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514A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5514A
KR20100085514A KR1020090004844A KR20090004844A KR20100085514A KR 20100085514 A KR20100085514 A KR 20100085514A KR 1020090004844 A KR1020090004844 A KR 1020090004844A KR 20090004844 A KR20090004844 A KR 20090004844A KR 20100085514 A KR20100085514 A KR 20100085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s
plate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3447B1 (ko
Inventor
김종성
김민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4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447B1/ko
Priority to US12/540,864 priority patent/US20100025237A1/en
Publication of KR20100085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2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23C14/042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using mask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진공 챔버; 진공 챔버 내의 하부에 위치하는 증착원; 증착원으로부터 생성된 소스를 마스킹하는 마스크; 마스크에 의해 통과된 소스가 증착되는 타겟기판; 진공 챔버 내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면에 마그넷들이 상호 이격하여 배열된 제1플레이트; 및 제1플레이트보다 하부에 위치하며 마그넷들이 삽입되는 홈들이 배열된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를 제공한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증착장치, 마그넷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Evaporation Apparatu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발광층이 형성된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표시장치이다.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자발광소자로서, 행렬 형태로 배열된 N×M개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들을 구동하여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수동 매트릭스(passive matrix) 방식과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를 이용한 능동 매트릭스(active matrix) 방식이 있다.
유기전계발광소자는 배선 및 전극 형성 공정, 절연막 공정, 유기물 증착 공정 등을 하고, 보호막(passivation)을 포함하는 봉지(encapsulation) 공정 등을 거쳐 제작된다. 여기서, 전극이나 유기물 증착 공정 등은 대부분 진공 챔버 내에서 이루어지는데, 이때 타겟기판의 특정 부위에만 재료를 증착하기 위해 마스크와 같은 기구물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더불어, 증착 공정을 진행할 때에는 타겟기판과 마스크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마그넷들이 배열된 플레이트와 같은 기구물이 함께 이용된다.
그런데, 종래 증착장치의 경우 플레이트에 배열된 마그넷들의 자성 강도 차로 타겟기판 착탈 시 기구물들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마스크를 당기는 힘의 약화로 섀도윙(shadowing)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진공 챔버 내에 배치된 기구물들 간의 얼라인시 타겟기판 처짐에 의한 섀도윙이나 기구물들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진공 챔버; 진공 챔버 내의 하부에 위치하는 증착원; 증착원으로부터 생성된 소스를 마스킹하는 마스크; 마스크에 의해 통과된 소스가 증착되는 타겟기판; 진공 챔버 내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면에 마그넷들이 상호 이격하여 배열된 제1플레이트; 및 제1플레이트보다 하부에 위치하며 마그넷들이 삽입되는 홈들이 배열된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를 제공한다.
마그넷들은, 마그넷의 길이가 a일 때, a ~ 2a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마그넷의 길이 a는, 10mm일 수 있다.
마그넷들은, 서로 반대되는 극성이 교번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마그넷들의 형상은, 원기둥 또는 사면체 이상의 다면체일 수 있다.
홈들의 형상은 마그넷들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타겟기판은, 자성체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진공 챔버 내에 배치된 기구물들 간의 얼라인시 타겟기판 처짐에 의한 섀도윙이나 기구물들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성물의 일부 확대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는 진공 챔버(110), 증착원(120), 마스크(160), 타겟기판(150), 제2플레이트(140) 및 제1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증착원(120)은 진공 챔버(110) 내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증착원(120) 내에 수용된 소스(S)는 가열수단 등에 의해 가열되어 기화 또는 승화될 수 있다.
마스크(160)는 진공 챔버(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증착원(120)으로부터 기화 또는 승화된 소스(S)가 타겟기판(150) 상에 선택적으로 증착되도록 개구부들과 차단부들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들의 개수는 타겟기판(150) 상에 증착할 서브 픽셀들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증착 효율을 높이기 위 한 수단으로 더미 개구부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마스크(160)는 프레임과 함께 조립되어 타겟기판(150)과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크(160)와 프레임은 자력에 반응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타겟기판(150)은 자력에 반응하는 재료 또는 자성체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 기판 중 SUS 430의 경우 제1플레이트(130)에 배열된 마그넷들(135)에 효과적으로 붙을 수 있으며 자력을 차폐하는 특징이 있다. 자성체 기판의 경우 이 밖에 36Alloy(Invar), 42Alloy, SUS410 이나 SUS420 등과 같은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타겟기판(150)에 형성된 소자는 수동 매트릭스(passive matrix) 방식 또는 능동 매트릭스(active matrix) 방식의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레이트(130)는 진공 챔버(110) 내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면에 마그넷들(135)이 상호 이격하여 배열된다. 제1플레이트(130)의 경우 자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요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140)는 제1플레이트(130)보다 하부에 위치하며 마그넷들(135)이 삽입되는 홈들(H)이 배열된다. 제2플레이트(140)에 형성된 홈들(H)의 형상은 마그넷들(135)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제2플레이트(140)는 마그넷들(135)에 의해 잡아 당겨지는 타겟기판(15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플레이트(140)의 경우 두께가 너무 얇으면 변형이 쉽고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마그넷들(135)과 마스크(160) 간의 간격을 넓혀 마스크(160)를 잡아당기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2플레이트(140)는 변형을 방지하고 마스크(160)를 당길 정도의 자력을 유지하기 위해 마그넷들(135)이 삽입되는 홈들(H)을 갖는다. 여기서, 제2플레이트(140)에 형성된 홈 들(H)은 마그넷들(135)이 삽입될 정도의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하면 된다.
이하, 마그넷의 배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마그넷 배열에 따른 실험 데이터이고, 도 5 내지 도 15는 도 4의 케이스별 마그넷 배열 예시도 이다. 도 16은 도 5 내지 도 8에 의한 MDF의 경향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7은 도 9 내지 도 15에 의한 MDF의 경향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험 데이터에서 케이스 1 내지 케이스 4(case 1 내지 case 4)는 마그넷 배열 간격에 따른 데이터이고, 케이스 5 내지 케이스 11(case 5 내지 case 11)은 마그넷 수량에 따른 데이터를 나타낸다.
케이스 1 내지 케이스 4의 데이터를 참조하면, 표면 자력의 경우 마그넷 배열 간격이 커지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넷을 떼어내는 힘(magnet detach force; MDF)의 경우 마그넷의 수량에 비례하지만 배열에는 무관함을 알 수 있다. 다만, 이는 마그넷을 붙여서 배열할 경우 달라질 수 있다.
케이스 5 내지 케이스 11의 데이터를 참조하면, 표면 자력의 경우 마그넷 수량이 많아질수록 커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MDF의 경우 마그넷 수량이 많아질수록 커짐을 알 수 있다. 또한, MDF는 마그넷 배열시 정사각형에 가까울수록 커짐을 알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케이스 1 내지 케이스 4와 같이 마그넷 배열 간격에 의한 MDF와 마그넷 수량에 따른 MDF의 차이는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향성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8은 마그넷 극성 배열에 따른 증착 패턴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측정 기준에 따른 마스크의 구조 예시도 이며, 도 20은 측정 위치 예시도 이다.
도 18은 마그넷 배열시 서로 반대되는 극성인 N극과 S극이 상호 이격하도록 교번 배치한 후 실시한 증착 패턴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데이터에 의하면, 마그넷 배열시 N극과 S극이 상호 이격하도록 교번 배치할 경우, 플레이트들과 마스크 간의 합착 정도가 우수해져 증착시 섀도윙(shadowing)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8의 실험에서 케이스 1이 가장 우수한 조건으로 나타났다. 도시되어 있진 않지만, 마그넷 배열시 동일한 극성인 N극 또는 S극을 상호 이격하도록 배치한 경우, 마스크 자화로 인한 국부적인 극성 형성으로 마스크가 들뜸에 따라 증착시 전체적으로 섀도윙이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하, 실험 결과를 기초로 한 마그넷 배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배열 예시도 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제1플레이트(130)의 일면에 마그넷들(135)을 배열할 때, 마그넷의 형상은 사면체(또는 그 이상의 다면체) 또는 원기둥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반대되는 극성을 갖는 마그넷들(135)이 상호 이격하도록 교번하여 배열한다.
앞서 설명한 실험 데이터에 의하면, 타겟기판(150) 탈착 시 제2플레이 트(150)가 받는 힘은 제1플레이트(130)에 배열된 마그넷들(135)의 수량에 비례하고, 마그넷들(135)의 자력은 배열에 관계한다. 따라서, 타겟기판(150) 탈착 시 마그넷들(135)의 배열을 최적화하면 제2플레이트(150)가 받는 힘을 상당부분 감소시킬 수 있어 제2플레이트(150) 및 기타 기구물들의 변형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실험에 따라 도출된 조건들을 참조하여 마그넷 배열시의 최적화 조건들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제1플레이트(130)에 배열된 마그넷들(135)에 의한 자력은 제2플레이트(150) 및 기타 기구물들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때문에, 마그넷들(135) 배열시 MDF를 최소화하고 표면 자력을 확보할 수 있는 조건이 요구된다.
케이스 1 내지 케이스 11에 의한 실험 데이터를 검토한 결과, 마그넷의 길이가 a일 때, a ~ 2a 간격으로 배열하면 MDF와 표면 자력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넷의 길이가 a라고 할 경우 제1마그넷과 제2마그넷 간의 간격 "L1"과 "L2"는 a와 2a에 해당되는 규칙을 갖고 배열한다. 본 실험에서는 타겟기판(150)이 SUS 430 기판이고, 마그넷의 길이 a를 10mm로 하였을 때가 최적의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실험에 의하면, 마그넷 간의 간격이 a 이하로 배열된 경우, 배열되는 마그넷들의 수량이 많아져 타겟기판(150)과 마스크(150) 간의 탈착 시 기구물들에 무리를 주게 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마그넷 간의 간격이 2a 이상으로 배열된 경우, 마그넷들(135)이 마스크(160)를 잡아당길 수 있을 정도의 자력을 갖지 못하여 공정성 확보에 어려움이 나타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제1플레이 트(130)에 마그넷들(135)을 배열할 때에는 마그넷의 길이에 해당되는 a를 기초로 a ~ 2a 간격으로 배열한다.
한편, 도시되어 있진 않지만 위와 같은 조건에서 타겟기판(150)을 SUS 430으로 실험한 결과, 200G의 자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2플레이트(140)의 두께를 15mm로, 마그넷들(135)이 삽입될 홈들(H)의 깊이를 12mm로, 홈들(H)의 길이를 11mm로 제작하면, 제2플레이트(140)의 전체적인 변형은 줄이고 자력을 확보할 수 있는 최적 조건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제1플레이트(130)에 배열된 마그넷들(135)에 의한 자력은 마그넷 간의 배열뿐만 아니라 배열된 마그넷 간의 극성과도 관계한다.
실험 데이터 검토결과, 마그넷들(135)을 N극/S극의 격자 구조로 배열하면, 진공 챔버(110) 내에 배치된 기구물들 간의 합착 정도가 우수해져 마스크(160)에 의한 섀도윙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므로 증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마그넷들(135)을 N극 또는 S극의 구조로 배열하면, 마스크(160) 자화로 인한 국부적 자력 형성으로 마스크(160) 들뜸 등이 발생하여 마스크(160)에 의한 섀도윙 문제가 심해져 증착 효율이 저하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제1플레이트(130)에 마그넷들(135)을 배열할 때에는 서로 반대되는 극성이 상호 이격하도록 교번하여 배열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제1플레이트(130)에 배열된 마그넷들(135)에 의한 자력 은 마그넷의 형상에 관계한다.
실험 데이터 검토결과, 마그넷들(135)에 의해 MDF는 마그넷의 형상에 관계함을 알 수 있었다. 마그넷의 형상이 사면체 이상의 다면체인 경우, 각 모서리 부근에서 자력의 강도가 강하게 발생하므로 마그넷의 형상이 정사각형에 가까울수록 MDF가 커져 기구물들에 가해지는 힘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원기둥의 경우, 자석의 표면적을 줄일 수 있어 탈착 시 MDF를 낮출 수 있어 기구물들에 가해지는 힘을 덜 수 있었다. 따라서, 마그넷들(135)의 형성시 사면체 이상의 다면체와 원기둥 형상 모두 가능하지만, 원기둥의 경우 사면체보다 나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므로 원기둥 형상으로 배열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진공 챔버 내에 배치된 기구물들 간의 얼라인시 타겟기판 처짐에 의한 섀도윙이나 기구물들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 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장치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성물의 일부 확대도.
도 4는 마그넷 배열에 따른 실험 데이터.
도 5 내지 도 15는 도 4의 케이스별 마그넷 배열 예시도.
도 16은 도 5 내지 도 8에 의한 MDF의 경향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17은 도 9 내지 도 15에 의한 MDF의 경향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18은 마그넷 극성 배열에 따른 증착 패턴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측정 기준에 따른 마스크의 구조 예시도.
도 20은 측정 위치 예시도.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배열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진공 챔버 120: 증착원
130: 제1플레이트 140: 제2플레이트
150: 타겟기판 160: 마스크

Claims (7)

  1. 진공 챔버;
    상기 진공 챔버 내의 하부에 위치하는 증착원;
    상기 증착원으로부터 생성된 소스를 마스킹하는 마스크;
    상기 마스크에 의해 통과된 상기 소스가 증착되는 타겟기판;
    상기 진공 챔버 내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면에 마그넷들이 상호 이격하여 배열된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보다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마그넷들이 삽입되는 홈들이 배열된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들은,
    마그넷의 길이가 a일 때, a ~ 2a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의 길이 a는,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들은,
    서로 반대되는 극성이 교번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들의 형상은,
    원기둥 또는 사면체 이상의 다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들의 형상은,
    상기 마그넷들의 형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기판은,
    자성체 기판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
KR1020090004844A 1999-01-21 2009-01-21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 KR101303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844A KR101303447B1 (ko) 2009-01-21 2009-01-21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
US12/540,864 US20100025237A1 (en) 1999-01-21 2009-08-13 Deposition apparatu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844A KR101303447B1 (ko) 2009-01-21 2009-01-21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514A true KR20100085514A (ko) 2010-07-29
KR101303447B1 KR101303447B1 (ko) 2013-09-05

Family

ID=4160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844A KR101303447B1 (ko) 1999-01-21 2009-01-21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25237A1 (ko)
KR (1) KR1013034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6234B2 (en) 2011-02-14 2015-04-28 Samsung Display Co., Ltd. Mask holding device capable of changing magnetic means and deposition equipment using the same
KR20160017395A (ko) * 2014-08-05 2016-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그넷 플레이트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증착장치 및 증착방법
KR20210053510A (ko) * 2019-11-04 2021-05-12 파인원 주식회사 마그넷 플레이트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2279B2 (ja) * 2013-07-16 2016-12-14 株式会社システム技研 基板成膜処理用マスクホルダに使用される係止部材、及び基板成膜処理用マスクホルダ
KR20150034003A (ko) * 2013-09-25 2015-04-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증착 설비
US10460968B2 (en) * 2013-12-02 2019-10-29 Applied Materials, Inc. Electrostatic chuck with variable pixelated magnetic field
JP2016003386A (ja) * 2014-06-19 2016-01-12 株式会社システム技研 成膜ホルダ
KR102393204B1 (ko) * 2015-03-31 2022-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8283A (en) * 1978-11-06 1980-04-15 Materials Research Corporation Magnetron sputtering target and cathode assembly
US4200515A (en) * 1979-01-16 1980-04-29 The International Nickel Company, Inc. Sintered metal powder-coated electrodes for water electrolysis prepared with polysilicate-based paints
JPS59175125A (ja) * 1983-03-24 1984-10-03 Toshiba Corp ドライエツチング装置
US4486287A (en) * 1984-02-06 1984-12-04 Fournier Paul R Cross-field diode sputtering target assembly
JP3073327B2 (ja) * 1992-06-30 2000-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堆積膜形成方法
JP3539125B2 (ja) * 1996-04-18 2004-07-07 東レ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の製造方法
GB9718947D0 (en) * 1997-09-05 1997-11-12 Nordiko Ltd Vacuum sputtering apparatus
US20020046945A1 (en) * 1999-10-28 2002-04-25 Applied Materials, Inc. High performance magnetron for DC sputtering systems
JP2004183044A (ja) * 2002-12-03 2004-07-02 Seiko Epson Corp マスク蒸着方法及び装置、マスク及びマスクの製造方法、表示パネル製造装置、表示パネル並びに電子機器
JP4567492B2 (ja) * 2004-05-18 2010-10-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用励磁コイルの製造方法
US7618521B2 (en) * 2005-03-18 2009-11-17 Applied Materials, Inc. Split magnet ring on a magnetron sputter chamber
KR101146978B1 (ko) * 2005-05-14 2012-05-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JP4428285B2 (ja) * 2005-05-16 2010-03-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マスク保持構造、成膜方法、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US20070007130A1 (en) * 2005-07-11 2007-01-11 Heraeus, Inc. Enhanced magnetron sputtering target
KR101169054B1 (ko) * 2005-10-13 2012-07-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의 제조장치
EP2109876B1 (en) * 2007-02-13 2015-05-06 Fuji Film Manufacturing Europe B.V. Substrate plasma treatment using magnetic mask device
JP2009299184A (ja) * 2008-05-12 2009-12-24 Canon Anelva Corp 磁場発生装置、磁場発生方法、スパッタ装置及びデバイス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6234B2 (en) 2011-02-14 2015-04-28 Samsung Display Co., Ltd. Mask holding device capable of changing magnetic means and deposition equipment using the same
KR20160017395A (ko) * 2014-08-05 2016-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그넷 플레이트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증착장치 및 증착방법
KR20210053510A (ko) * 2019-11-04 2021-05-12 파인원 주식회사 마그넷 플레이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25237A1 (en) 2010-02-04
KR101303447B1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447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
JP6993804B2 (ja) マスク組立体、表示装置の製造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US20130199445A1 (en) Vapor deposition device, vapor deposition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8668956B2 (en) Vapor deposition particle emitting device, vapor deposition apparatus, vapor deposition method
JPWO2009069743A1 (ja)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US11275315B2 (en) High-precision shadow-mask-deposi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100094802A (ko) 증착 장치용 마스크 밀착 수단 및 이를 이용한 증착 장치
KR20160033338A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그 제조 방법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955763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hoto mask and photo mask manufactured with same
KR20130065730A (ko) 증착 방법 및 증착 장치
KR20190026677A (ko) 섀도 마스크 증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30638B1 (ko) 마스크 조립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TWI485282B (zh) 提高封裝成膜均勻性的方法及裝置
KR20160069075A (ko) 증착용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27221A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5557653B2 (ja) 薄膜蒸着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JP2008196002A (ja) 蒸着マスクおよび蒸着マスクの製造方法
US20210285087A1 (en) Direct-Deposition System Including Standoffs for Controlling Substrate-Mask Separation
KR101649905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증착장치
JP2004152704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方法
KR102081254B1 (ko) 금속 마스크 고정 장치
KR102084696B1 (ko) 표시장치용 박막 증착 장치, 표시장치의 박막 증착용 마스크 유닛,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5124394A (ja) 表示装置に製造方法
TW201931510A (zh) 用以非接觸懸浮一遮蔽裝置之方法及設備
KR20140140868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