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377B1 - 식기세척기를 위한 자동세척식 여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를 위한 자동세척식 여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377B1
KR102591377B1 KR1020160085702A KR20160085702A KR102591377B1 KR 102591377 B1 KR102591377 B1 KR 102591377B1 KR 1020160085702 A KR1020160085702 A KR 1020160085702A KR 20160085702 A KR20160085702 A KR 20160085702A KR 102591377 B1 KR102591377 B1 KR 102591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hwasher
filter
tub
accumul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8747A (ko
Inventor
에드워드 티에스
빅터 코피린
라빈드란 바이드히아나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08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47L15/4208Arrangements to prevent clogging of the filters, e.g. self-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9Filter cleaning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elf-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01D29/68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with backwash arms or shoes acting on the cak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9/9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29/90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directing the mixture to be filtered on the filtering element in a manner to clean the filter continuous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세척기 여과 시스템은, 식기세척기의 터브 내에 배치되고 주 세척 펌프로 향하는 물을 여과하도록 구성된 성긴 필터를 포함한다. 식기세척기 여과 시스템은, 또한, 주 세척 펌프로부터의 물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염물 축적 챔버를 포함한다. 식기세척기 여과 시스템은, 오염물 축적 챔버의 개구를 커버하고 오염물 축적 챔버 내에 수용된 물의 일부를 여과하도록 구성된 조밀 필터를 더 포함한다. 식기세척기 여과 시스템은, 또한, 조밀 필터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역세 노즐을 포함한다. 또한, 식기세척기 여과 시스템은 역세 노즐로부터의 물을 조밀 필터로 편향시키는 편향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를 위한 자동세척식 여과 시스템{SELF-CLEANING FILTRATION SYSTEM FOR A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식기세척기를 위한 자동세척식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설거지에 연관된 노력을 자동화하고 줄이도록 전 세계적으로 사용된다. 대부분의 북미식 식기세척기를 포함하는 많은 식기세척기들은, 음식물 입자들이 사이징 플레이트(sizing plate)를 통해 여과될 수 있도록 음식물 입자들을 잘게 자르는 "챠퍼"(chopper) 시스템을 포함한다. 많은 유럽식 식기세척기를 포함하는 다른 식기세척기들은, 챠퍼 시스템을 갖지 않지만, 크기가 서로 다른 음식물 입자들을 여과하기 위한 다수의 필터들을 포함한다. 양측 유형의 식기세척기들에는 다양한 단점들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식기세척기를 위한 자동세척식 여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식기세척기 여과 시스템을 제공한다. 식기세척기 여과 시스템은, 식기세척기의 터브 내에 배치되고 주 세척 펌프로 향하는 물을 여과하도록 구성된 성긴(coarse) 필터를 포함한다. 식기세척기 여과 시스템은, 또한, 주 세척 펌프로부터의 물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염물 축적 챔버를 포함한다. 식기세척기 여과 시스템은, 오염물 축적 챔버의 개구를 커버하고 오염물 축적 챔버 내에 수용된 물의 일부를 여과하도록 구성된 조밀 필터를 더 포함한다. 식기세척기 여과 시스템은, 또한, 조밀 필터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역세(backwash) 노즐을 포함한다. 또한, 식기세척기 여과 시스템은 역세 노즐로부터의 물을 조밀 필터로 편향시키는 편향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식기세척기는 터브 및 주 세척 펌프를 포함한다. 식기세척기는, 또한, 터브 내에 배치되고 주 세척 펌프로 향하는 물을 여과하도록 구성된 성긴 필터를 포함한다. 식기세척기는, 주 세척 펌프로부터의 물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염물 축적 챔버를 더 포함한다. 식기세척기는, 또한, 오염물 축적 챔버의 개구를 커버하고 오염물 축적 챔버 내에 수용된 물의 일부를 여과하도록 구성된 조밀 필터를 포함한다. 식기세척기는 조밀 필터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역세 노즐을 더 포함한다. 또한, 식기세척기는 역세 노즐로부터의 물을 조밀 필터로 편향시키는 편향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기술적 특징부들은, 다음에 따르는 도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로부터 터브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일부 용어들(words)과 구들(phrases)의 정의를 기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결합하다"라는 용어 및 그 파생어는, 두 개 이상의 요소가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그 두 개 이상의 요소 간의 임의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연터브를 가리킨다. "송신하다", "수신하다", "터브신하다"라는 용어들 및 그 파생어들은 직접적 및 간접적 터브신 모두를 포함한다. "구비하다" 및 "포함하다"라는 용어들 및 그 파생어들은 제한 없는 포함을 의미한다. "또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것으로서, '및/또는'을 의미한다. "~에 연관된"이라는 구 및 그 파생어는, 포함하는, ~내에 포함되는, ~와 상호 접속되는, 함유하는, ~내에 함유되는, ~에 접속되거나 ~와 접속되는, ~에 결합되거나 ~와 결합되는, ~와 터브신가능한, ~와 협동하는, 인터리빙하는, 병치하는, ~에 근접하는, ~에 고정되거나 ~와 고정된, 갖는, 성질을 갖는, ~에 대하여 관계를 갖거나 ~와의 관계를 갖는 등을 의미한다. "제어기"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장치, 시스템, 또는 그 일부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어기는, 하드웨어에서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firmware)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한 제어기에 연관된 기능은 집중화되거나 국부적으로 또는 원격으로 분산될 수 있다. "~중 적어도 하나"라는 구는, 항목들의 리스트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열거된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조합을 사용할 수 있고, 그 리스트의 하나의 항목만이 필요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 B,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와 B, A와 C, B와 C, A와 B와 C 중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후술하는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 또는 지원될 수 있으며, 각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로부터 형성되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실시된다.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이라는 용어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명령어들의 세트, 프로시저, 함수, 오브젝트, 클래스, 인스턴스, 관련 데이터, 또는 적절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하도록 적응된 이들의 일부를 가리킨다.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라는 구는, 소스 코드, 오브젝트 코드 및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라는 구는, ROM, 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CD, DVD, 또는 다른 임의의 유형의 메모리 등의,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매체를 포함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시적인 전기 신호 또는 기타 신호를 이송하는 유선형, 무선형, 광학 또는 기타 터브신 링크들을 배제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매체 및 재기입가능 광 디스크 또는 소거가능 메모리 장치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고 나중에 겹쳐쓰기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후술하는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결합된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거나 지원될 수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는 그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정의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이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 다른 소정의 단어와 구에 대한 정의를 정의한다. 터브상의 기술자는, 대부분의 경우는 아니지만 많은 경우에, 이러한 정의들이 이러한 단어와 구의 사전 이용 및 사후 이용에 적용된다는 점을 이해하도록 한다.
성긴 필터 및 조밀 필터를 포함하는 2단계 여과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식기세척기의 여과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시에 챠퍼 시스템을 생략할 수 있어 소음 방지 및 에너지 효율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조밀 필터는 분산 시스템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역세 노즐을 사용하여 자동 세척이 가능하므로, 번거로운 수동 세척을 생략할 수 있어 식기세척기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식 여과 시스템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내부를 도시한 상면도
도 1b는 도 1a의 식기세척기의 내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a의 식기세척기의 내부의 일부의 측면을 도시한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a에 도시된 레일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a의 식기세척기의 수압 레이아웃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를 도시한 상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도 1a 내지 도 5e 및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일 뿐이며, 어떠한 식으로든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터브상의 기술자라면, 본 개시 내용의 원리가 적절히 배치된 임의의 장치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북미 및 기타 일부 국가의 대부분의 식기세척기들은 "챠퍼"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사이징 플레이트와 블레이드 조립체의 조합이다. 사이징 플레이트는, 대략 평평하며, 음식물과 오염물 입자들이 크기 설정되고 여과될 수 있는 작은 구멍들을 많이 포함한다. 터브상적인 식기세척기에서, 사이징 플레이트는 직경이 약 2인치이고 두께가 약 1/32인치이다. 사이징 플레이트와 블레이드 조립체는, 오염물이 있는 식기에 물을 전달하는 세척 아암(arms) 또는 기타 분사 노즐에 음식물 입자들이 도달하기 전에 그 음식물 입자들의 크기를 제어한다. 사이징 플레이트의 구멍들은, 사이징 플레이트의 구멍들을 통과하는 입자들이 세척 아암이나 노즐의 더욱 큰 구멍들도 통과할 수 있도록 임의의 세척 아암이나 분사 노즐의 직경 또는 크기보다 작도록 선택되는 직경을 갖는다.
챠퍼 시스템에는, 음식물 입자들의 크기를 줄이도록 음식 입자들을 잘게 자름으로써 더욱 많은 입자들이 생성되고, 이들의 대부분이 세척 아암 노즐을 통해 펌핑되고 세척될 식기류 위로 다시 오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잘게 잘라진 입자들의 크기가 더욱 작아지고 개수가 증가함으로 인해, 입자들을 수집하여 여과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진다. 또한, 챠퍼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소음이 있어서, 더욱 큰 섬프 공간이 필요하고, 에너지 효율이 덜하다.
대안으로, 터브상적인 유럽식 식기세척기는, 챠퍼 시스템에 비해 조용하며 에너지 효율이 좋다. 유럽식 식기세척기는, 터브상적으로, 여과된 유체를 주 펌프 석션 입력부로 분리하고 여과액을 오염물 수집 영역으로 분리하는 크고 성긴 스크린 필터를 갖는다. 여과된 유체는, 물 분산 시스템을 막지 않을 정도로 작은 크기의 입자들을 포함한다. 여과된 유체는 주 세척 펌프에 의해 재순환된다. 성긴 스크린 필터로부터의 여과액의 일부는 이차 조밀 스크린 필터를 통과하고 주 펌프 석션 입력부로 공급되는 한편, 여과된 오염물은 오염물 수집 영역으로 향한다. 터브상적으로, 조밀 스크린 필터는, 섬프에 잠기고, 식기세척기 사용자에 의해 때로는 매 세척 사이클만큼 주 수동 세척되어야 한다. 유럽식 시스템은 챠퍼 시스템이 없어서 더욱 작은 섬프를 허용하며 잡음을 덜 발생시키는 한편, 조밀 필터를 수동 세척해야 하는 것은 사용자에겐 상당히 불편한 점이다. 또한, 마이크로 필터 막힘은 이러한 시스템들에서 흔한 문제이었으며, 작은 오염물 입자들을 식기세척기로부터 제거하는 희석 기술들은 터브상적으로 세척 효과를 위해 더욱 많은 물과 에너지를 사용하게 된다.
다양한 유형의 자동세척식 여과 시스템들을 일부 챠퍼식 식기세척기에서 시도해 왔지만, 이러한 시스템들은 회전형 물 분사 시스템을 위해 설계된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 및 다른 문제점을 다루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북미식 및 유럽식 식기세척기들의 장점들을 포함하면서 이러한 양측 유형의 식기세척기들의 단점들을 제거하는 식기세척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개시한 실시예들은, 대면적 성긴 필터 및 작은 조밀 필터를 포함하는 2단계 여과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성긴 필터는, 여과된 유체를 주 펌프 석션 입력부로 분리하고 여과액을 오염물 수집 영역으로 분리하는 성긴 스크린 필터이다. 여과된 유체는, 물 분산 시스템을 막지 않는 크기의 입자들을 함유하며, 주 세척 펌프에 의해 재순환된다. 여과된 유체의 작은 퍼센트는, 조밀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되는 방지 영역으로 향한다. 조밀 필터는, 분산 시스템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역세 노즐을 사용하여 자동 세척되며, 수동 세척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척식 여과 시스템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내부를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식기세척기의 내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의 식기세척기의 내부의 일부의 측면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터브상의 기술자라면, 간략성과 명료성을 위해, 이후 도면들에 관하여 도시된 특징부들과 구성요소들을 포함한 일부 특징부들 및 구성요소들이 명백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후 도면들에 도시한 특징부들을 포함한 이러한 특징부들은, 식기세척기(10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모든 특징부들은 설명하는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채택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도면으로부터 특징부 또는 구성요소를 생략하는 것은, 간략성과 명료성을 위한 것이며, 그 특징부 또는 구성요소가 해당 도면에 관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 채택될 수 없음을 의미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00)는 터브(102), 성긴 필터(coarse filter)(104), 섬프(106), 세척기 아암(108), 레일(110), 조밀 필터(112), 역세 노즐(backwash nozzle)(114), 복수의 분사 노즐(116) 및 편향기(118)를 포함한다.
터브(102)는 터브(102)의 중심 부분을 향하여 대략 아래로 경사지는 하부면을 갖고, 이에 따라 물이 중심 부분에서 수집될 수 있다. 성긴 필터(104)는 터브(102)의 하부면에, 일반적으로 중심 부분에 배치되지만, 반드시 터브(102)의 중심 부분에 정확히 배치될 필요는 없다. 섬프(106)는, 성긴 필터(104)의 아래에 위치하며, 터브(102)의 하부면의 최저 레벨과 대략 일치한다. 세척 사이클 동안, 터브(102)에 분사되는 물은 성긴 필터(104)를 통해 재순환을 위해 주 펌프(도시하지 않음) 내에 물이 입력되는 섬프(106) 내로 낙하한다. 배수 사이클 동안, 섬프(106)의 물은 섬프(106)에 결합된 배수부(도시하지 않음)로 흐르게 된다.
성긴 필터(104)는, 대면적이며 대략 평면형의 성긴 스크린 필터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성긴 필터(104)는, 대략적인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일 수 있고, 가로로 약 8인치일 수 있지만, 식기세척기(100)의 구성에 따라 더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세척 사이클 동안, 터브(102)에 분사되는 물은 터브(102)의 하부면으로 낙하하고 성긴 필터(104)를 통과한다. 성긴 필터(104)는, 더욱 큰 오염물 입자들을 포획하지만 여과된 물은 섬프(106) 내로 흐를 수 있게 하는 개구를 가진다. 여과된 물은 주 세척 펌프에 의해 분사 노즐(116)로 다시 재순환된다. 여과된 물은 물 분산 시스템을 막지 않을 정도로 작은 크기의 오염물 입자들을 함유한다. 성긴 필터(104)에 의해 포획되는 더욱 큰 오염물 입자들은 오염물 수집 영역으로 여과된다. 성긴 필터(104)를 사용함으로써, 챠퍼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식기세척기(100)가 성공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세척기 아암(108)은, 실질적으로 터브(102)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으로 연장되며, 세척기 아암(108)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분사 노즐(116)을 포함한다. 세척기 아암(108)은 레일(110)을 따른 움직임을 위해 장착된다. 세척 사이클 동안, 세척기 아암(108)은 터브(102)의 후방 부분으로부터 터브(102)의 전방 부분으로 레일(110)을 따라 반복적으로 이동하고, 다시 반대로 이동한다. 세척기 아암(108)이 이동하는 동안, 다양한 분사 노즐들(116)로부터의 물이 터브(102)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사되어 식기 탑재물을 세척한다.
도 2의 블록도의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기 아암(108)은, 더욱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역세 노즐(114)로부터 분사되는 물을 수용하고 그 물을 조밀 필터(112)의 스크린의 노출된 면(이하, 정면이라 칭함)으로 하향 편향시키는 편향기(118)를 포함한다. 조밀 필터(112)는, 성긴 필터(104)의 개구들보다 작은 개구들을 가지는 조밀한 스크린 필터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기(118)의 수평 위치는 레일(110)과 조밀 필터(112)의 위에서 대략 세척기 아암(108)의 중심에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이다. 편향기(118)는 일반적으로 조밀 필터(112) 위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세척기 아암(108) 상의 편향기(118)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조밀 필터(112)의 위치에 의존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편향기(118)는, 또한, 하나 이상의 분사 노즐(116)로부터의 물을 세척할 식기 탑재물로 편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편향기(118)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보다 넓을 수 있다.
레일(110)은 터브(102)의 하부면 위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상승되는 실질적으로 선형 레일이다. 레일(110)은, 세척기 아암(108)의 움직임을 레일(110)을 따라 앞뒤로 유도하도록 하나 이상의 유도 레일, 채널, 또는 다른 구축물을 포함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a에 도시된 레일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는, 하기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도록 조밀 필터(112)를 레일(110)의 상부로부터 제거하였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0)은, 공급 파이프(302), 공급 개구(304), 공급 물 채널(306), 입력부(308), 오염물 축적 챔버(310), 배수 입구(312) 및 배수 파이프(314)를 포함한다. 성긴 필터(104)에 의해 여과된 주 펌프로부터의 물의 일부는, 공급 파이프(302)를 통해 레일(110)에 유입되고, 공급 물 채널(306)을 따라 공급 개구(304)를 통과한다. 이어서, 물은 입력부(308)를 통해 오염물 축적 챔버(310) 내로 흐른다. 도 3b는 개별적인 공급 물 채널(306)과 입력부(308)를 제거한 더욱 간략화된 버전의 레일(110)을 도시한다. 도 3b에서, 물은 공급 개구(304)를 통과하여 오염물 축적 챔버(310) 내로 직접 흐른다.
오염물 축적 챔버(310) 상에는 조밀 필터(112)가 있다. 일단 오염물 축적 챔버(310)가 채워지면, 오염물 축적 챔버(310) 내로 물이 연속 공급됨으로써 물이 조밀 필터(112)의 후방측(즉, 조밀 필터(112)의 스크린의 후면)으로부터 스크린의 조밀 필터 개구를 통해 상향으로 통과하여 조밀 필터(112)의 상부측(즉, 스크린의 정면)을 벗어나 흐르게 된다. 이어서, 물은 레일(110)로부터 쏟아져 결국 섬프(106) 내로 다시 향하게 된다.
조밀 필터(112)에 의해 포획된 조밀 입자들은 오염물 축적 챔버(310) 내에 유지된다. 이러한 오염물 축적 챔버(310) 내의 입자들은 조밀 필터(112)의 후방측 상의 스크린 개구를 막히게 하는 경향이 있다. 막힘을 최소화하도록, 역세 노즐(114)이, 세척기 아암(108)과 함께 앞뒤로 이동하는 대략 편향기(118)의 방향으로 물을 분사한다. 분사된 물은, 도 2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편향기(118)와 충돌하고 조밀 필터(112)의 스크린 개구를 통해 하향으로 편향된다. 분사는 일반적으로 좁은 패턴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편향된 물은 편향기(118) 아래에서 상당히 국부적인 패턴으로 조밀 필터(112)와 접촉한다. 물은, 그 지점에서 조밀 필터(112)를 막히게 할 수 있는 임의의 입자들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분리한다. 세척기 아암(108)과 편향기(118)가 레일(110) 및 조밀 필터(112)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조밀 필터(112)의 다른 부분들이 분사된다. 또한, 역세 노즐(114)과 편향기(118)는, 세척기 아암(108)이 터브(102) 내에서 앞뒤로 이동함에 따라 조밀 필터(112)의 연속적인 세척을 제공한다. 이는, 막힘 없이 또는 막힘이 거의 없이 조밀 필터(112)를 통한 연속적 여과를 가능하게 한다.
오염물 축적 챔버(310)는 과도한 입자들을 제거하도록 배수 파이프(314)를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이는, 식기세척기의 배수 사이클 동안 또는 오염물 축적 챔버(310)의 세척 사이클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오염물 축적 챔버(310)의 바닥은 배수 입구(312)를 향하여 약간 하향 경사진다. 그 경사에 의해, 오염물 축적 챔버(310) 내의 오수가 배수 입구(312)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오염물 축적 챔버(310)가 배수되는 동안, 역세 노즐(114)은 물을 분사하여 조밀 필터(112)의 스크린에 부착된 입자들을 느슨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입자들이 배수될 수 있다. 이는 스크린이 매우 막혀서 스크린을 통한 물의 흐름이 감소되는 상황에서 유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압력 센서 또는 흐름 센서는, 오염물 축적 챔버(310) 내의 압력의 증가 또는 조밀 필터(112)나 오염물 축적 챔버(310)를 통한 물의 흐름 감소를 검출할 수 있고, 오염물 축적 챔버(310)의 배수는, 검출된 물의 흐름 감소가 소정의 임계값 미만으로 될 때 자동 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오염물 축적 챔버(310)에 연관된 전용 배수 밸브는 전체 터브(102)을 배수하지 않고서 오염물 축적 챔버(310)가 배수될 수 있게 한다. 이는 배수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자원을 절약한다.
도 4는 도 1a의 식기세척기의 수압 레이아웃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수압 레이아웃(400)의 실시예는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 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수압 레이아웃(400)의 다른 실시예들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3b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에 더하여, 식기세척기(100)는, 물 공급부(402), 주 펌프(404), 주 펌프 물 수집 영역(406), 다수의 오리피스(408 내지 410), 다수의 체크 밸브(412 내지 414), 퍼넬(416), 및 오염물 수집 영역(418)을 포함한다.
세척 사이클 동안, (재순환된 세척수, 물 공급부(402) 등으로부터 나온 것일 수 있는) 성긴 필터(104)를 통과하는 액체 및 미립자들은, 주 펌프 물 수집 영역(406)에 수집될 수 있고 주 펌프(404)로 향할 수 있다. 주 펌프(404)는 체크 밸브들(412 내지 414)의 작동에 따라 물을 다수의 영역들로 향하게 한다. 대부분의 물(예를 들어, 약 80%)은 주 물 공급 라인으로 향하며, 식기 탑재물을 세척하는 데 사용된다. 물의 적은 부분(예를 들어, 20% 미만)은 오염물 축적 챔버(310)로 이어지는 오리피스(408)로 향한다. 실시예에 따라, 물의 퍼센트는, 체크 밸브(412), 오리피스(408), 또는 그 체크 밸브와 오리피스 모두에 의해 제어 가능하다. 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오염물 축적 챔버(310) 내로 유입된 후 조밀 필터(112)를 통해 상향으로 흘러 터브(102)에 재유입되기 전에 추가 미립자들을 제거한다.
물의 다른 부분(예를 들어, 10% 미만)은 역세 노즐(114)로 이어지는 오리피스(410)로 향한다. 실시예에 따라, 물의 퍼센트는, 체크 밸브(414), 오리피스(410), 또는 그 체크 밸브와 오리피스 모두에 의해 제어 가능하다. 역세 노즐(114)은 조밀 필터(112)로 향하는 물을 분사한다. 역세 노즐(114)로부터 분사된 물은 (편향기(118)를 통해) 조밀 필터(112)와 충돌하여 조밀 필터(112)에 의해 포획되어 있는 오염물 축적 챔버(310) 내의 임의의 미립자들을 분리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주 물 공급 라인은 조밀 필터(112)를 세척하도록 조밀 필터(112)로 향하는 터브 내부로부터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조밀 필터(112)는, 자동 세척되며, 수동 세척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밀 필터(112)의 세척은 세척기 아암(108)의 작동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즉, 세척기 아암(108)이 세척 모드에서 물을 분사할 때마다, 역세 노즐(114)도 물을 분사하여 조밀 필터(112)를 세척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밀 필터(112)의 세척은 세척기 아암(108)의 작동과는 무관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밀 필터(112)의 세척은 세척이 아암(108)이 능동적으로 분사를 행하지 않을 때 배수 사이클 동안에도 발생할 수 있다. 체크 밸브들(412 내지 414)의 프로그래밍가능 제어는 조밀 필터(112)의 세척 시점을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섬프(106)는 퍼넬(funnel)(416)을 포함할 수 있다. 퍼넬(416)은 성긴 필터(104)를 통과할 수 없는 미립자들을 수집하도록 오염물 수집 영역(418)으로 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식기세척기(100)는, 오염물 축적 챔버(310)를 개별적으로 배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삼방 파일럿 밸브 등의 밸브(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회전형 아암 분사 시스템을 갖는 식기세척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한 식기세척기들은, 도 1a의 식기세척기(100)와 동일한 부품들 중 상당수를 포함하며, 다양한 실시예들의 간략성과 명료성을 위해, 그러한 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반복하지 않는다.
도 5a에서, 식기세척기(501)는, 식기세척기(501)의 하나의 측벽 근처에서 터브(102)의 하부면 상에 배치된 조밀 필터(112)를 포함한다. 조밀 필터(112) 아래에는, 오염물 축적 챔버, 및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부품들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타 부품들이 있다. 식기세척기(501)에서, 역세 노즐(114)은 조밀 필터(112)의 중심 라인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유사하게, 편향기(118)는 조밀 필터(112)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세척기 아암(108)의 일 단부 근처에 위치한다. 편향기(11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역세 노즐(114)로부터 분사되는 물을 수용하고, 그 물을 조밀 필터(112)로 편향시킨다.
도 5b에서, 식기세척기(502)는 도 5a의 조밀 필터(112)와 유사한 위치에서 제1 조밀 필터(112)를 포함한다. 식기세척기(502)는, 또한, 제 1조밀 필터(112)와는 반대측인 터브(102)의 하부면의 위치에 제 2조밀 필터(112)를 포함한다. 따라서, 식기세척기(502)는 추가 여과 능력을 위해 두 개의 조밀 필터(502)를 특징으로 한다. 도 5b의 조밀 필터들(112)의 각각은, 도 5a의 조밀 필터(1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오염물 축적 챔버 등을 포함한 대응하는 부품들을 포함한다. 식기세척기(502)는, 또한, 두 개의 역세 노즐(114) 및 두 개의 편향기(118)를 포함하고, 각 역세 노즐(114)과 편향기(118)는 조밀 필터들(112) 중 하나와 정렬된다.
도 5c에서, 식기세척기(503)는 터브(102)의 측벽에 배치된 조밀 필터(112)를 포함한다. 조밀 필터(112) 뒤에는, 오염물 축적 챔버, 및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부품들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타 부품들이 있다. 식기세척기(503)에서, 편향기(118)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기 아암(108)의 일 단부 근처에 위치하며, 역세 노즐(114)로부터의 물을 조밀 필터(112)를 향하는 측으로 편향시키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도 5d에서, 식기세척기(504)는 터브(102)의 서로 반대측 측벽들에 배치된 두 개의 조밀 필터(112)를 포함한다. 식기세척기(504)는, 또한, 두 개의 역세 노즐(114)과 두 개의 편향기(118)를 포함하고, 각 역세 노즐(114)과 편향기(118)는 조밀 필터들(112) 중 하나에 연관된다.
도 5e에서, 식기세척기(505)는, 세척기 아암(108)의 레일 상이 아니라 터브(102)의 중심 라인 근처에서 성긴 필터(104) 위에 배치된 조밀 필터(112)를 포함한다. 조밀 필터(112)의 아래(및 성긴 필터(104)의 위)에는, 오염물 축적 챔버, 및 도 3a와 도 3b에 도시한 부품들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타 부품들이 있다. 식기세척기(505)에서, 편향기(118)와 역세 노즐(114)은 조밀 필터(112)와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도 5a 내지 도 5e에서, 조밀 필터(112) 및 대응하는 부품들(예를 들어, 오염물 축적 챔버 등)은 레일(110)과 일치하지 않으므로, 레일(110)을 더욱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110)은 세척기 아암(108)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것에 연관된 부품들만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5e는 식기세척기의 서로 다른 예들을 도시하고 있지만, 도면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식기세척기들은 각 부품의 임의의 개수를 임의의 적절한 배열로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들은 다양한 구성으로 유행하며, 도 1a 내지 도 5e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임의의 특정한 구성(들)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 1a 내지 도 5e는 본 개시 내용에서 개시된 다양한 여과 및 세척 특징부들이 사용될 수 있는 동작가능 환경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특징부들은 다른 임의의 적절한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501,502,503,504.505: 식기세척기 102: 터브
104: 성긴 필터 106: 섬프
108: 세척기 아암 110: 레일
112: 조밀 필터 114: 역세 노즐
116: 분사 노즐 118: 편향기
302: 공급 파이프 304: 공급 개구
306: 공급 물 채널 308: 입력부
310: 오염물 축적 챔버 312: 배수 입구
314: 배수 파이프 400: 수압 레이아웃
402: 물 공급부 404: 주 펌프
406: 주 펌프 물 수집 영역 408, 410: 오리피스
412, 414: 체크 밸브 416: 퍼넬
418: 오염물 수집 영역

Claims (20)

  1. 식기세척기 여과 시스템으로서,
    상기 식기세척기의 터브 안에 배치되고, 주 세척 펌프로 향하는 물을 여과하도록 구성된 성긴(coarse) 필터와,
    상기 주 세척 펌프로부터의 물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염물 축적 챔버와, 상기 오염물 축적 챔버의 개구를 커버하고 상기 오염물 축적 챔버 내에 수용된 상기 물의 일부를 여과하도록 구성된 조밀 필터를 포함하는 레일과,
    상기 터브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터브의 타 측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터브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세척기 아암과,
    상기 세척기 아암에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세척기 아암과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역세 노즐과,
    상기 역세 노즐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세척기 아암에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세척기 아암과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분사 노즐과,
    상기 세척기 아암에 배치되며, 상기 조밀 필터의 세척을 위해 상기 역세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을 상기 조밀 필터로 편향시키고, 상기 터브 안에 배치된 식기 탑재물의 세척을 위해 상기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을 상기 식기 탑재물로 편향시키도록 마련되는 편향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여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기는,
    상기 조밀 필터 위에 위치하며,
    상기 역세 노즐로부터의 물을 상기 조밀 필터로 하향 편향시키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여과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 노즐로부터의 물은, 상기 편향기에 의해 편향되어 상기 조밀 필터의 정면에 분사되고, 상기 조밀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조밀 필터의 후면에 고정된 입자들을 분리하는 식기세척기 여과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밀 필터와 상기 오염물 축적 챔버는 상기 식기세척기의 터브의 하부면에 배치된 식기세척기 여과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 축적 챔버로 흐르는 물의 퍼센트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1 밸브와,
    상기 역세 노즐로 흐르는 물의 퍼센트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2 밸브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여과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 축적 챔버로부터 외부로 흐르는 물은, 상기 식기세척기의 터브를 배수하지 않고서 상기 오염물 축적 챔버로부터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전용 배수 밸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되는 식기세척기 여과 시스템.
  12. 식기세척기로서,
    터브와,
    주 세척 펌프와,
    상기 터브 내에 배치되고, 상기 주 세척 펌프로 향하는 물을 여과하도록 구성된 성긴 필터와,
    상기 주 세척 펌프로부터의 물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염물 축적 챔버와, 상기 오염물 축적 챔버의 개구를 커버하고 상기 오염물 축적 챔버 내에 수용된 상기 물의 일부를 여과하도록 구성된 조밀 필터를 포함하는 레일과,
    상기 터브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터브의 타 측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터브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세척기 아암과,
    상기 세척기 아암에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세척기 아암과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역세 노즐과,
    상기 역세 노즐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세척기 아암에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세척기 아암과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분사 노즐과,
    상기 세척기 아암에 배치되며, 상기 조밀 필터의 세척을 위해 상기 역세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을 상기 조밀 필터로 편향시키고, 상기 터브 안에 배치된 식기 탑재물의 세척을 위해 상기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을 상기 식기 탑재물로 편향시키도록 마련되는 편향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 노즐로부터의 물은, 상기 편향기에 의해 편향되어 상기 조밀 필터의 정면에 분사되고, 상기 조밀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조밀 필터의 후면에 고정된 입자들을 분리하는 식기세척기.
  17. 삭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밀 필터와 상기 오염물 축적 챔버는 상기 터브의 하부면에 배치된 식기세척기.
  19. 삭제
  20. 삭제
KR1020160085702A 2016-03-17 2016-07-06 식기세척기를 위한 자동세척식 여과 시스템 KR102591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73,478 2016-03-17
US15/073,478 US10448801B2 (en) 2016-03-17 2016-03-17 Self-cleaning filtration system for a dishwas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747A KR20170108747A (ko) 2017-09-27
KR102591377B1 true KR102591377B1 (ko) 2023-10-19

Family

ID=59848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702A KR102591377B1 (ko) 2016-03-17 2016-07-06 식기세척기를 위한 자동세척식 여과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48801B2 (ko)
KR (1) KR1025913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4450A (zh) * 2018-04-23 2019-10-29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自清洁过滤系统及洗碗机
KR102617077B1 (ko) 2023-06-20 2023-12-21 권현진 식기세척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5435A (en) 1991-08-19 1992-11-24 Whirlpool Corporation Wash arm assembly for a domestic dishwasher
US20020014260A1 (en) * 2000-05-07 2002-02-07 Lg Electronics, Inc. Passageway structure of dishwasher
US20030029781A1 (en) 2000-12-22 2003-02-13 Hegeman Arjan Johannes Dishwasher fine filter assembly with full drain slop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6791A (en) * 1937-03-02 1941-04-01 Laval Separator Co De Dishwashing machine
US3177095A (en) * 1961-01-23 1965-04-06 G M Gibson Corp Method for washing articles
IT8434002V0 (it) * 1984-01-05 1984-01-05 Zanussi A Spa Industrie Macchine lavastoviglie con filtro salvapompa autopulente.
JPH01209039A (ja) * 1988-02-16 1989-08-22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い機
US5803106A (en) 1995-12-21 1998-09-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Ultras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flow rate of a liquid through an orifice
US5803100A (en) 1995-08-25 1998-09-08 Whirlpool Corporation Soil separation channel for dishwasher pump system
JP2665901B2 (ja) 1995-10-27 1997-10-22 難波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ウレタンエラストマを使った立体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5730805A (en) 1996-08-08 1998-03-24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filter back-wash system independent from lower wash arm
US5909743A (en) 1997-09-10 1999-06-08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purge filtration system for a dishwasher
US6182674B1 (en) 1996-11-19 2001-02-06 Whirlpool Corporation Pump and soil collection system for a dishwasher
JP4437351B2 (ja) 2000-01-14 2010-03-24 キヤノンアネルバ株式会社 プラズマエッチング装置
US6782899B2 (en) * 2000-12-14 2004-08-31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US6615853B2 (en) 2001-01-03 2003-09-09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fine filter pressure relief
US7241347B2 (en) 2002-07-02 2007-07-10 Whirlpool Corporation Adaptive drain and purge system for a dishwasher
KR100441019B1 (ko) 2002-07-09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7467636B2 (en) 2004-08-31 2008-12-23 Maytag Corporation Dishwasher pump and filtration system
KR100772224B1 (ko) 2004-12-07 2007-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섬프 구조
KR101138135B1 (ko) 2004-12-07 2012-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자정 필터 조립 구조
KR101135855B1 (ko) 2004-12-07 2012-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자연 배수 방지 구조
US7610923B2 (en) 2005-02-09 2009-11-03 Maytag Corporation Pump and filter system for a drawer-type dishwasher
CN2873093Y (zh) 2005-08-10 2007-02-28 Bsh博施及西门子家用器具有限公司 洗碗机、特别是家用洗碗机
KR101270538B1 (ko) 2006-07-12 2013-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1283781B1 (ko) 2006-09-27 2013-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US8377228B2 (en) * 2006-12-08 2013-02-19 General Electric Company Wash fluid distribution and filtration assembly and method
US8973591B2 (en) 2011-06-08 2015-03-10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with a motor driven filter backflush system and associated backflush method
EP2818090B1 (en) 2013-06-27 2016-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ing machine and sump assembly thereof
US10034595B2 (en) 2013-11-11 2018-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362924B2 (en) 2013-11-12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Jet unit, jet nozz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h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2379020B1 (ko) * 2013-12-31 2022-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5435A (en) 1991-08-19 1992-11-24 Whirlpool Corporation Wash arm assembly for a domestic dishwasher
US20020014260A1 (en) * 2000-05-07 2002-02-07 Lg Electronics, Inc. Passageway structure of dishwasher
US20030029781A1 (en) 2000-12-22 2003-02-13 Hegeman Arjan Johannes Dishwasher fine filter assembly with full drain sl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65712A1 (en) 2017-09-21
US10448801B2 (en) 2019-10-22
KR20170108747A (ko)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3525B2 (en) Ultra micron filter for a dishwasher
EP2283762B1 (de)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EP1543759B1 (en) Device for supplying washing water in dish washer
US7935195B2 (en) Multi-tank dishwasher comprising a backwash device
US20060237049A1 (en) Primary filter cleaning system for a dishwasher
US10058228B2 (en) Soil chopping system for a dishwasher
WO2009077280A1 (de)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EP2213217A1 (en) Dishwasher and method for cleaning a filter provided between a tub and a sump of a dishwasher
JPS6319180B2 (ko)
EP3139808B1 (en) Warewasher wash arm filter arrangement
WO2006116434A1 (en) Dishwasher collection chamber filter cleaning system
WO2009077290A1 (de)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mit einem selbstreinigenden filtersystem
KR20090061479A (ko) 식기세척기
US10022034B2 (en) Dishwasher appliance and method
US8746461B2 (en) Filter for cleaning machines
US20110114122A1 (en) Water-conducting household appliance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KR102591377B1 (ko) 식기세척기를 위한 자동세척식 여과 시스템
KR20150089762A (ko) 식기 세척기
KR100438270B1 (ko) 식기세척기
US9326658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ishwasher appliance
US7942156B2 (en) Screening arrangement for a dishwashing appliance, and associated apparatus
US20150129511A1 (en) Dishwashe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n appliance
US20150129512A1 (en) Dishwasher appliance and a method for filtering liquid in an appliance
KR20170011113A (ko) 식기세척기
CN101822919B (zh) 洗碗机的过滤装置及具备此过滤装置的洗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