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143A - 테이프 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143A
KR20100103143A KR1020090021604A KR20090021604A KR20100103143A KR 20100103143 A KR20100103143 A KR 20100103143A KR 1020090021604 A KR1020090021604 A KR 1020090021604A KR 20090021604 A KR20090021604 A KR 20090021604A KR 20100103143 A KR20100103143 A KR 20100103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cylinder
fixing
tape reel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대균
김상은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1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3143A/ko
Publication of KR20100103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21Apparatus for making assembl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ackage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32Apparatus for placing on an insulating substrate, e.g. t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9Apparatus for Tape Automated Bonding [T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릴 고정장치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공급 홀을 내부에 형성한 고정 축; 상기 고정축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방 단부를 통해 테이프 릴이 삽입되는 원통형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에 위치되어 에어 공급시 전방으로 이동하고, 에어 공급 해제시 전방의 탄성 부재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며, 전방 외주 면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 전진시 상기 경사면과 대응 밀착되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출몰하여 테이프 릴의 내주 면과 밀착 및 해제되며, 삽입홈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삽입홈 양측 벽면에 축 체결되는 회전 축과,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테이프 릴이 삽입되는 전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걸림 부재와, 상기 걸림 부재의 회동 되는 후방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된 걸림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프 릴 수동 장착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걸림장치를 이용해 테이프 릴의 오 장착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P1020090021604
테이프, 릴, 고정장치, 걸림장치, 실린더

Description

테이프 릴 고정장치{Tape reel anchor}
본 발명은 테이프 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프 릴 수동 장착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걸림장치를 이용해 테이프 릴의 오 장착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테이프 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예를 들면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기, 액정 표시용 패널, 노트북형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에서의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가 진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 기기에 탑재되는 반도체 장치를 비롯하여, 각종 부품도 마찬가지로 소형화, 경량화, 고기능화, 고성능화, 고밀도화가 진행되고 있다.
즉, CRT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여 경량화 및 박형화가 가능한 LCD, PDP, LED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가 발달하면서, 그에 필요한 디스플레이 부품들의 경량화 및 박형화가 요구되어 왔다. 이들에 사용되는 반도체 부품도 패키지(Package)로 구성
하여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의 경량화 및 박형화를 추구하고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반도체 패키지라 함은 각종 전자회로 및 배선이 적층되어 형성된 단일소자 및 집적회로 등의 반도체 칩을 먼지, 습기, 전기적, 기계적 부하 등의 각종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반도체 칩의 전기적 성능을 최적화, 극대 화시키기 위해 리드 프레임(lead frame)이나 인쇄회로기판(PCB) 등을 이용해 메인보드로의 신호 입/출력 단자를 형성하고 봉지수단을 이용하여 몰딩(molding)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반도체 패키지는 최근 반도체 칩의 진보된 집적화 기술과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따라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반도체 패키지의 경박단소(輕薄短小)화의 추세에 있다. 따라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는 기존의 반도체 패키지보다 한정된 좁은 면적에서도 많은 수의 신호 입출력단자를 만들 수 있고, 얇은 연성 테이프(Flexible tape)를 이용함으로써 패키지 형상이나 위치의 제약을 덜 받을 수 있게 되어, 소형화, 고집적화, 다핀화 등을 추구할 수 있는 차세대 반도체 패키지 기술이다. 이와 같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로는 TAB(TapeAutomated Bonding), COF(Chip On Film) 또는 플렉서블 볼그리드어레이(Flexible BGA) 등이 있다.
이와 같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용 테이프는 릴투릴(Reel-to-Reel) 방식으로 패키지 제조 공정 내에 공급 및 배출된다.
반송로를 통하여 테이프를 반송하는 경우, 테이프가 지나가는 반송로 상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Guide roller)는, 가이드 롤러 사이에 위치한 테이프에 일정한 장력이 생기게 하거나 테이프가 반송 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가이드 롤러로 테이프를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테이프 릴 고정장치가 사용된다.
도 1,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릴 고정장치(1)는 에어 압력을 사용하여 릴의 내부를 클램핑하는 구조로서, 에어가 고정축(2)의 입력부(2a)로부터 공급되면 실린더(3) 내부의 피스톤(4)을 밀어주고, 이때의 밀어주는 힘이 쐐기구조를 갖는 고정부재(5)를 거쳐 테이프 릴(10)의 내주 면에 접하는 고정 부재(5)에 전달되게 된다.
제조 장비에서 공정이 완료되거나 일을 교체할 경우 에어 압력부에서 에어의 공급이 차단되고 스프링(6)에 의해 피스톤이 에어 공급 이전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내벽에 닫는 부재가 릴의 내벽에서 떨어져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에어척으로 릴을 구동축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고정하는 기능에 있어서는 문제가 없으나, 단지 고정만을 위한 장치이기 때문에 릴이 구동축에 정확한 위치까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검사를 진행하게 되면, 필름형 자재의 이송중 사행(틀어짐)이 발생하여 공정을 진행할 수 없으며 자재에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테이프 릴 수동 장착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걸림장치를 이용해 테이프 릴의 오 장착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테이프 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공급 홀을 내부에 형성한 고정 축; 상기 고정축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방 단부를 통해 릴이 삽입되는 원통형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에 위치되어 에어 공급시 전방으로 이동하고, 에어 공급 해제시 전방의 탄성 부재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며, 전방 외주 면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 전진시 상기 경사면과 대응 밀착되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출몰하여 테이프 릴의 내주 면과 밀착 및 해제되며, 삽입홈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삽입홈 양측 벽면에 축 체결되는 회전 축과,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테이프 릴이 삽입되는 전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걸림 부재와, 상기 걸림 부재의 회동 되는 후방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된 걸림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축은 전후 길이방향이 베어링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축의 양단은 상기 걸림 부재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상 기 회전 축의 양단에 고정 링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부재가 출몰하는 실린더는 상기 회전축과 고정 링이 상하로 통과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실린더의 원통형 몸체는 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실린더의 전방 단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전후로 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 부재는 양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볼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의 양측 벽면에는 상기 볼 부재가 삽입되어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멈춤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탄성부재는 금속판을 "ㄷ" 형상으로 절곡한 판 스프링을 사용하여 상기 걸림부재와 삽입홈의 바닥을 각각 지지하되, 상기 제2탄성부재의 절곡된 양단이 상기 실린더의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 부재는 릴이 삽 탈 되는 전후 방향 양면에 각각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테이프 릴 수동 장착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걸림장치를 이용해 테이프 릴의 오 장착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걸림장치의 회전 반경을 제한함으로써, 걸림 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릴 고정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따른 걸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릴 고정장치의 걸림부재(620)에 형성된 삽입홈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릴 고정장치(100)는 고정축(200)과, 원통형 실린더(300)와, 피스톤(400)과, 고정부재(500)와, 걸림장치(6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축(200)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홀(210)이 내부에 형성된다. 즉 후방 단부를 통해 전방에 설치되는 실린더(300)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축(200)은 전후 길이방향이 베어링(2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축(200)의 전방에는 상기 실린더(300)의 삽입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실린더(300) 걸림단(2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300)는 상기 고정축(200)의 전방에 삽입 설치되며, 테이프 릴(700)의 중공부(710)에 상기 실린더(300)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300)의 후방에는 상기 테이프 릴(700)의 삽입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테이프 릴(700) 걸림단(3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300)의 원주 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몰홀(320)이 형성된다.
상기 출몰홀(320)은 이하 설명될 고정부재(500)가 상기 실린더(3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출몰할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피스톤(400)은 상기 실린더(300)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고정축(200)을 통해 에어가 공급될 때 전방으로 이동한다. 반면 에어 공급이 중단되면 전방의 제1탄성부재(530)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400)의 전방 외주 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는 제1경사면(410)이 형성된다.
고정부재(500)는 상기 실린더(30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관통 형성된 출몰홀(320)에 삽입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피스톤(400)이 전진할 때 상기 피스톤(400)의 제1경사면(410)과 대응 밀착되어 상기 실린더(300)의 외부로 출몰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재(500)의 실린더(300) 내부에 위치된 부위는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2경사면(5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500)의 상부에는 이하 설명될 걸림부재(6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520)을 형성한다.
걸림장치(600)는 삽입홈(520)의 양단에 축 체결되는 회전축(610)과, 상기 회전축(610)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테이프 릴(700)이 삽입되는 전면에 제3경사면(621)이 형성된 걸림부재(620)와, 상기 걸림부재(620)의 후방 회전 방향 하부를 지지하며, 테이프 릴(700) 삽입시 상기 걸림부재(620)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테이프 릴(700)이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압축이 해제되어 상기 걸림부재(62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걸림을 이루도록 하는 제2탄성부재(6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610)의 양단이 상기 걸림부재(620)의 양측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상기 회전축(610)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링(61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링(611)은 회전축(61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상기 회전축(610)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실린더(300)의 출몰홀(320)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610)과 고정링(611)이 상하로 통과될 수 있도록 일정부분이 절개된 절개부(320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부재(620)는 회동하는 후방 측 양면에 볼부재(622)가 각각 돌출되게 구비되고, 전술된 상기 고정부재(50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520)의 양측 벽면에는 상기 볼부재(622)가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멈춤홈(5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멈춤홈(521)은 삽입홈(520)의 양측에 수직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걸림부재(620)의 회전 반경과 동일하게 전방으로 라운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멈춤홈(521)의 길이만큼의 제한된 범위 안에서 상기 걸림부재(620)가 회동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걸림부재(620)는 테이프 릴(700)이 삽/탈 되는 전후 방향 상부 면에 각각 제3경사면(62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걸림부재(620)의 양방향에 형성된 상기 제3경사면(621)을 통해 테이프 릴(700)을 용이하게 삽/탈 할 수 있다.
제2탄성부재(630)는 금속판을 "ㄷ" 형상으로 절곡한 판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판스프링(630)의 양 단부측이 걸림부재(620)와 삽입홈(520)의 바닥을 각각 지지한다. 여기서 제2탄성부재(630)의 절곡된 양단이 상기 실린더(300)의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릴 고정장치의 작동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테이프 릴(700)의 중공부(710)를 통해 실린더(300)를 삽입하게 되면, 중공부(710)의 삽입방향 단부가 걸림부재(500)의 전방 제3경사면(621)과 밀착되면서 삽입된다. 이때 걸림부재(500)의 후방은 하부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고정부재(500)의 후방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2탄성부재(630)가 가압된다.
이후, 테이프 릴(700)이 실린더(300)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2탄성부재(630)의 가압이 해제되면서 탄성 부재의 후방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테이프 릴(700)의 중공부(710) 내에 형성된 걸림홈(720) 내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걸림부재(620)의 후방이 테이프 릴(700)의 걸림홈(720) 내에 위치되어 테이프 링이 실린더(300)의 전방으로 빠지지 않는 상태로 고정된다.
역으로, 테이프 릴(700)을 빼낼 경우에는, 테이프 릴(700)을 강한 힘으로 빼내면 걸림부재(620)의 후방이 가압 되면서 제2탄성부재(630)가 압축하게 되고, 이때 테이프 릴(700)을 빼낼 수 있다.
결과적으로, 테이프 릴(700) 수동 장착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걸림장치(600)를 이용해 테이프 릴(700)의 오 장착과 이탈 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걸림장치(600)의 회전 반경을 제한함으로써, 걸림부재(6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테이프 릴 고정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종래의 릴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릴 고정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따른 걸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릴 고정장치의 걸림부재에 형성된 삽입홈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고정장치 200: 고정축
210: 에어공급홀 220: 실린더 걸림단
230: 베어링 300: 실린더
310: 릴 걸림단 320: 출몰홀
320a: 절개부 400: 피스톤
410: 제1경사면 500: 고정부재
510: 제2경사면 520: 삽입홈
521: 멈춤홈 530: 제1탄성부재
600: 걸림장치 610: 회전축
611: 고정링 620: 걸림부재
621: 제3경사면 622: 볼부재
630: 제2탄성부재 700: 테이프 릴
710: 중공부 720: 걸림홈

Claims (10)

  1.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홀을 내부에 형성한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방 단부를 통해 릴이 삽입되는 원통형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에 위치되어 에어 공급시 전방으로 이동하고, 에어 공급 해제시 전방의 탄성 부재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며, 전방 외주 면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 전진시 상기 경사면과 대응 밀착되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출몰하여 테이프 릴의 내주 면과 밀착 및 해제되며, 삽입홈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삽입홈 양측 벽면에 축 체결되는 회전 축과,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후방이 상하로 회동하며, 상기 테이프 릴이 삽입되는 전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회동 되는 후방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된 걸림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릴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축은 전후 길이방향이 베어링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베어링은 장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릴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장치의 회전 축 양단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상 기 돌출된 회전 축의 양단에는 고정링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출몰하는 실린더의 출몰홀에는 상기 회전축과 고정링이 상하로 통과되도록 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원통형 몸체는 투명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릴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전방 단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릴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전후로 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릴 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양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볼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의 양측 벽면에는 상기 볼부재가 삽입되어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멈춤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고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는 금속판을 "ㄷ" 형상으로 절곡한 판 스프링을 사용하여 상기 걸림부재와 삽입홈의 바닥을 각각 지지하되, 상기 제2탄성부재의 절곡된 양단이 상기 실린더의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고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릴이 삽 탈 되는 전후 방향 양면에 각각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고정장치.
KR1020090021604A 2009-03-13 2009-03-13 테이프 릴 고정장치 KR20100103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604A KR20100103143A (ko) 2009-03-13 2009-03-13 테이프 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604A KR20100103143A (ko) 2009-03-13 2009-03-13 테이프 릴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143A true KR20100103143A (ko) 2010-09-27

Family

ID=43007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604A KR20100103143A (ko) 2009-03-13 2009-03-13 테이프 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31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2982B2 (en) Tape carrier package
US20070249224A1 (en) Fixing structure of circuit board and display module comprising the same
US20080151511A1 (en) Lateral force countering load mechanism for lga sockets
US6656275B2 (en) Partial plating system
US8590359B2 (en) Pin regulator for electronic components
US6462533B1 (en) IC test system for testing BGA packages
US20090233490A1 (en) Electrical adapter assembly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819887B1 (ko) 집적회로 홀더, 시스템 보드 및 이를 위한 집적회로 패키지
US798239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7753714B2 (en) Electrical adapter assembly and loading member thereof
KR101823926B1 (ko) 캐리어 테이프의 자동 공급 장치
KR20100103143A (ko) 테이프 릴 고정장치
US20030224650A1 (en) Semiconductor socket and replacing method of its probe of semiconductor socket
US7779539B2 (en) Method for preventing broken circuits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KR100594617B1 (ko) 가이드 롤러
KR102366472B1 (ko) 필름 가이드 장치
KR100895318B1 (ko) 통전롤 및 이를 이용한 필름 캐리어 테이프 제조 장치
US8625291B2 (en) Electronic device for miniaturizing size thereof
KR20100103142A (ko) 부품공급 테이프 지지용 가변형 가이드 롤러
KR20100113781A (ko) 필름 자동편집 장치 및 그 편집방법
WO2013168196A1 (ja) 半導体搬送テスト治具
KR100714968B1 (ko) 티씨피/씨오에프 외관검사기
US6798721B2 (en) Electronic timepiece
KR200450083Y1 (ko) 필름 캐리어 테이프 제조용 플레이트 및 그것을 이용한필름 캐리어 테이프 제조 장치
KR101056167B1 (ko) 테이프 피더의 릴 포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