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119A -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119A
KR20100082119A KR1020090001452A KR20090001452A KR20100082119A KR 20100082119 A KR20100082119 A KR 20100082119A KR 1020090001452 A KR1020090001452 A KR 1020090001452A KR 20090001452 A KR20090001452 A KR 20090001452A KR 20100082119 A KR20100082119 A KR 20100082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pouch
variable
electrode tab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3870B1 (ko
Inventor
김중헌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1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870B1/ko
Priority to JP2009274835A priority patent/JP5186470B2/ja
Priority to US12/643,750 priority patent/US8691430B2/en
Priority to CN200910215254A priority patent/CN101777666A/zh
Priority to EP10250026.1A priority patent/EP2216841B1/en
Publication of KR20100082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6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4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파우치와; 상기 전극조립체의 두 개의 전극탭 중 어느 하나의 전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른 하나의 전극탭과 나란하게 상기 파우치의 외부로 인출되는 가변탭;을 포함하여 상기 가변탭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탭에 대하여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파우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전극탭의 위치를 조립 공정 중에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특히 대면적을 갖는 전지에서 전지 팩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켜 소비자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파우치, 전극탭, 가변탭, 대면적 전지

Description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탭의 위치를 조절하기에 적합한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디오 카메라,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개인정보단말기(PDA) 등의 휴대용 무선기기와 전동공구 등은 제품의 경량화 및 고기능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들 제품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되는 전지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재충전이 가능한 리튬 이차전지는 리튬 원자의 가벼운 특성으로 인하여 기존의 납축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니켈-아연 전지 등과 비교하여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고, 급속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전지는 리튬과 수분의 반응성 때문에 비수성 전해질을 사용한다. 이러한 전해질은 리튬염을 함유하는 고체 폴리머이거나, 리튬염이 유기 용매에서 해리된 액상일 수 있다. 리튬염이 용해되는 용액은 대개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또는 다른 알킬기 함유 카보네이트나 유사한 유기화합물 로서, 50℃ 이상의 비등점과 실온에서 매우 낮은 증기압을 갖는다.
리튬 이차전지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서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금속 전지와 리튬 이온 전지, 그리고 고분자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는 금속 호일과 이 호일을 덮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 막으로 구성된 다층막 파우치를 리튬 이온 전지의 금속캔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다층막 파우치를 사용하면 금속캔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무게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다층막 파우치에서 호일을 이루는 금속은 통상 알루미늄이 사용된다. 또한, 파우치막의 내층을 이루는 폴리머 막은 전해질로부터 금속 호일을 보호함과 아울러 양극과 음극, 그리고 전극탭들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다층막 파우치를 사용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통상적으로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로 명명하고 있다.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양극, 세퍼레이터, 음극을 적층하거나, 적층 후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전극조립체를 파우치 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파우치의 개방된 가장자리부에서 상하 파우치막을 가열 융착시키면 밀봉된 파우치 형태의 베어셀(Bare cell) 전지가 제조된다.
그리고 이러한 베어셀(Bare cell) 전지에는 보호회로기판(PCM:Protecting Circuit Moudule)이나,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같은 부속품 혹은 구조체가 부착되어 코어 팩(Core Pack)전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코어 팩 전지를 하드 케이스 내에 결합시키면 완성된 하드 팩 전 지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는 파우치의 형상이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파우치의 외부로 전극 조립체와 접속된 제1전극탭 및 제2전극탭이 인출된다. 이때, 상기 제1 전극탭과 제2 전극탭은 항시 일정한 간격을 갖고 전극조립체에 부착되어 제조된다.
그러나 최근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에 의해 제조되는 전지 팩은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전극탭과 제2전극탭 사이의 간격이 다르게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시 전지가 적용되는 전지 팩의 설계 조건에 따라 전지의 제조 공정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우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전극탭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가능하도록 한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전지 팩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는데 적용하도록 한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파우치와; 상기 전극조립체의 두 개의 전극탭 중 어느 하나의 전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른 하나의 전극탭과 나란하게 상기 파우치의 외부로 인출되는 가변탭;을 포함한다.
상기 가변탭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가 구부러져 형성된 밴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탭과 결합되는 전극탭은 단부가 수직으로 절곡된 탭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탭의 밴딩부에 상기 전극탭의 탭결합부가 삽입되어 상기 가변탭과 상기 전극탭을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탭의 밴딩부와 상기 전극탭의 탭결합부는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탭의 탭결합부는 상기 파우치의 전면 실링부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탭의 밴딩부와 이와 결합되는 전극탭은 상기 파우치의 전면 실링부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탭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부가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탭과 결합되는 전극탭은 단부가 구부러져 형성된 밴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탭의 밴딩부에 상기 가변탭의 절곡부가 삽입되어 상기 가변탭과 상기 전극탭을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탭의 절곡부와 상기 전극탭의 밴딩부는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탭의 절곡부는 상기 파우치의 전면 실링부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탭의 절곡부와 이와 결합 되는 전극탭은 상기 파우치의 전면 실링부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탭은 재질이 상기 전극탭과 동일한 재질이거나, 또는 상기 가변탭은 전기적인 전도성을 갖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탭은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부에 부착된 전극탭과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탭이 연결되는 전극탭은 양극탭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파우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전극탭의 위치를 조립 공정 중에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히 대면적을 갖는 전지에서 전지 팩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켜 소비자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의 분해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에서 파우치의 내부에 전극조립체를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파우치를 조립한 후의 정면도로서, 도 2의 파우치를 뒤집은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100)는 전극조립체(110)와, 상기 전극조립체(110)가 수용되는 파우치(120)와, 상기 전극조립체(110)의 양극탭(114) 또는 음극탭(1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변탭(130)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조립체(110)는 전극집전체의 표면에 전극활물질층이 형성된 양극판
(111)과 음극판(112)을 형성하고, 양극판(111)과 음극판(112) 사이에는 유기 전해액이 함침된 세퍼레이터(113)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양극판(111)과 세퍼레이터
(113)와 음극판(112)을 순차적으로 적층 하거나, 또는 적층된 상태에서 젤리-롤 형태로 권취 하여 전극조립체(110)를 형성한다.
상기 전극조립체(110)의 양극판(111) 일측에는 양극탭(114)이 부착되고, 음극판
(112)의 일측에는 음극탭(115)이 부착되며, 젤리 롤(Jelly Roll) 상태에서 양극탭
(114)과 음극탭(115)은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치된다. 상기 양극탭(114)과 음극탭
(115)은 전극조립체(110)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음극탭(115)의 일부가 파우치(120)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양극탭(114)은 상기 가변탭(130)이 연결된 상태에서 양극탭(114)은 파우치(120)에 수용되고 가변탭(130)이 파우치
(120)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양극탭(114) 및 음극탭(115)은 일반적으로 금속, 대개는 알루미늄, 구리 또는 니켈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양극탭(114)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음극탭(115)은 니켈 또는 니켈 합금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양극탭 또는 음극탭의 재질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파우치(120)는 일반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직방형 파우치막을 한 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케이스(121)와, 하부 케이스(12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122)는 프레스 가공 등을 통해 상기 전극조립체(110)가 수용되는 홈(123)을 형성한다. 상기 파우치(120)의 상,하부 케이스(121)(122)를 구성하는 파우치막은 통상적으로 알루미늄 박막의 상면과 하면에 나일론,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로 덮여진 적층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파우치 내면은 열접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상부 케이스(121)와 하부 케이스(122)는 파우치막의 내면에 코팅된 열접착성 수지가 가열, 가압에 의하여 상호 융착되어 밀봉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상부 케이스(121)와 하부 케이스(122)가 실링되는 부위중 전면 부위는 전면 실링부(124)로 칭한다.
상기 가변탭(130)은 상기 양극탭(114) 또는 음극탭(1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가변탭(130)은 상기 전극조립체(110)의 외주부에 부착된 전극탭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극조립체(110)의 외주부에 양극탭(114)이 양극판(111)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가변탭(130)은 상기 양극탭(114)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변탭(130)은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의 단부가 구부러져 형성된 밴딩부(13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극탭(114)은 단부가 수직으로 절곡된 탭결합부(114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변탭(130)은 단부에 형성된 밴딩부(132)가 상기 양극탭(114)의 탭결합부(114a)에 결합된다. 즉, 상기 가변탭(130)의 몸체(131)와 밴딩부(132)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해 상기 양극탭(114)의 탭결합부(114a)가 삽입되어 결합 된다.
상기 양극탭(114)의 탭결합부(114a)는 파우치의 전면 실링부(124)와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탭결합부(114a)는 상기 가변탭(130)이 전면 실링부(124)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가변탭(130)은 재질이 상기 양극탭(114)과 동일 재질로 형성되거나, 전기적인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의 작용을 설명한다.
양극판(111)과 음극판(112) 사이에 세퍼레이터(113)가 개재된 상태로 권취된 전극조립체(110)를 파우치(120)의 하부 케이스(122)의 홈(123)에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전극조립체(110)에서 양극탭(114) 및 음극탭(115)이 하부 케이스(122)의 외부로 인출된다. 여기서 상기 양극탭(114)은 하부 케이스(122)의 전면 실링부(124)에 위치하고, 음극탭(115)은 전면 실링부(124)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양극탭(114)의 탭결합부(114a)에 상기 가변탭(130)을 결합한다. 즉, 상기 가변탭(130)의 밴딩부(132)에 상기 양극탭(114)의 탭결합부(114a)가 끼워진다. 그리고 가변탭(130)을 상기 양극탭(114)의 탭결합부(114a)에서 슬라이딩 시킨다. 이때, 가변탭(130)은 탭결합부(114a)의 길이만큼 좌우 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하므로 양극탭(114)이 본래 전극조립체(110)에서 인출된 위치에 대하여 전지 팩의 설계 조건이나, 또는 제조공정상의 필요에 의해 용이하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변탭(130)이 상기 양극탭(114)의 탭결합부(114a) 상에서 위치가 조절된 후에는 상기 밴딩부(132)와 탭결합부(114a)를 용접된다. 따라서 상기 가변탭(130)과 양극탭(114)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아울러 가변탭(130)은 양극탭(114)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파우치(120)의 상부 케이스(121)를 상기 하부 케이스(122)에 융착하면 가변탭(130)은 파우치(120)의 외부로 인출된다. 아울러 음극탭(115)도 파우치(120)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상기 전면 실링부(124)를 통해 인출된 상기 양극탭(114)과 음극탭(115)은 절연테이프(116)(117)를 부착하여 양극탭(114)과 음극 탭(115)의 상호 단락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에서 상기 양극탭(114)은 가변탭(1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변탭(130)이 양극탭(114)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를 설명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200)는 전극조립체(110)와, 상기 전극조립체(110)가 수용되는 파우치
(120)와, 상기 전극조립체(110)의 양극탭(214) 또는 음극탭(1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변탭(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극조립체(110), 음극탭(115) 및 파우치(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변탭(230)은 상기 양극탭(214) 또는 음극탭(1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극조립체
(110)의 외주부에서 부착된 양극탭(214)에 상기 가변탭(230)이 결합 된다.
상기 가변탭(230)은 몸체(231)와, 몸체(231)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부(2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양극탭(214)은 단부에 밴딩부(214a)가 형성된다.
상기 가변탭(230)은 상기 양극탭(214)의 밴딩부(214a)에 결합 된다. 즉 상기 가변탭(230)은 상기 양극탭(214)의 밴딩부(214a)를 통해 절곡부(232)가 삽입되어 결합 된다. 상기 가변탭(230)의 절곡부(232)는 상기 파우치의 전면 실링부(124)와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변탭(230)은 재질이 상기 양극탭(214)과 동일 재질로 형성되거나, 전기적인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양극탭(214)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음극탭(115)은 니켈 또는 니켈 합금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양극탭 또는 음극탭의 재질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의 작용을 설명한다.
양극판(111)과 음극판(112) 사이에 세퍼레이터(113)가 개재된 상태로 권취된 전극조립체(110)를 파우치(120)의 하부 케이스(122)의 홈(123) 내부에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전극조립체(110)에서 양극탭(214) 및 음극탭(115)이 하부 케이스(122)의 외부로 인출된다. 여기서 상기 양극탭(214)은 하부 케이스(122)의 전면 실링부
(124) 내에 위치하고, 음극탭(115)은 전면 실링부(124)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양극탭(214)에 상기 가변탭(230)을 결합한다. 즉, 상기 가변탭
(230)의 절곡부(232)가 상기 양극탭(214)의 밴딩부(214a)에 삽입된다. 이때, 가변탭(230)의 절곡부(232)는 상기 양극탭(214)의 밴딩부(214a)에서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양극탭(214)의 밴딩부(214a)에 대하여 가변탭(230)의 절곡부(233)가 슬라이딩되어 가변탭(230)의 몸체(231)의 위치가 조절된다.
따라서 양극탭(214)이 전극조립체(110)에서 인출된 위치에 대하여 상기 가변 탭(230)의 위치가 용이하게 조절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변탭(230)이 양극탭(214)에 대하여 위치가 조절된 후에 가변탭(230)의 절곡부(232)와 양극탭(214)의 밴딩부(214a)는 용접을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가변탭(230)과 양극탭(214)이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가변탭(230)이 양극탭(214)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파우치(120)의 상부 케이스(121)를 하부 케이스(122)와 융착하면 가변탭(230)과 음극탭(115)은 파우치(12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전면 실링부(124)의 내부에 상기 양극탭(214)과 가변탭(230)의 절곡부(232)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양극탭(214)과 가변탭(230)의 절곡부(232) 및 음극탭(115)은 절연테이프(116)(117)를 부착시켜 상호 단락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는 상기 양극탭(214)이 가변탭(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가변탭(230)은 양극탭(214)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파우치의 내부에 전극조립체를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파우치를 조립한 후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파우치의 내부에 전극조립체를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파우치를 조립한 후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의 일 실시예
110 ; 전극조립체 111 ; 양극판
112 ; 음극판 113 ; 세퍼레이터
114 ; 양극탭 114a ; 양극탭의 탭결합부
115 ; 음극탭 116,117 ; 절연테이프
120 ; 파우치 121,122 ; 상,하부 케이스
123 ; 홈 124 ; 전면 실링부
130 ; 가변탭 131 ; 가변탭의 몸체
132 ; 가변탭의 밴딩부
200 ;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의 다른 실시예
214 ; 양극탭 214a ; 양극탭의 밴딩부
230 ; 가변탭 231 ; 가변탭의 몸체
232 ; 가변탭의 절곡부

Claims (17)

  1.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파우치와;
    상기 전극조립체의 두 개의 전극탭 중 어느 하나의 전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른 하나의 전극탭과 나란하게 상기 파우치의 외부로 인출되는 가변탭;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탭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가 구부러져 형성된 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탭과 결합되는 전극탭은 단부가 수직으로 절곡된 탭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탭의 밴딩부에 상기 전극탭의 탭결합부가 삽입되어 상기 가변탭과 상기 전극탭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탭의 밴딩부와 상기 전극탭의 탭결합부는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의 탭결합부는 상기 파우치의 전면 실링부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탭의 밴딩부와 이와 결합되는 전극탭은 상기 파우치의 전면 실링부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탭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부가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탭과 결합되는 전극탭은 단부가 구부러져 형성된 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의 밴딩부에 상기 가변탭의 절곡부가 삽입되어 상기 가변탭과 상기 전극탭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탭의 절곡부와 상기 전극탭의 밴딩부는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탭의 절곡부는 상기 파우치의 전면 실링부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탭의 절곡부와 이와 결합되는 전극탭은 상기 파우치의 전면 실링부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탭은 재질이 상기 전극탭과 동일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탭은 전기적인 전도성을 갖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탭은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부에 부착된 전극탭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탭이 연결되는 전극탭은 양극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KR1020090001452A 2009-01-08 2009-01-08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KR101023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452A KR101023870B1 (ko) 2009-01-08 2009-01-08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JP2009274835A JP5186470B2 (ja) 2009-01-08 2009-12-02 パウチ型リチウム二次電池
US12/643,750 US8691430B2 (en) 2009-01-08 2009-12-21 Pouch-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 variable tab
CN200910215254A CN101777666A (zh) 2009-01-08 2009-12-31 袋型锂二次电池
EP10250026.1A EP2216841B1 (en) 2009-01-08 2010-01-08 Pouch-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452A KR101023870B1 (ko) 2009-01-08 2009-01-08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119A true KR20100082119A (ko) 2010-07-16
KR101023870B1 KR101023870B1 (ko) 2011-03-22

Family

ID=4210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452A KR101023870B1 (ko) 2009-01-08 2009-01-08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91430B2 (ko)
EP (1) EP2216841B1 (ko)
JP (1) JP5186470B2 (ko)
KR (1) KR101023870B1 (ko)
CN (1) CN1017776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5113A (ko) * 2015-11-11 2017-05-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돌출 연장부와 탭 연결부를 구비한 전극 리드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1429B2 (en) * 2008-10-14 2014-04-08 Samsung Sdi Co., Ltd. Polymer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589534B2 (ja) * 2010-04-28 2014-09-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扁平型電池
US9095077B2 (en) 2011-11-30 2015-07-28 Apple Inc. Graphene heat dissipators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403388B1 (ko) 2012-05-07 2014-06-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정형 구조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40015769A (ko) * 2012-07-24 2014-0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20140050955A1 (en) * 2012-08-15 2014-02-20 Apple Inc. Mechanical support structure in a battery pouch
US20140212701A1 (en) * 2013-01-29 2014-07-31 Samsung Sdi Co., Ltd. Battery cell
KR101603087B1 (ko) * 2013-03-04 2016-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부 단락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셀
WO2014152171A1 (en) * 2013-03-14 2014-09-25 Solicore, Inc. Batteries comprising a multilayer dielectric and sealing film and method of making the batteries
KR101808312B1 (ko) * 2013-09-26 2017-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이에 적용되는 전극 리드 조립체
KR102210460B1 (ko) * 2014-04-24 2021-02-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배터리 셀 조립체
KR101784743B1 (ko) * 2015-01-23 2017-11-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10095284B2 (en) * 2016-01-29 2018-10-09 Ht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924428B1 (ko) * 2017-11-20 2018-12-03 주식회사 리베스트 플렉서블 전지용 금속탭
KR20210009207A (ko) * 2019-07-16 2021-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E102021001982A1 (de) * 2021-04-15 2021-12-02 Daimler Ag Zellverbinder und Verfahren zum Kontaktieren wenigstens zweier galvanischer Zellen
KR20230048764A (ko) * 2021-10-05 2023-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33604T2 (de) 1997-11-05 2006-12-21 Philips Consumer Communications France Batterieeinheit und tragbare batteriebetriebene Vorrichtung mit einer solchen Batterieeinheit
US6653018B2 (en) 2000-03-17 2003-11-25 Tdk Corporation Electrochemical device
JP2001307696A (ja) 2000-04-21 2001-11-02 Tookado:Kk 電池パック
JP2002358947A (ja) * 2001-06-01 2002-12-13 Tdk Corp 電気化学デバイス
JP4984358B2 (ja) * 2001-07-31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電池及び電池パック
JP4283518B2 (ja) * 2002-10-07 2009-06-24 Tdk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
JP5013666B2 (ja) 2003-10-17 2012-08-29 ソニー株式会社 外装フィルムを使用した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KR20060071813A (ko) 2004-12-22 2006-06-27 남도현 이동통신 단말기용 전지팩 및 그 제조방법
KR100857034B1 (ko) 2005-03-25 2008-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난연성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
KR100686814B1 (ko) 2005-04-26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폴리머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JP2006324114A (ja) 2005-05-18 2006-11-30 Ngk Spark Plug Co Ltd 薄型電池
KR20080025437A (ko) 2006-09-18 2008-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하고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JP2008091036A (ja) 2006-09-29 2008-04-17 Nec Tokin Corp 組電池
KR101048226B1 (ko) * 2007-01-25 2011-07-0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US8691429B2 (en) 2008-10-14 2014-04-08 Samsung Sdi Co., Ltd. Polymer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470918B2 (ja) * 2009-03-05 2014-04-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扁平型電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5113A (ko) * 2015-11-11 2017-05-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돌출 연장부와 탭 연결부를 구비한 전극 리드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61066A (ja) 2010-07-22
KR101023870B1 (ko) 2011-03-22
EP2216841B1 (en) 2016-04-20
JP5186470B2 (ja) 2013-04-17
US8691430B2 (en) 2014-04-08
CN101777666A (zh) 2010-07-14
EP2216841A1 (en) 2010-08-11
US20100173193A1 (en)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870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US7201998B2 (en) Pouch-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0496305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와 이의 제조 방법
JP4579880B2 (ja) 二次電池
US8034481B2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JP4628682B2 (ja) 電池部ユニット及びこ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2次電池
EP1901369B1 (en) Secondary battery having electrode terminal whose position is adjustable and improved safety
KR100719713B1 (ko) 리튬 이온 전지
US20090111011A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KR101146465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97149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US8546005B2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KR20130025165A (ko)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 팩
KR102332343B1 (ko) 전지 모듈
CN105684183A (zh) 包括用于保护电极突片-引线接合部的膜件的袋状电池单元
KR100635743B1 (ko) 이차 전지
KR102179687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31437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1308242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070056425A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20080034369A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KR100659887B1 (ko)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101386168B1 (ko)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 팩
KR102637306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96288A (ko) 파우치형 리튬이온 폴리머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