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552B1 -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 - Google Patents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552B1
KR100953552B1 KR1020090082442A KR20090082442A KR100953552B1 KR 100953552 B1 KR100953552 B1 KR 100953552B1 KR 1020090082442 A KR1020090082442 A KR 1020090082442A KR 20090082442 A KR20090082442 A KR 20090082442A KR 100953552 B1 KR100953552 B1 KR 100953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ree
inclined portion
vertica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영
서인식
김준성
권원수
백무현
서재갑
이평우
이홍규
조병래
Original Assignee
박태영
서인식
김준성
권원수
백무현
서재갑
이홍규
조병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영, 서인식, 김준성, 권원수, 백무현, 서재갑, 이홍규, 조병래 filed Critical 박태영
Priority to KR1020090082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01G9/124Means for holding stakes upright in, on, or beside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재된 수목이 뿌리를 내릴 때까지 보호할 수 있는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목의 둥치 측으로 근접되게 설치되어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좁은 도로 등에 설치가 용이하게 되었으며, 또한 지주를 다수의 고리와 쐐기형 보강대로써 수목 둥치의 상부 영역을 고정시키고, 하부 영역은 지하에 매설되는 분싸개통에 고정시키며, 분싸개통 내부에는 수목의 뿌리 분을 넣어 수목의 안정된 지지력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지중지주 상에 자전거 거치대를 구비하여 사용자들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식재, 수목, 뿌리 분, 이식

Description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supporting bars for tree}
본 발명은 식재된 수목이 뿌리를 내릴 때까지 보호할 수 있는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협소한 도로 여건에도 간편하게 설치 가능하고, 식재를 안전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목의 식재 방법은 수목의 뿌리 분 부분을 지하에 매설하기 위해 뿌리 분이 정착될 수 지반을 일정한 깊이로 개토한 다음, 뿌리 분을 넣고 지상에서 수목의 줄기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지주목을 적당하게 받쳐주고 개토된 지반을 다시 복토하는 방법으로 수목을 식재하게 된다. 통상 신설도로에 식재를 할 때, 3~5년가량 식재가 뿌리를 내릴 때까지 지주목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3개의 수직대를 지중에 박아 고정시켜 식재된 수목을 지지하는 수목지지대 타입과; 삼각형으로 원목지지대를 지중에 박아 고정시켜 수목을 지지하는 삼각지주타입과; 사각형으로 원목지지대를 지중에 박아 고정시켜 수목을 지지하는 사각지주타입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다 같이 적정 깊이의 터 파기를 한 다음, 이에 분싸개가 1/3정도 풀어진 수목의 뿌리 분을 넣고, 수목의 둥치에 #150의 마대를 감고, #CS-20 녹화테이프로써 고정한 다음, 수목지지대타입, 삼각지주타입 및 사각지주타입으로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되고 있는 식재된 수목을 지지하는 지주타입은, 지주목들이 수목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됨에 따라 좁은 도로 등에 설치가 용이하지 않게 되었으며, 또한 철 못 및 철선을 감아 상호 지지하게 됨으로써 설치 작업에 많은 시간 및 노력이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지지력이 안정되지 못하고, 잘 정비된 도시 환경과 어울리지 않게 되어 도시 미관을 해치게 되는 등 제반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서도 안정되게 식재된 수목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도시의 환경과 어울리도록 구성한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지중에 매설되어 수목의 뿌리분이 내장되는 뿌리분 싸개통과; 상기 뿌리분 싸개통 내부에 하단이 삽입되고, 수목의 둥치 상부 외측 둘레부에 상부가 고정수단으로써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지주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는 수목의 둥치 측으로 근접되게 설치되어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좁은 도로 등에 설치가 용이하게 되었으며, 또한 지주를 다수의 고리와 쐐기형 보강대로써 수목 둥치의 상부 영역을 고정시키고, 하부 영역은 지하에 매설되는 분싸개통에 고정시키며, 분싸개통 내부에는 수목의 뿌리 분을 넣어 수목의 안정된 지지력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지중지주 상에 자전거 거치대를 구비하여 사용자들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다른 곳으로 수목을 재이식하기 위해서는 뿌리분 싸개통을 통하여 배출되는 수목의 잔뿌리를 간편하게 잘라낸 다음, 뿌리분 싸개통과 수목의 둥치가 고정되는 지지파이프를 옮겨 심으면, 그 작업이 간편하게 진행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를 도시한 상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의 요부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는 지중에 매설되는 뿌리분 싸개통(10)과; 뿌리분 싸개통(10) 내부에 하단이 삽입되고, 수목의 둥치(1) 상부 외측 둘레부에 상부가 고정수단(30)으로써 분리 가 능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지주파이프(20)로 이루어져 식재 수목이 지지 된다.
상기 수목을 옮겨 심기 위해서는 수목의 뿌리 분(5)은 분싸개로써 완전히 감싼 다음, 이를 1/3 정도 풀게 되고, 둥치(1)는 #150으로 이루어진 마대를 감싼 후, 이를 #CS-20 녹화테이프로써 고정하게 된다.(도 1 내지 도 3 참조)
상기 뿌리분 싸개통(10)은 내부에 외부 흙과 수목 뿌리 분(5)이 내장되는 공간부(12)와; 공간부(12) 상부 내측 둘레부에 연장 형성된 상부 단차부(14)와; 상부 단차부(14)에 형성된 다수의 지주 삽입홈(1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공간부(12)의 내부 벽에는 다수의 수직공(12a)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하나의 수평관통공(12b)이 형성되어, 수목이 성장하면서 자라는 잔뿌리가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고, 수목의 성장에 필요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로 사용된다.
상기 뿌리분 싸개통(10)은 콘크리트구조물 또는 피브이씨로서 박스 형태로 제작하게 된다.
상기 지주파이프(20)는 뿌리분 싸개통(10)의 지주 삽입홈(16)에 하단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리부(22)와; 다리부(22)와 내측으로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된 수평경사부(24)와; 수평경사부(24)에 만곡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 내측이 수목의 둥치(1) 둘레부에 밀착되고 고정수단(30)으로써 고정되는 수직경사부(26)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수단(30)은 지주파이프(20)의 수직경사부(26) 상부 둘레부에 상호 엇갈리게 삽입되어 지주파이프(20)를 홀딩하게 되는 홀딩고정핀(32)과; 지주파이 프(20)의 수직경사부(26)와 둥치(1)의 둘레부 사이에 밀착되는 다수의 쐐기형 보강대(36)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딩고정핀(32)은 지주파이프(20)의 수직경사부(26)에 각각 삽입되는 탄성삽입홈(32a)(32b)과; 탄성삽입홈(32a)(32b)을 연결하는 연결부(33)로 이루어져 지주파이프(20)의 수직경사부(26)에 상호 어긋나게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다수개의 수직경사부(26)를 수목의 둥치(1)에 홀딩시키게 된다.
이때, 수직경사부(26)의 내측과 둥치(1) 사이에는 경사지게 틈이 형성되는데, 이 틈에 쐐기형 보강대(36)가 삽입되어 보전하게 되어 홀딩고정핀(32)의 홀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지주파이프(20)의 설치 후 각 지주파이프(20) 사이의 지면에는 공간부(40)가 형성되는 데, 이 공간부(40)에는 보호판(42)을 각각 고정시키게 된다.
즉, 4개의 지주파이프가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4개의 공간부에 4개의 보호판을 각각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지지파이프(20)를 구성하는 수평경사부(24) 사이에 수평연결대(52)를 연결하고, 이 수평연결대(52)에는 자전거 주차대(50)를 구비하여 자전거를 보관하게 된다. 이때, 수평연결대(52) 및 자전거 주차대(50)는 도로쪽으로 설치하여 사람들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게 된다.(도 8 참조)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사용상태도며, 도 11은 도 9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는 지중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말뚝(60)과; 고정말뚝(60)에 하단이 삽입되고, 수목의 둥치(1) 상부 외측 둘레부에 상부가 고정수단(80)으로써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지주파이프(70)로 이루어져 식재 수목이 지지 된다.
상기 수목을 옮겨 심기 위해서는 수목의 뿌리 분(5)은 분싸개로써 완전히 감싼 다음, 이를 1/3 정도 풀게 되고, 둥치(1)는 #150으로 이루어진 마대를 감싼 후, 이를 #CS-20 녹화테이프로써 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말뚝(60)은 지중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단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지주삽입홈(62)이 형성된다.
상기 지주파이프(70)는 고정말뚝(60)의 지주 삽입홈(62)에 하단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리부(72)와; 다리부(72)와 내측으로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된 수평경사부(74)와; 수평경사부(74)에 만곡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 내측이 수목의 둥치(1) 둘레부에 밀착되고 고정수단(80)으로써 고정되는 수직경사부(76)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수단(80)은 지주파이프(70)의 수직경사부(76) 상부 둘레부에 상호 엇갈리게 삽입되어 지주파이프(70)를 홀딩하게 되는 홀딩고정핀(72)과; 지주파이프(70)의 수직경사부(76)와 둥치(1)의 둘레부 사이에 밀착되는 다수의 쐐기형 보강대(86)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딩고정핀(82)은 지주파이프(70)의 수직경사부(76)에 각각 삽입되는 탄성삽입홈(82a)(82b)과; 탄성삽입홈(82a)(82b)을 연결하는 연결부(83)로 이루어져 지주파이프(70)의 수직경사부(76)에 상호 어긋나게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다수개의 수직경사부(76)를 수목의 둥치(1)에 홀딩시키게 된다.
이때, 수직경사부(76)의 내측과 둥치(1) 사이에는 경사지게 틈이 형성되는데, 이 틈에 쐐기형 보강대(76)가 삽입되어 보전하게 되어 홀딩고정핀(72)의 홀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지주파이프(70)의 설치 후 각 지주파이프(70) 사이의 지면에 공간부(90)가 형성되는 데, 이 공간부(90)에는 보호판(92)을 각각 고정하게 된다. 즉, 4개의 지주파이프가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4개의 공간부에 4개의 보호판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수목이 옮겨 심겨지는 과정을 설명하면 수목의 뿌리 분(5)을 분싸개로써 완전히 감싼 다음, 이를 1/3 정도 풀고, 둥치(1)에 #150으로 이루어진 마대를 전체적으로 감싼 후, 이를 #CS-20 녹화테이프로써 고정하게 된다.(도 1 내지 도 3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터파기를 하여 식재 공간을 마련한 다음, 이에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피브이시로 제작된 뿌리분 싸개통(10)을 삽입시킨 다음, 뿌리분 싸개통(10)의 공간부(12)에 적정량의 흙을 채우게 된다.
그 후, 수목의 뿌리분(5)을 내부에 위치시켜 수목을 수직으로 세운 다음, 뿌리분 싸개통(10)의 상부 단차부(14)에 형성된 지주 삽입홈(16)에 지주파이프(20)의 다리부(22)를 순차적으로 삽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평경사부(24)에 만곡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 내측이 수목의 둥치(1) 둘레부에 일치되는 수직경사부(26)를 수목의 둥치(1) 상부 둘레부에 위치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 수직경사부(26)의 내측과 둥치(1)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틈에 쐐기형 보강대(36)를 삽입시켜 틈을 순차적으로 메운 다음, 내측에 쐐기형 보강대(36)가 삽입된 지주파이프(20)의 수직경사부(26) 외주면에 홀딩고정핀(32)을 순차적으로 삽입시키고, 이를 하방으로 내리게 된다.
즉, 다수로 이루어진 지주파이프(20)의 수직경사부(26)에 홀딩고정핀(32)의 탄성삽입홈(32a)(32b)을 엇갈리게 탄력적으로 삽입시킨 다음, 이를 하방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다수의 홀딩고정핀(32)의 탄성삽입홈(32a)(32b)이 지주파이프(20) 의 수직경사부(26)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 순차적으로 하방으로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수목의 둥치(1)를 홀딩시키게 된다.
이때, 지주파이프의 수직경사부(26)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홀딩고정핀(32)의 탄성삽입홈(32a)(32b)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삽입되어 홀딩력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 지주파이프(20) 사이의 지면에 형성된 공간부(40)에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보호판(42)을 순차적으로 고정시키게 되면, 수목의 이식이 완료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8에서와 같이 지지파이프(20)를 구성하는 수평경사 부(24) 사이에 연결된 수평연결대(52) 상에 자전거 주차대(50)를 구비하여 자전거를 보관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상태에서 다른 곳으로 수목을 재이식하기 위해서는 뿌리분 싸개통(10)을 구성하는 수직공(12a)과 관통공(12b)을 통하여 배출되는 수목의 잔뿌리를 간편하게 잘라낸 다음, 뿌리분 싸개통(10)과 지지파이프(20)를 옮겨 심으면, 그 작업이 간편하게 진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수목이 옮겨 심겨지는 과정을 설명하면, 수목의 뿌리 분(5)을 분싸개로써 완전히 감싼 다음, 이를 1/3 정도 풀고, 둥치(1)에 #150으로 이루어진 마대를 전체적으로 감싼 후, 이를 #CS-20 녹화테이프로써 고정시키게 된다.(도 1 내지 도 3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터 파기를 하여 식재 공간을 마련한 다음, 지중에 다수의 고정말뚝(60)을 박아 고정시킨 다음, 수목의 뿌리분(5)을 식재 공간 내부에 위치시켜 수목을 수직으로 세운 다음, 고정말뚝(60)의 삽입홈(62)에, 지주파이프(70)의 다리부(72)를 순차적으로 삽입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 수평경사부(74)에 만곡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 내측이 수목의 둥치(1) 둘레부에 일치되는 수직경사부(76)를 수목의 둥치(1) 상부 둘레부에 위치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 수직경사부(76)의 내측과 둥치(1)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틈에 쐐기형 보강대(86)를 삽입시켜 틈을 순차적으로 메운 다음, 내측에 쐐기형 보강대(86)가 삽입된 지주파이프(70)의 수직경사부(76) 외주면에 홀딩고정핀(82)을 순 차적으로 삽입시키고, 이를 하방으로 내리게 된다.
즉, 다수로 이루어진 지주파이프(70)의 수직경사부(76)에 홀딩고정핀(82)의 탄성삽입홈(82a)(82b)을 엇갈리게 탄력적으로 삽입시킨 다음, 이를 하방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다수의 홀딩고정핀(82)의 탄성삽입홈(82a)(82b)이 지주파이프(70) 의 수직경사부(76)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 순차적으로 하방으로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수목의 둥치(1)를 홀딩시키게 된다.
이때, 지주파이프의 수직경사부(76)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홀딩고정핀(72)의 탄성삽입홈(82a)(82b)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삽입되어 홀딩력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 지주파이프(70) 사이의 지면에 형성된 공간부(90)에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보호판(92)을 순차적으로 고정하게 되면, 수목의 이식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식재 및 지중지주를 도시한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를 도시한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의 요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의 요부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도 9의 요부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둥치 2 : 뿌리분
10 : 뿌리분 싸개통 12 : 공간부
12a : 수직공 12b : 관통공
14 : 상부 단차부 16 : 지주 삽입홈
20 : 지주파이프 22 : 다리부
24 : 수평경사부 26 : 수직경사부
30 : 고정수단 32 : 홀딩고정핀
32a,32b : 탄성삽입홈 33 : 연결부
36 : 쐐기형 보강대
삭제
삭제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내부 벽에 수목이 성장하면서 자라는 잔뿌리가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는 다수의 수직공(12a)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수목의 성장에 필요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로 사용되는 관통공(12b)이 형성된 공간부(12)와; 상기 공간부(12) 상부 내측 둘레부에 연장 형성된 상부 단차부(14)와; 상기 상부 단차부(14)에 형성된 다수의 지주 삽입홈(16)으로 구성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뿌리분 싸개통(10); 및
    상기 뿌리분 싸개통(10)의 지주 삽입홈(16)에 하단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리부(22)와; 상기 다리부(22)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된 수평경사부(24)와; 상기 수평경사부(24)에 만곡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 내측이 수목의 둥치(1) 둘레부에 밀착 고정되고, 고정수단(30)으로써 고정되는 수직경사부(26)로 이루어진 지주파이프(20)로 구성된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지주파이프(20)의 수직경사부(26) 상부 둘레부에 상호 엇갈리게 삽입되어 지주파이프(20)를 홀딩하게 되는 홀딩고정핀(32)과;
    상기 지주파이프(20)의 수직경사부(26)와 둥치(1)의 둘레부 사이에 밀착되는 다수의 쐐기형 보강대(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고정핀(32)은
    상기 지주파이프(20)의 수직경사부(26)에 각각 삽입되는 탄성삽입홈(32a)(32b)과;
    상기 탄성삽입홈(32a)(32b)을 연결하는 연결부(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
KR1020090082442A 2009-09-02 2009-09-02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 KR100953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442A KR100953552B1 (ko) 2009-09-02 2009-09-02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442A KR100953552B1 (ko) 2009-09-02 2009-09-02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552B1 true KR100953552B1 (ko) 2010-04-21

Family

ID=42220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442A KR100953552B1 (ko) 2009-09-02 2009-09-02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5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66B1 (ko) 2010-05-18 2010-09-16 (주)종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 조경용 수목보호대
KR101207526B1 (ko) * 2011-07-14 2012-12-11 주식회사 보림 나무에 밀착 설치되는 나무 지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수간 지지대
FR3012941A1 (fr) * 2013-11-12 2015-05-15 Tuteurfacile Com Dispositif de tuteurage d'un arbre
CN109006150A (zh) * 2018-09-29 2018-12-18 山西东创林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苗木移栽成活率的方法
CN115250815A (zh) * 2022-08-01 2022-11-01 江苏省黄海农场有限公司 一种长青柳冬青造型苗培育架及其培育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0042U (ko) * 1977-08-02 1979-02-27
KR100418655B1 (ko) * 2001-11-07 2004-02-11 (주)도원엔지니어링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
KR20080107764A (ko) * 2007-06-08 2008-12-11 김봉근 가로수 조경용 지지대
KR20090033984A (ko) * 2007-10-02 2009-04-07 한국주철산업주식회사 지지대가 구비된 가로수 보호 덮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0042U (ko) * 1977-08-02 1979-02-27
KR100418655B1 (ko) * 2001-11-07 2004-02-11 (주)도원엔지니어링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
KR20080107764A (ko) * 2007-06-08 2008-12-11 김봉근 가로수 조경용 지지대
KR20090033984A (ko) * 2007-10-02 2009-04-07 한국주철산업주식회사 지지대가 구비된 가로수 보호 덮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66B1 (ko) 2010-05-18 2010-09-16 (주)종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 조경용 수목보호대
KR101207526B1 (ko) * 2011-07-14 2012-12-11 주식회사 보림 나무에 밀착 설치되는 나무 지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수간 지지대
FR3012941A1 (fr) * 2013-11-12 2015-05-15 Tuteurfacile Com Dispositif de tuteurage d'un arbre
WO2015071196A1 (fr) * 2013-11-12 2015-05-21 Tuteurfacile.Com Dispositif de tuteurage d'un arbre
CN109006150A (zh) * 2018-09-29 2018-12-18 山西东创林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苗木移栽成活率的方法
CN115250815A (zh) * 2022-08-01 2022-11-01 江苏省黄海农场有限公司 一种长青柳冬青造型苗培育架及其培育方法
CN115250815B (zh) * 2022-08-01 2024-03-15 江苏省黄海农场有限公司 一种长青柳冬青造型苗培育架及其培育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552B1 (ko) 식재 수목 지지용 지중지주
KR101337425B1 (ko) 녹화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195210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US20140305041A1 (en) Modular planting system
KR102226656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사면 녹화공법
CN113100010A (zh) 一种山地树木保护移植施工方法
KR101049249B1 (ko) 수목 지하 지주 설치방법
KR102041437B1 (ko) 보행자 안전과 지중 시설물 보호를 위한 수목뿌리 보호 생장 유도 장치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101337411B1 (ko) 녹화 게비온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678348B1 (ko) 수목 생장용기 및 수목 식재방법
JP3047095B2 (ja) ポット植栽の移植装置とその施工方法
KR102543474B1 (ko) 띠녹지 화분
CN212561559U (zh) 一种基于生物桩和藤蔓植物的急陡土坡绿色防护结构
KR20070012944A (ko) 부직포 식생백, 이를 이용한 사면구조 및 사면공법
KR200446723Y1 (ko) 덩굴식물과 관목식물의 식생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
KR101238787B1 (ko) 녹화가 가능한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JP3825758B2 (ja) 斜面の緑化工法、並びに緑化防護柵および斜面の緑化構造
KR100425923B1 (ko) 척박한 토양의 녹화방법
KR101472362B1 (ko) 식생자루 및 식생자루를 이용한 광산지역 사면 녹화공법
JP3880673B2 (ja) 切土法面の緑化装置及び緑化工法
JP3005532B1 (ja) 樹木移植機
CN215774462U (zh) 一种高陡掌子面蛛网式景观生态绿化系统
KR20060075707A (ko) 앵커식 개비온을 이용한 식생 매트의 설치 구조와 이를이용한 사면 안정화 공법
KR101337442B1 (ko) 녹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옹벽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