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3259A -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 - Google Patents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3259A
KR20170143259A KR1020160077270A KR20160077270A KR20170143259A KR 20170143259 A KR20170143259 A KR 20170143259A KR 1020160077270 A KR1020160077270 A KR 1020160077270A KR 20160077270 A KR20160077270 A KR 20160077270A KR 20170143259 A KR20170143259 A KR 20170143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curved display
panel assembly
roller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3883B1 (ko
Inventor
손영곤
이성근
Original Assignee
(주)소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닉스 filed Critical (주)소닉스
Priority to KR1020160077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883B1/ko
Priority to CN201611222544.8A priority patent/CN107521144A/zh
Publication of KR20170143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44Compression means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3/00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rings, discs
    • B30B3/005Roll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51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043/5833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movement of moulds or mould parts, e.g. opening or closing, actu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2063/027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applied by a squeeg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의 하부를 통과하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상부 곡면 형상과 상관없이 상부 곡면을 따라 접촉하면서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를 일정하게 가압하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의 접촉높이 변경에 따라 발생하는 구동전류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와 접촉하는 롤러로부터 가해지는 부하에 따라 구동모터에 발생된 부하전류를 가산한 값을 통해 롤러의 접촉 높이를 제어하기 때문에, 롤러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곡면과의 밀착된 상태로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상부면 전체와 골고루 접촉될 수 있고, 구동전류와 부하전류를 가산한 값을 기 설정된 설정전류 범위 내로 유지시킴으로써,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곡면 형상과 상관없이 롤러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상면을 일정하게 가압한 채로 골고루 접촉될 수 있으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제조 공정상에 발생할 수 있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 별 공차 또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가 안착되는 지그별 공차와는 상관없이 롤러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상면과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일정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어,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에 일정한 가압이 요구되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과정에서의 필름부착 공정 시에,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 상에 필름을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어, 부착 공정에 의한 불량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로의 교체 시에 발생하는 작업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PRESSURE ROLLER FOR CURVED DISPLAY PANEL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복수의 액정소자를 통한 색상, 패턴 출력으로 문자 및 이미지 형태의 시각화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복수의 액정소자가 배열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의 경우, 종래에는 평판형으로 제조됨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자인이 제한적이었고, 시청위치에 따라 왜곡이 발생할 수 있었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OLED, 백라팅 기술 등의 발전으로 곡면형 디스플레이패널이 개발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곡면형 디스플레이패널은, 일반적인 평판형 디스플레이패널과 마찬가지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는 윈도우와, 윈도우에 부착되는 각종 필름 및 액정 패널 등의 부품이 포함될 수 있으나, 평판형 디스플레이패널과는 다르게, 곡면형 디스플레이패널은 사용목적 또는 패널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곡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어, 특히나 필름과 같이 넓은 면적을 가지는 부품의 경우, 곡면을 따라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여 부착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종래의 평판형 디스플레이패널보다 제조과정 상의 불량 발생율이 높아, 불량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긴 제조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08481호(출원일 : 2014. 03. 17., 공개일 : 2015. 09. 30.,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서는 윈도우에 부착되는 필름부재를 가압하는 롤러부가 일정한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윈도우의 곡률반경 중심점을 기준으로, 윈도우의 곡면과 동일한 이동반경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윈도우에 필름부재를 가압 부착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롤러부의 이동반경은 필름을 부착하고자하는 윈도우와 같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에 한정되기 때문에,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변경 시에, 해당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의 형상에 따라 롤러부의 이동반경을 재 조절해야하여, 곡면 디스플레이패널의 조립체의 변경에 따른 공정 대기 시간이 추가적으로 발생되며, 동일한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에 필름을 부착시키는 과정에서도 곡면 디스플레패널 조립체 또는 지그가 가지는 공차에 의해, 롤러부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 와의 접촉위치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음에 따라,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거나 부족함으로 인한 제조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곡면의 형상 및 높이와 상관없이 일정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송수단을 통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이송라인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을 가압하는 가압롤러에 있어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모터;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이동선상 상부에 위치하는 롤러; 상기 구동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통해 상기 롤러를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롤러가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를 소정의 힘으로 일정하게 가압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롤러를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구동전류와 상기 롤러가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와 접촉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발생된 부하전류를 가산하여, 가산 값이 기 설정된 설정전류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값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롤러가 결합되는 결합부 및 정회전하여 상기 결합부를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역회전하여 상기 결합부를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볼스크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구동전류와 부하전류를 가산한 값이 기 설정된 설정전류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정회전시켜 상기 롤러가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에 가하는 가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구동전류와 부하전류를 가산한 값이 기 설정된 설정전류 범위에 못 미칠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역회전시켜,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와 접촉한 상기 롤러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롤러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유닛이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며, 롤러의 접촉높이 변경에 따라 발생하는 구동전류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와 접촉하는 롤러로부터 가해지는 부하에 따라 구동모터에 발생된 부하전류를 가산한 값을 통해 롤러의 접촉 높이를 제어하기 때문에, 롤러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곡면과의 밀착된 상태로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상부면 전체와 골고루 접촉될 수 있고, 구동전류와 부하전류를 가산한 값을 기 설정된 설정전류 범위 내로 유지시킴으로써,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곡면 형상과 상관없이 롤러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상면을 일정하게 가압한 채로 골고루 접촉될 수 있으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제조 공정상에 발생할 수 있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 별 공차 또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가 안착되는 지그별 공차와는 상관없이 롤러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상면과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일정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어,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에 일정한 가압이 요구되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과정에서의 필름부착 공정 시에,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 상에 필름을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어, 부착 공정에 의한 불량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로의 교체 시에 발생하는 작업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에서의 제어유닛을 통한 롤러의 변위를 도식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장치용 가압롤러(100)는 구동모터(110), 롤러(120), 구동유닛(130), 제어유닛(140) 및 가이드롤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100)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에 접착체와 같은 액상형태의 약품을 도포하거나,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에 적층된 필름(F) 등을 가압하여 상호 결합력을 높이거나, 공급과 동시에 가압 부착시키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의 일면에 필름공급롤러를 통해 공급된 접착식 필름(F)을 가압 부착하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100)에 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를 안착 고정 시키는 지그(J)를 포함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송수단인 컨베이어벨트(C)을 통해 조립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구동모터(110)는 전기신호를 통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110)는 DC모터로 마련되며, 구동하고자하는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힘이 작용할 경우, 구동모터(110)에 가해지는 부하량에 따른 부하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110)에 발생되는 부하전류는 구동모터(110)에 가해지는 부하량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롤러(120)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의 이동선상 상부에 위치하여, 후술할 구동유닛(130)에 의해 하강되어질 때,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의 상면에 접촉하여,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를 가압할 수 있다.
이때, 롤러(120)는 이형필름 상에 균등 간격으로 접착된 필름(F)을 제공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필름공급롤러(R)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형필름을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이형필름에 접착된 필름(F)이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에 부착될 때에 요구되는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유닛(130)은 구동모터(11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통해, 롤러(120)를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유닛(130)은 롤러가 결합되는 결합부(132) 및 정회전하여 결합부(132)를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역회전하여 결합부(132)를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부(134)를 포함하는 볼스크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유닛(140)은 롤러(120)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를 소정의 힘으로 일정하게 가압하도록 구동모터(110)의 회전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유닛(140)은 롤러(120)를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모터(11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구동전류와 롤러(120)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와 접촉하여 구동모터(110)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발생된 부하전류를 가산하여, 가산 값이 기 설정된 설정전류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구동모터(110)의 회전 값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유닛(140)에 기 설정된 설정전류는, 롤러(120)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의 표면에 가압하는 가압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유닛(140)은 롤러(120)를 이동시키는 데에 필요한 구동전류와 롤러(120)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와 접촉하여 구동모터(110)에 발생된 부하전류를 가산한 값이, 기 설정된 설정전류 내에 위치하도록 구동모터(11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부하전류를 증감시킴으로써,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과 접촉하는 롤러(120)의 접촉 위치와 상관없이 롤러(120)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를 일정한 힘을 유지한 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롤러(150)는 롤러(120)의 하부에 위치하여,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의 하부를 지지하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롤러(150)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가 안착되는 지그(J)의 하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곡면 디스플레이 조립체(A)를 가압하는 롤러(120)에 의해,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 및 지그(J)가 롤러(120) 하부를 통과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그(J)에 안착된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의 이송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에 롤러(120)의 접촉 높이에 따른 제어유닛(140)의 구동모터(110) 제어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에서의 제어유닛을 통한 롤러의 변위를 도식한 것이다.
도2를 참조하면, 최초 지그(J) 상에 안착된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가 롤러(120)의 하부를 통과하기 이전에, 제어유닛(140)은 구동모터(110)를 정회전 시켜, 롤러(120)와 결합된 결합부(132)의 높이를 회전부(134)의 최 하단까지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회전부(134)의 최 하단에 위치한 결합부(132)는 더 이상 하강할 수 없게 되고, 이로인해 발생된 부하에 의해 구동모터(110)에 부하전류가 발생하게 되며, 제어유닛(140)은 부하전류 값의 증가로 인해, 구동전류와 부하전류를 가산한 값이, 기 설정된 설정전류에 미치지 못한 것을 확인하여 구동모터(110)를 역회전시켜 결합부(132)를 회전부(134)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롤러(120)를 대기 위치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후, 지그(J)에 안착된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가 롤러(120)의 하부에 도달한 경우, 가이드롤러(150)가 지그(J)를 이송방향으로 안내함으로써, 롤러(120)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A)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제어유닛은 롤러(120)를 구동시키는데 요구되는 구동전류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와 접촉된 롤러(120)에 의해 구동모터에 가해진 부하전류를 가산한 값이 기 설정된 설정전류 범위내에 위치하는지 확인하게 된다.
도2에서와 같이,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의 상면이 높이가 점차 증가하는 경사면인 경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와 접촉한 롤러(120)에 가해지는 부하전류 또한 점차 증가하기 때문에, 구동전류와 부하전류를 가산한 값이, 설정전류 범위를 초과하게 되므로, 제어유닛(140)은 구동모터(1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롤러(120)를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구동모터(120)에 가해지는 부하전류를 감소시켜 구동전류와 부하전류를 가산한 값을 감소시켜 설정범위 내에 유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롤러(120)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에 가하는 가압력을 유지한 채로 상승하면서,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의 경사면을 따라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이후, 도3에서와 같이,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의 상면이 높이가 점차 감소하는 경사면인 경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와 접촉한 롤러(120)에 가해지는 부하전류 또한 점차 감소하기 때문에, 구동전류와 부하전류를 가산한 값이, 설정전류 범위에 미치지 못하게 되므로, 제어유닛(140)은 구동모터(11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롤러(120)를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구동모터(120)에 가해지는 부하전류를 증가시켜 구동전류와 부하전류를 가산한 값을 증가시켜 설정범위 내에 유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롤러(120)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에 가하는 가압력을 유지한 채로 하강하면서,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의 경사면을 따라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필름공급롤러(R)로부터 제공된 필름(F)은, 롤러(120)에 의해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 방향으로 안내되어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의 상면에 접촉되고, 롤러(120)가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의 경사면을 따라 일정한 가압력을 제공하면서 접촉되기 때문에, 필름(F)이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의 경사면을 따라 일정하게 접착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100)는 롤러(120)의 하부를 통과하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의 상부 곡면 형상과 상관없이 곡면을 따라 접촉하면서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를 일정하게 가압하여,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A)의 상면에 필름(F)을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롤러의 접촉높이 변경에 따라 발생하는 구동전류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와 접촉하는 롤러로부터 가해지는 부하에 따라 구동모터에 발생된 부하전류를 가산한 값을 통해 롤러의 접촉 높이를 제어하기 때문에, 롤러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곡면과의 밀착된 상태로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상부면 전체와 골고루 접촉될 수 있고, 구동전류와 부하전류를 가산한 값을 기 설정된 설정전류 범위 내로 유지시킴으로써,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곡면 형상과 상관없이 롤러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상면을 일정하게 가압한 채로 골고루 접촉될 수 있으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제조 공정상에 발생할 수 있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 별 공차 또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가 안착되는 지그별 공차와는 상관없이 롤러가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상면과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체에 일정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어,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에 일정한 가압이 요구되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과정에서의 필름부착 공정 시에,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 상에 필름을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어, 부착 공정에 의한 불량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로의 교체 시에 발생하는 작업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를 제공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
110 : 구동모터
120 : 롤러
130 : 구동유닛
132 : 결합부
134 : 회전부
140 : 제어유닛
150 : 가이드롤러
A :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
C : 컨베이어벨트
F : 필름
J : 지그
R : 필름공급 롤러

Claims (5)

  1. 이송수단을 통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이송라인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을 가압하는 가압롤러에 있어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모터;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이동선상 상부에 위치하는 롤러;
    상기 구동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통해 상기 롤러를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롤러가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를 소정의 힘으로 일정하게 가압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롤러를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구동전류와 상기 롤러가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와 접촉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발생된 부하전류를 가산하여, 가산 값이 기 설정된 설정전류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값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롤러가 결합되는 결합부 및 정회전하여 상기 결합부를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역회전하여 상기 결합부를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볼스크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구동전류와 부하전류를 가산한 값이 기 설정된 설정전류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정회전시켜 상기 롤러가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에 가하는 가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구동전류와 부하전류를 가산한 값이 기 설정된 설정전류 범위에 미치지 못할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역회전시켜,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와 접촉한 상기 롤러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조립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
KR1020160077270A 2016-06-21 2016-06-21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 KR101833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270A KR101833883B1 (ko) 2016-06-21 2016-06-21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
CN201611222544.8A CN107521144A (zh) 2016-06-21 2016-12-27 曲面显示面板制造装置用加压辊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270A KR101833883B1 (ko) 2016-06-21 2016-06-21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259A true KR20170143259A (ko) 2017-12-29
KR101833883B1 KR101833883B1 (ko) 2018-03-05

Family

ID=60748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270A KR101833883B1 (ko) 2016-06-21 2016-06-21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3883B1 (ko)
CN (1) CN1075211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388B1 (ko) * 2020-04-20 2021-10-19 주식회사 제이스텍 Cof 및 acf 압착시에 디스플레이 패널용 보호필름의 장력을 자동으로 정렬하는 모터 토오크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54384B (zh) * 2024-03-08 2024-05-07 苏州极点科技有限公司 一种曲面屏贴合设备及贴合工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992B1 (ko) * 2009-10-13 2013-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라미네이팅 장치
KR101137289B1 (ko) 2011-07-27 2012-04-19 강신성 비원형 곡면 열전사 방법
KR101209006B1 (ko) 2012-03-02 2012-12-07 (주)피씨엠솔루션 롤 상태 자동측정장치가 구비된 롤 조립체, 이를 구비한 라미네이팅 장치, 압연롤 장치 및 코팅장치
KR101201702B1 (ko) * 2012-08-22 2012-11-15 에스엔유 프리시젼 주식회사 가이드 롤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388B1 (ko) * 2020-04-20 2021-10-19 주식회사 제이스텍 Cof 및 acf 압착시에 디스플레이 패널용 보호필름의 장력을 자동으로 정렬하는 모터 토오크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21144A (zh) 2017-12-29
KR101833883B1 (ko) 201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351B1 (ko) 곡면패널 합착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곡면패널 합착장치
KR100921716B1 (ko) 필름부착방법 및 필름 부착 장치
US10322547B2 (en) Bonded membe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onded member
JP2017132637A (ja) フィルム貼付装置及び方法
KR101448810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및 방법
KR101833883B1 (ko)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
KR20190001940A (ko) 유지 장치, 위치 결정 장치 및 접합 장치
JP6336369B2 (ja) カバーガラスの貼合装置
KR101577278B1 (ko) 절곡 디스플레이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및 방법
KR20170006284A (ko) 점착 테이프의 접착 장치
KR102010247B1 (ko) 보호 필름 박리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1689057B1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 방법
KR101578859B1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접합 장치
KR20170057499A (ko) 라미네이팅 장치 및 라미네이팅 방법
KR101440190B1 (ko)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 접착장치
KR101056093B1 (ko) 미세갭조절장치가 구비된 슬롯다이를 이용한 코팅장치
JP4694924B2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
KR20160000967A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면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444710B1 (ko) Oled용 윈도우와 기판을 합착하는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KR101467239B1 (ko) 테이프 부착장치
KR101388257B1 (ko) 다축 보정이 가능한 r-pcb 부착 장치
KR102067986B1 (ko) 기판 절단 장치
KR101609868B1 (ko) 테이프 공급장치 및 그 테이프 제어방법
KR101569153B1 (ko) 휴대폰용 엘씨디 액정화면과 백라이트 접합장치
KR102580171B1 (ko) 액정패널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