 벤조일포스핀 옥시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다로큐어 (Darocure(등록상표)) 유형 및 이르가큐어 (Irgacure(등록상표)) 유형, 바람직하게는 다로큐어(등록상표) 1173 및 이르가큐어(등록상표) 2959가 포함된다.
"열적 개시제"는 열 에너지를 사용하여 라디칼 가교결합/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화학물질을 지칭한다. 적합한 열적 개시제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2,2'-아조비스(2,4-디메틸펜탄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판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탄니트릴), 퍼옥시드, 예컨대 벤조일 퍼옥시드 등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열적 개시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IBN)이다.
"화학선 방사의 공간적 제약"은 선 (ray) 형태의 에너지 방사가, 예를 들어 마스크 또는 스크린 또는 이의 조합에 의해서 인도되어서, 공간적으로 제약된 방식으로 명확히 정의된 주변 경계를 갖는 범위 위에 충돌되는 작용 또는 과정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UV 방사의 공간적 제약은 미국 특허 제6,627,124호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도입됨)의 도 1 내지 9에서 도식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UV 불투과도 영역 (마스킹된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투명 또는 개방 영역 (마스킹되지 않은 영역)을 갖는 마스크 또는 스크린을 사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마스킹되지 않은 영역은 마스킹된 영역으로 명확히 정의된 주변 경계를 갖는다.
렌즈와 관련하여 "가시성 착색"은 사용자가 렌즈 저장, 소독 또는 세척 용기내의 투명한 용액 내에서 렌즈를 쉽게 찾을 수 있게 해주는 렌즈의 염색 (또는 착색)을 의미한다. 염료 및/또는 안료를 렌즈의 가시성 착색에 사용할 수 있음이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염료"는 용매에 가용성이며,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염료는 통상적으로는 반투명하며, 빛을 흡수하지만 산란시키지는 않는다. 임의의 적합한 생체친화적 염료를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안료"는 그것이 불용성인 액체 내에 현탁된 분말화 물질을 의미한다. 안료는 형광 안료, 인광 안료, 진주광택성 안료 또는 통상적인 안료일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안료를 이용할 수 있지만, 본원에서는 안료가 내열성이고 비독성이며 수용액에 불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라는 용어는, 본원에 사용될 때, 물질이 액체처럼 유동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표면 개질"은, 본원에서 사용될 때, 물품의 형성 이전 또는 이후에 (1) 코팅물을 물품의 표면에 적용하거나, (2) 화학종을 물품의 표면 상에 흡착시키거나, (3) 물품의 표면 상의 화학적 기의 화학적 성질 (예를 들어, 정전하)을 변경시키거나, 또는 (4) 물품의 표면 특성을 달리 개질시키는, 표면 처리 공정 (또는 표면 개질 공정)으로 물품을 처리함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표면 처리 공정에는, 비제한적으로, 에너지 (예를 들어, 플라즈마, 정전하, 조사 또는 다른 에너지원)에 의한 표면 처리, 화학적 처리, 물품 표면 상의 친수성 단량체 또는 거대단량체의 그래프팅, 미국 특허 제6,719,929호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도입됨)에 개시된 금형-이동식 코팅 공정, 미국 특허 제6,367,929호 및 제6,822,016호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도입됨)에서 제안된 콘택트 렌즈 제조용 렌즈 제형 내로의 습윤제의 도입, 미국 특허 제60/811,949호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도입됨)에 개시된 강화된 금형-이동식 코팅, 및 미국 특허 제6,451,871호, 제6,719,929호, 제6,793,973호, 제6,811,805호, 제6,896,926호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도입됨)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득된 한 층씩의 (layer-by-layer) 코팅 ("LbL 코팅")이 포함된다.
"항균제"는, 본원에서 사용될 때, 미생물의 성장을 감소 또는 제거 또는 억제시킬 수 있는, 예컨대 용어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은 화학물질을 지칭한다.
"항균성 금속 나노입자"는 본질적으로는 항균성 금속으로 제조되고, 약 1㎛ 미만의 크기를 갖는 입자를 지칭한다. 항균성 금속 나노입자에서 항균성 금속은 그의 하나 이상의 산화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은-함유 나노입자는 은을 그의 하나 이상의 산화 상태, 예컨대 Ag0, Ag1 + Ag2 +로 함유할 수 있다.
렌즈의 "산소 전달성"은, 본 발명에서 사용될 때, 특정 안구용 렌즈를 통과하는 산소의 속도이다. 산소 전달성인 Dk/t는 통상적으로는 barrer/㎜의 단위로 표현되며, 여기서 t는 측정할 범위 상의 물질의 평균 두께 [㎜ 단위]이며, "barrer/㎜"는 [ (㎤ 산소)/ (㎠) (초) (㎟ Hg)]×10-9로 정의된다.
렌즈 물질의 고유 "산소 투과도"인 Dk는 렌즈 두께에 좌우되지 않는다. 고유 산소 투과도는 산소가 물질을 통과하는 속도이다. 산소 투과도는 통상적으로는barrer의 단위로 표현되며, 여기서 "barrer"는 [(㎤ 산소) (㎜)/ (㎠) (초) (㎟ Hg)]×10-10으로 정의된다.
이들은 당업계에서 흔히 사용되는 단위이다. 따라서, 당업계에서의 사용과 일치시키기 위해서, "barrer"라는 단위는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의미를 가질 것이다. 예를 들어, 90barrer의 Dk ("산소 투과도 (barrer)") 및 90㎛ (0.090 ㎜)의 두께를 갖는 렌즈는 100barrer/㎜
Figure pct00003
의 Dk/t (산소 투과도 (barrer/㎜))를 가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물질 또는 콘택트 렌즈와 관련하여 높은 산소 투과도는 실시예에 기재된 전기량 방법에 따른 두께가 100㎛인 샘플 (필름 또는 렌즈)에서 측정된 최소 40barrer 이상의 겉보기 산소 투과도를 특징으로 한다.
렌즈를 통한 "이온 투과도"은 이오노플럭스 (Ionoflux) 확산 계수 및 이오노톤 (Ionoton) 이온 투과도 계수와 모두 상관관계가 있다.
이오노플럭스 확산 계수인 D는 다음과 같은 픽 (Fick)의 법칙을 적용함으로써 측정된다.
D = -n'/ (A×dc/dx)
식 중,
n' = 이온 수송 속도 [몰/분]
A = 노출된 렌즈의 면적 [㎟]
D = 이오노플럭스 확산 계수 [㎟/분]
dc = 농도 차 [몰/L]
dx = 렌즈의 두께 [㎜]
이때, 이오노톤 이온 투과도 계수인 P는 하기의 식에 따라 측정된다:
ln (1 - 2C (t)/C (0)) = -2APt/Vd
식 중,
C (t) = 수령 셀 내에서 시간 t에서의 나트륨 이온의 농도
C (O) = 공여 셀 내에서 나트륨 이온의 초기 농도
A = 막 면적, 즉, 셀에 노출된 렌즈 면적
V = 셀 구획의 부피 (3.0 ㎖)
d = 노출된 면적 내에서의 평균 렌즈 두께
P = 투과도 계수
약 1.5×10-6㎟/분 초과의 이오노플럭스 확산 계수인 D가 바람직하지만, 약 2.6×10-6㎟/분 초과가 더 바람직하며, 약 6.4×10-6㎟/분 초과가 가장 바람직하다.
눈을 따라가는 렌즈의 움직임은 양호한 눈물 교환을 보장하고, 궁극적으로는 양호한 각막 건강을 보장하기 위해서 요구된다. 이온 투과도는 눈을 따라가는 움직임의 예측자 중 하나인데, 이는 이온의 투과도가 물의 투과도에 직접적으로 비례한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금형 분리력"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 사용될 때, 금형 내에서의 콘택트 렌즈의 주조 성형 이후 금형을 분리하는데 요구되는 힘을 지칭한다. 금형 분리력은 금형과 그 안에서 주조 성형된 렌즈 사이의 부착력에 비례한다.
"평균 금형 분리력"은 금형 분리력의 10개 이상의 독립적인 측정 (즉, 10개의 시험 샘플)을 평균냄으로써 수득되는 수치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금형 (또는 금형 절반부)과 금형 내에서 주조 성형된 콘택트 렌즈 사이의 부착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렌즈-형성 제형 (조성물) 내의 내부 이형제로서 인지질에 의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금형 표면에 인지질 용액을 코팅하기 위해 외부 이형제로서의 인지질에 의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지질은, 인지질이 부재한 경우와 비교하여 평균 금형 분리력을 약 40% 이상 감소시키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렌즈-형성 물질로서 화학선에 의해 가교결합가능한 실리콘 함유 예비중합체를 포함하는 렌즈-형성 조성물 내에서의 효과적인 이형제로서, 예를 들어 포스파티딜 콜린 또는 PEG화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과 같은 인지질을 사용할 수 있다는 발견을 바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리, PMMA, 석영, TOPAS(등록상표) 또는 CaF2와 같은 물질로 제작된 재사용가능 금형을 사용하여 렌즈를 만드는 경우에, 렌즈-형성 물질로서 화학선에 의해 가교결합가능한 실리콘 함유 예비중합체를 포함하는 렌즈-형성 조성물 내에서의 효과적인 이형제로서, 예를 들어 포스파티딜 콜린 또는 PEG화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과 같은 인지질을 사용할 수 있다는 발견을 바탕으로 한다. 상기 재사용가능 금형에 대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부착력을 감소시키는 장점은 품질을 증강시키고 생산 수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포스파티딜 콜린 또는 PEG화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과 같은 인지질을 금형 부착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표면을 보다 친수성으로 만들어, 즉 그를 더욱 수 습윤성으로 만들 수 있다는 발견을 바탕으로 한다. 물 또는 수계 액체에 의한 충분한 습윤성은 흔히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가 사용되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콘택트 렌즈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보통은 부가적인 공정 단계가 필요하다. 포스파티딜 콜린 및/또는 PEG화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을 사용하면 상기한 부가적인 공정 단계를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어떠한 특정 이론에 얽매이지 않길 바라지만, 이형제의 존재로 인한 금형 분리력의 감소는, 친수성 단편을 갖는 화학선에 의해 가교결합가능한 실리콘 함유 예비중합체를 포함하는 렌즈-형성 조성물을 통해 인지질이 금형과 그 안의 렌즈-형성 조성물 사이의 계면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통상적인 이형제와는 달리, 인지질은 금형 표면에서 단일층 또는 이중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아마도 인지질의 독특한 구조 및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에서 기인할 것이다.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비교적 고품질 및 비교적 고수율을 갖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1) 화학선 방사에 의해 가교결합가능 및/또는 중합가능한 렌즈-형성 물질 및 인지질을 포함하는 유체 조성물을 콘택트 렌즈 제조용 금형 내에 도입하는 단계, (2) 금형 내의 렌즈-형성 물질을 가교결합/중합하여 중합체 매트릭스를 갖는 렌즈를 형성하는 단계, 및 (3) 인지질이 부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평균 금형 분리력을 약 40% 이상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인지질이 존재하는 금형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비교적 고품질 및 비교적 고수율을 갖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1) 콘택트 렌즈 금형을 제공하는 단계, (2) 금형의 성형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지질 용액의 층을 적용하는 단계, (3) 상기 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건조시키는 단계, (4) 화학선 방사에 의해 가교결합가능 및/또는 중합가능한 렌즈-형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체 조성물을 콘택트 렌즈 제조용 금형 내에 도입하는 단계, (5) 금형 내의 렌즈-형성 물질을 가교결합/중합하여 중합체 매트릭스를 갖는 렌즈를 형성하는 단계, 및 (6) 인지질이 부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평균 금형 분리력을 약 40% 이상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인지질 또는 그의 유도체가 용액 내에 존재하는 금형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증가된 생산 수율은 렌즈-형성 조성물에 이형제를 첨가함으로써 콘택트 렌즈의 생산 수율이 증가됨을 나타내는 것을 의도한다. "향상된 렌즈 품질"은 이형제의 부재시와 비교하여 렌즈-형성 조성물 내 이형제의 존재시에 생성된 콘택트 렌즈의 품질이 향상됨을 나타내는 것을 의도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인지질은 금형 분리력의 격차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라, 유체 조성물은 약 80℃ 미만의 온도에서 용액 또는 용매-무함유 액체 또는 용융물이다. 유체 조성물은 추가로, 광개시제, 가시성 착색제, 충전제 등과 같은 다양한 성분을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체 조성물은 추가로 광개시제, 가시성 착색제, 충전제, 항균제, 윤활제, UV-차단제, 광감제 또는 이의 혼합물과 같은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렌즈-형성 물질을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콘택트 렌즈의 제작에 적합한 렌즈 형성 물질은 다수의 발행된 미국 특허에 예시되어 있고, 당업자에게 익숙하다. 바람직한 렌즈-형성 물질은 히드로겔을 형성할 수 있다. 렌즈-형성 물질은 예비중합체, 예비중합체의 혼합물, 단량체의 혼합물 또는 1종 이상의 예비중합체 및 1종 이상의 단량체 및/또는 거대단량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임의의 실리콘-함유 예비중합체 또는 임의의 실리콘-무함유 예비중합체를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렌즈-형성 물질의 용액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용매에 렌즈-형성 물질을 용해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용매의 예는, 물, 알코올, 예컨대 저급 알칸올 (예, 에탄올, 메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 카르복실산 아미드 (예, 디메틸포름아미드), 쌍극성 비양자성 용매, 예컨대 디메틸 설폭시드 또는 메틸 에틸 케톤, 케톤 (예, 아세톤 또는 시클로헥사논), 탄화수소 (예, 톨루엔, 에테르, THF, 디메톡시에탄 또는 디옥산)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 (예, 트리클로로에탄), 및 적합한 용매의 혼합물 (예,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 물/에탄올 또는 물/메탄올 혼합물)이다.
콘택트 렌즈 제조용 중합가능한 물질 (또는 실리콘 히드로겔 렌즈-형성 물질)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중합가능한 물질은 1종 이상의 실리콘-함유 예비중합체, 단량체, 거대단량체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중합가능한 물질은 1종 이상의 실리콘-함유 예비중합체를 포함한다. 실리콘 예비중합체는 화학선에 의해 가교결합가능한 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기, 티올기, 엔-함유기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3종 이상의 화학선에 의해 가교결합가능한 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비중합체의 가교결합이 자유 라디칼 연쇄-성장 중합의 기작을 기초로 하는 경우, 예비중합체는 2개 이상의 아크릴기,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아크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비중합체의 가교결합이 티올-엔 단계 성장 라디칼 중합의 기작을 기초로 하는 경우, 예비중합체의 화학선에 의해 가교결합가능한 기는 3개 이상의 티올기 또는 3개 이상의 엔-함유기를 포함한다.
예비중합체가 다수의 엔-함유기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기는 2개 이상의 티올기를 갖는 단계 성장 가교결합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티올기의 존재하에서 티올-엔 단계 성장 라디칼 중합을 거친다. 유사하게는, 예비중합체가 다수의 티올기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기는 2개 이상의 엔-함유기를 갖는 단계-성장-가교결합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엔-함유기의 존재하에서 티올-엔 단계-성장 라디칼 중합을 거친다.
임의의 적합한 화학선에 의해 가교결합가능한 실리콘-함유 예비중합체를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함유 예비중합체는 친수성 단편 및 소수성 단편을 포함한다. 실리콘-함유 예비중합체의 예는, 모두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도입되는, 공개된 미국 특허 제6,039,913호, 제7,091,283호, 제7,268,189호 및 제7,238,750호 및 미국 특허 출원 제09/525,158호 (2000년 3월 14일 출원됨, 명칭: "유기 화합물"), 제11/825,961호, 제60/869,812호 (2006년 12월 13일 출원됨, 명칭: "광-유도된 단계 성장 중합을 기초로 한 안구용 장치의 제조"), 제60/869,817호 (2006년 12월 13일 출원됨, 명칭: "화학선에 의해 경화가능한 실리콘 히드로겔 공중합체 및 이의 용도"), 제60/896,325호 (2007년 3월 22일 출원됨, 명칭: "매달린 폴리실록산-함유 중합체 사슬을 갖는 예비중합체"), 제60/896,326호 (2007년 3월 22일 출원됨, 명칭: "매달린 친수성 중합체 사슬을 갖는 실리콘-함유 예비중합체"), 제US 2008/0015315호 ("신규 중합체") 및 제US 2008/0152800호 ("생물의학 물품의 코팅 방법")에 기재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리콘-함유 예비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친수성 비닐계 단량체의 부재하에서, 높은 산소 투과도 (40barrer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60barrer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barrer 이상의 겉보기 산소 투과도를 특징으로 함) 및 친수성 표면 (약 90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80도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70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도 이하의 평균 물 접촉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함)을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또는 콘택트 렌즈를 형성할 수 있다. 실리콘 히드로겔 물질 또는 콘택트 렌즈는 바람직하게는 높은 이온 투과도 (약 1.5×10-6 ㎟/분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2.6×10-6 ㎟/분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4×10-6 ㎟/분 초과의 이오노플럭스 확산 계수 D를 특징으로 함)을 갖는다. 실리콘 히드로겔 물질 또는 콘택트 렌즈는 바람직하게는 약 0.2MPa 내지 약 2.0MPa, 바람직하게는 약 0.3MPa 내지 약 1.5MPa,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4MPa 내지 약 1.2MPa의 탄성 계수를 갖는다. 실리콘 히드로겔 물질 또는 콘택트 렌즈는 완전 수화될 때, 바람직하게는 약 15 중량% 내지 약 8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 내지 약 65 중량%의 함수량을 갖는다.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함수량은 제US 5,849,81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벌크 기술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예비중합체는 임의의 공지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유기 용매, 예컨대 아세톤을 이용한 침전, 여과 및 세정, 적합한 용매 중 추출, 투석 또는 한외여과에 의해 미리 정제되며, 한외여과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정제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예비중합체를 고도로 순수한 형태로, 예를 들어 반응 생성물, 예컨대 염 및 출발 물질이 없거나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는 없는 진한 용액의 형태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되는 예비중합체에 대해 바람직한 정제 공정인 한외여과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외여과를 반복적으로, 예를 들어 2 내지 10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선택된 순도가 달성될 때까지 한외여과를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선택된 순도는 원칙적으로는 원하는 만큼 높을 수 있다. 순도에 대한 적합한 척도는, 예를 들어 부산물로서 수득되는 용해된 염의 농도이며, 이것은 공지된 방식으로 간단히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중합 후에 장치는 예를 들어 중합되지 않은 매트릭스-형성 물질의 값비싸고 복잡한 추출과 같은 후속 정제를 요하지 않을 것이다. 추가로, 예비중합체의 가교결합은 용매의 부재 하에 또는 수용액 중에서 일어나서 후속 용매 교환 또는 수화 단계가 필요치 않을 수 있다.
콘택트 렌즈의 제조에 적합한 임의의 단량체를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닐계 단량체가 본 발명에 사용된다.
실리콘-함유 비닐계 단량체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메타크릴옥시알킬실록산, 3-메타크릴옥시 프로필펜타메틸디실록산, 비스(메타크릴옥시프로필)테트라메틸-디실록산, 모노메타크릴화 폴리디메틸실록산, 머캅토-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N-[트리스 (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아크릴아미드, N-[트리스 (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트리스 (펜타메틸디실록시아닐)-3-메타크릴라토프로필실란 (T2) 및 트리스트리메틸실릴옥시실릴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트리스)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실록산-함유 단량체는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스 (트리메틸실록시)실란으로 지칭되고, CAS 번호 17096-07-0으로 나타내어지는 트리스이다. "트리스"라는 용어는 또한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스 (트리메틸실록시)실란의 이량체를 포함한다.
에틸렌성 불포화기 (들)를 갖는 임의의 적합한 실록산-함유 거대단량체를 사용하여 실리콘 히드로겔 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록산-함유 거대단량체는,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도입되는, 제US 5,760,100호에 기재된 거대단량체 A, 거대단량체 B, 거대단량체 C 및 거대단량체 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2개 이상의 중합가능한 기 (비닐기)를 함유하는 거대단량체는 또한 가교결합제로서도 작용할 수 있다.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폴리알킬렌옥시드로 이루어지는 2블록 및 3블록 거대단량체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거대단량체는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비닐기로 단일 또는 이중관능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소 투과도를 증강시키기 위하여 메타크릴레이트 말단 캐핑된 폴리에틸렌옥시드-블록-폴리디메틸실록산-블록-폴리에틸렌옥시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중합가능한 물질은 또한 친수성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소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친수성 비닐계 단량체 본 발명의 유체 조성물 내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친수성 단량체에는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DMA),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HEMA),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HPMA), 트리메틸암모늄 2-히드록시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DMAEMA),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알릴 알코올, 비닐피리딘, 글리세롤 메타크릴레이트, N-(1,1-디메틸-3-옥소부틸)아크릴아미드, N-비닐-2-피롤리돈 (NVP),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DMA)가 있다.
중합가능한 물질은 또한 소수성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가능한 유체 조성물 내에 특정량의 소수성 비닐계 단량체를 도입함으로써 생성된 중합체의 기계적 특성 (예, 탄성 계수)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화학선에 의해 가교결합가능한 수용성 예비중합체에는, 비제한적으로, 미국 특허 제6,479,587호 또는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5/0113549 A1호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도입됨)에 기재된 수용성 가교결합가능한 폴리우레아 예비중합체; 미국 특허 제5,583,163호 및 제6,303,687호 (그 전체가 참고문헌으로 도입됨)에 기재된 수용성 가교결합가능한 폴리비닐 알코올 예비중합체;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4/0082680 A1호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도입됨)에 기재된 수용성 가교결합가능한 폴리 (옥시알킬렌)-함유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동시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60/630,164호 (2004년 11월 22일 출원됨, 명칭: "가교결합가능한 폴리 (옥시알킬렌)-함유 폴리아미드 예비중합체"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도입됨)에 기재된 수용성 가교결합가능한 폴리 (옥시알킬렌)-함유 폴리아미드 예비중합체; 제US 5,849,841호 (그 전체가 참고문헌으로 도입됨)에 기재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에틸렌이민 또는 폴리비닐아민의 유도체; 가교결합가능한 폴리아크릴아미드; 제EP 655,470호 및 제US 5,712,356호에 기재된 비닐 락탐, MMA 및 공단량체의 가교결합가능한 통계적 공중합체; 제EP 712,867호 및 제US 5,665,840호에 기재된 비닐 락탐,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 알코올의 가교결합가능한 공중합체; 제EP 932,635호 및 제US 6,492,478호에 기재된 가교결합가능한 측쇄를 갖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제EP 958,315호 및 제US 6,165,408호에 기재된 분지형 폴리알킬렌 글리콜-우레탄 예비중합체; 제EP 961,941호 및 제US 6,221,303호에 기재된 폴리알킬렌 글리콜-테트라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비중합체; 및 PCT 특허 출원 제WO 2000/31150호 및 제US 6,472,489호에 기재된 가교결합가능한 폴리알릴아민 글루코놀락톤 예비중합체가 포함된다.
중합가능한 물질은 1종 이상의 단량체 및/또는 1종 이상의 가교결합제 (즉, 2개 이상의 비닐기 또는 3개 이상의 티올 또는 엔-함유기를 갖고, 분자량이 700 돌턴 미만인 화합물)를 임의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러한 성분의 양은, 최종 안구용 장치에 허용되지 않는 수준의 중합되지 않은 단량체 및/또는 가교결합제가 함유되지 않도록 적어야 한다. 허용되지 않는 수준의 중합되지 않은 단량체 및/또는 가교결합제의 존재는,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값비싸고 비효율적인 부가적인 단계를 요하는 추출을 필요로 할 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중합가능한 물질은 단량체 및 가교결합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즉, 바람직하게는 약 2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1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중량% 이하의 단량체 및 가교결합제의 조합).
유체 조성물은 또한, 예를 들어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은 중합 개시제 (예를 들어, 광개시제 또는 열적 개시제), 가시성 착색제 (예를 들어, 염료, 안료, 또는 이의 혼합물), UV-차단 (흡수)제, 감광제, 억제제, 항균제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은 나노입자 또는 안정화된 은 나노입자), 생물활성제, 삼출성한 윤활제, 충전제 등과 같은 다양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유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항균제, 바람직하게는 항균성 금속 나노입자, 더 바람직하게는 은 나노입자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항균제는 생성된 콘택트 렌즈에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생성된 콘택트 렌즈에 도입해야 한다.
유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생성된 콘택트 렌즈에 도입될 수 있는 삼출성 습윤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삼출성 습윤제"는 생성된 콘택트 렌즈의 중합체 매트릭스에 공유결합적으로 부착되지 않으나, 생성된 렌즈의 중합체 매트릭스 내에 물리적으로 갇히는 습윤 물질을 기술한다.
임의의 비-가교결합가능한 친수성 중합체를 본 발명에서 삼출성 습윤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 비-가교결합가능한 친수성 중합체에는, 비제한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 (PVA), 폴리에틸렌 옥시드,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락톤, 상기 화학식 (I)의 비닐 락탐의 단일중합체, 1종 이상의 친수성 비닐계 공단량체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의 상기 화학식 (I)의 1종 이상의 비닐 락탐의 공중합체,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의 단일중합체,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와 1종 이상의 친수성 비닐계 단량체의 공중합체, 이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비-가교결합가능한 친수성 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 Mn은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500,000, 더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1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0 내지 70,000이다.
예를 들어, 개시제 용도로서 중합 분야에 널리 공지된 물질로부터 선택된 개시제를, 중합 반응을 촉진 및/또는 반응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렌즈-형성 물질 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개시제는 중합 반응을 개시시킬 수 있는 화학 제제이다. 개시제는 광개시제 또는 열적 개시제일 수 있다.
광개시제는 빛을 이용하여 자유 라디칼 중합 및/또는 가교결합을 개시시킬 수 있다. 적합한 광개시제는 벤조일 메틸 에테르, 디에톡시아세토페논, 벤조일포스핀 옥시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및 다로큐어 및 이르가큐어 유형, 바람직하게는 다로큐어 1173(등록상표) 및 다로큐어 2959(등록상표)이다. 벤조일포스핀 개시제의 예에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로포스핀 옥시드; 비스-(2,6-디클로로벤조일)-4-N-프로필페닐포스핀 옥시드; 및 비스-(2,6-디클로로벤조일)-4-N-부틸페닐포스핀 옥시드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거대단량체에 도입할 수 있거나 특수 단량체로서 사용할 수 있는 반응성 광개시제 또한 적합하다. 반응성 광개시제의 예는,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도입되는, 제EP 632 329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다. 중합은 화학선 방사, 예를 들어 빛, 특히 적합한 파장의 UV 광에 의해 촉발시킬 수 있다. 스펙트럼 요건은 적절한 경우 적합한 감광제의 첨가에 의해, 그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적합한 열적 개시제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2,2'-아조비스(2,4-디메틸펜탄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판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탄니트릴), 퍼옥시드, 예컨대 벤조일 퍼옥시드 등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열적 개시제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나이트 (AIBN)이다.
바람직한 안료의 예에는, 의료 장치에 허용되고, FDA에 의해 승인된 임의의 착색제, 예컨대 D&C 블루 6호, D&C 그린 6호, D&C 바이올렛 2호, 카르바졸 바이올렛, 특정 구리 착물, 특정 크로뮴 산화물, 다양한 철 산화물, 프탈로시아닌 그린, 프탈로시아닌 블루, 이산화티탄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착색제의 목록과 관련해서는 미국 착색제의 마르미옴 DM 핸드북 (Marmiom DM Handbook of U.S. Colorants)을 참조한다. 안료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는 (C.I.는 색지수 번호임), 비제한적으로, 청색에 대해서는 프탈로시아닌 블루 (피그먼트 블루 15:3, C.I. 74160), 코발트 블루 (피그먼트 블루 36, C.I. 77343), 토너 (Toner) 시안 BG (클라리언트 (Clariant)), 퍼마젯 (Permajet) 블루 B2G (클라리언트); 녹색에 대해서는 프탈로시아닌 그린 (피그먼트 그린 7, C.I. 74260) 및 크로뮴 세스퀴옥시드; 황색, 적색, 갈색 및 흑색에 대해서는 다양한 철 산화물; 바이올렛, 카르바졸 바이올렛에 대해서는 PR122, PY154; 흑색에 대해서는 모노리쓰 (Monolith) 블랙 C-K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스 (CIBA Specialty Chemicals))가 포함된다.
중합체성 매트릭스에 도입되는 생물활성제는 눈병을 예방하고, 눈병의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의의 화합물이다. 생물활성제는 약물, 아미노산 (예를 들어, 타우린, 글리신 등), 폴리펩티드, 단백질, 핵산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본원에 유용한 약물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레바미피드, 케토티펜, 올라프티딘, 크로모글리콜레이트, 시클로스포린, 네도크로밀, 레보카바스틴, 로독사민, 케토티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생물활성제의 다른 예에는 2-피롤리돈-5-카르복실산 (PCA), 알파 히드록실산 (예를 들어, 글리콜산, 락트산, 말산, 타르타르산, 만델산 및 시트르산 및 이의 염 등), 리놀레산 및 감마 리놀레산 및 비타민 (예를 들어, B5, A, B6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유체 조성물은 용매 또는 용매의 혼합물 내에 1종 이상의 실리콘-함유 예비중합체 및 다른 성분을 용해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중합가능한 물질을 용해시켜 용액을 형성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합한 유기 용매를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매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테트라히드로푸란,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아밀 아세테이트, 메틸 락테이트, 에틸 락테이트, i-프로필 락테이트, 메틸렌 클로라이드, 2-부탄올, 2-프로판올, 멘톨, 시클로헥산올, 시클로펜탄올 및 엑소노르보르네올, 2-펜탄올, 3-펜탄올, 2-헥산올, 3-헥산올, 3-메틸-2-부탄올, 2-헵탄올, 2-옥탄올, 2-노난올, 2-데칸올, 3-옥탄올, 노르보르네올, tert-부탄올, tert-아밀, 알코올, 2-메틸-2-펜탄올, 2,3-디메틸-2-부탄올, 3-메틸-3-펜탄올, 1-메틸시클로헥산올, 2-메틸-2-헥산올, 3,7-디메틸-3-옥탄올, 1-클로로-2-메틸-2-프로판올, 2-메틸-2-헵탄올, 2-메틸-2-옥탄올, 2-2-메틸-2-노난올, 2-메틸-2-데칸올, 3-메틸-3-헥산올, 3-메틸-3-헵탄올, 4-메틸-4-헵탄올, 3-메틸-3-옥탄올, 4-메틸-4-옥탄올, 3-메틸-3-노난올, 4-메틸-4-노난올, 3-메틸-3-옥탄올, 3-에틸-3-헥산올, 3-메틸-3-헵탄올, 4-에틸-4-헵탄올, 4-프로필-4-헵탄올, 4-이소프로필-4-헵탄올, 2,4-디메틸-2-펜탄올, 1-메틸시클로펜탄올, 1-에틸시클로펜탄올, 1-에틸시클로펜탄올, 3-히드록시-3-메틸-1-부텐, 4-히드록시-4-메틸-1-시클로펜탄올, 2-페닐-2-프로판올, 2-메톡시-2-메틸-2-프로판올 2,3,4-트리메틸-3-펜탄올, 3,7-디메틸-3-옥탄올, 2-페닐-2-부탄올, 2-메틸-1-페닐-2-프로판올 및 3-에틸-3-펜탄올, 1-에톡시-2-프로판올, 1-메틸-2-프로판올, t-아밀 알코올, 이소프로판올, 1-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프로피온아미드, 디메틸 포름아미드,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디메틸 프로피온아미드, N-메틸 피롤리디논 및 이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유기 용매는 C1-C3 알칸올, 바람직하게는 프로판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이다. 바람직하게는, 용매 혼합물은 C4-C18 알칸올인 제2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렌즈-형성 물질은 임의의 공지된 방법에 따라 금형에 의해 형성된 공동 내로 도입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평균 금형 분리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한 임의의 인지질을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인지질은 지질 계열이며, 당지질, 콜레스테롤 및 단백질과 함께 모든 생물학적 막의 주요 성분이다. 인지질의 가장 단순한 형태는 1 또는 2개의 지방산에 결합된 1개의 글리세롤 및 1개의 포스페이트기로 이루어진다. 인지질은 양쪽친매성을 갖는다. 머리 (극성 포스페이트기)는 친수성이고, 꼬리 (2개의 지방산)은 소수성이다. 이를 물에 넣으면, 인지질은 여러 지질상 중 하나를 형성한다.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이는 이중층으로 제한되며, 여기서 친유성 꼬리는 서로에 대항하여 양측의 친수성 머리가 물을 향하도록 줄세워진다. 이는 자발적으로 리포좀 또는 작은 지질 소포를 형성하게 한다.
인지질은 임의의 천연 또는 합성 인지질,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포스파티딜콜린 (PC), 예컨대 난황 포스파티딜콜린, 수소화 난황 포스파티딜콜린,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디라우로일 포스파티딜콜린, 디미리스토일 포스파티딜콜린, 디올레오일 포스파티딜콜린, 디팔미토일 포스파티딜콜린 및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E), 예컨대 난황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대두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라우로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미리스토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올레오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팔미토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및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PG), 예컨대 난황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라우로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미리스토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올레오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팔미토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및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PI), 예컨대 수소화 난황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대두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디라우로일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디미리스토일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디올레오일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디팔미토일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및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세린 (PS), 예컨대 디라우로일 포스파티딜세린, 디미리스토일 포스파티딜세린, 디올레오일 포스파티딜세린, 디팔미토일 포스파티딜세린 및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드산 (PA), 예컨대 디라우로일 포스파티드산, 디미리스토일 포스파티드산, 디올레오일 포스파티드산, 디팔미토일 포스파티드산 및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드산; 카르디올리핀, 예컨대 테트라라우로일 카르디올리핀, 테트라미리스토일 카르디올리핀, 테트라올레오일 카르디올리핀, 테트라팔미토일 카르디올리핀 및 테트라스테아로일 카르디올리핀; 스핑고마이엘린; 및 포스파티딜콜린, 세린, 이노시톨, 에탄올아민 지질 유도체, 예컨대 난황 포스파티딜콜린 (EPC), 디라우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세린, 디리놀레오일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및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인지질은 PEG화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및 포스파티딜콜린 (PC)이다. 포스파티딜콜린 (PC)은 하기 화학식 1로 보여지는 바와 같은 포화 및 불포화 포스파티딜콜린으로 분류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4
식 중, R 및 R'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각각은 지방산 쇄이다. R 및 R' 모두가 포화 지방산 쇄인 경우, 이는 포화 포스파티딜콜린 (SPC)으로 지칭된다. 디팔미파티딜콜린 (DPPC)은 2개의 포화 지방산 쇄를 함유하고 이는 SPC이다. R 및 R' 중 적어도 하나가 불포화 지방산 쇄인 경우, 이는 불포화 포스파티딜콜린 (USPC)으로 지칭된다.
USPC의 예는 팔미토일-올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POPC), 팔미토일-리놀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PLPC), 디리놀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DLPC),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DOPC), 스테아로일-리놀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SLPC) 및 스테아로일-아라키도노일-포스파티딜콜린 (SAPC)이다.
PEG화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폴리 (에틸렌 글리콜 (PEG)-개질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PE)은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E")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의 컨쥬게이트를 함유하는 양쪽 친매성 지질-함유 컨쥬게이트이다.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E")의 예에는 디팔미토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DPPE"), 팔미토일올레오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OPE"), 디올레오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DOPE") 또는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DSPE")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은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DSPE")이다. PEG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은 분자량이 약 50 내지 약 5000이고, 바람직하게는 PEG는 분자량이 약 1000 내지 약 5000이다. PEG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은 분자량이 1000이고 PEG (1000)으로 표시된다. 바람직한 PEG화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은 DSPE-PEG (1000), DSPE-PEG (2000), DSPE-PEG (3000), DSPE-PEG (4000) 또는 DSPE-PEG (5000)이다. PEG화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의 예는 N-(카르복시-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5000)-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나트륨 염) 및 N-(카르복시-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2000)-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나트륨 염) 및 N-(카르복시-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1000)-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암모늄 염) (아반티 폴라 리피즈 사 (AVANTI POLAR LIPIDS, Inc., 미국)에서 입수함)이다.
인지질은 유체 조성물 내에, 인지질이 부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평균 금형 분리력을 (즉, 유체 조성물을 대조군 조성물로 교체하여 수득된 평균 금형 분리력과 비교하여) 약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5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약 60% 이상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대조군 조성물은 유체 조성물의 인지질을 제외한 모든 성분을 포함한다 (즉, 인지질 무함유임).
본 발명에 따라, 평균 금형 분리력은 바람직하게는 약 35N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30N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N 이하로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인지질을 내부 이형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양태에서, 인지질은 유체 조성물 내에, 각각 유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4 중량%, 특히 1 중량%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인지질은 또한 외부 이형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양태에서, 금형 표면에 적용하기 전에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용매 중에 인지질을 용해시킬 수 있다. 그 후, 금형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적합한 용매의 예는 물, 알코올, 예컨대 저급 알칸올 (예, 에탄올, 메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 카르복실산 아미드 (예, 디메틸포름아미드), 쌍극성 비양자성 용매, 예컨대 디메틸 설폭시드 또는 메틸 에틸 케톤, 케톤 (예, 아세톤 또는 시클로헥사논), 탄화수소 (예, 톨루엔, 에테르, THF, 디메톡시에탄 또는 디옥산)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 (예, 트리클로로에탄), 및 적합한 용매의 혼합물 (예,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 물/에탄올 또는 물/메탄올 혼합물)이다. 용액은,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특히 5% 내지 15%의 인지질을 포함한다. 인지질의 용액은, 표면에 고르게 코팅되도록 임의의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분무, 스와빙 (swabbing), 침지 또는 스탬핑 (stamping)으로 금형 표면에 적용할 수 있다. 분무 노즐을 사용하는 분무가 바람직하다. 금형 표면에 인지질 용액을 적용하고, 적어도 일부를 건조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은 그 자체로는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최근의 콘택트 렌즈 제조에서, 예를 들어 심지어 10초 미만의 매우 짧은 사이클 시간이 사용될지라도, 매우 유리한 결과가 수득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콘택트 렌즈 제조용 렌즈 금형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주조 성형 또는 스핀 주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주조 성형 용) 금형은 일반적으로 2개 이상의 금형 구획 (또는 부분) 또는 금형 절반부, 즉, 제1 및 제2 금형 절반부를 포함한다. 제1 금형 절반부는 제1 성형 (또는 광학) 표면을 정의하고, 제2 금형 절반부는 제2 성형 (또는 광학) 표면을 정의한다. 제1 및 제2 금형 절반부는, 렌즈 형성 공동이 제1 성형 표면과 제2 성형 표면 사이에 형성되도록 서로를 받아들이는 식으로 구성된다. 금형 절반부의 성형 표면은 금형의 공동-형성 표면이고, 렌즈-형성 물질과 직접 접촉된다.
콘택트 렌즈의 주조-성형을 위한 금형 구획의 제조 방법은,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금형을 형성하는 임의의 특정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실, 금형을 형성하는 임의의 방법을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금형 절반부는 다양한 기술, 예컨대 사출 성형 또는 외 엮기 (lathing)를 통해 형성할 수 있다. 금형 절반부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방법의 예는, 역시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도입되는, 샤드 (Schad)의 미국 특허 제4,444,711호; 보엠 (Boehm) 등의 제4,460,534호; 모릴 (Morrill)의 제5,843,346호 및 본버거 (Boneberger) 등의 제5,894,002호이다.
금형 제조를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사실상 모든 물질을 콘택트 렌즈 제조용 금형을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체성 물질,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PMMA, 토파스 (Topas(등록상표)) COC 등급 8007-S10 (에틸렌 및 노르보르넨의 투명한 무정형 공중합체, 독일 프랑크푸르트 및 뉴저지주 서밋 소재의 티코나 사 (Ticona GmbH) 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금형 물질은 UV 광을 투과시키고, 재사용가능 금형을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물질, 예컨대 석영, 유리, CaF2, PMMA 및 사파이어이다.
당업자는 콘택트 렌즈를 형성하기 위하여 렌즈-형성 공동 내의 렌즈-형성 물질을 화학선에 의해 또는 열에 의해 가교결합 및/또는 중합 (즉, 경화)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임의로 다른 성분의 존재하에서 유체 조성물이 용액, 용매-무함유 액체 또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예비중합체의 용융물인 경우, 재사용가능 금형이 사용되고, 렌즈-형성 물질이 화학선 방사의 공간적 제약하에서 화학선에 의해 경화되어 콘택트 렌즈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재사용가능 금형의 예는, 그 전체가 참고문헌으로 도입된, 미국 특허 출원 제08/274,942호 (1994년 7월 14일 출원됨), 제10/732,566호 (2003년 12월 10일 출원됨), 제10/721,913호 (2003년 11월 25일 출원됨) 및 미국 특허 제6,627,124호에 기재된 것이다.
이러한 경우, 유체 조성물을 2개의 금형 절반부로 이루어진 금형 속에 붓는데, 상기 2개의 금형 절반부는 서로 닿아 있지는 않으며, 환상 형의 좁은 틈이 그들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틈은 금형 공동에 연결되어서, 과잉의 렌즈 물질이 틈으로 흘러나갈 수 있다. 1회만 사용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금형 대신, 재사용가능한 석영, 유리, 사파이어 금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렌즈를 제조한 후에, 물 또는 적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이러한 금형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세척하여 가교결합되지 않은 예비중합체 및 다른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고, 공기로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재사용가능 금형은, 예를 들어, 독일 프랑크푸르트 및 뉴저지주 서밋 소재의 티코나 사로부터의 토파스(등록상표) COC 등급 8007-S10 (에틸렌 및 노르보르넨의 투명한 무정형 공중합체)으로 제조할 수 있다. 금형 절반부의 재사용가능성으로 인해, 정밀성 및 재현성이 매우 높은 금형을 수득하기 위해 그들의 제조시에 비교적 많은 지출을 할 수 있다. 금형 절반부는 생성될 렌즈의 영역, 즉, 공동 또는 실제 금형 면에서 서로 닿지 않기 때문에, 접촉의 결과로 생기는 손상이 배제된다. 이는 금형의 긴 사용 수명을 보장해주며, 또한 특히 생성될 콘택트 렌즈의 높은 재현성을 보장해준다.
콘택트 렌즈의 2개의 반대되는 표면 (전면 표면 및 후면 표면)은 2개의 성형 표면으로 한정되는 반면, 모서리는 금형 벽이 아닌 화학선 조사의 공간적 제약에 의해 한정된다. 통상적으로, 2개의 성형 표면 및 공간적 제약의 명확히 정의된 주변 경계의 투사에 의해 속박된 영역 내의 렌즈-형성 물질 만이 가교결합되는데 반해서, 공간적 제약의 주변 경계 외부 및 주변 경계의 바로 둘레에 있는 임의의 렌즈-형성 물질은 가교결합되지 않으므로, 콘택트 렌즈의 모서리는 화학선 방사의 공간적 제약의 치수 및 형상의 매끄럽고 정확한 복제일 것이다. 콘택트 렌즈의 이러한 제조 방법은, 그 전체가 참고문헌으로 도입된, 미국 특허 출원 제08/274,942호 (1994년 7월 14일 출원됨), 제10/732,566호 (2003년 12월 10일 출원됨), 제10/721,913호 (2003년 11월 25일 출원됨) 및 미국 특허 제6,627,124호에 기재되어 있다.
화학선 방사의 공간적 제약 (또는 에너지 충돌의 공간적 제한)은 미국 특허 출원 제08/274,942호 (1994년 7월 14일 출원됨) 및 미국 특허 제6,627,124호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도입됨)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특정 형태의 에너지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불투과도인 금형의 마스킹에 의해 수행할 수 있거나, 미국 특허 출원 제10/732,566호 (2003년 12월 10일 출원됨), 제10/721,913호 (2003년 11월 25일 출원됨) 및 미국 특허 제6,627,124호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도입됨)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쪽이 가교결합을 야기하는 에너지 형태에 대해 고도로 투과도가며, 에너지에 불투과도가거나 불량한 투과도를 갖는 금형 부분을 갖는 금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가교결합에 사용되는 에너지는 방사 에너지, 특히 UV선 방사, 감마선 방사, 전자 방사 또는 열 방사이고, 방사 에너지는, 한편으로는 우수한 제약을 달성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한 빔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따라 금형을 개봉할 수 있다. 성형된 렌즈가 두 금형 절반부 중 하나에 부착된 채 금형은 수 (male) 금형 절반부 및 암 (female) 금형 절반부로 분리된다. 금형을 개방한 후, 부착된 금형 절반부로부터 렌즈를 떼어내고 (제거하고), 공지된 공정인 추출, 표면 처리 (예, 플라즈마 코팅, LbL 코팅, 코로나 처리 등), 수화, 평형화, 포장 및 소독 (예, 오토클레이브)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비중합체, 인지질, 단량체, 유체 조성물, 금형의 바람직한 예 및 인지질의 양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개시 내용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본원의 독자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 및 장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하기 실시예를 참고할 것을 제안한다.
실험
이형제:
DSPE-PEG (5000): N-(카르복시-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5000)-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나트륨 염) (1a) (아반티 폴라 리피즈 사 (미국)에서 입수함).
DSPE-PEG (2000): N-(카르복시-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2000)-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나트륨 염) (1b) (아반티 폴라 리피즈 사 (미국)에서 입수함).
DSPE-PEG (1000): N-(카르복시-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1000)-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암모늄 염) (1c) (아반티 폴라 리피즈 사 (미국)에서 입수함).
DDPC: 1,2-디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아반티 폴라 리피즈 사 (미국)에서 입수함).
DMPC: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콜린 (아반티 폴라 리피즈 사 (미국)에서 입수함).
DLPC: 1,2-디라우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아반티 폴라 리피즈 사 (미국)에서 입수함).
대두 레시틴 리포이드 S 100 (2) (리포이드 아게 (LIPOID AG) (스위스)에서 입수함).
금형:
재사용가능 라이트스트림 금형 (특허 제US 6800225호에 따라 디자인됨)은, 암 금형에 있어서 유리 또는 PMMA로 각각 제조하고, 수 금형에 있어서 석영 또는 CaF2로 제조함.
렌즈 제조:
적절한 제형으로 채워진 금형에 UV 광원을 조사하여 UV 가교결합을 수행함.
평가:
금형 분리력 (MSF)은 콘택트 렌즈를 제조한 후에 금형 쌍을 개방하는데 필요한 힘이다. MSF는 인장 시험기 (즈윅 (Zwick) 2.5)로 측정하였다. 시험 설치시, 하나의 금형 절반부를 단단히 고정하고, 다른 금형 절반부를 이중 카대닉 (cardanic) 마운팅에 고정하여 힘이 작용하지 않는 배열을 가능하게 하였다. 상대적 금형 개방력은 첨가제를 함유하는 제형에 대한 MSF 대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대조군 제형에 대한 필요한 힘의 비율이다.
생성된 렌즈는 투과도 및 습윤성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손가락 끝으로 비벼서 매끄러움을 확인하였다.
물 접촉각 (WCA) 측정은 순수한 물 (플루카 (Fluka), 20℃에서 표면 장력 72.5mN/m)을 이용하여 크뤼쓰 사 (Kruess GmbH, 독일)제의 DSA 10 드롭형 분석 시스템으로 세실 (sessile) 드롭 방법을 통해 수행하였다. 측정하기 위하여, 콘택트 렌즈를 핀셋으로 저장 용액에서 꺼내고, 부드럽게 흔들어 과량의 저장 용액을 제거하였다. 콘택트 렌즈를 렌즈 금형의 수 부분에 놓고, 마르고 깨끗한 천으로 부드럽게 찍었다. 그 후 물 방울 (대략 1㎕)을 렌즈의 정상 부분에 놓고, 이 물 방울의 시간에 따른 접촉각 변화 (WCA (t), 원 피팅 모드)를 모니터링 하였다. 그래프 WCA (t) (t=0)를 외삽하여 WCA를 계산하였다.
실시예 1
(1a) PDMS 가교결합제 I의 제법
4-L 비이커에서, 24.13g의 Na2CO3, 80g의 NaCl 및 1.52kg의 탈이온수를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별개의 4-L 비이커에서, 700g의 비스-3-아미노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 (신-에쯔 (Shin-Etsu), MW 대략 11500)를 1000g의 헥산 중에 용해시켰다. 4-L 반응기에는 터빈 젓개가 있는 오버헤드 교반기 및 미세-흐름 제어기가 있는 250㎖ 첨가 깔때기를 설치하였다. 그 후 두 용액을 반응기에 넣고, 15분 동안 강한 교반으로 혼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14.5g의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를 100㎖의 헥산에 용해시키고, 첨가 깔때기에 넣었다. 강한 교반하에서 1시간에 걸쳐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용액을 에멀젼에 적가하였다. 첨가 완결시까지 에멀젼을 30분 동안 교반한 후, 교반을 멈추고 상들이 분리되도록 밤새 정치시켰다. 수성상을 따라내고, 유기상을 물 중에 용해된 2.5% NaCl의 혼합물 2.0kg로 2회 세정하였다. 그 후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1.0㎛ 까지 배제되도록 여과하고 회전 증발기 상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오일을, 일정한 중량에 도달할 때까지 고진공 건조로 추가 정제하였다. 생성된 생성물을 적정하여 분석한 결과 0.175mEq/g의 C=C 이중 결합이 나타났다.
(1b) PDMS 가교결합제 II의 제법
4-L 비이커에서, 61.73g의 Na2CO3, 80g의 NaCl 및 1.52kg의 탈이온수를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별개의 4-L 비이커에서, 700g의 비스-3-아미노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 (신-에쯔, MW 대략 4500)을 1000g의 헥산 중에 용해시켰다. 4-L 반응기에는 터빈 젓개가 있는 오버헤드 교반기 및 미세-흐름 제어기가 있는 250㎖ 첨가 깔때기를 설치하였다. 그 후 두 용액을 반응기에 넣고, 15분 동안 강한 교반으로 혼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36.6g의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를 100㎖의 헥산에 용해시키고, 첨가 깔때기에 넣었다. 강한 교반하에서 1시간에 걸쳐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용액을 에멀젼에 적가하였다. 첨가 완결시까지 에멀젼을 30분 동안 교반한 후, 교반을 멈추고 상들이 분리되도록 밤새 정치시켰다. 수성상을 따라내고, 유기상을 물 중에 용해된 2.5% NaCl의 혼합물 2.0kg로 2회 세정하였다. 그 후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1.0㎛ 까지 배제되도록 여과하고 회전 증발기 상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오일을, 일정한 중량에 도달할 때까지 고진공 건조로 추가 정제하였다. 생성된 생성물을 적정하여 분석한 결과 0.435mEq/g의 C=C 이중 결합이 나타났다.
(1c) 가교결합가능한 공중합체 A의 제법
2-L 재킷형 반응기에 가열/냉각 루프, 환류 응축기, N2-주입구/진공 아답터, 공급 튜브 아답터 및 오버헤드 기계식 교반기를 설치하였다. (1a)에 따른 90.00g의 PDMS 가교결합제 I 및 (1b)에 따른 30.00g의 PDMS 가교결합제 II를 480g의 1-프로판올에 용해시켜 용액을 생성하였다. 이 용액을 반응기에 채우고, 8℃로 냉각시켰다. 용액을 15mBar 미만으로 진공시켜 탈기시키고, 15분 동안 진공에서 유지시킨 후, 건조 질소로 재가압하였다. 상기 탈기 공정을 총 3회 반복하였다. 반응기를 건조 질소 블랭킷 하에서 유지시켰다.
별개의 플라스크내에서, 1.50g의 시스테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0.3g의 AIBN, 55.275g의 DMA, 18.43g의 HEA 및 364.5g의 1-프로판올을 혼합하여 단량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워터맨 (Waterman) 540 여과지로 여과한 후, 3.0㎖/분의 유속으로 탈기 유닛 및 HPLC 펌프를 통해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약 1시간 동안 가열 램프를 사용하여 반응 온도를 68℃로 증가시켰다.
제2 플라스크에서, 4.5g의 시스테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395.5g의 1-프로판올을 혼합하여 공급 용액을 제조한 후, 워터맨 540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반응기 온도가 68℃에 도달하면 이 용액을 3시간에 걸쳐 천천히 탈기기/HPLC 펌프를 통해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그 후 반응을 68℃에서 추가 3시간 동안 계속한 후, 가열을 멈추고 반응기를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플라스크로 옮기고, 1000g의 샘플이 남을 때까지 회전 증발기 상에서 진공하 40℃에서 용매를 스트리핑하였다. 그 후 빠르게 교반하면서 용액을 2000g의 탈이온수와 천천히 혼합하였다. 약 2000g의 샘플이 남을 때까지 부가적인 용매를 추가로 제거하였다. 이러한 스트리핑 공정 도중 용액은 점진적으로 에멀젼이 되었다. 생성된 물질을 투과 전도도가 2.5μS/cm 미만이 될 때까지 10kD 분자량 배제막 상에서 한외여과로 정제하였다.
그 후 이 에멀젼을 오버헤드 교반기, 냉각 루프, 온도계 및 메트롬 (Metrohm) 모델 718 STAT 티트리노 (Titrino)의 pH 미터 및 분배팁이 설치된 2-L 반응기에 넣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1℃로 냉각시키고 7.99g의 NaHCO3을 에멀젼에 넣고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15%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간헐적으로 첨가함으로써 pH 9.5가 유지되도록 티트리노를 설정하였다. 그 후, 시린지 펌프를 사용하여 11.59㎖의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를 1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에멀젼을 추가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15% 염산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반응 혼합물을 중화시키도록 티트리노를 설정하였다. 생성물을 투과 전도도가 2.5μS/cm 미만이 될 때까지 10kD 분자량 배제막을 사용하여 다시 한외여과로 정제하였다. 최종 거대단량체를 리포필라이제이션 (lypophilization)시켜 단리하였다.
(1d) 실시예 1 기초 제형의 제법.
(1c)에 기재된 공정에 따라 제조한 12.13g의 가교결합가능한 공중합체 A, 1-프로판올 중 3.006g의 이르가큐어 2959 (1.00 중량/중량%)의 용액 및 4.881g의 1-프로판올의 혼합물을 대략 25℃에서 자석 막대로 밤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 기초 제형으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2
(2a) PDMS 가교결합제 III의 제법
4-L 비이커에서, 24.13g의 Na2CO3, 80g의 NaCl 및 1.52kg의 탈이온수를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별개의 4-L 비이커에서, 700g의 비스-3-아미노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 (신-에쯔, MW 대략 11500)을 1000g의 헥산 중에 용해시켰다. 4-L 반응기에는 터빈 젓개가 있는 오버헤드 교반기 및 미세-흐름 제어기가 있는 250㎖ 첨가 깔때기를 설치하였다. 그 후 두 용액을 반응기에 넣고, 15분 동안 강한 교반으로 혼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14.5g의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를 100㎖의 헥산에 용해시키고, 첨가 깔때기에 넣었다. 강한 교반하에서 1시간에 걸쳐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용액을 에멀젼에 적가하였다. 첨가 완결시까지 에멀젼을 30분 동안 교반한 후, 교반을 멈추고 상들이 분리되도록 밤새 정치시켰다. 수성상을 따라내고, 유기상을 물 중에 용해된 2.5% NaCl의 혼합물 2.0kg로 2회 세정하였다. 그 후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1.0㎛ 까지 배제되도록 여과하고 회전 증발기 상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오일을, 일정한 중량에 도달할 때까지 고진공 건조로 추가 정제하였다. 생성된 생성물을 적정하여 분석한 결과 0.175mEq/g의 C=C 이중 결합이 나타났다.
(2b) PDMS 가교결합제 IV의 제법
4-L 비이커에서, 61.73g의 Na2CO3, 80g의 NaCl 및 1.52kg의 탈이온수를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별개의 4-L 비이커에서, 700g의 비스-3-아미노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 (신-에쯔, MW 대략 4500)을 1000g의 헥산 중에 용해시켰다. 4-L 반응기에는 터빈 젓개가 있는 오버헤드 교반기 및 미세-흐름 제어기가 있는 250㎖ 첨가 깔때기를 설치하였다. 그 후 두 용액을 반응기에 넣고, 15분 동안 강한 교반으로 혼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36.6g의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를 100㎖의 헥산에 용해시키고, 첨가 깔때기에 넣었다. 강한 교반하에서 1시간에 걸쳐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용액을 에멀젼에 적가하였다. 첨가 완결시까지 에멀젼을 30분 동안 교반한 후, 교반을 멈추고 상들이 분리되도록 밤새 정치시켰다. 수성상을 따라내고, 유기상을 물 중에 용해된 2.5% NaCl의 혼합물 2.0kg로 2회 세정하였다. 그 후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1.0㎛까지 배제되도록 여과하고 회전 증발기 상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오일을, 일정한 중량에 도달할 때까지 고진공 건조로 추가 정제하였다. 생성된 생성물을 적정하여 분석한 결과 0.435mEq/g의 C=C 이중 결합이 나타났다.
(2c) 가교결합가능한 공중합체 B의 제법
2-L 재킷형 반응기에 가열/냉각 루프, 환류 응축기, N2-주입구/진공 아답터, 공급 튜브 아답터 및 오버헤드 기계식 교반기를 설치하였다. (2a)에 기재된 공정에 따라 제조한 90.00g의 PDMS 가교결합제 III 및 (2b)에 기재된 공정에 따라 제조한 30.00g의 PDMS 가교결합제 IV를 480g의 1-프로판올에 용해시켜 용액을 생성하였다. 이 용액을 반응기에 넣고 8℃로 냉각시켰다. 용액을 15mBar 미만으로 진공시켜 탈기시키고, 15분 동안 진공에서 유지시킨 후, 건조 질소로 재가압하였다. 상기 탈기 공정을 총 3회 반복하였다. 반응기를 건조 질소 블랭킷 하에서 유지시켰다.
별개의 플라스크내에서, 1.50g의 시스테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0.3g의 AIBN, 55.275g의 DMA, 18.43g의 HEA 및 364.5g의 1-프로판올을 혼합하여 단량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워터맨 540 여과지로 여과한 후, 3.0㎖/분의 유속으로 탈기 유닛 및 HPLC 펌프를 통해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그 후 약 1시간 동안 가열 램프를 사용하여 반응 온도를 68℃로 증가시켰다.
제2 플라스크에서, 4.5g의 시스테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395.5g의 1-프로판올을 혼합하여 공급 용액을 제조한 후, 워터맨 540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반응기 온도가 68℃에 도달하면 이 용액을 3시간에 걸쳐 천천히 탈기기/HPLC 펌프를 통해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그 후 반응을 68℃에서 추가 3시간 동안 계속한 후, 가열을 멈추고 반응기를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플라스크로 옮기고, 1000g의 샘플이 남을 때까지 회전 증발기 상에서 진공하 40℃에서 용매를 스트리핑하였다. 그 후 빠르게 교반하면서 용액을 2000g의 탈이온수와 천천히 혼합하였다. 약 2000g의 샘플이 남을 때까지 부가적인 용매를 추가로 제거하였다. 이러한 스트리핑 공정 도중 용액은 점진적으로 에멀젼이 되었다. 생성된 물질을 투과 전도도가 2.5μS/cm 미만이 될 때까지 10kD 분자량 배제막 상에서 한외여과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공중합체 용액을, 7.99g의 NaHCO3 및 11.59㎖의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를 반응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아크릴화하였다. 생성물을 투과 전도도가 2.5μS/cm 미만이 될 때까지 10kD 분자량 배제막을 사용하여 다시 한외여과로 정제하였다. 최종 거대단량체를 리포필라이제이션시켜 단리하였다.
(2d) 실시예 2 기초 제형의 제법.
(2c)에 기재된 공정에 따라 제조한 32.83g의 가교결합가능한 공중합체 B, 1-프로판올 중 8.224g의 이르가큐어 2959 (1.00 중량/중량%)의 용액 및 8,948g의 1-프로판올의 혼합물을 대략 25℃에서 자석 막대로 밤새 교반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 기초 제형의 제법.
(2c)에 기재된 공정에 따라 제조한 13,13g의 가교결합가능한 공중합체 B, 0.033mg의 이르가큐어 2959 및 6.84g의 2-메틸-1-펜탄올의 혼합물을 대략 25℃에서 자석 막대로 밤새 교반하였다.
실시예 4 내지 16: 첨가제로서 DSPE-PEG (1000), DSPE-PEG (2000), DSPE-PEG (5000) 또는 대두 레시틴 리포이드 S 100을 선택한 예비중합체 용액의 제법 및 표 1에 표시한 바와 같은 렌즈의 제조:
3.0g의 실시예 1 내지 3의 제형에 표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적절한 양의 DSPE-PEG (1000), DSPE-PEG (2000), DSPE-PEG (5000) 또는 대두 레시틴 리포이드 S 100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40℃이하로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15분 동안 유지시키고 여과하였다.
적절한 양의 특정 제형을 적절한 암 금형과 수 금형 사이에 투입하였다. 그 후 제형에 UV 광원 (4.0mW/cm2, 25s)을 조사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콘택트 렌즈로부터 후속하여 MSF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렌즈는 금형으로부터 느슨하게 하고, EtOH로 추출하고, 유리 바이알 내에 PBS와 패킹하고, 오토클레이브 시켰다. 후속하여 렌즈를 투명도/탁도 및 결정적 결함, 즉 찢어진 렌즈, 인열 및 별폭발형 파괴와 관련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적절한 경우, 렌즈를 미끄러움 및 수습윤성과 관련하여 시각적으로 및 물 접촉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실시예
금형 쌍
기초
제형
첨가제 첨가제 농도
[전체 용액에 대한 중량%]
MSF (StDev)
[N]
상대적 MSF * 100
[%]
WCA
[˚]
결정적 결함
4 유리/석영 실시예 1 DSPE-PEG
(2000)
2.5 13 (2) 10 66 결정적 결함이 없음
5 유리/석영 실시예 1 DSPE-PEG
(2000)
2.0 21 (4) 29 - 결정적 결함이 없음
6
(대조군)
유리/석영 실시예 1 - 0 131 (54) 100 102 인열, 별폭발형 파괴 등
7 CaF2/PMMA 실시예 1 DSPE-PEG
(2000)
3.0 27 (8) 12 92 결정적 결함이 거의 없음
8
(대조군)
CaF2/PMMA 실시예 1 - 0 220 (116) 100 102 렌즈가 찢어짐, 인열, 별폭발형 등
9 유리/석영 실시예 2 DSPE-PEG
(2000)
1.6 19 (4) 10 자료 없음 결정적 결함이 없음
10 유리/석영 실시예 2 DSPE-PEG
(5000)
0.2 138 73 자료 없음 인열, 별폭발형 파괴 등
11 유리/석영 실시예 2 DSPE-PEG
(5000)
0.5 - - 자료 없음 -
12 유리/석영 실시예 2 DSPE-PEG
(1000)
3.0 17 (3) 9 자료 없음 결정적 결함이 없음
13 유리/석영 실시예 2 대두 레시틴
리포이드 S 100
5.0 42 21 자료 없음 인열, 별폭발형 파괴 등이 거의 없음
14
(대조군)
유리/석영 실시예 2 - 0 189 (59) 100 자료 없음 인열, 별폭발형 파괴 등
15 유리/석영 실시예 3 DSPE-PEG (2000) 1.0 33 (8) 19 자료 없음 인열, 별폭발형 파괴 등이 거의 없음
16
(대조군)
유리/석영 실시예 3 DSPE-PEG (2000) 0 170 100 자료 없음 렌즈가 찢어짐, 인열, 별폭발형 등
실시예 17
사슬 연장된 폴리디메틸실록산 (CE-PDMS)의 제법
제1 단계에서, 0.063g의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DBTDL)의 존재하 150g의 건조 메틸 에틸 케톤 중에서 49.85g의 α,ω-비스(2-히드록시에톡시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과 11.1g의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를 반응시켜 α,ω-비스(2-히드록시에톡시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 (Mn=2000, 신-에쯔, KF-6001a)을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캐핑하였다. 반응을 40℃에서 4.5시간 동안 유지시켜 IPDI-PDMS-IPDI를 형성하였다. 제2 단계에서, 164.8g의 α,ω-비스(2-히드록시에톡시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 (Mn=3000, 신-에쯔, KF-6002) 및 50g의 건조 메틸 에틸 케톤의 혼합물을 IPDI-PDMS-IPDI 용액에 적가하고, 여기에 부가적 0.063g의 DBTDL을 첨가하였다. 반응기를 40℃에서 4.5시간 동안 유지시켜 HO-PDMS-IPDI-PDMS-IPDI-PDMS-OH를 형성하였다. 그 후 MEK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제3 단계에서, 7.77g의 이소시아네이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 (IEM) 및 부가적 0.063g의 DBTDL을 첨가하여 말단 히드록실기를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기로 캐핑함으로써 IEM-PDMS-IPDI-PDMS-IPDI-PDMS-IEM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8
개질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거대단량체의 제법
신-에쯔 실리콘즈에서 입수한 240.43g의 KF-6001, 히드록실-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을, 교반기, 온도계, 저온유지장치, 적하 깔때기 및 질소/진공 주입구 아답터가 설치된 1-L 반응기에 넣었다. 고진공 (2×10-2mBar)을 적용하여 실리콘을 건조시켰다. 그 후, 건조 질소의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320g의 증류된 메틸 에틸 케톤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0.235g의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를 반응기에 넣고, 반응기를 45℃로 가온시켰다. 45.86g의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 깔때기에 넣고 온화하게 교반하면서 10분에 걸쳐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60℃까지 발열된 후, 반응기를 60℃에서 추가 2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452g의 증류된 MEK에 용해된 630g의 KF-6002를 한번에 플라스크에 넣고, 균질 용액이 수득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0.235g의 디부틸 주석-디라우레이트를 첨가하고, 반응기를 건조 질소의 블랭킷 하 55℃에서 밤새 유지시켰다. 다음날, 메틸 에틸 케톤을 플래시 증류로 제거하였다. 반응기를 냉각시킨 후, 반응기에 22.7g의 이소시아네이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를 첨가한 후 0.235g의 디부틸을 첨가하였다. 3시간 후, 부가적 3.3g의 IEM을 첨가하고 밤새 반응을 진행시켰다. 그 다음날, 반응 혼합물을 18℃로 냉각시키고 생성물을 병으로 옮겨 담았다.
실시예 19
125㎖ 갈색병에, 먼저 0.25g의 DSPE-PEG (2000)을 칭량해 넣고, 11.70g의 1-프로판올 용매, 및 그 후 11.50g의 DMA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미니 볼텍서 (Mini Vortexer, 시바 비전 31787)에서 3분 동안 볼텍스하여 맑은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에 10.25g의 트리스-아크릴아미드를 첨가하고 추가 3분 동안 볼텍스 하였다. 그 후, 실시예 17에 기재된 공정에 의해 제조된 15.75g의 CE-PDMS, 0.50g의 다로큐어 1173 및 0.052g 비지틴트 (Visitint)를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병을 10초 동안 진탕 한 후, 병을 파울로 아베 (PAULO ABBE) (모델 번호 LJRM)의 42rpm 속도의 롤러 상에 밤새 위치시켰다. 그 후 제형을 카메오 (Cameo) 30N 시린지 필터 (나일론, 5.0㎛, 30mm, 50/Pk (카탈로그 번호 DDR50T3050))가 연결된 30ml 루어-록 (Luer-Lok)™시린지로 옮겨 넣었다. 제형을 5cc 1회용 시린지 (EFD(등록상표)) 내로 여과해 넣고, 렌즈 주조를 수행하였다. 렌즈를 유리/석영 금형 상에서, 4mW/cm2 강도 및 330nm 필터 배제의 하마마츠 (Hamamatsu) 램프를 사용하여 27초 동안 주조하였다. 금형 분리력 (16N)을 시험기 즈윅 Z2.5 상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20
125㎖ 갈색병에, 먼저 0.50g의 DDPC (1,2-디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을 칭량해 넣고, 11.50g의 1-프로판올 용매 및 그 후 11.50g의 DMA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분 동안 미니 볼텍서 내에서 볼텍스하여 맑은 용액을 만들었다. 용액에, 9.40g의 트리스-메타크릴아미드를 첨가하고, 추가 3분 동안 볼텍스하였다. 그 후, 실시예 17에 기재된 공정에 따라 제조한 16.50g의 CE-PDMS 및 0.25g의 다로큐어 1173을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병을 파울로 아베 (모델 번호 LJRM)의 42rpm 속도의 롤러 상에 밤새 위치시켰다. 그 후 제형을 카메오 30N 시린지 필터 (나일론, 5.0㎛, 30mm, 50/Pk (카탈로그 번호 DDR50T3050))가 연결된 30ml 루어-록™ 시린지로 옮겨 넣었다. 제형을 5cc 1회용 시린지 (EFD(등록상표)) 내로 여과해 넣고, 렌즈 주조를 수행하였다. 렌즈를 유리/석영 금형 상에서, 4mW/cm2 강도 및 330nm 필터 배제의 하마마츠 램프를 사용하여 120초 동안 주조하였다. 금형 분리력 (22N)을 시험기 즈윅 Z2.5 상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21
먼저 0.5g의 DSPE-PEG (2000)를 20㎖ 바이알에 칭량해 넣었다. 그 후, 24.5g의 1-프로판올 용매를 첨가하고 3분 동안 미니 볼텍서 (시바 비전 31787)내에서 볼텍스하였다. 이 바이알에, 실시예 17에 기재된 공정에 따라 제조한 33.0g의 CE-PDMS, 17.0g의 트리스-메타크릴아미드, 24.0g의 DMA 및 1.0g의 다로큐어 1173을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바이알을 파울로 아베 모델 번호 LJRM 상에서 42rpm의 속도로, 최소 2시간 동안 롤링시켰다. 그 후, 제형을 5cc 시린지에 옮겨넣고, 여과 없이 주조하기 위하여 4500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렌즈를, WG335+TM297 배제 필터를 갖는 하마마츠 램프를 사용하여 4mW/cm2의 강도로, 120초 동안 구형의 CaF2/PMMA 금형에서 주조하였다. 금형 분리력 (16N)을 시험기 즈윅 Z2.5 상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22 (대조군)
L-PEG-2000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0과 동일한 공정을 사용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실시예 18에 기재된 공정에 따라 제조한 67.5%의 고체 개질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거대단량체에, 0.25%의 이르가큐어 2959 및 1.0%의 물을 함유하는 1-프로판올 용액, 2.5%의 DMPC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콜린)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맑은 용액을 만들었다. 제형을 5cc 1회용 시린지에 옮겨 담고, 스페이서 링 (spacer ring)이 있는 유리/석영 금형에 투입하였다. 렌즈를 필터 응축기가 없는 5 스폿 경화 스테이션 하에서 4.0mW/cm2의 강도로 10초 동안 경화시켰다. MSF는 시험기 즈윅 Z2.5 상에서 40N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렌즈는 투명하고 결함이 없었다.
실시예 24
5cc 1회용 시린지에, 0.08g의 DLPC 및 0.005g의 이르가큐어 2959 및 0.815g의 1-프로판올을 첨가하였다. 미니 볼텍서 내에서 30초 동안 혼합물을 볼텍스하여 맑은 용액을 만들었다. 용액에, 실시예 18에 기재된 공정에 따라 제조한 1.1g의 개질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거대단량체를 첨가하였다. 이를 다시 3분 동안 볼텍스하였다. 제형을 유리/석영 금형 상에 투입하였다. 4mW/cm2의 강도 및 330nm 필터 배제의 하마마츠 램프를 사용하여 14초 동안 렌즈를 경화시켰다. 금형 분리력 (57N)을 시험기 즈윅 Z2.5 상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금형 쌍 기초
제형
첨가제 첨가제 농도
[전체 용액에 대한 중량%]
MSF [N]
결정적 결함
19 유리/석영 실시예
19
DSPE-PEG
(2000)
0.5 16 렌즈가 둥글고 탁하지 않음. 별형 인열, 인열이 있는 탈적층 또는 방울이 발견되지 않음.
20
유리/석영 실시예
20
DDPC 1.0 22 렌즈가 둥글고 탁하지 않음. 별형 인열, 인열이 있는 탈적층 또는 방울이 발견되지 않음.
21 CaF2/PMMA 실시예
21
DSPE-PEG
(2000)
1.0 16. 렌즈가 둥글고 탁하지 않음. 별형 인열, 인열이 있는 탈적층 또는 방울이 발견되지 않음.
22
(대조군)
유리/석영 실시예
22
-- 0 >100. 별형 인열, 인열이 있는 방울.
23 유리/석영 실시예
23
DMPC 2.5 40 렌즈가 투명하고
별형 인열, 인열이 있는 탈적층 또는 방울이 발견되지 않음.
24
유리/석영 실시예
24
DLPC 4.0 57 렌즈가 투명하고 결함이 발견되지 않음.

Claims (23)

  1. (1) 화학선 방사 또는 가열에 의해 가교결합가능 및/또는 중합가능한 렌즈-형성 물질 및 인지질을 포함하는 유체 조성물을 콘택트 렌즈 제조용 금형 내에 도입하는 단계,
    (2) 금형 내의 렌즈-형성 물질을 가교결합/중합하여 중합체 매트릭스를 갖는 렌즈를 형성하고, 이 때 적어도 일부의 인지질이 금형과 형성된 렌즈의 중합체 매트릭스 사이의 계면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3) 인지질이 부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평균 금형 분리력을 약 40% 이상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인지질이 존재하는 금형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인지질이 포스파티딜콜린 (PC),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E), 포스파티드산 (PA) 및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PG), 포스파티딜콜린 (PC),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E), 포스파티딜이노시톨 (PI), 포스파티딜세린 (PS), 이의 유도체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부재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E)이 PEG화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PEG화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이 PEG화 디팔미토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DPPE-PEG), PEG화 팔미토일올레오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OPE-PEG), PEG화 디올레오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DOPE-PEG) 및 PEG화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DSPE-PE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부재인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PEG화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이 PEG화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DSPE-PEG)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유체 조성물이 0.5% 내지 10%의 인지질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유체 조성물이 1.0% 내지 6.0%의 인지질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유체 조성물이 1.5% 내지 4.0%의 인지질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렌즈-형성 물질이 1종 이상의 예비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렌즈-형성 물질이, 2개 이상의 티올기 또는 2개 이상의 엔-함유기를 갖는 1종 이상의 예비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예비중합체가 실리콘-함유 예비중합체 또는 실리콘-무함유 예비중합체인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예비중합체가 수용성 실리콘-무함유 예비중합체인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실리콘-함유 예비중합체가 임의의 단량체 및/또는 가교결합제의 부재하에서, 40barrer 이상의 겉보기 산소 투과도, 약 1.5×10-6㎟/분 초과의 이오노플럭스(Ionoflux) 확산 계수 D, 약 0.2MPa 내지 약 2.0MPa의 탄성 계수, 및 완전 수화됐을 때 약 15 내지 약 80 중량%의 함수량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특성을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인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유체 조성물이 중합 개시제, 가시성 착색제, UV-차단 (흡수)제, 광감제, 항균제, 생물활성제, 이형제 및 삼출성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가교결합 및/또는 중합의 단계를 화학선 방사의 공간적 제약하에서 수행하여, 제1 표면, 반대쪽 제2 표면 및 모서리를 갖는 콘택트 렌즈를 형성하며, 여기서 금형은 2개의 성형 표면을 갖는 재사용가능 금형이고, 제1 및 제2 표면은 2개의 성형 표면으로 한정되고 모서리는 화학선 방사의 공간적 제약에 의해 한정되는 것인 방법.
  16. 금형 내에서 화학선 방사 또는 가열에 의해 가교결합가능 및/또는 중합가능하여 중합체 매트릭스를 갖는 콘택트 렌즈를 형성하는 렌즈-형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체 조성물 내에, 인지질이 부재한 경우와 비교하여 평균 금형 분리력을 약 40% 이상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인지질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의 품질 및 생산 수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17. 금형 내에서 화학선 방사에 의해 가교결합가능 및/또는 중합가능하여 중합체 매트릭스를 갖는 콘택트 렌즈를 형성하는 렌즈-형성 물질, 및 금형과 그 안의 유체 조성물 사이의 계면으로 이동하여 목적하는 시간 내에 평균 금형 분리력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두께의 온전한 계면 필름을 형성하는 인지질을 포함하고, 여기서 인지질은, 인지질이 부재한 경우와 비교하여 평균 금형 분리력을 약 40% 이상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콘택트 렌즈 제조용 유체 조성물.
  18. (1) 콘택트 렌즈 금형을 제공하는 단계,
    (2) 금형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지질의 층을 적용하는 단계,
    (3) 상기 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건조시키는 단계,
    (4) 화학선 방사에 의해 가교결합가능 및/또는 중합가능한 렌즈-형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체 조성물을 콘택트 렌즈 제조용 금형 내에 도입하는 단계,
    (5) 금형 내의 렌즈-형성 물질을 가교결합/중합하여 중합체 매트릭스를 갖는 렌즈를 형성하는 단계, 및
    (6) 인지질 또는 이의 유도체가 부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평균 금형 분리력을 약 40% 이상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인지질 또는 이의 유도체가 존재하는 금형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인지질이 포스파티딜콜린 (PC),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E), 포스파티드산 (PA) 및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PG), 포스파티딜콜린 (PC),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E), 포스파티딜이노시톨 (PI), 포스파티딜세린 (PS), 이의 유도체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부재인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PE)이 PEG화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인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렌즈-형성 물질이 1종 이상의 예비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예비중합체가 실리콘-함유 예비중합체 또는 실리콘-무함유 예비중합체인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예비중합체가 수용성 실리콘-무함유 예비중합체인 방법.
KR1020107013444A 2007-12-20 2008-12-18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KR101565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5407P 2007-12-20 2007-12-20
US61/008,554 2007-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522A true KR20100103522A (ko) 2010-09-27
KR101565624B1 KR101565624B1 (ko) 2015-11-03

Family

ID=40430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444A KR101565624B1 (ko) 2007-12-20 2008-12-18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3) US7780879B2 (ko)
EP (1) EP2238480B1 (ko)
JP (1) JP5355588B2 (ko)
KR (1) KR101565624B1 (ko)
CN (1) CN101903807B (ko)
AR (2) AR069938A1 (ko)
AT (1) ATE544086T1 (ko)
AU (1) AU2008343162B2 (ko)
BR (1) BRPI0821158A2 (ko)
CA (1) CA2704018C (ko)
RU (1) RU2488863C2 (ko)
TW (1) TWI467267B (ko)
WO (1) WO2009085902A1 (ko)
ZA (1) ZA2010024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8018B2 (en) * 2007-04-18 2011-06-28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Use of surfactants in extraction procedures for silicone hydrogel ophthalmic lenses
TWI401155B (zh) * 2008-02-01 2013-07-11 Nat Univ Tsing Hua 光學元件製造方法
US8506944B2 (en) * 2008-05-07 2013-08-1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Replenishment and enrichment of ocular surface lubrication
ES2530723T3 (es) 2008-05-07 2015-03-04 Univ California Reposición y enriquecimiento terapéuticos de la lubricación de la superficie ocular
US20100109176A1 (en) * 2008-11-03 2010-05-06 Chris Davison Machined lens mold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TWI506333B (zh) * 2008-12-05 2015-11-01 Novartis Ag 用以傳遞疏水性舒適劑之眼用裝置及其製造方法
EP2374031A1 (en) * 2008-12-18 2011-10-12 Novartis AG Method for making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US20120316256A1 (en) * 2009-11-02 2012-12-13 Abdul Rashid Polymers for Contact Lenses
BR112013002179B1 (pt) 2010-07-30 2020-12-15 Alcon Inc Lentes de silicone hidrogel com superfícies ricas em água
JP6131243B2 (ja) * 2011-04-01 2017-05-17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コンタクトレンズを形成するための組成物
US9170349B2 (en) * 2011-05-04 2015-10-2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dical devices having homogeneous charge density and methods for making same
WO2012170603A1 (en) * 2011-06-09 2012-12-13 Novartis Ag Silicone hydrogel lenses with nano-textured surfaces
US8865685B2 (en) * 2011-06-30 2014-10-2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Esters for treatment of ocular inflammatory conditions
WO2013024146A1 (de) * 2011-08-18 2013-02-21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Gmbh Bestrahlungs- bzw. formeinheit
MY164738A (en) 2011-11-29 2018-01-30 Novartis Ag Method of treating a lens forming surface of at least one mold half for molding ophthalmic lenses
US9988433B2 (en) 2013-03-14 2018-06-05 Mosaic Biosciences, Inc. Covalent modification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WO2013116791A1 (en) 2012-02-02 2013-08-08 Mosaic Biosciences, Inc. Biomaterials for delivery of blood extract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9283718B2 (en) 2012-05-25 2016-03-15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Reduced-tilt back plastic feature for a contact lens mold
EP2932314B1 (en) 2012-12-17 2017-02-01 Novartis AG Method for making improved uv-absorbing ophthalmic lenses
US20140175685A1 (en) * 2012-12-20 2014-06-26 Novartis Ag Method for Making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CA2921303C (en) * 2013-09-30 2018-04-24 Novartis Ag Silicone hydrogel lenses with relatively-long thermal stability
WO2015066255A1 (en) 2013-10-31 2015-05-07 Novartis Ag Method for producing ophthalmic lenses
EP3079888B1 (en) 2013-12-13 2018-01-31 Novartis AG Method for making contact lenses
MY180543A (en) 2013-12-17 2020-12-01 Novartis Ag A silicone hydrogel lens with a crosslinked hydrophilic coating
CN115553973A (zh) * 2014-05-07 2023-01-03 土耳其科学技术研究理事会 一种人工晶状体和制备方法
HUE046948T2 (hu) 2014-08-26 2020-03-30 Novartis Ag Eljárás stabil bevonat felvitelére szilikon hidrogél kontaktlencsékre
KR101646222B1 (ko) * 2014-12-02 2016-08-0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고분자 기반 인공 안구 제작 방법 및 장치
RU2017131285A (ru) 2015-02-09 2019-03-11 Мозеик Байосайенсиз, Инк. Биоразлагаемые тиол-ен-полимеры и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KR102604468B1 (ko) 2015-12-15 2023-11-22 알콘 인코포레이티드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상에 안정한 코팅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CN108072981A (zh) * 2016-11-18 2018-05-25 海昌隐形眼镜有限公司 一种硬性角膜接触镜片的制作方法
US11365275B2 (en) * 2017-05-19 2022-06-21 Toray Industries, Inc. Contact lens composition, contact 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640557B (zh) * 2017-07-05 2018-11-11 晶碩光學股份有限公司 具表面修飾的隱形眼鏡及其製備方法
KR101944717B1 (ko) * 2017-11-17 2019-02-01 주식회사 인터로조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7492228A (zh) 2017-12-13 2024-02-02 爱尔康公司 周抛和月抛水梯度接触镜片
TWI678553B (zh) * 2018-09-12 2019-12-01 優你康光學股份有限公司 隱形眼鏡表面親水之塗層方法
WO2021224855A1 (en) 2020-05-07 2021-11-11 Alcon Inc. Method for producing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CN111610274B (zh) * 2020-06-05 2022-05-17 海昌隐形眼镜有限公司 一种检测角膜接触镜多组分可沥滤物含量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97A (en) * 1863-03-17 Machine for removing
US4159292A (en) * 1977-05-25 1979-06-26 Neefe Optical Lab. Inc. Method of controlling the release of a cast plastic lens from a resinous lens mold
US4130706A (en) * 1977-08-08 1978-12-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ydrophilic, oxygen permeable contact lens
GB2041377B (en) * 1979-01-22 1983-09-28 Woodroof Lab Inc Bio compatible and blood compatible materials and methods
US4444711A (en) * 1981-12-21 1984-04-24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ethod of operating a two-shot injection-molding machine
US4460534A (en) * 1982-09-07 1984-07-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wo-shot injection molding
CS239282B1 (en) * 1983-08-17 1986-01-16 Otto Wichterle Preparation method of objects made from hydrophilic gelsnamely contact lences by polymer casting
US5380904A (en) * 1984-01-20 1995-01-10 Biocompatibles Ltd. Process for rendering a surface biocompatible, and articles containing the same
US5229162A (en) * 1984-01-20 1993-07-20 Biocompatibles Ltd. Article having biocompatible surface
GB8401534D0 (en) * 1984-01-20 1984-02-22 Royal Free Hosp School Med Biocompatible surfaces
DE3531913A1 (de) * 1985-09-07 1987-03-19 Roehm Gmbh Haertbare giessharze
US4828581A (en) 1985-09-20 1989-05-09 Battelle Development Corporation Low inlet gas velocity high throughput biomass gasifier
GB8601967D0 (en) * 1986-01-28 1986-03-05 Coopervision Optics Manufacturing contact lenses
US5594088A (en) 1986-12-15 1997-01-14 Mitsui Toatsu Chemicals, Inc. Plastic lenses having a high-refractive index,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casting polymerization process for preparing sulfur containing urethane resin lens and lens prepared thereby
US5753730A (en) * 1986-12-15 1998-05-19 Mitsui Toatsu Chemicals, Inc. Plastic lenses having a high-refractive index,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casting polymerization process for preparing sulfur-containing urethane resin lens and lens prepared thereby
US4865984A (en) * 1988-02-08 1989-09-12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Dynamic continuous flow enzyme reactor
US4929707A (en) 1988-02-16 1990-05-29 Mitsui Toatsu Chemicals, Inc. Polyurethane base lens resin, plastic lens comprising the resin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lens
AU618578B2 (en) * 1988-02-17 1992-01-02 Mitsui Chemicals, Inc. Resin for plastic lens having high-refractive index, lens comprising the resin,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the lens
AU606781B2 (en) * 1988-02-18 1991-02-14 Mitsui Chemicals, Inc. S-alkyl thiocarbamate base resin, plastic lens comprising the resin, and process for making the lens
CA1316315C (en) * 1988-02-22 1993-04-20 Nobuyuki Kajimoto Highly-refractive plastic lens and process for making the lens
ES2108208T3 (es) * 1988-11-02 1997-12-16 British Tech Group Moldeado por vaciado y envasado de lentes de contacto.
US4983332A (en) * 1989-08-21 1991-01-08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for manufacturing hydrophilic contact lenses
US5063090A (en) * 1990-06-29 1991-11-05 Difco Laboratories Lecithin as a wettability enhancing coating for plastic
GB9022938D0 (en) * 1990-10-22 1990-12-05 Biocompatibles Ltd Non-thrombogenic surfaces
CA2313676C (en) * 1991-07-05 2006-10-10 Biocompatibles Limited Polymeric surface coatings
US5264161A (en) * 1991-09-05 1993-11-23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of using surfactants as contact lens processing aids
US5567456A (en) * 1991-11-04 1996-10-22 Creative Products Inc. Of Rossville Food release compositions with organic fluidizing agents
US5374434B1 (en) * 1991-11-04 1999-01-19 Creative Products Inc Food release compositions
US5217743A (en) * 1992-02-07 1993-06-08 Paradigm Biotechnologies Partnership Biomaterials of enhanced biocompatibility
TW328535B (en) 1993-07-02 1998-03-21 Novartis Ag Functional photoinitiators and their manufacture
ATE178255T1 (de) * 1993-07-19 1999-04-15 Novartis Erfind Verwal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kontaktlinsen
US6800225B1 (en) 1994-07-14 2004-10-05 Novartis Ag Process and device for the manufacture of mouldings and mouldings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at process
TW272976B (ko) * 1993-08-06 1996-03-21 Ciba Geigy Ag
US5712356A (en) * 1993-11-26 1998-01-27 Ciba Vision Corporation Cross-linkable copolymers and hydrogels
US5894002A (en) * 1993-12-13 1999-04-13 Ciba Vision Corpora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a contact lens
US5542978A (en) * 1994-06-10 1996-08-06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Apparatus for applying a surfactant to mold surfaces
US5843346A (en) * 1994-06-30 1998-12-01 Polymer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of cast molding contact lenses
US5760100B1 (en) 1994-09-06 2000-11-14 Ciba Vision Corp Extended wear ophthalmic lens
US5665840A (en) * 1994-11-18 1997-09-09 Novartis Corporation Polymeric networks from water-soluble prepolymers
TW349967B (en) * 1995-02-03 1999-01-11 Novartis Ag Process for producing contact lenses and a cross-linkable polyvinylalcohol used therefor
JP3785599B2 (ja) * 1995-02-03 2006-06-14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エステル又はアミド基を含む架橋ポリマー
DE69629230D1 (de) * 1995-03-24 2003-09-04 Ocular Res Of Bonton Inc Hydrogellinse mit Lipid-Vorbeschichtigung
US5583463A (en) 1995-05-30 1996-12-10 Micron Technology, Inc. Redundant row fuse bank circuit
EP0747734B1 (en) * 1995-06-07 2001-08-22 JOHNSON &amp; JOHNSON VISION PRODUCTS, INC. Contact lenses with hydrophilic crosslinkers
JP3480622B2 (ja) * 1995-06-07 2003-12-22 辻製油株式会社 レシチン改質体含有油脂組成物
US5587009A (en) * 1995-06-12 1996-12-24 Ecolab Inc. Adhesive release agent applied to surface for improved cleaning
GB9519654D0 (en) * 1995-09-27 1995-11-29 Nycomed Imaging As Stabilised phospholipid compositions
JPH1044633A (ja) * 1996-05-28 1998-02-17 Oji Paper Co Ltd 溶融型熱転写記録用受容紙
CA2265971A1 (en) * 1996-10-21 1998-04-30 Novartis Ag Crosslinkable polymers
US6113970A (en) * 1997-02-03 2000-09-05 Lipton, Division Of Conopco, Inc. Lecithin based spray product
TW425403B (en) * 1997-02-04 2001-03-11 Novartis Ag Branched polyurethane (meth)acrylate prepolymers, opthal-mic mouldings derived therefrom and processes for their manufacture
JP4144902B2 (ja) * 1997-02-21 2008-09-03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眼用成形品
AU9743298A (en) * 1997-09-16 1999-04-05 Novartis Ag Crosslinkable polyurea polymers
TW429327B (en) * 1997-10-21 2001-04-11 Novartis Ag Single mould alignment
ATE234474T1 (de) * 1997-11-14 2003-03-15 Novartis Pharma Gmbh Verfahren und zusammensetzung zur herstellung von gefärbten ophthalmischen linsen
US6451871B1 (en) * 1998-11-25 2002-09-17 Novartis Ag Methods of modifying surface characteristics
US5977230A (en) * 1998-01-13 1999-11-02 Planet Polymer Technologies, Inc. Powder and binder systems for use in metal and ceramic powder injection molding
US6367929B1 (en) 1998-03-02 2002-04-0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Hydrogel with internal wetting agent
US6822016B2 (en) 2001-09-10 2004-11-23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Biomedical devices containing internal wetting agents
US7195726B1 (en) * 1998-08-26 2007-03-27 Dow Global Technologies Inc. Internal mold release for low density reaction injection molded polyurethane foam
US6039913A (en) * 1998-08-27 2000-03-21 Novartis Ag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n ophthalmic molding
US6149842A (en) * 1998-11-12 2000-11-21 Novartis Ag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anufacturing tinted ophthalmic lenses
US6441209B1 (en) * 1998-11-20 2002-08-27 Ip Holdings, L.L.C. Method for treating organic acid-treated phosphatides
EP1002807A1 (en) * 1998-11-20 2000-05-24 Novartis AG Functionalized resin derived from polyallylamine
US6844458B2 (en) * 1998-11-20 2005-01-18 Ip Holdings, L.L.C. Vegetable oil refining
EP1035142A1 (en) * 1999-03-09 2000-09-13 Nidek Co., Ltd. Acrylic copolymer materials suitable for ophthalmic devices
TW434854B (en) 1999-11-09 2001-05-16 Advanced Semiconductor Eng Manufacturing method for stacked chip package
US6719929B2 (en) 2000-02-04 2004-04-13 Novartis Ag Method for modifying a surface
AR027348A1 (es) * 2000-02-04 2003-03-26 Novartis Ag Proceso para recubrir una superficie
JP5242876B2 (ja) 2000-03-24 2013-07-24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架橋結合性または重合性プレポリマー
AR032951A1 (es) * 2001-03-07 2003-12-03 Novartis Ag Proceso para la fabricacion de articulos moldeados
US6811805B2 (en) 2001-05-30 2004-11-02 Novatis Ag Method for applying a coating
US20030209818A1 (en) * 2002-05-13 2003-11-13 Harald Bothe Pretreatment of contact lens moulds
EP1534767B1 (en) * 2002-08-14 2007-11-28 Novartis AG Radiation-curable prepolymers
US6896926B2 (en) 2002-09-11 2005-05-24 Novartis Ag Method for applying an LbL coating onto a medical device
US7387759B2 (en) * 2002-12-17 2008-06-17 Novartis Ag System and method for curing polymeric moldings having a masking collar
WO2005027933A1 (en) 2003-09-23 2005-03-31 The Corporation Of The Trustees Of The Order Of The Sisters Of Mercy In Queensland Unsaturated phosphatidylcholines and uses thereof
US7977430B2 (en) * 2003-11-25 2011-07-12 Novartis Ag Crosslinkable polyurea prepolymers
US20050112339A1 (en) * 2003-11-26 2005-05-26 Sandel Bonnie B. Antimicrobial protection for plastic structures
DE602005023768D1 (de) * 2004-11-22 2010-11-04 Novartis Ag Vernetzbare, Polyoxyalkylen-enthaltende Polyamidprepolymere
JP4791067B2 (ja) * 2005-03-30 2011-10-12 テルモ株式会社 リポソーム製剤の製造方法
US20070037897A1 (en) * 2005-08-12 2007-02-15 Guigui Wang Method for making contact lenses
CA2630854C (en) * 2005-12-14 2016-01-26 Novartis Ag Method for preparing silicone hydrogels
RU2008129681A (ru) * 2005-12-20 2010-01-27 Джонсон Энд Джонсон Вижн Кэа, Инк. (Us) Способы и система для выщелачивания и высвобождения силиконовых гидрогелевых глазных линз с помощью растворов поверхностно-активного веществ
JP2009521013A (ja) * 2005-12-20 2009-05-28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ビジョン・ケ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ルコール溶液を用いて、シリコーンヒドロゲルの眼科用レンズを浸出させ、かつ、離型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7858000B2 (en) * 2006-06-08 2010-12-28 Novartis Ag Method of making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WO2008008752A2 (en) * 2006-07-12 2008-01-17 Novartis Ag Actinically crosslinkable copolymers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es
CA2671740C (en) * 2006-12-13 2015-08-11 Novartis Ag Actinically curable silicone hydrogel copolymers and uses thereof
AR064286A1 (es) * 2006-12-13 2009-03-25 Quiceno Gomez Alexandra Lorena Produccion de dispositivos oftalmicos basados en la polimerizacion por crecimiento escalonado fotoinducida
WO2008074838A1 (en) * 2006-12-21 2008-06-26 Novartis Ag Process for the coating of biomedical articles
US20080231796A1 (en) 2007-03-21 2008-09-25 La Loop, Llc Necklace-eyeglass system
WO2008116131A2 (en) * 2007-03-22 2008-09-25 Novartis Ag Prepolymers with dangling polysiloxane-containing polymer chains
AU2008228761B2 (en) * 2007-03-22 2011-11-24 Novartis Ag Silicone-containing prepolymers with hydrophilic polymeric cha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76823A1 (en) 2010-11-04
JP5355588B2 (ja) 2013-11-27
TW200935117A (en) 2009-08-16
CN101903807A (zh) 2010-12-01
JP2011508905A (ja) 2011-03-17
AU2008343162A1 (en) 2009-07-09
US7780879B2 (en) 2010-08-24
KR101565624B1 (ko) 2015-11-03
EP2238480A1 (en) 2010-10-13
RU2488863C2 (ru) 2013-07-27
US20100276824A1 (en) 2010-11-04
ZA201002497B (en) 2011-06-29
AR106734A2 (es) 2018-02-14
RU2010129547A (ru) 2012-01-27
TWI467267B (zh) 2015-01-01
CN101903807B (zh) 2013-01-09
US20090160074A1 (en) 2009-06-25
BRPI0821158A2 (pt) 2015-06-16
ATE544086T1 (de) 2012-02-15
AU2008343162B2 (en) 2012-02-23
WO2009085902A1 (en) 2009-07-09
US8092724B2 (en) 2012-01-10
AR069938A1 (es) 2010-03-03
CA2704018C (en) 2016-01-19
EP2238480B1 (en) 2012-02-01
US8440735B2 (en) 2013-05-14
CA2704018A1 (en) 200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624B1 (ko)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EP2432821B1 (en) Actinically-crosslinkable siloxane-containing copolymers
RU2462361C2 (ru) Форполимеры с подвешенными полисилоксансодержащими полимерными цепями
CA2671960C (en) Production of ophthalmic devices based on photo-induced step growth polymerization
JP5896404B2 (ja) 加水分解性基を有するシリコーン含有ポリマー材料
EP2307189B1 (en)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with convertible comfort agents
KR20100015771A (ko) 친수성 중합체성 사슬이 있는 실리콘-함유 예비중합체
EP3391100B1 (en) Amphiphilic branched polydiorganosiloxane macromers
EP2232304B1 (en) Method for making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CA263534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leasing silicone hydrogel ophthalmic lenses using surfactants
EP3062979B1 (en) Method for producing ophthalmic lenses
EP1968784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leaching and releasing silicone hydrogel ophthalmic lenses with alcohol solu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