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6529A -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6529A
KR20100076529A KR1020080134616A KR20080134616A KR20100076529A KR 20100076529 A KR20100076529 A KR 20100076529A KR 1020080134616 A KR1020080134616 A KR 1020080134616A KR 20080134616 A KR20080134616 A KR 20080134616A KR 20100076529 A KR20100076529 A KR 20100076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treatment
metal surface
steel sheet
composition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3661B1 (ko
Inventor
박찬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134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661B1/ko
Publication of KR20100076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05D2202/10Metallic substrate based on 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05D2202/20Metallic substrate based on light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05D2202/30Metallic substrate based on refractory metals (Ti, V, Cr, Zr, Nb, Mo, Hf, Ta, W)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22/00Aspects relating to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medium
    • C23C2222/20Use of solutions containing sil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경화성 수지; 비점이 110 내지 140℃인 수용성 용제; 실란커플링제; 및 윤활제를 포함하는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과,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금속재료 및 상기 금속재료의 표면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롬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외관, 가공성 및 밀착성 등이 향상된 금속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금속표면처리, 크롬프리, 가공성, 밀착성, 내지문강판

Description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metal surface treatm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연으로 도금된 강철,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금속재료는 건자재 및 자동차용 강판뿐만 아니라 가전제품용 금속자재 등에 대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금속은 쉽게 부식되거나 오염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금속재료의 표면에 일정한 코팅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금속재료에 내부식성 또는 내오염성의 기능을 부여하였다.
아연도금강판 중에서도 특히 전기아연도금강판은 가전, 사무용 및 주방용 기기의 부품 소재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가공성과 내후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아연도금강판 등과 같은 금속의 표면에 가공성이나 내후성 등을 보완하기 위하여 인산염 처리, 윤활 처리 또는 내지문수지 처리 등을 수행하여 왔다.
다만, 인산염 처리는 화학 반응을 기본으로 함에 따라 인산염 처리공정 이외에도 표면조정 및 수세 등의 부가적인 처리공정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경제성과 작업성 측면에서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아연 도금된 소재 외에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비철금속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윤활처리 또는 내지문수지 처리가 보편적인 표면처리방법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윤활 처리 또는 내지문수지 처리를 위하여 사용되어 오던 방법은 대부분 롤 코터법에 제한되어 수행되어 왔으나, 처리방식의 특성상 1㎛ 정도의 박막 코팅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정 수준 이상의 두께로 피막 코팅을 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건을 달리하여 후막 코팅을 하고자 하는 경우, 용액의 특성상 외관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박막 대비 밀착성이 매우 열위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소재의 용도 특성상 보다 우수한 가공성과 내후성을 가지기 위하여 후막코팅을 수행하거나 선가공 후 표면처리 코팅을 수행하는 등의 노력이 있었으나, 우수한 외관, 가공성 및 밀착성을 만족시키는 금속표면처리용액의 개발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 주로 사용되어 오던 금속재료의 표면처리방법 중에서 크로메이트 처리방법은 저렴한 처리비용으로 강판에 우수한 내식성 및 도장성 등의 표면처리 특성을 부여한다는 장점이 있었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크로메이트 처리에 사용되는 크롬은 대표적인 공해물질로서 인 체 및 환경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물질에 해당하며, 전 세계적으로 크롬의 사용을 규제하려는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곧 사용이 금지될 전망이다.
따라서 크롬을 사용하지 않고도 금속재료가 우수한 외관, 가공성 및 밀착성 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크롬을 함유하지 않고도 외관, 가공성 및 밀착성 등에 있어서,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친환경적인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친환경적인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면 처리한 표면처리강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친환경적인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접성 및 도장밀착성 등이 향상되도록 우수한 물성을 가지며, 친환경적인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을 이용한 금속재료의 표면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열경화성 수지; 비점이 110 내지 140℃인 수용성 용제; 실란커플링제; 및 윤활제를 포함하는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금속 강판; 및 상기 금속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코팅 층을 포함하는 금속재료를 제공한 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A)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강판에 0.5 내지 10㎛의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는 단계; 및 B) 상기 조성물이 도포된 강판을 소부시킨 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재료의 표면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크롬을 함유하지 않아서 친환경적일 뿐 아니라 외관, 가공성, 윤활성 및 밀착성이 우수한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위험 물질이 배출되지 않으므로 작업 환경을 열화시키지 않으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열경화성 수지; 비점이 110 내지 140℃인 수용성 용제; 실란커플링제; 및 윤활제를 포함하는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내식성 및 가공성이 우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수지의 예로는, 에폭시 수지, 아미노 수지, 우레탄 수지 및 이들의 변성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카르복실기 또는 수산기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가지는 가교 가능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카르복실기 또는 수산기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수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수성 수지'란 용어는 수용성 수지 자체 외에도 본래 수-불용성 수지이지만 에멀젼이나 서스펜션과 같이 불용성 수지가 물에 분산된 상태인 경우 등을 포함하는 수지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40 내지 8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가 40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내식성 및 가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80 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되는 경우, 기타 첨가제의 용해도 및 호환성이 떨어져 용액의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수용성 용제는 도막의 건조속도 및 표면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지와의 호환성이 양호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 셀로소브, 부틸 셀로소브 및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용성 용제는 5 내지 2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용제가 5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외관 및 건조속도 개선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경제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용액의 점도를 급격하게 떨어뜨리므로 도막 두께를 확보하기가 어렵고, 오히려 외관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한편, 실란커플링제는 에폭시계, 아미노계 및 메타크릴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가수분해 축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실란커플링제를 포함하는 경우, 내식성 및 밀착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실란커플링제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구체적인 예를 들며,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글리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글리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또는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과 같은 에폭시계 실란화합물,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또는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 같은 아미노계 실란화합물 및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 같은 메타크릴계 실란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다만, 예시된 실란커플링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내식성 및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실란커플링제가 이에 포함될 수 있 다.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0.1 내지 3.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0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실란커플링제가 0.1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내식성 및 밀착성의 향상효과가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되는 경우, 용액의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윤활제는 가공성 향상 및 자기 윤활성 부여를 위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파라핀계왁스, 올레핀계왁스, 카나우바계왁스 및 폴리에틸렌계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윤활제는 5 내지 2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윤활제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코팅도막의 윤활작용이 일어나지 못하므로 가공 및 성형성의 향상효과가 충분하지 못하며,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더 이상의 윤활효과가 발휘되지 않으므로 내식성 등의 요구성능 및 용액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 윤활제는 평균입경이 0.1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7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윤활제의 평균입경이 0.1 ㎛ 미만인 경우, 윤활성 및 가공성의 개선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1.0 ㎛를 초과하는 경우, 핀홀 및 블러스터 등의 외관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은 불소계 계면활성제 또는 비 실리콘형 소포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계 계면활성제는 도막의 웨팅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이를 포함하는 경우, 균일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어 금속재료의 외관을 향상시키며, 상기 비실리콘형 소포제는 거품으로 인한 외관 불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불소계 계면활성제 및 비실리콘형 소포제는 각각 0.01 내지 0.5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보다 적게 함유되는 경우, 외관 상승효과를 가져오기 어려우며, 상기 함량보다 많게 함유되는 경우, 오히려 외관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의 잔량은 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은 수성 윤활성 수지로서, 도막의 조막성 향상과 함께 견고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물질 외에도 경화제 또는 웨팅제와 같은 첨가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금속표면처리 조성물은 강판에 우수한 외관, 내식성, 가공성, 밀착성 및 용액의 저장 안정성 등을 부여하며, 크롬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수지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금속 강판; 및 상기 금속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상기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코팅 층을 포함하는 금속재료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금속 강판은 자동차 재료, 가전제품, 건축재료 등의 용도로 이용되는 금속, 특정적으로 철판 등의 금속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강판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냉연강판; 아연도금 강판, 아연니켈 도금강판, 아연철 도금강판, 아연티탄 도금강판, 아연마그네슘 도금강판, 아연망간 도금강판, 아연알루미늄 도금강판 등의 아연계 전기도금 강판; 용융도금강판; 알루미늄 도금강판; 또한 이들 도금층에 이종금속 또는 불순물로서, 예를 들면, 코발트, 몰리브덴, 텅스텐, 니켈, 티탄, 알루미늄, 망간, 철, 마그네슘, 주석, 동 등을 함유한 도금 강판; 또한 이들 도금층에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무기물을 분산시킨 도금강판; 또는 실리콘, 동, 마그네슘, 철, 망간, 티탄, 아연 등을 첨가한 알루미늄 합금판; 또는 인산염이 도포된 아연도금강판; 또는 열연강판을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도금 중에 2종류 이상을 순차적으로 처리한 다층 도금판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팅 층은 두께가 0.5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 층의 두께가 0.5㎛ 미만인 경우, 가공성 및 내식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10㎛를 초과하는 경우, 건조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A) 상기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을 강판에 0.5 내지 10㎛의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는 단계; 및 B) 상기 조성물이 도포된 강판을 소부시킨 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재료의 표면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을 금속 강판에 도포하는 방법은 롤 코우터법, 샤워스퀴즈법, 침적법, 플로우 코우터법 또는 스프레이법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된 방법 외에 다양한 코팅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부는 100 내지 200℃의 온도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부 온도가 100℃ 미만인 경우, 경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충분한 도막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2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건조 후 금속재료의 냉각이 용이하지 않고, 도막의 탄화 발생 등과 같은 도막성분 결합의 변형으로 인해 전반적인 성능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탈이온수를 교반하면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C1)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때 온도는 80℃로 유지하였고,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35℃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에틸 셀로솔브(ethylcellosolve)를 서서히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우레탄수지 및 폴리에틸렌왁스를 순차적으로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어서 2000 내지 3000rpm의 교반속도로 불소계 계면활성제(FC4434, 3M) 및 비실리콘형 소 포제(CPA-1012, 청산화학)를 2 회에 나누어 첨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잔량의 탈이온수를 첨가한 후 30분 동안 교반하여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의 조성 및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제조된 수용성 강판 표면처리 조성물을 전기아연도금강판에 건조도막 두께가 2㎛이 되도록 스프레이 코팅한 후 강판온도가 120℃가 될 때까지 소부한 후 냉각하였다.
이에 따라 표면 처리된 금속 강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5 및 비교예 1~3]
수지, 수용성 용제, 실란커플링제 및 윤활제의 종류와 첨가량, 소부 온도, 도막 두께를 하기 표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강판 표면처리를 행하였다.
구분 첨가량(중량%) 계면활성제 및 소포제 건조
온도(℃)
도막 두께
(㎛)
A:수지 B:용제 C:실란 D:윤활제


1 A1(60) B1(5) C1(1) D1(10) 150 1.0
2 A1(50) B1(10) C2(2) D1(5)
D2(5)
120 1.2
3 A1(60) B2(10) C2(1.5) D1(5)
D2(10)
90 0.8
4 A1(50) B1(15) C3(3) D1(15) 100 1.5
5 A1(70) B2(5) C1(2) D1(10)
D2(5)
80 1.0


1 A1(50) - C2(1) D1(15) 100 1.5
2 A1(60) B1(5) - D2(10) 80 0.5
3 A1(50) B2(5) C3(0.5) - 150 0.8
주) 탈이온수 첨가량: 잔량
A: 수지
A1: 우레탄 수지
B: 용제
B1: 에틸 셀룰소브(끓는점: 136℃)
B2: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끓는점: 120℃)
C: 실란커플링제
C1: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C2: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C3: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D: 윤활제
D1: 폴리에틸렌왁스(입경 0.3㎛)
D2: 폴리에틸렌왁스(입경 0.7㎛)
상기와 같은 조건에 따라 제조된 수성 표면처리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이 이루어진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강판에 대하여 가공성, 윤활성, 도장밀착성 및 외관을 평가하였다.
[실험예]
1. 가공성 테스트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표면 처리된 강판을 트리보미터(Tribometer) 시험기를 이용하여 0.25㎏f/㎟의 하중에서 10회 왕복 후 시험편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기준은 아래와 같다.
○: 흑화 발생이 거의 없음
△: 평가부위에서 부분적으로 흑화 발생
×: 평가부위 전면 흑화 발생
2. 윤활성 테스트
드로비드 시험기를 이용하여 동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마찰계수가 작을수록 윤활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평가기준은 아래와 같다.
○: 마찰계수 0.100 이하
△: 마찰계수 0.100 내지 0.120
×: 마찰계수 0.120 초과
3. 밀착성 테스트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표면 처리된 강판에 1㎜간격의 바둑판눈금 100개의 칼집을 넣은 부분에 셀로테이프를 붙이고, 이것을 떼어냄으로써 밀착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기준은 아래와 같다.
○: 벗겨진 반점이 없음
×: 벗겨진 반점이 하나이상 있음
4. 외관 테스트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표면 처리된 강판의 외관을 확인하여 핀홀, 블리스터 등의 표면 결함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기준은 아래와 같다.
○: 표면결함이 한 점도 없음
×: 표면결함이 한 점 이상 있음
상기와 같은 다양한 물성 테스트에 따른 평가결과를 하기 표 2에 요약하였다.
구분 가공성 윤활성 밀착성 외관


1
2
3
4
5


1 ×
2 ×
3 ×
상기 표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을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에는 가공성, 윤활성, 밀착성 및 외관 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용제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은 외관이 매우 열위한 것으로 나타났고, 밀착성 개선을 위한 실란커플링제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2의 경우 밀착성이 열위하게 나타났으며, 윤활제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3은 가공성과 윤활성이 열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14)

  1. 열경화성 수지;
    비점이 110 내지 140℃인 수용성 용제;
    실란커플링제; 및
    윤활제를 포함하는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수지는 에폭시 수지, 아미노 수지, 우레탄 수지 및 이들의 변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수지는 40 내지 8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수용성 용제는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 셀로소브, 부틸 셀로소브 및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수용성 용제는 5 내지 2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실란커플링제는 에폭시계, 아미노계 및 메타크릴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가수분해 축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실란커플링제는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글리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글리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8. 제 6항에 있어서,
    실란커플링제는 0.1 내지 3.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윤활제는 5 내지 2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윤활제는 평균입경이 0.1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불소계 계면활성제 또는 비실리콘형 소포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12. 금속 강판; 및
    상기 금속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코팅 층을 포함하는 금속재료.
  13. 제 12항에 있어서,
    금속 강판은 냉연강판; 아연도금강판; 아연계 전기도금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알루미늄도금강판; 도금층에 코발트, 몰리브덴, 텅스텐, 니켈, 티탄, 알루미늄, 망간, 철 마그네슘, 주석, 동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불순물 또는 이종금속을 함유한 도금강판; 실리콘, 동 마그네슘, 철, 망간, 티탄, 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한 알루미늄 합금판; 인산염이 도포된 아연도금강판; 및 열연강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료.
  14. 제 12항에 있어서,
    코팅 층은 두께가 0.5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료.
KR1020080134616A 2008-12-26 2008-12-26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KR101103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616A KR101103661B1 (ko) 2008-12-26 2008-12-26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616A KR101103661B1 (ko) 2008-12-26 2008-12-26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529A true KR20100076529A (ko) 2010-07-06
KR101103661B1 KR101103661B1 (ko) 2012-01-11

Family

ID=4263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616A KR101103661B1 (ko) 2008-12-26 2008-12-26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6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118A1 (ko) * 2015-08-28 2017-03-09 주식회사 제이엘서피스 마찰계수 안정성, 내식성 및 친환경 표면처리 코팅용액, 그 코팅용액을 이용한 코팅층의 제조방법
CN114381724A (zh) * 2020-10-17 2022-04-22 苏州市汉宜化学有限公司 一种锡及锡合金用可抗高温的无铬钝化剂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531B1 (ko) * 2020-12-21 2023-07-26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강판 접착 코팅 조성물, 전기강판 적층체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030A (ja) * 1993-07-20 1995-02-03 Dainippon Toryo Co Ltd 塗料組成物及び被覆アルミニウム材
JP3982277B2 (ja) * 2002-02-15 2007-09-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プレス成形性と耐食性に優れた表面処理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118A1 (ko) * 2015-08-28 2017-03-09 주식회사 제이엘서피스 마찰계수 안정성, 내식성 및 친환경 표면처리 코팅용액, 그 코팅용액을 이용한 코팅층의 제조방법
CN114381724A (zh) * 2020-10-17 2022-04-22 苏州市汉宜化学有限公司 一种锡及锡合金用可抗高温的无铬钝化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661B1 (ko)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04102B (zh) 表面处理溶液组合物、利用该组合物进行表面处理的镀锌系钢板及其制造方法
JP4944867B2 (ja) 向上された耐アルカリ性と加工性を有するクロムフリー樹脂溶液組成物、これを用いた鋼板の表面処理方法及び表面処理された鋼板
KR102075214B1 (ko) 우수한 내식성 및 내흑변성을 부여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92485B1 (ko) 아연계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및 아연계 도금 강판
KR102314431B1 (ko) 우수한 내흑변성 및 내알칼리성을 부여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4747625B2 (ja) 耐食性と耐疵付き性に優れた表面処理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65068B1 (ko) 가공성이 우수한 크롬 프리 수지 용액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표면처리 강판
KR100797321B1 (ko) 금속표면 처리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금속표면처리방법 및 이에 따라 처리된 강판
KR101103661B1 (ko)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JP2008019492A (ja) 亜鉛系めっき金属材料に適した表面処理液
JPH09169078A (ja) 電着塗装性および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樹脂塗装鋼板
KR100782640B1 (ko) 가공성이 우수한 크롬 프리 수지 용액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표면처리 강판
KR101182373B1 (ko)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999517A (ja) 潤滑処理鋼板とそれに用いる皮膜形成性組成物
KR101008109B1 (ko) 내열성 및 내고온고습성이 향상된 크롬프리 수지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표면처리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6323424B2 (ja) 耐食性に優れた表面処理溶融亜鉛めっき鋼板
KR101053370B1 (ko) 내고온고습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크롬 프리 수지 조성물 및 표면처리 강판 제조방법
CA2401130A1 (en) Metal sheet material with superior corrosion resistance
JPH0316726A (ja) 成型性の優れた潤滑樹脂処理鋼板
KR101053316B1 (ko) 불소계 수지를 이용한 내열성이 우수한 내지문 강판용 크롬프리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강판
KR101060823B1 (ko) 박막수지피복 하지용 실란올 용액 처리 강판
RU2412278C2 (ru) Стальной лист с покрытием
KR100928793B1 (ko) 가공성 및 표면윤활성이 우수한 금속표면 처리용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표면 처리 방법
US6706328B2 (en) Metal sheet material with superior corrosion resistance
JP2005206921A (ja) 非クロメート型表面処理金属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