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992A - 압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압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992A
KR20100089992A KR1020090009209A KR20090009209A KR20100089992A KR 20100089992 A KR20100089992 A KR 20100089992A KR 1020090009209 A KR1020090009209 A KR 1020090009209A KR 20090009209 A KR20090009209 A KR 20090009209A KR 20100089992 A KR20100089992 A KR 20100089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sotropic conductive
conductive film
substrate
roller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김종한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9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9992A/ko
Publication of KR20100089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9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46Connecting or feeding means, e.g.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7/00Detai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and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7/14Means for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ressure within the vess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05K3/323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by apply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layer over an array of p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94Means for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ressure within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Wire Bonding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압착 유닛은 압착 롤러 및 열풍 기구를 포함한다. 압착 롤러는 이형 필름에 부착되어 기판과 벌어진 상태로 공급되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기판에 압착시킨다. 열풍 기구는 압착 롤러의 이방성 도전 필름이 공급되는 위치에서 서로 벌어져 있는 이방성 도전 필름과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이방성 도전 필름과 기판에 열풍을 제공한다. 따라서, 열에 의하여 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부착 장치{PRESSING UNIT AND APPARATUS FOR BONDING A FIL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에 이방성 도전 필름을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을 상기 기판에 압착하는 유닛 및 이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을 상기 기판에 부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 기판은 일면에 전기적인 회로 패턴과 같이 다수의 전기 소자들이 실장되면서 다른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가 평판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소자용 표시 기판일 경우 상기 회로 기판에는 내부에 다수의 도전 입자들이 포함된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 ACF)이 별도의 필름 부착 장치를 통해 부착되어 상기 표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필름 부착 장치는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을 이를 보호하기 위한 이형 필름에 부착한 상태로 공급하는 공급 롤러, 상기 공급 롤러로부터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이 부착된 상기 이형 필름을 전달 받아 상기 회로 기판에 가압하여 부착하 는 압착 롤러 및 상기 압착 롤러에 의해 상기 기판에 부착된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부터 박리된 상기 이형 필름을 회수하는 회수 롤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이 상기 회로 기판에 보다 잘 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회로 기판은 발열선이 내장된 백 플레이트에 놓여져 가열된다.
이럴 경우,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발열선이 내장된 상기 백 플레이트에 의해서 전면적에 대하여 직접 열을 받음으로써, 상기 열에 의해 변형되거나 상기 열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열에 의해 기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착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압착 유닛을 포함하는 필름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압착 유닛은 압착 롤러 및 열풍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압착 롤러는 이형 필름에 부착되어 기판과 벌어진 상태로 공급되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기판에 압착시킨다. 상기 열풍 기구는 상기 압착 롤러의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이 공급되는 위치에서 서로 벌어져 있는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과 상기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과 상기 기판에 열풍을 제공한다.
상기 열풍 기구는 상기 열풍이 유입되는 베이스관 및 상기 베이스관과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관에 유입된 열풍을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과 상기 기판으로 분배하는 분배관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관은 내열성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분배관은 열전도성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풍 기구는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과 상기 기판에 제공되는 열 풍에 의해 가열되는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분배관을 높이를 조절하면서 고정하는 고정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 유닛은 상기 압착 롤러와 상기 열풍 기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을 상기 기판의 표면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롤러와 상기 압착 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에 열을 제공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터는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과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판 및 상기 가열판과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홀을 가지면서 상기 가열판을 고정하는 고정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착 유닛은 상기 히터와 상기 가이드 롤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을 상기 기판에 예비 압착시키는 예비 압착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필름 부착 장치는 공급 롤러, 압착 유닛, 커터 및 회수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 롤러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이형 필름에 부착된 상태로 공급한다. 상기 압착 유닛은 상기 공급 롤러의 하부에서 기판과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공급 롤러로부터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을 공급 받아 상기 기판에 부착시킨다.
상기 커터는 상기 공급 롤러와 상기 압착 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절단한다. 상기 회수 롤러는 상기 압착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압착 유닛에 의해 상기 기판에 부착된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상 기 이형 필름을 회수한다.
여기서, 상기 압착 유닛은 상기 공급 롤러로부터 상기 기판과 벌어진 상태로 공급되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상기 기판에 압착시키는 압착 롤러 및 상기 압착 롤러의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이 공급되는 위치에서 서로 벌어져 있는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과 상기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과 상기 기판에 열풍을 제공하는 열풍 기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압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부착 장치에 따르면, 압착 롤러의 이방성 도전 필름이 공급되는 위치에서 서로 벌어져 있는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과 기판에 열풍 기구를 통해 열풍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이 상기 기판에 잘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 기구가 상기 기판의 일부 면적에만 상기 열풍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기판이 상기 열풍으로 인하여 변형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을 상기 기판에 부착하는 공정에서 발생되는 상기 기판의 불량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상기 기판의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부착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부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름 부착 장치의 압착 유닛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부착 장치(1000)는 공급 롤러(100), 압착 유닛(200), 커터(400) 및 회수 롤러(60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 롤러(100)는 회로 패턴이 형성되면서 다수의 전기 소자들이 실장된 기판(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기판(10)은 상부면이 평평한 백 플레이트(20)에 놓여진다. 상기 공급 롤러(100)는 이형 필름(30)에 부착된 상태로 감겨진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40)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은 내부에 다수의 도전 입자들이 포함된다.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은 양면이 접착성을 갖는다. 이에,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을 통해 두 개의 단자들을 접착시킬 경우, 상기 단자들은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의 도전 입자들을 통해 전기적으로 도통되게 된다.
또한, 상기 이형 필름(30)은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이 그 특징 상 양면 이 접착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을 감을 때 서로 접촉하는 부분이 접착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이형 필름(30)은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이 잘 떼어질 수 있도록 양면이 접착성이 낮은 물질로 매끄럽게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압착 유닛(200)은 상기 공급 롤러(100)의 하부에서 상기 백 플레이트(20)에 놓여진 기판(10)과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압착 유닛(200)은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을 상기 이형 필름(30)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기판(10)에 압착한다. 이로써, 상기 압착 유닛(200)은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을 상기 기판(10)에 부착시킨다.
이러한 상기 압착 유닛(200)은 압착 롤러(210) 및 열풍 기구(220)를 포함한다. 상기 압착 롤러(210)는 상기 공급 롤러(100)로부터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을 상기 이형 필름(30)에 부착된 상태로 공급 받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착 롤러(210)에는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이 상기 기판(10)과 벌어진 상태로 공급된다.
상기 압착 롤러(210)는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을 상기 백 플레이트(20)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10)으로 가압한다. 이때, 상기 압착 롤러(210)는 직선 구동력을 발생하는 실린더에 의하거나, 탄성을 갖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를 통해 가압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 롤러(210)가 상기 기판(10)을 가압할 때, 상기 기판(10)은 상기 백 플레이트(20)에 의해서 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압착 롤러(210)는 실질적으로 상기 가압력을 통해 회전하면서 상기 이 방성 도전 필름(40)을 상기 기판(10)에 부착한다. 이에,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은 상기 공급 롤러(100)로부터 상기 압착 롤러(210)에 벨트 형태로 공급된다.
상기 열풍 기구(220)는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이 상기 압착 롤러(210)에 의해 압착되기 전 위치, 즉 상기 압착 롤러(210)의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이 공급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풍 기구(220)는 서로 벌어져 있는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과 상기 기판(1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열풍 기구(220)는 외부의 송풍 장치(미도시)에서 일정 온도로 가열된 열풍(50)을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과 상기 기판(10)에 동시에 제공한다. 이로써,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과 상기 기판(10)은 상기 열풍 기구(220)의 열풍(50)을 통하여 상기 압착 롤러(210)에서 서로 잘 부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열풍 기구(220)에 대해서는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압착 유닛의 열풍 기구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열풍 기구(220)는 베이스관(230), 분배관(240), 클램프(250) 및 제1 고정 블록(26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관(230)에는 상기 송풍 장치(미도시)로부터 상기 열풍(50)이 유입된다. 이에, 상기 베이스관(230)은 상기 송풍 장치(미도시)와의 거리로 인해 길게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관(230)은 그 길이로 인해 작업자와의 접촉 면적도 넓으 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화상 등의 손해를 입힐 수 있는 바 내열성이 우수한 수지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관(230)은 폴리 이미드(polyimide) 재질을 포함하는 베스펠(vespel)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분배관(240)은 상기 베이스관(230)과 연결된다. 상기 분배관(240)은 상기 베이스관(230)에 유입된 열풍(50)을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과 상기 기판(10)으로 분배한다. 즉, 상기 분배관(240)은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 및 상기 기판(10) 각각으로 향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관(242, 243)들을 포함한다.
이에,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관(242, 243)들 각각의 단면적들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 및 상기 기판(10) 각각에 제공되는 상기 열풍(50)에 의해 가열되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관(242, 243)들 각각의 단면적들을 상기 열풍(50)이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과 상기 기판(10)에 과다하게 제공되지 않도록 조절함으로써,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이 들러붙거나 상기 기판(10)이 휘는 등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기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250)는 상기 베이스관(230)과 상기 분배관(240)의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클램프(250)는 일측 부위에 슬릿(252)을 갖는 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슬릿(252)을 조임으로써, 상기 베이스관(230)과 상기 분배관(240)을 고정한다.
상기 클램프(250)는 상기 베이스관(230)과 상기 분배관(240)의 사이에서 상기 열풍(50)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실링 부재(미도시)를 포함하 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블록(260)은 상기 분배관(240)을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고정 블록(260)은 상기 베이스관(230)과 상기 분배관(240)의 사이를 연결 고정하는 상기 클램프(250)와 결합된다.
상기 제1 고정 블록(260)은 상기 분배관(2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클램프(250) 제1 결합홀(254)과 볼트와 같은 부재를 통하여 결합되는 다수의 제2 결합홀(263)들이 형성된 조절판(262) 및 상기 조절판(262)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250)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클램프(25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판(26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결합홀(263)들은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관(242, 243)들 각각의 단면적들을 조절하는 것과 같이 상기 제1 고정 블록(260)의 조절판(262)을 통해서 상기 분배관(24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과 상기 기판(10)에 제공되는 상기 열풍(50)에 의해 가열되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관(242, 243)들 각각의 단면적들 조절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관(242, 243)들을 제작하기 전에 이용되는 방식이고, 상기 제1 고정 블록(260)의 조절판(262)에 의한 조절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관(242, 243)들을 제작한 다음 설치할 때 이용되는 방식이다.
한편, 상기 압착 유닛(200)은 가이드 롤러(270) 및 히터(2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롤러(270)는 상기 압착 롤러(210)와 상기 열풍 기구(2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롤러(270)는 상기 공급 롤러(100)로부터 공급되는 이방성 도전 필름(40)을 상기 기판(10)의 표면으로 가이드한다.
여기서, 상기 필름 부착 장치(1000)는 상기 가이드 롤러(270)에 의해 가이드되는 이방성 도전 필름(40)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아이들 롤러(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아이들 롤러(300)는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을 "S"자 형태로 교차하면서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280)는 상기 가이드 롤러(270)와 상기 압착 롤러(21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히터(280)는 상기 열풍 기구(220)에 의하여 가열된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에 열을 보조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이 상기 압착 롤러(210)를 통하여 상기 기판(10)에 보다 더 잘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히터(280)는 가열판(282) 및 제2 고정 블록(284)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판(282)은 외부의 구동 전원에 의해서 발열하는 발열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가열판(282)은 니크롬(nichrom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열판(282)은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가열판(282)은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에 너무 많은 열이 전달되어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이 오그라드는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에 부착된 이형 필름(30)과도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 고정 블록(284)은 상기 가열판(282)을 감싸면서 고정한다. 이에, 상기 제2 고정 블록(284)은 상기 가열판(282)을 고정하는 부위를 기준으로 두개로 분할된 제1 및 제2 블록(285, 287)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블록(285, 287)들 각각은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부 및 하부로 분할된다.
상기 제2 고정 블록(284)은 상기 가열판(282)과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의 사이 거리를 조절하면서 고정된다. 즉, 상기 제1 블록(285)에는 상기의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조절홀(286)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홀(286)을 따라 볼트(60)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상기의 사이 거리가 조절된다.
한편, 상기 압착 유닛(200)은 상기 히터(280)와 상기 가이드 롤러(270)의 사이에 배치된 예비 압착 롤러(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예비 압착 롤러(290)는 상기 공급 롤러(100)로부터 상기 압착 롤러(210)보다 먼저 공급된다.
상기 예비 압착 롤러(290)는 상기 압착 롤러(210)가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을 상기 기판(10)에 본격적으로 압착하기 전에,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을 상기 기판(10)에 예비적으로 압착시켜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의 압착 위치를 정렬시킴으로써,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을 상기 기판(10)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시킬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커터(400)는 상기 이형 필름(30)에 부착된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이 상기 공급 롤러(100)로부터 상기 압착 유닛(200)의 예비 압착 롤러(290)로 공급되는 중간 부위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터(400)는 상기 공급 롤러(100)와 상기 아이들 롤러(30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커터(400)는 상기 이형 필름(30)에 부착된 이방성 도전 필름(40)을 절 단한다. 상기 커터(400)는 몸체(410)에 결합된 두 개의 제1 및 제2 나이프(420, 430)들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410)는 직선 구동력을 발생할 수 있는 실린더(cylinder)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제1 및 제2 나이프(420, 430)들은 상기 몸체(410)의 직선 구동력에 의하여 왕복 운동한다.
상기 제1 나이프(420)는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을 절단하여 일정 구간 긁어준다. 상기 제2 나이프(430)는 상기 제1 나이프(4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나이프(430)는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에서 상기 제1 나이프(420)가 긁어주는 일정 구간의 끝나는 지점을 절단한다. 이로써, 상기 제1 및 제2 나이프(420, 430)들을 통해 상기 이형 필름(30)으로부터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의 일정 구간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름 부착 장치(1000)는 상기 이형 필름(30)을 기준으로 상기 커터(400)의 반대편에서 지지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500)는 상기 제1 및 제2 나이프(420, 430)들이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을 절단할 때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이 절단되는 부위에서 상기 이형 필름(30)을 지지해준다.
상기 회수 롤러(600)는 상기 압착 유닛(2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회수 롤러(600)는 상기 압착 유닛(200)의 압착 롤러(210)들에 의하여 상기 기판(10)에 부착된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으로부터 박리되는 상기 이형 필름(30)을 회수한다.
이때, 상기 필름 부착 장치(1000)는 상기 회수 롤러(600)와 상기 압착 롤 러(210)들 사이에 박리 롤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리 롤러(700)는 상기 기판(10)에 부착된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으로부터 상기 이형 필름(30)이 원활하게 박리되도록 상기 이형 필름(30)이 박리되는 각도를 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필름 부착 장치(1000)의 구성들은 어느 한 모듈(미도시)에 일괄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모듈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기판(10)에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모듈을 고정하고 상기 기판(10)이 놓여진 상기 백 플레이트(20)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을 상기 기판(10)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기판에 보다 잘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과 상기 기판에 열풍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을 상기 기판에 부착할 때 상기 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부착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부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름 부착 장치의 압착 유닛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압착 유닛의 열풍 기구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압착 유닛의 히터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판 20 : 백 플레이트
30 : 이형 필름 40 : 이방성 도전 필름
50 : 열풍 100 : 공급 롤러
200 : 압착 유닛 210 : 압착 롤러
220 : 열풍 기구 230 : 베이스관
240 : 분배관 250 : 클램프
260 : 제1 고정 블록 270 : 가이드 롤러
280 : 히터 282 : 가열판
284 : 제2 고정 블록 290 : 예비 압착 롤러
400 : 커터 600 : 회수 롤러
1000 : 필름 부착 장치

Claims (8)

  1. 이형 필름에 부착되어 기판과 벌어진 상태로 공급되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상기 기판에 압착시키는 압착 롤러; 및
    상기 압착 롤러의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이 공급되는 위치에서 서로 벌어져 있는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과 상기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과 상기 기판에 열풍을 제공하는 열풍 기구를 포함하는 압착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기구는
    상기 열풍이 유입되는 베이스관; 및
    상기 베이스관과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관에 유입된 열풍을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과 상기 기판으로 분배하는 분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관은 내열성 수지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관은 열전도성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기구는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과 상기 기판에 제공되는 열풍에 의해 가열되는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분배관을 높이를 조절하면서 고정하는 고정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롤러와 상기 열풍 기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을 상기 기판의 표면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롤러와 상기 압착 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에 열을 제공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과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판; 및
    상기 가열판과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홀을 가지면서 상기 가열판을 고정하는 고정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 유닛.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와 상기 가이드 롤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을 상기 기판에 예비 압착시키는 예비 압착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 유닛.
  8. 이방성 도전 필름을 이형 필름에 부착된 상태로 공급하는 공급 롤러;
    상기 공급 롤러의 하부에서 기판과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공급 롤러로부터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을 공급 받아 상기 기판에 부착시키는 압착 유닛;
    상기 공급 롤러와 상기 압착 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절단하는 커터; 및
    상기 압착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압착 유닛에 의해 상기 기판에 부착된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상기 이형 필름을 회수하는 회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압착 유닛은,
    상기 공급 롤러로부터 상기 기판과 벌어진 상태로 공급되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상기 기판에 압착시키는 압착 롤러; 및
    상기 압착 롤러의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이 공급되는 위치에서 서로 벌어져 있는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과 상기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과 상기 기판에 열풍을 제공하는 열풍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부착 장치.
KR1020090009209A 2009-02-05 2009-02-05 압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부착 장치 KR201000899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209A KR20100089992A (ko) 2009-02-05 2009-02-05 압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부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209A KR20100089992A (ko) 2009-02-05 2009-02-05 압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부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992A true KR20100089992A (ko) 2010-08-13

Family

ID=4275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209A KR20100089992A (ko) 2009-02-05 2009-02-05 압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99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888B1 (ko) * 2011-05-31 2013-02-01 김선기 탄성단자 모듈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385133B1 (ko) * 2012-06-18 2014-04-14 주식회사 씨엘디 플레이트 합착 장치
WO2018216949A1 (ko) * 2017-05-23 2018-11-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접착필름을 이용한 글라스 접착 잔류물질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글라스 접착 잔류물질 제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888B1 (ko) * 2011-05-31 2013-02-01 김선기 탄성단자 모듈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385133B1 (ko) * 2012-06-18 2014-04-14 주식회사 씨엘디 플레이트 합착 장치
WO2018216949A1 (ko) * 2017-05-23 2018-11-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접착필름을 이용한 글라스 접착 잔류물질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글라스 접착 잔류물질 제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7688B1 (ko) Acf 부착 장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제조장치 및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KR100839219B1 (ko) 연성회로기판용 보강판 가접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강판가접방법
KR20100089992A (ko) 압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부착 장치
JP5266582B2 (ja) Acf貼付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1034187A (ja) 熱圧着装置および熱圧着方法
JP4983872B2 (ja) 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ボンディング方法
KR100782233B1 (ko) 독립형 툴바를 구비하는 압착수단 및 이를 이용한 본딩장치
JP4385895B2 (ja) ボンディング装置
CN101553101B (zh) 将印刷电路板保持在弯曲面上的保持装置
JP4860494B2 (ja) 電子装置の製造方法
KR100897891B1 (ko) 열압착 툴 및 열압착 장치
JP4552352B2 (ja) 接着フィルムの貼着方法、貼着装置および電子回路装置の組立方法
JP4828976B2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及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製造システム
JP2617696B2 (ja) 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4818008B2 (ja) 異方導電性テープの貼着装置および電気機器の製造方法
JP5356873B2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CN102379034A (zh) 热电极组件
KR20160094517A (ko) 본딩장치 및 본딩방법
JP2008177350A (ja) 電子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TWI434046B (zh) Prob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9894841U (zh) 激光芯片的集成化夹具
JP5406974B2 (ja) 熱圧着装置及び電気部品の実装方法
JP2017163060A (ja) 熱圧着装置および熱圧着方法
JPH10107404A (ja) 部品実装装置
KR101906405B1 (ko) 가접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피씨비용 적층필름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