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133B1 - 플레이트 합착 장치 - Google Patents

플레이트 합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133B1
KR101385133B1 KR1020120065236A KR20120065236A KR101385133B1 KR 101385133 B1 KR101385133 B1 KR 101385133B1 KR 1020120065236 A KR1020120065236 A KR 1020120065236A KR 20120065236 A KR20120065236 A KR 20120065236A KR 101385133 B1 KR101385133 B1 KR 101385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ight
height adjusting
uni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018A (ko
Inventor
김규완
강혜종
최문기
윤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엘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엘디
Priority to KR1020120065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133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1/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lamination processes; Safety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플레이트 합착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제 2 플레이트가 안착하는 안착 스테이지와, 상기 안착 스테이지에 설치되어 길이가 가변하여 제 1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 1 높이조절부와, 상기 안착 스테이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안착 스테이지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압착하는 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레이트 합착 장치{Plate laminating device}
본 발명은 합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플레이트 합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레이트 합착 장치는 다양한 플레이트를 서로 합착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때, 플레이트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는 제 1 플레이트, 제 2 플레이트, 디스플레이 모듈, 커버 유리, 윈도우 유리 등 다양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는 외부 내지는 후면에 제 2 플레이트를 부착하여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플레이트를 부착하기 위하여 라미네이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라미네이션 공정의 경우 제 2 플레이트를 스테이지 상에 배치한 후 제 2 플레이트 상에 제 1 플레이트를 배치하여 롤러로 압착함으로써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를 라미네이션할 수 있다. 이러한 라미네이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 2 플레이트를 정렬하고 제 1 플레이트와의 사이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2 플레이트를 정위치에 정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장치의 경우 제 2 플레이트가 안착된 스테이지를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제 2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 플레이트를 정위치에 정렬한 후 롤러를 구동하여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를 합착시킬 수 있다. 이때, 롤러를 통하여 압착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플레이트를 컨베이어 형태로 이동시키면서 제 2 플레이트를 공급하여 롤러로 압착하는 방법과 제 2 플레이트를 놓은 상태에서 제 1 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부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 1 플레이트의 일단은 제 2 플레이트의 일부와 접촉하고 제 1 플레이트가 타단은 제 2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제 1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경우 제 1 플레이트의 일부분은 자중에 의하여 하측으로 쳐지게 되고 때에 따라서는 제 2 플레이트와 접촉함으로써 제품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플레이트 합착 장치는 한국등록특허 제0961973호(발명의 명칭 : 평면패널 라미네이팅 장치, 출원인 : 주식회사 원지)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습니다. 상기 일반적인 플레이트 합착 장치는 제 2 플레이트와 제 1 플레이트를 단순히 롤러를 통하여 압착시키는 기술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961973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를 압착할 때 제 1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순차적으로 합착시키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 2 플레이트가 안착하는 안착 스테이지와, 상기 안착 스테이지에 설치되어 길이가 가변하여 제 1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 1 높이조절부와, 상기 안착 스테이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안착 스테이지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압착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높이조절부는, 상기 안착 스테이지에 설치되어 높이가 가변하는 제 1 높이가변부와, 상기 제 1 높이가변부에 설치되는 제 1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 1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면과 접촉하는 제 1 완충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 스테이지에 설치되어 길이가 가변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 2 높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높이조절부와 상기 제 2 높이조절부는 서로 높이가 상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높이조절부의 높이는 상기 제 1 높이조절부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높이조절부 및 상기 제 2 높이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 1 높이조절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 2 높이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높이조절부는, 상기 안착 스테이지에 설치되어 높이가 가변하는 제 2 높이가변부와, 상기 제 2 높이가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높이가변부는, 상기 제 2 지지부가 설치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지지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제 2 높이가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브라켓과, 상기 제 2 브라켓에 형성되는 제 2 돌출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 2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면과 접촉하는 제 2 완충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높이가변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높이조절부 및 상기 제 2 높이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롤러의 위치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단이 안착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롤러의 위치에 따라 높이가 가변하는 제 3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높이조절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3 높이조절부의 높이 및 상기 롤러의 작동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위치가 가변하는 추락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제 3 높이조절부에 설치되는 추락방지구동부와, 상기 추락방지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추락방지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하는 추락방지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높이조절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가 상기 제 3 높이조절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 3 높이조절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구동부와, 상기 이탈방지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탈방지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하는 이탈방지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 1 플레이트와 커버 필름의 합착 시 제 1 플레이트를 높이에 따라 지지해줌으로써 제 1 플레이트가 처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롤러의 위치에 따라 제 1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제 1 플레이트와 커버를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합착시킴으로써 제 1 플레이트와 커버 필름의 합착 후 커버 필름과 제 1 플레이트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합착 공정 중에 제 1 플레이트의 곡률에 따라 제 1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제 1 플레이트의 추락을 방지하여 신속하게 합착을 진행하고 합착 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합착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높이조절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2 높이조절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추락방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탈방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 합착 장치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 합착 장치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는 다양한 형태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모듈, 커버 유리, 윈도우 커버, 보호필름, ITO 필름 등 다양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플레이트가 디스플레이 모듈이고, 제 2 플레이트가 윈도우 커버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는 제 2 플레이트(미도시)이 안착하는 안착 스테이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착 스테이지(110)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착 스테이지(110)는 커버 필름이 안착하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는 안착 스테이지(110)에 설치되어 길이가 가변하여 제 1 플레이트(D)을 지지하는 제 1 높이조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높이조절부(120)는 안착 스테이지(110)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 1 높이조절부(120)는 길이가 가변하도록 설치되어 제 1 플레이트(D)의 높이에 따라 길이가 가변할 수 있다.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는 안착 스테이지(110)에 설치되어 길이가 가변하여 제 1 플레이트(D)을 지지하는 제 2 높이조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높이조절부(130)는 제 1 높이조절부(120)와 유사하게 안착 스테이지(110)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높이조절부(130)는 제 1 높이조절부(120)와 후술할 제 3 높이조절부(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높이조절부(130)는 제 1 높이조절부(120)와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높이조절부(130)는 제 1 높이조절부(120)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제 2 높이조절부(130)의 높이는 제 1 높이조절부(12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높이조절부(120)와 제 2 높이조절부(130)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 1 높이조절부(120)는 제 1 플레이트(D)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 2 높이조절부(130)는 제 1 플레이트(D)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일장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 1 높이조절부(120) 및 복수개의 제 2 높이조절부(130)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플레이트(D)의 폭 방향의 양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제 1 플레이트(D)이 기울어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높이조절부(120)와 제 2 높이조절부(130)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제 1 높이조절부(120)와 제 2 높이조절부(130)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플레이트(D)을 폭 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높이조절부(120)와 제 2 높이조절부(130)가 전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는 안착 스테이지(110)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는 안착 스테이지(110)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롤러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D)과 접촉하여 제 1 플레이트(D)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의 힘에 의하여 제 1 플레이트(D)과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서로 압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는 별도의 롤러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롤러를 이동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플레이트(D)의 일면과 접촉하여 제 1 플레이트(D)의 일면에 힘을 가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는 제 1 플레이트(D)의 일단이 안착하도록 배치되는 제 3 높이조절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3 높이조절부(140)는 안착 스테이지(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3 높이조절부(140)는 프레임(미표기)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3 높이조절부(140)는 상기 롤러의 위치에 따라 길이가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 높이조절부(140)는 상기 롤러가 제 3 높이조절부(140) 측으로 가깝게 이동할수록 높이가 줄어들도록 작동할 수 있다.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는 제 3 높이조절부(140)에 설치되어 제 3 높이조절부(140)의 높이 및 상기 롤러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위치가 가변하는 추락방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추락방지부(150)가 상기 롤러의 위치에 따라 위치가 가변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추락방지부(150)는 제 1 플레이트(D)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할 수 있다. 특히 추락방지부(150)는 상기 롤러의 위치에 따라 길이가 가변함으로써 제 1 플레이트(D)이 안착 스테이지(110) 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는 제 3 높이조절부(140)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부(160)는 제 1 플레이트(D)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160)는 추락방지부(150)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제 1 플레이트(D)의 일단을 구속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16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이탈방지부(160)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이탈방지부(160)는 각각 제 1 플레이트(D)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 3 높이조절부(1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추락방지부(150)는 복수개의 이탈방지부(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제 1 높이조절부(120), 제 2 높이조절부(130), 제 3 높이조절부(140), 추락방지부(150) 및 이탈방지부(16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높이조절부(12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 1 높이조절부(1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착 스테이지(110)에 일부가 십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높이조절부(120)는 안착 스테이지(110)에 설치되어 높이가 가변하는 제 1 높이가변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높이가변부(121)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높이가변부(121)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잇다. 또한, 제 1 높이가변부(121)는 모터 및 모터에 연결되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높이가변부(121)가 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제 1 높이가변부(121)는 상기에 한정하지 않고, 높이가 가변하는 형태의 모든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높이조절부(120)는 제 1 높이가변부(121)에 설치되는 제 1 지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지부(122)는 후술할 제 1 완충부재(123)가 제 1 플레이트(D)에 점 접촉 또는 면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122)는 제 1 높이가변부(121)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부(122)가 제 1 높이가변부(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 1 지지부(122)는 롤러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높이가변부(121)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122)는 제 1 높이가변부(121)의 작동에 따라 높이가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지지부(122)는 제 1 높이가변부(121)의 길이가 늘어나는 경우 안착 스테이지(110)로부터 상승할 수 있으며, 제 1 높이가변부(121)의 길이가 줄어드는 경우 안착 스테이지(110)측으로 하강할 수 있다.
제 1 높이조절부(120)는 제 1 지지부(122)에 설치되어 제 1 플레이트(D)의 일면에 접촉하는 제 1 완충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완충부재(123)는 제 1 지지부(122) 전체를 감싸거나 제 1 지지부(122)의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완충부재(123)는 제 1 지지부(122)의 끝단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 1 완충부재(123)는 제 1 플레이트(D)의 일면에 접촉하여 제 1 플레이트(D)에 가해지는 힘을 일부 흡수할 수 있다. 이때, 제 1 완충부재(123)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완충부재(123)는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완충부재(123)와 제 1 지지부(122)는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지지부(122)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제 1 플레이트(D)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2 높이조절부(13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 2 높이조절부(130)는 안착 스테이지(110)에 설치되는 높이가 가변하는 제 2 높이가변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높이가변부(131)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높이가변부(121)와 유사하게 실린더 또는 모터 및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높이가변부(131)가 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제 2 높이가변부(131)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높이가 가변하는 다양한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높이가변부(131)는 후술할 제 2 지지부(132)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토퍼부(136)는 제 2 높이가변부(131)의 일단으로부터 후술할 제 2 지지부(132)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136)는 제 2 높이가변부(131)의 끝단이 다단지게 형성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 2 높이조절부(130)는 제 2 높이가변부(1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지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지지부(132)는 제 2 높이가변부(131)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 1 플레이트(D)의 이동에 따라 제 1 플레이트(D)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132)는 제 2 높이가변부(1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브라켓(1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지부(132)는 제 2 브라켓(133)에 형성되는 제 2 돌출돌기(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돌출돌기(134)는 제 2 브라켓(133)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제 2 돌출돌기(134)는 롤러 형태로 형성되어 제 2 브라켓(133)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 2 돌출돌기(134)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 2 돌출돌기(134)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제 2 돌출돌기(134)는 제 2 브라켓(133)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 높이조절부(130)는 제 2 지지부(132)에 설치되어 제 1 플레이트(D)의 일면과 접촉하는 제 2 완충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완충부재(135)는 제 2 돌출돌기(134)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완충부재(135)는 제 2 돌출돌기(134)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거나 제 2 돌출돌기(134)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완충부재(135)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완충부재(135)는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등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제 1 플레이트(D)에서 가해지는 힘을 일부 흡수할 수 있다.
이때, 제 2 돌출돌기(134)는 제 2 완충부재(135)와 상이한 재질, 즉 금속 등과 같은 단단한 물질로 형성되어 제 1 플레이트(D)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높이조절부(130)는 제 2 높이가변부(131)와 제 2 지지부(132)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는 제 2 높이가변부(131)와 제 2 브라켓(1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는 제 2 브라켓(133)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 2 브라켓(133)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는 제 2 브라켓(13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제 2 브라켓(133)에 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반면, 제 2 브라켓(13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는 제 2 브라켓(133)에 시계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는 제 2 브라켓(133)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제 2 완충부재(135)가 제 1 플레이트(D)의 일면에 지속적으로 접촉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추락방지부(15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추락방지부(150)는 제 3 높이조절부(1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추락방지부(150)는 제 3 높이조절부(140)에 설치되는 추락방지구동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락방지구동부(151)는 실린더 또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추락방지구동부(151)는 상기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할 추락방지플레이트(15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든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추락방지구동부(151)가 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추락방지부(150)는 추락방지구동부(151)와 연결도어 추락방지구동부(151)의 작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하는 추락방지플레이트(15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상기 롤러의 구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할 수 있다. 특히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제 3 높이조절부(140)를 기준으로 제 1 플레이트(D)의 길이방향 측으로 돌출 또는 인입되면서 위치가 가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탈방지부(16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이탈방지부(16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높이조절부(1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부(160)와 추락방지부(150)는 제 1 플레이트(D)을 기준으로 제 1 플레이트(D)의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60)는 제 3 높이조절부(140)에 설치되는 이탈방지구동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구동부(161)는 실린더 또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탈방지구동부(161)는 상기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할 이탈방지플레이트(16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든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탈방지구동부(161)가 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탈방지부(160)는 이탈방지구동부(161)와 연결되어 이탈방지구동부(161)의 작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하는 이탈방지플레이트(16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탈방지플레이트(162)는 이탈방지구동부(161)의 작동에 따라 제 3 높이조절부(140)를 기준으로 제 1 플레이트(D)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인입되도록 위치가 가변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의 작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도면 부호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6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안착 스테이지(110)에 제 1 플레이트(D)을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제 1 플레이트(D)은 안착 스테이지(110)의 정확한 위치에 놓여야 하며, 상기와 같이 정확한 위치에 놓이지 않는 경우 안착 스테이지(110)가 이동하거나 회전하여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 3 높이조절부(140)가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제 3 높이조절부(140)가 상승하는 경우, 이탈방지부(160)와 추락방지부(150)가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제 3 높이조절부(140)는 롤러(17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제 1 플레이트(D)의 일단을 설정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높이조절부(140)가 상승하는 경우 제 1 높이조절부(120) 및 제 2 높이조절부(130)도 작동하여 제 1 플레이트(D)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 높이조절부(140)가 작동하는 경우 이탈방지부(160)가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구동부(161)가 작동하여 이탈방지플레이트(162)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탈방지구동부(161)는 이탈방지플레이트(162)가 제 3 높이조절부(140)를 기준으로 제 1 플레이트(D)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경우 이탈방지플레이트(162)는 상기 도 6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1 플레이트(D)의 일면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탈방지플레이트(162)는 제 1 플레이트(D)이 상기 도 6의 상측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추락방지부(150)도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추락방지구동부(151)의 작동에 따라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제 3 높이조절부(140)를 기준으로 제 1 플레이트(D)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락방지구동부(151)가 작동하는 경우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상기 도 6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1 플레이트(D)의 타면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제 1 플레이트(D)의 타면을 지지함으로써 제 1 플레이트(D)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추락방지플레이트(152)의 위치는 롤러(170)의 작동 정도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롤러(170)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 3 높이조절부(140)가 작동하여 제 1 플레이트(D)의 일단을 상기와 같이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제 3 높이조절부(140)를 기준으로 제 1 플레이트(D)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제 3 높이조절부(140)로부터 돌출되어 제 1 플레이트(D)의 길이방향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제 1 플레이트(D)의 일단 높이에 따라 다양하게 위치가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제 1 플레이트(D)이 안착 스테이지(110)로부터 멀어질수록 제 3 높이조절부(140) 측에서 제 1 플레이트(D) 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반면,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제 1 플레이트(D)이 안착 스테이지(110)로부터 가까워질수록, 즉 제 1 플레이트(D)의 일단 높이가 낮아지는 경우 제 1 플레이트(D) 측에서 제 3 높이조절부(140) 측으로 더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 3 높이조절부(140)가 제 1 플레이트(D)의 일단 높이를 높이는 경우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제 3 높이조절부(140)에서 돌출되어 제 1 플레이트(D)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롤러(170)는 제 1 플레이트(D)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구동부(미도시)가 작동하여 롤러(170)의 면이 제 1 플레이트(D)의 일면과 선접촉하도록 롤러(17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 1 높이조절부(120) 및 제 2 높이조절부(130)가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높이조절부(120)가 작동하는 경우 제 1 높이가변부(121)가 작동하여 제 1 지지부(122) 및 제 1 완충부재(123)를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높이조절부(120)가 작동하는 경우 제 1 지지부(122) 및 제 1 완충부재(123)는 상기 도 6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 완충부재(123)는 상기 도 6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 1 플레이트(D)의 타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 2 높이조절부(130)가 작동하는 경우, 제 2 높이가변부(131)가 작동하여 제 2 지지부(132) 및 제 2 완충부재(135)를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 2 브라켓(133) 및 제 2 돌출돌기(134)는 제 2 높이가변부(131)의 작동에 따라 상기 도 6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2 브라켓(133)과 제 2 돌출돌기(134)의 상승으로 인하여 제 2 완충부재(135)는 제 1 플레이트(D)의 타면과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경우, 제 1 높이조절부(120)와 제 2 높이조절부(130)의 높이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높이조절부(120)의 높이는 제 2 높이조절부(13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완충부재(123)의 높이가 제 2 완충부재(135)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 1 높이조절부(120) 및 제 2 높이조절부(130)가 제어되는 경우, 제 1 플레이트(D)은 제 3 높이조절부(140)로부터 롤러(170)까지 사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플레이트(D)이 사선으로 배치되는 경우, 제 2 브라켓(133)은 제 2 높이가변부(131)를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브라켓(133)은 제 1 플레이트(D)의 사선과 대응되도록 위치가 가변할 수 있다.
이때, 제 2 브라켓(133)이 회전하면, 제 2 돌출돌기(134)는 제 1 플레이트(D)의 사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 2 돌출돌기(134)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제 2 돌출돌기(134)는 서로 상이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 2 돌출돌기(134)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 2 완충부재(135)는 각각 제 1 플레이트(D)의 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 2 완충부재(135)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 2 돌출돌기(134)와 같은 위치로 배치되어 제 1 플레이트(D)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 1 플레이트(D)이 경사진 경우에도 제 2 완충부재(135)를 통하여 경사진 제 1 플레이트(D)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 브라켓(133)이 일정 각도 회전하는 경우, 제 2 브라켓(133)은 스토퍼부(136)에 의하여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브라켓(133)은 회전하다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면, 제 2 높이가변부(131)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부(136)에 접촉하여 더 이상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 2 브라켓(133)은 스토퍼부(136)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제 1 플레이트(D)의 자중에 의하여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고, 제 1 플레이트(D)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플레이트(D)이 상승하고 나면, 안착 스테이지(110)에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제 1 플레이트(D)의 크기는 상기 제 2 플레이트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 1 높이조절부(120), 제 2 높이조절부(130), 추락방지부(150) 및 이탈방지부(160)는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부착되지 않는 제 1 플레이트(D)에 접촉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도면 부호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와 같이 제 1 플레이트(D)과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배치되면, 롤러(170)가 구동할 수 있다. 이때, 롤러(170)는 상기 롤러구동부에 의하여 제 1 플레이트(D)의 타단으로부터 제 3 높이조절부(14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롤러(170)는 상기와 같이 구동하면서 제 1 플레이트(D)의 타면에 힘을 가하고, 제 1 플레이트(D)과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합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플레이트(D)과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는 접착부재(미도시)가 배치되어 롤러(170)의 힘에 의하여 제 1 플레이트(D)과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합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롤러(170)가 구동하는 동안, 제 1 높이조절부(120) 내지 제 3 높이조절부(140)의 높이는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170)가 제 3 높이조절부(140) 측으로 이동하면, 제 3 높이조절부(140)는 상기 도 7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3 높이조절부(140)는 롤러(170)의 진행 정도에 따라 높이가 가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롤러(170)가 진행되는 동안, 제 1 높이조절부(120) 및 제 2 높이조절부(130)도 높이가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170)가 제 1 높이조절부(120) 측으로 이동하는 제 1 높이가변부(121)는 높이가 줄어들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롤러(170)의 진행에 따라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제 1 플레이트(D) 사이의 폭이 줄어들고, 제 1 플레이트(D)을 제 1 높이조절부(120)가 지지할 수 있다.
제 1 높이조절부(120)의 높이가 제어되는 동안, 제 2 높이조절부(130)의 높이도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170)가 상기와 같이 진행되는 동안, 제 2 높이가변부(131)의 길이가 줄어들고, 제 2 브라켓(133)이 제 2 높이가변부(13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특히 롤러(170)가 상기와 같이 진행하는 동안, 제 2 완충부재(135)에 접촉하는 제 1 플레이트(D)의 곡선은 가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브라켓(133)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제 1 플레이트(D) 곡선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롤러(170)가 진행되는 동안 추락방지부(150)도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추락방지부(150)는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로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 높이조절부(140)가 하강하는 동안 추락방지구동부(151)가 작동할 수 있다.
추락방지구동부(151)는 추락방지플레이트(152)를 제 1 플레이트(D) 측으로부터 제 3 높이조절부(14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추락방지플레이트(152)는 제 3 높이조절부(140)에서 돌출된 부분이 점점 줄어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추락방지플레이트(152)가 작동하는 경우 제 1 플레이트(D)의 일단은 추락방지플레이트(152)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추락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는 제 1 플레이트(D)과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합착 시 제 1 플레이트(D)을 높이에 따라 지지해줌으로써 제 1 플레이트(D)이 처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롤러(170)의 진행 정도에 따라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는 제 1 플레이트(D)의 높이를 조절하여 제 1 플레이트(D)과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합착시킴으로써 제 1 플레이트(D)과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합착 후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제 1 플레이트(D)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플레이트 합착 장치(100)는 합착 공정 중에 제 1 플레이트(D)의 곡률에 따라 제 1 플레이트(D)을 지지하고, 제 1 플레이트(D)의 추락을 방지하여 신속하게 합착을 진행하고 합착 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플레이트 합착 장치 135 : 제 2 완충부재
110 : 안착 스테이지 136 : 스토퍼부
120 : 제 1 높이조절부 140 : 제 3 높이조절부
121 : 제 1 높이가변부 150 : 추락방지부
122 : 제 1 지지부 151 : 추락방지구동부
123 : 제 1 완충부재 152 : 추락방지플레이트
130 : 제 2 높이조절부 160 : 이탈방지부
131 : 제 2 높이가변부 161 : 이탈방지구동부
132 : 제 2 지지부 162 : 이탈방지플레이트
133 : 제 2 브라켓 170 : 롤러
134 : 제 2 돌출돌기

Claims (18)

  1. 제 2 플레이트가 안착하는 안착 스테이지;
    상기 안착 스테이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실린더 또는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또는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승하강하며, 제 1 플레이트의 일부가 안착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 1 높이조절부; 및
    상기 안착 스테이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안착 스테이지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압착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높이조절부는,
    상기 안착 스테이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또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또는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높이가 가변하는 제 1 높이가변부; 및
    상기 제 1 높이가변부에 설치되는 제 1 지지부;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 1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면과 접촉하는 제 1 완충부재;를 더 구비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스테이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실린더 또는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또는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승하강하며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부가 안착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 2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높이조절부의 높이와 상기 제 2 높이조절부의 높이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높이조절부의 높이는 상기 제 1 높이조절부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높이조절부 및 상기 제 2 높이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 1 높이조절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 2 높이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높이조절부는,
    상기 안착 스테이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또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또는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높이가 가변하는 제 2 높이가변부; 및
    상기 제 2 높이가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지지부;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높이가변부는,
    상기 제 2 지지부가 설치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지지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제 2 높이가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브라켓;
    상기 제 2 브라켓에 형성되는 제 2 돌출돌기;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 2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면과 접촉하는 제 2 완충부재;를 더 구비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높이가변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높이조절부 및 상기 제 2 높이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롤러의 위치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스테이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프레임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단이 안착하며, 상기 롤러가 가까워질수록 하강하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 3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일부가 상기 제 3 높이조절부에 인출되거나 인입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3 높이조절부의 높이 및 상기 롤러의 작동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 3 높이조절부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일단을 지지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제 3 높이조절부에 설치되는 추락방지구동부; 및
    상기 추락방지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추락방지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하는 추락방지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일부가 상기 제 3 높이조절부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제 3 높이조절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상면 일부를 가력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가 상기 제 3 높이조절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 3 높이조절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구동부; 및
    상기 이탈방지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탈방지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하는 이탈방지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합착 장치.
KR1020120065236A 2012-06-18 2012-06-18 플레이트 합착 장치 KR101385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236A KR101385133B1 (ko) 2012-06-18 2012-06-18 플레이트 합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236A KR101385133B1 (ko) 2012-06-18 2012-06-18 플레이트 합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018A KR20130142018A (ko) 2013-12-27
KR101385133B1 true KR101385133B1 (ko) 2014-04-14

Family

ID=4998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236A KR101385133B1 (ko) 2012-06-18 2012-06-18 플레이트 합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1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0576A (zh) * 2014-04-26 2014-07-30 张维 电脑屏幕贴膜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042B1 (ko) * 2017-11-27 2022-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글라스 합착 장치
KR102422756B1 (ko) * 2017-11-29 2022-07-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글라스 합착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446B1 (ko) * 1994-12-29 1999-06-15 정종순 Pvc 창틀재용 필름 부착장치
KR20100089992A (ko) * 2009-02-05 2010-08-13 세메스 주식회사 압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부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446B1 (ko) * 1994-12-29 1999-06-15 정종순 Pvc 창틀재용 필름 부착장치
KR20100089992A (ko) * 2009-02-05 2010-08-13 세메스 주식회사 압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부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0576A (zh) * 2014-04-26 2014-07-30 张维 电脑屏幕贴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018A (ko) 201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405639B2 (en) Curved display manufacturing device and curved display manufacturing method
CN104123890B (zh) 用于制造显示设备的方法和装置
US20160202728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exible display device
KR101385133B1 (ko) 플레이트 합착 장치
KR101631524B1 (ko) 필름부착장치
JP6491917B2 (ja) 貼付装置
KR101643821B1 (ko) 커브형 글라스의 필름 부착장치
KR101765551B1 (ko) 곡면소재 합착장치
KR20130036154A (ko) 접합 장치
KR101938709B1 (ko) 라미네이팅 방법 및 장치
KR101764710B1 (ko) 필름 부착 장치 및 방법
KR20160100001A (ko)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장치
TWI582899B (zh) 安裝裝置
KR102638297B1 (ko)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1541049B1 (ko) 라미네이팅 장치
CN210026295U (zh) 手机钢化膜自动贴合机
KR20180073862A (ko) 기판 접합 장치 및 방법
KR101689057B1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 방법
KR102140700B1 (ko) 커브드패널용 필름 합착장치
CN111156233B (zh) 压合装置及其压合方法、压合设备
KR20180113736A (ko) 합성수지 탄성체의 체적변위를 이용한 커브형 패널의 필름부착방법과 그 수단
KR20190105355A (ko) 곡면이 형성된 대상물의 필름지 부착이 용이한 접착장치
KR20170143259A (ko)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
KR101385134B1 (ko) 플레이트 합착 장치
KR101397093B1 (ko) 라미네이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