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587A - 샌드 크라샤 - Google Patents

샌드 크라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587A
KR20100089587A KR1020090008900A KR20090008900A KR20100089587A KR 20100089587 A KR20100089587 A KR 20100089587A KR 1020090008900 A KR1020090008900 A KR 1020090008900A KR 20090008900 A KR20090008900 A KR 20090008900A KR 20100089587 A KR20100089587 A KR 20100089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broba
crushing chamber
fixed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3940B1 (ko
Inventor
이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씨엔텍
(주)대명크라샤
삼환환경 주식회사
정우산업 개발 주식회사
주식회사 우성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씨엔텍, (주)대명크라샤, 삼환환경 주식회사, 정우산업 개발 주식회사, 주식회사 우성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씨엔텍
Priority to KR1020090008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940B1/ko
Publication of KR20100089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02C13/06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2Shape or inner surface of mill-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2013/29Details devices for manipulating beat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콘크리트 및 폐아스팔트 등의 건축 폐기물이나 매립된 일반 쓰레기 또는 광물이나 원석을 적은 크기로 파쇄하여 골재를 생산하는 임팩트 크라샤(IMPACT CRUSHER)에서, 적은 크기의 원료를 투입하여 모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파쇄시키는 샌드 크라샤(SAND CRUSHER)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되는 로터에 돌출되게 설치된 브로바로 원료인 파쇄물을 타격하고, 브로바로 타격된 파쇄물을 1,2차 타격판에 부딪혀 파쇄되게 하는 임팩트 크라샤에 있어서, 원통 형태를 갖는 로터의 외측으로 브로바 고정판을 돌출되게 고정시키고, 상기 브로바 고정판에는 여러 조각으로 분할된 브로바를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며, 또한 본 발명의 로터에는 외측으로 하독스 판을 고정시켜 원료인 파쇄물을 용이하게 파쇄시키도록 하고, 파쇄물을 투입시키는 투입슈트에는 자석을 설치하여 파쇄물과 함께 투입되는 철편을 제거하도록 한다.
모래, 순환골재, 브로바

Description

샌드 크라샤{Sand crusher}
본 발명은 폐콘크리트 및 폐아스팔트 등의 건축 폐기물이나 매립된 일반 쓰레기 또는 광물이나 원석을 적은 크기로 파쇄하여 골재를 생산하는 임팩트 크라샤(IMPACT CRUSHER)에서, 적은 크기의 원료를 투입하여 모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파쇄시키는 샌드 크라샤(SAND CRUSHER)에 관한 것이다.
임팩트 크라샤(IMPACT CRUSHER)는 크기가 큰 원석(原石) 이나 광물 또는 폐콘크리트 등의 원료를 순환 골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파쇄하는 것으로, 덩어리가 큰 원석, 광물, 철근이 박힌 철근 폐콘크리트 및 폐아스팔트 등을 임팩트 크라샤의 로터에 장착된 브로바가 충격을 가하여 파쇄한 후 브로바에 의해 충격을 받은 투입원료인 파쇄물이 1,2차 타격판에 타격되면서 순환골재로 사용할 수 있는 크기로 파쇄토록 하고 있다.
이러한 임팩트 크라샤(10)는 도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실(11)내부에서 로터(20)가 회전축(21)에 결합되어 회전되게 하고, 파쇄실(11)의 일측에는 1,2차 타격판(30)(40)이 설치되며, 상기 로터(20)에는 폭 방향으로 브로바(22)가 등 간격을 갖고 4개가 고정되게 된다.
상기 로터(20)는 수 개의 로터 플레이트(23)(24)를 등 간격으로 회전축(21)에 끼워준 후 서로 용접하되 내외부가 관통되는 형태로 고정하고, 상기 로터 플레이트(23)에는 외측으로 회전축(21)과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브로바(22)를 폭 방향으로 끼워 고정시키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로터(20)는 회전하면서 파쇄물을 브로바(22)로 파쇄시키는 한편 1,2차 타격판(30)(40)에 부딪혀 파쇄시키도록 한다.
즉 로터(20)의 브로바(22)에 부딪혀 일차 파쇄가 이루어진 투입원료인 파쇄물은 재차 1,2차 타격판(30)(40)에 부딪히면서 파쇄가 이루어져야 하나, 파쇄물의 크기가 작을 경우 회전축(21)과 브로바(22)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그대로 빠져 버리게 파쇄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또한 브로바(22)는 로터(20)의 폭 방향으로 끼워지게 되어 수시로 교체하기가 어려운 것이었다.
그리고,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20-0442428에서 임팩트 크라샤(10)의 파쇄실(11)로 투입원료인 파쇄물이 투입되는 경우 로터(20)에 부딪혀 역방향으로 튀어나오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임팩트 크라샤(10)의 파쇄실(11) 입구에 투입 슈트(50)를 설치하되 투입슈트(50)의 바닥과 측면에는 라이너(51)(52)를 설치하여 마모에 대비하도록 하는 한편 투입슈트(10)의 입구 쪽은 임팩트 크라샤(10)의 투입구 위치보다 높게 하여 임팩트 크라샤(10)에서 역방향으로 튀어나오는 조각이 투입슈트(50)에 부딪힌 후 다시 임팩트 크라샤(10)로 투입되게 하여 파쇄물이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같이 투입슈트(50)를 사용하는 경우 파쇄물이 역방향으로 튀어나오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파쇄물과 함께 투입되는 철편 등에 의하여 브로바(22)나 타 격판(30)(40) 등이 쉽게 마모되는 한편 순환골재에 철편이 혼합되어 있어 품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한편 임팩트 크라샤(10)의 브로바(22)를 교체하기 위하여 파쇄실(11)을 상부로 들어 올린 후 작업을 하게 되나, 이 경우 파쇄실의 내부가 개방되는 정도가 적어 편안하게 교체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임팩트 크라샤의 로터에 조각 형태의 브로바를 고정시키되 로터의 외측은 하독스 판을 대주고, 파쇄실을 양분하여 전후로 벌어지게 하여 브로바의 교체나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투입슈트를 설치하되 투입슈트에서 철편을 제거하여 고품질의 순환골재 특히 모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은 크기의 원료인 파쇄물을 투입하여 모래로 사용하는 재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로터에 분할된 브로바를 고정시키는 한편 하독스 판을 고정시켜 파쇄물을 효율적으로 파쇄시키도록 하며, 파쇄실을 전후방으로 나누어 개방되게 함으로써 파쇄실의 내부에서 교체나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투입슈트에서 철편의 투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임팩트 크라샤의 회전축과 파쇄실이 만나는 곳에는 실링재를 설치하여 파쇄실의 내부에서 순환골재의 파쇄시 발생되는 미분이나 분진이 배출되거나 틈에 끼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회전되는 로터에 돌출되게 설치된 브로바로 파쇄물을 타격하고, 브로바로 타격된 파쇄물을 1,2차 타격판에 부딪혀 파쇄되게 하는 임팩트 크라샤에 있어서, 원통 형태를 갖는 로터의 외측으로 브로바 고정판을 돌출되게 고정시키고, 상기 브로바 고정판에는 여러 조각으로 분할된 브로바를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로터에는 외측으로 하독스 판을 고정시켜 파쇄물을 용이하게 파쇄시키도록 하고, 파쇄물을 투입시키는 투입슈트에는 자석을 설치하여 파쇄물과 함께 투입되는 철편을 제거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파쇄실을 전후로 양분하여 회동 가능하게 하되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분할된 파쇄실을 전후 방향으로 벌리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적은 크기의 파쇄물을 투입하여 효율적으로 파쇄시킴으로써 모래로 사용하는 순환골재를 얻어낼 수 있도록 하는 샌드 크라샤에 관한 것으로, 브로바를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어 브로바의 교체나 수리가 용이하고, 로터를 통하여 파쇄물이 배출되지 않아 파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샌드크라샤는 브로바의 교체나 수리를 하는 경우 파쇄실을 양분하여 전후 방향으로 벌려주도록 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파쇄물을 투입시키는 투입슈터에 자석을 설치하여 생산된 순환골재에 철편이 혼합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폐건축폐기물, 광물, 원석 등에서 얻어낸 비교적 적은 크기인 25mm 이하의 파쇄물을 파쇄시켜 5.5mm 이하의 모래로 사용되는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샌드 크라샤에 관한 것으로, 로터의 표면이 원통형으로 막히게 되어 적은 크기의 파쇄물이 브로바에서 타격된 후 로터의 표면에 부딪혀 파쇄가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로터의 표면에는 등 간격으로 브로바 고정판을 돌출되게 고정시 키되 상기 브로바 고정판에는 수 개로 분할되어 로터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브라바를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브로바는 브로바 고정판에 고정되게 되나, 상기 브로바는 로터의 중심방향에서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로터의 회전시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브로바가 파쇄물을 치면서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로터에는 브로바 고정판 사이에 하독스 판을 고정시켜 파쇄물이 하독스 판에 부딪혀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하독스 판에 의해 로터의 손상이 방지되게 한다.
상기 샌드 크라샤의 로터가 내부에 설치되는 파쇄실은 로터의 수직 중심부위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되 파쇄실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샌드 크라샤의 전후 방향으로 당겨져 벌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샌드 크라샤에는 투입슈터를 설치하여 적은 크기의 파쇄물이 투입되었을 때 튀어나오지 않고 파쇄가 이루어지게 하되 상기 투입슈터에는 자석을 설치하여 파쇄물과 함께 유입되는 금속 철편을 제거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투입슈터로 25mm 이하의 파쇄물이 투입되면 파쇄물은 로터의 브로바에 부딪혀 파쇄가 이루어지는 한편 브로바에 부딪힌 파쇄물은 로터의 하독스 판과 1,2차 타격판에 부딪혀 파쇄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렇게 브로바와 타격판 및 하독스 판에 의해 파쇄된 5.5mm 정도의 순환골재는 모래로 사용하기 위하여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파쇄물은 투입슈터에서 파쇄실로 투입되게 되므로, 투입슈터에 자석 을 설치하는 경우 파쇄물에 포함되어 투입되는 철편을 제거하게 되고, 상기 투입슈터에 설치된 자석에 붙은 금속은 주기적으로 제거하면 된다.
본 발명의 파쇄실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로터의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고, 상기와 같이 파쇄실의 중앙이 전후로 벌어지게 되면, 내부의 로터가 노출되어 쉽게 브로바를 교체하거나 로터의 하독스 판을 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투입슈터에는 자석을 설치하여 파쇄물과 함께 투입되는 철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투입슈터에서 철편을 제거하는 자석은 파쇄실의 앞쪽으로 전방으로 눕힌 후에 자석과 함께 제거한 후 자석은 다시 투입슈터에 부착하도록 한다.
상기 로터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은 파쇄실과 만나는 곳에서 실링재를 끼움으로써 파쇄실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미분이 틈새에 끼지 않도록 하는 한편 회전축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샌드 크라샤(100)는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는 파쇄실(10)에서 로터(200)가 회전되게 하고, 상기 로터(200)에는 등 간격으로 브로바 고정판(210)을 고정시키되 상기 브로바 고정판(210)에는 브로바(220)가 고정되게 한다.
여기서 로터(200)는 회전축(23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게 되고, 상기 로터(200)의 표면에 브로바 고정판(210)을 돌출되게 고정시키며, 상기 브로바 고정판(210)에는 브로바(220)를 고정시키되 상기 브로바(220)는 로터(200)의 중심에 수 직 방향으로 세워지게 고정된다.
상기 브로바 고정판(210)은 로터(200)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게 되며, 상기 브로바 고정판(210)에는 브로바(220)의 후단에 형성된 끼움홈(221)에 끼워지기 위한 끼움돌기(212)가 형성되게 되고, 상기 브로바(220)는 사각봉 형태를 갖고 배면에 끼움홈(221)이 형성되는 한편 볼트로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구멍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브로바(220)는 로터(200)의 폭 방향으로 여러 개를 이어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각각의 브로바(220)에는 내측으로 무게를 줄이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브로바(220)는 로터(200)의 폭 방향으로 여러 개를 연이어 설치하여야 하며, 이 같이 브로바(220)를 분할하여 설치하는 경우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 브로바 고정판(210) 사이의 로터(200) 외측에는 하독스 판(250)이 설치되어 투입구로 투입되어 브로바(220)로 타격된 파쇄물이 로터(200)의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고 하독스 판(250)에 부딪히도록 하고, 하독스 판(250)은 25mm 이하의 파쇄물을 쉽게 파쇄시키는 한편 로터(200)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하독스 판(250)은 볼트 등을 이용하여 로터(200)의 표면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필요한 경우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터(200)가 설치된 파쇄실(10)은 로터(200)의 중앙을 수직으로 가로질러 양분되게 하고, 양분된 전방 파쇄실(11)과 후방 파쇄실(12)은 각각 유압 실린 더(61)(62)에 의해 힌지(71)(72)를 중심으로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전방 파쇄실(11)과 후방 파쇄실(12)이 서로 맞닿게 하는 경우는 정상적으로 파쇄가 이루어지게 되고, 전방 파쇄실(11)과 후방 파쇄실(12)이 서로 벌어진 경우는 내부의 로터(200)와 브로바(220)의 교체나 수리를 하는 경우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파쇄실(10)을 전후로 나누어 많이 벌려주는 이유는 브로바(220)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투입구에 설치된 투입슈터(50)의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은 파쇄실(10)의 투입구에 투입슈터(50)를 설치하여 적은 크기의 파쇄물이 투입되었을 때 역방향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되 상기 투입슈터(50)의 바닥에는 자석(55)을 설치하여 파쇄물이 투입될 때 자석(55)으로 파쇄물과 함께 투입되는 철편을 제거하도록 하고, 자석(55)에 붙은 철편은 전방 파쇄실(11)을 눕힌 상태에서 자석(55)을 제거하여 함으로써 제거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로터(20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에 실링재(201)를 설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투입슈터(50)를 통하여 25mm 이하의 비교적 적은 크기를 갖는 파쇄물이 투입되게 하고, 투입슈터(50)로 투입된 파쇄물은 투입구를 통하여 파쇄실(10)에서 파쇄되게 되며, 이때 투입슈터(50)에 설치된 자석(55)으로 철편이 제거된 채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파쇄실(10)로 투입된 파쇄물은 회전되는 로터(200)의 브로바(220)에 부딪혀 파쇄되게 되며, 상기 브로바(220)에서 타격된 파쇄물은 하독스 판(250)에 부딪히는 동시에 1,2차 타격판(30)(40)에 부딪혀 이차 타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5.5mm 정도의 모래로 생산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임팩트 크라샤와 달리 브로바(220)가 여러 개로 분할되어 파쇄물을 치게 되므로, 파쇄 효율을 높이는 한편 브로바(220)의 교체나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로터(200)의 표면을 하독스 판(250)으로 막아주게 되므로, 브로바(220)에서 타격된 순환골재가 하독스 판(250)에 부딪히면서 파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로터(200)의 브로바(220)에 의해 타격되고, 1,2차 타격판(30)(40) 및 로터(200)의 하독스 판(250)에 의해 이차 타격되어 파쇄된 순환골재는 5.5mm의 모래로 생산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파쇄실(10)은 전,후 파쇄실(11)(12)로 구분되어 유압실린더(61)(62)에 의해 힌지(71)(72)를 중심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으로, 파쇄실(10) 내부의 로터(200)에 고정된 브로바(220)나 하독스 판(250) 및 라이닝 판과 투입슈터(50)의 자석(55)에 붙은 철편을 제거할 때 전,후 파쇄실(11)(12)을 눕혀놓고 작업 하게 된다.
즉, 파쇄실(10)을 넓게 벌려줄 수 있어 브로바(220)의 교체 작업을 할 때 작업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고, 하독스 판(250)이나 라이닝 판 등의 교체가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기존 임팩트 크라샤의 단면도
도 2는 기존 로터의 단면도
도 3은 기존 임팩트 크라샤에 투입슈트가 설치된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로터 실시예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브로바 고정상태를 보인 로터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로터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로터에 고정되는 브로바 고정판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브로바 고정판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브로바 사용상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브로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브로바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브로바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임팩트 크라샤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샌드 크라샤를 개방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40 : 타격판 100 : 샌드 크라샤
200 : 로터 210 : 브로바 고정판
211 : 끼움돌기 220 : 브로바
221 : 끼움홈 230 : 회전축
250 : 하독스 판

Claims (6)

  1. 일정 공간을 갖는 파쇄실(10)에서 회전하는 로터(200)의 표면에 등 간격으로 브로바 고정판(210)을 고정시키고,
    상기 브로바 고정판(210)에는 로터(200)의 회전 중심에 수직 방향으로 브로바(220)를 고정시키되 상기 브로바(220)는 로터(200)의 폭 방향으로 수 개가 연속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 크라샤.
  2. 제1항에 있어서, 로터(200)의 브로바 고정판(21) 사이에는 로터(200)의 외측으로 하독스 판(250)을 고정시켜 파쇄물이 로터(200)의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 크라샤.
  3. 제1항에 있어서, 브로바 고정판(210)에는 로터(200)의 회전 방향 쪽으로 끼움돌기(211)가 형성되고, 상기 브로바 고정판(210)에 고정되는 브로바(220)는 사각봉 형태를 갖고 배면으로 끼움돌기(211)에 끼워지는 끼움홈(221)이 형성되는 한편 볼트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 크라샤.
  4. 제1항에 있어서, 로터(200)가 설치된 파쇄실(10)은 로터(200)의 중앙을 수직으로 가로질러 전방 파쇄실(11)과 후방 파쇄실(12)로 양분되게 하고, 양분된 전방 파쇄실(11)과 후방 파쇄실(12)은 각각 유압 실린더(61)(62)에 의해 힌지(71)(72)를 중심으로 회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 크라샤.
  5. 제1항에 있어서, 파쇄실(10)의 투입구에 투입슈터(50)를 설치하되 투입슈터(50)의 바닥에는 자석(55)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 크라샤.
  6. 제1항에 있어서, 로터(20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230)은 파쇄실(10)을 이루는 곳에서 만나는 곳에 실링재(201)를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 크라샤.
KR1020090008900A 2009-02-04 2009-02-04 샌드 크라샤 KR100993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900A KR100993940B1 (ko) 2009-02-04 2009-02-04 샌드 크라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900A KR100993940B1 (ko) 2009-02-04 2009-02-04 샌드 크라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587A true KR20100089587A (ko) 2010-08-12
KR100993940B1 KR100993940B1 (ko) 2010-11-12

Family

ID=42755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900A KR100993940B1 (ko) 2009-02-04 2009-02-04 샌드 크라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9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690B1 (ko) * 2020-03-18 2020-10-07 이세원 트랙터 장착형 돌파쇄기
KR20220030643A (ko) * 2020-09-03 2022-03-1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폐유리 미분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972B1 (ko) * 2011-03-08 2011-07-26 (주)혜성기업 해머 밀의 원료 공급장치
KR101770797B1 (ko) 2017-06-19 2017-08-23 (주)플랜트존 파쇄 기능이 향상된 임팩트 크라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9351A (ja) * 1983-11-04 1985-06-03 株式会社栗本鉄工所 衝撃式破砕機の打撃板着脱装置
KR200442428Y1 (ko) * 2008-07-18 2008-11-10 (주)대명크라샤 임팩트 크라샤의 파쇄물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690B1 (ko) * 2020-03-18 2020-10-07 이세원 트랙터 장착형 돌파쇄기
KR20220030643A (ko) * 2020-09-03 2022-03-1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폐유리 미분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3940B1 (ko) 201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2428Y1 (ko) 임팩트 크라샤의 파쇄물 공급장치
KR100993940B1 (ko) 샌드 크라샤
KR102108420B1 (ko)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048071B1 (ko) 다중 파쇄 구조를 갖는 순환골재의 페이스트 박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생산방법
KR101987832B1 (ko)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725995B1 (ko) 임팩트 크라샤의 타격판 에이프런
KR100870650B1 (ko) 골재의 제조장치
JP2018164865A (ja) 乾式分級機
KR101336713B1 (ko) 스크류콘 파·마쇄기
JP2011098254A (ja) 竪型衝撃式破砕機
CN214974428U (zh) 建筑固废回收用破碎制砂机
KR100870986B1 (ko) 건설폐기물의 중간 처리물로부터 몰타르 및 페이스트를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분리방법 및 그 장치
JP5006386B2 (ja) 原料粉砕機用排出扉
KR0134341Y1 (ko) 재활용 충격식 파쇄기
CN212237515U (zh) 一种转子架耐久使用的反击式破碎机
KR20130142714A (ko) 임팩트 크라샤 분쇄 날
KR100656731B1 (ko) 순환 골재 샌드밀
KR200474719Y1 (ko) 주물사 파쇄기
CN101716537A (zh) 高效环锤式细碎机
CN202113897U (zh) 锤式粉碎机
KR20080094219A (ko) 해머를 이용한 건축 폐기물 분쇄장치
JP5249235B2 (ja) 竪型衝撃式破砕機
KR102282149B1 (ko)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제조용 임팩트크라샤
KR100745199B1 (ko) 3단 파쇄 임펙트로타와 톱니형 엔빌를 갖는 샌드크라샤
CN214766034U (zh) 一种混凝土骨料粉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