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223A - 포션 용기 - Google Patents

포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223A
KR20100102223A KR1020107018122A KR20107018122A KR20100102223A KR 20100102223 A KR20100102223 A KR 20100102223A KR 1020107018122 A KR1020107018122 A KR 1020107018122A KR 20107018122 A KR20107018122 A KR 20107018122A KR 20100102223 A KR20100102223 A KR 20100102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utter
container
press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0156B1 (ko
Inventor
카즈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00102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70Rigid cutting or tea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3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pull or lift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40Rigid cutting or tea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21/00Small packaging specially adapted for product samples, single-use packages or échantill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2Unusual opening 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on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25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25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2575/3209Details
    • B65D2575/3218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gaining access to the contents
    • B65D2575/3254Integral means for assisting piercing or t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매우 간단한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고, 또한 내용물 비산의 우려도 없으며 용이하게 덮개를 열 수 있는 포션 용기를 제안한다. 통 형상이며 압압 변형이 어려운 비가요성의 상부 구성부(10)와, 상부 구성부(10) 하단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며 압압 변형이 용이한 가요성의 하부 구성부(50)로 용기체(A)를 구성하고, 용기체 내에 상부 구성부와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커터(30)를 구비한 압압판(20)을 늘어뜨려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압압판을 압압하는 것에 의해 커터(30)를 회전운동시켜 덮개판(B)을 절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Description

포션 용기{PORTION CONTAINER}
본 발명은 포션 용기에 관한 것이다.
포션 용기로서, 저벽 주연부로부터 둘레벽을 기립시키고, 둘레벽의 상단테두리로부터 외방(外方)으로 플랜지를 연장 형성한 용기체와, 플랜지 상면에 주연부를 박리 가능하게 접착하여 용기체 상단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포션 용기는 덮개체를 벗겨 내용물을 사용하는데, 덮개체를 벗기기 쉽게 제작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플랜지부의 일부를 외방으로 돌출시켜 돌출 부분의 덮개체를 플랜지와 비접착 상태로 해 두고, 비접착 부분에서 덮개체를 벗기도록 구성하고 있다. 혹은 플랜지부의 일부를 외방으로 돌출시켜 돌출 부분의 중앙부를 횡단하는 선형의 파단부를 형성하고, 파단부 외방의 덮개체와 돌출 부분을 강하게 접착하도록 구성해 두어 개봉시에 파단부를 절단하여 파단부 외방의 절단편과 덮개편의 접착 부분에서 덮개체를 벗기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도 덮개체를 벗길 때 그 충격으로 내용물이 비산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어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내용물의 비산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개봉할 수 있는 포션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포션 용기는 용기부와 덮개부에 의해 내용물을 밀봉하기 위한 포션 용기로서, 용기부가 컵부의 상부 테두리에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컵부의 외측면 또는 플랜지부의 하면에 연직 하방향으로 가중 가능한 구조물이 형성되며, 덮개부가 플랜지부에 박리 가능하게 접착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48556호
상기 특허문헌 1의 포션 용기는, 연직 하방향으로 가중 가능한 구조물로서의 돌기나 홈에 손가락의 손톱 등을 걸어서 덮개부를 박리시킬 때 수용액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으로, 그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우수한 것이지만, 작은 돌기나 홈에 손톱을 거는 동작이 번거로워 손끝의 움직임이 섬세한 사람이 아니면 잘 조작할 수 없다고 하는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매우 간단한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고, 또한 내용물 비산의 우려도 없으며 용이하게 덮개를 열 수 있는 포션 용기를 제안한다.
제1 수단으로서 이하와 같이 구성했다. 즉, 통 형상이며 압압(押壓) 변형이 어려운 비가요성의 상부 구성부와, 상부 구성부 하단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며 압압 변형이 용이한 가요성의 하부 구성부로 구성되는 용기체와, 용기체 내에 있어서 상단부를 상부 구성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하방으로 늘어뜨려 형성한 압압판과, 압압판으로부터 돌출된 커터와, 용기체(A) 상면에 주연부를 고착하여 용기체 상단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판을 구비하고, 하부 구성부 외방으로부터 압압판을 압압하는 것에 의해 커터가 덮개판 측으로 회전운동하여 덮개판을 파단하도록 구성했다.
제2 수단으로서 이하와 같이 구성했다. 즉, 상기 제1 수단에 있어서, 압압판과 대향하는 위치의 상부 구성부 하단으로부터 용기체 내에 손가락 걸기용 판을 늘어뜨려 형성했다.
제3 수단으로서 이하와 같이 구성했다. 즉, 상기 제1 수단에 있어서, 압압판을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 형성함과 함께 커터를 각 압압판에 각각 적어도 한 곳에 형성했다.
제4 수단으로서 이하와 같이 구성했다. 즉, 상기 제3 수단에 있어서, 압압판을, 한쪽의 제1 압압판과 제1 압압판과 대향하는 다른 쪽의 제2 압압판으로 구성하고, 커터를, 제1 압압판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연장 형성한 제1 커터와 제2 압압판의 상부 양측으로부터 각각 제1 커터 양측으로 연장 형성한 제2 커터 및 제3 커터로 구성했다.
제5 수단으로서 이하와 같이 구성했다. 즉, 상기 제1 수단 내지 제4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에 있어서, 커터를, 압압판의 상부로부터 중앙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 지지판부와, 지지판부의 선단에 직교 상태로 연장 형성한 칼날부로 구성했다.
제6 수단으로서 이하와 같이 구성했다. 즉, 상기 제1 수단 내지 제5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커터에 형성된 칼날부의 선단부를 대략 뿔 형상의 산형부로 형성했다.
제7 의 수단으로서 이하와 같이 구성했다. 즉, 상기 제1 수단 내지 제6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에 있어서, 압압판이 중심측으로 돌출 만곡하는 원호판형을 이룬다.
제8 수단으로서 이하와 같이 구성했다. 즉, 상기 제1 수단 내지 제7 의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에 있어서, 상부 구성부와, 압압판과, 커터를 제1 부재로서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고,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며 합성수지제인 제2 부재의 상단테두리를 상부 구성부 외주에 고착 일체화하여 용기체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포션 용기는, 예를 들면 용기체를 거꾸로 세운 상태로 협지하여 압압한다고 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개봉할 수 있고, 또한 수용물이 비산된다고 하는 문제가 없어 수용물을 옮겨 담을 수 있다고 하는 특유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압압판과 대향하는 위치의 상부 구성부 하단으로부터 용기체 내에 손가락 걸기용 판을 늘어뜨려 형성한 경우에는 압압판의 압압이 보다 용이해진다.
압압판을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 형성함과 함께 커터를 각 압압판에 각각 적어도 한 곳에 형성한 경우에는, 덮개판의 절단 범위를 보다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물을 단시간에 보다 간단하게 옮겨 담을 수 있다.
압압판을, 한쪽의 제1 압압판과 제1 압압판과 대향하는 다른 쪽의 제2 압압판으로 구성하고, 커터를 제1 압압판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연장 형성한 제1 커터와 제2 압압판의 상부 양측으로부터 각각 제1 커터 양측으로 연장 형성한 제2 커터 및 제3 커터로 구성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내용물을 용이하게 옮겨 담을 수 있고 게다가 비교적 면적이 작은 포션 용기의 덮개판을 효율적으로 파단할 수 있다.
커터를 압압판의 상부로부터 중앙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 지지판부와 지지판부의 선단에 직교 상태로 연장 형성한 칼날부로 구성한 경우에는, 칼날부로 최초로 절단한 덮개판을 다시 지지판부에서 광범위하게 절개할 수 있어 2차원 방향의 폭넓은 덮개판의 절단이 가능해진다.
상기 커터에 형성된 칼날부의 선단부를 대략 뿔 형상의 산형부로 형성한 경우에는, 선단 부분이 뾰족한 형상으로 덮개판(B)을 매우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압압판이 중심측으로 돌출 만곡하는 원호판형을 이루는 것인 경우에는, 압압하는 손가락이 피트되어 압압하기 쉽고, 또한 회전운동하는 압압판에 대응한 손가락을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이점도 있다.
상부 구성부와, 압압판과, 커터를 제1 부재로서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고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며 합성수지제인 제2 부재의 상단테두리를 상부 구성부 외주에 고착 일체화하여 용기체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조의 간략화를 꾀할 수 있고 코스트의 저감을 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되는 포션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관련되는, 덮개판 장착전의 포션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관련되는 포션 용기의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관련되는 포션 용기의 사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련되는 포션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2에 관련되는, 덮개판 장착전의 포션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2에 관련되는 포션 용기의 사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련되는 포션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3에 관련되는, 덮개판 장착전의 포션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3에 관련되는 포션 용기의 사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3에서의 칼날부의 선단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3에서의 칼날부의 선단을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3에서의 칼날부의 선단을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의 칼날부의 선단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4에서의 칼날부의 선단을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4에서의 칼날부의 선단을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련되는, 덮개판 장착전의 포션 용기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포션 용기(1)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포션 용기(1)는 용기체(A)와 덮개판(B)을 구비하고 있다. 용기체(A)는 저벽(2) 주연으로부터 둘레벽(3)을 세워 형성한 것으로 상단이 개구이며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을 이루고 둘레벽(3) 상단테두리로부터 외방으로 플랜지(4)를 연장 형성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 용기체(A)는 제1 부재(A1)와 제2 부재(A2)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부재(A1)는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 압압 변형되기 어려운 비가요성이며 용기체(A)의 상부인, 둘레벽(3)의 상부 및 플랜지(4)를 구성하는 통 형상의 상부 구성부(10)와, 압압판(20)과, 커터(30)와, 손가락 걸기용 판(40)을 구비하고 있다.
제2 부재(A2)는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 압압 변형이 가능한 가요성이며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을 이루고, 상단부를 상부 구성부(10) 외주에 고착하여 상부 구성부(10) 하단으로부터 하방에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하부 구성부(50)를 연장 형성하여, 상부 구성부(10)와 하부 구성부(50)로 이루어지는 용기체(A)를 형성하고 있다.
압압판(20)은 상부 구성부(10)의 하단테두리 일부에 상단테두리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용기체(A)내 하방으로 늘어뜨려 형성한 띠 형상이며, 중앙측으로 돌출 만곡하는 원호판형을 이루고 있다. 압압판(20)의 상단과 상부 구성부(10)의 하단테두리는 굴곡 가능한 판형의 힌지(21)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압압판(20)을 내방으로 압압하면, 힌지(21) 부분이 굴곡하여 그곳을 중심으로 압압판(20)이 덮개판(B)측으로 회전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커터(30)는 압압판(20)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운동하여 덮개판(B)을 파단하기 위한 것으로, 압압판(20)으로부터 내방에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압압판(20)의 내면 상부 중앙으로부터 돌출 방향으로 상면이 경사 상승하는 지지판부(31)를 연장 형성하고 지지판부(31)의 선단에 직교 상태로 판형의 칼날부(32)를 연장 형성하고 있다. 지지판부(31)는 용기체(A)의 반경보다 약간 긴 돌출 폭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손가락 걸기용 판(40)은 압압판(20)의 대향 위치의 상부 구성부(10) 하단테두리로부터 내방으로 돌출된 연결판(41)의 선단에 상단을 일체로 연결하여 용기체(A) 내에 늘어뜨려 형성되어 있고 내방으로 돌출 만곡하는 원호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판(B)은 용기체(A) 상면에 주연부를 고착하여 용기체(A) 상단 개구를 폐색하고 있으며, 합성수지 필름 혹은 시트, 혹은 합성수지의 적층 필름 혹은 시트, 혹은 합성수지와 금속의 적층 필름 혹은 시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판(B)의 용기체(A)에 대한 고착은 융착, 접착 등의 적당한 고착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포션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의 상태로부터, 예를 들면 포션 용기(1)를 거꾸로 세운 상태로 두 손가락으로 포션 용기(1)를 잡고 양측으로부터 하부 구성부(50)를 압압하면, 한 손가락은 손가락 걸기용 판(40)에 걸리고 다른 손가락으로 압압판(20)을 회전운동시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터(30)를 회전운동시키고 칼날부(32)에 의해 덮개판(B)을 절단해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 쌍의 압압판(20)과 복수의 커터(30)를 구비한 예를 나타낸다.
제1 부재(A1)는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 압압 변형되기 어려운 비가요성이며 용기체(A)의 상부인, 둘레벽(3)의 상부 및 플랜지(4)를 구성하는 상부 구성부(10)와, 제1 커터(30a)를 구비한 제1 압압판(20a)과, 제2 커터(30b) 및 제3 커터(30c)를 구비한 제2 압압판(20b)을 구비하고 있다.
또 제2 부재(A2)는 도 1의 예와 같이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 압압 변형이 가능한 가요성이며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을 이루고, 상단부를 상부 구성부(10) 외주에 고착하여 상부 구성부(10)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하부 구성부(50)를 연장 형성하여, 상부 구성부(10)와 하부 구성부(50)로 이루어지는 용기체(A)를 형성하고 있다.
제1 압압판(20a)은 상부 구성부(10)의 하단테두리 일부에 상단테두리를 연결하여 용기체(A)내 하방으로 늘어뜨려 형성한 띠 형상이며, 용기의 중심측으로 돌출 만곡하는 원호판형을 이루고 있다. 제1 압압판(20a)의 상단과 상부 구성부(10)의 하단테두리는 굴곡 가능한 제1 힌지(21a)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압압판(20a)을 내방으로 압압하면, 제1 힌지(21a) 부분이 굴곡하여 그곳을 중심으로 제1 압압판(20a)이 상방으로 회전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1 커터(30a)는 제1 압압판(20a)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운동하여 덮개판(B)을 파단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압압판(20a)으로부터 내방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압압판(20a)의 내면 상부 중앙으로부터 용기의 중심 방향으로 상면이 경사 상승하는 제1 지지판부(31a)를 연장 형성하고, 제1 지지판부(31a)의 선단에, 직교 상태로 판형의 제1 칼날부(32a)를 연장 형성하고 있다. 제1 지지판부(31a)는 용기체(A)의 반경보다 약간 긴 돌출 폭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제2 압압판(20b)은 제1 압압판(20a)의 대향 위치의 상부 구성부(10)의 하단테두리 일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상단테두리를 연결하여 용기체(A)내 하방으로 늘어뜨려 형성한 띠 형상이며, 용기의 중심측으로 돌출 만곡하는 원호판형을 이루고 있다. 제2 압압판(20b)의 상단과 상부 구성부(10)의 하단테두리는 굴곡 가능한 제2 힌지(21b)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압압판(20b)을 내방으로 압압하면, 제2 힌지(21b) 부분이 굴곡하여 그곳을 중심으로 제2 압압판(20b)이 덮개판(B) 측으로 회전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압압판(20b)은 제2 커터(30b) 및 제3 커터(30c)의 2개의 커터(3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압압판(20a)보다 큰 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커터(30b) 및 제3 커터(30c)는 제2 압압판(20b)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운동하여 덮개판(B)을 파단하기 위한 것으로, 제2 압압판(20b)으로부터 내방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압압판(20b)의 내면 상부 양측으로부터 각각 내방으로 상면이 경사 상승하는 제2 지지판부(31b) 및 제3 지지판부(31c)를 연장 형성하고, 각 제2 지지판부(31b) 및 제3 지지판부(31c)의 선단에 각각 직교 상태로 판형의 제2 칼날부(32b) 및 제3 칼날부(32c)를 연장 형성하고 있다. 제2 지지판부(31b) 및 제3 지지판부(31c)도 용기체(A)의 반경보다 약간 긴 돌출 폭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포션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상태로부터, 예를 들면 포션 용기(1)를 거꾸로 세운 상태로 두 손가락으로 포션 용기(1)를 잡고 양측으로부터 하부 구성부(50)를 압압하면, 한 손가락은 제1 압압판(20a)을 회전운동시킴과 함께 다른 손가락으로 제2 압압판(20b)을 회전운동시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터(30a) 및 제2 커터(30b), 제3 커터(30c)를 각각 회전운동시키고, 제 1칼날부(32a), 제2 칼날부(32b) 및 제3 칼날부(32c)에 의해 덮개판(B)을 절단해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은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5의 예에 있어서 칼날부(32)의 선단부를 대략 뿔 형상의 산형부(33)로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말하는 대략 뿔 형상이란 일반적인 뿔 형상은 물론 일반적인 뿔 형상의 정점이 측방으로 이행된 형태의 것도 포함한다.
이 경우의 제1 칼날부(32a)의 산형부(33)는 사각뿔 형상으로, 정점이 중앙에 위치하는 산형부(33a)이며, 또 제2 칼날부(32b) 및 제3 칼날부(32c)의 산형부(33)는 사각뿔 형상으로, 정점이 각각 제1 지지판부(31a)로부터 외방향으로 편심된 산형부(33b)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제2 칼날부(32b)의 산형부(33b)를 확대도로 나타내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도 5의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에는 제2 커터(30b) 및 제3 커터(30c)에 의한 절단 영역을 보다 광범위하게 하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예리한 선단을 구비한 산형부(33)에 관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도 14 내지 도 16에 제2 칼날부(32b)의 산형부(33b)를 확대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을 극소의 반구형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이 예는 정점이 중앙에 위치하는 산형부(33a)에도 당연히 채용된다. 이 경우에는 절단 후에 잘못해서 산형부(33)에 손가락 등이 닿은 경우에도 다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사각뿔 형상의 예를 나타냈지만 당연히 원뿔 형상이나 다른 다각뿔 형상인 경우여도 되고, 그 외에 타원형의 뿔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어느 커터에 있어서도 산형부(33)의 정점이 중앙에 위치하는 구성이어도 되고 편심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도 1의 예에 이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당연히 포함한다.
도 17은 또 다른 예를 나타내며, 도 8 내지 도 13의 예에 있어서, 각 제1 내지 제3 커터(30a∼30c)의 각 제1 내지 제3 칼날부(32a∼32c)를, 지지판부(31)의 선단으로부터 그대로 동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이 경우는 모든 제1 내지 제3 칼날부(32a∼32c)의 정점이 중앙에 위치하는 산형부(33a)로 형성하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도 8의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예에 있어서 용기체(A)를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용기체(A)를 알루미늄 등의 금속 필름·시트 등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A: 용기체 A1: 제1 부재
A2: 제2 부재 B: 덮개판
1: 포션 용기 2: 저벽
3: 둘레벽 4: 플랜지
10: 상부 구성부 20: 압압판
20a : 제1 압압판 20b : 제2 압압판
21: 힌지 21a : 제1 힌지
21b : 제2 힌지 30: 커터
30a : 제1 커터 30b : 제2 커터
30c : 제3 커터 31: 지지판부
31a : 제1 지지판부 31b : 제2 지지판부
31c : 제3 지지판부 32: 칼날부
32a : 제1 칼날부 32b : 제2 칼날부
32c : 제3 칼날부 33: 산형부
33a : 정점이 중앙에 위치하는 산형부
33b : 정점이 제1 지지판부의 외방향으로 편심된 산형부
40: 손가락 걸기용 판
41: 연결판 50: 하부 구성부

Claims (8)

  1. 통 형상이며 압압(押壓) 변형이 어려운 비가요성의 상부 구성부(10)와, 상부 구성부(10) 하단테두리로부터 하방(下方)으로 연장 형성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며 압압 변형이 용이한 가요성의 하부 구성부(50)로 구성되는 용기체(A)와, 용기체(A) 내에 있어서 상단부를 상부 구성부(10)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하방으로 늘어뜨려 형성한 압압판(20)과, 압압판(20)으로부터 돌출된 커터(30)와, 용기체(A) 상면에 주연부를 고착하여 용기체(A) 상단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판(B)을 구비하고, 하부 구성부(50) 외방(外方)으로부터 압압판(20)을 압압하는 것에 의해 커터(30)가 덮개판(B) 측으로 회전운동하여 덮개판(B)을 파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션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압압판(20)과 대향하는 위치의 상부 구성부(10) 하단으로부터 용기체(A) 내에 손가락 걸기용 판(40)을 늘어뜨려 형성한 포션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압압판(20)을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 형성함과 함께 커터(30)를 각 압압판(20)에 각각 적어도 한 곳에 형성한 포션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압압판(20)을, 한쪽의 제1 압압판(20a)과 제1 압압판(20a)과 대향하는 다른 쪽의 제2 압압판(20b)으로 구성하고, 커터(30)를, 제1 압압판(20a)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연장 형성한 제1 커터(30a)와 제2 압압판(20b)의 상부 양측으로부터 각각 제1 커터(30a) 양측으로 연장 형성한 제2 커터(30b) 및 제3 커터(30c)로 구성한 포션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터(30)를, 압압판(20)의 상부로부터 중앙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 지지판부(31)와, 지지판부(31)의 선단에 직교 상태로 연장 형성한 칼날부(32)로 구성한 포션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30)에 형성된 칼날부(32)의 선단부를 대략 뿔 형상의 산형부(33)로 형성한 포션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압판(20)이 중심측으로 돌출 만곡하는 원호판형을 이루는 포션 용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구성부(10)와, 압압판(20)과, 커터(30)를 제1 부재(A1)로서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고,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며 합성수지제인 제2 부재(A2)의 상단테두리를 상부 구성부(10) 외주에 고착 일체화하여 용기체(A)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포션 용기.
KR1020107018122A 2008-01-31 2009-01-29 포션 용기 KR101180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21251 2008-01-31
JPJP-P-2008-021251 2008-01-31
JPJP-P-2009-014991 2009-01-27
JP2009014991A JP5196439B2 (ja) 2008-01-31 2009-01-27 ポーション容器
PCT/JP2009/051495 WO2009096484A1 (ja) 2008-01-31 2009-01-29 ポーション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223A true KR20100102223A (ko) 2010-09-20
KR101180156B1 KR101180156B1 (ko) 2012-09-05

Family

ID=4091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122A KR101180156B1 (ko) 2008-01-31 2009-01-29 포션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86818B2 (ko)
EP (1) EP2239207B1 (ko)
JP (1) JP5196439B2 (ko)
KR (1) KR101180156B1 (ko)
CN (1) CN101970308B (ko)
AU (1) AU2009209935B2 (ko)
CA (1) CA2713842C (ko)
WO (1) WO20090964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9227B2 (ja) * 2004-02-19 2011-12-21 ミン リー、ジュン 貯蔵空間を有するパウチ容器用キャップ
US9167493B2 (en) * 2012-06-15 2015-10-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loud-based mobility in a wireless network
FR3010069B1 (fr) * 2013-09-05 2015-11-20 Soreal Ilou Systeme d'ouverture hygienique d'une enveloppe souple tubulaire fermee par des agrafes permettant un dosage precis du contenu de l'enveloppe
WO2016089329A1 (en) * 2014-12-03 2016-06-09 Arçelik Anonim Şirketi A capsule suitable to be used in coffee machines
EP4337566A1 (en) 2021-05-12 2024-03-20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Packaging, support for such a packaging and dosing system comprising such a packagi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328A (en) * 1933-05-19 1935-09-03 Swingspout Measure Company Dispenser
US3795342A (en) * 1972-05-08 1974-03-05 M Ashton Stowable tab and tear strip
US4333581A (en) * 1980-08-19 1982-06-08 Henry H. Howard Multi-compartment container with pop-top and communicating door
JPH069991Y2 (ja) * 1986-10-04 1994-03-16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包装容器
JPS6359859U (ko) 1986-10-24 1988-04-21
US4953706A (en) * 1989-11-17 1990-09-04 Don Piccard Mechanical oil can seal breaker
US5123570A (en) * 1990-05-25 1992-06-23 Dubow Brian C Container for inverted dispensing
US5485938A (en) * 1995-03-24 1996-01-23 Boersma; Drew H. Cup lid assembly
US6076968A (en) * 1996-11-26 2000-06-20 The Coca-Cola Company Easy open flexible pouch
DE19980364D2 (de) * 1998-03-09 2001-05-31 Alpla Design Lehner Gmbh Ausgabebehältnis
GB0120018D0 (en) * 2001-08-16 2001-10-10 Meridica Ltd Pack containing medicament and dispensing device
JP2003095327A (ja) * 2001-09-17 2003-04-03 Kyoko Yokohama 使い捨て容器および製造方法
JP2006248556A (ja) 2005-03-09 2006-09-21 Isamu Takeuchi ポーション容器
WO2008144439A1 (en) * 2007-05-16 2008-11-27 Mystic Pharmaceuticals, Inc. Combination unit dose dispensing contai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209935A1 (en) 2009-08-06
EP2239207B1 (en) 2013-07-17
US8286818B2 (en) 2012-10-16
JP2009202942A (ja) 2009-09-10
US20100320208A1 (en) 2010-12-23
KR101180156B1 (ko) 2012-09-05
EP2239207A4 (en) 2012-07-18
JP5196439B2 (ja) 2013-05-15
EP2239207A1 (en) 2010-10-13
CA2713842C (en) 2013-05-07
CA2713842A1 (en) 2009-08-06
WO2009096484A1 (ja) 2009-08-06
CN101970308A (zh) 2011-02-09
CN101970308B (zh) 2012-04-11
AU2009209935B2 (en)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156B1 (ko) 포션 용기
MX2010014285A (es) Tapa de extremo de lata re-cerrable con una abertura giratoria y pestaña re-sellable y lata de bebida equipada con la tapa de extremo de lata re-sellable.
US20080190937A1 (en) Food and Drink Packing Vessel
JP2009154953A (ja) 蓋付カップ容器
JP6787383B2 (ja) 飲料用紙容器
JP5380255B2 (ja) 吐出キャップ
JP5059641B2 (ja)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JP4891648B2 (ja) 包装容器
JP6232343B2 (ja) 蓋付カップ容器
US20050051552A1 (en) Self-closing lid for beverage cups and the like
JP5512216B2 (ja) 容器
JP6140596B2 (ja) 蓋付カップ容器
JP2018131263A (ja) 蓋付容器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容器
JP3976538B2 (ja) 部分開封可能な嵌合容器
JP5327789B2 (ja) 飲料容器
US11832744B1 (en) Drinking cup with ice retainer
WO2015144095A1 (es) Sobretapa con medios que facilitan la apertura de un envase y el posterior consumo directo de su contenido
JP6379800B2 (ja) 紙タブ部材およびこれを備えた飲料用容器
JP6307981B2 (ja) 飲料用紙容器
USD988073S1 (en) Beverage container cap
JP4915964B2 (ja) 容器蓋
USD1017423S1 (en) Bottle assembly
JP2005047621A (ja) 王冠
JP6478460B2 (ja) 飲料用紙容器
JP2008137698A (ja) カップ型容器用開封補助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