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7751A -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 및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와 수신부 및 인터페이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 및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와 수신부 및 인터페이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7751A
KR20100077751A KR1020080135785A KR20080135785A KR20100077751A KR 20100077751 A KR20100077751 A KR 20100077751A KR 1020080135785 A KR1020080135785 A KR 1020080135785A KR 20080135785 A KR20080135785 A KR 20080135785A KR 20100077751 A KR20100077751 A KR 20100077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ransmission line
current
differenti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0289B1 (ko
Inventor
홍주표
김준호
최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to KR1020080135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289B1/ko
Priority to US13/142,409 priority patent/US8842745B2/en
Priority to CN200980153077.XA priority patent/CN102282618B/zh
Priority to JP2011544356A priority patent/JP5890685B2/ja
Priority to PCT/KR2009/007194 priority patent/WO2010076978A2/ko
Priority to TW098143674A priority patent/TWI410056B/zh
Publication of KR20100077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72Arrangements for coupling to multiple lines, e.g. for differential transmis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7581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programm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8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end
    • H04L25/0282Provision for current-mod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91Transmitter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41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using special codes as synchronising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송선의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 수신부 및 이를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 수신부 및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의하면 하나의 반도체 칩에서 전송라인의 상태에 따라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공통부분을 공유함으로써 설계시간을 단축시키고 레이아웃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동전류구동방식, 차동전압구동방식, 송신부, 수신부, 종단저항,

Description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 및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와 수신부 및 인터페이스 시스템{Transmitter of the differential voltage driving mode and Transmitter, receiver and interface system capable of selective adaption of the differential current driving mode and the differential voltage driving mode}
본 발명은 전송선의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 수신부 및 이를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속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있어서 종래에는 차동전송라인 쌍(differential transmission line pair)에 서로 다른 크기의 전류를 전송하고 두 개의 전송라인 사이의 전류차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차동전류구동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차동전류구동방식은 송신부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전류를 생성시켜 두 개의 전송라인을 통해 전송하게 되며, 수신부에서는 두 개의 전송라인에 흐르는 전류차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원한다. 이는 단일전류구동방식에 비해 잡음(noise)에 대한 전송신호의 왜곡(distortion)은 작지만, 두 전송라인들의 물리적 위치와 두 전송라인들의 기생저항(parasitic resistance), 기생인덕턴스(parasitic inductance) 및 기생커패시턴스(parasitic capacitance)에 의해 전송라인들 사이의 신호간섭(interference)이 발생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송신부로부터 수신부로 흐르는 2개의 차동전류는, 상기 2개의 차동전류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2개의 전류원(current source) 각각이 동일한 크기의 전류 값을 생성(source)하거나 싱크(sink)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인데, 공정편차에 의해 실제로는 동일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수신부에 배치된 전류원에서 공급하거나 싱크하는 전류가 전송라인을 통해 유입된 잡음에 의해 왜곡이 발생할 경우 차동전류신호의 품질은 저하된다.
이를 요약하면, 두 전송라인간의 신호간섭으로 인해 전송신호는 왜곡되고, 전송라인의 시정수가 증가하게 되어 신호의 천이시간(transient time)이 증가하여 결국 신호의 전송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은 종래의 방법에 따른 차동전류구동 시스템의 송신부로부터 출력되는 트루라인의 신호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이유로 2개의 차동전류를 생성하는 전류원이 서로 다른 크기의 전류 값을 생성시킬 경우, 트루라인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뀔 때 마다 일정한 편차(α) 즉 오프셋(offset) 만큼 크기가 쉬프트(shift)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는 종래의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은 불완전한 상태이며, 이러한 문제점이 없는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차동전류구동방식의 송신기,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있으나, 종래의 차동전류구동방식의 경우 한정된 전류 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므로 전송 라인의 로드가 클 경우 신호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남아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과제는, 전송라인에 인가되는 전압 형태의 데이터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서 데이터를 수신부에 송신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과제는, 전압원과 전류원을 구비하고 전송라인의 상태에 따라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과제는, 전송라인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방향을 감지하여 송신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복원하는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신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과제는, 전송라인에 인가되는 전 압 또는 전류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는, 전압원, 전송방향선택블록 및 평형스위치블록을 구비한다. 상기 전압원은 전송라인 쌍에 전압을 공급하거나 상기 전송라인 쌍으로부터 전압을 싱크한다.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은 상기 전송라인 쌍 중 하나의 전송라인에 상기 전압원으로부터 공급된 전압 형태의 데이터를 전달하고 나머지 하나의 전송라인에 흐르는 전압 형태의 데이터를 상기 전압원으로 전달한다. 평형스위치블록은 상기 전송라인 쌍을 평형상태로 초기화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는 전송라인 쌍(TX+, TX-)에 전압을 공급하거나 상기 전송라인 쌍으로부터 전압 을 싱크하는 전압원, 상기 전송라인 쌍(TX+, TX-)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상기 전송라인 쌍으로부터 전류를 싱크하는 전류원, 상기 전압원 또는 상기 전류원을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시키는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원이 인에이블된 경우, 상기 전송라인 쌍(TX+, TX-) 중 어느 하나의 전송라인에 상기 전압원으로부터 전압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의 전송라인에 흐르는 전압을 상기 전압원으로 싱크하며, 상기 전류원이 인에이블된 경우, 상기 전송라인 쌍(TX+, TX-) 중 어느 하나의 전송라인에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하고 다른 하나의 전송라인에 흐르는 전류를 상기 전류원으로 싱크하는 전송방향선택블록 및 상기 전송라인 쌍(TX+, TX-)을 평형상태로 초기화하는 평형스위치블록을 구비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신부는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 종단저항(Rt) 및 상기 종단저항(Rt)의 양 단자의 전압차이를 증폭하는 차동증폭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종단저항은 임피던스 매칭 등의 필요에 따라 가변적이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2개의 전송라인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와 상기 2개의 전송라인으로 연결된 수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송신부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따라 상기 2개의 전송라인으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상기 2개의 전송라인으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2개의 전송라인으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상기 2개의 전송라인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검출하여 상기 데이터를 복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는 전류에 제한이 없으므로 전송라인의 로드가 클 경우에도 왜곡이 없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 수신부 및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의하면 하나의 반도체 칩에 서 전송라인의 상태에 따라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공통부분을 공유함으로써 설계시간을 단축시키고 레이아웃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200)는 전압원(210), 전송방향선택블록(220), 평형스위치블록(230) 및 프리엠퍼시스 회로(240)를 구비한다.
전압원(210)은 전송라인 쌍(TX+, TX-)에 전압을 공급(source)하거나 상기 전송라인 쌍으로부터 전압을 싱크(sink)하는 2개의 전압원(211, 212)을 구비한다. 제1전압원(211)은 일 단자가 제1전압(VDD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220)의 제1단자(n1)에 연결되며,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제1단자(n1)에 공급한다.
제2전압원(212)은 일 단자가 제2전압(VSS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220)의 제2단자(n2)에 연결되며,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제2단자로부터 싱크한다. 제1전압(VDD1)의 전압준위는 제2전압(VSS1)의 전압준위에 비해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전송방향선택블록(220)은 전송라인 쌍(TX+, TX-) 중 어느 하나의 전송라인에 제1전압원(21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형태의 데이터를 전달하고 다른 하나의 전 송라인에 흐르는 전압 형태의 데이터를 제2전압원(212)으로 전달하며, 4개의 선택스위치들(SW1~SW4)을 구비한다.
제1선택스위치(SW1)는 일 단자가 제1단자(n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다. 제2선택스위치(SW2)는 일 단자가 제2단자(n2)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된다. 제3선택스위치(SW3)는 일 단자가 제1단자(n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된다. 제4선택스위치(SW4)는 일 단자가 제2단자(n2)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1선택스위치(SW1)와 제2선택스위치(SW2) 쌍(pair) 그리고 제3선택스위치(SW3)와 제4선택스위치(SW4) 쌍은 동시에 턴 온(turn on) 되거나 턴 오프(turn off) 되며, 제1선택스위치(SW1)와 제2선택스위치(SW2) 쌍의 턴 온 및 턴 오프 동작은 제3선택스위치(SW3)와 제4선택스위치(SW4) 쌍의 턴 온 및 턴 오프 동작과 서로 반대된다. 즉, 제1선택스위치(SW1) 및 제2선택스위치(SW2) 쌍이 턴 온 되면 제3선택스위치(SW3) 및 제4선택스위치(SW4) 쌍은 턴 오프 되며, 반대로 제3선택스위치(SW3) 및 제4선택스위치(SW4) 쌍이 턴 온 되면 제1선택스위치(SW1) 및 제2선택스위치(SW2) 쌍이 턴 오프 된다.
평형스위치블록(230)은 전송라인 쌍(TX+, TX-)을 평형상태로 초기화하며, 평형스위치(SW5) 및 저항성분(231)을 구비한다. 평형스위치(SW5)는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다.
저항성분(231)은 평형스위치(SW5)와 제2전송라인(TX-) 사이에 설치된다. 도 2에는 저항성분(231)이 제2전송라인(TX-)과 평형스위치(SW5) 사이에 배치되었지만, 제1전송라인(TX+)과 평형스위치(SW5) 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저항성분(231)의 크기는 외부(미도시)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리엠퍼시스 회로(240)는 전압원(210)으로부터 전송라인 쌍(TX+, TX-)에 전압을 공급(source)하거나 전송라인 쌍으로부터 전압을 싱크(sink)하기 이전에 전송라인 쌍(TX+, TX-)에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공급하거나 싱크 한다.
프리엠퍼시스 회로(240)는, 4개의 전압원(241~244) 및 4개의 스위치(SW6~SW9)를 구비한다.
제3전압원(241)은 일 단자가 제3전압(VDD2)에 연결된다. 제4전압원(242)은 일 단자가 제4전압(VDD3)에 연결된다. 제5전압원(243)은 일 단자가 제5전압(VSS2)에 연결된다. 제6전압원(244)은 일 단자가 제6전압(VSS3)에 연결된다.
제6스위치(SW6)는 일 단자가 제4전압원(242)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다. 제7스위치(SW7)는 일 단자가 제5전압원(243)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된다. 제8스위치(SW8)는 일 단자가 제3전압원(241)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된다. 제9스위치(SW9)는 일 단자가 제6전압원(244)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다.
여기서 전송방향선택블록(220)을 구성하는 선택스위치들(SW1~SW4) 및 프리엠퍼시스 회로(240)를 구성하는 스위치들(SW6~SW9)의 턴 온 및 턴 오프 주기와 턴 온 저항 값들은 사용되는 시스템에 따라 다르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송신부(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태는 2개의 전송라인(TX+, TX-)에 공급되는 전압 형태의 데이터의 방향으로 결정된다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 아이디어이다.
제1전송라인(TX+)로부터 제2전송라인(TX-)으로 전압 형태의 데이터가 흐르도록 할 경우, 제3선택스위치(SW3) 및 제4선택스위치(SW4)가 턴 온 되고, 제1선택스위치(SW1) 및 제2선택스위치(SW2)는 턴 오프 된다.
반대로 제2전송라인(TX-)로부터 제1전송라인(TX+)으로 전압 형태의 데이터가 흐르도록 할 경우, 제1선택스위치(SW1) 및 제2선택스위치(SW2)를 턴 온 시키고, 제3선택스위치(SW3) 및 제4선택스위치(SW4)를 턴 오프 시키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프리엠퍼시스 회로(240)를 사용하는데, 전송방향선택블록(220)에서 제1전송라인(TX+)에 전압을 공급하고 제2전송라인(TX-)으로부터 전압을 싱크할 때에는 제8스위치(SW8)를 턴 온 시켜 제1전송라인(TX+)에 초기전압을 공급한다. 속도를 더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제9스위치(SW9)를 턴 온 시켜 제2전송라인(TX-)으로 초기전압을 싱크시키면 된다.
반대로 전송방향선택블록(220)에서 제2전송라인(TX-)에 전압을 공급하고 제1전송라인(TX+)으로 전압을 싱크할 때에는 제6스위치(SW6)를 턴 온 시켜 제2전송라인(TX-)에 초기전압을 공급하게 하거나 제7스위치(SW7)를 추가로 턴 온 시켜 제1전송라인(TX+)으로부터 초기전압을 싱크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평형스위치블록(230)에 전송라인 쌍(TX+, TX-)을 평형상태로 초기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평형스위치(SW5) 외에 저항성분(231)을 더 사용하였 다. 이는 전송라인 쌍(TX+, TX-)이 평형상태로 가는 순간 발생할 수 있는 전자파간섭(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의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의 일 실시형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의 일 실시형태에서 수신부의 타이밍 오차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200)는 상기 전송라인 쌍에 전달되는 데이터의 트랜지션을 감지하는 트랜지션 감지회로(310) 및 상기 트랜지션 감지회로에서 데이터의 트랜지션을 감지한 결과에 따라 클럭에 딜레이를 발생시키는 딜레이회로(320)를 더 구비한다.
송신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일부 데이터는 전송 라인의 로드에 의해서 수신부에서 데이터의 타이밍이 달라지게 된다. 특히 매번 값이 변하는 클럭과 오랜 시간 동일한 로직 상태가 전송되다가 처음으로 로직 상태가 변경되는 데이터는 상당한 양의 딜레이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송신부에서 데이터의 트랜지션을 감지하여, 트랜지션의 양에 따라 클럭 또는 데이터에 딜레이를 주게 된다면 수신부에서 발생하는 타이밍 오차는 줄어들게 될 것이다. 다음은 트랜지션을 감지하여 딜레이를 주게 되는 하나의 방법을 설명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의 두 개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데이터가 변하는 경우에는 데이터와 클럭을 그대로 전송한다. 이전의 두 개의 데이터의 변화(트 랜지션)가 없는 경우에는, 이전의 두 개의 데이터와 현재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전의 두 개의 데이터와 현재의 데이터가 같다면 데이터와 클럭을 그대로 전송하고 다르다면 클럭에 딜레이를 발생시킨다.
이전의 두 개의 데이터와 현재의 데이터가 다른 경우 클럭에 딜레이를 발생시키지 않게 되면 도 3c의 상단에 도시된 파형도와 같이 수신부에서 타이밍이 틀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딜레이회로를 통해 클럭에 딜레이를 주게 되면 도 3c의 하단에 도시된 파형도와 같이 클럭의 트랜지션이 데이터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어 타이밍오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400)는 전압원(410), 전류원(420), 제어부(미도시), 전송방향선택블록(430), 평형스위치블록(440) 및 프리엠퍼시스 회로(450)를 구비한다.
전압원(410)은 일 단자가 제1전압(VDD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430)의 제1단자(n1)에 연결된 제1전압원(411) 및 일 단자가 제2전압(VSS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의 제2단자(n2)에 연결된 제2전압원(412)를 구비한다.
전류원(420)은 일 단자가 제1전압(VDD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430)의 제1단자(n1)에 연결된 제1전류원(421) 및 일 단자가 제2전압(VSS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의 제2단자(n2)에 연결 된 제2전류원(422)을 구비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전압원 또는 상기 전류원을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시키는 인에이블 신호(EN1, EN2)를 생성한다.
상기 제1전압원(411) 및 제1전류원(421)은 제1인에이블신호(EN1)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고, 상기 제2전압원(412) 및 제2전류원(422)은 제2인에이블신호(EN2)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된다.
전송방향선택블록(430)은 상기 제1, 제2 인에이블신호(EN1, EN2)에 따라 상기 제1전압원(411) 및 제2전압원(412)이 인에이블된 경우에는 상기 전송라인 쌍(TX+, TX-) 중 어느 하나의 전송라인에 상기 제1전압원(411)으로부터 전압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의 전송라인에 흐르는 전압을 상기 제2전압원(412)으로 싱크하며, 상기 제1전류원(421) 및 제2전류원(422)이 인에이블된 경우에는 상기 전송라인 쌍(TX+, TX-) 중 어느 하나의 전송라인에 상기 제1전류원(421)으로부터 전류를 공급하고 다른 하나의 전송라인에 흐르는 전류를 상기 제2전류원(422)으로 싱크한다.
또한 전송방향선택블록(430)은 4개의 선택스위치들(SW1 ~ SW4)을 구비한다. 제1선택스위치(SW1)는 일 단자가 상기 제1단자(n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다. 제2선택스위치(SW2)는 일 단자가 상기 제2단자(n2)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된다. 제3선택스위치(SW3)는 일 단자가 상기 제1단자(n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된다. 제4선택스위치(SW4)는 일 단자가 상기 제2단자(n2)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1선택스위치(SW1)와 제2선택스위치(SW2) 쌍 그리고 제3선택스위치(SW3)와 제4선택스위치(SW4) 쌍은 동시에 턴 온 되거나 턴 오프 되며, 제1선택스위치와 제2선택스위치 쌍의 턴 온 및 턴 오프 동작은 제3선택스위치와 제4선택스위치 쌍의 턴 온 및 턴 오프 동작과 서로 반대된다. 즉, 제1선택스위치(SW1) 및 제2선택스위치(SW2) 쌍이 턴 온 되면 제3선택스위치(SW3) 및 제4선택스위치(SW4) 쌍은 턴 오프 되며, 반대로 제3선택스위치(SW3) 및 제4선택스위치(SW4) 쌍이 턴 온 되면 제1선택스위치(SW1) 및 제2선택스위치(SW2) 쌍이 턴 오프 된다.
평형스위치블록(440)은 상기 전송라인 쌍(TX+, TX-)을 평형상태로 초기화하며 평형스위치(SW5) 및 저항성분(441)을 구비한다. 평형스위치(SW5)는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다.
저항성분(441)은 상기 제1전송라인(TX+)과 상기 평형스위치(SW5) 사이 또는 상기 평형스위치(SW5)와 상기 제2전송라인(TX-) 사이에 설치되며, 저항성분의 크기는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리엠퍼시스회로(450)는 데이터의 전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사용되며, 제1전압원(411) 또는 제1전류원(421)으로부터 전송라인 쌍(TX+, TX-)에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source)하거나 전송라인 쌍으로부터 전압 또는 전류를 제2전압원(412) 또는 제2전류원(422)에 싱크(sink)하기 이전에 전송라인 쌍(TX+, TX-)에 일정한 크기의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하거나 싱크한다.
프리엠퍼시스회로(450)는 4개의 전압원 및 전류원과 4개의 스위치(SW6 ~ SW9)를 구비한다.
제3전압원(451) 및 제3전류원(452)은 일 단자가 제3전압(VDD2)에 연결된다. 제4전압원(453) 및 제4전류원(454)은 일 단자가 제4전압(VDD3)에 연결된다. 제5전압원(455) 및 제5전류원(456)은 일 단자가 제5전압(VSS2)에 연결된다. 제6전압원(457) 및 제6전류원(458)은 일 단자가 제6전압(VSS3)에 연결된다.
상기 전압원 및 전류원은 제어부(미도시)에서 생성된 제3 내지 제6 인에이블신호(EN3 ~ EN6)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송신부(400)가 차동전압구동방식으로 동작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제3전압원(451) 내지 제6전압원(457)이 인에이블되고, 차동전류구동방식으로 동작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제3전류원(452) 내지 제6전류원(458)이 인에이블 된다.
제6스위치(SW6)는 일 단자가 상기 제4전압원(453) 및 제4전류원(454)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다. 제7스위치(SW7)는 일 단자가 상기 제5전압원(455) 및 제5전류원(456)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된다. 제8스위치(SW8)는 일 단자가 상기 제3전압원(451) 및 제3전류원(452)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된다. 제9스위치(SW9)는 일 단자가 상기 제6전압원(457) 및 제6전류원(458)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다.
전송방향선택블록(430)에서 제1전송라인(TX+)에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하고 제2전송라인(TX-)으로부터 전압 또는 전류를 싱크 할 때에는 제8스위치(SW8)를 턴 온 시켜 상기 제1전송라인(TX+)에 초기전압 또는 초기전류를 공급한다. 이때 데이 터의 전송속도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제9스위치(SW9)를 턴 온 시켜 제2전송라인(TX-)으로부터 초기전압 또는 초기전류를 싱크하면 된다.
반대로 전송방향선택블록(430)에서 제2전송라인(TX-)에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하고 제1전송라인(TX+)으로부터 전압 또는 전류를 싱크 할 때에는 제6스위치(SW6)를 턴 온 시켜 상기 제1전송라인(TX+)에 초기전압 또는 초기전류를 공급한다. 이때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제7스위치(SW7)를 턴 온 시켜 제2전송라인(TX-)으로부터 초기전압 또는 초기전류를 싱크하면 된다.
여기서 전송방향선택블록(430)을 구성하는 선택스위치들(SW1~SW4) 및 프리엠퍼시스 회로(450)를 구성하는 스위치들(SW6~SW9)의 턴 온 및 턴 오프 주기와 턴 온 저항 값들은 사용되는 시스템에 따라 다르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에서도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트랜지션 감지회로 및 딜레이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랜지션 감지회로 및 딜레이회로의 동작은 도 3a 내지 도 3c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신부의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신부(500)는, 종단저항(Rt) 및 차동증폭부(510)를 구비한다. 종단저항(Rt)은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 (TX-)에 연결된다. 차동증폭부(510)는 종단저항(Rt)의 양 단자의 전압차이를 증폭한다.
차동전류구동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2개의 전송라인(TX+, TX-) 사이를 흐르는 전류는 종단저항(Rt)을 경유하게 되는데,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종단저항(Rt) 양 단에 강하되는 전압이 달라진다. 이때 강하되는 전압 차이는 아주 작으므로, 차동증폭부(510)에서 이를 증폭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동전압구동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송신부에서 형성된 전압이 전송라인의 저항성로드와 수신부의 종단저항(Rt)에 의해 나뉘어져 수신부에 전압이 형성되며 차동증폭부(510)에서 이를 증폭하여 사용하게 된다.
수신부에 사용되는 종단저항(Rt)은 임피던스 매칭 등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신부(500)에는 실제로는 더 많은 기능블록들이 존재하지만, 2개의 전송라인(TX+, TX-)을 통해 수신된 차동전류신호 또는 차동전압 형태의 데이터를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최소한의 회로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수신부에서 발생하는 타이밍오차를 조절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송신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일부 데이터는 전송 라인의 로드에 의해 수신부에서 데이터의 타이밍이 달라지게 된다. 특히 매번 값이 변하는 클럭과 오랜 시간 동일한 로직 상태가 전송되다가 처음으로 로직 상태가 변경되는 데이터는 상당한 양의 딜레이가 생기게 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빠르게 토글하는 클럭은 전송 라인의 로드에 의해 큰 스윙을 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트랜지션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스윙레벨이 커지게 되며, 그로 인해 다음에 트랜지션 하는 데이터는 작은 스윙을 가지게 되어 타이밍이 틀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데이터의 트랜지션을 감지하여 이전과 동일한 데이터가 입력이 되면 트랜지션의 양에 따라 종단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줄여 스윙 레벨을 클럭과 같아지도록 하여 다음에 오는 데이터의 스윙 레벨과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타이밍오차를 조절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부의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신부(700)는, 종단저항(Rt), 차동증폭부(710) 및 전류패스용전류원(720)을 구비한다. 종단저항(Rt)은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다. 차동증폭부(710)는 종단저항(Rt)의 양 단자의 전압 차이를 증폭한다.
전류패스용전류원(720)은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되며, 이전 데이터와 현재 데이터를 비교하여 데이터의 트랜지션을 감지한 결과, 데이터가 트랜지션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턴 온 되어 상기 종단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켜 클럭과 데이터의 타이밍을 조절 한다.
도 8은 수신부에서 발생하는 타이밍오차를 조절하는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클락, 데이터 및 컨트롤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 및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빠르게 토글하는 클럭은 전송 라인의 로드에 의해 큰 스윙을 하지 못하게 되고 데이터가 트랜지션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스윙레벨이 커지게 되며, 그로 인해 다음에 트랜지션 하는 데이터는 작은 스윙을 가지게 되어 타이밍이 틀어지게 된다.(도 8의 (a),(b) 참조)
이러한 경우 일정한 데이터가 들어올 때는 스윙 레벨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매 데이터 마다 일정한 크기의 저항성 로드를 사용하고, 하나의 데이터가 동일한 로직으로 오래 지속되는 경우에는, 그 데이터의 시간 중 일부분의 시간에 대해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여 작은 저항성로드로 사용하면 파형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타이밍이 틀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도 8의 (c) 참조)
이때 데이터의 시간 중 일부분에 대해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신호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컨트롤 신호를 사용한다.
즉, 데이터 컨트롤 신호의 로직이 하이일 경우 타이밍 조절을 위한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어 저항성로드가 작아지게 되며, 데이터 컨트롤 신호의 로직이 로우일 경우 타이밍 조절을 위한 저항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도 10은 타이밍오차를 조절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 신부의 회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신부(1000)는, 종단저항(Rt), 차동증폭부(1010), 타이밍조절용스위치(SWA) 및 타이밍조절용저항성분(RA)를 구비한다. 종단저항(Rt)은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다. 차동증폭부(1010)는 종단저항(Rt)의 양 단자의 전압 차이를 증폭한다.
타이밍조절용스위치(SWA)는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다. 타이밍조절용저항성분(RA)은 상기 제1전송라인(TX+)과 상기 타이밍조절용스위치(SWA) 사이 또는 상기 타이밍조절용스위치(SWA)와 상기 제2전송라인(TX-)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타이밍조절용스위치(SWA)는, 데이터의 트랜지션을 감지한 결과, 하나의 데이터가 트랜지션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상기 하나의 데이터의 지속 시간 중 일부 시간에 대해 턴 온 되어 타이밍조절용저항성분(RA)을 종단저항(Rt)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데이터의 파형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타이밍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시스템(1100)은 2개의 전송라인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1110) 및 상기 송신부와 상기 2개의 전송라인으로 연결된 수신부(1120)를 구비한다.
상기 송신부(1110)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따라 상기 2개의 전송라인으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상기 2개의 전송라인으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며, 상기 수신부(1120)는 상기 2개의 전송라인으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상기 2개의 전송라인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검출하여 상기 데이터를 복원한다.
도 11에 도시된 송신부(1110)와 수신부(1120)는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송신부 및 수신부에 대응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동전류구동 시스템의 송신부로부터 출력되는 트루라인의 신호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의 회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의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의 일 실시형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의 일 실시형태에서 수신부의 타이밍 오차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신부의 회로도이다.
도 6은 수신부에서 발생하는 타이밍오차를 조절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타이밍오차를 조절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부의 회로도이다.
도 8은 수신부에서 발생하는 타이밍오차를 조절하는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클락, 데이터 및 컨트롤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타이밍오차를 조절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의 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Claims (38)

  1. 전송라인 쌍(TX+, TX-)중 어느 하나의 전송라인에 전압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의 전송라인으로부터 전압을 싱크하는 전압원;
    상기 전송라인 쌍(TX+, TX-) 중 어느 하나의 전송라인에 상기 전압원으로부터 전압 형태의 데이터를 전달하고 다른 하나의 전송라인에 흐르는 전압 형태의 데이터를 상기 전압원으로 전달하는 전송방향선택블록; 및
    상기 전송라인 쌍(TX+, TX-)을 평형상태로 초기화하는 평형스위치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원은,
    일 단자가 제1전압(VDD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의 제1단자(n1)에 연결된 제1전압원; 및
    일 단자가 제2전압(VSS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의 제2단자(n2)에 연결된 제2전압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의 전압준위는 상기 제2전압의 전압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은,
    일 단자가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의 제1단자(n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 제1선택스위치(SW1);
    일 단자가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의 제2단자(n2)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된 제2선택스위치(SW2);
    일 단자가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의 제1단자(n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된 제3선택스위치(SW3); 및
    일 단자가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의 제2단자(n2)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 제4선택스위치(SW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택스위치와 상기 제2선택스위치 쌍 그리고 상기 제3선택스위치와 상기 제4선택스위치 쌍은 동시에 턴 온 되거나 턴 오프 되며,
    상기 제1선택스위치와 상기 제2선택스위치 쌍의 턴 온 및 턴 오프 동작은 상기 제3선택스위치와 상기 제4선택스위치 쌍의 턴 온 및 턴 오프 동작과 서로 반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스위치블록은,
    일 단자가 상기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 평형스위치(SW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스위치블록은,
    상기 제1전송라인(TX+)과 상기 평형스위치(SW5) 사이 또는 상기 평형스위치(SW5)와 상기 제2전송라인(TX-) 사이에 설치된 저항성분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저항성분의 값은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원으로부터 상기 전송라인 쌍(TX+, TX-)에 전압을 공급(source)하거나 상기 전송라인 쌍으로부터 전압을 상기 제2전압원에 싱크(sink)하기 이전에 상기 전송라인 쌍(TX+, TX-)에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공급하거나 싱크하는 프리엠퍼시스 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엠퍼시스 회로는,
    일 단자가 제3전압(VDD2)에 연결된 제3전압원;
    일 단자가 제4전압(VDD3)에 연결된 제4전압원;
    일 단자가 제5전압(VSS2)에 연결된 제5전압원;
    일 단자가 제6전압(VSS3)에 연결된 제6전압원;
    일 단자가 상기 제4전압원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 제6스위치(SW6);
    일 단자가 상기 제5전압원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된 제7스위치(SW7);
    일 단자가 상기 제3전압원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된 제8스위치(SW8); 및
    일 단자가 상기 제6전압원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 제9스위치(SW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에서 상기 제1전송라인(TX+)에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제2전송라인(TX-)으로부터 전압을 싱크할 때에는 상기 제8스위치(SW8)가 턴 온 되어 상기 제1전송라인(TX+)에 초기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에서 상기 제2전송라인(TX-)에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제1전송라인(TX+)으로부터 전압을 싱크할 때에는 상기 제6스위치(SW6)가 턴 온 되어 상기 제2전송라인(TX-)에 초기 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류구동방식의 송신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에서 상기 제1전송라인(TX+)에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제2전송라인(TX-)으로부터 전압을 싱크할 때에는 상기 제9스위치(SW9)가 턴 온 되어 상기 제2전송라인(TX-)으로부터 초기 전압을 싱크하고,
    상기 전압데이터방향선택블록에서 상기 제2전송라인(TX-)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1전송라인(TX+)으로부터 전압을 싱크할 때에는 상기 제7스위치(SW7)가 턴 온 되어 상기 제1전송라인(TX+)으로부터 초기 전압을 싱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라인 쌍(TX+, TX-)에 전달되는 데이터의 트랜지션을 감지하는 트랜지션 감지회로; 및
    상기 트랜지션 감지회로에서 데이터의 트랜지션을 감지한 결과에 따라 클럭 에 딜레이를 발생시키는 딜레이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회로는
    상기 트랜지션 감지회로에서 데이터의 트랜지션을 감지한 결과 이전의 두 개 이상의 데이터가 변하지 않고 현재의 데이터가 상기 이전의 두 개 이상의 데이터와 다른 경우 클럭에 딜레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
  14. 전송라인 쌍(TX+, TX-)에 전압을 공급하거나 상기 전송라인 쌍으로부터 전압 을 싱크하는 전압원;
    상기 전송라인 쌍(TX+, TX-)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상기 전송라인 쌍으로부터 전류를 싱크하는 전류원;
    상기 전압원 또는 상기 전류원을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시키는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원이 인에이블된 경우, 상기 전송라인 쌍(TX+, TX-) 중 어느 하나의 전송라인에 상기 전압원으로부터 전압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의 전송라인에 흐르는 전압을 상기 전압원으로 싱크하며, 상기 전류원이 인에이블된 경우, 상기 전송라인 쌍(TX+, TX-) 중 어느 하나의 전송라인에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하고 다른 하나의 전송라인에 흐르는 전류를 상기 전류원으로 싱크하는 전송방향선택블록; 및
    상기 전송라인 쌍(TX+, TX-)을 평형상태로 초기화하는 평형스위치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원은,
    일 단자가 제1전압(VDD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의 제1단자(n1)에 연결된 제1전압원; 및
    일 단자가 제2전압(VSS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의 제2단자(n2)에 연결된 제2전압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은,
    일 단자가 제1전압(VDD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의 제1단자(n1)에 연결된 제1전류원; 및
    일 단자가 제2전압(VSS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의 제2단자(n2)에 연결된 제2전류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의 전압준위는 상기 제2전압의 전압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은,
    일 단자가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의 제1단자(n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 제1선택스위치(SW1);
    일 단자가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의 제2단자(n2)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된 제2선택스위치(SW2);
    일 단자가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의 제1단자(n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된 제3선택스위치(SW3); 및
    일 단자가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의 제2단자(n2)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 제4선택스위치(SW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택스위치와 상기 제2선택스위치 쌍 그리고 상기 제3선택스위치와 상기 제4선택스위치 쌍은 동시에 턴 온 되거나 턴 오프 되며,
    상기 제1선택스위치와 상기 제2선택스위치 쌍의 턴 온 및 턴 오프 동작은 상기 제3선택스위치와 상기 제4선택스위치 쌍의 턴 온 및 턴 오프 동작과 서로 반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스위치블록은,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 평형스위치(SW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 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스위치블록은,
    상기 제1전송라인(TX+)과 상기 평형스위치(SW5) 사이 또는 상기 평형스위치(SW5)와 상기 제2전송라인(TX-) 사이에 설치된 저항성분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저항성분의 값은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원 또는 상기 제1전류원으로부터 상기 전송라인 쌍(TX+, TX-)에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source)하거나 상기 전송라인 쌍으로부터 전압 또는 전류를 상기 제2전압원 또는 상기 제2전류원에 싱크(sink)하기 이전에 상기 전송라인 쌍(TX+, TX-)에 일정한 크기의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하거나 싱크하는 프리엠퍼시스 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엠퍼시스 회로는,
    일 단자가 제3전압(VDD2)에 연결된 제3전압원 및 제3전류원;
    일 단자가 제4전압(VDD3)에 연결된 제4전압원 및 제4전류원;
    일 단자가 제5전압(VSS2)에 연결된 제5전압원 및 제5전류원;
    일 단자가 제6전압(VSS3)에 연결된 제6전압원 및 제6전류원;
    일 단자가 상기 제4전압원 및 제4전류원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 제6스위치(SW6);
    일 단자가 상기 제5전압원 및 제5전류원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된 제7스위치(SW7);
    일 단자가 상기 제3전압원 및 제3전류원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된 제8스위치(SW8); 및
    일 단자가 상기 제6전압원 및 제6전류원의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 제9스위치(SW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에서 상기 제1전송라인(TX+)에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전송라인(TX-)으로부터 전압 또는 전류를 싱크 할 때에는 상기 제8스위치(SW8)가 턴 온 되어 상기 제1전송라인(TX+)에 초기전압 또는 초기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에서 상기 제2전송라인(TX-)에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1전송라인(TX+)으로부터 전압 또는 전류를 싱크 할 때에는 상기 제6스위치(SW6)가 턴 온 되어 상기 제2전송라인(TX-)에 초기전압 또는 초기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 할 수 있는 송신부.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에서 상기 제1전송라인(TX+)에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전송라인(TX-)으로부터 전압 또는 전류를 싱크 할 때에는 상기 제9스위치(SW9)가 턴 온 되어 상기 제2전송라인(TX-)으로부터 초기전압 또는 초기전류를 싱크하고,
    상기 전송방향선택블록에서 상기 제2전송라인(TX-)에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1전송라인(TX+)으로부터 전압 또는 전류를 싱크 할 때에는 상기 제7스위치(SW7)가 턴 온 되어 상기 제1전송라인(TX+)으로부터 초기전압 또는 초기전류를 싱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라인 쌍(TX+, TX-)에 전달되는 데이터의 트랜지션을 감지하는 트랜지션 감지회로; 및
    상기 트랜지션 감지회로에서 데이터의 트랜지션을 감지한 결과에 따라 클럭의 딜레이를 발생시키는 딜레이 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 회로는
    상기 트랜지션 감지회로에서 데이터의 트랜지션을 감지한 결과 이전의 두 개 이상의 데이터가 변하지 않고, 현재의 데이터가 상기 이전의 두 개 이상의 데이터와 다른 경우 클럭에 딜레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
  28. 전송라인 쌍(TX+, TX-)으로부터 전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에 있어서,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 종단저항(Rt); 및
    상기 종단저항(Rt)의 양 단자의 전압차이를 증폭하는 차동증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신부.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저항은
    임피던스 매칭 등의 필요에 따라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신부.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되는 전류패스용전류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류패스용전류원은, 데이터의 트랜지션을 감지한 결과, 데이터가 트랜지션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턴 온 되어 상기 종단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신부.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일 단자가 제1전송라인(TX+)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송라인(TX-)에 연결된 타이밍조절용스위치; 및
    상기 제1전송라인(TX+)과 상기 타이밍조절용스위치 사이 또는 상기 타이밍조절용스위치와 상기 제2전송라인(TX-) 사이에 설치된 타이밍조절용저항성분을 더 구비하며,
    상기 타이밍조절용스위치는, 데이터의 트랜지션을 감지한 결과, 하나의 데이터가 트랜지션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상기 하나의 데이터의 지속 시간 중 일부 시간에 대해 턴 온 되어 상기 타이밍조절용저항성분이 상기 종단저항(Rt)과 병렬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신부.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조절용스위치는,
    데이터의 타이밍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데이터컨트롤신호가 하이일 때 턴 온 되고 로우일 때 턴 오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 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신부.
  33. 2개의 전송라인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와 상기 2개의 전송라인으로 연결된 수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송신부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따라 상기 2개의 전송라인으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상기 2개의 전송라인으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2개의 전송라인으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상기 2개의 전송라인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검출하여 상기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전송라인 중 하나의 전송라인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다른 하나의 전송라인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반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시스템.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전송라인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시스템.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2개의 전송라인 각각에 전압을 공급하거나 상기 2개의 전송라인 각각으로부터 전압을 싱크하는 전압원;
    상기 2개의 전송라인 각각에 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상기 2개의 전송라인 각각으로부터 전류를 싱크하는 전류원;
    상기 전압원 또는 상기 전류원을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시키는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원이 인에이블된 경우, 상기 2개의 전송라인 중 어느 하나의 전송라인에 상기 전압원으로부터 전압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의 전송라인의 전압을 상기 전압원으로 싱크하며, 상기 전류원이 인에이블된 경우, 상기 2개의 전송라인 중 어느 하나의 전송라인에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하고 다른 하나의 전송라인에 흐르는 전류를 상기 전류원으로 싱크하는 전송방향선택블록; 및
    상기 2개의 전송라인을 평형상태로 초기화하는 평형스위치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전압원 또는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상기 2개의 전송라인에 전압 또는 전 류를 공급(source)하거나 상기 2개의 전송라인으로부터 전압 또는 전류를 상기 전압원 또는 상기 전류원에 싱크(sink)하기 이전에 상기 2개의 전송라인에 일정한 크기의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하거나 싱크하는 프리엠퍼시스 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시스템.
  3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일 단자가 상기 2개의 전송라인 중 어느 하나의 전송라인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다른 전송라인에 연결된 종단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전송라인에 형성된 전압차이 또는 상기 2개의 전송라인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여 강하되는 상기 종단저항 양 단자사이의 전압차이를 증폭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전압구동방식과 차동전류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시스템.
KR1020080135785A 2008-12-29 2008-12-29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 및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와 수신부 및 인터페이스 시스템 KR101000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785A KR101000289B1 (ko) 2008-12-29 2008-12-29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 및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와 수신부 및 인터페이스 시스템
US13/142,409 US8842745B2 (en) 2008-12-29 2009-12-03 Transmission unit adopting a differential voltage driving system, transmission unit and receiving unit selectively adopting a differential current driving system, differential voltage driving system, and interface system
CN200980153077.XA CN102282618B (zh) 2008-12-29 2009-12-03 采用差分电压驱动系统的传输单元,可选择性采用差分电流驱动系统,差分电压驱动系统的传输单元和接收单元以及接口系统
JP2011544356A JP5890685B2 (ja) 2008-12-29 2009-12-03 差動電圧駆動方式の送信部、並びに差動電流駆動方式と差動電圧駆動方式を選択的に適用することができる送信部、受信部及び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
PCT/KR2009/007194 WO2010076978A2 (ko) 2008-12-29 2009-12-03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 및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와 수신부 및 인터페이스 시스템
TW098143674A TWI410056B (zh) 2008-12-29 2009-12-18 差動電壓驅動機制傳輸器以及可選擇性採用差動電流驅動機制及差動電壓驅動機制之傳輸器、接收器與介面系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785A KR101000289B1 (ko) 2008-12-29 2008-12-29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 및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와 수신부 및 인터페이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751A true KR20100077751A (ko) 2010-07-08
KR101000289B1 KR101000289B1 (ko) 2010-12-13

Family

ID=4231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785A KR101000289B1 (ko) 2008-12-29 2008-12-29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 및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와 수신부 및 인터페이스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42745B2 (ko)
JP (1) JP5890685B2 (ko)
KR (1) KR101000289B1 (ko)
CN (1) CN102282618B (ko)
TW (1) TWI410056B (ko)
WO (1) WO201007697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120505D0 (en) * 2011-11-29 2012-01-11 Texas Instruments Ltd Power efficient high swing long reach transmitter architecture
JP5792690B2 (ja) * 2012-07-26 2015-10-14 株式会社東芝 差動出力回路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
JP6295559B2 (ja) * 2013-09-13 2018-03-20 株式会社リコー 信号送信装置、信号受信装置及び信号伝送システム
KR101633471B1 (ko) * 2014-05-22 2016-06-24 전자부품연구원 전압 모드 드라이버 출력 데이터 신호의 이퀄라이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드라이버 회로
CN106716859A (zh) * 2014-09-25 2017-05-24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装置和基站
KR20180075083A (ko) 2016-12-26 2018-07-0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동적 터미네이션 회로,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
CN111211810B (zh) * 2018-11-21 2021-12-28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状态传输方法及装置
KR20210129327A (ko) * 2020-04-20 2021-10-28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데이터구동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6974A (en) * 1989-01-20 1992-06-30 Hitachi, Ltd. Sense amplifier for a memory device
DE19919140B4 (de) 1998-04-29 2011-03-31 National Semiconductor Corp.(N.D.Ges.D.Staates Delaware), Santa Clara Niederspannungs-Differenzsignaltreiber mit Vorverstärkerschaltung
US7702293B2 (en) * 2001-11-02 2010-04-20 Nokia Corporation Multi-mode I/O circuitry supporting low interference signaling schemes for high speed digital interfaces
US6686772B2 (en) 2001-11-19 2004-02-03 Broadcom Corporation Voltage mode differential driver and method
JP3807407B2 (ja) * 2003-09-05 2006-08-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トランスミッタ回路、レシーバ回路、インターフェース回路、及び電子機器
JP4097149B2 (ja) * 2004-01-05 2008-06-11 ザイ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差動駆動回路およびそれを内蔵する電子機器
JP2006262460A (ja) * 2005-03-17 2006-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低電圧差動信号の送受信システム
KR100588752B1 (ko) * 2005-04-26 2006-06-12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차동 전류 구동 방식의 전송 시스템
JP4578316B2 (ja) * 2005-05-02 2010-11-10 ザイ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送信装置
KR100706580B1 (ko) * 2005-07-13 200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압 차동 신호 수신기 및 그 종단 저항값 설정 방법
CN100488053C (zh) 2005-09-05 2009-05-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低压差分信号驱动器电路
JP2009529282A (ja) * 2006-03-09 2009-08-13 エヌエックスピー ビー ヴィ 相互接続電力レベル調整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記憶装置
TWI333326B (en) 2007-03-26 2010-11-1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Low differential output voltage circuit
KR100913528B1 (ko) 2008-08-26 2009-08-21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차동전류구동방식의 송신부, 차동전류구동방식의 수신부 및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구비하는 차동전류구동방식의 인터페이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82618B (zh) 2014-04-16
JP5890685B2 (ja) 2016-03-30
TW201031129A (en) 2010-08-16
JP2012514412A (ja) 2012-06-21
CN102282618A (zh) 2011-12-14
WO2010076978A3 (ko) 2010-09-23
TWI410056B (zh) 2013-09-21
US20110268202A1 (en) 2011-11-03
WO2010076978A2 (ko) 2010-07-08
US8842745B2 (en) 2014-09-23
KR101000289B1 (ko) 2010-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289B1 (ko) 차동전압구동방식의 송신부 및 차동전류구동방식과 차동전압구동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송신부와 수신부 및 인터페이스 시스템
US8311064B1 (en) Programmable pre-emphasis circuit for serial ATA
JP4267655B2 (ja) 電子回路、該電子回路として構成された差分送信機、及び、自己直列終端送信機を形成する方法(振幅制御、プリ・エンファシス制御及びスルー・レート制御のためのセグメント化と振幅精度及び高電圧保護のための電圧調整とを有する自己直列終端シリアル・リンク送信機)
CN109565278B (zh) 电压模式驱动器的阻抗和摆幅控制
US20080100347A1 (en) Signal detecting circuit
US7974304B2 (en) Out of band signaling enhancement for high speed serial driver
KR102383185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KR100940523B1 (ko) 스택형 차동 신호 전송 회로
US8324936B2 (en) Transmitter and receiver of differential current driving mode, and interface system of differential current driving mode including the same
KR20090024444A (ko) 리시버 회로
KR20100078606A (ko)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US20120032656A1 (en) Voltage regulator for impedance matching and pre-emphasis, method of regulating voltage for impedance matching and pre-emphasis, voltage mode driver including the voltage regulator, and voltage-mode driver using the method
US20090300562A1 (en) Design structure for out of band signaling enhancement for high speed serial driver
US8400194B2 (en) Interface system for a cog application
US7855576B1 (en) Versatile common-mode driver methods and apparatus
US10778478B2 (en) Fast-settling voltage reference generator for SERDES applications
JP5168799B2 (ja) インタフェース回路
US7880521B2 (en) Differential driver and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slew rate
KR100897280B1 (ko) 리시버 회로
US20080042690A1 (en) Data receiving apparatus using semi-dual reference voltage
KR100377283B1 (ko) 스큐 억제 조정 기능을 갖는 입력 버퍼
KR100892722B1 (ko) 리시버 회로
US7176708B2 (en) Receiver circuit
EP3687127B1 (en) Systems for reducing pattern-dependent inter-symbol interference and related methods
JP3132450B2 (ja) 差動受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