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7947A -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 및 이를 이용한 수목 분뜨기 방법 - Google Patents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 및 이를 이용한 수목 분뜨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7947A
KR20100087947A KR1020090007027A KR20090007027A KR20100087947A KR 20100087947 A KR20100087947 A KR 20100087947A KR 1020090007027 A KR1020090007027 A KR 1020090007027A KR 20090007027 A KR20090007027 A KR 20090007027A KR 20100087947 A KR20100087947 A KR 20100087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ree
protrusion
mai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7844B1 (ko
Inventor
공재만
Original Assignee
공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재만 filed Critical 공재만
Priority to KR1020090007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844B1/ko
Publication of KR20100087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01G23/046Transplanting devices using elements to be driven into the ground for making a container around the root bal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 및 이를 이용한 수분 분뜨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복수의 메인 부재, 상기 복수의 메인 부재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코너 부재, 그리고 상기 메인 부재와 상기 코너 부재를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 장치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하는 상기 메인 부재 사이의 거리는 높이 방향을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분뜨기 방법은, 수목의 뿌리가 드러나도록 상기 수목 주변의 땅을 파는 단계, 상기 수목의 잔뿌리를 정리하여 뿌리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뿌리분 둘레에 컨테이너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보조 고정물을 주입하여 수목의 뿌리분을 컨테이너에 고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및 상기 수목을 들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뿌리분, 분짜기, 분뜨기, 컨테이너

Description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 및 이를 이용한 수목 분뜨기 방법{container for carrying tree and dig up tre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 및 이를 이용한 수목 분뜨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원, 공원, 도로 건설 등의 택지를 조성하게 되면 농장 등에 식재된 수목을 운반하여 택지를 조성하게 된다.
수목을 택지 조성 지역으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식재된 수목을 분뜨기 하여 운반하게 되는데 운반 도중에 수목의 뿌리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분뜨기 작업 중에 분짜기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분짜기 작업은 통상적으로 분뜨기 작업중 깊이의 1/2 정도 파내려 갔을 때 시작하며, 토양이 뿌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뿌리분의 둘레를 새끼줄, 로프(이하, 결속 소재) 따위로 단단히 동여맨다. 최종적으로 직근을 잘라 수목을 눕혀놓은 상태에서 놓고 다시 한번 결속 소재로 동여 분짜기 작업을 마무리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분뜨기 작업에 의하여 형성되는 뿌리분의 적당한 직경은 보통 수목의 종류에 따라 근원직경의 2~5배가 적당하고, 거목의 경우에는 5~7배이다.
이와 같이 뿌리분의 크기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뿌리분에 결속소재를 감는 작업은 상당히 어렵고 결속소재를 감는 작업이 추가 되어 분뜨기 작업이 더디게 되었다. 아울러, 결속소재로 분짜기된 다수의 수목을 눕힌 상태로 운반하기 때문에 수목의 가지가 손상되었다.
본 발명은 수목의 이식을 위한 분뜨기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분뜨기 한 상태로 운반할 수 있는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는 서로 떨어져 있는 복수의 메인 부재, 상기 복수의 메인 부재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코너 부재, 그리고 상기 메인 부재와 상기 코너 부재를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 장치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하는 상기 메인 부재 사이의 거리는 높이 방향을 따라 변한다.
상기 메인 부재는 제1 평판 및 상기 제1 평판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너 부재는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폭 길이가 달라지는 제2 평판 및 상기 제2 평판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돌출부에 접촉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에는 상기 결합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장치는 한쪽 끝이 상기 제1 돌출부의 구멍과, 상기 제2 돌출부의 구멍에 삽입되는 결합 몸체, 상기 결합 몸체 다른 쪽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 몸체가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제2 돌출부에 밀착될 수 있는 결합 스토퍼를 포함하는 제1 부재, 그리고 상기 결합 몸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 몸체가 상기 구멍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이용한 분뜨기 방법은 수목의 뿌리가 드러나도록 상기 수목 주변의 땅을 파는 단계, 상기 수목의 잔뿌리를 정리하여 뿌리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뿌리분 둘레에 컨테이너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보조 고정물을 주입하여 수목의 뿌리분을 컨테이너에 고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및 상기 수목을 들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 설치 단계는 상기 뿌리분 둘레에 복수의 메인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메인 부재 사이에 코너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메인 부재와 상기 코너 부재를 결합 장치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부재 배치단계에서, 상기 메인 부재와 상기 코너 부재는 상기 뿌리분을 떠 받칠 수 있도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고정물은 우레탄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목을 분뜨기 하기 위하여 굴착을 한 후 뿌리분에 결속 소재로 감는 분짜기 작업 없이 뿌리분 둘레에 컨테이너를 설치한 후 컨 테이너와 함께 수목을 바로 옮길 수 있어 분뜨기 작업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테이너가 뿌리분의 둘레에 배치되어 수목의 뿌리가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어 뿌리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테이너에 수목이 보관된 상태에서 재배와 전시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목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B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 설치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컨테이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심어진 수목(1)을 조경 지역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분뜨기 작업을 실시한다. 이에 따라 수목(1)의 주변 땅을 파내게 되며 어느 정도 땅을 파내게 되면 수목(1)의 뿌리가 나타나게 되며, 나타난 뿌리들을 정리하여 뿌리분(2)을 형성한다. 뿌리분(2)의 둘레에 컨테이너(100)를 배치하여 뿌리분(2)을 보호한다.
컨테이너(100)는 복수의 메인 부재(110), 복수의 코너 부재(120), 그리고 복수의 결합 장치(130)를 포함한다.
복수의 메인 부재(110)는 수목(1)의 뿌리분(2) 둘레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 되어 있으며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수목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높이방향을 따라 하부에서 상부 외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메인 부재(110)의 단면 모양은 직사각형 모양으로써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복수의 메인 부재(110)가 기울어져 있게되면서 서로 이웃하는 메인 부재(110) 사이에 기울어진 각도에 비례하여 벌어지면서 틈새(G1)가 형성된다. 즉, 복수의 메인 부재(110)와 메인 부재(110)의 벌어진 간격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메인 부재(110)와 메인 부재(110)의 사이 간격은 멀어진다. 이렇게 복수의 메인 부재(110)가 경사지면서 복수의 메인 부재(110) 사이에 틈새(G1)가 형성되며, 틈새(G1)에는 코너 부재(120)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메인 부재(110)와 코너 부재(120)의 결합으로 컨테이너(100)는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메인 부재(110)를 살펴보면, 메인 부재(110)는 제1 평판(111) 및 제1 돌출부(112)를 포함한다.
제1 평판(111)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뿌리분(1)을 감싸 안을 수 있도록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평판(111)은 기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외곽에는 제1 돌출부(112)의 한쪽 끝이 결합되어 있다. 제1 둘출부(112)는 제1 평 판(111)의 외곽부분이 구부러져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12)는 제1 평판(111)과 직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직각에서 기설정된 각도록 경사질 수 있다. 제1 돌출부(112)는 복수의 구멍(113)을 갖는다. 그러나 구멍(113)은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코너 부재(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수의 코너 부재(120)는 제2 평판(121) 및 제2 돌출부(122)를 포함한다.
제2 평판(121)은 복수의 메인 부재(110)의 사이에 경사지게 배열 되어있다. 메인 부재(110)는 적어도 하나의 견인공(124)과 복수의 고정공(125)이 형성되어 있다.
견인공(124)에는 컨테이너(100)를 운반할 수 있도록 견인 고리(H) 따위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공(125)에는 아이 볼트(B) 따위가 결합될 수 있다. 아이 볼트(B)에는 수목을 고정하는 와이어(W) 따위가 결합될 수 있다. 견인 고리(H) 및 아이 볼트(B)는 제1 돌출부(112)의 구멍(1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평판(121)의 외곽 둘레에는 제2 돌출부(122)의 한쪽 끝이 연결되어 있다. 제2 돌출부(122)는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져 있으며 메인 제1 돌출부(112)와 맞닿아 있다. 제2 돌출부(122)에는 제1 돌출부(112)의 구멍(113)과 연결된 복수의 제2 돌출부(122)의 구멍(12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돌출부(122)의 구멍(123)은 생략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12)의 구멍(113)과 제2 돌출부(122)의 구멍(123) 마다 결합 장치(130)가 위치한다. 그러나 결합 장치(130)는 제1 돌출부(112)의 구멍(113)과 제2 돌출부(122)의 구멍(123)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 장치(130)는 메인 부재(110)와 코너 부재(120)을 결합하게 된다. 결합 장치(130)는 제1 부재(131) 및 제2 부재(135)를 포함한다.
제1 부재(131)는 결합 몸체(132) 및 결합 스토퍼(134)를 포함한다.
결합 몸체(132)의 한쪽 끝은 제1 돌출부(112)의 구멍(113)과 제2 돌출부(122)의 구멍(123)으로 삽입된다. 결합 몸체(132)의 한쪽 끝에는 결합 구멍(133)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몸체(132)의 단면 모양은 삼각형이다. 그러나 단면 모양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결합 몸체(132)의 다른 쪽 끝에는 결합 스토퍼(134)가 연결되어 있다. 결합 스토퍼(134)는 결합 몸체(132)가 제1 돌출부(112)의 구멍(113) 또는 제2 돌출부(122)의 구멍(123) 중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제1 돌출부(112) 또는 제2 돌출부(122)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부재(135)는 삽입 몸체(136) 및 삽입 스토퍼(137)를 포함하며, 제1 부재(13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2 부재(135)는 삽입 몸체(136)의 결합 구멍(133)에 삽입되어 삽입 몸체(136)가 구멍(113,123)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제1 부재(131)와 제2 부재(135)의 결합으로 메인 부재(110)와 코너 부재(120)가 결합되어 뿌리분(2) 둘레에 다각 형태의 컨테이너(10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100) 설치로 분짜기 작업이 생략되어 분뜨기 작업을 간소화 할 수 있다.
제1 부재(131)는 볼트 제2 부재(135)는 너트, 클램프 따위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컨테이너(100)에 보조 고정물을 형성하여 뿌리분(2)을 컨테이너(100)이 고정한다. 보조 고정물(200)은 겔 상태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형화되는 우레탄폼일 수 있다. 또한 고정공(125)에 결합된 아이 볼트(B)에 고정되는 와이어일 수 있다. 이렇게 뿌리분(2)이 컨테이너(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수목의 직근을 자른 후 견인 고리(H)에 견인 와이어를 연결하여 컨테이너(100)를 굴착 지점에서 들어 내게 되면 뿌리분(2) 손상 없이 굴착 지점에서 수목(1)을 들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뿌리분(2) 둘레에 컨테이너(100)의 설치로 분짜기 작업이 생략되면서 분뜨기 작업이 간편해지며 컨테이너(100)가 뿌리분의 둘레에 위치하여 분뜨기 작업 및 운반 중에 수목의 뿌리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렇게 수목(1)이 컨테이너(100)에 보관된 상태에서 재배와 전시용으로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B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 설치상태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의 설치상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메인 부재 111: 제1 평판
112: 제1 돌출부 113: 구멍
120: 코너 부재 121: 제2 평판
122: 제2 돌출부 123: 구멍
124: 견인공 125: 고정공
130: 결합 장치 131: 제1 부재
132: 결합 몸체 133: 결합 구멍
134: 결합 스토퍼 135: 제2 부재
136: 삽입 몸체 137: 삽입 스토퍼

Claims (9)

  1. 서로 떨어져 있는 복수의 메인 부재,
    상기 복수의 메인 부재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코너 부재, 그리고
    상기 메인 부재와 상기 코너 부재를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 장치
    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하는 상기 메인 부재 사이의 거리는 높이 방향을 따라 변하는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
  2. 제1항에서,
    상기 메인 부재는
    제1 평판 및
    상기 제1 평판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1 돌출부
    를 포함하는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
  3. 제2항에서
    상기 코너 부재는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폭 길이가 달라지는 제2 평판 및
    상기 제2 평판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돌출부에 접촉되는 제2 돌출부
    를 포함하는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
  4. 제3항에서,
    상기 제2 평판은 적어도 하나의 견인공과 복수의 고정공을 가지며,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에는 상기 결합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
  5. 제4항에서,
    상기 결합 장치는
    한쪽 끝이 상기 제1 돌출부의 구멍과, 상기 제2 돌출부의 구멍에 삽입되는 결합 몸체, 상기 결합 몸체 다른 쪽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 몸체가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제2 돌출부에 밀착될 수 있는 결합 스토퍼를 포함하는 제1 부재, 그리고
    상기 결합 몸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 몸체가 상기 구멍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부재
    를 포함하는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
  6. 수목의 뿌리가 드러나도록 상기 수목 주변의 땅을 파는 단계,
    상기 수목의 잔뿌리를 정리하여 뿌리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뿌리분 둘레에 컨테이너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보조 고정물을 형성하여 수목의 뿌리분을 컨테이너에 고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및 상기 수목을 들어올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목 분뜨기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컨테이너 설치 단계는
    상기 뿌리분 둘레에 복수의 메인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메인 부재 사이에 코너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메인 부재와 상기 코너 부재를 결합 장치로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부재 배치단계에서, 상기 메인 부재와 상기 코너 부재는 상기 뿌리분을 떠 받칠 수 있도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는
    수복 분뜨기 방법.
  8. 제6항에서,
    상기 보조 고정물은 컨테이너의 내부에 겔 상태로 투입되어 고형화되는 우레탄폼인
    수목 분뜨기 방법.
  9. 제6항에서,
    상기 보조 고정물은 양쪽 끝이 마주하는 메인 부재 또는 코너 부재에 각각 고정되는 와이어인
    수목 분뜨기 방법.
KR1020090007027A 2009-01-29 2009-01-29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 및 이를 이용한 수목 분뜨기 방법 KR101147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027A KR101147844B1 (ko) 2009-01-29 2009-01-29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 및 이를 이용한 수목 분뜨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027A KR101147844B1 (ko) 2009-01-29 2009-01-29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 및 이를 이용한 수목 분뜨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947A true KR20100087947A (ko) 2010-08-06
KR101147844B1 KR101147844B1 (ko) 2012-05-24

Family

ID=4275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027A KR101147844B1 (ko) 2009-01-29 2009-01-29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 및 이를 이용한 수목 분뜨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8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8987A1 (ko) * 2012-01-19 2013-07-25 주식회사 녹색조경 녹색 수목용 뿌리 보호 활성부재
KR101303135B1 (ko) * 2011-03-18 2013-09-09 공재만 수목 분뜨기 장치 및 그 방법
WO2022031253A3 (en) * 2020-08-07 2022-07-14 Basan Haci Ahmet Modular system for transporting tre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8870A (ja) * 1999-09-21 2001-04-03 Shoichi Matsui 植物のこん包方法
KR200251686Y1 (ko) * 2001-08-07 2001-11-22 윤명술 수목 이식용 분
KR200336344Y1 (ko) * 2003-09-30 2003-12-12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택지개발에 따른 수목근 운반장치
KR100686187B1 (ko) 2006-04-10 2007-02-26 김정회 식재이식용 조립식 화분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135B1 (ko) * 2011-03-18 2013-09-09 공재만 수목 분뜨기 장치 및 그 방법
WO2013108987A1 (ko) * 2012-01-19 2013-07-25 주식회사 녹색조경 녹색 수목용 뿌리 보호 활성부재
WO2022031253A3 (en) * 2020-08-07 2022-07-14 Basan Haci Ahmet Modular system for transporting tre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844B1 (ko)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58626B (zh) 培育大树向上长根再移植大树的方法
US20140305041A1 (en) Modular planting system
KR101147844B1 (ko)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 및 이를 이용한 수목 분뜨기 방법
KR101303135B1 (ko) 수목 분뜨기 장치 및 그 방법
KR101049249B1 (ko) 수목 지하 지주 설치방법
KR100953552B1 (ko)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
KR101396714B1 (ko) 이식 수목용 용기 및 수목 이식 방법
AU2014218384B2 (en) A method for producing turf segments
KR20110120093A (ko) 수목 이식용 보호대
KR101881100B1 (ko) 조립식 화분
KR20130130205A (ko) 와이어지주형 수목이식방법
CN210406473U (zh) 一种移栽树苗用护根装置
KR100940646B1 (ko) 나무 이식용 지중 지지대
US6942442B1 (en) Root ball preserving and transplant facilitating horticultural container and method
KR100845172B1 (ko) 수목 이식망의 기능을 가지는 매립식 점적관수망
CN214282534U (zh) 一种大树移植装置
RU2419280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осад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CN201726716U (zh) 树木固定装置
KR100902439B1 (ko) 수목이식용 토양 커팅장치
KR20090078718A (ko) 조경수들의 이동식재가 가능한 조경 방법 및 그를 위한장치
CN210959743U (zh) 一种用于紧固水土的装置
WO2024114132A1 (zh) 一种公园广场树木移栽方法
JPH0691778B2 (ja) 直根止めプレート
KR0123104Y1 (ko) 정원수 이식용 뿌리보호 포트
WO2002034032A1 (fr) Procede pour transplanter des vegetau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