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616A - 연속적으로 높이 조절가능한 유아 매트리스 지지부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적으로 높이 조절가능한 유아 매트리스 지지부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616A
KR20100084616A KR1020107006023A KR20107006023A KR20100084616A KR 20100084616 A KR20100084616 A KR 20100084616A KR 1020107006023 A KR1020107006023 A KR 1020107006023A KR 20107006023 A KR20107006023 A KR 20107006023A KR 20100084616 A KR20100084616 A KR 20100084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support
drive unit
height adjustable
piston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후다 코헨
메이르 지텔리스
Original Assignee
스라워 마크
예후다 코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라워 마크, 예후다 코헨 filed Critical 스라워 마크
Publication of KR20100084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7/00Children's beds
    • A47D7/01Children's beds with adjustable parts, e.g. for adapting the length to the growth of the children
    • A47D7/03Children's beds with adjustable parts, e.g. for adapting the length to the growth of the children with adjustably-mounted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47C19/045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with entire frame height or inclination adjust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7/00Children's beds
    • A47D7/01Children's beds with adjustable parts, e.g. for adapting the length to the growth of the children
    • A47D7/02Children's beds with adjustable parts, e.g. for adapting the length to the growth of the children with side wall that can be lower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12Cradles ; Bassinets with adjustable part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연속적으로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매트리스 지지부는 대응 수직 변위 전용 피구동 구성요소에 수직력을 인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그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수단에 의해 수직 변위 동안 안정화된다. 피구동 구성요소는 매트리스 지지부와 연결되거나 매트리스 지지부를 지지하는 관계로 있어서 바닥 표면 위의 매트리스 지지부의 높이가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작동기에 의해 설정 및 연속적으로 조절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의 비의도적 작동에 따른 매트리스 지지부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로킹 장치가 사용된다.

Description

연속적으로 높이 조절가능한 유아 매트리스 지지부 및 그 장치{A CONTINUOUSLY HEIGHT ADJUSTABLE BABY MATTRESS SUPPORT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유아용 침대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매트리스 지지부의 높이를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높이 조절가능한 유아 매트리스 지지부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높이 조절가능한 유아용 침대는 침대 주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와, 주 프레임에 매트리스 지지부를 부착하는 브래킷 같은 구성요소의 수동 분해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매트리스 지지부가 원하는 높이에 배치된 이후, 브래킷 및 주 프레임이 재조립되어야 한다.
이런 유형의 유아용 침대는 몇가지 단점들을 갖는다:
1. 유아의 성장을 수용하기 위해 주 프레임 및 매트리스 지지부를 조립 및 분해할 필요가 있어서, 시간 소모적이고 번거로운 조립 작업 동안 사용자의 불편을 유발한다.
2. 유아의 기저귀를 갈거나 유아를 돌보거나 유아에게 옷을 입힐 필요가 있을 때, 보호자는 유아에게 접근하기 위해 침대의 상부 난간 위로 허리를 굽혀야한다. 매트리스 지지부가 고정된 높이에 위치되어 있고, 매트리스 지지부의 높이를 변경하기가 불편하기 때문에 보호자의 간헐적 굽힘 운동은 요통을 유발한다.
3. 종래 기술의 침대의 주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세 개의 서로 다른 높이 레벨들 같은 지정된 수의 높이 레벨들 중 하나로 매트리스 지지부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수의 보호자들은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높이들에서 매트리스 지지부를 설정하는 것을 원한다.
다양한 연속적으로 조절가능한 유아 매트리스 지지부도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지만, 매트리스 지지부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관련 장치는 비교적 복잡한 기구이다.
US 2,599,296호는 상승 및 하강되도록 배열된 조절가능한 침대 스프링과, 침대 스프링을 상승시키기 위해 이들을 함께 견인하는 경향의 인장 스프링을 구비한 침대의 각 단부에 있는 두 쌍의 기어형 레버와, 침대 스프링의 수동 이동을 위한 침대 스프링 상의 손잡이와, 침대 상의 포획부를 개시하고 있다. 레버들이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침대의 각 단부에 있는 하나의 레버가 샤프트에 의해 침대의 다른 단부에 있는 대응 레버에 연결되어져, 침대 스프링의 기울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US 4,285,079호는 두 개의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journaled) 권취 바아에 부착된 가요성 호이스트 부재에 의해 매트리스 지지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호이스트 부재는 하우징을 통해 나사결합되고, 권취 바아에 부착된다. 그 단부들에서, 호이스트 부재는 브래킷에 의해 매트리스 지지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스프링 프레임에 고정된다.
IT 1238733호는 안내와 평형화를 위한 스프링 및 가스 피스톤 시스템을 갖는 수동 이동가능한 매트리스 프레임을 구비한 아동용 침대를 개시하고 있다.
GB 2422303호는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베이스를 구비한 소아용 침대를 개시한다. 가위형-피봇식 다리 부재들의 형태를 취하는 지지 수단이 제공된다. 선형 작동기를 제어하는 스위치는 매트리스를 하강시키도록 다리 부재들이 개방 상태가 되게 하거나, 매트리스를 상승시키도록 다리 부재가 함께 모이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지 소수의 부품을 포함하는 유아 매트리스 지지부의 높이를 연속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간단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작이 용이한 유아 매트리스 지지부의 높이를 연속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소의 체적을 점유하는 유아 매트리스 지지부의 높이를 연속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어지는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최하위 위치로부터 최상위 위치까지 임의의 원하는 높이로 조절될 수 있는 매트리스 지지부(이하, "연속적으로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를 제공하며, 이 매트리스 지지부는 대응하는 수직 변위 전용 피구동 구성요소에 수직력을 인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변위가능하고, 수직 변위 동안, 그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수단에 의해 안정화되며,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는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에 연결되거나,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를 지지하는 관계로 존재하고, 바닥 표면 위의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작동기에 의해 설정가능하며 연속적으로 조절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될 때, "매트리스 지지부"는 판 또는 매트리스 스프링 같은 단일 요소나 복수의 등거리 이격된 슬랫(slat) 같은 복수의 요소이며, 그 위에 매트리스가 지지된다. 안정된 형태로 그 수직 변위를 실행하기 위한 연계된 장치와 함께 본 발명의 연속적으로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가 유아용 침대에 제공될 때, 유아의 보호자는 종래 기술 침대에 관하여 현재까지 이루어져 오던 바와 같이 유아에게 접근하기 위해 침대의 난간 위로 허리를 굽힐 필요가 없으며, 그 이유는 유아에게 접근하기 이전에 매트리스 지지부가 쉽게 최상위 위치로 변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침대는 고정 단부와 측부 유닛을 가지며, 별도의 변경 테이블이 불필요하다.
피구동 구성요소는 그와 연계된 구동 유닛에 의해 단지 수직 방향으로만 변위될 수 있고 수평 또는 경사 방향으로 변위될 수 없기 때문에, 제조, 조립 및 정비에 많은 비용이 드는 연동부(linkage)가 불필요해진다.
용어 "~에 연결된"은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와 상기 안정화 수단이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피구동 구성요소는 대응 구동 유닛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 구동 유닛은 전기식, 유압식, 공압식 또는 수동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될 때, "안정화 수단"은 매트리스 지지부에 연결될 때 매트리스 지지부의 일 측부 상에 과도한 부하를 초래하는 토크를 흡수하기 위한 장치이다. 안정화 수단은 하나 이상의 수직 배향 레일 부분, 예로서, 삽통식(telescopingly)으로 연장가능한 레일 부분, 수직 배향 선형 베어링 및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과 일체힌 안정화 수단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태양에서, 선형 베어링은 침대 단부 유닛에 부착된 레일의 공용 트랙과 활주가능하게 결합된 두 개의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러너(runner)를 포함한다. 두 개의 러너의 사용은 매트리스의 일 단부에 유아가 서 있을 때 선형 베어링에 인가되는 토크를 상쇄시킨다.
일 태양에서, 러너에 연결된 부착판, 예를 들어, L-형 판도 매트리스 지지부에 연결된다. 부착판은 매트리스 지지부가 장착 및 연결되는 단일 프레임 요소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에서, 피구동 구성요소는 유아용 침대의 두 개의 단부 유닛 각각에 부착된 두 개의 가스 스프링 실린더 각각의 수직 배향 피스톤 로드이며, 부착판은 피스톤 로드 및 프레임 요소에 부착된다.
일 태양에서, 작동기는 두 개의 피스톤 로드를 동시에 변위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실시예에서, 피구동 구성요소는 매트리스 지지부 하측부에 수직력을 인가하기 위해 대응 실린더에 관하여 왕복운동하는 수직 배향 피스톤 로드이며, 상기 실린더는 유아용 침대의 단부 유닛에 부착되고 두 개의 안정화 수단 사이에 개재되며, 매트리스 지지부의 하측부으로부터 돌출하는 각진 요소의 수직 배향된 다리부는 대응 안정화 수단에 부착된다.
일 태양에서, 평형화 수단, 예를 들어, 스프링은 매트리스 지지부 하측부 및 추가적 안정화 수단에 부착된다.
제3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은 중공형 침대 다리부 기둥 내에 장착되며, 구동 유닛의 내부 삽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다리부 기둥의 표면을 따라 수직 배향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일 태양에서, 구동 유닛은 피스톤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 하우징에 관하여 왕복하는 수직 배향 피스톤과, 홈을 통해 상기 피스톤으로부터 연장하며 매트리스 지지부에 연결되거나 매트리스 지지부를 지지하는 관계인 수평 배치 크로스바아를 포함한다. 작동기는 피스톤의 최상위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변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고정 손잡이와, 크로스바아와 손잡이 사이에 개재되어 피스톤으로부터 연장하는 해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해제 부재는 손잡이를 향해 당겨질 때 피스톤의 수직 변위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 태양에서, 구동 유닛은 전기 작동식 모터와, 모터 하우징과, 수직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모터와 나사결합된 수직 배치 스크류 요소와, 스크류 요소와 나사 결합된 칼라 요소와, 홈을 통해 상기 칼라 요소로부터 연장하고 매트리스 지지부에 연결되거나 매트리스 지지부를 지지하는 관계인 수평 배치 크로스바아를 포함한다.
제4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은 바닥 표면에 배치된 평면형 베이스와, 매트리스 지지부의 하측부에 연결되거나 그를 지지하는 관계인 상부 평면형 접촉 부재를 갖는 삽통식 피스톤 유닛이다. 피스톤 유닛은 유압 작동식, 공압 작동식 또는 전기 작동식이다.
일 태양에서, 제1 수직 배향 다리부는 베이스에 연결되고 제2 수직 배향 다리부는 접촉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다리부는 예로서, 홈형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 다리부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용 침대 매트리스 지지부의 높이를 연속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a. 대응하는 수직 변위 전용 피구동 구성요소에 수직력을 인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으로서,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는 수평 매트리스 지지부에 연결되거나 수평 매트리스 지지부를 지지하는 관계인,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과,
b. 유아용 침대 측부 유닛 또는 단부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수단과,
c. 바닥 표면 위의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의 선택된 높이를 설정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작동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는 대응하는 수직 변위 전용 피구동 구성요소에 수직력을 인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과, 바닥 표면 위의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의 선택된 높이를 설정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작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는 수평 매트리스 지지부에 연결되거나, 수평 매트리스 지지부를 지지하는 관계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의 비의도적 작동에 따른 매트리스 지지부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로킹 장치를 더 포함한다.
로킹 장치는 구동 유닛 작동기와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는 수단과, 상기 결합 수단과 통신하는 분리 장치와, 상기 분리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분리 작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장치의 작동은 상기 결합 수단이 구동 유닛 작동기로부터 해제되게 한다.
도 1은 최상위 위치에 있는 크로스바아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매트리스 지지부의 높이를 연속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구동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크로스바아가 최하위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는 도 1의 구동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인접 다리부 기둥들 내에 장착되어 있는 도 1의 두 개의 구동 유닛을 도시하는, 그 측부 유닛들 중 하나가 제거되어 있는 유아용 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최상위 위치에서 그 매트리스 지지부를 도시하는 도 4의 유아용 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최하위 위치에서 그 매트리스 지지부를 도시하는 도 4의 유아용 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구동 유닛과 연계하여 사용되는 유압 작동식 피스톤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매트리스 지지부의 높이를 연속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피스톤 로드 및 선형 베어링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부착 판들을 도시하는 도 8의 장치 중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수직 배향 선형 베어링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장치와 연계하여 사용되는 프레임 요소 및 부착판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매트리스 지지부에 연결된 프레임 요소를 도시하는 도 8의 장치가 부착되는 유아용 침대 단부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대향 장착된 가스 스프링들 각각의 두 개의 피스톤 로드들을 동시에 변위시키기 위한 작동기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프레임 요소의 하측부에 부착된 도 1의 크로스바아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매트리스 지지부가 최상위 위치에 있는 상태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지지부 안정화 장치를 도시하는 유아용 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최하위 위치에 있는 매트리스 지지부를 도시하는 도 15의 유아용 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최하위 위치에 있는 매트리스 지지부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이 연결되는 유아용 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최상위 위치에 있는 매트리스 지지부를 도시하는 도 17의 구동 유닛이 연결된 유아용 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중간 위치의 매트리스 지지부를 도시하는 3개 스테이지형 케이싱에 의해 덮여진 도 17의 구동 유닛이 연결된 유아용 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수축된 위치에 있는 로킹 장치를 도시하는, 유아용 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연장된 위치에 있는 로킹 장치를 도시하는, 도 20의 유아용 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향 회전된 위치에 있는 로킹 장치를 도시하는, 도 20의 유아용 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매트리스 지지부가 상승된 위치에 있는 상태로 상향 회전된 위치에 있는 로킹 장치를 도시하는, 도 20의 유아용 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홈형 유닛과, 상향 회전된 위치에 있는 홈형 유닛과 결합된 아암의 정면도이다.
도 25는 홈형 유닛과, 연장된 위치에 있는 홈형 유닛과 결합된 아암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홈형 유닛과, 수축된 위치에 있는 홈형 유닛과 결합된 아암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아암이 일 각진 위치에서 홈형 유닛에 배치되는 방식을 도시하는 도 24의 확대도이다.
도 28은 소정 각도에서 아암을 고정하기 위한 추가 수단을 도시하는, 아암 단부와 홈형 유닛의 일부의 후면도를 예시한다.
도 29는 다른 각진 위치에서 아암이 홈형 유닛에 배치되는 방식을 도시하는, 홈형 유닛과 그에 결합된 아암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30은 도 25의 확대도이다.
도 31은 구동 유닛 작동기를 위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파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구동 유닛 작동기 프레임워크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구동 유닛 작동기 프레임워크 내에 형성된 홈 내에 삽입된 분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구동 유닛 작동기의 사시도이다.
도 35는 구동 유닛 작동기의 사시도이다.
도 36은 분리 장치 작동기 프레임워크의 사시도이다.
도 37은 두 개의 홈형 유닛들의 연결을 함께 도시하는, 매트리스 지지부 하측부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복수의 커튼 요소를 도시하는, 침대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유아의 중량을 상쇄하기 위해 레일 부분에 부착된 스프링을 도시하는 유아용 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39의 확대도이다.
도 41은 구동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2는 안정화 장치 및 로킹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유아용 침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바닥 표면 위의 임의의 원하는 높이 레벨에 설정될 수 있는 연속적으로 높이 조절가능한 유아용 매트리스 지지부이다. 매트리스 지지부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는 간단한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이 구동 유닛은 매트리스 지지부가 유사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압박하기 위한 대응하는 수직 변위 전용 피구동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대조적으로, 유아용 매트리스 지지부의 높이를 연속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종래 기술 장치는 피구동 구성요소에 응답하여 수직이 아닌 방향을 향해서도 변위되게 되는, 매트리스 지지부에 연결된 연동 수단을 수용하기 위해 수직이 아닌 방향으로도 변위되는 피구동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비교적 복잡한 기구를 포함하여 장치의 복잡성 및 비용이 증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매트리스 지지부의 높이를 연속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전체가 참조 번호 8로 표시된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구동 유닛(8)은 수직 배치 피스톤 하우징(16)과, 매트리스 지지부가 하강될 때 피스톤 하우징(16) 내에서 하방으로 변위되고 매트리스 지지부가 상승될 때 상방으로 변위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완전히 상승된 위치로 도시된 수직 배치 피스톤(15)과, 피스톤(15)으로부터 연장하는 수평 배치 크로스바아(18)와, 수평으로 배치되어 아래의 크로스바아(18)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는 피스톤(15)의 최상위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고정 손잡이(12)와, 피스톤(15)의 변위를 가능하게하기 위한 해제 부재(14)를 포함하며, 해제 부재(14)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피스톤(15)으로부터 연장하며, 크로스바아(18)와 손잡이(12)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크로스바아(18)는 외팔보 형태로 매트리스 지지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연결된 피스톤(15)과 마찬가지로 매트리스 지지부 및 매트리스와 그 위에 위치된 유아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적으로 충분히 강한 재료로 제조된다.
도 2는 최하위 위치에 있는 피스톤(15)을 예시한다. 해제 부재(14)가 손잡이(12)를 향해 상방으로 당겨질 때,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15)이 하강될 수 있다.
도 3은 인접한 다리부 기둥(2, 3) 각각 내에 장착된 두 개의 구동 유닛(8A, 8B)을 예시하기 위해 그 측부 유닛 중 하나가 명료성을 위해 제거된, 유아용 침대(6)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침대(6)는 두 개의 대향한 고정 측부 유닛들(11)과 두 개의 대향한 고정 단부 유닛들(1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다리부 기둥(2, 3)은 중공형이며, 수직 배향 홈(36), 예로서, 타원형 홈이 다리부 기둥(2, 3)의 대향 면들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대응 피스톤 하우징 및 피스톤의 내부 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대응 손잡이(12) 및 해제 부재(14)가 매트리스 지지부의 높이 조절 시 그를 따라 자유롭게 변위될 수 있게 한다. 대응 다리부 기둥의 내부로 삽입된 이후, 피스톤 하우징(16)은 다리부 기둥의 내부벽에 접촉한다. 홈(36)의 길이는 그 최상위 위치와 최하위 위치 사이에서의 매트리스 지지부의 높이의 최대 차이와 같거나, 그 보다 크다. 크로스바아(18)의 길이는 매트리스 지지부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침대(6)의 대응 단부 유닛(10)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고, 대응 단부 유닛이 포함되는 제2 다리부 기둥과 접촉하기 전에 종결된다. 구동 유닛(8A, 8B)을 각각 다리부 기둥(2, 3) 내에 장착함으로써, 안전성을 훼손시키지 않고 높이 조절 장치의 소형성이 최대화된다.
도 4는 최상위 위치에 있는 매트리스 지지부(5)를 도시한다. 대향 배치된 크로스바아(18) 쌍은 외팔보 형태로 매트리스 지지부(5)를 지지하고, 매트리스 지지부(5)는 매트리스(7)를 지지한다. 관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크로스바아(18)는 스크류(20)에 의해(도 1)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부착 수단에 의해 매트리스 지지부(5)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크로스바아(18)는 매트리스 지지부에 부착되지 않고 매트리스 지지부를 지지할 수 있다. 매트리스 지지부(5)를 지지하기 위해 1 내지 4개 중 임의의 수의 크로스바아(18)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두 개의 크로스바아가 사용될 때, 이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5)의 폭을 따라 연장하거나, 대안적으로, 그 길이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유사하게, 크로스바아를 수직 변위시키기 위해 1 내지 4개 중 임의의 수의 구동 유닛이 사용될 수 있다. 4개의 구동 유닛과 2개의 크로스바아가 사용될 때, 각 크로스바아는 두 개의 대향한 피스톤들에 연결된다.
도 5는 최하위 위치에 있는 두 개의 손잡이(12)와 매트리스 지지부(5)를 예시한다. 손잡이 및 해제 부재를 적절히 조작함으로써, 매트리스 지지부(5)의 높이는 최상위 위치와 최하위 위치 사이에서 임의의 원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동 유닛을 갖는 유아용 침대는 매트리스 지지부의 높이가 신속하고 간단히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별개의 변경 테이블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도 6은 유압 작동식 피스톤(15)의 작동을 도시하는 구동 유닛(8)의 수직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부재(14)는 피스톤(15)의 중공 내부를 가변 체적 챔버(22, 23)로 분할하는, 피스톤(15)에 관하여 변위될 수 있는 피스톤(15)의 내벽과 밀봉 결합하는 플런저 요소(27)를 구비한다. 수직 스템(29; stem)은 플런저 요소(27)로부터 수평 해제 부재(14)로 연장한다. 상부 스프링(24)은 챔버(22) 내에서 스템(29) 둘레에 장착되며, 하부 스프링(34)은 챔버(23) 내에 배치된다. 하부 스프링(34)은 피스톤 하우징(16)의 내부 내에서 저부면(37)으로부터 연장하는 기둥(36) 둘레에 장착된다. 챔버(23)와 연통하는 개구(26)가 피스톤(15)의 벽 내에 형성된다. 상부 스프링(24)은 이완 상태에 있을 때 개구(26)를 폐쇄하도록 피스톤(15)의 내부 내의 위치로 플런저 요소(27)를 압박하도록 편향된다.
매트리스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해제 부재(14)는 손잡이(12)를 향해 당겨지고, 그로 인해 플런저 요소(27)가 변위됨으로써 상부 스프링(24)이 수축되고 개구(26)가 노출된다. 따라서, 작동유는 챔버(23)로 유동하여, 손잡이(12)에 수동력(manual force)을 가할 시 피스톤(15)의 변위를 돕는다.
도 7은 전기 작동식 구동 유닛(38)을 도시한다. 구동 유닛(38)은 침대 다리부 기둥 내에 삽입 가능한 모터 하우징(44)과, 수직 변위 가능하도록 전기 작동식 모터와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수직 변위식 스크류 요소(40)와, 스크류 요소(40)를 둘러싸서 이와 결합 가능한 비회전성의 수직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칼라 요소(42)와, 칼라 요소(42)에 부착되어 칼라 요소(42)의 회전을 방지하는, 수직 변위 전용이며 수평으로 배치된 크로스바아(18)를 포함한다. 크로스바(18)에 연결되면, 매트리스 지지부는 연속적으로 높이 조절가능하게 된다.
스크류 요소(40) 또는 로드와 같은 수직 배향 요소는 스프링 배열체에 의해 수직으로 변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른 전기 작동식 구동 유닛이 도 41에 도시된다. 구동 유닛(238)은 고정 모터 하우징(244), 수직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전기 작동식 모터와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수직으로 배치된 스크류 요소(240)와, 스크류 유닛(240)을 둘러싸고 수직 홈(247)을 갖도록 형성된, 유아 침대의 일부(예컨대, 단부 유닛)에 고정되는 관형 슬리브 요소(246)와, 스크류 요소(240)와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홈(247)을 통해 연장하는 돌출 요소(248)와, 홈(247)을 따라 수직 변위 가능하도록 돌출 요소(248)에 부착되는 단일의 수직 변위 전용 판(249)을 포함한다. 판(249)에 연결되면, 매트리스 지지부는 연속적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된다.
도 8 내지 도 13은 매트리스 지지부가 2개의 공압 작동식 피스톤에 의해 수직으로 변위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유아 매트리스 지지부의 높이를 연속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유아 침대(55)와 결합된 장치(50)를 도시한다. 장치(50)는 종종 "가스 스프링"으로 지칭되는 실린더(56)와, 실린더(56) 위와 내부에서 수직으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로드(58)와,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피스톤 로드(58)에 커플링된 케이블(59)[예컨대, 보우덴 와이어(Bowden wire)]과, 매트리스 지지부가 수직으로 변위될 때 매트리스 지지부를 안정화하기 위한 선형 베어링(60)과, 피스톤 로드(58) 및 선형 베어링(60)이 연결된 수평 프레임 요소(65)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후술될 것이다. 가스 스프링(56)은 힘을 가하여 가스를 가변적으로 압축하기 위한 피스톤 및 실린더 내에 수용된 압축된 가스에 의해 피스톤 로드(58)를 수직으로 변위시킨다. 한 쌍의 가스 스프링(56) 및 선형 베어링(60)은 프레임 요소(65)의 대응 측면을 수직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침대(55)의 각 단부 유닛의 중심 부분(63)에 부착된다. 선형 베어링(60)은 침대(55)의 측면 유닛에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침대의 다른 임의의 선택된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9는 피스톤 로드(58) 및 선형 베어링(60)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L형 부착 판(61, 62)을 도시한다. 수직으로 배향된 긴 부분(67)은 피스톤 로드(58)에 연결되고, 프레임 요소에 연결되는 수평으로 배향된 짧은 다리부(69)에 의해 하부 단부에서 종료된다. 실린더(56) 위의 다리부(69)의 최대 높이는 매트리스 지지부의 최상위 높이를 설정하도록 선택되고, 매트리스 지지부의 최하위 높이는 바닥 표면(F) 위의 다리부(69)의 최하위 높이에 의해 설정된다. 부착부(62)의 수직 부분(71)은 선형 베어링(60)의 러너에 연결되고, 역시 프레임 요소에 연결되는 부착부의 수평 부분(73)은 수직 부분(71)의 상부 단부로부터 연장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베어링(60)은 수직 배향 레일(77)로서, 각 측면에 한 세트의 트랙(78)을 가지며 레일(77)에 천공된 복수의 개구 각각에 도입되는 부착 수단(64)(도 9)에 의해 침대의 중심 부분(63)에 고정되는 수직 배향 레일(77)과, 트랙(78)의 공통 세트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수직으로 이격된 러너(81, 82)와, 부착 요소(84)(예컨대, 볼트)에 의해 2개의 러너 각각에 연결되는 부착부(61)를 포함한다. 2개의 러너를 사용하여 매트리스의 일 단부에 유아가 섰을 때 선형 베어링에 가해지게 되는 토크를 상쇄한다. 선형 베어링의 구조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간결성을 위해 기술될 필요는 없다. 수직으로 이격된 각 러너들 사이의 수직 간격이 10㎝ 내지 15㎝인, 타이완에 소재한 아바 리니어 테크 코. 엘티디.(ABBA Linear Tech Co., LTD.)에서 제조된 BRH15A 러너 모델이 채용될 수 있다. 레일의 길이는 1.27 m일 수 있으며, 레일의 폭은 0.6 m일 수 있다.
도 11에서, 프레임 요소(65)는 수평 부착 부분(69, 73) 각각에 의해 피스톤 로드(58) 및 선형 베어링(60)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부착 부분은 프레임 요소(65)의 위 또는 아래에 연결될 수 있다. 대응하는 수평 부착 부분에 연결되는 브래킷 부분(76)이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프레임 요소(65)에 부착될 수도 있다. 선형 베어링을 채용했을 때, 본 출원인에 의해 수행된 시험에서 침대의 일 단부에 과도한 하중을 가하여 발생된 토크는 그것이 단일의 일체 유닛일 때만 프레임 요소에 의해 흡수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매트리스 지지부가 수직으로 변위되기 때문에, 안전하고 심미적인 방식으로 부착 부분 및 본 발명과 연관된 다른 장치를 덮는 커버(72)가 제공될 수 있다. 커버(72)는 플라스틱, 고무 또는 다른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사한 재료로 이루어진 다른 커버 요소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72)는 피스톤 로드(58) 및 선형 베어링(60)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다른 커버 요소의 내부에 주기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커버 요소가 커버(72)의 내부에 도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달리, 다른 커버 요소는 커버(72)와 접촉될 때 압축될 수 있다.
도 12에는, 브래킷 요소(91) 및 부착 수단(93)에 의해 프레임 요소(65)에 연결되는 매트리스 지지부(89)가 도시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대향 침대 단부 유닛에 연결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반대 측면 유닛에 연결되는 실린더(56A, 56B) 각각에 대한 2개의 피스톤 로드(58A, 58B)의 수직 변위는 공통 액추에이터(95)에 의해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방의 내부와 대면하는 침대 측면 유닛에 일반적으로 부착되는 액추에이터(95)는 예컨대, 반스바흐 이지리프트 게엠베하(Bansbach Easylift GmbH)(독일)에 의해 제조되는 이지터치 슬리터(Easytouch Slitter) 20 SP1과 같은 스플리터 장치(98)로 연장하는 케이블(97)에 연결되고, 상기 스플리터 장치는 케이블(97)에 의해 케이블(59A, 59B)에 동시에 전달되는 동작을 안내한다. 케이블(59A, 59B)은 피스톤 로드(58A, 58B)의 변위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밸브 기구(66A, 66B)에 각각 커플링된다. 스프링 편의식 버튼(99)이 피스톤 로드의 동작, 즉 피스톤 로드가 상하로 변위될 것인지 또는 피스톤 내에서 로킹될 것인지를 제어하기 위해 액추에이터(95)와 결합될 수 있다. 달리, 레버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다른 해제 부재가 2개의 가스 스프링을 동시에 해제하기 위해 액추에이터(95)와 결합될 수 있다. 반스바흐 이지리프트 게엠베하(독일)에 의해 제조된, 45㎝의 행정을 갖는 B1Bㆍ3ㆍ28/10 가스 스프링 모델이 채용될 수 있다.
수직으로 변위될 때 매트리스 지지부를 안정화하기 위한 선형 베어링이 도 1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상술된 실시예 중 하나와 함께 채용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아(18)는 선형 베어링(60) 및 프레임 요소(65) 모두에 연결된다.
도 15 및 도 16은 매트리스 지지부(105)의 밑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각진 요소(109)의 수직 배향 다리부(107)가 수직 배향 레일 부분(111)에 고정식으로 부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레일 부분(111)은 C형이며 립부(lip) 부근에 복수의 볼 베어링을 구비하여, 레일 부분(111)과 유사한 프로파일을 가지며 침대 단부 유닛(117)에 부착되는 기부 레일 부분(113)으로부터 삽통식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기부 레일 부분 내에 수축될 수 있다. 가스 스프링(56)은 각각의 침대 단부 유닛(117)에 부착되고 2개의 삽통식 레일 부분(111)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2개의 삽통식 레일 부분 각각은 대응하는 다리부(107)에 부착된다. 피스톤 로드(58)는 매트리스 지지부(105)의 밑면에 연결되어, 매트리스 지지부는 피스톤 로드의 동작,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승된 위치로의 동작 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된 위치로의 동작에 반응하여 수직으로 변위될 것이다.
도 39 및 도 40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삽통식으로 연장 가능한 하나 이상의 수직으로 변위되는 레일 부분(111A 내지 111C)으로부터 각각 연장하는 3개의 기부 레일 부분(113A 내지 113C) 및 가스 스프링(56)은 피스톤 로드(58)가 매트리스 지지부(105)의 밑면에 연결되도록 침대(250)의 각 단부 유닛(251)에 연결되다. 매트리스 지지부(105)의 밑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각진 요소(109)의 수직 배향 다리부(107)는 기부 레일 부분(113A 및 113C)의 대응하는 수직 배향 레일 부분(111)에 고정식으로 부착된다. 스프링(255)은 유아의 체중을 상쇄하여 가스 스프링(56)에 의해 가해지는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단부에서 매트리스 지지부 밑면(105)에 부착되고 타단부에서 레일 부분(111B)에 부착된다. 스프링(255)의 단부(256)는 유아의 체중이 증가되면 레일 부분(111B) 내의 다른 구역에 부착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대체 가능한 평행추가 스프링 대신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매트리스 지지부(5)가 삽통식 피스톤 유닛(121)에 의해 연속적으로 높이 조절 가능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유압식으로, 공압식으로 또는 전기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 피스톤 유닛(121)은 제1 수직 배향 다리부(123)가 연결되는 바닥 표면상에 배치되는 평면 기부(124)를 갖는다. 제2 수직 배향 다리부(129)가 연결되는 평면 접촉 부재(127)가 매트리스 지지부(5)의 밑면에 부착된다. 제2 다리부(129)는 홈형 연결부에 의해 제1 다리부(123)에 커플링된다. 달리, 제2 다리부(129)는 제1 다리부(123)에 고정식으로 커플링되고, 다리부들(123, 129)은 동시에 연장될 수 있다. 매트리스 지지부(5) 아래에서 중심에 위치되는 하나의 피스톤 유닛(121)이 채용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이 대응하는 측면 유닛(11)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2개의 피스톤 유닛이 채용될 수 있다. 도 17은 최하위 위치에 있는 매트리스 지지부(5)를 도시하고, 도 18은 최상위 위치에 있는 매트리스 지지부를 도시한다. 도 19는 도시된 바와 같은 최하위 위치와 최상위 위치 사이의 임의 높이에서 다리부(123, 129)가 적소에 로킹되기 위해, 피스톤 유닛에 대한 3개의 스테이지형 케이싱(131 내지 133)을 도시한다.
도 20 내지 도 37은 구동 유닛 액추에이터의 해제 부재의 비의도적 압박에 따른 매트리스 지지부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로킹 장치(14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수축 가능 핀(221)(도 33)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다른 해제 가능한 결합 수단은 정상상태에서 구동 유닛 액추에이터를 로킹하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결합 해제 장치가 작동될 때에만, 핀은 해제되고 구동 유닛의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장치(140)는 2개의 파지부들(144A, 144B) 사이에 개재되는 수평 배향 바아(143)를 포함한다. 파지부(144A)는 구동 유닛 액추에이터로부터 핀을 결합 해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파지부(144B)는 구동 유닛을 작동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바아(143)는 매트리스 지지부(154)가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측면 유닛(151)에 대해 수축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구동 유닛 액추에이터로부터 핀을 결합 해제하기 전에, 매트리스 지지부(154)는 수직으로 변위되는 것이 방지된다. 바아(143)는 호기심 많은 유아의 눈에 쉽게 띄지 않기 때문에, 핀 해제 액추에이터 또는 구동 유닛 액추에이터의 우연한 작동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도 21에서, 측면 유닛(151)에 대해 연장된 하강된 위치에 있는 바아(143)가 도시된다. 바아(143)는 화살표(149)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으로 파지부(144A, 144B)를 잡아당겨서 연장된 위치가 된다. 아암(147A, 147B) 각각은 파지부(144A, 144B)에 고정되고 상기 파지부로부터 내향 연장한다. 아암(147A, 147B)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이 파지부(144A, 144B)에 일체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22에서, 핀 해제 액추에이터 및 구동 유닛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간략화하기 위해 단부 유닛(151)의 최하위 위치로 만곡될 필요없이 상향 회전 위치에 있는 바아(143)가 도시된다. 아암(147A, 147B) 각각이 화살표(153)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파지부(144A, 144B)에 힘을 가함으로써 홈형 유닛(156A, 156B)에 대해 피봇될 때, 바아(143)는 상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바아(143)는 매트리스 지지부(154)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변위될 때 상향 회전 위치에 유지된다. 필요에 따라, 바아(143)는 하향 회전 위치에 고정될 수도 있다.
홈형 유닛(156)의 예시적 구성이 도 24 내지 도 30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홈형 유닛(156)은 사실상 사각형이며, 평면 상부 에지(162), 하부 에지(172), 및 에지들(162, 172)에 사실상 수직한 외부 에지(157)를 갖는다. 홈형 유닛(156)은 관통 구멍 가변형 안내 홈(158)을 갖도록 형성된다. 안내 홈(158)은 상부 에지(160) 및 상부 에지(160)에 평행한 하부 에지(161)에 의해 형성되는 긴 중심 부분(159)과, 중심 부분의 상부 에지(160)와 일치하는 상부 에지(165), 중심 부분의 하부 에지(161) 위에 위치되는 하부 에지(166) 및 상부 에지(165)로부터 하부 에지(166)로 연장하는 말단 아치형 에지(167)를 갖는, 홈형 유닛(156)의 배향에 따라 침대 측면 또는 단부 유닛의 방향으로부터 멀리 위치되는, 내부 부분(163)을 갖는다. 안내 홈(158)의 외부 부분(168)은 C형이며 중심 부분의 상부 에지(160)와 연속적인 상부 에지(169)를 갖는다. 중심 부분의 하부 에지(161)는 외부 부분(168)의 사이 공간을 수축시키는 돌기부(164)로 종료된다. 외부 부분(168)의 하부 에지(171)는 돌기부(164)에 인접하게 돌연 하향 연장하는 오목 에지(173)를 갖는다.
아암(147)은 단부(153)에서 안내 홈(158)의 에지와 결합하는 원형 돌출부(176, 177)를 구비한다. 아암(147)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회전될 때, 더 큰 돌출부(176)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 에지(173) 내에 착좌될 수 있어, 홈형 유닛(156)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아암(147)을 고정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형 유닛(156)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아암 단부(153)의 주연부에 형성된 오목 부분(155)은 소정의 각도로 아암(147)을 고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수단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돌출부(176)는 아암(147)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외부 부분(168)의 돌기부(164) 및 상부 에지(169)와 결합될 때 아암(147)에 대한 굴대로 작용할 수 있다. 아암(147)이 회전됨에 따라, 돌출부(177)는 홈 외부 부분(168) 내에서 활주한다. 아암(147)이 도 25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176)는 상부 에지(160)의 중심 부분과 결합한다. 내향으로 지향된 힘(181)을 가할 때, 돌출부(176)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부분(163) 내에 착좌될 때까지 중심 부분(159) 내에서 변위되고, 동시에 파지부(144)는 홈형 유닛(156)의 외부 에지(157)와 접촉한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형 유닛(156A, 156B)의 상부 에지(162)(도 24)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하강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 매트리스 지지부(135)의 밑면에 부착된다. 홈형 유닛의 외부 에지(157)는 매트리스 지지부(135)의 외부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다.
도 31에는, 링 요소(147)에 의해 바아(143)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아암(147B)이 도시되고, 여기서 파지부(144B)는 아래에 위치된 구동 유닛 액추에이터 프레임워크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 유닛 잠금 핀을 결합 해제하기 위한 케이블이 연장하는 종방향 홈(181)이 바아(143)의 주연부 내에 형성된다.
예시적 구동 유닛 액추에이터 프레임워크(185)가 도 32 내지 도 35에 도시된다. 프레임워크(185)는 평면 상부 표면(201), 저부 표면(203), 외부 단부 표면(207) 및 내부 단부 표면(208)을 갖는다. 각각이 표면(201)과 표면(203) 사이에서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둥글게 된 측표면(204, 205)에서, 종방향 홈(187, 208)이 각각 형성된다. 원형 단부 캡(191)이 외부 단부 표면(207) 상에 스냅 결합된다. 바아(143)의 개구(146)와 정합하기 위한 개구(209)가 내부 단부 표면(208)에 인접한 상부 표면(201)에 천공된다. 측표면(204) 내의 외부 단부 표면(207)에 인접하여, 예컨대 버튼과 같은 구동 유닛 액추에이터(190)가 장착되는 리세스(189)가 형성된다. 결합 해제 장치에 작동을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197)이 리세스(189)로부터 연장하고 프레임워크(185)의 주연부 내에 제공되는 종방향 홈(187) 내에 배치된다. 액추에이터(190)의 후방 측면(192)에 착좌되는 다른 리세스(193)는 측표면(205) 내에 형성된다. 구동 유닛에 동작을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209)은 리세스(193)로부터 종방향 홈(208) 내에서 연장한다.
예시적 핀 해제 액추에이터 프레임워크(195)가 도 36에 도시된다. 핀 해제 액추에이터 프레임워크(195)는 구동 유닛 액추에이터 프레임워크와 유사하게 구성되며, 평면 상부 표면, 저부 표면, 외부 단부 표면 및 내부 단부 표면과 둥글게 된 측표면을 갖는다. 리세스(194)가 핀 해제 액추에이터 프레임워크(195)의 측표면(204) 내에 형성되고, 예컨대, 스크류와 같은 파지부(144A)(도 21)를 프레임워크(195)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213)가 리세스(194) 내에 고정식으로 장착된다. 케이블 안내부(216)는 리세스(189)에 인접한 프레임워크(195)의 측표면(204) 내에 형성되고, 커넥터(213)에 부착되는 케이블(217)은 케이블 안내부(216)를 통해 급송되고 결합 해제 케이블(197)과 결합된다. 따라서, 프레임워크(195)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파지부(144A)가 회전될 때, 결합 해제 케이블(197)은 외부 단부 표면(207)을 향해 가압된다.
횡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멈춤부(195)일 수 있는 결합 해제 장치가 도 33에 도시된다. 멈춤부(195)의 두께는 홈(187) 내의 공동의 수직 치수와 사실상 동일하다. 종방향으로 배향된 개구가 멈춤부(195) 내에 천공되고, 결합 해제 케이블(197)로부터 연장하는 2차 케이블(219)은 상기 개구를 통해 멈춤부(195)를 통과하여 구동 유닛 액추에이터를 로킹하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핀(221)과 연결된다. 파지부(144A)(도 21)의 회전시, 멈춤부(195)는 핀 해제 액추에이터 프레임워크(195)(도 36)를 향해 횡방향으로 변위되고 핀(221)은 구동 유닛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허용하도록 구동 유닛 액추에이터 조립체로부터 해제된다. 파지부(144B)의 회전에 따라 구동 유닛 액추에이터(190)(도 34)가 눌려지면, 동작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도 35에 도시된 케이블(209)에 의해 구동 유닛에 전달된다. 달리, 구동 유닛 액추에이터는 예컨대, 버튼을 누름으로써 파지부(144B)를 회전할 필요없이 작동될 수 있다.
도 38은 각 레일 부분 또는 매트리스(263) 상에 위치되는 유아를 추가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침대와 결합되는 임의의 다른 장치를 덮는데 사용되는 커튼 요소(262)를 도시한다. 예컨데, 사각형 프로파일의 복수의 수평으로 변위되는 크로스 부재(264)가 각 침대 단부 유닛(269)의 2개의 대향 기둥(267) 내에 형성되는 수직 트랙 내에서 활주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기둥(267)은 충분히 두꺼워서 크로스 부재(264)와 결합하는 트랙이 내측 부분에 제공되는 반면에, 커튼 요소에 의해 덮이는 레일은 외측 부분에 제공된다. 상부 커튼 부분(262A)이 제1 크로스 부재(264)의 저부 표면에 부착되고 하부 커튼 부분(262B)이 제1 크로스 부재 바로 아래의 제2 크로스 부재의 상부 표면에 부착된다. 매트리스 지지부가 하위 위치에 위치되면, 인접한 크로스 부재들(264)은 분리되고 커튼 요소(262)는 각 레일 부분을 덮을 수 있다. 매트리스 지지부가 상승된 위치에 위치되면, 매트리스 지지부에 연결될 수 있는 수직 배향 판(261)은 최하위 크로스 부재(264)와 접촉하고 이에 부착된 커튼 요소(262)를 가압하여 압축시킨다.
로킹 장치의 다른 요소가 도 42에 도시된다. 침대(293)는 구동 유닛 액추에이터(295)로부터 분리되는 핀 해제 액추에이터(290)를 포함한다. 핀 해제 액추에이터(290) 및 구동 유닛 액추에이터(295)는 대응하는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개시시키는 피봇 단부(296, 297)를 각각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핀(311)은 정상상태에서 매트리스 지지부(309)를 침대(293)의 단부 유닛(291)과 결합시켜서, 구동 유닛의 비의도적 작동에 따른 매트리스 지지부(309)의 수직 변위를 방지한다. 핀 해제 액추에이터(290)의 피봇 단부(296)가 회전되면, 핀(311)은 단부 유닛(291)으로부터 결합 해제되어, 구동 유닛 액추에이터(295)의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단부 유닛(291)은 일체식 구동 유닛 및 레일을 갖는다. 수직 배향 레일(306, 307) 및 레일들(306, 307) 사이에 개재되는 구동 유닛(303)은 V형 브래킷(301)에 부착되어, 각 레일은 대응하는 다리부에 부착되고 구동 유닛은 브래킷의 중심선에 부착된다. 레일(306, 307)은 삽통식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예시로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의 범주 내에 있는 많은 변형, 변경 및 조작에 의해 그리고 많은 등가물 도는 대안적 해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Claims (24)

  1. 연속적으로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이며,
    대응하는 수직 변위 전용 피구동 구성요소에 수직력을 인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변위가능하고, 수직 변위 동안, 매트리스 지지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수단에 의해 안정화되며,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는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에 연결되거나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를 지지하는 관계로 존재하고,
    바닥 표면 위의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작동기에 의해 설정 및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
  2. 제1항에 있어서, 안정화 수단은 수직 배향 선형 베어링인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
  3. 제1항에 있어서, 안정화 수단은 하나 이상의 수직 배향 레일 부분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
  4. 제3항에 있어서, 매트리스 지지부에 연결된 레일 부분은 삽통식으로 연장가능한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
  5. 제1항에 있어서, 안정화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과 일체인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
  6. 제2항에 있어서, 안정화 수단은 두 개의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러너를 포함하고, 두 개의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러너는 침대 단부 유닛에 부착된 레일의 공용 트랙들과 활주식으로 결합되는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
  7. 제6항에 있어서, 러너에 연결된 제1 부착판은 매트리스 지지부에도 연결되는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
  8. 제7항에 있어서, 제1 부착판은 L-형상인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부착판은 매트리스 지지부가 장착 및 연결되는 단일 프레임 요소에 연결되는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
  10. 제9항에 있어서, 피구동 구성요소는 유아용 침대의 두 개의 단부 유닛 각각에 부착된 두 개의 실린더 각각의 수직 배향 피스톤 로드이며, 제2 부착판은 피스톤 로드와 프레임 요소에 부착되는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
  11.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구동 구성요소는 매트리스 지지부 하측부에 수직력을 인가하기 위해 대응 실린더에 관하여 왕복하는 수직 배향 피스톤 로드이고, 상기 실린더는 유아용 침대의 단부 유닛에 부착되고 두 개의 안정화 수단 사이에 개재되며, 매트리스 지지부의 하측부로부터 돌출하는 각진 요소의 수직 배향 다리부는 대응 안정화 수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두 개의 피스톤 로드를 동시에 변위시키도록 구성되는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
  13.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유닛은 중공인 침대 다리부 기둥 내에 장착되고, 수직 배향 홈은 구동 유닛의 내부 삽입을 허용하도록 다리부 기둥의 표면을 따라 형성되는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
  14. 제13항에 있어서, 구동 유닛은 피스톤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 하우징에 관하여 왕복하는 수직 배향 피스톤과, 홈을 통해 상기 피스톤으로부터 연장하면서 매트리스 지지부에 연결되거나 매트리스 지지부를 지지하는 관계인 수평 배향 크로스바아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
  15. 제14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피스톤의 최상위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변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고정 손잡이와, 손잡이와 크로스바아 사이에 개재되어 피스톤으로부터 연장하는 해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 부재는 손잡이를 향해 당길 때 피스톤의 수직 변위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
  16. 제13항에 있어서, 구동 유닛은 전기 작동식 모터와, 모터 하우징과, 수직 변위가능하도록 모터와 나사 결합된 수직 배치 스크류 요소와, 스크류 요소와 나사 결합된 칼라 요소와, 매트리스 지지부에 연결되어 홈을 통해 상기 칼라 요소로부터 연장하는 수평 배치 크로스바아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
  17.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유닛은 삽통식 피스톤 유닛이고, 삽통식 피스톤 유닛은 바닥 표면 상에 배치된 평면형 베이스와, 매트리스 지지부의 하측부에 연결되거나 매트리스 지지부의 하측부를 지지하는 관계인 상부 평면형 접촉 부재를 구비하는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 수직 배향 다리부는 베이스에 연결되고 제2 수직 배향 다리부는 접촉 부재에 연결되며, 제2 다리부는 상기 제1 다리부에 결합되는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유닛 각각은 전기 작동식, 유압 작동식, 공압 작동식 또는 수동 작동식인
    높이 조절가능한 매트리스 지지부.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안정화 수단, 피구동 구성요소 및 구동 유닛과, 고정 단부 및 측부 유닛을 포함하는
    유아용 침대.
  21. 제2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의 비의도적 작동에 따른 매트리스 지지부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로킹 장치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침대.
  22. 제21항에 있어서, 로킹 장치는 구동 유닛 작동기와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는 수단과, 상기 결합 수단과 통신하는 분리 장치와, 상기 분리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분리 작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장치의 작동은 상기 결합 수단이 구동 유닛 작동기로부터 해제되게 하는
    유아용 침대.
  23. 유아용 침대 매트리스 지지부의 높이를 연속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며,
    a. 대응하는 수직 변위 전용 피구동 구성요소에 수직력을 인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으로서, 상기 피구동 구성요소는 수평 매트리스 지지부에 연결되거나 수평 매트리스 지지부를 지지하는 관계로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과,
    b. 유아용 침대 측부 유닛이나 단부 유닛과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수단과,
    c. 바닥 표면 위의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의 선택된 높이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작동기를 포함하는
    유아용 침대 매트리스 지지부의 높이를 연속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의 비의도적 작동에 따른 매트리스 지지부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로킹 장치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침대 매트리스 지지부의 높이를 연속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장치.


KR1020107006023A 2007-08-20 2008-08-19 연속적으로 높이 조절가능한 유아 매트리스 지지부 및 그 장치 KR201000846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5671507P 2007-08-20 2007-08-20
US60/956,715 2007-08-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616A true KR20100084616A (ko) 2010-07-27

Family

ID=40378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023A KR20100084616A (ko) 2007-08-20 2008-08-19 연속적으로 높이 조절가능한 유아 매트리스 지지부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8484774B2 (ko)
EP (1) EP2185039B1 (ko)
JP (1) JP5444223B2 (ko)
KR (1) KR20100084616A (ko)
CN (1) CN101835411B (ko)
AU (1) AU2008290212A1 (ko)
BR (1) BRPI0815722A2 (ko)
CA (1) CA2696964A1 (ko)
MX (1) MX2010002017A (ko)
RU (1) RU2505261C2 (ko)
WO (1) WO2009024972A2 (ko)
ZA (1) ZA2010019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4972A2 (en) * 2007-08-20 2009-02-26 Srour, Mark A continuously height adjustable baby mattress support and apparatus therefor
US7827631B2 (en) * 2007-09-18 2010-11-09 Holman Kathleen Elizabeth Crib mattress elevation system and control unit
US8479328B2 (en) 2007-09-26 2013-07-09 Mark Srour Adjustable bracket for a crib mattress
US8424135B2 (en) * 2010-05-10 2013-04-23 Drive Medical Design & Mfg Universal bed system
CN102018395B (zh) * 2010-11-29 2013-08-0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床
US20120186375A1 (en) * 2011-01-20 2012-07-26 Summer Infant (Usa), Inc. Manual Height Adjustable Assembly For A Crib
US8640280B2 (en) * 2011-05-23 2014-02-04 Inicia Ip Holdings, Llc Crib with adjustable height mattress
NO334794B1 (no) * 2011-07-08 2014-05-26 Anna Elisabet Flåum Flerbruksmøbel for barn
CN102630575A (zh) * 2012-04-28 2012-08-15 苏州新区枫桥净化设备厂 带调节底座的新型宠物笼
CN102695099A (zh) * 2012-05-21 2012-09-26 苏州辛瑞拉光电科技有限公司 高度可调的交换机
CN104886983A (zh) * 2014-03-04 2015-09-09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床
CN106464844A (zh) * 2014-04-08 2017-02-22 琼和欧文·雅各布斯以色列理工学院-康奈尔研究所 用于配置婴儿监控器摄像机以提供用于分析的统一数据集的系统和方法
US11297284B2 (en) * 2014-04-08 2022-04-05 Udisense Inc. Monitoring camera and mount
US10708550B2 (en) * 2014-04-08 2020-07-07 Udisense Inc. Monitoring camera and mount
CN105559431B (zh) * 2014-10-15 2018-09-25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车架高度调整机构及车架
KR101581722B1 (ko) * 2014-12-17 2016-01-04 유성열 구들장 온풍 및 온열 안마용 매트리스 침대
US10383455B2 (en) 2015-03-30 2019-08-20 Kids Ii, Inc. Depth-adjustable bassinet
US10477981B2 (en) 2015-04-25 2019-11-19 Kids2, Inc. Depth-adjustable fabric enclosure
RU2608294C1 (ru) * 2015-09-09 2017-01-1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Вектор" Комплект деталей для сборки качающейся кроватки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удлинения и кроватка, изготовленная из этого комплекта
GB201607825D0 (en) * 2016-05-04 2016-06-15 King Com Ltd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USD854074S1 (en) 2016-05-10 2019-07-16 Udisense Inc. Wall-assisted floor-mount for a monitoring camera
CN105902044A (zh) * 2016-05-20 2016-08-31 南通富之岛寝具发展有限公司 一种方便照顾婴儿的床垫
CN105815965B (zh) * 2016-05-24 2018-12-11 利幼实业有限公司 一种可用于实时防护儿童爬出的装置
CN106175283A (zh) * 2016-07-04 2016-12-07 宁波八瓦孵化器管理有限公司 一种改进型展示柜
CN106562609A (zh) * 2016-10-26 2017-04-19 苏州逗乐儿童用品有限公司 可上下分体婴儿床
USD855684S1 (en) 2017-08-06 2019-08-06 Udisense Inc. Wall mount for a monitoring camera
US11103089B2 (en) 2017-08-15 2021-08-31 Wonderland Switzerland Ag Bassinet
BR112020005002A2 (pt) * 2017-09-14 2020-09-15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berço
CN111372516A (zh) 2017-11-22 2020-07-03 乌迪森斯公司 呼吸监控器
USD900428S1 (en) 2019-01-28 2020-11-03 Udisense Inc. Swaddle band
USD900431S1 (en) 2019-01-28 2020-11-03 Udisense Inc. Swaddle blanket with decorative pattern
USD900429S1 (en) 2019-01-28 2020-11-03 Udisense Inc. Swaddle band with decorative pattern
USD900430S1 (en) 2019-01-28 2020-11-03 Udisense Inc. Swaddle blanket
CN110507117A (zh) * 2019-08-29 2019-11-29 佛山诺贝依科技有限责任公司 婴儿床
SE2000122A1 (sv) * 2020-07-15 2021-09-14 Cecilia Larsson Höj- och sänkbar barnsäng anordnad med spärrbar vaggfunktion
GB2620360A (en) * 2022-05-11 2024-01-10 Byrne Kate Adjustable co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5160A (en) 1946-07-11 1951-05-29 Schwarz Robert Infant's crib
US2652574A (en) * 1947-06-24 1953-09-22 John A Toomey Combination child's crib and dressing table
US2599296A (en) 1948-05-26 1952-06-03 John A Toomey Utility height adjustable crib
US2504324A (en) * 1948-08-27 1950-04-18 Sylvia B Goldstein Crib with mattress frame and side panels simultaneously movable in opposite vertical directions
US2650371A (en) * 1950-09-29 1953-09-01 Joseph S Showalter Adjustable support
US3032154A (en) * 1959-08-14 1962-05-01 Mac Man Sales Co Mattress frame suspension and control mechanism for baby cribs
US4285079A (en) 1979-06-18 1981-08-25 Hillman Ernest C Apparatus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mattress of a crib
US4768242A (en) * 1986-11-10 1988-09-06 Loturco Raymond A Bed assembly
JPS63117341U (ko) * 1987-01-23 1988-07-29
ES2051337T3 (es) * 1989-09-20 1994-06-16 Gerhart W Vilsmeier Cama colgada.
CH680728A5 (ko) * 1990-04-18 1992-10-30 Manfred Kronshagen
US5063624A (en) * 1990-05-08 1991-11-12 Stryker Corporation Manual/electric twin jack bed
IT1238733B (it) 1990-05-14 1993-09-01 Grazia Canciullo Letto per bambini con struttura in legno, ringhiere fisse e piano-rete mobile manualmente con sistema di pistoni a gas per guida e contrappeso, utilizzabile come fasciatoio
RU2041413C1 (ru) * 1991-07-05 1995-08-09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транспорта энергоресурсов "ИПТЭР"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в траншее участка трубопровода при его ремонте
FR2696728B1 (fr) * 1992-10-13 1994-12-30 Philippe Chabrier Plate-forme à déplacement vertical.
CN2158212Y (zh) * 1993-03-16 1994-03-09 林柏青 悬挂式活动卧床
DE4408034C1 (de) 1994-03-10 1995-07-13 Bruker Franzen Analytik Gmbh Verfahren zur massenspektrometrischen Analyse von Proben aus 2D-Gel-Elektrophoreseplatten mit matrixunterstützter ionisierender Laser-Desorption
US5747745A (en) * 1995-07-26 1998-05-05 Tedea-Huntleigh Intl. Ltd. Weighting device for bedridden patients
DE19622937A1 (de) 1996-06-07 1997-12-11 Erwin Wedemeyer Kinderbett mit verstellbarem Bettboden
US6352240B1 (en) 1999-05-13 2002-03-05 Hill-Rom Services, Inc. Hydraulic control apparatus for a hospital bed
JP2001197962A (ja) * 2000-01-19 2001-07-24 Yoshinobu Kitada 寝台を水平に昇降させる油圧装置
JP3979927B2 (ja) * 2002-03-28 2007-09-19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装置
US6629322B1 (en) * 2002-05-03 2003-10-07 Skyline Corporation Manual assisted vertical lift bed
JP2004089682A (ja) * 2002-07-10 2004-03-25 Wippaazu:Kk 組替式家具
US6779210B1 (en) * 2003-03-18 2004-08-24 Hugh Kelly Elevating bed
JP4013803B2 (ja) * 2003-03-25 2007-11-28 松下電工株式会社 昇降機構を備えたベッド
GB2422303A (en) 2005-01-20 2006-07-26 Alexander Omoghene Sakpoba Cot with height-adjustable mattress base
DE202005008326U1 (de) * 2005-05-24 2005-10-06 OKIN Gesellschaft für Antriebstechnik mbH Hubbett
GB2429400B (en) 2005-06-03 2010-03-17 Technik2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aby care
DE202006015576U1 (de) * 2006-10-11 2006-12-07 Kayserbetten Gmbh & Co. Kg Kinderbett
JP3130840U (ja) * 2007-01-29 2007-04-12 余▲イン▼諄 超低式電動健康べッド
WO2009024972A2 (en) * 2007-08-20 2009-02-26 Srour, Mark A continuously height adjustable baby mattress support and apparatus therefor
US7827631B2 (en) * 2007-09-18 2010-11-09 Holman Kathleen Elizabeth Crib mattress elevation system and control unit
US8646126B2 (en) * 2008-11-11 2014-02-11 Starwove Pty Ltd Infant b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05261C2 (ru) 2014-01-27
CN101835411A (zh) 2010-09-15
US8484774B2 (en) 2013-07-16
US9138069B2 (en) 2015-09-22
AU2008290212A1 (en) 2009-02-26
MX2010002017A (es) 2010-09-10
BRPI0815722A2 (pt) 2016-04-05
WO2009024972A3 (en) 2010-03-04
ZA201001969B (en) 2011-09-28
WO2009024972A2 (en) 2009-02-26
US20100162482A1 (en) 2010-07-01
EP2185039A4 (en) 2013-12-04
CA2696964A1 (en) 2009-02-26
EP2185039B1 (en) 2019-09-25
JP5444223B2 (ja) 2014-03-19
JP2010536464A (ja) 2010-12-02
CN101835411B (zh) 2014-04-16
RU2010110621A (ru) 2011-09-27
US20140007342A1 (en) 2014-01-09
EP2185039A2 (en)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4616A (ko) 연속적으로 높이 조절가능한 유아 매트리스 지지부 및 그 장치
DK2873344T3 (en) Furniture with height adjustable legs
RU2464003C2 (ru) Подъемная стойка для процедурных столов, медицинских и реабилитационных кроватей
US9192535B2 (en) Patient lateral re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CA1036754A (en) Bed having a movable mattress supporting platform
TW202119983A (zh) 扶手調整機構以及其嬰兒床
US7350249B2 (en) Leg rest and kneeler assembly for a medical examination table
KR20090037686A (ko)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링거병 거치대
CN112206477A (zh) 一种下肢康复理疗设备
US3230553A (en) Bed construction
WO2008108638A1 (en) Support for a bed
CN210872662U (zh) 一种婴儿箱升降系统及婴儿培养装置
KR101510817B1 (ko) 조립식 저상화 전동침대
EP3403637A1 (en) Hospital bed
CN219847141U (zh) 一种轮椅升降扶手
KR200481575Y1 (ko) 전동수동겸용 병원침대 전동전환장치
JP6445564B2 (ja) 車いすの取外し可能な結合バー
CN220778658U (zh) 一种可调节的上下肢康复训练装置
CN220046991U (zh) 一种体育锻炼用拉筋器
CN213788292U (zh) 可升降移位器
CN215385698U (zh) 一种助行器的升降结构
JP2016529073A5 (ko)
KR200341497Y1 (ko) 운동용 로우프 행거
CN113274697A (zh) 智能踏步训练设备
GB2538250A (en) Community care be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