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713B1 - 리튬 이온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713B1
KR100719713B1 KR1020050134547A KR20050134547A KR100719713B1 KR 100719713 B1 KR100719713 B1 KR 100719713B1 KR 1020050134547 A KR1020050134547 A KR 1020050134547A KR 20050134547 A KR20050134547 A KR 20050134547A KR 100719713 B1 KR100719713 B1 KR 100719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 plate
plate
lithium ion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헌
이형복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4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713B1/ko
Priority to US11/646,386 priority patent/US831834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3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with folded construction elements except wound ones, i.e. folded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s or separators, e.g. with "Z"-shaped electrodes or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조립체의 형성에 있어 전극판을 권취하거나 다중 적층하지 않음으로써 초박형 대면적 전극판을 구비하는 리튬 이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전지, 파우치형

Description

리튬 이온 전지{Lithium ion batter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온 전지의 분리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의 결합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수직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의 결합도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수직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리튬 이온 전지 150 - 상부케이스
160 - 하부케이스 162 - 공간부
164 - 밀폐면 180 - 케이스
200 - 전극조립체 202, 222 - 제 1전극판(양극판)
204, 224 - 양극집전체 206, 226 - 양극활물질층
208, 218 - 양극무지부 210 - 세퍼레이터
212, 232 - 제 2전극판(음극판) 214, 224 - 음극집전체
216, 236 - 음극활물질층 220 - 양극탭
228 - 음극무지부 240 - 음극탭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조립체의 형성에 있어 전극판을 권취하거나 다중 적층하지 않음으로써 초박형 대면적 전극판을 구비하는 리튬 이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카메라,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개인정보단말기(PDA) 등의 휴대용 무선기기 제품과 전동공구 등의 경량화 및 고기능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들 제품의 구동 전원으로서 사용되는 전지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리튬 이차전지는 리튬 원자의 가벼운 특성으로 인하여 기존의 납축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니켈-아연 전지 등과 비교하여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고, 급속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리튬과 수분의 반응성 때문에 비수성 전해질을 사용한다. 이 전해질은 리튬염을 함유하는 고체 폴리머이거나, 리튬염이 유기 용매에서 해리된 액상일 수 있다. 리튬염이 용해되는 용액은 대개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또는 다른 알킬기 함유 카보네이트나 유사한 유기화합물로서, 50℃ 이상의 비등점과 실온에서 매우 낮은 증기압을 갖는다. 리튬 이차전지는 전해질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금속 전지와 리튬 이온 전지, 그리고 고분자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는 고분자 고체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유기 전해액이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은 완전 고체형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와, 유기 전해액을 함유하고 있는 겔(gel)형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로 나눌 수 있다.
완전 고체형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경우에는 유기 전해액의 누출문제가 없고, 유기 전해액을 함유하는 겔형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경우에는 유기 전해액의 누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와 비교할 때,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경우 전해액의 누출 문제는 보다 간이한 형태로 방지될 수 있다. 가령,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는 금속 호일과 이 호일을 덮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 막으로 구성된 다층막 파우치를 리튬 이온 전지의 금속캔 대신 사용할 수 있다. 다층막 파우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금속캔을 사용할 때보다 전지의 무게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층막 파우치에서 호일을 이루는 금속으로 통상 알루미늄이 이용된다. 파우치막 내층을 이루는 폴리머 막은 전해질로부터 금속 호일을 보호함과 아울러, 양극과 음극, 그리고 전극탭들 사이의 단락을 방지한다.
파우치의 형성 방법의 일례를 살펴보면, 먼저 파우치막을 접철한 부분이 이루는 한 변을 제외한 세 개 변의 가장자리부는 대개 일체로 형성되는 직사각형 파우치막을 한 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간을 접철하여 파우치의 상부, 하부를 이룬다. 하부에는 프레스(press) 가공 등을 통해 전지셀이 수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분리된 극판을 수장 적층하여 각 극판에서 전극탭을 인출한 후 이들 전극탭 들을 용접한 적층형(stacking) 전극조립체를 사용한 경우도 있으나, 통상은 양극판, 세퍼레이터, 음극판의 순서로 적층된 다층막을 와형으로 권취하여 젤리 롤 형태로 형성한다. 젤리 롤을 형성할 때 양극과 음극의 단락을 막기 위해 롤(roll)의 외부로 드러나는 전극면에는 세퍼레이터가 덧붙여진다. 형성된 젤리 롤은 파우치막의 하부 홈에 놓여진다. 하부 홈 주위의 네 변 가운데 파우치막의 상하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가열 가압하여 밀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중 적층형 또는 권취형의 경우 현 수준에서 개발 및 양산이 가능한 전지의 사이즈는 제한되어 있으며, 그 이상 사이즈의 전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전지를 직렬 또는 병렬 연결하여 팩전지로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이 경우 전기회로의 구성 및 팩전지 구성을 위해 추가공정과 단가가 소요되며, 전지의 총 부피가 현저히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대용량을 필요로 하는 전기/전자 제품에 팩전지의 형태로 사용하지 않고서도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복수개의 전지 사용으로 인한 전기회로의 구성과 팩전지 구성이 불필요하게 되어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리튬 이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트북 컴퓨터와 같이 초박형의 전지를 필요로 하면서도, 대면적의 전지 장착이 가능한 전기/전자 제품에 적합한 리튬 이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의 리튬 이온 전지는, 전극판이 V자 형태로 접힌 제 1전극판과, 상기 제 1전극판의 내측면에 삽입된 제 2전극판과, 상기 제 1전극판과 상기 제 2전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제 1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는 제 1전극탭; 및 상기 제 2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는 제 2전극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전극조립체는 직사각형 형상 또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조립체의 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는 150mm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는 가로 길이가 100mm, 세로 길이가 200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전극탭과 상기 제 2전극탭은 모두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가로 부분에 형성되거나 모두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세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전극탭은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가로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 2전극탭은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세로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전극판의 내측면과 상기 제 2전극판의 양측면에는 각각 제 1전극활물질과 제 2전극활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제 1전극판의 접히는 부분은 제 1전극 무지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의 리튬 이온 전지는, 전극판이 V자 형태로 접힌 제 1전극판과, V자 형태로 접히되 상기 제 1전극판의 V자 형태와 열린 부분끼리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전극판과 교대로 적층되도록 서로 맞물리게 형성된 제 2전극판과, 상기 제 1전극판과 상기 제 2전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제 1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는 제 1전극탭; 및 상기 제 2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는 제 2전극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전극조립체는 직사각형 형상 또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전극탭과 상기 제 2전극탭은 모두 상기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가로 부분에 형성되거나 모두 상기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세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전극탭은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가로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 2전극탭은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세로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전극판과 상기 제 2전극판 중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에 해당하는 표면은 전극무지부로 형성되고 나머지 모든 면에 각각 제 1전극활물질과 제 2전극활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제 1전극판의 접히는 부분 및 상기 제 2전극판이 접히는 부분은 전극무지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 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전극판과 제 2전극판의 결합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전극판과 제 2전극판의 결합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리튬 이온 전지의 베어셀(100)은, 도 1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200)와 상기 전극조립체(200)를 수용하는 파우치형의 케이스(18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전극조립체(200)는 제 1전극탭(220)과 제 2전극탭(240)을 구비하며, 상기 제 1전극탭(220)과 제 2전극탭(240)은 상기 케이스(180) 외부로 인출되도록 형성된다. 겔형 리튬 이온 전지의 경우, 상기 케이스(180) 내부에는 전해액 주입공(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전해액이 주입되며, 전해액이 주입된 후에 상기 케이스(180)는 밀봉된다. 완전고체형 리튬 이온 전지의 경우, 유연성을 가지는 고분자 소재, 예컨대 폴리에틸렌(PE) 재질의 세퍼레이터(210) 상에 반도체형의 고분자전해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전해액을 주입하지 않고서도 리튬 이차전지로서의 작동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180)는 금속호일과 상기 금속호일을 덮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 막으로 구성된 다층막 파우치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80)는 상부케이스(150)와, 상기 상부케이스(150)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160)를 포함한다. 결합된 상부케이스(150) 및 하부케이스(160)의 외형은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전극조립체(200)의 외형과 상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80)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으 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기서 상기 케이스(18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부 및 하부케이스(150)(160)는 적어도 한 변이 일체로 접하여져 있으며, 다른 변들은 상호 개방되어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160)에는 상기 전극조립체(200)가 수용되는 공간부(1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16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밀폐면(16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폐면(164)은 상기 전극조립체(200)가 공간부(162) 내에 수용된 다음에 열융착에 의하여 밀봉되는 부분이다.
상기 전극조립체(200)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 1전극판(202)과, 제 2전극판(212)과, 상기 제 1전극판(202) 및 제 2전극판(212)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21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전극조립체(200)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기서 상기 전극조립체(20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제 1전극을 양극, 제 2전극을 음극으로 가정하고 설명을 전개한다. 상기 제 1전극이 음극, 제 2전극판이 양극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여기서 극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전극판(202)(이하, 양극판이라 한다)은 금속박판으로 된 양극집전체(204)와, 상기 양극집전체(204)의 일 면에 코팅되는 양극활물질층(206)을 구비한다. 상기 양극집전체(204)는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박판인 알루미늄 박판이 바람직하고, 상기 양극활물질층(206)으로는 리튬계산화물에 바인더, 가소제, 도전재 등이 혼합된 조성물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양극판(202)이 접히는 부분은 양극활물질층(206)이 존재하지 않는 양극집전체(204) 부분인 양극무지부(208)가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양극판(202)이 접히는 부분에 양극무지부(208)가 형성되는 이유는, 양극 판(202)이 접힐 때, 접히는 부분의 내측면에 존재하는 양극활물질층(206)이 탈리될 수 있고 또한, 접히는 부분은 음극활물질층(216)과 대향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양극판(202)에는 양극탭(220)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양극탭(220)의 단부측 외면에는 소정폭의 보호테이프가 감길 수 있다.
상기 제 2전극판(212)(이하, 음극판이라 한다)은 금속박판으로 된 음극집전체(214)와 상기 음극집전체(214)의 양 면에 코팅되는 음극활물질층(216)을 구비한다. 상기 음극집전체(214)는 우수한 도전성을 가지는 구리박판이 바람직하고, 상기 음극활물질층(216)으로는 탄소재와 같은 음극활물질에 바인더, 가소제, 도전재 등이 혼합된 조성물이 사용된다. 상기 음극판(212)에는 음극탭(240)이 부착되며, 상기 음극탭(240)의 단부측 외면에도 소정폭의 보호테이프가 감길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210)는 상기 양극판(202)과 음극판(212)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전극조립체(200)의 외주면을 둘러 싸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210)는 상기 양극판(202)과 음극판(212)의 단락을 방지하며, 리튬 이온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다공막 고분자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양극판(202)은, 도 2a를 참조하면, V자 형태로 접히고, 상기 양극판(202)의 내측면에 상기 음극판(212)이 삽입된다. 즉, 상기 양극판(202) V자의 열린 부분에 상기 음극판(212)이 삽입되는 형태이다. 상기 양극판(202)은 V자형의 내측면, 즉 상기 음극판(212)과 대향하는 부분에만 양극활물질층(206)이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양극무지부(208)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양극판(222)이 V자 형태로 접히고, 상기 음극판(232) 역시 V자 형태로 접히면서 상기 양극판(222)의 V자 형태와 열린 부분끼리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양극판(222)과 음극판(232)이 교대로 적층되도록 서로 맞물리게 형성된다. 이 경우 양극판(222)은, 내측면을 이루는 두 면과, 외측면 중 전극조립체(200)의 외주면을 이루지 않는 면에 양극활물질층(226)이 형성된다. 또한 음극판(232)은, 두 내측면과 외측면 중 전극조립체(200)의 외주면을 이루지 않는 면에 음극활물질층(236)이 형성된다.
이렇게 양극판과 음극판을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권취형 또는 적층형 전극조립체에서는 가능하지 않던 대면적의 전극조립체 형성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조립체(200)의 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는 150mm 이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200)는 가로 길이가 100mm, 세로 길이가 200mm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초박형의 전극조립체 형성이 가능하므로 노트북 컴퓨터 등 전지의 두께가 얇을 필요가 있는 전자제품에 적용되기에 적당한 구조가 된다.
상기 양극탭(220)과 음극탭(240)은,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면, 모두 상기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의 가로 부분에 형성되거나 모두 세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탭(220)은 상기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의 가로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음극탭(240)은 세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전지가 적용될 전자 제품의 회로 구성에 상응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양극탭과 음극탭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극조립체(200)는 공간부(162)가 마련된 하부케이스(160)에 장착된다. 이 때, 상기 전극조립체(200)의 각 극판(202)(2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탭(220) 및 음극탭(240)의 단부는 밀봉되는 케이스(180)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200)가 안착된 다음에는 상기 공간부(16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밀폐면(164)에 소정의 열과 압력을 가하여 밀봉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밀폐면(164)은 상기 공간부(162)의 가장 자리를 따라 케이스(180)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소정폭을 유지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온 전지에 의하면, 기존의 권취형 또는 적층형 전극조립체의 경우 대면적의 전지를 제조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 대용량을 필요로 하는 전기/전자 제품에 팩전지의 형태로 사용하지 않고서도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복수개의 전지 사용으로 인한 전기회로의 구성과 팩전지 구성이 불필요하게 되어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트북 컴퓨터와 같이 초박형의 전지를 필요로 하면서도, 대면적의 전지 장착이 가능한 전기/전자 제품에 적용되어, 제품에서 배터리가 차지하는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단면이 V자 형태를 이루도록 접힌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1 전극판의 내측면에 삽입되며 상기 제 1 전극판과 반대 극성을 가진 제 2 전극판과,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제 1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는 제 1 전극탭; 및 상기 제 2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는 제 2 전극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극조립체는 직사각형 형상 또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극탭은 전극조립체의 가로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탭은 상기 전극조립체의 세로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는 150m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가로 길이가 100mm, 세로 길이가 200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극판의 내측면과 상기 제 2전극판의 양측면에는 각각 제 1전극활물질과 제 2전극활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제 1전극판의 접히는 부분은 제 1전극 무지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8. 전극판이 V자 형태로 접힌 제 1 전극판과, V자 형태로 접히되 상기 제 1 전극판의 V자 형태와 열린 부분끼리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전극판과 교대로 적층되도록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는 상기 제 1 전극판과 반대 극성을 가진 제 2 전극판과, 상기 제 1 전극판과 상기 제 2 전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제 1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는 제 1 전극탭; 및 상기 제 2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는 제 2 전극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극조립체는 직사각형 형상 또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극탭은 전극조립체의 가로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탭은 상기 전극조립체의 세로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직사각형 형상 또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극탭과 상기 제 2전극탭은 모두 상기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가로 부분에 형성되거나 모두 상기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세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극탭은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가로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 2전극탭은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세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극판과 상기 제 2전극판 중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주면에 해당하는 표면은 전극무지부로 형성되고 나머지 모든 면에 각각 제 1전극활물질과 제 2전극활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제 1전극판의 접히는 부분 및 상기 제 2전극판이 접히는 부분은 전극무지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KR1020050134547A 2005-12-29 2005-12-29 리튬 이온 전지 KR100719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547A KR100719713B1 (ko) 2005-12-29 2005-12-29 리튬 이온 전지
US11/646,386 US8318346B2 (en) 2005-12-29 2006-12-28 Lithium ion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547A KR100719713B1 (ko) 2005-12-29 2005-12-29 리튬 이온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713B1 true KR100719713B1 (ko) 2007-05-17

Family

ID=38224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4547A KR100719713B1 (ko) 2005-12-29 2005-12-29 리튬 이온 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18346B2 (ko)
KR (1) KR1007197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2586B2 (en) 2009-12-07 2016-06-07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WO2021177681A1 (ko) * 2020-03-04 2021-09-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25568B (zh) * 2007-10-29 2010-12-2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及具有该电池的便携式电子装置
TWI416533B (zh) * 2007-11-30 2013-11-21 Chi Mei Comm Systems Inc 電池及具該電池之攜帶型電子裝置
EP3499609B1 (en) * 2009-05-20 2023-11-22 Clarios Advanced Solutions LLC Lithium ion battery module
US20110117463A1 (en) * 2009-11-17 2011-05-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 Inc. Battery 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assembly
KR101053208B1 (ko) * 2010-02-09 2011-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접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CN102361068A (zh) * 2011-10-24 2012-02-22 深圳市格瑞普电池有限公司 锂离子电池用极片及叠片锂离子电池及制备方法
JP6095961B2 (ja) 2011-12-06 2017-03-1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角形リチウム二次電池
CN102637906B (zh) * 2012-04-06 2015-01-07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卷绕结构锂离子电池的制备方法
DE102012014123A1 (de) * 2012-07-17 2014-01-23 Li-Tec Battery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odenstapels einer elektrochemischen Zelle und Elektrodenstapel einer elektrochemischen Zelle
KR101439834B1 (ko) 2012-11-08 2014-09-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렉서블 젤리롤 타입 2차 전지
US9718997B2 (en) * 2013-11-13 2017-08-01 R.R. Donnelley & Sons Company Battery
JP6357776B2 (ja) * 2014-01-06 2018-07-1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CN113707843B (zh) * 2021-09-29 2023-05-16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电芯及电化学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0925A (ja) * 1990-11-01 1992-06-18 Terada Norio 防水式拭き取り具
JPH0613065A (ja) * 1992-06-29 1994-01-21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の電極体の製造方法
JP2000222155A (ja) * 1999-02-04 2000-08-11 Fujitsu Ltd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1319679A (ja) 2000-05-12 2001-11-1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 池
JP2002042855A (ja) 2000-07-24 2002-02-08 Mitsubishi Chemicals Corp 平板状積層型電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7413B2 (ja) 1993-08-17 2002-04-22 ソニー株式会社 角形バッテリー
US5501917A (en) * 1994-01-28 1996-03-26 Hong; Kuochih Hydrogen storage material and nickel hydride batteries using same
EP0825659B1 (en) * 1996-08-22 2007-07-18 Dai Nippon Printing Co., Ltd. Electrode plate for secondary battery with nonaqueous electrolyt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H10172607A (ja) 1996-12-05 1998-06-26 Mitsubishi Cable Ind Ltd シート状リチウム二次電池
US6875540B2 (en) * 1997-07-29 2005-04-05 Ngk Insulators,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0291918B1 (ko) * 1998-08-29 2001-06-01 김순택 플라스틱리튬이온전지의외장재
TW466790B (en) 1999-03-25 2001-12-01 Sanyo Electric Co Rectangular battery
JP4124972B2 (ja) * 2001-02-23 2008-07-23 Necトーキン株式会社 積層型リチウムイオン電池
US6740446B2 (en) * 2001-02-28 2004-05-25 Ovonic Battery Company, Inc. Electrochemical cell with zigzag electrod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0925A (ja) * 1990-11-01 1992-06-18 Terada Norio 防水式拭き取り具
JPH0613065A (ja) * 1992-06-29 1994-01-21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の電極体の製造方法
JP2000222155A (ja) * 1999-02-04 2000-08-11 Fujitsu Ltd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1319679A (ja) 2000-05-12 2001-11-1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 池
JP2002042855A (ja) 2000-07-24 2002-02-08 Mitsubishi Chemicals Corp 平板状積層型電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2586B2 (en) 2009-12-07 2016-06-07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WO2021177681A1 (ko) * 2020-03-04 2021-09-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4600289A (zh) * 2020-03-04 2022-06-07 株式会社Lg新能源 电极组件及其制造方法
JP2022552358A (ja) * 2020-03-04 2022-12-15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電極組立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870039B2 (en) 2020-03-04 2024-01-09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54795A1 (en) 2007-07-05
US8318346B2 (en) 201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713B1 (ko) 리튬 이온 전지
US7585589B2 (en) Pouch-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EP2802025B1 (en) Battery cell having stair-like structure
US10056577B2 (en) Battery cell of novel structure
KR100742109B1 (ko) 비수성-전해질 2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4628682B2 (ja) 電池部ユニット及びこ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2次電池
US9077027B2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US20150086842A1 (en) Battery pack of irregular structure
KR101499471B1 (ko)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이차전지
US9548513B2 (en) Thin film lithium-ion battery
KR20180058370A (ko) 전극판의 경계 부위에 절연 보강부가 형성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KR100922742B1 (ko) 파우치형 케이스와, 이를 적용한 리튬 이차 전지
KR100966604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20210025995A (ko)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102278443B1 (ko) 이차 전지
KR101297014B1 (ko) 이차 전지
KR101515672B1 (ko) 2 이상의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이에 의한 전기 화학 소자
KR20170025772A (ko) 외주변이 절곡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US20210043881A1 (en) Battery cell insulation and wettability
KR101308242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0580767B1 (ko) 파우치형 리튬이온 폴리머전지
KR101243445B1 (ko) 리튬 이차전지
KR101593268B1 (ko) 복수개의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898069B1 (ko) 리튬 이온 전지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전지
KR20120130557A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