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104Y1 - 정원수 이식용 뿌리보호 포트 - Google Patents

정원수 이식용 뿌리보호 포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104Y1
KR0123104Y1 KR2019950027897U KR19950027897U KR0123104Y1 KR 0123104 Y1 KR0123104 Y1 KR 0123104Y1 KR 2019950027897 U KR2019950027897 U KR 2019950027897U KR 19950027897 U KR19950027897 U KR 19950027897U KR 0123104 Y1 KR0123104 Y1 KR 0123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s
seedlings
muscle
por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7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799U (ko
Inventor
박청일
Original Assignee
박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청일 filed Critical 박청일
Priority to KR2019950027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104Y1/ko
Publication of KR9700157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7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1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원수를 이식할 때 묘포에서 캐낸 정원수의 뿌리를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뿌리보호용 포트(POT)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원수를 이식할 때에는 뿌리주변의 흙을 그대로 유지시키기 위해 거적이나 종이로 감싸고 이를 새끼나 테이프로 둥글게 얽어맨 다음 운반 및 이식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첫째 비능률적이고, 둘째 정원수를 묘포에서 캐낼 때 뿌리가 상하거나 뿌리 주변의 흙들이 대부분 떨어지게 되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합성수지제의 얇은 벽체(6)로서 원통형 동체의 저반이 막힌 컵형상의 포트를 형성하고, 굵은 환형 횡근(1)(2)(3)(4)과 수직형 굵은 종근(5)들을 두루 돌설하고, 이들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사각형 내에 세종근(7)과 세횡근(8)을 십자로 돌설하고, 굵은 종횡근에 연결된 세종근(7)과 세횡근(8)의 단부를 가늘고 약하게 파열점(7')(8')을 형성하며, 벽체(6) 전면에 세장공(9)을 촘촘히 뚫어 설치하고, 저면에는 굵은 동심원근(10)과 방사형근(11) 및 세장공(9)들을 형성하고 주벽의 상연에 하광상협된 형상의 집결편(12)을 두루 형성하고 그 상단에 외향 고리(13)와 괘결공(14) 및 세장공들을 각각 형상하여서 된 정원수 이식용 뿌리보호 포트를 구비하여 정원수를 묘포에 심을 때 뿌리에 결합시켜 심으므로써 이식시 정원수를 묘포로부터 안전하고 간편하게 운반 및 이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원수 이식용 뿌리보호포트
제1도는 본 고안 포트의 측면도,
제2도는 동 포트의 요부 확대도,
제3도는 정원수를 이식할 때 정원수를 제거한 상태에서 일부 집결편이 세워진 상태의 포트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포트를 결합시킨 정원수를 이식하기 위해 캐낸 상태의 포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4:굵은 환형횡근 5:굵은 직선형종근
6:벽체 7:세종근
8:세횡근 7',8':파열점
9:세장근 10:동심원근
11:방사형근 12:집결편
13:고리 14:괘결공
15:박승 16:로프
본 고안은 정원수를 이식할 때 묘토에서 캐낸 정원수의 뿌리를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뿌리보호용 포트(POT)에 관한 것이다.
정원수를 이식할 때에는 뿌리주변의 흙을 그대로 유지시켜야만 하는 운반 또는 이식후에도 정원수가 잘 자라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묘포에서 정원수를 캘때 뿌리의 흙이 되도록 많이 붙어 있도록 캐낸 후 뿌리의 외부를 흙이 떨어지지 않도록 거적이나 종이로 감싸고 이를 새끼나 테이프로 둥글게 얽어맨 다음 운반 및 이식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뿌리를 보호하면서 뿌리둘레에 붙은 흙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거적이나 종이를 감싸고 새끼줄이나 테이트로 얽어매는 방법은 첫째 비능륙적이고, 둘째 정원수를 묘포에서 캐낼 때 뿌리가 상하거나 뿌리 주변의 흙들이 대부분 떨어지게 되는 폐단이 있다. 특히 작업자의 기술이 미숙할 경우에는 더더욱 그러하다. 또한 셋째는 뿌리를 캐낸 후 저걱이나 종이를 감싼 상태가 둥글어 운반시 세워지질 않기 때문에 줄기나 가지가 손상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고, 정원수를 묘포로부터 안전하고 간편하게 운반 및 이식할 수 있는 정원수 이식용 뿌리보호포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부성(可府性)합성수지로 얇게 컵형상의 광구용기(廣口容器)를 형성하고, 전체에 종횡의 역근을 형성한 사이에 종적인 세장공(細張孔)을 다수 천설하고, 상단구연을 여러가닥으로 분할하여 그 상단에 외향 갈고리를 형성하여 이 부분을 결속하기 편리하게 구성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 포트의 측면도이고, 제2도는 동 포트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포트는 지하에 다년 묻어두면 부패하여 분해되는 성질의 합성수지로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약간 좁은 통체를 이룬다. 이때 통체의 저반은 수평하게 형성된다.
주벽에는 굵은 환형 횡근(1)(2)(3)(4)과 굵은 직선형 종근(5)들을 두루 형성하고, 종횡근(1)(2)(3)(4)(5)들이 교차하여서 되는 사각형 구역내에는 비교적 얇은 벽체(6)에 세종근(7)과 세횡근(8)을 십자형으로 돌설하고, 그들 사이의 벽체(6)에는 통기, 통수용 종적인 세장공을 빗살같이 나란히 뚫어 설치하였다. 또 저면에는 굵은 동심원근(10)에 방사형근(11)을 교차지게 형성하고, 세역근들과 통수, 통기용 세장공들을 벽체(6)에서와 같이 총총히 뚫어 설치하였다. 주벽의 상연에는 하광상협한 집결편(12)들을 다수 구비하였다. 이 집결편(12)들의 상단에는 외향된 갈고리(13)가 각각 형성되고 그 밑에 괘결공(14) 하나씩을 뚫어 설치한 하측에 세장공(9)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정원수 이식용 뿌리보호포트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묘목을 묘토에 식수할 때 본 고안의 포트를 이용하여 심는다. 즉, 포트의 상부에 형성된 집결편(12)들을 모두 세우고 포트의 내부에 묘목의 뿌리를 삽입시킨다. 그리고 뿌리의 둘레에 흙을 채운 다음 세워진 집결편(12)들을 중앙부로 눕힌다. 눕혀진 집결편(12)의 고리에 로프(16)들 결속하고, 집결편(12)에 형성된 괘결공(14)에 박승(縛勝) 꿰어 얽어매어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묘포에 묘목을 심는다.
이와 같이 심은 후 모포에서 수차 옮겨 심을 때 본 고안의 포트를 차츰 큰 것으로 교체하여 심어두었다가 정원에 이식할 때에는 주위의 흙을 파내고 제4도와 같이 뿌리가 포트내에 충만된 상태로 정원에 정식(定植)한다.
이 경우에 그보다 큰 포트에 옮겨 심고자 하면 먼저 박승(15)을 풀고 고리(13)를 결속한 포트로부터 들어낸다. 그리고는 보다 큰 포트에 뿌리를 삽입시킨 후 흙을 주입하고 다시 집결편(12)들을 결속하고 박승(15)을 통공(14)들에 꿰어 얽어맨 후 정식하면 된다. 이와 같이 포트가 뿌리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다른 곳으로 이식할 때 뿌리주위의 흙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편리하게 운반 및 이식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포트와 결합된 상태로 정원수를 심게 되면 정원수의 뿌리가 계속 자라는데 문제가 발생될 것이라 예상된다. 그러나 뿌리의 생장에는 저혀 지장을 받지 않는다. 왜냐하면 정원수의 뿌리는 점차적으로 자라면서 세장공(9)의 사이로 빠져나오게 되고 또 굵어지면서 벽체(6)를 파열시키기 때문이다. 즉, 벽체(6)를 이루고 있는 세종근(7)과 세횡근(8)자체가 가늘고 또 환형 횡근(1)(2)(3)(4)들과 굵은 직선형 종근(5)들에 결합된 단부가 가늘고 약하게 형성된 파열점(7')(8')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뿌리에 자라는 힘에 의해 쉽게 파열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벽체(6)가 파열되더라도 뿌리가 자라는 위치의 벽체(6)만이 파열될 뿐 그 인접된 벽체들은 굵은 종횡근에 의해 차단되어 더이상 파열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위 여러 곳에서 뿌리들이 돌출 하더라도 본 고안 포트는 제3도 및 제4도와 같이 원형을 유지하므로 이를 다시 이식할 때에도 여전히 포트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부성 합성수지로서 제작한 것으로 토질을 오염시키는 일도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포트는 묘포에 묘목을 심을 때 정원수의 뿌리에 결합시킨 것이기 때문에 정원수를 이식할 때 뿌리주변의 흙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묘포로부터 안전하고 간편하게 운반 및 이식할 수 있다.
또한 포토에 의해 이식 작업시 묘목을 묘포로부터 캐내기만하면 운반 및 이식이 가능하므로 작업능률을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포트가 결합된 채 이식하더라도 포트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뿌리가 뻗어나가는데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포트의 가격이 저렴하므로 구입에 전혀 부담이 없으므로 정원수 이식작업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합성수지제의 얇은 벽체(6)의 원통형 동체의 저반이 막힌 컵형상의 포트를 형성하고, 굵은 환형 횡근(1)(2)(3)(4)과 수직형 굵은 종근(5)들을 두루 돌설하고, 이들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사각형 내에 세종근(7)과 세횡근(8)을 십자로 돌설하고, 굵은 종횡근에 연결된 세종근(7)과 세횡근(8)의 단부를 가늘고 약하게 파열점(7')(8')을 형성하며, 벽체(6) 전면에 세장공(9)을 촘촘히 뚫어 설치하고, 저면에는 굵은 동심원근(10)과 방사형근(11) 및 세장공(9)들을 형성하고 주벽의 상연엥 하광상협된 형상의 집결편(12)들을 형성하고 그 상단에 외향 고리(13)와 괘결공(14) 및 세장공들을 각각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용 뿌리보호 포트.
KR2019950027897U 1995-10-06 1995-10-06 정원수 이식용 뿌리보호 포트 KR0123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897U KR0123104Y1 (ko) 1995-10-06 1995-10-06 정원수 이식용 뿌리보호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897U KR0123104Y1 (ko) 1995-10-06 1995-10-06 정원수 이식용 뿌리보호 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799U KR970015799U (ko) 1997-05-23
KR0123104Y1 true KR0123104Y1 (ko) 1998-09-15

Family

ID=1942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7897U KR0123104Y1 (ko) 1995-10-06 1995-10-06 정원수 이식용 뿌리보호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1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172B1 (ko) * 2007-05-22 2008-07-09 최영곤 수목 이식망의 기능을 가지는 매립식 점적관수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172B1 (ko) * 2007-05-22 2008-07-09 최영곤 수목 이식망의 기능을 가지는 매립식 점적관수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799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8825A (en) Plant preservation bag and method
US8567118B2 (en) Belowground tree anchoring apparatus and method
JPH10195878A (ja) 法面への植樹方法
JPH01225421A (ja) 苗木の植付方法
US10064344B1 (en) Modular planting system
GB2287169A (en) Container for plants
KR0123104Y1 (ko) 정원수 이식용 뿌리보호 포트
US55221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lb maintenance and planting
CN110800538A (zh) 水库消落带边坡防护结构及水库消落带边坡植被恢复方法
EP2042030A1 (en) Plant pot
JP2000054343A (ja) 護岸緑化用植生土のう蛇籠工法
JPH11113401A (ja) 缶製育苗鉢および植物移植方法
JPH09107820A (ja) 法面への植樹方法
JP4628565B2 (ja) 編柵用のネット構造体と有機廃棄物の処理工法および法面の緑化工法
JPH10280417A (ja) 水辺ブロック植生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JP2717368B2 (ja) 法面植栽工法
JP4387494B2 (ja) 緑化部材
KR200227662Y1 (ko) 육묘용 포트
JPS60338Y2 (ja) 護岸植栽用植木鉢
Maleike et al. Planting landscape plants
KR101389938B1 (ko) 잔디 재배기
JP3013476U (ja) 移植用の容器
JPS5923800Y2 (ja) 袋体の収容部を設けてなる編柵用帯梢
JPH0522055Y2 (ko)
JP2660315B2 (ja) 土留め用ストッパを併用した法面等の緑化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