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142A -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 - Google Patents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142A
KR20100103142A KR1020090021603A KR20090021603A KR20100103142A KR 20100103142 A KR20100103142 A KR 20100103142A KR 1020090021603 A KR1020090021603 A KR 1020090021603A KR 20090021603 A KR20090021603 A KR 20090021603A KR 20100103142 A KR20100103142 A KR 20100103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ody
tape
guide roller
roller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대균
송경수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1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3142A/ko
Publication of KR20100103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32Apparatus for placing on an insulating substrate, e.g. t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9Apparatus for Tape Automated Bonding [T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는, 외주 면에 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 홀이 원주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축 방향 양단에 테이프 걸림단이 각각 형성되는 원통형 롤러몸체; 상기 롤러몸체의 중공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롤러몸체에 체결되어 테이프를 지지하며, 상기 롤러몸체의 축 방향 양측으로 각각 슬라이드 되는 원형 지지 링; 및 상기 지지 링의 내주 면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 홀에 관통 위치되어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상기 양측 지지 링 간의 폭을 조절하는 슬라이드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롤러의 지지 링의 폭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다양한 종류의 테이프를 가이드 함으로써, 테이프의 종류에 따라 빈번하였던 가이드 롤러 교체 작업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며, 가이드 롤러의 교체 작업을 줄일 수 있어 작업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가이드 롤러, TCP, COF, TAB, BGA, 테이프

Description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Variable type guide roller for tape support}
본 발명은 테이프 가이드 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이드 롤러의 지지 링의 폭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다양한 종류의 테이프를 가이드 함으로써, 가이드 롤러의 교체 작업을 줄일 수 있어 작업 속도가 빠른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기, 액정 표시용 패널, 노트북형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에서의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가 진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 기기에 탑재되는 반도체 장치를 비롯하여, 각종 부품도 마찬가지로 소형화, 경량화, 고기능화, 고성능화, 고밀도화가 진행되고 있다.
즉, CRT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여 경량화 및 박형화가 가능한 LCD, PDP, LED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가 발달하면서, 그에 필요한 디스플레이 부품들의 경량화 및 박형화가 요구되어 왔다. 이들에 사용되는 반도체 부품도 패키지(Package)로 구성
하여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의 경량화 및 박형화를 추구하고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반도체 패키지라 함은 각종 전자회로 및 배선이 적층되 어 형성된 단일소자 및 집적회로 등의 반도체 칩을 먼지, 습기, 전기적, 기계적 부하 등의 각종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반도체 칩의 전기적 성능을 최적화, 극대화시키기 위해 리드 프레임(lead frame)이나 인쇄회로기판(PCB) 등을 이용해 메인보드로의 신호 입/출력 단자를 형성하고 봉지수단을 이용하여 몰딩(molding)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반도체 패키지는 최근 반도체 칩의 진보된 집적화 기술과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따라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반도체 패키지의 경박단소(輕薄短小)화의 추세에 있다. 따라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는 기존의 반도체 패키지보다 한정된 좁은 면적에서도 많은 수의 신호 입출력단자를 만들 수 있고, 얇은 연성 테이프(Flexible tape)를 이용함으로써 패키지 형상이나 위치의 제약을 덜 받을 수 있게 되어, 소형화, 고집적화, 다핀화 등을 추구할 수 있는 차세대 반도체 패키지 기술이다. 이와 같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로는 TAB(TapeAutomated Bonding), COF(Chip On Film) 또는 플렉서블 볼그리드어레이(Flexible BGA) 등이 있다.
이와 같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용 테이프는 릴-투-릴(Reel-to-Reel) 방식으로 패키지 제조 공정 내에 공급 및 배출된다.
반송로를 통하여 테이프를 반송하는 경우, 테이프가 지나가는 반송로 상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Guide roller)는, 가이드 롤러 사이에 위치한 테이프에 일정한 장력이 생기게 하거나 테이프가 반송 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가이드 롤러(1)는 회전축(3)이 삽입되도록 중공(2)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가이드 롤러(1)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심에 삽입되는 회전축(3)에 대하여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롤러는, 테이프(10)와 접촉하여 테이프(10)가 반송되는 동안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테이프(10)를 원활하게 반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가이드 롤러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열 또는 4열 형태의 테이프(10)를 검사하게 되는데, 테이프의 종류에 따라 테이프와의 접촉 면의 위치가 변경되어야 한다.
즉, 테이프와의 접촉 면의 위치가 다를 경우 테이프가 손상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3열 테이프의 경우에는 3열 가이드 롤러를 사용해야하고, 4열 테이프의 경우에는 4열 가이드 롤러를 사용해야만 테이프의 손상을 피할 수 있다.
COF 검사장치는 그 구조상 테이프 가이드 롤러가 다수(5~10) 개 사용되며, 전술된 바와 같이 테이프의 형태(3열/4열)에 따라 가이드 롤러의 형태도 변경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COF 검사 및 테이프 검사시 사용되는 테이프의 형태에 따라 대응하는 가이드 롤러로 교체해주는 작업을 수작업으로 이루어야 했다. 이는 가이드 롤러 교체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 속도가 느려지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 롤러의 지지 링의 폭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다양한 종류의 테이프를 가이드 함으로써, 테이프의 종류에 따라 빈번하였던 가이드 롤러의 교체 작업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며, 가이드 롤러의 교체 작업을 줄일 수 있어 작업 속도가 빠른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주 면에 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 홀이 원주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축 방향 양단에 테이프 걸림단이 각각 형성되는 원통형 롤러몸체; 상기 롤러몸체의 중공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롤러몸체에 체결되어 테이프를 지지하며, 상기 롤러몸체의 축 방향 양측으로 각각 슬라이드 되는 원형 지지 링; 및 상기 지지 링의 내주 면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 홀에 관통 위치되어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상기 양측 지지 링 간의 폭을 조절하는 슬라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몸체의 중공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각각 체결하기 위한 원판 형상의 축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몸체의 슬라이드 홀은 상기 롤러몸체의 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사각 형상 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바는 상기 슬라이드 홀에 위치되는 제1연결바; 및 상기 제1연 결바로부터 대향 되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각각의 축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롤러몸체의 축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제2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연결바의 연장된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 통과 홀이 형성되고,상기 롤러몸체의 중공부의 지름과 동일한 원판 형상의 고정판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판은 외부로부터 상기 제1연결바의 단부에 볼트를 이용해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판은 상기 양측 제1연결바 간의 폭이 가장 좁을 때 상기 축 체결부재와 밀착 위치되고, 상기 제2연결바 간의 폭이 가장 넓을 때 상기 롤러몸체의 축 방향 단부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롤러몸체의 축 체결부재와 베어링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은 후방이 장비에 고정되고, 전방에 롤러몸체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에 설치되어 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링 간의 폭을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테이프를 가이드 할 수 있어 가이드 롤러의 교체 회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 롤러의 교체 작업을 줄일 수 있어 작업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종래의 3열과 4열 테이프용 가이드 롤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의 지지 링 간의 폭을 최대로하여, 3열 테이프를 가이드 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의 지지 링 간의 폭을 최소로 하여, 4열 테이프를 가이드 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 롤러(100)는 롤러몸체(200)와, 회전축(300)과, 지지 링(400)과, 슬라이드바(500)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몸체(200)는 중공부(230)가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 면에는 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홀(210)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롤러몸체(200)의 축 방향 양단 부위에는 테이프의 양측 단부가 지지 될 수 있도록 테이프 걸림단(220)이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롤러몸체(200)의 중공부(230)에는 상기 회전축(300)의 길이 방향을 회전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원판 형상의 축 체결부재(240)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롤러몸체(200)의 슬라이드 홀(210)은 상기 롤러몸체(200)의 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사각 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300)은 후방이 장비에 고정된 상태에서 전방이 상기 롤러몸체(200)의 중공부(230)와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몸체(200)가 장비에 고정된 회전축(300)의 전방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테이프를 가이드 한다.
지지 링(400)은 상기 롤러몸체(200)의 축 방향 양측에 각각 슬라이드 되도록 체결되며, 상기 지지 링(400)의 내주 면에는 슬라이드바(500)가 롤러몸체(200)의 내부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바(500)는 상기 지지 링(400)의 내주 면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 홀(210)에 관통 위치된 상태에서 롤러몸체(200)의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바(500)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양측에 대응 위치하는 지지 링(400) 간의 폭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슬라이드바(500)는, 상기 슬라이드 홀(210)에 위치되는 양측 제1연결바(510)와, 상기 양측 제1연결바(510)로부터 대향 되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각각의 축 체결부재(240)를 통해 상기 롤러몸체(200)의 축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제2연결바(5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바(520)의 연장된 단부에는 고정판(600)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200)은 회전축 통과 홀(610)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몸체(200)의 중공부(230)의 지름과 동일한 원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판(600)은 상기 제1연결바(510)의 단부에 볼트(미도시)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해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고정판(600)은, 상기 제1연결바(510) 간의 폭이 가장 좁을 때 상기 축 체결부재(240)와 밀착 위치되고, 상기 고정판(600)은 상기 제2연결바(520) 간의 폭이 가장 넓을 때 상기 롤러몸체(200)의 축 방향 단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된다.
회전축(300)은 길이방향이 상기 롤러몸체(200)의 축 체결부재(240)와 베어링(70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가이드 롤러(100)에 설치되어 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링(400) 간의 폭을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테이프를 가이드 할 수 있어 가이드 롤러의 교체 회수를 줄일 수 있으며, 가이드 롤러(100)의 교체 작업을 줄일 수 있어 작업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종래의 가이드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3열과 4열 테이프용 가이드 롤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의 지지 링 간의 폭을 최대로 하여, 3열 테이프를 가이드 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의 지지 링 간의 폭을 최소로 하여, 4열 테이프를 가이드 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가이드 롤러 200: 롤러몸체
210: 슬라이드 홀 220: 테이프 걸림단
230: 중공부 240: 축 체결부재
300: 회전축 400: 지지 링
410: 단턱부 500: 슬라이드바
510: 제1연결바 520: 제2연결바
600: 고정판 610: 회전축 통과 홀
700: 베어링

Claims (9)

  1. 외주 면에 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 홀이 원주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축 방향 양단에 테이프 걸림단이 각각 형성되는 원통형 롤러몸체;
    상기 롤러몸체의 중공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롤러몸체에 체결되어 테이프를 지지하며, 상기 롤러몸체의 축 방향 양측으로 각각 슬라이드 되는 원형 지지 링; 및
    상기 지지 링의 내주 면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 홀에 관통 위치되어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상기 양측 지지 링 간의 폭을 조절하는 슬라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몸체의 중공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각각 체결하기 위한 원판 형상의 축 체결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몸체의 슬라이드 홀은 상기 롤러몸체의 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사각 형상 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바는 상기 슬라이드 홀에 위치되는 제1연결바; 및
    상기 제1연결바로부터 대향 되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각각의 축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롤러몸체의 축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제2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바의 연장된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 통과 홀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몸체의 중공부의 지름과 동일한 원판 형상의 고정판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외부로부터 상기 제1연결바의 단부에 볼트를 이용해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양측 제1연결바 간의 폭이 가장 좁을 때 상기 축 체결부재와 밀착 위치되고, 상기 제2연결바 간의 폭이 가장 넓을 때 상기 롤러몸체의 축 방향 단부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롤러몸체의 축 체결부재와 베어링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후방이 장비에 고정되고, 전방에 롤러몸체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
KR1020090021603A 2009-03-13 2009-03-13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 KR20100103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603A KR20100103142A (ko) 2009-03-13 2009-03-13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603A KR20100103142A (ko) 2009-03-13 2009-03-13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142A true KR20100103142A (ko) 2010-09-27

Family

ID=4300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603A KR20100103142A (ko) 2009-03-13 2009-03-13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31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230A (ko) 2020-07-15 2022-01-24 스템코 주식회사 가변형 롤러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230A (ko) 2020-07-15 2022-01-24 스템코 주식회사 가변형 롤러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3142A (ko)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
US8857600B2 (en) Conveying apparatus
WO2019227776A1 (zh) 测试设备
JP6411786B2 (ja) 基板搬送装置
KR100594617B1 (ko) 가이드 롤러
KR101071268B1 (ko) 기판 이송 장치
KR102168405B1 (ko) 듀얼형 솔더볼 플레이스먼트 시스템
JP4792364B2 (ja) 基板搬送装置
JP4743163B2 (ja) 電子部品搭載装置および搭載ヘッド
KR100707859B1 (ko) 레이저 가공 장치의 이송장치
KR20160070411A (ko) 필름 가이드 장치
KR101428659B1 (ko) 검사 장치
KR100700618B1 (ko) 티씨피/씨오에프 외관검사기의 필름규격에 의한 폭조절구조
KR100895318B1 (ko) 통전롤 및 이를 이용한 필름 캐리어 테이프 제조 장치
CN220781360U (zh) 一种电路板加工用质量检测装置
JP6209285B2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システム
US9445505B2 (en) Rotary conveying equipment for exposing substrate
KR101375236B1 (ko) 보강판 가접기 지그 폭 조절장치
KR102433043B1 (ko) 샤프트 회전 장치, 기판 이송 장치, 샤프트 회전 방법 및 기판 이송 방법
CN219107739U (zh) 一种防静电刷装置及卷带封装设备
KR20100113781A (ko) 필름 자동편집 장치 및 그 편집방법
KR20100103143A (ko) 테이프 릴 고정장치
KR101056167B1 (ko) 테이프 피더의 릴 포켓
JP2006013112A (ja) 電子部品実装用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の搬送ロール
KR20110119957A (ko) 기판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