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7741A - 데이터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7741A
KR20100077741A KR1020080135770A KR20080135770A KR20100077741A KR 20100077741 A KR20100077741 A KR 20100077741A KR 1020080135770 A KR1020080135770 A KR 1020080135770A KR 20080135770 A KR20080135770 A KR 20080135770A KR 20100077741 A KR20100077741 A KR 20100077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clocks
data transmission
input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6850B1 (ko
Inventor
김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to KR1020080135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850B1/ko
Priority to US12/635,560 priority patent/US8339353B2/en
Priority to TW098144624A priority patent/TW201112225A/zh
Priority to CN2009102155400A priority patent/CN101876888A/zh
Publication of KR20100077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8Timing circuits for raster scan display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3002Conversion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8Details of image data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line driv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장치는, 입력 클럭에 동기된 멀티 위상 클럭들을 생성하는 지연 고정 루프(DLL)와,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멀티 위상 클럭들을 선택하는 클럭 선택부와, 멀티 위상 클럭들이 일정한 주기로 클럭 선택부에서 선택되도록, 입력 클럭과 변조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변조 제어부와, 클럭 선택부에서 선택된 결과를 이용하여 제1 래치 클럭 및 제2 래치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 발생부 및 제1 및 제2 래치 클럭들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SSCG를 이용하여 EMI를 감쇄하는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장치와 적어도 동등한 수준의 EMI 감쇄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데이터 에러 발생 확률을 제거할 수 있고, FIFO 메모리의 필요성을 제거하여 IC의 면적을 감소시켜 IC의 소형화에 기여하고 특히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갖는 SSCG의 기능을 IC의 내부에서 실현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Figure P1020080135770
데이터 전송, 평판 디스플레이, 타이밍 제어부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장치{Data transmission apparatus}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프레드 스펙트럼 클럭 발생(SSCG:Spread Spectrum Clocking Generating) 등에 관련된 데이터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그 규모나 활용도가 넓게 확산되고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FPD:Flat Panel Display) 제품을 비롯한 디지털 제품 분야에는 전자기파 간섭(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문제가 점점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더우기, 텔레비전이나 모니터 등 디스플레이의 해상도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더 많은 데이터의 전송을 요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많은 데이터의 요구에 따라 높은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FPD의 타이밍 제어부(미도시)와 칼럼(column) 구동 집적 회로(미도시)인 소스 드라이버(미도시) 사이의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에서 특히 전자기파 간섭(EMI)이 가장 많이 발생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도 같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EMI를 해결할 수 있는 대표적인 구현 방법들중에서, 로직 회로(logic circuit)의 동기 클럭의 주파수를 주파수 확산시켜, 특정 대역의 EMI를 주변 대역 으로 확산시키는 스프레드 스펙트럼 클럭 발생 발생(SSCG:Spread Spectrum Clocking Generating) 방법이 있다.
도 1은 SSCG를 이용한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로서, D 플립플롭(f/f:flip flop)들(10 및 16), 선입선출버퍼(FIFO:First Input First Output) 메모리(12) 및 SSCG(14)로 구성된다. D f/f(10)는 입력 데이터를 제1 래치 클럭(CLKI)에 응답하여 FIFO 메모리(12)로 출력한다.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전송 장치는 일반적인 평판 디스플레이(FPD)의 타이밍 제어부(Timing controller)에서 사용된다. 이 장치는, 1차 래치(latch) 클럭(CLKI)에 의한 특정 대역의 EMI 레벨을 주변의 대역으로 확산시켜 전체적인 EMI 수준을 낮추기 위해, 집적 회로(IC)의 외부 또는 내부에 SSCG(14)를 사용한다. 이때, 클럭 영역(Domain)이 달라져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전송 오류를 방지하고자, 데이터 전송 장치는 일정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FIFO 메모리(12)를 더 갖고 있다. FIFO 메모리(12)의 크기는 SSCG(12)를 제어하는 변조주파수(Modulation frequency)와 변조율(Modulation rate)의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도 2 (a) 내지 (c)들은 도 1에 도시된 각 부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 2 (a)는 SSCG(14)로부터 발생되는 제2 래치 클럭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2 (b)는 D f/f(1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2 (c)는 제2 래치 클럭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 (c)에서 횡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종축은 신호의 크기 즉 레벨을 나타내다.
도 2 (a) 내지 (c)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전송 장치는 SSCG(14) 를 이용하여 EMI 감쇄시킴을 출력 변조 신호와 그 주파수 스펙트럼을 통해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레드 스펙트럼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장치는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의 문제점들을 갖는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SSCG(14)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동기 클럭의 영역이 달라지는 필연 관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무한대 크기의 FIFO 메모리(12)가 필요하다. 따라서, 변조 주파수 및 변조율을 제한하여, FIFO 메모리(12)가 일정량만을 저장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로 인하여, 변조 주파수 및 변조율의 사용 한계를 유발하게 된다. 그러나, EMI를 감쇄할 수 있도록, 일정 수준의 변조 주파수와 변조율을 확보하기 위해 FIFO 메모리(12)의 용량의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만일, FIFO 메모리(12)의 용량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한다면, 데이터 전송의 오류(Error)가 발생한다. 따라서, 수십 내지 수백 ㎑의 변조주파수와 수 %의 변조율을 고려하면 상당량의 메모리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FIFO 메모리(12)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전술한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장치는 동기 클럭의 주파수 변조를 하기 위한 SSCG(14)를 IC의 외부에 장착한다. 이로 인하여, 제품의 전체적인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만일, IC의 내부에 SSCG(14)를 장착하고자 하더라도, FIFO 메모리(12)로 인해 SSCG(14) 자체가 갖는 크기가 증가하여 IC의 제품경쟁력 및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EMI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방식으로 스프레드 스펙트럼 클럭(SSC:Spread spectrum clock)을 도입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전송 장치는, 입력 클럭에 동기된 멀티 위상 클럭들을 생성하는 지연 고정 루프(DLL)와,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 위상 클럭들을 선택하는 클럭 선택부와, 상기 멀티 위상 클럭들이 일정한 주기로 상기 클럭 선택부에서 선택되도록, 상기 입력 클럭과 변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변조 제어부와, 상기 클럭 선택부에서 선택된 결과를 이용하여 제1 래치 클럭 및 제2 래치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 발생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래치 클럭들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전송 장치는 SSCG(14)를 이용하여 EMI를 감쇄하는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장치와 적어도 동등한 수준의 EMI 감쇄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에러(data error) 발생 확률을 제거할 수 있고,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장치와 비교할 때 FIFO 메모리(12)의 필요성을 제거하여 IC의 면적을 감소시켜 IC의 소형화에 기여하고
특히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갖는 SSCG(14)의 기능을 IC의 내부에서 실현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전송 장치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전송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데이터 전송 장치는 지연 고정 루프(DLL:Delay Locked Loop)(30), 클럭 선택부(40), 변조 제어부(50), 클럭 발생부(60) 및 데이터 전송부(70)로 구성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각 부의 파형도들을 나타낸다. 여기서, CLKI는 입력 클럭을 나타내고, DLLO는 DLL(30)의 출력을 나타내고, LCLK1은 제1 래치 클럭을 나타내고, DO1는 D 플립플롭(D-FF)(72)의 출력을 나타내고, LCLK2는 제2 래치 클럭을 나타낸다.
먼저, DLL(30)은 입력 클럭(CLKI)에 동기된 멀티 위상(multi-phase) 클럭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멀티 위상 클럭들을 클럭 선택부(4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DLL(30)은 입력 클럭(CLKI)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지연하고, 지연된 결과들을 멀티 위상 클럭들로 출력할 수 있다.
클럭 선택부(40)는 변조 제어부(50)로부터 제공받은 선택 신호(SEL)에 응답 하여 멀티 위상 클럭들을 선택하고, 선택한 멀티 위상 클럭들을 클럭 발생부(6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클럭 선택부(40)는 멀티 플렉서(MUX:MUltipleXer)(42)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멀티 플렉서(42)는 선택 신호(SEL)에 응답하여 멀티 위상 클럭들을 멀티플렉싱하여 출력한다.
변조 제어부(50)는 입력 클럭(CLKI)과 변조 정보(MOD:MODulation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선택 신호(SEL)를 생성하고, 생성된 선택 신호(SEL)을 클럭 선택부(40)로 출력한다. 따라서, 선택 신호(SEL)에 응답하여 멀티 위상 클럭들이 일정한 주기로 클럭 선택부(40)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변조 제어부(50)의 본 발명의 실시예(50A)에 의한 블럭도로서, N-비트 카운터(52) 및 상태 머신(state machine)부(54)로 구성된다.
N-비트 카운터(52)는 변조 정보(MOD)에 상응하여 카운팅할 비트 수(N)를 결정하고, 결정된 비트 수(N) 만큼 입력 클럭(CLKI)의 개수를 카운팅한다. 예를 들어, N-비트 카운터(52)는 입력 클럭(CLKI)의 상승 엣지(rising edge)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결과를 입력 클럭(CLKI)의 개수로서 결정할 수 있다.
상태 머신부(54)는 현재 상태의 먹스(MUX) 정보를 다음 상태의 먹스(MUX) 정보로 변경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태 머신부(54)는 변조 정보(MOD)에 상응하여 상태의 개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개수의 상태들을 N-비트 카운터(52)에서 카운팅된 결과에 따라 변경시키고, 그 변경시킨 결과를 선택 신호(SEL)로서 출력한다.
한편, 클럭 발생부(60)는 클럭 선택부(40)에서 선택된 결과를 이용하여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래치 클럭(LCLK1) 및 제2 래치 클럭(LCLK2)을 생성하고, 생성된 클럭들(LCLK1 및 LCLK2)을 데이터 전송부(70)로 출력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클럭 발생부(60)의 본 발명의 실시예(60A)에 의한 블럭도로서, 제1 및 제2 SR 플립플롭(flip-flop)들(62 및 64)로 구성된다.
제1 SR 플립플롭(62)은 클럭 선택부(40)에서 선택된 멀티 위상 클럭들중 고정된 위상을 갖는 클럭들의 리셋 성분(RESET1)과 세트 성분(SET1)을 각각 받는 리셋 단자(R) 및 세트 단자(S)을 갖고, 도 4에 도시된 제1 래치 클럭(LCLK1)을 출력하는 정 출력단자(Q)를 갖는다. 제2 SR 플립플롭(64)은 클럭 선택부(40)에서 선택된 멀티 위상 클럭들중 변조 정보(MOD)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하는 위상차를 갖는 클럭들의 리셋 성분(RESET2)과 세트 성분(SET2)을 각각 받는 리세 단자(R) 및 세트 단자(S)를 갖고, 도 4에 도시된 제2 래치 클럭(LCLK2)을 출력하는 정 출력단자(Q)를 갖는다.
한편, 데이터 전송부(70)는 클럭 발생부(60)로부터 제공되는 제1 및 제2 래치 클럭들(LCLK1 및 LCLK2)을 동기 클럭으로서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DATAIN)를 전송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전송부(70)는 제1 및 제2 D 플립플롭(D-FF)들(72 및 74)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D 플립플롭(72)은 데이터 입력 단자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 데이터(DATAIN)를 제1 래치 클럭(LCLK1)에 응답하여 받고, 정 출력단자(Q)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번 래치된 데이터(DO1)를 출력한다. 제2 D 플립플롭(74)은 데이터 입력 단자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 번 래치된 데이 터(DO1)를 제2 래치 클럭(LCLK2)에 응답하여 받고, 정 출력 단자(Q)를 통해 출력 데이타(DATAOUT)를 출력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전송 장치는, 일정한 주기를 갖는 위상 변조 클럭(LCLK2)으로 인해 입력 데이터(DATAIN)와 최종 출력 동기 클럭(LCLK2)은 같은 변조 정보(MOD)에 따라 위상 변조된다. 이는, SSCG(14)의 출력 주파수를 시간적 확산시키는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실현할 수 있는 전자파 간섭(EMI)의 감쇄를 적어도 동일한 수준에서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PLL을 이용한 SSCG(14)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장치는 클럭 영역(clock domain)의 단절로 인해 데이터 에러의 발생 확률이 높은 반면,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전송 장치는 DLL(30)을 사용하여 근본적으로 클럭 영역의 단절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데이터 에러의 발생 확률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SSCG(14)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클럭영역(clock domain)의 단절로 인한 데이터 에러의 발생 확률을 줄이기 위해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FIFO 메모리(12)와 같은 버퍼 메모리(buffer memory)의 필요성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전송 장치가 IC에 집적된다고 하더라도 IC의 면적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PLL 바탕의 SSCG(14)를 사용하므로 인해 상당히 큰 면적을 차지하는 반면, 본 발명은 작은 면적만을 차지하는 DLL(30)을 대체하여 사용하므로,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제공되는 SSCG의 기능을 IC 내부로 옮길 수 있으므로 IC 면적으로 상당 부분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전송 장치는 평판 디스플레이(FPD)의 타이밍 제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SSCG를 이용한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 (a) 내지 (c)들은 도 1에 도시된 각 부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전송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각 부의 파형도들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변조 제어부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클럭 발생부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지연 고정 루프 40 : 클럭 선택부
50 : 변조 제어부 60 : 클럭 발생부
70 : 데이터 전송부

Claims (6)

  1. 입력 클럭에 동기된 멀티 위상 클럭들을 생성하는 지연 고정 루프(DLL);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 위상 클럭들을 선택하는 클럭 선택부;
    상기 멀티 위상 클럭들이 일정한 주기로 상기 클럭 선택부에서 선택되도록, 상기 입력 클럭과 변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변조 제어부;
    상기 클럭 선택부에서 선택된 결과를 이용하여 제1 래치 클럭 및 제2 래치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 발생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래치 클럭들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제어부는
    상기 변조 정보에 상응하여 결정된 비트 수(N) 만큼 상기 입력 클럭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N-비트 카운터; 및
    상기 변조 정보에 상응하여 결정된 개수의 상태들을, 상기 N-비트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결과에 따라 변경시키는 상태 머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발생부는
    상기 선택된 멀티 위상 클럭들중 고정된 위상을 갖는 클럭들의 리셋 성분과 세트 성분을 각각 받는 리셋 및 세트 단자들을 갖고, 상기 제1 래치 클럭을 출력하는 정 출력단자를 갖는 제1 SR 플립플롭; 및
    상기 선택된 멀티 위상 클럭들중 상기 변조 정보가 반영된 위상을 갖는 클럭들의 리셋 성분과 세트 성분을 각각 받는 리세 및 세트 단자들을 갖고, 상기 제2 래치 클럭을 출력하는 정 출력단자를 갖는 제2 SR 플립플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제1 래치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D 플립플롭; 및
    상기 제2 래치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D 플립플롭의 출력을 출력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제2 D 플립플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N-비트 카운터는 상기 입력 클럭의 상승 엣지의 개수를 상기 입력 클럭의 개수로서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평판 디스플레이의 타이밍 제어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KR1020080135770A 2008-12-29 2008-12-29 데이터 전송 장치 KR101466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770A KR101466850B1 (ko) 2008-12-29 2008-12-29 데이터 전송 장치
US12/635,560 US8339353B2 (en) 2008-12-29 2009-12-10 Data transmission apparatus
TW098144624A TW201112225A (en) 2008-12-29 2009-12-23 Data transmission apparatus
CN2009102155400A CN101876888A (zh) 2008-12-29 2009-12-28 数据传输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770A KR101466850B1 (ko) 2008-12-29 2008-12-29 데이터 전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741A true KR20100077741A (ko) 2010-07-08
KR101466850B1 KR101466850B1 (ko) 2014-12-11

Family

ID=42284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770A KR101466850B1 (ko) 2008-12-29 2008-12-29 데이터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39353B2 (ko)
KR (1) KR101466850B1 (ko)
CN (1) CN101876888A (ko)
TW (1) TW20111222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087B1 (ko) * 2011-10-17 2013-02-21 엠텍비젼 주식회사 지연 고정 루프를 이용한 송신장치 및 송신 방법
WO2018070575A1 (ko) * 2016-10-14 2018-04-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고정된 샘플링 주파수에 의해 주기적으로 동작하는 시스템에서 emi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20200052733A (ko) * 2018-11-07 2020-05-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
US11488560B2 (en) 2015-03-09 2022-11-01 Samsung Display Co., Ltd. Data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latch controlled by clock signals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6503B2 (ja) * 2010-08-03 2016-03-30 ザイ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送受信システム
US8537937B2 (en) * 2011-01-09 2013-09-17 Mediatek Inc. Detecting circuit and related detecting method
TWI478174B (zh) * 2011-10-12 2015-03-21 Macroblock Inc 降低電磁干擾的控制電路
KR20160044144A (ko) * 2014-10-14 2016-04-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CN106341219B (zh) * 2015-12-24 2019-06-11 深圳开阳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扩频技术的数据同步传输装置
CN105681866B (zh) * 2016-01-04 2018-12-07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vbo信号处理的方法及装置
US10339997B1 (en) * 2017-12-18 2019-07-02 Micron Technology, Inc. Multi-phase clock division
KR20210057416A (ko) 2019-11-12 2021-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TWI745024B (zh) * 2019-12-27 2021-11-01 大陸商北京集創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脈衝寬度調變信號產生電路、源極驅動晶片、及led顯示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9113C2 (sv) * 2000-11-10 2003-01-14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för fångning av data
KR100882636B1 (ko) * 2002-08-29 2009-02-06 오리온오엘이디 주식회사 평판 표시 소자 및 그 구동 방법
US20040047441A1 (en) * 2002-09-11 2004-03-11 Gauthier Claude R. Source synchronous interface using a dual loop delay locked loop and variable analog data delay lines
JP4220320B2 (ja) * 2003-07-10 2009-0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7280589B2 (en) * 2003-07-24 2007-10-09 Sun Microsystems, Inc. Source synchronous I/O bus retimer
US7508893B1 (en) * 2004-06-04 2009-03-24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Integrated circuits and methods with statistics-based input data signal sample timing
US7573968B2 (en) * 2004-11-30 2009-08-11 Oki Semiconductor Co., Ltd. Data transmission circuit with serial interfa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erial data
KR100834401B1 (ko) * 2007-01-08 2008-06-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와 그의 구동 방법
US7751519B2 (en) * 2007-05-14 2010-07-06 Cray Inc. Phase rotator for delay locked loop based SerDes
KR100818181B1 (ko) * 2007-09-20 2008-03-31 주식회사 아나패스 데이터 구동 회로 및 지연 고정 루프 회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087B1 (ko) * 2011-10-17 2013-02-21 엠텍비젼 주식회사 지연 고정 루프를 이용한 송신장치 및 송신 방법
US8923383B2 (en) 2011-10-17 2014-12-30 Mtekvision Co., Ltd. Transmitter and transmitting method using delay locked loop
US11488560B2 (en) 2015-03-09 2022-11-01 Samsung Display Co., Ltd. Data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latch controlled by clock signals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8070575A1 (ko) * 2016-10-14 2018-04-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고정된 샘플링 주파수에 의해 주기적으로 동작하는 시스템에서 emi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US10454518B2 (en) 2016-10-14 2019-10-22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Method for reducing EMI in a system that periodically operates with a fixed sampling frequency and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KR20200052733A (ko) * 2018-11-07 2020-05-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패널의 구동 회로부,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850B1 (ko) 2014-12-11
TW201112225A (en) 2011-04-01
US8339353B2 (en) 2012-12-25
CN101876888A (zh) 2010-11-03
US20100164853A1 (en)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850B1 (ko) 데이터 전송 장치
US80986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speed LVDS communication
US9036755B2 (en) Circuits and methods for time-average frequency based clock data recovery
US7777534B2 (en) Fraction-N frequency divider and method thereof
US80741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its
WO2020215208A1 (zh) 时钟展频电路、电子设备和时钟展频方法
US8736515B2 (en) Graphics card, multi-screen display system and synchronous display method
KR101327966B1 (ko) 타이밍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lcd
KR20020057697A (ko) 범용 직렬 버스용 클록 복원 회로
KR101443467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송수신 시스템
US7616708B2 (en) Clock recovery circuit
JP2007053685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WO2009069244A1 (ja) 送信方法および送信装置
JP2006318002A (ja) クロック分周回路
TWI744857B (zh) 多通道傳輸裝置
US200602598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ck synchronization between a processor and external devices
KR100376731B1 (ko) 서로 다른 버스 폭을 가지는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정합방법 및 장치
KR101582171B1 (ko) 직접 디지털 주파수 합성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포트 수신단의 비디오 클럭 생성 구조
KR20200143910A (ko) 이미지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10517345A (ja) クロック信号発生器
JP2007164345A (ja) 半導体集積回路の設計方法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
WO20061214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ck synchronization between a processor and external devices
JP2012190384A (ja) 電子機器
JP2010074534A (ja) 半導体装置及び通信方法
JPH09101836A (ja) クロック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