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119A - 탈모 장치의 헤드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탈모 장치의 헤드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119A
KR20100084119A KR1020100000752A KR20100000752A KR20100084119A KR 20100084119 A KR20100084119 A KR 20100084119A KR 1020100000752 A KR1020100000752 A KR 1020100000752A KR 20100000752 A KR20100000752 A KR 20100000752A KR 20100084119 A KR20100084119 A KR 20100084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washing liquid
washing
prevention unit
overflow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케 소네
후미오 타니구치
야스히데 마츠오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84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7/00Shaving accessories
    • A45D27/4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shavers or razors

Landscapes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탈모 장치의 헤드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 장치는 넘침 방지 유닛으로부터 세척액 탱크로의 관 배치의 설계 자유를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넘침 방지 유닛의 하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상기 세척 장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전기면도기(2)의 헤드부(21)를 수용하는 트레이(4) 및 상기 트레이(4)에 있는 세척액의 수위를 미리 설정된 수위로 유지시키는 넘침 방지 유닛(6)이 구획벽(44)을 매개로 상기 세척 장치(1)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바닥면(63)은 상기 세척 장치(1)의 가로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그 배출구(62)는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최심부(deepest portion)에 가로 방향으로 측벽에 마련된다.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배출구(62)로부터 세척액을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출 통로(12)(튜브(64))가 상기 트레이(4)의 측벽(45a)을 따라 배치된다.

Description

탈모 장치의 헤드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WASHING APPARATUS FOR WASHING A HEAD PORTION OF A DEPIL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면도기와 같은 탈모 장치의 헤드부(head portion)를 세척하는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면도기와 같은 탈모 장치의 헤드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는 상기 전기면도기 등의 헤드부를 수용하는 트레이(tray)를 포함하며, 펌프를 통해 세척액을 상기 트레이와 세척액 탱크 사이에 순환시켜 상기 헤드부를 세척한다. 상기 헤드부를 세척하는 동안, 상기 펌프는 공급 통로를 통해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트레이로 세척액을 공급하고, 배출 통로를 통해 상기 트레이로부터 사용한 세척액을 회수한다.
일본특허 제6352393호에 개시된 종래의 세척 장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마련된 세척액 탱크 및 상기 트레이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트레이를 넘쳐 흐르는 세척액을 상기 탱크로 회수하는 넘침 방지 유닛(overflow prevention unit)을 포함한다. 세척액이 배출되는 배출관이 상기 트레이의 바닥부에 마련되며, 상기 전기면도기의 헤드부를 세척하는 동안에 상기 배출관은 닫힌다. 한편, 상기 세척액은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트레이로 계속 공급되어, 상기 트레이의 측벽을 넘쳐 흐르는 세척액은 상기 넘침 방지 유닛을 통해 상기 탱크로 회수된다. 상기 세척액 탱크가 상기 트레이 및 넘침 방지 유닛의 바로 아래에 마련되는 경우, 상기 세척 장치의 구성은 단순해 지지만, 상기 트레이, 넘침 방지 유닛 및 세척액 탱크의 상대적인 위치들 사이의 관계가 제한되기 때문에, 설계상의 자유가 작아진다. 또한, 수염 조각들(beard chips)을 포함하는 더러운 세척액이 곧바로 상기 세척액 탱크로 유입되어 세척액의 오염이 심각해질 수 있다. 또한, 세척액의 오염을 막기 위해, 상기 트레이의 바닥부에 마련된 배출관과 상기 넘침 방지 유닛 및 상기 세척액 탱크 사이에 필터를 설치하는 것은 상기 세척 장치의 거대화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세척액 탱크가 상기 트레이 및 넘침 방지 유닛의 바로 아래가 아닌 다른 위치에 마련되는 경우, 상기 트레이 및 넘침 방지 유닛의 바닥부에 마련된 배출관을 배관으로 연결시켜야 하며, 굴절된 배관을 통해 그 연결부와 상기 세척액 탱크를 연결시켜야 하기 때문에, 상기 배관의 저항으로 인하여 세척액의 유동성이 악화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의 힘의 커져야 하는데, 이는 전체 장치의 거대화 및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넘침 방지 유닛으로부터 세척액 탱크로의 관 배치의 설계 자유를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넘침 방지 유닛의 하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장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는 탈모 장치의 헤드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탈모 장치의 헤드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는 세척액을 수용하기 위한 세척액 탱크; 세척액이 상기 세척액 탱크로부터 상기 트레이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 통로(supplying path); 상기 트레이의 배출 구멍(exhausting spout)으로부터 세척액을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출 통로(exhausting path); 상기 트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트레이에 있는 세척액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로 유지되도록 하는 넘침 방지 유닛(overflow prevention unit); 상기 넘침 방지 유닛으로 유입되는 세척액을 상기 넘침 방지 유닛의 배출구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출 통로; 및 상기 공급 통로를 통해 상기 세척액 탱크에 있는 세척액을 상기 트레이로 공급하고, 사용된 세척액을 상기 제1 및 제2 배출 통로를 통해 상기 세척액 탱크로 회수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넘침 방지 유닛의 배출구는 세척 장치의 가로 방향으로 측벽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배출 통로는 상기 트레이의 측벽을 따라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1)에 따르면, 넘침 방지 유닛(6)의 배출구(62)가 상기 세척 장치(1)의 가로 방향으로 측벽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배출구(62)와 필터 카트리지(8)를 연결하는 제2 배출 통로(12)(튜브(64))가 트레이(4)의 측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하부에 어떠한 관도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세척 장치(1)의 구조에 있어서의 설계상의 자유가 향상되며, 펌프(7) 등이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하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어, 상기 세척 장치(1)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바닥면(63)이 미리 설정된 아래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62)가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최심부(deepest portion)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으로 유입되는 세척액이 중력에 의해 상기 바닥면(63)의 경사를 따라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또한,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배출구(62)에 연결된 잘 휘어지는 수지 튜브(64)가 상기 배출구(62)로부터 상기 트레이(4)의 하부를 향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휘어지게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튜브(64)로 유입되는 세척액이 상기 튜브(64) 속에 고이는 일 없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세척액은 중력에 의해 가속되어 상기 필터 카트리지(8)로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이후 세척액을 상기 필터 카트리지(8)로부터 탱크(5)로 배출하기 위한 상기 펌프(7)의 힘이 줄어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세척 장치(1)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모 장치의 헤드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세척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세척 장치의 세척액 탱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Ⅱ-Ⅱ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세척 장치의 펌프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세척 장치의 스위칭 밸브(switching valve)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세척 장치의 넘침 방지 유닛(overflow prevention unit)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넘침 방지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세척 장치에서의 세척액의 흐름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모 장치의 헤드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상기 세척 장치(1)의 외형을 보여주고, 도 2a는 상기 세척 장치(1)의 종방향 단면의 구성을 보여주며, 도 2b는 도 2a의 I-I선을 따른 상기 세척 장치(1)의 단면 구성을 보여준다.
상기 세척 장치(1)는 탈모 장치의 일종인 전기면도기(2)의 헤드부(21)를 세척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며, 상기 헤드부(21)를 아래 방향으로 하여 삽입되는 상기 전기면도기(2)의 헤드부(21)가 통과하는 개구부(3a)를 갖는 하우징(3) 및 상기 개구부(3a)를 통해 삽입되는 헤드부(21)를 수용하는 트레이(tray: 4)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 장치(1)는 또한 세척액을 담고 있는 세척액 탱크(5), 상기 트레이(4)에 연결된 넘침 방지 유닛(overflow prevention unit: 6), 상기 탱크(5)로부터 상기 트레이(4)로 세척액의 순환을 제공하는 펌프(7), 세척액을 여과하는 필터(8a)를 갖는 필터 카트리지(filter cartridge: 8), 상기 탱크(5)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밸브(switching valve: 9) 및 상기 세척액의 순환을 순환 통로(circulation path)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 통로는 상기 탱크(5)에 있는 세척액을 상기 트레이(4)로 공급하는 공급 통로(10), 사용한 세척액을 상기 트레이(4)로부터 상기 필터 카트리지(8)로 안내하는 제1 배출 통로(exhausting path: 11), 사용한 세척액을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으로부터 상기 필터 카트리지(8)로 안내하는 제2 배출 통로(12), 사용한 세척액을 상기 필터 카트리지(8)로부터 상기 펌프(7)로 안내하는 제1 회수 통로(13) 및 사용한 세척액을 상기 펌프(7)로부터 상기 탱크(5)로 안내하는 제2 회수 통로(14)로 구성된다. 추가로, 기밀 통로(airtight path: 15)가 상기 스위칭 밸브(9)를 통해 상기 탱크(5)에 연결된다. 상기 공급 통로(10), 제1 배출 통로(11), 제2 배출 통로(12), 제1 회수 통로(13), 제2 회수 통로(14) 및 기밀 통로(15)는 예를 들어, 잘 휘어지는 수지 튜브들(resin tubes)로 형성된다. 이하, 전술한 각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3)은 뒷 부분에서 상기 전기면도기(2)의 그리퍼(gripper: 22)와 접촉하여, 상기 트레이(4)를 갖는 개구부(3a)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전기면도기(2)를 지지하는 스탠드(stand: 31)를 갖는다. 복수개의 전기 접점들(electric contacts: 31a)이 상기 스탠드(31)의 전면에 마련된다. 상기 전기 접점들(31a)은 상기 전기면도기(2)의 그리퍼(22)의 뒷면에 마련된 단자들(22a)과 접촉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1)에 상기 전기면도기(2)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또한 상기 전기면도기(2)의 2차 전지를 충전하는 기능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상기 전기 접점들(31a)은 또한 세척 작용에 있어서 상기 전기면도기(2)의 내장 모터를 구동시키도록 미리 설정된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 후, 상기 전기면도기(2)의 헤드부(21)를 건조하기 위한 바람을 생성하는 팬(fan: 16)이 상기 하우징(3)의 전면부 상부에 마련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팬(16)을 위한 환기창(32), 상기 세척 장치(1)에 의한 세척 작동을 시동시키는 작동 스위치(33),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램프(34) 등이 상기 하우징(3)의 전면부에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3)의 후방 말단부는 상기 세척액 탱크(5)가 장착되는 장착 베이스(mounting base)로서 작용하며, 상기 탱크(5)의 개구부들(51, 52, 53)과 연결되는 연결 플러그들(35, 36, 37)이 상기 장착 베이스에 마련된다. 상기 연결 플러그(35)는 상기 공급 통로(10)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플러그(36)는 상기 제2 회수 통로(14)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 플러그(37)는 상기 기밀 통로(15)에 연결된다.
상기 트레이(4)는 상기 전기면도기(2)의 헤드부(21)가 갖는 볼록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공급 통로(10)와 연결된 세척액 공급 구멍(spout: 41)이 상기 트레이(4)의 후방벽(rear wall)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배출 통로(11)와 연결된 배출 구멍(42)이 상기 트레이(4)의 바닥벽에 마련된다. 상기 팬과 함께 상기 전기면도기(2)의 헤드부(21)를 건조하는데 이용되는 히터(17)가 추가적으로 상기 트레이(4)의 바닥벽의 뒷면에 마련된다.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은 상기 트레이(4)의 앞 부분에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트레이(4)와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은 상기 트레이(4) 또는 상기 하우징(3)으로부터 세척액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트레이(4)에 있는 세척액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유입구(inlet: 61)는 상기 트레이(4)와 연결되고,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배출구(outlet: 62)는 상기 제2 배출 통로(12)와 연결된다. 상기 제2 배출 통로(12)는 상기 트레이(4)의 후방 하부에 마련된 통과부(transit section: 43)를 통해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배출구(62)로부터 상기 필터 카트리지(8)에 도달한다.
상기 탱크(5)는 상기 하우징(3)의 후방 말단부에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탱크(5)의 전면에는 배출 개구부(discharge opening: 51), 유입구(inflow entrance: 52) 및 통기 구멍(breather: 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탱크(5)가 상기 하우징(3)에 장착될 때, 상기 배출 개구부(51)는 상기 연결 플러그(35)에 연결되고, 추가적으로 상기 공급 통로(10)를 통해 상기 트레이(4)의 세척액 공급 구멍(41)과 연결된다. 상기 유입구(52)는 상기 연결 플러그(36)에 연결되고, 추가적으로 상기 제2 회수 통로(14)를 통해 상기 펌프(7)의 배출구(71)와 연결된다. 상기 통기 구멍(53)은 상기 연결 플러그(37)에 연결되고, 추가적으로 상기 기밀 통로(15)를 통해 상기 스위칭 밸브(9)와 연결된다. 상기 배출 개구부(51), 유입구(52) 및 통기 구멍(53)은 상기 탱크(5)에 채워지는 세척액의 수위 위에 마련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통기 구멍(53)은 상기 유입구(52) 위에 위치하며, 상기 유입구(52)는 상기 배출 개구부(51) 위에 위치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5)의 내부는 상기 배출 개구부(51)와 연결된 배출 챔버(discharge chamber: 54) 및 구획 부재(partition member: 56)에 의해 상기 유입구(52)와 통기 구멍(53)에 연결된 유입 챔버(inflow chamber: 55)로 구획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배출 개구부(51)와 상기 유입 챔버(55)는 상기 탱크(5)에 채워지는 세척액의 수위 아래인 위치에서 서로 연결된다. 분리가능한 마개(57)에 의해 밀봉되는 구멍(미도시)이 상기 탱크(5)의 상면에 마련된다.
상기 필터 카트리지(8)는 그 내부에 필터(8a)가 마련된 박스형상이며, 상면에 마련된 유입구(81) 및 전면에 마련된 배출구(82)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상기 필터 카트리지(8)는 상기 하우징(3)의 후방 바닥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뒤에 위치한다. 상기 필터 카트리지(8)가 상기 하우징(3)에 부착될 때, 상기 유입구(81)는 상기 제1 배출 통로(11)를 통해 상기 배출 구멍(42)에 연결되며, 추가적으로 상기 제2 배출 통로(12)를 통해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배출구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82)는 상기 제1 회수 통로(13)를 통해 상기 펌프(7)의 흡입구(suction port: 72)에 연결된다.
상기 펌프(7)는 유체 및 공기를 전달하는데 이용되며, 상기 제1 회수 통로(13)를 통해 상기 필터 카트리지(8)로부터 세척액 및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2 회수 통로(14)를 통해 상기 탱크(5)로 전달한다. 이를 통해, 상기 세척액은 상기 탱크(5)와 상기 트레이(4) 사이를 순환하게 된다. 상기 펌프(7)는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하부 공간에 마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7)는 격막 펌프(diaphragm pump)로 구성되며, 모터(73), 상기 모터(73)의 출력 샤프트(73a)와 맞물리는 편심 샤프트(eccentric shaft: 74), 펌프실(pump room: 75)의 경계를 한정하는 다이어프램(diaphragm: 76)과 밸브 디스크(valve disc: 77) 및 상기 편심 샤프트(74)와 다이어프램(76)을 연결하는 커플링 암(coupling arm: 78)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73)의 출력 샤프트(73a)가 회전할 때, 상기 편심 샤프트(74)는 편심 행정을 수행하며, 상기 다이어프램(76)은 상기 커플링 암(78)을 매개로 상기 편심 행정에 의해 상호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 결과, 세척액 및 공기가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되어, 상기 배출구(71)를 통해 배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 밸브(9)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기밀 통로(15)에 연결된 관(91a)을 갖는 베이스(base: 91), 상기 베이스(91)에 고정된 전자석(92), 상기 베이스(91)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긴 플레이트 형상의 철편(iron piece: 93) 및 상기 철편(93)의 자유 단부(free end portion)에 마련된 밀봉 부재(sealing member: 94)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전자석(92)에 전류가 인가될 때, 상기 철편(93)이 상기 전자석(92) 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밀봉 부재(94)에 의해 상기 관(91a)의 개구부가 밀봉된다. 한편, 상기 전자석(92)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게 되면, 상기 철편(93)은 자신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전자석(92)으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밀봉 부재(94)는 상기 관(91a)의 개구부로부터 떨어져, 결과적으로 공기가 상기 관(91a)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위칭 밸브(9)는, 세척액이 상기 탱크(5)의 배출 개구부(51)로부터 배출되는 동안에는 닫힌 상태를 형성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개방 상태를 형성한다.
도 2a, 도 2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은 구획벽(partition wall: 44)을 매개로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1)의 전후 방향으로 상기 트레이(4)의 앞 부분에 접하도록, 상기 트레이(4)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2a에 도시된 전기면도기(2)의 미도시된 움직이는 날들(blades)이 상호간에 선형적으로 구동되는 타입이기 때문에, 상기 전기면도기(2)가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1)에 장착될 때, 상기 구획벽(44)은 상기 날들(blades)의 상호적인 움직임 방향과 평행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1)의 가로 방향으로 더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벽(44)은 그 높이가 다른 부분의 측벽들(45)의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트레이(4)로 공급되는 세척액의 수위가 상기 구획벽(44)의 높이보다 더 높게 될 경우, 세척액은 상기 구획벽(44)을 넘쳐 흘러,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으로 유입되어,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배출구(62)를 통해 상기 제2 배출 통로(12)로 배출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트레이(4)에 있는 세척액의 수위가 일정 수위로 유지될 수 있고, 그 결과 세척액이 다른 부분의 측벽들(45)로부터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벽(44)을 부분적으로 절단함으로써, 상기 구획벽(44)의 상단에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유입구(61)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61)의 중앙에 위쪽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돌출부(65)가 형성된다.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바닥면(63)은 미리 설정된 아래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62)는 상기 세척 장치(1)의 가로 방향으로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최심부(deepest portion)에 형성된다. 상기 제2 배출 통로(12)로 기능하는 잘 휘어지는 수지 튜브(resin tube: 64)가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배출구(62)에 연결된다. 상기 튜브(64)는 상기 트레이(4)의 측벽(45a)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4)의 후방 하부에 마련된 통과부(transit section: 43)에 연결된다.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으로 유입되는 세척액은 중력에 의해 상기 바닥면(63)의 경사를 따라 원활하게 흘러, 상기 제2 배출 통로(12)로 유입된다. 상기 튜브(64)가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배출구(62)로부터 상기 통과부(43)를 향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튜브(64)로 유입된 세척액은 상기 튜브(64) 속에 고이는 일 없이, 상기 통과부(43)로 흐르게 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세척액의 수면은 표면 장력에 의해 볼록한 둥근 표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세척액의 수위가 상기 구획벽(44)의 높이를 넘는 경우에도, 세척액이 곧 바로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으로 흘러 넘치지는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획벽(44)에 형성된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유입구(61)에 추가로 상기 돌출부(6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세척액의 볼록한 둥근 표면이 상기 돌출부(65)와 접촉할 때, 표면 장력이 국부적으로 약해지고, 그 결과 상기 세척액은 상기 돌출부(65)의 표면을 따라 흐르기 시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돌출부(65)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트레이(4)에 수평하게 안쪽으로 돌출된 것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65)의 위치가 상기 유입구(61)의 중앙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65)의 개수 역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어서, 도 8을 참조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1)의 세척 작용을 설명한다. 도 8은 세척 작용을 하는 세척액의 순환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1)에 전기면도기(2)가 장착될 때, 상기 트레이(4)에는 어떠한 세척액도 채워지지 않은 것으로 가정한다.
도 1에 도시된 작동 스위치(33)가 눌려지면, 상기 스위칭 밸브(9)는 상기 탱크(5)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닫혀진다. 이후, 상기 펌프(7)가 구동되어, 공기가 상기 제1 회수 통로(13)를 통해 상기 필터 카트리지(8)로부터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2 회수 통로(14)를 통해 상기 탱크(5)의 유입 챔버(55)로 배출된다. 상기 유입 챔버(55)에 있는 세척액의 수위는 유입된 공기에 의해 눌려져, 상대적으로 상기 배출 챔버(54)에 있는 세척액의 수위가 올라간다. 상기 배출 챔버(54)에 있는 세척액의 수위가 상기 배출 개구부(51)의 높이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세척액은 상기 공급 통로(10)를 통해 상기 트레이(4)로 공급되기 시작한다. 상기 트레이(4)로 공급되는 단위 시간 동안의 세척액의 양은, 상기 트레이(4)의 배출 구멍(42)을 통해 배출되는 단위 시간 동안의 세척액의 양보다 많게 설정되기 때문에, 상기 트레이(4)는 조만간 상기 세척액에 의해 채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 접점들(31a)이 미리 설정된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경우, 상기 트레이(4)에 있는 세척액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예를 들면,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유입구(61)의 높이)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상기 전기 접점들(31a)을 통해 구동 신호가 상기 전기면도기(2)에 전달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기면도기(2)의 내장 모터가 구동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전기면도기(2)의 헤드부(21)에 있는 수염 조각들 또는 피지(皮脂)가 씻겨져 나가게 된다. 상기 수염 조각들 또는 피지(皮脂)를 포함하는 세척액은 상기 배출 구멍(42)으로부터 상기 제1 배출 통로(11)를 통해 상기 필터 카트리지(8)로 흘러가게 된다. 또한, 상기 구획벽(44)을 넘쳐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으로 흘러들어가는 세척액은 상기 제2 배출 통로(12)를 통해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으로부터 상기 필터 카트리지(8)로 흘러가게 된다. 상기 필터 카트리지(8)로 흘러들어가는 세척액은 필터(8a)를 통해 여과되어, 상기 세척액에 포함된 상기 수염 조각들 또는 피지(皮脂)가 제거된다. 상기 펌프(7)는 상기 제1 회수 통로(13)를 통해 상기 필터 카트리지(8)로부터 세척액을 흡입하여, 상기 제2 회수 통로(14)를 통해 세척액을 상기 탱크(5)로 보낸다. 이어서, 상기 펌프(7)에 의한 세척액의 순환은 계속된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전기면도기(2)의 헤드부(21)에 대한 세척이 계속될 때, 상기 전기 접점들(31a)을 통해 상기 전기면도기(2)로 종료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전기면도기(2)의 내장 모터의 구동은 종료된다. 동시에, 상기 스위칭 밸브(9)가 개방되어, 상기 탱크(5)의 내부가 대기에 개방된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탱크(5)의 유입 챔버(55) 내에 있는 세척액의 수위가 올라가게 되고, 상기 배출 챔버(54) 내에 있는 세척액의 수위는 내려가게 되어, 상기 트레이(4)로의 세척액의 공급이 중단된다. 이후, 상기 펌프(7)는 상기 트레이(4)에 남아있는 세척액을 상기 탱크(5)로 회수하도록 세척액의 전달을 계속한다. 상기 트레이(4)에 더 이상 세척액이 남아있지 않게 되면, 상기 펌프(7)의 구동은 종료되며, 이어서 상기 헤드부(21)의 건조를 위해 상기 팬(16) 및 히터(17)가 구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1)에 따르면,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배출구(62)가 상기 세척 장치(1)의 가로 방향으로 측벽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배출구(62)와 상기 필터 카트리지(8)를 연결하는 상기 제2 배출 통로(12)(튜브(64))가 상기 트레이(4)의 측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하부에 어떠한 관도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세척 장치(1)의 구조에 있어서의 설계상의 자유가 향상되며, 상기 펌프(7) 등이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하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어, 상기 세척 장치(1)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바닥면(63)이 미리 설정된 아래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62)가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최심부(deepest portion)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으로 유입되는 세척액이 중력에 의해 상기 바닥면(63)의 경사를 따라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또한, 상기 넘침 방지 유닛(6)의 배출구(62)에 연결된 잘 휘어지는 수지 튜브(64)가 상기 배출구(62)로부터 상기 트레이(4)의 하부를 향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휘어지게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튜브(64)로 유입되는 세척액이 상기 튜브(64) 속에 고이는 일 없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세척액은 중력에 의해 가속되어 상기 필터 카트리지(8)로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이후 세척액을 상기 필터 카트리지(8)로부터 상기 탱크(5)로 배출하기 위한 상기 펌프(7)의 힘이 줄어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세척 장치(1)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트레이(4)와 상기 탱크(5) 사이에 반드시 상기 필터 카트리지(8)가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트레이(4)와 상기 펌프(7) 사이에 상기 탱크(5)가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출원서는 2009년 1월 15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9-006830호를 기초로 한 것이다.
지금까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들 및 수정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들 및 수정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그러한 변형들 및 수정들 역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탈모 장치의 헤드부(head portion)를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tray);
    세척액을 수용하기 위한 세척액 탱크;
    세척액이 상기 세척액 탱크로부터 상기 트레이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 통로(supplying path);
    상기 트레이의 배출 구멍(exhausting spout)으로부터 세척액을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출 통로(exhausting path);
    상기 트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트레이에 있는 세척액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로 유지되도록 하는 넘침 방지 유닛(overflow prevention unit);
    상기 넘침 방지 유닛으로 유입되는 세척액을 상기 넘침 방지 유닛의 배출구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출 통로; 및
    상기 공급 통로를 통해 상기 세척액 탱크에 있는 세척액을 상기 트레이로 공급하고, 사용된 세척액을 상기 제1 및 제2 배출 통로를 통해 상기 세척액 탱크로 회수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넘침 방지 유닛의 배출구는 세척 장치의 가로 방향으로 측벽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배출 통로는 상기 트레이의 측벽을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장치의 헤드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넘침 방지 유닛의 바닥면은 상기 배출구를 향해 미리 설정된 아래쪽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넘침 방지 유닛의 최심부(deepest portion)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장치의 헤드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넘침 방지 유닛은 구획벽(partition wall)을 매개로 상기 세척 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상기 트레이의 앞 부분에 접하도록 상기 트레이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장치의 헤드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넘침 방지 유닛의 유입구는 상기 구획벽의 상부 에지(upper edge)를 부분적으로 절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장치의 헤드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넘침 방지 유닛의 유입구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장치의 헤드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 통로는 상기 넘침 방지 유닛의 배출구로부터 상기 트레이의 하부를 향해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휘어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장치의 헤드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넘침 방지 유닛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장치의 헤드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 탱크는 상기 세척 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상기 트레이의 뒷 부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장치의 헤드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배출 통로를 통해 배출된 세척액을 여과하는 필터 카트리지(filter cartridge)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 카트리지는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장치의 헤드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
KR1020100000752A 2009-01-15 2010-01-06 탈모 장치의 헤드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 KR201000841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06830 2009-01-15
JP2009006830A JP4798227B2 (ja) 2009-01-15 2009-01-15 洗浄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119A true KR20100084119A (ko) 2010-07-23

Family

ID=4231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752A KR20100084119A (ko) 2009-01-15 2010-01-06 탈모 장치의 헤드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61241B2 (ko)
EP (1) EP2238857A1 (ko)
JP (1) JP4798227B2 (ko)
KR (1) KR20100084119A (ko)
CN (1) CN101779857B (ko)
HK (1) HK11432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6207A (ja) * 2010-09-27 2012-04-05 Panasonic Corp 洗浄システム
EP2543274B1 (en) * 2011-07-06 2017-08-23 Braun GmbH Electrically operated cleaning device for razor
JP2013022475A (ja) * 2011-07-15 2013-02-04 Panasonic Corp 洗浄装置
JP5942250B2 (ja) * 2012-04-27 2016-06-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小型電気機器の洗浄装置
JP6057201B2 (ja) * 2012-04-27 2017-01-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小型電気機器の洗浄装置
GB2522071B (en) * 2014-01-14 2016-01-13 David Lam A razor blade cleaning device,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9768A (en) * 1978-03-08 1979-09-17 Toshiba Corp Abnormal overflow prevention device for washing machine
JPS6457624A (en) * 1987-08-28 1989-03-03 Kurita Water Ind Ltd Cleaning equipment
JPH04104871A (ja) * 1990-08-21 1992-04-07 Fujitsu Ltd 水洗槽
FR2695668B1 (fr) 1992-09-14 1994-12-16 Stoc Sa Ets Dispositif de trop-plein, notamment pour réservoir de chasse d'eau.
DE4402238C2 (de) 1994-01-26 1996-09-26 Braun Ag Reinigungsvorrichtung für den Scherkopf eines Trockenrasierers
DE4402237C1 (de) * 1994-01-26 1995-03-09 Braun Ag Reinigungsvorrichtung zur Reinigung des Scherkopfs eines Trockenrasierapparats
JP2000015194A (ja) * 1998-07-02 2000-01-18 Kaijo Corp 洗浄装置
DE29821739U1 (de) 1998-12-07 1999-02-18 Hewlett-Packard Co., Palo Alto, Calif. Vorrichtung zur Reinigung medizinischer Geräte
DE19937166A1 (de) * 1999-08-06 2001-03-01 Braun Gmbh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en Rasierapparat
US6626194B2 (en) * 2001-05-16 2003-09-30 Raymond Electric (China) Limited Electric shaver cleaning apparatus
DE10209326C1 (de) * 2002-03-02 2003-06-18 Braun Gmbh Reinigungsvorrichtung für den Scherkopf eines Trockenrasierapparates
US7150285B2 (en) * 2003-01-21 2006-12-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leaning device for a hair removing apparatus
JP4467354B2 (ja) 2004-04-27 2010-05-26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浄装置及び除菌装置
JP4650135B2 (ja) * 2005-07-15 2011-03-1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機器システム
JP4438774B2 (ja) * 2006-07-14 2010-03-2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シェーバ洗浄装置およびシェーバシステム
JP2008023120A (ja) * 2006-07-21 2008-0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除毛器具の洗浄装置
JP2009006830A (ja) 2007-06-27 2009-01-15 Kojima Press Co Ltd コンソールボック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62159A (ja) 2010-07-29
EP2238857A1 (en) 2010-10-13
CN101779857A (zh) 2010-07-21
US20100175723A1 (en) 2010-07-15
CN101779857B (zh) 2012-06-27
HK1143290A1 (en) 2010-12-31
US8361241B2 (en) 2013-01-29
JP4798227B2 (ja)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4119A (ko) 탈모 장치의 헤드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
JP4513333B2 (ja) 除毛器具の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80000336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KR20070078328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KR20050034737A (ko) 제모 장치의 세척 시스템
JP7190688B2 (ja) 超音波洗浄装置
KR20080100168A (ko) 드럼식 세탁기
KR20170096314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제박스
KR100610726B1 (ko) 제모 장치용 세척 장치
CN110230172B (zh) 洗衣机用过滤装置和安装有该装置的洗衣机
JP5119173B2 (ja) 洗浄装置
EP2842449B1 (en) Cleaning device for small electrical appliance
WO2013161161A1 (ja) 電気機器の洗浄装置
WO2013161160A1 (ja) 電気機器の洗浄装置
JP5122493B2 (ja) 洗浄装置
WO2013161147A1 (ja) 小型電気機器の洗浄装置
EP2842453B1 (en) Washing device for miniature electrical equipment
EP2842450A1 (en) Small electrical apparatus cleaning device
EP4276234A1 (en) Dispenser box, detergent dispensing apparatus, washing device, and washing device kit
TWI677610B (zh) 洗衣烘乾機
CN111411484A (zh) 洗衣机
KR19990002419U (ko) 물필터 청소기
KR19990002420U (ko) 물필터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