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420B1 -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420B1
KR102108420B1 KR1020190118225A KR20190118225A KR102108420B1 KR 102108420 B1 KR102108420 B1 KR 102108420B1 KR 1020190118225 A KR1020190118225 A KR 1020190118225A KR 20190118225 A KR20190118225 A KR 20190118225A KR 102108420 B1 KR102108420 B1 KR 102108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case
aggregate
rotating shaft
fine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신건자재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신건자재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신건자재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118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1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a roller co-operating with a stationary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2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reinforced concre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타격 등을 통해 피분쇄물로부터 굵은골재와 잔골재를 생산하고 분쇄를 위한 구성(해머, 밀)과 구동을 위한 구성(회전축)을 분리하여 중량을 줄이고 이들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회전축을 두고 필요한 부분만 분리하여 보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0)과; 배출구를 갖는 구획플레이트를 통해 상부의 분쇄영역(40) 및 하부의 구동영역(30)으로 구획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케이스(2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수단(50)과; 상기 케이스 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장착 시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스 안에 유입된 골재의 타격과 밀링을 통해 굵은골재와 잔골재를 생산하는 수직형 분쇄기(6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분쇄영역은 6각형으로 공간을 갖는 프레임(42) 및 상기 프레임의 공간을 통해 6각형으로 배열됨과 아울러 상기 배출구를 향해 상기 수직형 분쇄기와 근접되도록 경사지는 6개의 엔빌(43) 또는 5개의 엔빌(43)과 1개의 배출유도판(45)으로 이루어지는 분쇄영역 케이스(41)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51), 상기 케이스의 구동영역에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수직형 분쇄기에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고정형의 회전축(52)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형 분쇄기는 상기 케이스의 분쇄영역 안에서 상기 회전축에 체결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원통 구조의 허브(61), 상기 허브의 둘레부에 원형의 라인을 따라 방사형으로 장착됨과 아울러 상하 방향의 다단으로 장착되는 해머(62)와 롤형 밀(63)을 포함하여 상기 케이스의 분쇄영역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회전축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수직형 분쇄기만 분해 조립한다.

Description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Vertical Dry coarse aggregate and fine aggregat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Lightweight and Enhanced Rotation and Repair}
본 발명은 폐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골재(굵은골재, 잔골재)를 생산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분쇄물로부터 굵은골재와 잔골재를 생산하고 분쇄 구성의 개선을 통해 중량을 줄이고 회전력도 증대하며 간단하게 보수할 수 있는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건축물의 노후화 등으로 각종의 건설폐기물이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으나 매립지의 부족, 불법투기 등으로 인하여 자연환경의 파괴가 만연하는 과정에서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건설 폐기물중 지정 부산물을 재활용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업체가 골재(재생, 순환 골재)를 생산하고 있으나 기술 및 인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골재 재활용 의무화는 유명무실한 상태가 되었고 각 건설업체도 하급의 골재를 기피하여 골재는 복토, 성토재 등으로 사용이 국한되어 막대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확인할 수 있는 특허문헌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특허받은 등록특허 제10-1987832호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내주면이 라이너로 라이닝 된 통 형태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동수단을 통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투입되는 피분쇄물을 처리하여 굵은골재와 잔골재의 혼합물을 생산하는 수직형 분쇄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각각 투입구와 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는 상기 수직형 분쇄기의 회전 방향을 따라 시작과 끝 지점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수직형 분쇄기는 상기 케이스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피분쇄물을 상기 배출구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케이스의 라이너에 지지되는 피분쇄물을 분쇄 및 박리하여 상기 배출구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의 모든 라이너를 사용하는 것으로, 구동수단의 회전축과 타격수단이 같은 공간 안에 설치되고 회전축의 전 부분에 걸쳐 타격수단이 적용되기 때문에 중량이 무겁고 따라서 많은 동력을 필요로 하거나 회전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또한, 타격수단과 회전축을 함께 분리할 수밖에 없어 보수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98783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타격 등을 통해 피분쇄물로부터 굵은골재와 잔골재를 생산하고 분쇄를 위한 구성(해머, 밀)과 구동을 위한 구성(회전축)을 분리하여 중량을 줄이고 회전축을 두고 필요한 부분만 분리하여 보수할 수 있는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과; 내면이 6각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하부에 각각 투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된 통 형태이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케이스 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장착 시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스 안에 유입된 골재의 타격과 밀링을 통해 굵은골재와 잔골재를 생산하는 수직형 분쇄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부의 분쇄구역 및 하부의 구동구역이 구획 형성되며,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 상기 케이스의 구동구역에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수직형 분쇄기에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고정형의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형 분쇄기는 상기 회전축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통 구조의 허브, 상기 허브의 둘레부에 다단 및 방사형으로 장착되는 타격 해머와 롤형 밀을 포함하여 상기 케이스의 분쇄구역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회전축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수직형 분쇄기만 분해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건식을 통해 굵은골재와 잔골재의 혼합물을 생산하여 습식 방식에서 발생하는 오염을 방지하고 습식 방식에 비해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고, 수직형 분쇄기가 상부에서 투입된 피분쇄물을 한 바퀴 이상 이동시켜 분쇄영역의 모든 부분을 이용함으로써 장치의 수명을 연장하고 굵은골재와 잔골재의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회전축과 수직형 분쇄기를 서로 다른 공간에 배열하여 중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적은 동력으로 구동이 가능하거나 동일 동력일 때 종래보다 회전성이 높아 분쇄효율을 향상하는 효과도 있으며 아울러 회전축을 고정 상태로 두고 수직형 분쇄기만 분리하여 보수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에 적용된 분쇄영역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에 적용된 분쇄영역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에 적용된 수직형 분쇄기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에 적용된 해머의 위치 변경을 보인 예시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0), 베이스 프레임(10)에 설치되며 분쇄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로 구동영역을 제공하는 하부의 구동영역(30) 및 상부의 분쇄영역(40)을 제공하는 케이스(20), 분쇄를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50), 구동수단(50)의 동력을 받아 케이스(20)안에서 피분쇄물을 타격이나 밀링(milling))하는 수직형 분쇄기(6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은 수직형 분쇄기(40)에 의해 처리된 굵은골재와 잔골재(이물질 포함 가능)를 다른 곳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케이스(20)의 저부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위쪽에 배치하며, H 빔과 플레이트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케이스(20)는 구동수단(50)의 회전축(52)이 수용되는 구동영역(30) 및 수직형 분쇄기(60)가 수용되는 분쇄영역(40)으로 구분되며, 구동영역(30)이 하부에 분쇄영역(40)이 상부에 배치된다.
구동역역(30)과 분쇄영역(40)은 하나의 케이스에 구성되는 일체형, 구동역역(30)과 분쇄영역(40)을 갖는 각각의 케이스가 결합되는 조립형 모두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동역역(30)과 분쇄영역(40)의 분할을 통해 수직형 분쇄기(60) 및 장치 전체의 경량화 및 수직형 분쇄기(60)의 회전성 향상이 가능하다.
구동영역(30)은 그 중앙에 회전축(52)이 상하의 수직형으로 배열되면서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은 바람직하게 회전축(5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베어링(31,32)이다.
구동영역(30)은 상부에 분쇄영역(40)이 자리 잡도록 분쇄영역(40)을 지지하는 구동영역 케이스(33)에 의해 형성된다.
구동영역 케이스(33)는 회전축(52)의 높이 정도로 구성되며 경량화를 위하여 구동영역(30)의 내부가 빈 공간을 유지하도록 하고, 바람직하게 원통, 회전축(52)의 둘레부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원통과 연결되는 다수의 스포크로 구성된다.
또한, 회전축(52)이 피분쇄물과 충돌하지 않도록 회전축(52)의 둘레부를 감싸는 회전축 커버(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영역(30)은 구획플레이트(35)를 통해 상부의 분쇄영역(40)과 구분된다.
구획플레이트(35)는 일부분이 외부(하부)와 통하도록 형성되어 배출구(35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직형 분쇄기(60)의 회전에 의해 피분쇄물을 처리하고, 이 때, 분쇄영역 케이스(41)의 전 영역을 처리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투입구와 배출구(35a)의 위치가 결정되며, 즉, 투입구를 수직형 분쇄기(60)가 회전하는 시작지점이라 할 때 배출구(35a)는 상기 투입구를 기준으로 하여 약 350도에 근접하는 위치이다.
분쇄영역(40)은 분쇄영역 케이스(41)를 통해 형성된다.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분쇄영역 케이스(41)는 프레임(42), 프레임(42)에 결합되는 6개의 엔빌(43)로 구성되어 내부에 분쇄영역(40)을 마련하면서 상부에는 투입부가 바닥부에는 배출구가 구비된다.
프레임(42)은 6개의 엔빌(43)이 6각형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6개의 공간을 갖는 6각형의 형태이며, 예를 들어 6개의 측벽이 구획플레이트(35) 위에 세워진 형태{구획플레이트(35)와 일체형도 가능}이다.
엔빌(43)은 판형이며 안쪽면에 라이너(43a)가 덧대어진다. 라이너(43a)는 고강도로서 예컨대 하이망간을 재질로 하고 수직형 분쇄기(60)를 향하는 면이 다수의 돌기가 홈을 갖는 요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6개의 엔빌(43)은 각각 프레임(42)에 분리가 가능한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라이너(43a)만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좌우 양쪽에 각각 플랜지가 형성되어 이 양쪽의 플랜지가 이웃하는 프레임(42)의 측벽에 볼트와 너트 등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와 같이, 엔빌(43)의 분리를 통해 공간을 확보하여 분쇄영역 케이스(41)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외부에서 수직형 분쇄기(60)를 보수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엔빌(43)은 하부의 배출구쪽이 상부의 투입부쪽보다 회전축(52)을 향해 모아지는 경사형으로 배치되어 배출구로 가면서 수직형 분쇄기(60)와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여 분쇄의 효율을 극대화한다.
본 발명은 엔빌(43)의 교체를 통해 유지보수가 용이한 것은 물론, 라이너(43a)의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마모가 큰 부분만의 교체를 위하여 라이너 엔빌(43)은 중앙측 라이너(43a-1) 및 좌우측 라이너(43a-2)로 분할 구성된다.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수직형 분쇄기(60)와 엔빌(43)간의 간격은 중앙부의 간격(d1)이 좌우측의 간격(d2)보다 좁다. 따라서, 라이너(43a)의 좌우 양측보다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마모가 크며, 본 발명은 라이너(43a)의 중앙부만 마모되고 좌우 양측은 교체가 필요없는 상황에서 중앙측 라이너(43a-1)만의 교체를 통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도록 한다.
분쇄영역 케이스(41)는 투입구를 갖는 상부플레이트(44)가 구성된다.
상부 플레이트(44)는 수직형 분쇄기(60)를 분해하고 조립할 수 있도록 분쇄영역 케이스(41)의 프레임(42)에 볼트와 너트 등을 통해 조립식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6각형을 유지하면서 5개의 엔빌(43)과 함께 1개의 배출유도판(45)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배출유도판(45)은 배출구(35a)가 있는 곳의 면에서 프레임(41)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회전 또는 진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골재가 배출구(35a)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구동수단(50)은 구동모터(51)과 회전축(52) 및 동력전달수단(53)으로 구성된다.
구동모터(51)는 베이스 프레임(10)에 설치되며, 예를 들어 구동축이 저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회전축(52)은 구동영역(30)의 내부에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상하 양측의 베어링(31,32)을 통해 구동영역 케이스(3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회전축(52)은 상단부가 분쇄영역(40)의 내부로 직접 또는 간접(커플러)적으로 돌출되고 하단부가 구동영역(30)의 외부로 돌출되어 동력전달수단(53)과 연결된다.
동력전달수단(53)은 구동모터(51)의 회전력을 회전축(52)에 전달하는 다양한 제품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구동모터(51)의 구동축과 회전축(52)에 각각 결합되는 풀리 및 상기 풀리에 감기는 벨트이다.
수직형 분쇄기(60)는 원통형의 허브(61), 허브(61)에 장착되며 피분쇄물을 분쇄 또는 밀링하는 해머수단으로 다수의 해머(62)와 롤형 밀(63)로 구성되며, 구동수단(50)을 구동원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피분쇄물을 분쇄한다.
허브(61)는 해머(62)와 롤형 밀(63)이 설치되는 지지기반으로, 둘레부에 방사형이면서 다단으로 해머(62)와 롤형 밀(63)이 조립되는 해머수단 조립부가 구성된다. 상기 해머수단 조립부는 해머(62)와 롤형 밀(63)의 형태에 맞춰 다양하게 형성되며 예를 들어 해머(62)와 롤형 밀(63)을 감싸는 형태이다.
허브(61)는 원통형이면서 상하부에 각각 외형의 플랜지가 형성되는 형태이고, 상기 상하부 플랜지 사이에 상기 해머수단 조립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허브(61)는 저부에 회전축(51)에 연결되는 회전축 연결부(61a)를 포함한다.
회전축 연결부(61a)는 예를 들어 회전축(51)의 상단 두부 또는 상단 둘레부를 감싸면서 키 등을 통해 회전축(51)에 고정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이 수직형 분쇄기(60)는 저부만 회전축(52)에 연결되어 키만 제거하는 것을 통해 수직형 분쇄기(60)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보수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회전축 연결부(61a)와 회전축(51)의 조립과 분해 작업을 위하여 허브(61)의 중앙부 즉 회전축 연결부(61a)의 상부는 개방 형성되고, 이 때, 평상시 회전축 연결부(61a)의 외부 노출을 막아 보호하기 위한 덮개(61b)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머(62)와 롤형 밀(63)은 다단으로 배치되며, 도면에는 상부에서부터 2단의 해머(62) - 1단의 롤형 밀(63) - 1단의 해머(62)가 다단으로 구성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해머(62)와 롤형 밀(63)은 각각 구조와 기능이 상이하고 따라서 교체주기도 다를 수 있으므로 서로 간섭없이 단독으로 고정된다.
다단으로 배열되는 해머(62)들은 하나의 고정핀(62a)으로 고정된다. 고정핀(62a)은 볼트로서 허브(61)의 해머수단 조립부 및 이 해머수단 조립부에 결합되는 해머(62)들을 관통하고 저부에 너트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롤형 밀(63)은 해머(62)의 고정핀(62a)과 다른 위치에서 축핀(63a)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축핀(63a)은 해머수단 조립부와 롤형 밀(63)을 관통한 후 너트의 체결로 고정된다.
해머(62)와 롤형 밀(63)은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원주방향을 따라 가면서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해머(62)는 해머부(62b), 해머부(62b)에 해머부(62b)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며 고정핀(62a)을 통해 허브(61)에 고정되는 연결부(62a)로 구성된다. 해머부(62b)는 두부에 하나 이상의 홈(예를 들어, 길이방향의 양쪽이 외부와 통하는 형태)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해머(62)는 연결부(62a)의 일측을 금형에 거치한 후 재료를 상기 금형에 주입하여 제조되는 인서트 방식이 바람직하고, 연결부(62a)는 철을 재료로 하며 해머부(62b)는 하이망간을 재료로 한다.
또한, 해머(62)는 도 3의 원호에서 보이는 것처럼, 골재를 타격하면서도 아래의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성을 줄 수 있도록 타격면이 아래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최상단과 그 아래 단의 해머(62)는 전술한 것처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형 밀(63)은 나선형 요철부(63b)를 포함한다. 나선형 요철부(63b)에 따르면, 피분쇄물의 밀링 효과를 높이면서 골재를 자연스럽게 하부의 배출구로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해머(62)와 롤형 밀(63)은 피분쇄물의 분쇄를 통해 서서히 마모가 발생하며, 따라서, 분쇄기 케이스(41)와 간격이 커지게 되어 설계 입도의 골재를 획득하지 못하게 되고, 이 때, 해머(62)와 롤형 밀(63)을 교체하지 않고 더 사용할 수 있도록 허브(61)의 해머수단 조립부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제1,2고정홀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회전축(51)을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가까운 곳에 제1고정홀(61-1)을, 먼 곳에 제2고정홀(61-2)을 형성하며, 초기에 해머(62)를 제1고정홀(61-1)에 조립하여 사용하고 해머(62)가 마모된 경우 제2고정홀(61-1)에 조립하여 사용한다.
해머(62)의 마모 시 재사용을 위한 다른 방법으로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허브(61)에는 하나의 고정홀을 형성하지만 해머(62)의 연결부(62a)에 서로 다른 위치로 2개의 고정홀(62c-1,62c-2)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롤형 밀(62)도 해머(61)와 동일한 방식을 통해 위치를 바꾸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를 이용한 골재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피분쇄물 투입.
고정형인 분쇄영역 케이스(41)의 투입구에 피분쇄물(예를 들어 40mm 입도)을 투입한다.
2. 분쇄.
구동수단(50)을 구동하면, 구동모터(51)가 회전력을 발생하여 동력전달수단(53)을 통해 회전축(52)에 전달한다.
회전축(52)의 회전은 수직형 분쇄기(60)의 허브(61)에 전달되어 허브(61)가 회전하고, 따라서 허브(61) 둘레부에 있는 해머(62)와 롤형 밀(63)이 회전하게 된다.
투입구를 통해 분쇄영역 케이스(41)에 투입된 피분쇄물은 상부의 해머(62)에서부터 하부의 해머(62) - 롤형 밀(63) - 해머(62)를 거치게 되고 이 과정을 통해 해머(62)의 타격과 롤형 밀(63)의 밀링에 의해 작은 입도로 분쇄 내지 돌출된 부분이 연마된다. 이 때, 엔빌(43)의 라이너(43a)가 피분쇄물을 지지하여 타격과 밀링을 도와준다. 또한, 해머(62)와 롤형 밀(63)이 원주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므로 해머(62)가 피분쇄물을 타격하여 작은 입도로 분쇄함과 아울러 표면의 물성을 약화시키고 롤형 밀(63)이 피분쇄물을 비벼 입도 조절하고 또한 굵은골재와 잔골재의 비율을 맞춘다. 또한, 배출구(12)에 가까워질수록 엔빌(43)과 해머(62) 및 롤형 밀(63) 간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배출구(35a)쪽에서 피분쇄물이 집중되어 분쇄 효율을 향상한다. 또한, 직선 판형의 엔빌(43)이 6각형으로 배치되고 수직형 분쇄기(60)의 해머(62)와 롤형 밀(63)의 둘레부 라인이 원형이기 때문에 엔빌(43)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공간이 넓어지며, 따라서, 분쇄영역 케이스(41)는 내부가 좁은 공간과 넓은 공간이 반복되는 구조로서 좁은 공간에서 분쇄된 후 넓은 공간으로 이동하여 뒤섞이게 되어 분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3. 배출.
굵은골재(예를 들어 10mm~20mm)와 잔골재(예를 들어 10mm 이하)는 배출구(35a)를 통해 분쇄영역 케이스(4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배출유도판(45)을 통해 골재들의 배출을 유도하여 배출구(35a)에서 막힘과 정체현상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배출구(35a)를 통해 함께 배출되는 굵은골재와 잔골재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를 위하여 배출구(35a)의 하부에는 굵은골재와 잔골재를 입도선별하는 스크린이 갖추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60)의 보수 방법은, 상부 플레이트(44)를 분리하여 분쇄영역 케이스(41)의 내부를 개방함으로써 수직형 분쇄기(6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수직형 분쇄기(60)의 덮개(61b)를 분리하여 허브(61)의 회전축 연결부(61a)가 노출되도록 한 후 체결구를 해제하며, 이로써, 회전축(52)과 수직형 분쇄기(60)는 구속이 없어진 자유상태가 된다. 수직형 분쇄기(60)를 올려 분쇄영역 케이스(41)의 외부로 꺼내어 보수 또는 교체한다. 즉, 회전축(52)은 구동영역 케이스(33)에 그대로 남아 있고 수직형 분쇄기(60)만을 분리함으로써 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엔빌(43)의 중앙측 라이너(43a-1)만 마모되고 좌우측 라이너(43a-2)는 마모되지 않은 경우 중앙측 라이너(43a-1)만을 엔빌(43)로부터 분리하고 교체한다.
10 : 베이스 프레임, 20 : 케이스
30 : 구동영역, 31,32 : 베어링
33 : 구동영역 케이스, 34 : 회전축 커버
40 : 분쇄영역, 41 : 분쇄영역 케이스
42 : 프레임, 43 : 엔빌
50 : 구동수단, 51 : 구동모터
52 : 회전축,
60 : 수직형 분쇄기, 61 : 허브
62 : 해머, 63 : 롤형 밀

Claims (5)

  1. 베이스 프레임(10)과;
    배출구를 갖는 구획플레이트를 통해 상부의 분쇄영역(40) 및 하부의 구동영역(30)으로 구획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케이스(2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수단(50)과;
    상기 케이스 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장착 시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스 안에 유입된 골재의 타격과 밀링을 통해 굵은골재와 잔골재를 생산하는 수직형 분쇄기(6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분쇄영역은 6각형으로 공간을 갖는 프레임(42), 상기 프레임의 공간을 통해 6각형으로 배열됨과 아울러 상기 배출구를 향해 상기 수직형 분쇄기와 근접되도록 경사지는 6개의 엔빌(43) 또는 5개의 엔빌(43)과 1개의 배출유도판(45) 및 상기 엔빌의 안쪽면에 덧대어지는 라이너(43)로 이루어지는 분쇄영역 케이스(41)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51), 상기 케이스의 구동영역에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수직형 분쇄기에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고정형의 회전축(52)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형 분쇄기는 상기 케이스의 분쇄영역 안에서 상기 회전축에 체결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원통 구조의 허브(61), 상기 허브의 둘레부에 원형의 라인을 따라 방사형으로 장착됨과 아울러 상하 방향의 다단으로 장착되는 해머(62)와 롤형 밀(63)을 포함하여 상기 케이스의 분쇄영역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회전축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수직형 분쇄기만 분해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상기 수직형 분쇄기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곳의 중앙측 라이너가 좌우측 라이너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영역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분쇄영역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구동영역 케이스(33) 및 상기 회전축의 둘레부를 감싸 보호하는 회전축 커버(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해머는 상기 라이너에 대해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위치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5. 청구항 1에 의한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를 이용한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의 분쇄영역 안에 피분쇄물을 투입하는 제1단계와;
    상기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의 수직형 분쇄기를 회전시켜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피분쇄물을 반대쪽 끝 지점인 배출구로 이동시키면서 분쇄 및 밀링한 후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방법.





KR1020190118225A 2019-09-25 2019-09-25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108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225A KR102108420B1 (ko) 2019-09-25 2019-09-25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225A KR102108420B1 (ko) 2019-09-25 2019-09-25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420B1 true KR102108420B1 (ko) 2020-05-29

Family

ID=70911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225A KR102108420B1 (ko) 2019-09-25 2019-09-25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4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5856A (zh) * 2020-07-27 2020-11-10 广州市顺创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固体废物处理用破碎装置
CN112169975A (zh) * 2020-09-17 2021-01-05 嘉兴迪迈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药原材料研磨粉碎设备
CN112222028A (zh) * 2020-09-23 2021-01-15 杭州拓胜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建筑设备清理保养设备及其使用方法
CN112222027A (zh) * 2020-09-23 2021-01-15 杭州拓胜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建筑设备清理保养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2707B2 (ja) * 2012-08-30 2016-06-29 株式会社Ihi 粉砕装置
KR101788782B1 (ko) * 2016-12-01 2017-10-23 (주)거산기계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 및 탑셀 구조체의 콘케이브 교체방법
KR101987832B1 (ko) 2018-05-08 2019-06-12 주식회사 유신건자재연구소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2707B2 (ja) * 2012-08-30 2016-06-29 株式会社Ihi 粉砕装置
KR101788782B1 (ko) * 2016-12-01 2017-10-23 (주)거산기계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 및 탑셀 구조체의 콘케이브 교체방법
KR101987832B1 (ko) 2018-05-08 2019-06-12 주식회사 유신건자재연구소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5856A (zh) * 2020-07-27 2020-11-10 广州市顺创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固体废物处理用破碎装置
CN112169975A (zh) * 2020-09-17 2021-01-05 嘉兴迪迈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药原材料研磨粉碎设备
CN112222028A (zh) * 2020-09-23 2021-01-15 杭州拓胜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建筑设备清理保养设备及其使用方法
CN112222027A (zh) * 2020-09-23 2021-01-15 杭州拓胜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建筑设备清理保养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420B1 (ko)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JP5341898B2 (ja) ローラミル、及びそれを用いた原料の粉砕方法。
US20120325949A1 (en) Device for mechanical separation of material conglomerates from materials of different density and/or consistency
KR101987832B1 (ko)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US9993825B2 (en) Device for comminuting feedstock
KR100909445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용 체인 해머 크러셔
KR100973335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와 마쇄를 이용한 순환골재 제조시설
JPH10137610A (ja) 破砕不適物選別破砕方法とその破砕装置
KR100793167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 입도개선, 몰탈제거, 선별, 모래생산용눈막힘방지장치용 드럼벨
KR101072011B1 (ko) 임펙터를 구비한 롤 크러셔
KR101992617B1 (ko) 광폭형 샌드 크러셔
KR101138420B1 (ko) 다중 회전체와 다면다각 요철형 라이너가 장착된 복합 마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식공법의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제조 방법
KR101336713B1 (ko) 스크류콘 파·마쇄기
KR100599459B1 (ko) 파쇄기
KR101492212B1 (ko) 파분쇄와 박리에 의한 순환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JP2011098254A (ja) 竪型衝撃式破砕機
KR100993940B1 (ko) 샌드 크라샤
KR20120048405A (ko) 슈레더
KR102249007B1 (ko) 파쇄된 잔골재의 박리와 입형 개선을 위한 분급 겸용 타격밀
CN105344424A (zh) 一种便于拆卸的锤式破碎机转子
KR20050035378A (ko) 건축폐기물 재생 시스템의 선별용 드럼
JP3644478B2 (ja) 破砕装置
KR101784433B1 (ko) 골재 생산 과정의 무기물 슬러지 처리장치
KR200351072Y1 (ko) 파쇄기
JP5249235B2 (ja) 竪型衝撃式破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