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787A -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및 맥관 스텐트 - Google Patents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및 맥관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787A
KR20100083787A KR1020107008181A KR20107008181A KR20100083787A KR 20100083787 A KR20100083787 A KR 20100083787A KR 1020107008181 A KR1020107008181 A KR 1020107008181A KR 20107008181 A KR20107008181 A KR 20107008181A KR 20100083787 A KR20100083787 A KR 20100083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body
tubular
stent
striatum
biodegradabl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9866B1 (ko
Inventor
게이지 이가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교토 이료 세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교토 이료 세케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교토 이료 세케이
Publication of KR20100083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89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comprising two or more adjacent rings flexibly connected by separat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6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7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ed peak to troug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0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bioabsorb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28Shapes in the form of latin or greek characters
    • A61F2230/0054V-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67Means for introducing or releas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the body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의 맥관 내에 이식되는 중공형의 관형체로 이루어지는 맥관 스텐트를 구성하는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이며, 생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선조체(3)로 이루어진다. 선조체는, 직선 부분(3a)과 굴곡 부분(3b)이 순차적으로 연속되도록 절곡되고, 그 단부(3c, 3d)가 일련으로 연속되어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를 구성하는 선조체(3)는, 양 단부(3c, 3d) 사이가, 생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통형의 연결 부재(5)에 의해 유지되어 일련으로 연속된다.

Description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및 맥관 스텐트{TUBE-FORMING ELEMENT FOR VASCULAR STENT AND VASCULAR STENT}
본 발명은, 생체의 혈관, 기관이나 담관 등의 맥관 내에 유치(留置)되어, 맥관의 내강(內腔)을 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및 이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를 사용하여 형성된 맥관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체의 맥관, 예를 들면, 동맥 등의 혈관에 협착부(狹窄部)가 발생한 경우에, 이 협착부에 벌룬 카테터(balloon catheter)의 선단부 근방에 설치한 벌룬을 삽입하고, 접혀진 상태에 있는 벌룬을 팽창시킴으로써, 혈관 협착부를 확장하여 혈류를 양호하게 하는 수술인 경피적 혈관 성형술(PTA)이 행해지고 있다.
그런데, 경피적 혈관 성형술을 행해도, 협착이 발생된 부분에 높은 확률로 협착이 다시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해서, 경피적 혈관 성형술을 행한 부분에, 관형 스텐트를 이식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스텐트는, 축경(縮徑)된 상태로 혈관 내에 삽입되고, 그 후 확경(擴徑)되어 혈관 내에 이식됨으로써, 혈관을 그 내부로부터 지지하고, 혈관에 재협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스텐트로서 원통형 금속체에 슬릿를 형성하고, 확경 또는 축경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금속제의 스텐트는, 생체 내에 장기간 유치함으로써 이물질 반응을 생기게 할 염려도 있으므로, 생체 내에 반영구적으로 유치시키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일단 생체 내에 이식된 금속제의 스텐트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외과적 수술이 필요하게 되어 환자에게 매우 큰 부담이 된다.
이와 같은 금속제 스텐트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의 발명자는, 생분해성 폴리머를 사용한 스텐트를 WO 1992/15342호(특허 문헌 1), WO 2000/13737호(특허 문헌 2)에서 제안하고 있다.
또한, 생분해성 폴리머를 사용한 스텐트로서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평 11-57018호(특허 문헌 3),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4-33579호(특허 문헌 4)에 기재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WO 1992/15342호 특허 문헌 2: WO 2000/13737호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평 11-57018호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4-33579호
그런데, 생체의 맥관 내에 이식되는 스텐트는, 맥관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굴곡 혹은 사행(蛇行)하는 맥관에 맞추어서 용이하게 변형되도록 하는 플렉서빌리티(유연성)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협착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텐트에 의해 지지를 필요로 하는 영역은, 이식될 맥관의 상태에 따라 상이하게 한다. 그러므로, 이식될 맥관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확장 지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스텐트도 복수의 길이, 또한 복수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플렉서빌리티가 우수하여 원활하게 맥관에 삽입 가능하게 하는 맥관 스텐트를 구성할 수 있는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및 이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를 사용한 맥관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해결하려고 하는 다른 과제는, 다양한 길이, 나아가서는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맥관 스텐트를 용이하게 제조 가능하게 하는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및 이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를 사용한 맥관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해결하려고 하는 다른 과제는, 생분해성 폴리머를 사용한 이점을 가지고, 스텐트가 이식되는 환자에게 주는 부담을 억제할 수 있는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및 이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를 사용한 맥관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는, 중공형의 관형체로 이루어지는 맥관 스텐트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생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선조체(線條體)로 이루어지고, 이 선조체는, 직선 부분과 굴곡 부분이 순차적으로 연속되도록 절곡되고, 그 단부가 일련(一連)으로 연속되어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링 모양으로 형성된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를 구성하는 선조체는, 그 일실시예로서, 양 단부 사이가 생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통형의 연결 부재에 의해 유지되어 일련으로 연속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연결 부재는, 선조체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열 코킹되어 선조체의 양 단부 사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조체의 양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중 적어도 일부가, 용융되어 선조체의 양 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선조체는, 양 단부 각각이 선단측을 향해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이들 양 단부의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부분이 서로 중첩되어 일련으로 연속됨으로써, 중첩 부분의 직경이 굵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선조체는, 일련으로 연속된 모노 필라멘트나, 복수의 모노 필라멘트가 일체화된 멀티 필라멘트가 사용된다. 이들 모노 필라멘트나 멀티 필라멘트는, 생분해성 폴리머를 용융 방사(紡絲)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선조체는, 폴리락트산(PLLA), 폴리글리콜산(PGA), 폴리글리콜산과 폴리락트산의 공중합체, 폴리디옥사논, 트리메틸렌카르보네이트와 글리콜리드와의 공중합체, 폴리글리콜산 또는 폴리락트산과 ε-카프로락톤과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생체 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공형의 관형체로 이루어지는 맥관 스텐트로서, 생분해성 폴리머제의 선조체의 단부가 일련으로 연속되어 링 모양으로 형성된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를 복수개 조합하여 형성된다. 이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는, 생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선조체를 직선 부분과 굴곡 부분이 순차적으로 연속되도록 절곡하고, 이 선조체의 단부를 일련으로 연속시켜서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관형체 엘레멘트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부분이 고분자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고 연결되어 중공형의 하나의 관형체를 구성한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는, 생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선조체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약제를 용이하게 담지(擔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약제를 담지시키는 경우에, 관형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에 종류를 달리하는 약제를 담지시킴으로써, 하나의 관형체로 복수 종류의 약제를 담지시키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는, 1개의 선조체가 직선 부분과 굴곡 부분이 순차적으로 연속되도록 절곡되어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중공 통형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를 가지는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를, 축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하여 조합함으로써, 조합된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에 따른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관형체가 구성된다.
따라서,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의 조합 수를 선택함으로써, 조합 수에 따른 적절한 길이의 관형체를 구비한 맥관 스텐트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적절하게 길이를 달리하는 복수 종류의 맥관 스텐트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는, 직선 부분과 굴곡 부분이 순차적으로 연속되도록 절곡된 1개의 선조체의 단부를 연결하여 링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사용하는 선조체의 길이를 적절하게 선택하거나, 또는 절곡 길이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링 모양으로 형성되는 직경을 적절하게 설정하기가 용이하다. 그러므로, 직경을 달리하는 복수 종류의 관형체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는, 그 직경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길이 및 직경을 가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맥관 스텐트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식되는 생체의 맥관에 대하여 바람직한 맥관 스텐트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는, 직선 부분과 굴곡 부분이 순차적으로 연속되도록 지그재그형으로 절곡된 부분의 일부가 연결되어 하나의 관형체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연결되고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사이의 변위가 용이하게 된다.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사이의 변위가 용이하게 되므로, 관형체가 전체적으로 변형이 용이하게 되어, 이 관형체를 사용한 맥관 스텐트는, 굴곡된 맥관에 맞추어서 용이하게 변화하는 플렉서빌리티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맥관 스텐트는, 생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선조체를 직선 부분과 굴곡 부분이 순차적으로 연속되도록 절곡하여 형성되고, 관형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를 복수개 조합하여 관형체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굴곡된 맥관의 내벽을 균등하게 확장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맥관 스텐트는, 전체가 생분해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므로, 생체에 이식했을 때의 안전성을 보증할 수 있다. 특히, 생체에 대하여 유독하다고 여겨지는 용매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생분해성 폴리머 외의 불순물의 혼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생체에 이식했을 때의 안전성을 충분히 보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맥관 스텐트는, 복수의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를 사용하여 구성되므로, 복수 종류의 약제를 용이하게 담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를 사용하여 구성된 맥관 스텐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를 구성하는 실(絲)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관형체를 구성하는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의 연결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의 연결 부분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의 연결 부분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의 굴곡 부분을 유지 부재에 의해 연결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및 이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를 사용한 맥관 스텐트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는, 예를 들면, 생체의 관상동맥과 같은 혈관 내에 이식되어 사용되는 맥관 스텐트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 맥관 스텐트(1)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 관형체(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맥관 스텐트(1)는, 이식되는 생체의 맥관에 따라, 그 크기는 적절하게 선택된다. 예를 들면, 혈관 내에 이식되는 맥관 스텐트(1)로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외주 직경 R1을 2∼10mm로 하고, 그 길이 L1을 10∼200mm로 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맥관 스텐트(1)를 구성하는 관형체(2)는, 본 발명에 따른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를 복수개 조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는, 생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선조체(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를 구성하는 선조체(3)는, 인체 등의 생체에 이식되었을 때, 생체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생분해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된다. 이 생분해성 폴리머로서는, 폴리락트산(PLLA), 폴리글리콜산(PGA), 폴리글락틴(폴리글리콜산과 폴리락트산의 공중합체), 폴리디옥사논, 폴리글리코네이트(트리메틸렌카르보네이트와 글리콜리드의 공중합체), 폴리글리콜산 또는 폴리락트산과 ε-카프로락톤과의 공중합체 등이 사용된다. 또한, 이들 재료를 2 이상 복합한 생분해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선조체(3)는, 생분해성 폴리머가 일련으로 연속된 모노 필라멘트나, 복수의 모노 필라멘트를 일체화한 멀티 필라멘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사용된다. 이들 모노 필라멘트나 멀티 필라멘트는, 예를 들면 생분해성 폴리머를, 용융 방사기(紡絲機)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함으로써 얻어진다.
여기서 사용되는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련으로 연속하는 1개의 선조체(3)를 직선 부분(3a)과 굴곡 부분(3b)이 순차적으로 연속되도록 지그재그형으로 절곡하고, 이 절곡된 선조체(3)의 일단부(3c) 및 타단부(3d)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재(5)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일련으로 연속된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는, 한쪽 굴곡부(3b)로부터 다른 쪽 굴곡부(3b)에 이르는 거리에 상당하는 높이 H1을 가지는 링 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조체(3)에 의해 에워싸인 영역은 통형의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지그재그형으로 절곡된 1개의 선조체(3)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3c)와 타단부(3d) 사이를 연결 부재(5)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 부재(5)는, 선조체(3)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를 사용하여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조체(3)의 일단부(3c)와 타단부(3d)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5)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 부재(5)의 일단부(5a) 측에는 선조체(3)의 일단부(3c)가 삽입되고, 타단부(5b) 측에는 선조체(3)의 타단부(3d)가 삽입됨으로써, 1개의 선조체(3)의 양 단부(3c, 3d)가 일련으로 연속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연결 부재(5)는 가열되어 열 수축됨으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조체(3)의 일단부(3c)와 타단부(3d)를 코킹하여 유지한다.
또한, 연결 부재(5)의 열 코킹 처리는, 가압하면서 가열해도 된다. 가압함으로써, 보다 저온으로, 또한 신속하게 열 수축을 도모하여 코킹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처리는, 연결 부재(5)의 일부가 용융되도록 가열해도 된다. 연결 부재(5)는, 일부가 용융됨으로써, 선조체(3)에 용착하고, 선조체(3)의 일단부(3c)와 타단부(3d) 사이를 한층 견고하게 일련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연결 부재(5)를 용융하여 선조체(3)의 연결을 행하는 경우에, 선조체(3)가 열적인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선조체(3)가 열이나 압력에 의한 영향에 의해 생분해 특성에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연결 부재(5)에 의해 일련으로 연결되는 선조체(3)의 일단부(3c) 및 타단부(3d)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중첩되지 않고 맞대어진 상태로 연결 부재(5)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됨으로써, 선조체(3)는, 연결 부분에 큰 단차를 가지지 않고 링 모양을 형성한다. 즉, 연결 부재(5)는, 1개의 선조체(3)가 삽입되기에 충분한 중공부를 가지는 굵기로 형성되면 족하므로, 연결부에서의 굵기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에서의 굵기의 변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선조체(3)의 일단부(3c)와 타단부(3d) 측의 연결 부재(5)에 삽입된 부분을 다른 부분보다 가는 직경으로 하고, 이 가는 직경 부분을 연결 부재(5)에 의해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에서의 굵기의 변화를 억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선조체(3)의 연결 부재(5)에 의해 연결되는 일단부(3c) 및 타단부(3d)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중첩되도록 하여 연결 부재(5)에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연결함으로써, 선조체(3)의 일단부(3c)와 타단부(3d) 사이가 연결 부재(5)에 의해 한층 확실하게 연결될 수 있어서, 안정된 링 모양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선조체(3)의 일단부(3c) 및 타단부(3d)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끝이 가는 상태로 되도록 얇게 도려내어 형성한다. 그리고, 끝이 가는 상태로 된 이들 일단부(3c) 및 타단부(3d)를 서로 중첩하여 연결 부재(5)를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서로 중첩된 부분의 직경이 굵게 이루어지는 것이 억제되고, 연결 부재(5)에 의해 연결된 부분의 굵기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링 모양으로 형성된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을 이루는 1개의 관형체(2)를 구성하도록 다단형으로 복수개 배치된다. 이 때, 서로 상하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 4)는, 서로의 굴곡 부분(3b, 3b)의 선단부가 맞대어지도록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된 복수의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는, 서로 맞대어진 1조의 굴곡 부분(3b, 3b) 사이가 열 용착됨으로써 연결되어, 하나의 관형체(2)를 구성한다. 이 굴곡부(3b, 3b) 사이의 열 용착은, 굴곡부(3b)의 일부를 용융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서로 맞대어진 굴곡 부분(3b, 3b) 사이에 용융된 폴리머를 공급하여 행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용착용 폴리머는, 선조체(3)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서로 맞대어진 굴곡 부분(3b, 3b) 사이를 접착제에 의해 접합해도 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 4)는, 서로 맞대어지도록 배치되는 굴곡 부분(3b, 3b) 모두를 접합할 필요는 없고, 적절한 복수조(複數組)의 굴곡 부분(3b, 3b)을 유지하면 된다. 예를 들면, 1조 간격으로 접합한다.
또한, 원통형을 이루는 1개의 관형체(2)를 구성하도록 다단형으로 복수개 배치된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 4)는, 서로 맞대어진 굴곡 부분(3b, 3b) 사이를 접합에 의해 연결하는 예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맞대어진 1조의 굴곡 부분(3b, 3b)을 유지 부재(16)에 의해 유지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유지 부재(16)는, 링 모양으로 형성된 것이나, 일부가 개방된 C자형으로 형성된 것이 사용된다. 이 경우에도, 서로 인접하는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 4)는, 서로 맞대어지도록 배치되는 굴곡 부분(3b, 3b) 모두를 유지 부재(16)에 의해 유지할 필요는 없고, 적절한 복수조의 굴곡 부분(3b, 3b)을 유지하면 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조 간격으로 유지 부재(16)에 의해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유지 부재(16)는, 선조체(3)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유지 부재(16)는, 그 일부가 핀포인트형으로 용융되고, 이 용융부에 의해 선조체(3)의 굴곡 부분(3b, 3b)을 용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즉, 유지 부재(16)의 일부가 점 접촉된 상태로 선조체(3)에 용착한다. 이 용착은, 예를 들면 유지 부재(16)에 가열용 지그를 압착하여 행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다단형으로 복수개 배치된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는, 서로 맞대어진 굴곡 부분(3b, 3b) 사이를 연결하도록 하고 있지만, 직선부(3a, 3a)가 중첩되도록 배치하고, 이들 직선 부분(3a, 3a) 사이를 유지 부재를 사용하여 유지하여 연결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는, 1개의 선조체(3)가 직선 부분(3a)과 굴곡 부분(3b)이 순차적으로 연속되도록 절곡되어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적절한 개수의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를 축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하여 조합함으로써, 조합한 수에 따른 길이의 관형체(2)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의 조합 수를 선택함으로써, 조합 수에 따른 적절한 길이의 관형체(2)를 구비한 맥관 스텐트(1)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는, 직선 부분(3a)과 굴곡 부분(3b)이 순차적으로 연속되도록 절곡된 1개의 선조체(1)의 단부(3c, 3d)를 연결하여 링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사용하는 선조체(3)의 길이를 적절하게 선택하거나, 또는 절곡의 수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링 모양으로 형성되는 직경을 적절하게 설정하기가 용이하다. 그러므로, 직경을 달리하는 복수 종류의 관형체(2)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는, 직선 부분(3a)과 굴곡 부분(3b)이 순차적으로 연속되도록 지그재그형으로 절곡된 부분의 일부가 연결되어 하나의 관형체(2)를 구성하므로, 연결되고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 4) 사이의 변위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 4) 사이의 변위가 용이하게 되므로, 관형체(2)가 전체적으로 변형이 용이하게 되어, 이 관형체(2)를 사용한 맥관 스텐트(1)는, 굴곡된 맥관에 맞추어서 용이하게 변화하는 플렉서빌리티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맥관 스텐트(1)는, 관형체(2)의 일부를 구성하는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를 복수개 조합시켜 관형체(2)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굴곡된 맥관의 내벽을 균등하게 확장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맥관 스텐트(1)는, 전체가 생분해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므로, 생체에 이식된 후, 생체 내에서 소실시킬 수 있고, 생체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처치가 불필요하므로, 환자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1)는, 생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선조체(3)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약제를 용이하게 담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를 구성하는 실(3)의 표면에 약제가 용해된 용매를 도포하여 행한다. 또한, 조립 관형체(2)의 표면에 약제를 도포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약제가 용해된 용매를 도포하여 행한다.
또한, 관형체(2)를 구성하는 복수의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에 종류를 달리하는 약제를 담지시킴으로써, 하나의 관형체(2)로 복수 종류의 약제를 담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2종류 이상 구성되는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의 수만큼 종류를 달리하는 약제를 담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으며, 연결되는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의 수, 그리고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4)의 크기는, 시술하는 맥관의 종류, 또는 맥관의 부위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되는 것은 물론이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를 사용하여 구성된 맥관 스텐트는, 생체의 관상동맥 등의 혈관, 기관, 담관 등의 맥관에 이식되어, 맥관을 내부로부터 지지하는 부재로서 사용된다. 생분해성 폴리머를 소재로 하여 형성된 맥관 스텐트는, 생체의 맥관에 이식된 후, 일정 기간 경과되어 생체 내에서 소실된다.

Claims (15)

  1. 중공형의 관형체로 이루어지는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로서,
    생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선조체(線條體)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조체는, 직선 부분과 굴곡 부분이 순차적으로 연속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선조체의 단부가 일련(一連)으로 연속되어 링 모양으로 형성된,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조체는, 양 단부 사이가, 생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통형의 연결 부재에 의해 유지되어 일련으로 연속되어 있는,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선조체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선조체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고, 열 코킹되어 상기 선조체의 양 단부 사이를 유지하고 있는,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선조체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용융되어 상기 선조체의 양 단부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조체는, 양 단부 각각이 선단측을 향해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 단부의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부분이 서로 중첩되어 일련으로 연속되어 있는,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조체는, 일련으로 연속된 모노 필라멘트인,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조체는, 복수의 모노 필라멘트가 일체화된 멀티 필라멘트인,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조체는, 폴리락트산(PLLA), 폴리글리콜산(PGA), 폴리글리콜산과 폴리락트산의 공중합체, 폴리디옥사논, 트리메틸렌카르보네이트와 글리콜리드와의 공중합체, 폴리글리콜산 또는 폴리락트산과 ε-카프로락톤과의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생분해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10. 중공형의 관형체로 이루어지는 맥관 스텐트로서,
    생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선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조체가 직선 부분과 굴곡 부분이 순차적으로 연속되도록 절곡되고, 또한 상기 선조체의 단부가 일련으로 연속되어 링 모양으로 형성된 복수의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는, 축 방향으로 다단으로 배치되고, 서로 인접하는 부분이 연결되어 하나의 중공형의 관형체를 구성하고 있는,
    맥관 스텐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형체 엘레멘트의 서로 인접하는 부분은, 다단으로 배치된 복수의 관형체 엘레멘트의 굴곡 부분인, 맥관 스텐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형체 엘레멘트의 서로 인접하는 부분은, 다단으로 배치된 복수의 관형체 엘레멘트의 직선 부분인, 맥관 스텐트.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체를 구성한 상기 복수의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는, 서로 인접하는 부분이 고분자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어 연결되어 있는, 맥관 스텐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선조체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맥관 스텐트.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체를 구성하는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에는 약제가 담지(擔持)되어 있는, 맥관 스텐트.
KR1020107008181A 2007-10-16 2008-10-15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및 맥관 스텐트 KR101519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69339 2007-10-16
JP2007269339 2007-10-16
PCT/JP2008/002923 WO2009050888A1 (ja) 2007-10-16 2008-10-15 脈管ステント用の管状体形成エレメント及び脈管ステン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787A true KR20100083787A (ko) 2010-07-22
KR101519866B1 KR101519866B1 (ko) 2015-05-13

Family

ID=4056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181A KR101519866B1 (ko) 2007-10-16 2008-10-15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및 맥관 스텐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298926A1 (ko)
EP (1) EP2201914B1 (ko)
JP (1) JP5384359B2 (ko)
KR (1) KR101519866B1 (ko)
WO (1) WO20090508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615B1 (ko) * 2010-10-29 2011-03-17 메디소스플러스(주) 스텐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8471B2 (en) * 2010-01-30 2013-10-29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Crush recoverable polymer scaffolds
US8808353B2 (en) 2010-01-30 2014-08-19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Crush recoverable polymer scaffolds having a low crossing profile
US9345602B2 (en) 2010-09-23 2016-05-24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Processes for making crush recoverable polymer scaffolds
WO2012057587A2 (ko) * 2010-10-29 2012-05-03 메디소스플러스(주) 스텐트와이어, 스텐트와이어 및 스텐트 제조방법
US8726483B2 (en) 2011-07-29 2014-05-20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Methods for uniform crimping and deployment of a polymer scaffold
WO2014091438A2 (en) 2012-12-12 2014-06-19 Shalya Medical Technologies, (India) Pvt. Ltd An improved bioresorbable polymeric vascular stent device
US10675387B2 (en) * 2014-07-07 2020-06-09 Meril Life Sciences Pvt. Ltd. Multi stage radial deformation for manufacturing thin strut stent from bioabsorbable polymer
WO2017037847A1 (ja) 2015-08-31 2017-03-09 精電舎電子工業株式会社 熱カシメ装置
US20230138256A1 (en) 2020-03-12 2023-05-04 Jms Co., Ltd. Sten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28039B1 (en) 1991-03-08 1999-07-07 IGAKI, Keiji Stent for vessel, structure of holding said stent, and device for mounting said stent
US5817152A (en) * 1994-10-19 1998-10-06 Birdsall; Matthew Connected stent apparatus
JPH10286312A (ja) * 1997-04-11 1998-10-27 Ube Ind Ltd ステント
US6245103B1 (en) 1997-08-01 2001-06-12 Schneider (Usa) Inc Bioabsorbable self-expanding stent
DK174814B1 (da) * 1998-02-25 2003-12-01 Cook William Europ Stentaggregat
ES2620130T3 (es) 1998-09-08 2017-06-27 Kabushikikaisha Igaki Iryo Sekkei Endoprótesis para vasos
GB2347861B (en) * 1999-03-13 2003-11-26 Biointeractions Ltd Biocompatible endoprostheses
US8070792B2 (en) * 2000-09-22 2011-12-0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nt
JP2003052834A (ja) * 2001-08-10 2003-02-25 Medicos Hirata:Kk 生体吸収性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GB0206061D0 (en) * 2002-03-14 2002-04-24 Angiomed Ag Metal structure compatible with MRI imag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structure
US7288111B1 (en) * 2002-03-26 2007-10-30 Thoratec Corporation Flexible st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4033579A (ja) 2002-07-05 2004-02-05 Medicos Hirata:Kk 生体吸収性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6051912A1 (ja) * 2004-11-12 2006-05-18 Kabushikikaisha Igaki Iryo Sekkei 脈管用ステント
US8585753B2 (en) * 2006-03-04 2013-11-19 John James Scanlon Fibrillated biodegradable prosthesis
JP4920274B2 (ja) * 2006-03-17 2012-04-18 株式会社 京都医療設計 脈管用ステン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615B1 (ko) * 2010-10-29 2011-03-17 메디소스플러스(주) 스텐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1914A1 (en) 2010-06-30
WO2009050888A1 (ja) 2009-04-23
US20100298926A1 (en) 2010-11-25
EP2201914A4 (en) 2017-11-15
EP2201914B1 (en) 2018-12-05
JP5384359B2 (ja) 2014-01-08
KR101519866B1 (ko) 2015-05-13
JPWO2009050888A1 (ja)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3787A (ko) 맥관 스텐트용 관형체 형성 엘레멘트 및 맥관 스텐트
KR100617375B1 (ko) 맥관용 스텐트
JP4976301B2 (ja) 脈管分枝部治療用段付き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8529618B2 (en) Ostium support for treating vascular bifurcations
US8636790B2 (en) Vascular stent
US8070793B2 (en) Stent for vessel
US20180214287A1 (en) Vascular bifurcation prosthesis with multiple linked thin fronds
US20080039919A1 (en) Prosthesis And Deployment Catheter For Treating Vascular Bifurcations
US20200253761A1 (en) Support for treating vascular bifurcations
JP2014158945A (ja) 半径方向の高い強度を備えたステ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80154352A1 (en) Stent Balloon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