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087B1 - 지연 고정 루프를 이용한 송신장치 및 송신 방법 - Google Patents

지연 고정 루프를 이용한 송신장치 및 송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087B1
KR101235087B1 KR1020110105675A KR20110105675A KR101235087B1 KR 101235087 B1 KR101235087 B1 KR 101235087B1 KR 1020110105675 A KR1020110105675 A KR 1020110105675A KR 20110105675 A KR20110105675 A KR 20110105675A KR 101235087 B1 KR101235087 B1 KR 101235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delay
signal
reference clock
du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수
백동현
박상용
정주영
김영진
문상아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5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087B1/ko
Priority to US13/648,765 priority patent/US892338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9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 H04L25/4902Pulse width modulation; Pulse position modul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지연 고정 루프를 이용한 송신장치 및 송신 방법이 개시된다. NFC 송신기는, 입력되는 기준 클럭과 듀티 코드 값을 이용하여 기준 클럭과 지연 클럭을 출력하는 지연 고정 루프; 상기 기준 클럭과 상기 지연 클럭을 입력받고, 입력되는 데이터의 하이 또는 로우 구간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기준 클럭을 출력하고, 입력되는 데이터의 하이 또는 로우 구간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기준 클럭과 상기 지연 클럭을 이용하여 임의의 듀티(duty)를 가지는 변환 클럭을 출력하는 클럭 출력부; 및 상기 클럭 출력부로부터 입력되는 PWM 신호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생성하는 RF 신호 발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ASK 변조 지수 구현이 용이하고, 전류 소모가 적으며, PVT 변동에 민감하지 않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연 고정 루프를 이용한 송신장치 및 송신 방법{Transmitter and transmitting method using delay locked loop}
본 발명은 근거리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연 고정 루프(DLL, Delay Locked Loop)를 이용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태그(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은 근거리 통신 방식의 일종으로서, 전파(RF)를 사용해 대상물에 구비되는 IC칩과 단말기간에 데이터 교신이 이루어짐으로써 정보를 얻는 기술이다.
전자태그는 메모리 소자만 구비된 것과 연산 능력을 갖는 CPU 소자를 구비한 것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교통카드, 신원확인용 ID 카드, 전자결제 카드, 도서관 카드, 물류 유통관리 카드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자태그는 내장되는 IC칩 소자에 데이터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터 정보를 읽는 것으로, 동작전원 공급방식에 따라 능동(Active)형 또는 상호유도(Inductively Coupled) 방식과, 수동(Passive)형 또는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 방식으로 구분된다.
수동형은 코일 안테나를 사용하고 단말기의 무선전파를 수신 및 처리하여 동작전원으로 이용하는 방식으로 통신거리가 짧은 단점을 가지지만, 능동형은 배터리와 같은 전원을 자체적으로 내장하여 이용하는 방식으로 통신거리가 수십 미터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RFID 기술을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한 대표적인 솔루션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 ISO 18092, 14443(A 또는 B) 등이 표준화되어 있고, 휴대 전화기 등에는 NFC 칩이 장착되어 있다. NFC는 HF 대역인 13.56 MHz 대역을 사용하고, 약 5 Cm 내지 10 Cm 범위인 근거리에서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 기술이다.
NFC는 휴대 전화기가 기존의 RFID 카드의 태그처럼 동작하는 것으로 리더기에 휴대 전화기를 접근시키면 휴대 전화기에 내장된 태그 내의 정보가 인식되는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Card Emulation), 휴대 전화기가 리더기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개인정보 등을 휴대 전화기에 기록하는 리더(Reader)/라이터(Writer) 모드, 복수의 장치간에 서로 통신하는 P2P(Peer to Peer) 모드로 작동한다.
또한, NFC는 기존의 전자태그의 인프라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자태그와의 호환이 용이하고 응용분야 영역이 넓은 통신 방식으로 인정받고 있다.
NFC는 HF 대역을 사용하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서 데이터 변조(modulation) 방식으로 진폭편이변조(ASK, Amplitude Shift Keying)를 사용한다. 이러한 진폭편이변조는 아래 표 1과 같이 통신속도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통신속도에 따른 ASK 변조 지수(modulation depth)
통신속도 106 Kbps 212 Kbps 424 Kbps
14443-A 100% 8~30%
14443-B 8~12%
15693 100%
NFC-IP 100% 8~30%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기술에 따른 NFC 송신기의 구조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와 도 2는 VDD를 제어하여 ASK 변조를 구현한 방식들이다.
도 1에 도시된 송신기 구조는 ASK 100%와 10%만 변조지수로 지정할 수 있는 구조로서, ASK 100%로 동작할 때는 M1과 M3가 인버터(inverter)처럼 VDD에서 GND까지의 출력이 나오며, ASK 10%로 동작할 때는 M2가 온(ON)되어 M1과 M3가 VDD에서 M2의 소스 전압까지의 출력이 나오도록 구현된 구조이다. 도 1의 송신기 구조는 관련 논문(Kyung-won Min, Suk-Byung Chai, and Shiho Kim, “An analog Front-End Circuit for ISO/IEC 14443-Compatible RFID interrogators”, ETRI Journal, Volume 27, Number 6, December 2004)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송신기 구조는 먹스(MUX) 입력으로 클럭(CLK) 및 듀티(Duty)가 변형된 클럭(CLK)이 입력되고 ASK 100%로 동작시에는 클럭(CLK)이 이용되지만 ASK 10%로 동작시에는 듀티가 변형된 클럭이 이용된다. 도 2의 송신기 구조는 관련 논문(Jung-hyun Cho, Jikon Kim, Jae-Whan Kim, Kyunil Lee, Kwang-Duk Ahn, and Shiho Kim,“An NFC transceiver with RF-powered RFID transponder mode,”IEEE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Jeju, Korea, November 12-14, 2007)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NFC 송신기 방식은 다양한 변조 지수(modulation depth)를 가지는 ASK를 구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송신기 구조는 M2의 소스 전압을 유지하기 위해서 VDD와 저항의 연결 구조에 의한 소비 전류가 항상 존재하게 되고 소스 전압의 변화를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외부에 큰 커패시턴스를 연결해야만 한다. 또한 VDD 전압을 제어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구현되어 있어 저항이 외부 환경에 의한 PVT(Process, Supply Voltage, Temperature) 변동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안정적인 출력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송신기 구조는 지연(Delay) 셀이 PVT에 매우 민감하게 변화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NFC 송신기에 비해 ASK 변조 지수의 구현이 용이하고, 전류 소모가 적으며, PVT에 민감하지 않은 NFC 송신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ASK 변조 지수(modulation depth) 구현이 용이하고, 전류 소모가 적으며, PVT(Process, Supply Voltage, Temperature) 변동에 민감하지 않은 지연 고정 루프를 이용한 송신장치 및 송신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송신기에 있어서, 입력되는 기준 클럭(ref_clk)과 듀티 코드(duty code) 값을 이용하여 기준 클럭과 지연 클럭(delay_clk)을 출력하는 지연 고정 루프(DLL); 상기 기준 클럭과 상기 지연 클럭을 입력받고, 입력되는 데이터의 하이(high) 또는 로우(Low) 구간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기준 클럭을 출력하고, 입력되는 데이터의 하이(high) 또는 로우(Low) 구간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기준 클럭과 상기 지연 클럭을 이용하여 임의의 듀티(duty)를 가지는 변환 클럭을 출력하는 클럭 출력부; 및 상기 클럭 출력부로부터 입력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생성하는 RF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NFC 송신기가 제공된다.
상기 지연 고정 루프는, 상기 듀티 코드를 이용하여 출력될 전류값을 가변시키는 전하 펌프; 상기 전하 펌프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값을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루프 필터; 전압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기준 클럭을 지연한 지연 클럭을 출력하는 전압 제어 지연부; 상기 기준 클럭과 상기 지연 클럭의 위상 및 주파수 비교를 통해 업(UP) 신호 또는 다운(DN) 신호를 상기 전하 펌프로 입력하는 위상/주파수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듀티는 0 내지 49% 범위 내의 임의의 듀티일 수 있다.
상기 PWM 신호는 NFC 통신 속도의 ASK(진폭편이변조, Amplitude Shift Keying) 지수에 부합하는 펄스 폭을 가지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RF 신호 발생부는 파워 코드(Power code)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출력 전류를 10mA 내지 60mA 중 임의의 값으로 가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송신 방법에 있어서, (a) 지연 고정 루프가 입력되는 기준 클럭(ref_clk)과 듀티 코드(duty code) 값을 이용하여 기준 클럭과 지연 클럭(delay_clk)을 출력하는 단계; (b) 클럭 출력부가 상기 기준 클럭과 상기 지연 클럭을 입력받고, 입력되는 데이터의 하이(high) 또는 로우(Low) 구간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기준 클럭을 출력하고, 입력되는 데이터의 하이(high) 또는 로우(Low) 구간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기준 클럭과 상기 지연 클럭을 이용하여 임의의 듀티(duty)를 가지는 변환 클럭을 출력하는 단계; 및 (c) RF 신호 발생부가 입력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FC 송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단계 (a)는, 전하 펌프가 상기 듀티 코드를 이용하여 출력될 전류값을 가변시켜 출력하는 단계; 루프 필터가 입력되는 전류값을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전압 제어 지연부가 전압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기준 클럭을 지연한 지연 클럭을 출력하는 단계; 및 위상/주파수 검출부가 상기 기준 클럭과 상기 지연 클럭의 위상 및 주파수 비교를 통해 업(UP) 신호 또는 다운(DN) 신호를 상기 전하 펌프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듀티는 0 내지 49% 범위 내의 임의의 듀티일 수 있다.
상기 PWM 신호는 NFC 통신 속도의 ASK(진폭편이변조, Amplitude Shift Keying) 지수에 부합하는 펄스 폭을 가지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RF 신호 발생부는 파워 코드(Power code)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출력 전류를 10mA 내지 60mA 중 임의의 값으로 가변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ASK 변조 지수(modulation depth) 구현이 용이하고, 전류 소모가 적으며, PVT(Process, Supply Voltage, Temperature) 변동에 민감하지 않은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기술에 따른 NFC 송신기의 구조를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송신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 고정 루프(DLL, Delayed Locked Loop)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제어 지연부(VCDL, Voltage Controlled Delay Line)의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하펌프(Charge Pump)와 루프 필터(Loop Filter)의 회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송신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NFC 송신기는 지연 고정 루프(DLL, Delay Locked Loop)(310), 클럭 출력부(Control Stage)(320), RF 신호 발생부(Power Stage)(330)을 포함한다.
지연 고정 루프(310)는 입력되는 기준 클럭(ref_clk)을 이용하여 ASK 지수 0% 내지 100%를 선택하도록 하는 듀티 코드(duty code) 값을 기초로 기준 클럭과 기준 클럭으로부터 일정 수준 지연(delay)된 지연 클럭(delay_clk)을 각각 출력한다.
클럭 출력부(320)는 지연 고정 루프(310)로부터 기준 클럭과 지연 클럭을 입력받고, 입력되는 데이터(즉, 지정된 통신 방식에 의해 전송할 실제 데이터)가 하이(High)인 구간에서는 기준 클럭을 출력하고, 데이터가 로우(low)인 구간에서는 기준 클럭과 지연 클럭을 이용하여 생성된 0 내지 49%의 듀티(duty)를 가지는 변환 클럭을 출력한다.
RF 신호 발생부(330)는 클럭 출력부(320)로부터 입력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생성한다. RF 신호 발생부(330)는 데이터 전송시의 전송 전류를 선택하기 위한 코드인 파워 코드(Power code)에 따라 예를 들어 10mA 내지 60mA로 출력 전류를 가변하도록 구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NFC 송신기는 지연 고정 루프(310)를 이용하여 통신 방식과 통신 속도에 따른 적절한 ASK(진폭편이변조, Amplitude Shift Keying) 지수(depth)를 만족하는 펄스 폭(Pulse width)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0 내지 100%까지의 다양한 ASK 지수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 고정 루프(DLL, Delayed Locked Loop)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제어 지연부(VCDL)의 회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하 펌프와 루프 필터의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연 고정 루프(310)는 전압 제어 지연부(VCDL, Voltage Controlled Delay Line)(410), 위상/주파수 검출부(PFD, Phase/Frequency Detector)(420), 전하 펌프(CP, Charge Pump)(430), 루프 필터(LF, Loop Filter)(4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NFC 송신기는 PWM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지연 고정 루프(310)를 이용하며, 도 4에 도시된 지연 고정 루프(310)의 구조는 종래기술의 구조와 같이 신호간의 동기를 맞춰 주기 위한 목적이 아닌, 원하는 지연(Delay)을 생성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전하 펌프(430)의 듀티 코드(Duty code)를 이용하여 원하는 만큼의 지연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지연 고정 루프(310) 및 이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하 펌프(430)는 듀티 코드를 가지고 전하 펌프(430)의 UP 전류원의 온/오프를 통해 루프 필터(440)로 입력되는 전류를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루프 필터(440)로 입력된 전류값은 루프 필터(440)를 지나면서 전압으로 변환되어 전압 제어 지연부(410)에 입력된다.
전압 제어 지연부(410)는 전압제어신호(VCTRL, 도 5 참조)의 전압값에 따라 입력되는 클럭(CLK)을 지연시켜 출력한다.
전압 제어 지연부(410)에서 출력되는 지연된 클럭은 위상/주파수 검출부(420)로 입력되어 클럭(CLK)과 지연 클럭(Delay CLK)의 위상(Phase) 및 주파수(Frequency) 비교를 통해 UP 또는 DN 신호(도 6 참조)를 전하 펌프(430)로 다시 입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과적으로 하나의 루프(LOOP)가 생성되어 듀티 코드(Duty Code)에 따라 PVT(Process, Supply Voltage, Temperature)에 둔감한 일정한 지연을 가지는 클럭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NFC 송신기는 필요로 하는 ASK 변조를 PWM(Pulse width modulation)으로 구현하였고, PWM의 펄스 폭을 지연 고정 루프(Delayed locked loop)를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ASK 지수를 가지는 출력 파형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코드(Digital code)를 이용하여 지연 정도를 조절하고, 지연 고정 루프를 이용하여 지연을 보정하기 때문에 PVT 변화에 둔감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NFC 송신기는 종래 기술에 따른 NFC 송신기에 비해 ASK 지수(depth)의 구현이 용이하고, 0 내지 100% ASK 구현이 가능하며, 저항을 이용하여 제어 전압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전류 소모가 감소하고, 지연 고정 루프 구조를 이용하여 지연을 만들고 이를 PWM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PVT에 둔감한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10 : 지연 고정 루프(DLL, Delay Locked Loop)
320 : 클럭 출력부(Control Stage)
330 : RF 신호 발생부(Power Stage)
410 : 전압 제어 지연부(Voltage Controlled Delay Line)
420 : 위상/주파수 검출부(Phase/Frequency Detector)
430 : 전하 펌프(Charge Pump)
440 : 루프 필터(Loop Filter)

Claims (10)

  1.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송신기에 있어서,
    입력되는 기준 클럭(ref_clk)과 듀티 코드(duty code) 값을 이용하여 기준 클럭과 지연 클럭(delay_clk)을 출력하는 지연 고정 루프(DLL);
    상기 기준 클럭과 상기 지연 클럭을 입력받고, 입력되는 데이터의 하이(high) 또는 로우(Low) 구간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기준 클럭을 출력하고, 입력되는 데이터의 하이(high) 또는 로우(Low) 구간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기준 클럭과 상기 지연 클럭을 이용하여 임의의 듀티(duty)를 가지는 변환 클럭을 출력하는 클럭 출력부; 및
    상기 클럭 출력부로부터 입력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생성하는 RF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연 고정 루프는,
    상기 듀티 코드를 이용하여 출력될 전류값을 가변시키는 전하 펌프;
    상기 전하 펌프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값을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루프 필터;
    전압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기준 클럭을 지연한 지연 클럭을 출력하는 전압 제어 지연부; 및
    상기 기준 클럭과 상기 지연 클럭의 위상 및 주파수 비교를 통해 업(UP) 신호 또는 다운(DN) 신호를 상기 전하 펌프로 입력하는 위상/주파수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송신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듀티는 0 내지 49% 범위 내의 임의의 듀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송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WM 신호는 NFC 통신 속도의 ASK(진폭편이변조, Amplitude Shift Keying) 지수에 부합하는 펄스 폭을 가지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송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 발생부는 파워 코드(Power code)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출력 전류를 10mA 내지 60mA 중 임의의 값으로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송신기.
  6.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송신 방법에 있어서,
    (a) 지연 고정 루프가 입력되는 기준 클럭(ref_clk)과 듀티 코드(duty code) 값을 이용하여 기준 클럭과 지연 클럭(delay_clk)을 출력하는 단계;
    (b) 클럭 출력부가 상기 기준 클럭과 상기 지연 클럭을 입력받고, 입력되는 데이터의 하이(high) 또는 로우(Low) 구간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기준 클럭을 출력하고, 입력되는 데이터의 하이(high) 또는 로우(Low) 구간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기준 클럭과 상기 지연 클럭을 이용하여 임의의 듀티(duty)를 가지는 변환 클럭을 출력하는 단계; 및
    (c) RF 신호 발생부가 입력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a)는,
    전하 펌프가 상기 듀티 코드를 이용하여 출력될 전류값을 가변시켜 출력하는 단계;
    루프 필터가 입력되는 전류값을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전압 제어 지연부가 전압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기준 클럭을 지연한 지연 클럭을 출력하는 단계; 및
    위상/주파수 검출부가 상기 기준 클럭과 상기 지연 클럭의 위상 및 주파수 비교를 통해 업(UP) 신호 또는 다운(DN) 신호를 상기 전하 펌프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송신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듀티는 0 내지 49% 범위 내의 임의의 듀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송신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WM 신호는 NFC 통신 속도의 ASK(진폭편이변조, Amplitude Shift Keying) 지수에 부합하는 펄스 폭을 가지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송신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 발생부는 파워 코드(Power code)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출력 전류를 10mA 내지 60mA 중 임의의 값으로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송신 방법.
KR1020110105675A 2011-10-17 2011-10-17 지연 고정 루프를 이용한 송신장치 및 송신 방법 KR101235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675A KR101235087B1 (ko) 2011-10-17 2011-10-17 지연 고정 루프를 이용한 송신장치 및 송신 방법
US13/648,765 US8923383B2 (en) 2011-10-17 2012-10-10 Transmitter and transmitting method using delay locked loo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675A KR101235087B1 (ko) 2011-10-17 2011-10-17 지연 고정 루프를 이용한 송신장치 및 송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5087B1 true KR101235087B1 (ko) 2013-02-21

Family

ID=47899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675A KR101235087B1 (ko) 2011-10-17 2011-10-17 지연 고정 루프를 이용한 송신장치 및 송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23383B2 (ko)
KR (1) KR1012350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7204B2 (en) 2013-10-31 2016-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oltage regulator with current mirroring circuitry for transmitters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and chips, an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such NFC chips
CN108155956A (zh) * 2016-12-05 2018-06-12 英飞凌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射频信号路径校准的设备、系统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0071B1 (en) 2014-06-26 2015-04-28 Hong Kong Applied Science &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Amplitude shift keyed (ASK) modulator/transmitter with fast fall time
KR20210057416A (ko) * 2019-11-12 2021-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241A (ko) * 2004-07-29 2006-02-03 쓰리에이로직스(주) Rfid 리더기의 afe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rfid 리더기
KR20100077741A (ko) * 2008-12-29 2010-07-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데이터 전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8928B2 (en) * 2003-05-06 2006-02-14 Motorola, Inc. Digital pulse width modulation
US7339525B2 (en) * 2004-07-30 2008-03-04 Novariant, Inc. Land-based local ranging signal methods and systems
US20090036064A1 (en) * 2007-07-31 2009-02-05 Ashoke Ravi Digital integrated transmitter based on four-path phase modulation
US8633766B2 (en) * 2010-04-19 2014-01-21 Rf Micro Devices, Inc. Pseudo-envelope follower power management system with high frequency ripple current compensation
EP2656493A4 (en) * 2010-12-20 2017-10-25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Low-to-medium power single chip digital controlled dc-dc regulator for point-of-load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241A (ko) * 2004-07-29 2006-02-03 쓰리에이로직스(주) Rfid 리더기의 afe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rfid 리더기
KR20100077741A (ko) * 2008-12-29 2010-07-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데이터 전송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7204B2 (en) 2013-10-31 2016-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oltage regulator with current mirroring circuitry for transmitters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and chips, an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such NFC chips
CN108155956A (zh) * 2016-12-05 2018-06-12 英飞凌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射频信号路径校准的设备、系统和方法
US10862207B2 (en) 2016-12-05 2020-12-08 Infineon Technologies Ag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radio frequency signal path calibration
CN108155956B (zh) * 2016-12-05 2021-10-29 英飞凌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射频信号路径校准的设备、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94562A1 (en) 2013-04-18
US8923383B2 (en)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7092B2 (en) System to calibrate phase using system information
US10938107B2 (en)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an antenna of an NFC device
US20170155429A1 (en) Power adaptive dual mode card emulation system for nfc and rfid application
JP6879847B2 (ja) Nfcシステムにおけるアクティブ型負荷変調の位相を高分解能チューニング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01657967A (zh) 振荡器和开始振荡的方法
Stoopman et al. An RF-powered DLL-based 2.4-GHz transmitter for autonomous wireless sensor nodes
KR101235087B1 (ko) 지연 고정 루프를 이용한 송신장치 및 송신 방법
US20170180010A1 (en) Polling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US9094255B2 (en) Method and device for amplitude modulation of an electromagnetic signal emitted by a contactless transceiver system
US10164766B1 (en) Advanced synchronization schemes for NFC card emulation mode, peer-to-peer mode and RFID tag design
US10749719B2 (en) Synchronization between an object and a reader contactlessly communicating by active load modulation
US20070029387A1 (en) IC card reading apparatus and its related method
Tang et al. A novel method to improve the subcarrier frequency accuracy for UHF RFID sensing system
US20130176111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CN108462511B (zh) 近场通信设备及近场通信设备的操作方法
EP4016390B1 (en) Dual system rfid tag
EP2956893B1 (en) Amplifier circuit, antenna modul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JP2013090021A (ja) アンテナ回路、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Park et al. Design of 13.56 MHz ASK transmitter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using a DLL architecture
CN203706244U (zh) 一种场时钟自动同步的有源非接触式ic卡
US11736148B2 (en) Contactless communication device mode switching management
EP2843851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transmitter
US20240176975A1 (en) Radio device with dc/dc converter and phase calibration
CN113988095B (zh) 非接触式通信设备模式切换管理
Kuo et al. An LTE-Powered BLE-to-WiFi Backscattering Chip Towards Single Device Interrogation RFID-like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