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085B1 - 식재틀 - Google Patents

식재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085B1
KR102291085B1 KR1020190085908A KR20190085908A KR102291085B1 KR 102291085 B1 KR102291085 B1 KR 102291085B1 KR 1020190085908 A KR1020190085908 A KR 1020190085908A KR 20190085908 A KR20190085908 A KR 20190085908A KR 102291085 B1 KR102291085 B1 KR 102291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piece
bracket
crossbar
dispose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190A (ko
Inventor
이태건
Original Assignee
이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건 filed Critical 이태건
Priority to KR1020190085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0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식물의 뿌리 부분을 토양과 함께 수용할 수 있어 지게차나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통해 식재된 식물과 함께 운반될 수 있는 식재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재틀은, 복수의 벽체틀과, 복수의 벽체틀을 결합시키는 복수의 고정기구를 포함한다. 벽체틀은, 상부 가로대와, 상부 가로대에 결합되는 제 1 상부 브라켓 및 제 2 상부 브라켓과, 상부 가로대의 하측에 상부 가로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부 가로대와, 하부 가로대에 구비되는 제 1 하부 브라켓 및 제 2 하부 브라켓과, 상부 가로대와 하부 가로대를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대를 구비한다. 복수의 벽체틀은, 제 1 상부 브라켓 및 제 1 하부 브라켓이 다른 벽체틀의 제 2 상부 브라켓 및 제 2 하부 브라켓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고정기구에 의해 다른 벽체틀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제 2 상부 브라켓 및 제 2 하부 브라켓이 또 다른 벽체틀의 제 1 상부 브라켓 및 제 1 하부 브라켓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고정기구에 의해 또 다른 벽체틀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식물의 뿌리와 뿌리를 감싸는 토양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획 형성한다.

Description

식재틀{FRAME FOR PLANTING}
본 발명은 식재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뿌리 부분을 토양과 함께 수용할 수 있어 식물을 이동하거나 이식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식재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목을 이용하는 조경 공사에서는 살아 있는 수목이 조경이 필요한 위치로 옮겨 심어진다. 조경 공사에 이용되는 수목은 농장이나, 수목원, 산과 같은 타지에서 어느 정도 성장한 것이 이식된다. 수목의 이식 작업에서 중요한 것이 수목의 뿌리를 보호하는 것이다. 수목의 뿌리 상태는 수목의 생사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고, 수목의 이식 후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살아 있는 수목을 옮겨 심을 때에는 뿌리를 감싸는 토양을 보존되게 하여 이식되는 과정에도 충분한 수분과 양분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수목을 이식할 때는 뿌리에 토양이 부착된 상태로 분뜨기 작업한 후, 뿌리 주위에 붙은 토양을 면포나 끈 등으로 감싸서 토양이 온전하게 뿌리에 붙어 있도록 하여 수목을 운반하게 된다.
이식 위치로 수목이 운반되면, 지반을 일정한 깊이로 개토한 다음, 뿌리를 개토된 구덩이에 넣어 매립하게 된다. 수목이 식재된 후, 수목은 식재되는 주변 지반과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해리되기 쉬우며, 주위의 지반으로 뿌리 내리기까지는 흔들리거나 쓰러지기 쉽다. 따라서, 수목의 이식 후, 지상에서 수목의 줄기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지주목을 적당하게 받쳐주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지주목들이 수목의 둘레에 넓게 배치되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좁은 부지에는 적용되기 어렵고, 철선을 감아 지주목들을 상호 지지하게 됨으로써 설치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주목 방식은 지지력이 안정되지 못하고, 수목 주위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식 방식은 정해진 위치로 옮겨 심어진 수목을 다시 다른 곳으로 이식하기 매우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216746호 (2012. 12. 2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식물의 뿌리 부분을 토양과 함께 수용할 수 있어 지게차나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통해 식재된 식물과 함께 운반될 수 있는 식재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이 식재된 상태로 위치 이동이 용이하여 식물의 식재 위치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식재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재틀은,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식물의 뿌리와 뿌리를 감싸는 토양을 수용할 수 있는 식재틀로서, 복수의 상부 가로대 홈이 형성된 상부 가로대와, 상기 상부 가로대의 일단 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 1 상부 브라켓 홀을 갖는 제 1 상부 브라켓과, 상기 상부 가로대의 타단 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 2 상부 브라켓 홀을 갖는 제 2 상부 브라켓과, 상기 상부 가로대보다 짧은 길이로 상기 상부 가로대의 하측에 상기 상부 가로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상부 가로대 홈에 대응하는 복수의 하부 가로대 홈을 갖는 하부 가로대와, 상기 하부 가로대의 일단부 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 1 하부 브라켓 홀을 갖는 제 1 하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가로대의 타단부 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 2 하부 브라켓 홀을 갖는 제 2 하부 브라켓과, 일단부가 상기 상부 가로대 홈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부 가로대 홈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가로대와 상기 하부 가로대를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대를 구비하는 복수의 벽체틀; 및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 홀과,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 홀과, 상기 제 1 하부 브라켓 홀과, 상기 제 2 하부 브라켓 홀에 각각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벽체틀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고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벽체틀은,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 및 상기 제 1 하부 브라켓이 다른 벽체틀의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 및 상기 제 2 하부 브라켓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기구에 의해 다른 벽체틀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 및 상기 제 2 하부 브라켓이 또 다른 벽체틀의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 및 상기 제 1 하부 브라켓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기구에 의해 또 다른 벽체틀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식물의 뿌리와 뿌리를 감싸는 토양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획 형성한다.
상기 세로대는 상기 상부 가로대 및 상기 하부 가로대에 대해 각각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 가로대와 상기 하부 가로대를 연결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가로대 홈은 상기 수용 공간의 안쪽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상부 가로대 중 상기 수용 공간의 안쪽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가로대 홈은 상기 수용 공간의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하부 가로대 중 상기 수용 공간의 외측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로대는 상기 하부 가로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부 가로대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재틀은, 상기 하부 가로대와 접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하측을 덮는 바닥판; 상기 복수의 세로대와 접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둘레를 덮는 복수의 측벽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로대와, 상기 하부 가로대와, 상기 세로대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벽체틀은, 상기 상부 가로대의 일단에 상기 상부 가로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 또는 상기 상부 가로대 속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이 결합되는 제 1 가동대와, 상기 상부 가로대의 타단에 상기 상부 가로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 또는 상기 상부 가로대 속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이 결합되는 제 2 가동대와, 상기 제 1 가동대를 상기 상부 가로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상부 가로대에 결합되는 제 1 스토퍼와, 상기 제 2 가동대를 상기 상부 가로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상부 가로대에 결합되는 제 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 홀은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 상에 복수 개가 상기 상부 가로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 홀은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 상에 복수 개가 상기 상부 가로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1 하부 브라켓 홀은 상기 제 1 하부 브라켓 상에 복수 개가 상기 하부 가로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2 하부 브라켓 홀은 상기 제 2 하부 브라켓 상에 복수 개가 상기 하부 가로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재틀은 구조가 단순하고,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운반이나 보관 등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지게차나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통해 쉽게 운반될 수 있어 수목 등을 운반하거나 이식하는데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재틀은 조경에 이용되는 수목이 식재된 상태로 정원이나 공원 등으로 어렵지 않게 운반될 수 있으며, 정원이나 공원 등에서 사용자에 의해 그 위치가 수시로 바뀔 수 있어 조경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재틀은 그 내부에 토양을 수용함으로써, 수목 이외에 다수의 채소가 식재될 수 있으며, 다수의 채소가 식재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심이나 집 근처에서 소규모로 채소를 기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을 지게차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을 이용하여 수목을 이식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식재틀의 벽체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틀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재틀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100)은 복수의 벽체틀(110)(111)(112)(113)과, 복수의 벽체틀(110)(111)(112)(113)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고정기구(140)를 포함한다. 복수의 벽체틀(110)(111)(112)(113)은 상호 연결되어 수용 공간(135)을 구획 형성한다. 이러한 식재틀(100)은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식물의 뿌리와 뿌리를 감싸는 토양(S)을 수용할 수 있으며, 지게차(10) 등의 중장비를 통해 식재된 식물과 함께 쉽게 운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재틀(100)이 수목(P)의 뿌리와 뿌리를 감싸는 토양(S)을 수용하여 수목(P)을 이동하거나 이식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재틀(100)은 네 개의 벽체틀(110)(111)(112)(113)이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대략 사각틀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에서 네 개의 벽체틀(110)(111)(112)(113)을 제 1 벽체틀(110), 제 2 벽체틀(111), 제 3 벽체틀(112) 및 제 4 벽체틀(113)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네 개의 벽체틀(110)(111)(112)(113)은 모두 상부 가로대(115)와, 상부 가로대(115)에 결합되는 제 1 상부 브라켓(118) 및 제 2 상부 브라켓(121)과, 상부 가로대(115)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가로대(124)와, 하부 가로대(124)에 결합되는 제 1 하부 브라켓(127) 및 제 2 하부 브라켓(130)과, 상부 가로대(115)와 하부 가로대(124)를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대(133)를 포함한다. 이들 벽체틀(110)(111)(112)(113)은 상부 가로대(115)나 하부 가로대(124)의 길이, 상부 가로대(115) 상에서 제 1 상부 브라켓(118) 및 제 2 상부 브라켓(121)의 위치, 하부 가로대(124) 상에서 제 1 하부 브라켓(127) 및 제 2 하부 브라켓(130)의 위치 등에서 미소한 차이만 있을 뿐, 개략적인 구조는 동일하다.
상부 가로대(115)는 단면적이 사각형인 사각기둥 형상을 갖는다. 상부 가로대(115)에는 복수의 상부 가로대 홈(116)이 상부 가로대(115)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부 가로대 홈(116)은 상부 가로대(115)의 양측 단부 사이에 수용 공간(135)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즉, 상부 가로대 홈(116)은 수용 공간(135)의 안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부 가로대 홈(116)은 이에 세로대(133)가 끼워 맞춤될 수 있도록 세로대(133)의 두께에 상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 1 상부 브라켓(118)은 상부 가로대(115)의 일단 측으로 치우친 상부 가로대(115)의 일측에 고정된다. 제 1 상부 브라켓(118)에는 제 1 상부 브라켓 홀(119)이 구비된다. 제 1 상부 브라켓 홀(119)에 고정기구(14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제 2 상부 브라켓(121)은 상부 가로대(115)의 타단 측으로 치우친 상부 가로대(115)의 다른 일측에 고정된다. 제 2 상부 브라켓(121)에는 제 2 상부 브라켓 홀(122)이 구비된다. 제 2 상부 브라켓 홀(122)에 고정기구(14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하부 가로대(124)는 상부 가로대(115)보다 짧은 길이로 상부 가로대(115)의 하측에 상부 가로대(115)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하부 가로대(124)는 단면적이 사각형인 사각기둥 형상을 갖는다. 하부 가로대(124)에는 상부 가로대(115)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가로대 홈(116)에 대응하는 복수의 하부 가로대 홈(125)이 하부 가로대(124)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하부 가로대 홈(125)은 하부 가로대(124)의 양측 단부 사이에 수용 공간(135)의 외측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즉, 하부 가로대 홈(125)은 수용 공간(135)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하부 가로대 홈(125)은 이에 세로대(133)가 끼워 맞춤될 수 있도록 세로대(133)의 두께에 상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 1 하부 브라켓(127)은 하부 가로대(124)의 일단 측으로 치우친 하부 가로대(124)의 일측에 고정된다. 제 1 하부 브라켓(127)에는 제 1 하부 브라켓 홀(128)이 구비된다. 제 1 하부 브라켓 홀(128)에 고정기구(14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제 2 하부 브라켓(130)은 하부 가로대(124)의 타단 측으로 치우친 하부 가로대(124)의 다른 일측에 고정된다. 제 2 하부 브라켓(130)에는 제 2 하부 브라켓 홀(131)이 구비된다. 제 2 하부 브라켓 홀(131)에 고정기구(14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세로대(133)는 단면적이 사각형인 사각기둥 형상을 갖는다. 세로대(133)는 일단부가 상부 가로대 홈(116)에 끼워 맞춤되고 타단부가 하부 가로대 홈(125)에 끼워 맞춤되어 상부 가로대(115)와 하부 가로대(124)를 연결한다. 세로대(133)는 그 양단부가 상부 가로대 홈(116) 및 하부 가로대 홈(125)에 삽입된 상태로 용접, 또는 다른 접합 방식으로 상부 가로대(115) 및 하부 가로대(124)와 결합될 수 있다. 세로대(133)는 상부 가로대(115) 및 하부 가로대(124)에 대해 각각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상부 가로대(115)와 하부 가로대(124)를 연결한다.
또한, 세로대(133)는 하부 가로대(124)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부 가로대(124)와 결합된다. 하부 가로대(124)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세로대(133)의 타단은 지면과 닿는 다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세로대(133)의 받침대 역할로 수용 공간(135)이 지면으로부터 다소 이격될 수 있다.
고정기구(140)는 볼트(141)와, 볼트(141)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142)를 포함한다. 볼트(141)는 제 1 상부 브라켓 홀(119)이나, 제 2 상부 브라켓 홀(122), 제 1 하부 브라켓 홀(128) 또는 제 2 하부 브라켓 홀(13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기구(140)는 볼트(141)가 제 1 상부 브라켓 홀(119)이나, 제 2 상부 브라켓 홀(122), 제 1 하부 브라켓 홀(128) 또는 제 2 하부 브라켓 홀(131)에 삽입되고 너트(142)가 볼트(141)에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수용 공간(135)을 구획 형성하는 복수의 벽체틀(110)(111)(112)(113)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복수의 벽체틀(110)(111)(112)(113)은 각각의 양측으로 다른 두 개의 벽체틀이 고정기구(14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수용 공간(135)을 구획 형성할 수 있다. 즉, 제 1 벽체틀(110)의 일단부에 제 2 벽체틀(111)이 결합되고, 제 1 벽체틀(110)의 타단부에는 제 4 벽체틀(113)이 결합되고, 제 3 벽체틀(112)은 제 1 벽체틀(110)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제 2 벽체틀(111) 및 제 4 벽체틀(113)과 결합된다.
제 1 벽체틀(110)과 제 2 벽체틀(111)은 각각에 구비되는 제 1 상부 브라켓(118)과 제 2 상부 브라켓(121)이 상호 맞닿고 제 1 하부 브라켓(127)과 제 2 하부 브라켓(130)이 상호 맞닿도록 결합된다. 즉, 제 1 벽체틀(110)의 제 1 상부 브라켓(118)과 제 2 벽체틀(111)의 제 2 상부 브라켓(121)이 마주한 상태로 고정기구(140)에 의해 결합되고, 제 1 벽체틀(110)의 제 1 하부 브라켓(127)과 제 2 벽체틀(111)의 제 2 하부 브라켓(130)이 마주한 상태로 고정기구(14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제 1 벽체틀(110)과 제 2 벽체틀(111) 간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벽체틀(110)과 제 4 벽체틀(113)은 각각에 구비되는 제 2 상부 브라켓(121)과 제 1 상부 브라켓(118)이 상호 맞닿고 제 2 하부 브라켓(130)과 제 1 하부 브라켓(127)이 상호 맞닿도록 결합된다. 즉, 제 1 벽체틀(110)의 제 2 상부 브라켓(121)과 제 4 벽체틀(113)의 제 1 상부 브라켓(118)이 마주한 상태로 고정기구(140)에 의해 결합되고, 제 1 벽체틀(110)의 제 2 하부 브라켓(130)과 제 4 벽체틀(113)의 제 1 하부 브라켓(127)이 마주한 상태로 고정기구(14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제 1 벽체틀(110)과 제 4 벽체틀(113)이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벽체틀(110)(111)(112)(113) 각각은 제 1 상부 브라켓(118)이 다른 벽체틀의 제 2 상부 브라켓(121)과 고정기구(140)를 통해 결합되고, 제 2 상부 브라켓(121)이 다른 벽체틀의 제 1 상부 브라켓(118)과 고정기구(140)를 통해 결합되고, 제 1 하부 브라켓(127)이 다른 벽체틀의 제 2 하부 브라켓(130)과 고정기구(140)를 통해 결합되며, 제 2 하부 브라켓(130)이 다른 벽체틀의 제 1 하부 브라켓(127)과 고정기구(140)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다른 두 개의 벽체틀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벽체틀(110)(111)(112)(113)이 고정기구(14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의 식재틀(100)이 조립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식재틀(100)을 상단부에서 하단부 쪽으로 수직으로 투영할 경우 하부 가로대(124)가 상부 가로대(115)보다 수용 공간(135)의 중심 측으로 치우쳐 놓이게 된다. 이것은 각 벽체틀(110)(111)(112)(113)의 하부 가로대(124)가 상부 가로대(115)보다 짧고 세로대(133)가 상부 가로대(115) 및 하부 가로대(124)에 대해 각각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상부 가로대(115)와 하부 가로대(124)를 연결하기 때문이다.
또한, 세로대(133)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상부 가로대(115)에 형성되는 상부 가로대 홈(116)은 수용 공간(135)의 안쪽을 향하고, 세로대(133)의 타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부 가로대(124)에 형성되는 하부 가로대 홈(125)은 수용 공간(135)의 외측을 향함으로써, 상부 가로대(115)는 세로대(133)보다 상대적으로 수용 공간(135)의 외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하부 가로대(124)는 세로대(133)보다 상대적으로 수용 공간(135)의 내측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다양한 장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상대적으로 수용 공간(135)의 내측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 가로대(124)는 수용 공간(135)의 하측에서 수용 공간(135)에 수용되는 수목(P)의 뿌리나 뿌리를 감싸는 토양(S)을 떠받치는 바닥면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가로대(115)가 상대적으로 수용 공간(135)의 외측으로 치우쳐 배치됨으로써 수용 공간(135)의 상부 개방 면적을 보다 넓게 할 수 있다. 수용 공간(135)의 상부 개방 면적이 넓으면 수용 공간(135)에 수목(P)의 뿌리를 수용하는 작업이나, 수용 공간(135)으로부터 수목(P)의 뿌리를 빼내는 작업에 유리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100)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목(P)의 뿌리와 뿌리를 감싸는 토양(S)이 수용 공간(135)에 수용됨으로써 수목(P)이 식재될 수 있다. 수용 공간(135)의 하부와 수용 공간(135)의 둘레는 개방되어 있어 수용 공간(135)의 하부와 복수의 세로대(133) 사이로 토양(S)이 빠져나갈 수 있지만, 수목(P)의 뿌리에 토양(S)이 단단히 달라붙은 상태로 수목(P)을 식재틀(100)에 식재하면, 수용 공간(135)에 담긴 토양(S)이 수목(P)의 뿌리를 감싸면서 수용 공간(135)에 담겨 있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수용 공간(135)에 담긴 토양(S)의 보존을 위해 수용 공간(135)에는 비닐이나 천 등 수용 공간(135)의 하부와 수용 공간(135)의 둘레를 덮을 수 있는 차폐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100)은 수목(P)이 식재된 상태로 지게차(10) 등의 중장비에 의해 편리하게 운반될 수 있다. 즉, 지게차(10)를 이용하는 경우, 지게차(10)의 포크(11)를 복수의 세로대(133) 사이로 진입시켜 포크(11) 위에 상부 가로대(115)가 얹혀지도록 함으로써 식재틀(100)을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고, 식재틀(100)을 쓰러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부 가로대(115)가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포크(11)와 면접촉할 수 있으므로, 지게차(10)에 의한 더욱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식재틀(100)은 포크(11) 위에 하부 가로대(124)가 얹혀져 지게차(10)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식재틀(100)이 지면에 놓일 때 복수의 세로대(133)가 지면에 접하여 하부 가로대(124)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지게차(10)의 포크(11)를 하부 가로대(124)의 하측에서 복수의 세로대(133) 사이로 진입시켜 포크(11)로 하부 가로대(124)를 떠받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100)은 수목(P)이 식재된 상태로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정원이나 공원 등으로 어렵지 않게 운반될 수 있으며, 수목(P)은 식재틀(100)에 식재된 상태로 그대로 조경에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지게차(10)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수목(P)의 위치를 수시로 바꿀 수 있으며, 수목(P)이 고사하는 등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해당 수목(P)을 다른 식재틀(100)에 식재된 새로운 수목(P)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과실수를 정원이나 공원 등에 배치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는 식재틀(100)을 이용함으로써 계절에 따라 다양한 과실수를 정원이나 공원 등에 옮겨 놓고 과실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100)은 수목(P)을 이식하는데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수목(P)을 이식하는 경우,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목(P)이 식재된 식재틀(100)이 견인 와이어(20)에 연결되어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통해 수목(P)의 식재를 위해 마련된 구덩이(H) 속으로 운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식재틀(100)이 구덩이(H) 속에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기구(140)를 각각의 벽체틀(110)(111)(112)(113)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복수의 벽체틀(110)(111)(112)(113)을 어렵지 않게 해체할 수 있다. 이후, 구덩이(H)를 메워 수목(P)의 이식을 완료할 수 있고, 분해된 벽체틀(110)(111)(112)(113)과 고정기구(140)는 재이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식재틀(100)은 수목(P)의 뿌리와 함께 지반 속에 매립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100)은 구조가 단순하고,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운반이나 보관 등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지게차(10)나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통해 쉽게 운반될 수 있어 수목(P)을 운반하거나 이식하는데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틀(100)은 수용 공간(135)에 토양(S)을 수용함으로써, 수목(P) 이외에 다수의 채소가 식재될 수 있으며, 다수의 채소가 식재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심이나 집 근처에서 소규모로 채소를 기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틀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식재틀(200)은 복수의 벽체틀(110)(111)(112)(113)과, 복수의 벽체틀(110)(111)(112)(113)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고정기구(140)와, 바닥판(210) 및 복수의 측벽판(22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벽체틀(110)(111)(112)(113)과 고정기구(140)는 상술한 것과 같다.
바닥판(210)은 수용 공간(135)에 배치되어 수용 공간(135)의 하측을 덮는다. 바닥판(210)은 수용 공간(135)의 하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 가로대(124) 위에 떠받쳐 짐으로써 수용 공간(135)의 하측을 안정적으로 덮을 수 있다. 바닥판(210)에는 복수의 바닥판 홀(211)이 마련된다. 복수의 바닥판 홀(211)을 통해 수용 공간(135) 안쪽의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수용 공간(135)의 외측으로부터 수분이 수용 공간(13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판(220)은 복수의 세로대(133)와 접하도록 수용 공간(135)에 배치되어 수용 공간(135)의 둘레를 덮는다. 측벽판(220)은 기울어진 세로대(133)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세로대(133)와 같이 기울어지게 놓일 수 있다. 측벽판(220)에는 복수의 측벽판 홀(221)이 마련된다. 복수의 측벽판 홀(221)을 통해 수용 공간(135) 안쪽의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수용 공간(135)의 외측으로부터 수분이 수용 공간(13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식재틀(200)은 수용 공간(135)의 하부 및 측부를 바닥판(210)과 복수의 측벽판(220)으로 덮음으로써, 수용 공간(135)에 수용되는 토양(S)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식재틀(300)은 복수의 벽체틀(310)(311)(312)(313)과, 복수의 벽체틀(310)(311)(312)(313)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고정기구(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식재틀(300)은 각 벽체틀(310)(311)(312)(313)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것과 같고, 다만 벽체틀(310)(311)(312)(313)의 길이만 다소 다른 것이다. 즉, 제 1 벽체틀(310)과 제 3 벽체틀(312)의 길이가 제 2 벽체틀(311)과 제 4 벽체틀(313)의 길이보다 길다. 이들 벽체틀(310)(311)(312)(313)은 일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수용 공간(315)을 형성한다. 이러한 식재틀(300)은 수용 공간(315)에 복수의 수목이나 더 많은 채소를 식재할 수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식재틀(400)은 복수의 벽체틀(410)과, 복수의 벽체틀(410)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고정기구(14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고정기구(14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볼트(141)와 너트(142)를 포함한다.
벽체틀(410)은 상부 가로대(411)와, 상부 가로대(411)의 양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가동대(418) 및 제 2 가동대(421)와, 제 1 가동대(418) 및 제 2 가동대(421)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상부 브라켓(424) 및 제 2 상부 브라켓(427)과, 제 1 가동대(418) 및 제 2 가동대(421)를 상부 가로대(411)에 고정하기 위한 제 1 스토퍼(430) 및 제 2 스토퍼(435)와, 상부 가로대(411)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가로대(124)와, 하부 가로대(124)에 결합되는 제 1 하부 브라켓(437) 및 제 2 하부 브라켓(440)과, 상부 가로대(411)와 하부 가로대(124)를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대(13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하부 가로대(124)와 세로대(133)는 상술한 것과 같은 것으로, 세로대(133)는 상부 가로대(411) 및 하부 가로대(124)에 각각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상부 가로대(411)와 하부 가로대(124)를 연결한다.
상부 가로대(411)는 하부 가로대(124)의 상측에 하부 가로대(124)보다 긴 길이로 하부 가로대(124)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부 가로대(411)에는 복수의 상부 가로대 홈(412)이 상부 가로대(41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부 가로대 홈(412)은 상부 가로대(411)의 양측 단부 사이에 수용 공간(443)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즉, 상부 가로대 홈(412)은 수용 공간(443)의 안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부 가로대 홈(412)에 세로대(133)의 일단부가 끼움 결합된다. 상부 가로대(411)의 일단부에는 제 1 가동대(418)가 삽입될 수 있는 제 1 수납홈(413)이 마련되고, 상부 가로대(411)의 타단부에는 제 2 가동대(421)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수납홈(414)이 구비된다. 또한, 상부 가로대(411)의 일단부에는 제 1 상부 가로대 홀(415)이 상부 가로대(4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부 가로대(411)의 타단부에는 제 2 상부 가로대 홀(416)이 상부 가로대(4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 1 상부 가로대 홀(415)에 제 1 스토퍼(43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고, 제 2 상부 가로대 홀(416)에 제 2 스토퍼(435)이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제 1 가동대(418)는 상부 가로대(411)의 일단에 상부 가로대(411)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 1 가동대(418)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 1 수납홈(413)에 삽입되어 상부 가로대(41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 또는 상부 가로대(411) 속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제 1 가동대(418)에는 상부 가로대(411)의 제 1 상부 가로대 홀(415)에 대응하는 제 1 가동대 홀(419)이 구비된다. 제 1 가동대 홀(419)은 복수 개가 제 1 가동대(418)의 이동 방향으로 따라 이격 배치된다. 제 1 가동대 홀(419)에 제 1 스토퍼(43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제 2 가동대(421)는 상부 가로대(411)의 타단에 상부 가로대(411)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 2 가동대(421)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 2 수납홈(414)에 삽입되어 상부 가로대(41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 또는 상부 가로대(411) 속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제 2 가동대(421)에는 상부 가로대(411)의 제 2 상부 가로대 홀(416)에 대응하는 제 2 가동대 홀(422)이 구비된다. 제 2 가동대 홀(422)은 복수 개가 제 2 가동대(421)의 이동 방향으로 따라 이격 배치된다. 제 2 가동대 홀(422)에 제 2 스토퍼(435)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제 1 상부 브라켓(424)은 제 1 가동대(418)의 일측에 고정된다. 제 1 상부 브라켓(424)에는 복수의 제 1 상부 브라켓 홀(425)이 구비된다. 이들 제 1 상부 브라켓 홀(425)에 고정기구(14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상부 브라켓 홀(425)은 상부 가로대(411)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도면에는 복수의 제 1 상부 브라켓 홀(425)이 상부 가로대(41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제 1 상부 브라켓 홀(425)의 배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 2 상부 브라켓(427)은 제 2 가동대(421)의 일측에 고정된다. 제 2 상부 브라켓(427)에는 복수의 제 2 상부 브라켓 홀(428)이 구비된다. 이들 제 2 상부 브라켓 홀(428)에 고정기구(14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상부 브라켓 홀(428)은 상부 가로대(411)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도면에는 복수의 제 2 상부 브라켓 홀(428)이 상부 가로대(41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제 2 상부 브라켓 홀(428)의 배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 1 스토퍼(430)는 제 1 가동대(418)를 상부 가로대(411)에 고정하기 위해 상부 가로대(4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스토퍼(430)는 스토퍼 볼트(431)와, 스토퍼 볼트(43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스토퍼 너트(4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스토퍼(430)는 스토퍼 볼트(431)가 상부 가로대(411)의 제 1 상부 가로대 홀(415)을 통해 제 1 가동대(418)의 제 1 가동대 홀(419)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토퍼 너트(432)가 스토퍼 볼트(431)의 끝단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 1 가동대(418)를 상부 가로대(411)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제 1 가동대(418)가 제 1 수납홈(413)에 삽입되어 상부 가로대(411)의 제 1 상부 가로대 홀(415)이 제 1 가동대(418)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 1 가동대 홀(419) 중 어느 하나와 일치된 상태에서 스토퍼 볼트(431)가 제 1 상부 가로대 홀(415) 및 제 1 가동대 홀(419)에 삽입되고, 스토퍼 너트(432)가 상부 가로대(411)를 관통하여 상부 가로대(411)로부터 돌출된 스토퍼 볼트(431)의 끝단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 1 가동대(418)가 상부 가로대(411)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가동대(418)의 위치를 조절한 후 제 1 스토퍼(430)를 이용하여 제 1 가동대(418)를 위치 조절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제 2 스토퍼(435)는 제 2 가동대(421)를 상부 가로대(411)에 고정하기 위해 상부 가로대(4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스토퍼(435)는 제 1 스토퍼(430)와 마찬가지로 스토퍼 볼트(431)와, 스토퍼 볼트(43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스토퍼 너트(4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2 스토퍼(435)는 스토퍼 볼트(431)가 상부 가로대(411)의 제 2 상부 가로대 홀(416)을 통해 제 2 가동대(421)의 제 2 가동대 홀(4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토퍼 너트(432)가 스토퍼 볼트(431)의 끝단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 2 가동대(421)를 상부 가로대(411)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제 2 가동대(421)가 제 2 수납홈(414)에 삽입되어 상부 가로대(411)의 제 2 상부 가로대 홀(416)이 제 2 가동대(421)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 2 가동대 홀(422) 중 어느 하나와 일치된 상태에서 스토퍼 볼트(431)가 제 2 상부 가로대 홀(416) 및 제 2 가동대 홀(422)에 삽입되고, 스토퍼 너트(432)가 상부 가로대(411)를 관통하여 상부 가로대(411)로부터 돌출된 스토퍼 볼트(431)의 끝단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 2 가동대(421)가 상부 가로대(411)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2 가동대(421)의 위치를 조절한 후 제 2 스토퍼(435)를 이용하여 제 2 가동대(421)를 위치 조절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제 1 하부 브라켓(437)은 하부 가로대(124)의 일단 측으로 치우친 하부 가로대(124)의 일측에 고정된다. 제 1 하부 브라켓(437)에는 복수의 제 1 하부 브라켓 홀(438)이 구비된다. 이들 제 1 하부 브라켓 홀(438)에 고정기구(14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하부 브라켓 홀(438)은 하부 가로대(124)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도면에는 복수의 제 1 하부 브라켓 홀(438)이 하부 가로대(124)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제 1 하부 브라켓 홀(438)의 배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 2 하부 브라켓(440)은 하부 가로대(124)의 타단 측으로 치우친 하부 가로대(124)의 다른 일측에 고정된다. 제 2 하부 브라켓(440)에는 복수의 제 2 하부 브라켓 홀(441)이 구비된다. 이들 제 2 하부 브라켓 홀(441)에 고정기구(14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하부 브라켓 홀(441)은 하부 가로대(124)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도면에는 복수의 제 2 하부 브라켓 홀(441)이 하부 가로대(124)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제 2 하부 브라켓 홀(441)의 배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네 개의 벽체틀(410)은 각각의 양측으로 다른 두 개의 벽체틀이 고정기구(14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수용 공간(443)을 구획 형성할 수 있다. 즉, 벽체틀(410)은 이에 구비되는 제 1 상부 브라켓(424) 및 제 1 하부 브라켓(437)이 다른 벽체틀의 제 2 상부 브라켓(427) 및 제 2 하부 브라켓(440)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고정기구(140)에 의해 다른 벽체틀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 1 상부 브라켓(424) 및 이와 마주하는 제 2 상부 브라켓(427)은 상호 마주한 상태에서 제 1 상부 브라켓(424)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 1 상부 브라켓 홀(425) 중 어느 하나와 제 2 상부 브라켓(427)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 2 상부 브라켓 홀(428) 중 어느 하나에 고정기구(140)의 볼트(141)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하부 브라켓(437) 및 이와 마주하는 제 2 하부 브라켓(440)은 상호 마주한 상태에서 제 1 하부 브라켓(437)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 1 하부 브라켓 홀(438) 중 어느 하나와 제 2 하부 브라켓(440)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 2 하부 브라켓 홀(441) 중 어느 하나에 고정기구(140)의 볼트(141)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식재틀(400)은 각 벽체틀(410)에 구비되는 제 1 상부 브라켓(424) 및 제 1 하부 브라켓(437)과 다른 벽체틀의 제 2 상부 브라켓(427) 및 제 2 하부 브라켓(440) 간의 결합 위치와, 각 벽체틀(410)에 구비되는 제 2 상부 브라켓(427) 및 제 2 하부 브라켓(440)과 또 다른 벽체틀의 제 1 상부 브라켓(424) 및 제 1 하부 브라켓(437) 간의 결합 위치 조절을 통해 수용 공간(443)의 크기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가동대(418)를 상부 가로대(411)에 고정하기 위한 제 1 스토퍼(430)와 제 2 가동대(421)를 상부 가로대(411)에 고정하기 위한 제 2 스토퍼(435)는 도시된 것과 같이, 스토퍼 볼트(431)와 스토퍼 너트(432)를 포함하는 구조 이외에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나타낸 벽체틀(410)을 이용하면 다양한 형상의 수용 공간을 갖는 식재틀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4에 나타낸 식재틀(500)은 세 개의 벽체틀(410)을 이용하여 대략 삼각 기둥 형상의 수용 공간(510)을 형성한 것이다.
한편, 도 15에 나타낸 식재틀(600)은 다섯 개의 벽체틀(410)을 이용하여 대략 오각 기둥 형상의 수용 공간(610)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개수의 벽체틀(410)을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수용 공간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식재틀을 제작할 수 있다.
벽체틀(410)을 조립하여 식재틀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벽체틀(410)의 조립 개수에 따라 벽체틀(410) 간의 연결 각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각 벽체틀(410)에 구비되는 제 1 가동대(418) 및 제 2 가동대(421)의 위치 조절을 통해 복수의 벽체틀(410)을 어렵지 않게 연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벽체틀을 형성하는 상부 가로대와, 하부 가로대와, 세로대가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들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가로대와, 하부 가로대와, 세로대 간의 결합 구조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고정기구(140)가 볼트(141)와 너트(142)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고정기구는 복수의 벽체틀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 1 상부 브라켓에 구비되는 제 1 상부 브라켓 홀의 개수나, 제 2 상부 브라켓에 구비되는 제 2 상부 브라켓 홀의 개수, 제 1 하부 브라켓에 구비되는 제 1 하부 브라켓 홀의 개수나, 제 2 하부 브라켓에 구비되는 제 2 하부 브라켓 홀의 개수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600 : 식재틀
110, 111, 112, 113, 310, 311, 312, 313, 410 : 벽체틀
115, 411 : 상부 가로대 118, 424 : 제 1 상부 브라켓
121, 427 : 제 2 상부 브라켓 124 : 하부 가로대
127, 437 : 제 1 하부 브라켓 130, 440 : 제 2 하부 브라켓
133 : 세로대
135, 315, 443, 510, 610 : 수용 공간
140 : 고정기구 210 : 바닥판
220 : 측벽판

Claims (8)

  1.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식물의 뿌리와 뿌리를 감싸는 토양을 수용할 수 있는 식재틀로서,
    복수의 상부 가로대 홈이 형성된 상부 가로대와, 상기 상부 가로대의 일단 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 1 상부 브라켓 홀을 갖는 제 1 상부 브라켓과, 상기 상부 가로대의 타단 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 2 상부 브라켓 홀을 갖는 제 2 상부 브라켓과, 상기 상부 가로대보다 짧은 길이로 상기 상부 가로대의 하측에 상기 상부 가로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상부 가로대 홈에 대응하는 복수의 하부 가로대 홈을 갖는 하부 가로대와, 상기 하부 가로대의 일단부 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 1 하부 브라켓 홀을 갖는 제 1 하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가로대의 타단부 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 2 하부 브라켓 홀을 갖는 제 2 하부 브라켓과, 일단부가 상기 상부 가로대 홈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부 가로대 홈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가로대와 상기 하부 가로대를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대를 구비하는 복수의 벽체틀; 및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 홀과,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 홀과, 상기 제 1 하부 브라켓 홀과, 상기 제 2 하부 브라켓 홀에 각각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벽체틀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고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벽체틀은,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 및 상기 제 1 하부 브라켓이 다른 벽체틀의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 및 상기 제 2 하부 브라켓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기구에 의해 다른 벽체틀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 및 상기 제 2 하부 브라켓이 또 다른 벽체틀의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 및 상기 제 1 하부 브라켓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기구에 의해 또 다른 벽체틀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식물의 뿌리와 뿌리를 감싸는 토양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획 형성하며,
    상기 상부 가로대 홈은 상기 수용 공간의 안쪽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상부 가로대 중 상기 수용 공간의 안쪽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가로대 홈은 상기 수용 공간의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하부 가로대 중 상기 수용 공간의 외측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대는 상기 상부 가로대 및 상기 하부 가로대에 대해 각각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 가로대와 상기 하부 가로대를 연결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틀.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대는 상기 하부 가로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부 가로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로대와 접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하측을 덮는 바닥판;
    상기 복수의 세로대와 접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둘레를 덮는 복수의 측벽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로대와, 상기 하부 가로대와, 상기 세로대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틀은,
    상기 상부 가로대의 일단에 상기 상부 가로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 또는 상기 상부 가로대 속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이 결합되는 제 1 가동대와,
    상기 상부 가로대의 타단에 상기 상부 가로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 또는 상기 상부 가로대 속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이 결합되는 제 2 가동대와,
    상기 제 1 가동대를 상기 상부 가로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상부 가로대에 결합되는 제 1 스토퍼와,
    상기 제 2 가동대를 상기 상부 가로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상부 가로대에 결합되는 제 2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 홀은 상기 제 1 상부 브라켓 상에 복수 개가 상기 상부 가로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 홀은 상기 제 2 상부 브라켓 상에 복수 개가 상기 상부 가로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1 하부 브라켓 홀은 상기 제 1 하부 브라켓 상에 복수 개가 상기 하부 가로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2 하부 브라켓 홀은 상기 제 2 하부 브라켓 상에 복수 개가 상기 하부 가로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틀.
KR1020190085908A 2019-07-16 2019-07-16 식재틀 KR102291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908A KR102291085B1 (ko) 2019-07-16 2019-07-16 식재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908A KR102291085B1 (ko) 2019-07-16 2019-07-16 식재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190A KR20210009190A (ko) 2021-01-26
KR102291085B1 true KR102291085B1 (ko) 2021-08-17

Family

ID=7431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908A KR102291085B1 (ko) 2019-07-16 2019-07-16 식재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0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8949A (ja) * 1999-07-23 2001-02-06 Tomoe Zoen Doboku:Kk 組み立て式植木鉢と移植方法
KR100686187B1 (ko) 2006-04-10 2007-02-26 김정회 식재이식용 조립식 화분블록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4796A (ja) * 1996-09-10 1998-04-07 Kamiya Zouen:Kk 植木収容部材
JPH10140573A (ja) * 1996-11-15 1998-05-26 Mito Green Service Kk 傾斜面の苗木植栽方法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斜面植栽用ポット
KR101216746B1 (ko) 2010-08-20 2012-12-28 김경석 수목 식재용 대형 화분 및 그 제조방법
KR101303135B1 (ko) * 2011-03-18 2013-09-09 공재만 수목 분뜨기 장치 및 그 방법
KR101396714B1 (ko) * 2012-07-09 2014-05-16 김태석 이식 수목용 용기 및 수목 이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8949A (ja) * 1999-07-23 2001-02-06 Tomoe Zoen Doboku:Kk 組み立て式植木鉢と移植方法
KR100686187B1 (ko) 2006-04-10 2007-02-26 김정회 식재이식용 조립식 화분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190A (ko)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8869B2 (en) Modular hydroponic rack system for crop cultivation and transport
US20210161088A1 (en) Vertical hydroponic tower array fixture system
KR100686187B1 (ko) 식재이식용 조립식 화분블록
FI73351C (fi) Plantbaedd.
JP5166285B2 (ja) モジュール容器装置
US10609872B2 (en) Pot device and method related thereto
US10653078B2 (en) Animal-incursion-resistant raised bed gardening system
US20190059240A1 (en) Modular plant growth tray and support fencing assembly and method for supporting plant extremities during growth
CZ295183B6 (cs) Soustava truhlíků pro pěstování rostlin
US11464349B2 (en) Transportable planter
KR102291085B1 (ko) 식재틀
US20180242534A1 (en) Raised bed garden assembly
US11864501B2 (en) Tree box
KR20130068894A (ko) 석가산 구조체의 설치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설치된 석가산 구조체
CN220383790U (zh) 一种可支撑的树木保护隔离结构
JP3553826B2 (ja) 組み立て式植木鉢と移植方法
JP7360758B1 (ja) 植物栽培装置
KR20170066191A (ko) 다단식 텃밭 재배기
JPH0520549U (ja) プランタ用植物棚
GB2330510A (en) Plant support
CN116686628A (zh) 一种可支撑的树木保护隔离结构
JP2015142518A (ja) 樹木苗の育苗用装置及び生産方法
FR3080975A1 (fr) Palette pour le transport, le distancage et le maintien debout de plantes cultivees en conteneurs. palette qui protege egalement les plantes du gel.
GB2069805A (en) Improvements in plant containers
JP2000125669A (ja) 組立式ブロック植栽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