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714B1 - 이식 수목용 용기 및 수목 이식 방법 - Google Patents
이식 수목용 용기 및 수목 이식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6714B1 KR101396714B1 KR1020120074749A KR20120074749A KR101396714B1 KR 101396714 B1 KR101396714 B1 KR 101396714B1 KR 1020120074749 A KR1020120074749 A KR 1020120074749A KR 20120074749 A KR20120074749 A KR 20120074749A KR 101396714 B1 KR101396714 B1 KR 1013967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ee
- container
- transplanting
- pedestal
- so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01G23/043—Transplanting devices for grasping, undercutting or transporting the root ball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을 화분에서 양육하여 시공현장에 운반하여 심는 이식 수목용 용기 및 수목 이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결합이 가능한 구조의 분할벽체로 인해 수목 이식을 손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분할벽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격자 모양의 리브 및 용기의 받침대에 형성된 하부 토양고정돌기로 인해 토양의 무게로 인해 용기가 비틀어지거나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식 수목용 용기 및 수목 이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목을 화분에서 양육하여 시공현장에 운반하여 심는 이식 수목용 용기 및 수목 이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결합이 가능한 구조의 분할벽체로 인해 수목 이식을 손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분할벽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격자 모양의 리브 및 용기의 받침대에 형성된 하부 토양고정돌기로 인해 토양의 무게로 인해 용기가 비틀어지거나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식 수목용 용기 및 수목 이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목이식은 수목을 옮겨 심는 작업을 일컫는 것으로, 대부분 종류의 나무는 묘목에서 대형 나무로 일정한 장소에 안착될 때까지는 최소한 3 내지 5회의 이식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일반적인 조경이나 정원수 및 가로수 등의 수목 이식작업은 특성상 기후와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이른봄 수액이 이동하기 전이나 또는 수목의 낙엽이 떨어진 뒤에 수액의 이동이 멈춘 후 이식작업이 수행되는 것이 가장 적합하나, 대부분 건축물의 준공기한 때문에 피할 수 없이 하절기나 갈수기에도 하자를 감수하면서 수목의 이식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수목의 이식작업은 대부분 대묘(大苗)나 성목(成木)으로 자란 수목을 활용하고, 수목의 뿌리 주위에 붙어있는 토양까지 함께 파서 이식하므로, 이를 위하여 과거에는 괭이나 삽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수목의 뿌리 주위를 둥글게 파서 굴취한 다음 뿌리 주위의 토양이 떨어지지 않도록 마대를 감싸고 새끼줄을 감아서 이식작업(소위, 분짜기 작업)을 하였다.
상기 분짜기 작업을 행하게 되는 것이며, 분짜기 작업이 완료된 후 굴취수목을 운반하여 식재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뿌리분을 뿐짜기 작업한 그대로 식재하게 된다.
뿌리분의 분짜기 작업은 통상적으로 분뜨기 작업중 깊이의 1/2 정도 파내려 갔을 때 시작하며, 토양이 뿌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뿌리분의 둘레를 결속소재로 단단히 동여매는 세워감기를 하면서 단근작업을 병행한다. 최종적으로 직근을 잘라 굴취수목을 눕혀놓고 눕혀감기를 행하게 되고, 상기 결속소재로는 통상 굵기가 두꺼운 새끼줄이나 고무로프 등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결속소재를 이용하여 뿌리분을 감는 작업은 그 작업이 상당히 어렵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로프 사이의 틈새를 통해 뿌리분에 부착된 토양이 누출 및 이탈됨으로써 활착의 어려움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대부분 상기 결속소재를 토양에서 분해되지 않는 고무재질의 로프를 사용하고, 상기 로프가 뿌리분에 감겨진 상태로 이식됨으로써 이식목에 대한 악영향은 물론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36344호(공고일 :2003.12.12.)에는 수목근의 상.하부를 커버하는 다수의 분할케이스 조합에 의해 상면 중앙부에 수목관통공이 형성되는 운반함을 구성하고; 상기 분할케이스는 전방 및 양측방으로 트여지고, 상면 및 하면 사이에 배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 선단에 수목관통공을 형성하는 분할홈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할케이스를 서로 조합된 상태로 유지 및 고정되게 하는 결착수단으로 구성되는 수목근 운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토양 및 수목의 중량에 의해 바닥이 아래로 처지기 쉬운 구조로 이루어지고, 분리하여 토양과 수목을 운반장치에서 분리하는 과정도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식장소로 운반하는 차량에 옮기는 과정에서 인력에 의해 운반하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반면, 수목에 로프 등을 메어 장비로 운반하는 경우에는 수목껍질 등에 상처가 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결합이 가능한 구조의 분할벽체로 인해 수목 이식을 손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이식 수목용 용기 및 수목 이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분할벽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격자 모양의 리브 및 용기의 받침대에 형성된 하부 토양고정돌기로 인해 토양의 무게로 인해 용기가 비틀어지거나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식 수목용 용기 및 수목 이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게차를 이용한 이동 내지 운반에 적합한 구조를 가진 이식 수목용 용기 및 수목 이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측부 토양고정돌기가 형성되어 내부에 채워진 토양 및 수목이 이동 중에 움직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식 수목용 용기 및 수목 이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식 수목용 용기는 이식을 위해 굴취된 수목의 뿌리분을 담아서 이송하는 용기이고, 적어도 2개가 결합하여 측면을 형성하는 분할벽체; 및 상기 결합된 분할벽체의 내측 하부에 안착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식 수목용 용기의 분할벽체의 하단부에는 승강장치의 포크리프트가 끼워지는 팰릿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식 수목용 용기의 분할벽체의 내주연에는 내부에 채워진 토양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측부 토양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식 수목용 용기의 분할벽체의 내측 하부에는 걸림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는 하부 토양고정돌기 및 물을 배출하도록 복수의 물배출구가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단턱에 걸리는 테두리로 구성되며, 상기 팰릿부는 걸림단턱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식 수목용 용기의 분할벽체는 그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이웃하는 분할벽체에 형성된 결합홀에 고정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식 수목용 용기의 적어도 2개가 결합하여 용기의 측면을 형성하는 분할벽체 및 상기 결합된 분할벽체의 내측 하부에 안착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이식 수목용 용기를 이용하는 수목 이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할벽체를 결합하고 내측 하부에 받침대를 안착시켜 이식 수목용 용기를 조립하고, 상기 조립된 이식 수목용 용기에 굴취된 수목의 뿌리분을 담는 S1단계; 상기 용기 내로 토양을 채워 상기 수목을 고정시키는 S2단계; 및 상기 용기를 이식 장소로 이동한 후, 분할벽체 및 받침대를 분리하는 S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이식 방법은 분할벽체의 하단부에는 승강장치의 포크리프트가 끼워지는 팰릿부가 형성되고, 상기 S3단계는 상기 승강장치의 포크리프트를 상기 팰릿부에 끼워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이식 수목용 용기 및 수목 이식 방법은 분리·결합이 가능한 구조의 분할벽체로 인해 수목 이식을 손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식 수목용 용기 및 수목 이식 방법은 분할벽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격자 모양의 리브 및 용기의 받침대에 형성된 하부 토양고정돌기로 인해 토양의 무게로 인해 용기가 비틀어지거나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식 수목용 용기 및 수목 이식 방법은 지게차를 이용한 이동 내지 운반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복수의 측부 토양고정돌기가 형성되어 내부에 채워진 토양 및 수목이 이동 중에 움직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식 수목용 용기의 분할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식 수목용 용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식 수목용 용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이식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식 수목용 용기를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식 수목용 용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식 수목용 용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이식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식 수목용 용기를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 및 후술 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식 수목용 용기의 분할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식 수목용 용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식 수목용 용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식 수목용 용기는 수목 이식을 위해 굴취된 수목의 뿌리분을 담아서 이송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식 수목용 용기는 적어도 2개가 결합하여 측면을 형성하는 분할벽체(10) 및 상기 결합된 분할벽체(10)의 내측 하부에 안착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받침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크게 측면을 이루는 복수의 분할벽체(10)와 바닥을 이루는 받침대(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용기는 원통 형상 뿐만 아니라, 사각통 형상 등과 같이 다각통 형상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분할벽체가 서로 분리·결합이 가능한 구조의 용기 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분리·결합이 가능한 구조의 분할벽체로 인해 수목 이식을 손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분할벽체(10)의 외주면에는 격자 모양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어, 용기의 받침대(30)가 토양의 무게로 인해 비틀어지거나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분할벽체(10)의 내주연 하부에는 걸림단턱(17)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30)가 걸리게 된다.
상기 받침대(30)는 하부 토양고정돌기(32) 및 물을 배출하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의 물배출구(33)가 형성되는 받침부(31)와, 상기 받침부(3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단턱(17)에 걸리는 테두리(35)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30)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하부 토양고정돌기(32)는 수목과 토양의 중량에 의해 받침대(30)가 휘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토양고정돌기(32)는 상기 받침대(3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용기 내부에 담긴 뿌리분 또는 토양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분할벽체(10)의 하단부에는 승강장치의 포크리프트가 끼워지는 팰릿부(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팰릿부(13)는 걸림단턱(17)의 하부,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단턱(17)에 걸린 받침대(30)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팰릿부(13)는 승강장치 예를 들어, 지게차에 형성된 한 쌍의 포크리프트가 들어갈 수 있도록 좌우로 구분된 공간이 제공된다.
따라서 팰릿부(13)가 형성된 이식 수목용 용기는 지게차를 이용한 이동 내지 운반이 보다 편리해진다.
한편, 상기 분할벽체(10)의 내주연에는 내부에 채워진 토양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측부 토양고정돌기(1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측부 토양고정돌기(15)는 종방향으로 다져진 토양 또는 굴취된 수목의 뿌리분에 삽입되어 수목이 용기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각 분할벽체(10)에 2개의 측부 토양고정돌기(15)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용기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개수와 돌출되는 길이 등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분할벽체(10)의 그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홀(19a,19b)과 이웃하는 분할벽체(10a)에 형성된 결합홀(19c)에 고정부재(20)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분할벽체(10)의 일측 단부에는 제1 결합홀(19a)과 제2 결합홀(19b)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1 결합홀(19a)과 제2 결합홀(19b) 사이에 끼워지는 위치에 제3 결합홀(19c)이 형성된다.
이러한 분할벽체(10) 2개를 결합하는 경우에 분할벽체(10)의 제1 결합홀(19a)과 제2 결합홀(19b) 사이에 이웃하는 분할벽체(10)의 제3 결합홀(19c)이 끼워지면, 철심과 같은 고정부재(20)를 제1,2,3 결합홀(19a,19b,19c)에 끼우는 간단한 동작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이식 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이식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공정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식 수목용 용기를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이식 방법은 적어도 2개가 결합하여 화분의 측면을 형성하는 분할벽체(10) 및 상기 결합된 분할벽체(10)의 내측 하부에 안착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받침대(30)를 포함하는 이식 수목용 용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이식 방법은 분할벽체(10)를 결합하고 내측 하부에 받침대(30)를 안착시켜 이식 수목용 용기를 조립하고, 상기 조립된 이식 수목용 용기에 굴취된 수목의 뿌리분을 담는 S1단계와, 상기 용기 내로 토양을 채워 상기 수목을 고정시키는 S2단계 및 상기 용기를 이식 장소로 이동한 후, 분할벽체(10) 및 받침대(30)를 분리하는 S3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S1단계는 분할벽체를 결합하여 측면을 형성하고, 받침대를 삽입하여 용기를 조립하기 때문에 용기의 보관 및 운반은 물론, 조립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S2단계는 굴취된 뿌리분 주위에 토양을 채워 수목을 고정시키고 토양에 물을 공급하기 때문에, 뿌리분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식 수목용 용기의 부피는 수목의 뿌리분의 부피보다 1.5~3배 정도 크게 제작되고, 담긴 뿌리분 주변의 공간에 별도의 토양을 채우게 된다. 따라서 수목이 장시간에 걸쳐 이동되거나 보관 경우에도 수목에 양분과 물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3단계는 분할벽체 사이에 끼워진 고정부재인 철심을 제거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용기를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분할벽체의 하단부에는 승강장치의 포크리프트가 끼워지는 팰릿부가 형성되고, 승강장치의 포크리프트를 팰릿부에 끼워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분할벽체 13 : 팰릿부
15 : 측부 토양고정돌기 17 : 걸림단턱
19 : 결합홀 20 : 고정부재
30 : 받침대 31 : 받침부
32 : 하부 토양고정돌기 33 : 물배출구
35 : 테두리
15 : 측부 토양고정돌기 17 : 걸림단턱
19 : 결합홀 20 : 고정부재
30 : 받침대 31 : 받침부
32 : 하부 토양고정돌기 33 : 물배출구
35 : 테두리
Claims (7)
- 이식을 위해 굴취된 수목의 뿌리분을 담아서 이송하는 용기에 있어서,
2개가 결합하여 상하로 개방된 원통 형상의 측면을 구성하고, 내측 하부에는 걸림단턱이 형성되는 한 쌍의 분할벽체; 및
상기 분할벽체 하부에 안착되어 바닥을 구성하고 복수의 물배출부가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단턱에 걸리는 테두리가 형성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분할벽체의 내주연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측부 토양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는 격자 문양을 이루고 상측으로 돌출되는 하부 토양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수용된 토양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 수목용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벽체의 하단부에는 승강장치의 포크리프트가 끼워지는 팰릿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 수목용 용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벽체는 그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이웃하는 분할벽체에 형성된 결합홀에 고정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 수목용 용기. - 청구항 1의 이식 수목용 용기를 이용하는 수목 이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할벽체를 결합하고 내측 하부에 받침대를 안착시켜 이식 수목용 용기를 조립하고, 상기 조립된 이식 수목용 용기에 굴취된 수목의 뿌리분을 담는 S1단계;
상기 이식 수목용 용기 내로 토양을 채워 상기 수목을 고정시키는 S2단계; 및
상기 이식 수목용 용기를 이식 장소로 이동한 후, 분할벽체 및 받침대를 분리하는 S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이식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벽체의 하단부에는 승강장치의 포크리프트가 끼워지는 팰릿부가 형성되고,
상기 S3단계는 상기 승강장치의 포크리프트를 상기 팰릿부에 끼워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이식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4749A KR101396714B1 (ko) | 2012-07-09 | 2012-07-09 | 이식 수목용 용기 및 수목 이식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4749A KR101396714B1 (ko) | 2012-07-09 | 2012-07-09 | 이식 수목용 용기 및 수목 이식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7225A KR20140007225A (ko) | 2014-01-17 |
KR101396714B1 true KR101396714B1 (ko) | 2014-05-16 |
Family
ID=50141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4749A KR101396714B1 (ko) | 2012-07-09 | 2012-07-09 | 이식 수목용 용기 및 수목 이식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671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659594B2 (en) | 2015-02-12 | 2020-05-19 | American University Of Beirut | Context aware mobile personalization system and methods of use |
US11864501B2 (en) * | 2018-11-19 | 2024-01-09 | James M. Simpson | Tree box |
KR102291085B1 (ko) * | 2019-07-16 | 2021-08-17 | 이태건 | 식재틀 |
KR102286102B1 (ko) * | 2021-03-18 | 2021-08-05 | 주식회사 포시 | 이식용 모듈식 수목 재배 화분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8851U (ko) * | 1974-07-08 | 1976-01-22 | ||
JPS5433884U (ko) * | 1977-08-05 | 1979-03-06 | ||
KR100686187B1 (ko) * | 2006-04-10 | 2007-02-26 | 김정회 | 식재이식용 조립식 화분블록 |
KR20090109300A (ko) * | 2008-04-15 | 2009-10-20 | 김샛별 | 수목 이식 용기 |
-
2012
- 2012-07-09 KR KR1020120074749A patent/KR10139671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8851U (ko) * | 1974-07-08 | 1976-01-22 | ||
JPS5433884U (ko) * | 1977-08-05 | 1979-03-06 | ||
KR100686187B1 (ko) * | 2006-04-10 | 2007-02-26 | 김정회 | 식재이식용 조립식 화분블록 |
KR20090109300A (ko) * | 2008-04-15 | 2009-10-20 | 김샛별 | 수목 이식 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7225A (ko) | 2014-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86187B1 (ko) | 식재이식용 조립식 화분블록 | |
US5953859A (en) | Rechargeable live planter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 |
KR101396714B1 (ko) | 이식 수목용 용기 및 수목 이식 방법 | |
US20080276530A1 (en) | Multi-pot container | |
JP2017538405A (ja) | 垂直な水耕栽培タワー・アレイ固定システム | |
CN106659127A (zh) | 模块化堆肥花园容器、系统、及使用方法 | |
US20170172071A1 (en) |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and protecting seedlings | |
US20130074405A1 (en) | Device for unpowered irrigation and fertilization, and unpowered pot cultivation system using same | |
US20130014433A1 (en) | Support frame for horticultural growing bag and plants grown therefrom | |
US20150082698A1 (en) | Planting wall container structure | |
US11864501B2 (en) | Tree box | |
KR101881100B1 (ko) | 조립식 화분 | |
US10555464B1 (en) | Self-regulating, plant watering, insert assembly for growing containers | |
CN104871866B (zh) | 能够应用于绿化墙上的一体化花箱 | |
JP3890532B2 (ja) | 多目的緑化盤及び緑化方法 | |
KR101038682B1 (ko) | 도로용 화분 | |
KR101815465B1 (ko) | 수목 이식용 망 | |
AU2014227511B2 (en) | In-ground composting device | |
US20050005513A1 (en) | Floral display system | |
CN209861757U (zh) | 育苗装置 | |
JPH09154408A (ja) | コンテナ栽培用ポット | |
KR20100087947A (ko) | 수목 운반용 컨테이너 및 이를 이용한 수목 분뜨기 방법 | |
JP5872254B2 (ja) | 室内用植栽ポール | |
KR101835770B1 (ko) | 화분조립체 | |
KR102291085B1 (ko) | 식재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