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2437A -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 - Google Patents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2437A
KR20100092437A KR1020107010176A KR20107010176A KR20100092437A KR 20100092437 A KR20100092437 A KR 20100092437A KR 1020107010176 A KR1020107010176 A KR 1020107010176A KR 20107010176 A KR20107010176 A KR 20107010176A KR 20100092437 A KR20100092437 A KR 20100092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ration
flow direction
guiding water
corru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6672B1 (ko
Inventor
요하네스 뷔징
게르하르트 페트처
후버트 그롤
로란트 리거
Original Assignee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92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물순환회로와 여과장치(10)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장치가 순환하는 헹굼용 물을 여과하기 위하여 물순환회로내에 정지상태로 배열된 여과면(12)을 포함하는 특히 식기세척기 또는 세탁기와 같은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여과면(12)이 상기 여과면(12)의 통과유동방향 (D)에 대해 횡방향을 향하는 횡방향유동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WATER-BEARING DOMESTIC APPLIANCE}
본 발명은 제 1 항의 전제부를 따르고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식기세척기 또는 세탁기와 같이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은 여과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시스템은 다 수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작동하는 동안 회전하는 헹굼 액체가 오염입자들을 제거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오염입자들은 잔류 오염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오염물이 너무 많이 쌓이게 될 때, 오염된 헹굼액체는 여과되지 못한 채 우회하여 순환되기 때문에, 여과시스템의 작동은 방해되고 차단될 수 있다.
문헌 제 DE 41 31 914 C2 호에 공개된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에 의하면, 자체 세척기능을 가진 필터시스템이 구성된다. 상기 자체세척기능을 가진 필터시스템은 축방향 회전이 가능한 여과용 삽입체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체의 덮개는 아래를 향해 원추형상으로 확대된다. 상기 삽입체의 내측부에 달라붙는 오염물부분들은 제거과정을 통해 제거될 때까지 원심력에 의해 아래를 향해 오염물 포착챔버내부로 가압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게 제조되며 오염물이 다량으로 누적될 때 신뢰성있게 작동하고 잔류하는 오염물을 방지하며 필터장치 또는 여과장치를 가진 물을 안내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물순환회로와 여과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장치가 순환하는 헹굼용 물을 여과하기 위하여 물순환회로내에 정지상태로 배열된 여과면을 포함하는 특히 식기세척기 또는 세탁기와 같은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을 기초로 한다. 따라서, 여과면은 백플러싱(back flushing)과정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필터에 남은 찌꺼기(filter cake)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면을 세척하기 위한 다른 방법 또는 장치 또는 이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여과면이 상기 여과면의 통과유동방향에 대해 횡방향을 향하는 횡방향 유동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횡방향 유동은 선택된 영역에 포착된 오염입자들이 수집되는 효과를 가지는 반면에, 다른 영역들에 입자가 쌓이지 않고 여과시스템/필터시스템은 작동상태로 유지된다. 백플러싱(back flushing)장치를 이용하여, 여과시스템을 세척할 수 있고, 유동방향과 반대로 헹굼액체가 여과시스템을 통과한다.
부착된 오염물부분들을 용이하게 불어 제거하고 상기 형태의 횡방향 유동이 형성되도록 돌출부 또는 요홈부를 가진 여과면이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여과면은, 나머지 여과면아래에 배열되는 높이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상기 요홈부들내에서 오염물입자들이 쌓이는 것이 유리하다. 그 결과, 한편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한 여과면의 영역들은 빈 상태로 유지되어 여과되는 물이 방해받지 않고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여과장치의 최소 통과단면이 구해진다. 다른 한편으로, 오염물입자들은 상기 요홈부내에 쌓이고 요홈부에 부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오염물이 상기 형태로 쌓이면, 오염물은 백플러싱(back flushing)과정에서 용이하게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여과장치는 이론적으로 제품수명동안 정비가 불필요하다.
본 발명을 따르는 여과면의 형상은, 평면으로 구성될 때 예를 들어 포트(pot)형상의 요홈부를 형성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요홈부의 기저면은, 나머지 여과면보다 낮은 높이를 유지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여과면은 반대방향으로 상기 형태의 요홈부 뿐만 아니라 동일한 돌출부 또는 돌출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홈부들 또는 돌출부들이 서로 근접하게 배열되면, 최초의 수평 여과면은 완전히 없어져서, 수평단면들은 단지 요홈부의 기저면 및 돌출부의 덮개면에 남게 된다. 상기 여과면이 가지는 상기 구성의 실질적인 효과에 의하면, 동일한 공간에 대해 작용표면이 현저하게 증가된다. 종래기술에 따라 제조된 여과장치와 비교할 때, 동일한 요구공간에 대하여 여과장치내에서 순환하는 헹굼용 물을 위한 유효통과면이 증가된다.
여과장치에서 통과유동방향은, 헹굼과정동안 여과면을 직접 통과하는 헹굼용 물의 주요유동방향을 말한다.
여과장치의 유동방향은, 헹굼용 물이 여과장치내부로 유입될 때 물의 유동방향을 말한다. 평평한 여과면에 의하면, 상기 유동방향은, 사실상 통과유동방향과 평행하고 여과면에 대해 직각으로 배열된다. 백플러싱을 통해 여과장치가 세척될 때, 물은 유동방향과 반대로 여과망(screen)을 통해 흡입되거나 유동방향과 반대로 여과장치를 통해 흡인되거나 반대 유동방향이 형성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여과면은 한 평면에서 평평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여과면은 원통형 또는 원추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과면이 원통의 외측면을 형성할 때, 상기 여과장치가 식기세척기내에서 유효여과면을 감소시키지 않고도 제한된 제조여건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이 가지는 또 다른 장점에 의하면, 여과장치는 높은 고유안정성(inherent stability)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보강요소들을 이용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여과장치의 유동방향 및 여과면의 통과유동방향은 사실상 서로 수직으로 형성된다. 다음에, 일반적으로 원형 덮개면들 중 한 개로부터 상기 여과장치로 유동하고 또한 축방향으로 유동하기 때문에, 물이 방향전환되고 여과면을 반경방향으로 통과한다. 여과면이 백플러싱에 의해 세척되기 때문에, 상기 여과장치는 회전방지되게 배열된다.
상기 요홈부 및/또는 돌출부들이 가지는 형상과 여과면에서의 배열은, 기능을 고려하여 기본적으로 거의 임의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요홈부 및/또는 돌출부들이 규칙적으로 반복배열될 수 있다.
전이부가 연속적으로 전이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전형적으로 파형구조를 가진다. 상기 파형구조는 특히 사인곡선과 같은 규칙적인 곡선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파형구조가 파형마루와 파형골의 형상과 배열에 의해 설명된다. 파형마루의 최대상승부와 파형골의 기저부가 정점으로 설명된다. 선형으로 형성된 파형마루 또는 파형골에 의해 파형마루 또는 파형골의 정점선이 형성된다. 대조적으로, 파형골 또는 파형마루에 형성된 점형태의 정점주위에서 파형골들의 원형 정점선들은, 여과면위에서 반대로 형성된 파형골들과 교대로 배열된 돌기들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파형부들의 크기가 유동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파형마루의 높이 또는 파형골들의 깊이가 유동방향으로 증가될 수 있다. 유동방향으로 파형마루의 높이 또는 파형골의 깊이가 감소될 때 우선 상대적으로 큰 오염입자들이 여과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오염입자들이 여과장치의 단부에서 여과된다. 여과장치가 유동방향으로 충분한 길이를 가지면, 해당 입자크기 분포를 허용하고 전체 여과장치의 통과 유동상태는 양호하게 유지된다.
여과장치가 예를 들어, 원통형상 또는 원추형상과 같이 회전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가지면, 물이 유입되는 유동방향은 여과장치의 회전축과 일치하게 된다. 그 결과, 특히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구조가 구해질 수 있다. 기본적으로, 파형부들이 가지는 정점선들은 물이 유입되는 유동방향에 대해 주어진 각도로 배열될 수 있다. 정점선들이 상기 유동방향과 평행하거나 직각으로 배열되는 것이 유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여과면이 서로 평행하고 선형 정점선들과 상기 유동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는 파형부들에 의해 형성된다. 그 결과, 여과면은 여과되는 물과 가능한 균일하게 충돌하게 된다.
상기 여과장치는 작동하는 동안 이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여과장치는 또한 비대칭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성은, 특히 제한된 공간조건에서 유리하다. 예를 들어, 식기세척기에 구성된 펌프의 섬프(sump)가 설치된 영역내에서 매우 작은 설치공간이 이용될 수 있다.
여과기능의 재료로서 예를 들어, 합성수지로 제조된 섬유 또는 실 또는 금속으로 제조된 와이어들이 이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방사(spinning) 또는 직조(weaving) 또는 편직(knitting) 기술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직조된 재료를 이용하면, 상기 구멍들은 메쉬(mesh) 폭들과 일치한다. 연결기술에 따라 메쉬의 형상과 크기가 변화할 수 있다. 간단하게 제조되고 제조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에, 천공된 금속 시트가 여과재료로서 이용되는 것이 선호된다.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여과면은 서로 다른 구멍형상을 가진 구멍들을 가진다. 상기 여과면의 재료 및 재료두께에 따라, 서로 다른 구멍형상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마이크로 여과체(microscreen)를 포함하기 때문에, 두께가 작고 미세한 금속 시트들이 이용되는 것이 선호되고, 상기 금속시트내에서 구멍들은 전형적으로 레이저 가공법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구멍들의 기하학적 형상은 이론적으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원형의 구멍들이 가장 용이하고 유리한 비용으로 생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멍은 원추형상으로 감소된다. 상기 구멍은 구멍의 통과유동방향과 반대로 좁아지는 것이 유리하다. 오염입자들은 구멍의 가장 좁은 개구부에서 구멍을 통과하며 계속해서 확대된 영역에서 더 이상 매달려있지 않게 된다. 영역에 남아있는 입자들이 구멍에 매달릴 때, 입자들은 유동측부에서 구멍표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입자들이 가진 쐐기구조가 반작용하고, 필요한 경우, 쐐기고정된 입자들이 백플러싱(back flushing)작용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여과면은 유동방향으로 변화하는 구멍밀도를 가진다. 따라서, 원하는 다양한 통과유동저항이 상기 여과면에 형성되고, 상기 여과면은 정해진 오염입자 분포를 형성한다. 따라서, 특히 비대칭 여과장치들이 동일하지 않은 유동조건을 가져서 여과면은 대체로 동일한 충격을 가지며, 여과장치의 기능이 완전히 보장된다.
본 발명의 원리가 예를 들어 실시예의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파형 여과면을 가진 원통형 여과장치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투시도.
도 2는 여과면의 단면을 확대도시한 도면.
도 1을 참고할 때, 파형 여과면(12)을 가진 원통형 여과장치(10)가 도시된다. 상기 파형 여과면(12)은 상기 여과장치(10)의 외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여과면은 다수의 파형(wave)부(14)들을 형성하고, 파형부의 정점선(16)은 서로에 대해 평행할 뿐만 아니라 여과장치(10)의 종방향 축(18)에 대해서도 평행하게 구성된다. 상기 정점선(16)은 상기 종방향 축(18)에 대해 여과면(12)의 반경방향 최대연장부를 형성한다. 상기 영역이 파형골(wave trough)(20)로서 도시된다. 상기 여과장치(10)는 외측의 정점선(22)을 포함하고, 상기 정점선(22)은 정점선(16)에 비하여 상기 종방향 축(18)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방향 거리에 위치한다. 상기 파형 여과면(12)에 형성된 파형마루(24)의 최상부(tip)에 의해 상기 정점선(22)이 도시된다.
헹굼과정동안, 헹굼을 위한 물은 유동방향 (A)을 따라 종방향축(18)과 평행하게 고정된 여과장치(10)의 내부로 가압된다. 상기 식기세척기내에서 상기 여과장치(screening device)(10)는 수평으로 조립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예를 들어, 수직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작동시, 상기 물은, 여과장치(10)를 내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통과유동방향(D)을 따라 파형의 여과면(12)을 통과한다. 이를 위해, 파형의 여과면(12)은 다수의 구멍(26)들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상기 구멍(26)들은 도 1에서 단지 한 개의 파형부(14)에 대해 도시된다.
상기 여과면(12)의 통과유동과 관련하여, 파형골(20)의 영역에 오염입자(28)들이 침전된다. 상기 오염입자들이 상기 파형골(20)내에 집중될 때, 오염입자들은 파형골에서 물렁물렁한 덩어리로 성장할 때까지 압축된다. 동시에 파형마루(24)들은 상기 오염입자들이 제거되어 물이 추가로 통과되는 것을 보장한다.
상기 여과장치(10)의 세척작업은, 백플러싱(back flushing)단계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유동방향은 반대로 형성된다. 다음에 물이 상기 통과유동방향 (D)과 반대로 상기 여과면(12)을 통과하고 따라서 상기 파형골(20)내에 쌓인 오염입자(28)들을 분해시키며 다음에 오염입자들은 유동방향 (A)과 반대로 여과장치(10)로부터 떨어져 세척된다. 쌓여있는 상기 오염입자들이 물렁물렁한 덩어리형상으로 풀어진다. 상기 여과장치(10)는 매우 양호한 자체세척효과를 가진다.
도 2를 참고할 때, 파형 여과면(12)의 영역을 확대한 단면이 도시된다. 파형마루(24)와 파형골(20)의 영역에서 상기 구멍(26)들은 약간 구형이거나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파형 여과면(12)이 형성될 때, 상기 구멍의 기하학적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여과면(12)은 금속 판(plate)로부터 제조되며, 상기 판내에 우선 상기 구멍(26)들이 형성되고 이어서 파형으로 제조된다. 상기 파형골(20)의 영역에서 상기 구멍(26)들은 통과유동방향을 따라 해당 원추형상으로 확대되고 파형마루(24)의 영역에서 통과유동방향과 반대로 확대된다. 또한, 동시에, 다수의 구멍(30)들이 상기 파형골(20)과 파형마루(24)사이의 전이영역에서 일정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다양한 구멍형상들은 파형 여과면(12)의 통과유동거동에 영향을 준다. 상기 파형마루(24)에서 좁아지는 구멍(26)들은 상대적으로 큰 통과유동 저항으로서 작용한다. 반대로, 파형골(20)이 형성된 영역에서 확대되는 구멍(26)에서 통과하는 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저항이 형성된다. 헹굼에 이용되는 물이 통과유동방향(D)으로 상기 여과면(12)을 통과할 때, 우선 오염물(28)들이 상대적으로 작은 통과유동저항을 가진 영역에 쌓인다. 따라서 상기 영역에서 통과유동저항이 증가한다. 나머지 영역들에 형성된 구멍(26)들은 이용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물이 통과하기 위한 충분한 유동단면을 보장한다. 이외에, 입자들이 파형마루(24)의 정점 및 측면에 유지될 수 없기 때문에 구멍은 입자들에 의해 빠르게 막힐 수 없다. 따라서, 구멍(26)의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파형골내에 오염입자가 용이하게 쌓인다. 이외에, 파형골(20)에 형성된 구형상의 구멍(26)들은 백플러싱(back flushing)단계동안 노즐로서 작동하고 구멍에 위치한 오염입자(28)들을 용이하게 제거한다.
10.....여과(screening)장치
12.....파형의 여과면,
14.....파형부,
16,22.....정점선,
18.....종방향축,
20.....파형골,
24.....파형마루,
26,30.....구멍,
28.....오염입자
A.....유동방향,
D.....통과유동방향

Claims (10)

  1. 적어도 물순환회로와 여과장치(10)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장치가 순환하는 헹굼용 물을 여과하기 위하여 물순환회로내에 정지상태로 배열된 여과면(12)을 포함하는 특히 식기세척기 또는 세탁기와 같은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에 있어서,
    상기 여과면(12)이 상기 여과면(12)의 통과유동방향 (D)에 대해 횡방향을 향하는 횡방향유동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면(12)은 통과유동방향 (D)으로 연장되는 돌출부 및/또는 요홈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면(12)은 원통형상 또는 원추형상의 외측면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
  4. 제 2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면(12)의 상기 돌출부 및/또는 요홈부들은 연속적인 전이부들을 가지고 특히 파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면(12)은 서로 평행한 파형부(14)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
  6. 제 4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부(14)의 정점선(16,22)들이 유동방향(A)과 평행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
  7.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면(12)은 서로 다른 구멍형상을 가진 구멍(16,3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16,30)들은 원추형으로 좁아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향(A)으로 변화하는 여과면(12)의 구멍밀도를 특징으로 하는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
  10.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면(12)이 백플러싱(back flushing)과정에 의해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
KR1020107010176A 2007-11-27 2008-10-28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 KR101436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56919.1 2007-11-27
DE102007056919.1A DE102007056919B4 (de) 2007-11-27 2007-11-27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PCT/EP2008/064576 WO2009068390A1 (de) 2007-11-27 2008-10-28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437A true KR20100092437A (ko) 2010-08-20
KR101436672B1 KR101436672B1 (ko) 2014-09-01

Family

ID=40394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176A KR101436672B1 (ko) 2007-11-27 2008-10-28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00269867A1 (ko)
EP (1) EP2217755B1 (ko)
KR (1) KR101436672B1 (ko)
CN (1) CN101939478B (ko)
DE (1) DE102007056919B4 (ko)
ES (1) ES2415732T3 (ko)
PL (1) PL2217755T3 (ko)
WO (1) WO20090683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8584A1 (de) * 2010-07-28 2012-02-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insbesondere Geschirrspülmaschine
DE102014206119B4 (de) 2013-12-18 2016-09-22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Pumpe in einem Haushaltsgerät und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DE102014214350B3 (de) * 2014-07-23 2015-09-10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Flüssigkeitsleitung
DE102017211573A1 (de) 2017-07-06 2019-01-10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Waschmaschine mit verbesserter Pumpenzustandserkennung und hierzu geeignete Waschmaschine
DE102017211569A1 (de) 2017-07-06 2019-01-10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Waschmaschine mit verbessertem Pumpbetrieb bei zweiphasigen Fluiden und hierzu geeignete Waschmaschine
DE102018217915A1 (de) 2018-10-19 2020-04-23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m selbstreinigenden Filtersystem
DE102020101755A1 (de) * 2020-01-24 2021-07-29 Vorwerk & Co. Interholding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augreinigungsgerät mit einem Siebelement
DE102020201012A1 (de) 2020-01-28 2021-07-29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DE102020210389A1 (de) * 2020-08-14 2022-02-17 BSH Hausgeräte GmbH Fluidführendes Haushaltsgerät
CN115849527A (zh) * 2022-11-08 2023-03-28 江苏荣生电子有限公司 一种生产电极箔的废磷酸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17884A (en) 1960-10-26 1965-11-16 Gen Motors Corp Washing device with self-cleaning filter
US3429444A (en) * 1966-10-31 1969-02-25 Whirlpool Co Cone filter for an automatic washer
FR1570151A (ko) 1967-08-18 1969-06-06
DE2240461A1 (de) 1972-08-17 1974-02-21 Heinkel & Co Kg A Einrichtung an geschirrspuelmaschinen zum filtern des umgewaelzten spuelwassers
US4089783A (en) * 1974-02-08 1978-05-16 Crosland Filters Limited Filter
DE4131914C2 (de) 1991-09-25 1997-09-18 Aeg Hausgeraete Gmbh Siebkombination für Haushalt-Geschirrspülmaschinen
GB9423823D0 (en) * 1994-11-25 1995-01-11 Glacier Metal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iltration
DE19636014B4 (de) 1995-11-24 2006-03-02 AEG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iltration einer Flüssigkeit
US6402962B1 (en) * 2000-07-26 2002-06-11 Maytag Corporation Self-cleaning filter with bypass
US8329037B2 (en) * 2000-08-17 2012-12-11 Carew E Bayne Filter apparatus and method of removing organic waste
ITPN20010019U1 (it) * 2001-05-25 2002-11-25 Electrolux Zanussi Elettrodome Lavatrice con filtro di scarico anti-intasamento
US20030205518A1 (en) * 2002-05-06 2003-11-06 Vanderkooi Karen J. Water filter assembly
DE10239495A1 (de) * 2002-08-28 2004-03-1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iebvorrichtung
CN100398739C (zh) * 2002-12-17 2008-07-0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衣机的线头去除装置
EP1709898A1 (de) * 2005-04-05 2006-10-1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Siebelement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CN2873093Y (zh) * 2005-08-10 2007-02-28 Bsh博施及西门子家用器具有限公司 洗碗机、特别是家用洗碗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217755T3 (pl) 2013-11-29
WO2009068390A1 (de) 2009-06-04
EP2217755B1 (de) 2013-06-12
KR101436672B1 (ko) 2014-09-01
EP2217755A1 (de) 2010-08-18
DE102007056919B4 (de) 2020-07-02
ES2415732T3 (es) 2013-07-26
CN101939478A (zh) 2011-01-05
CN101939478B (zh) 2012-05-23
US20100269867A1 (en) 2010-10-28
DE102007056919A1 (de) 200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672B1 (ko) 물을 안내하는 가전제품
KR20140040682A (ko) 칩 여과 컨베이어
WO2009077290A1 (de)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mit einem selbstreinigenden filtersystem
EP4048834A1 (en) Washing machine with filter group
EP3854930B1 (de)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mit einer filtereinheit
KR20220156473A (ko) 회전 필러링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US20180313021A1 (en) Constructive arrangement applied to the agitator of a laundry washing machine
US20150336038A1 (en) Filter material for a fluid and drainage layer for such a filter material including a filter element
CN111560753A (zh) 用于处理洗涤物的家用器具
CN101879389A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机织过滤布及其制造方法
KR20110009167A (ko) 섬유 현탁액의 처리를 위한 개선된 필터드럼
EP1688530B1 (en) Clothes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filter assembly
DE102011084119B4 (de)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m Flachsieb
KR102591377B1 (ko) 식기세척기를 위한 자동세척식 여과 시스템
CN210751816U (zh) 用于水洗式空气净化器的喷淋清洗装置及相应空气净化器
EP2920352B1 (de) Filteranordnung für eine wäschebehandlungsmaschine
KR20100003021A (ko) 기모 가공된 백필터
US7090770B2 (en) Filter cloth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11707704B2 (en) Rag seeding in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EP4368094A1 (en) A dishwasher comprising a filtering mechanism
KR102504266B1 (ko) 세척이 용이한 스크린
JP3001479U (ja) 平畳織濾材
WO2023275778A1 (en) Filter unit for washing machine
CN116356535A (zh) 用于洗衣机的过滤器总成
CN116096954A (zh) 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