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5981A - 호이스팅 또는 페잉 아웃 이동 제어 방법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기울어짐 가능한 케이블 쉬리브를 갖는 호이스팅 프레임 - Google Patents

호이스팅 또는 페잉 아웃 이동 제어 방법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기울어짐 가능한 케이블 쉬리브를 갖는 호이스팅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5981A
KR20100075981A KR1020107009500A KR20107009500A KR20100075981A KR 20100075981 A KR20100075981 A KR 20100075981A KR 1020107009500 A KR1020107009500 A KR 1020107009500A KR 20107009500 A KR20107009500 A KR 20107009500A KR 20100075981 A KR20100075981 A KR 20100075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ing
cable
frame
pulley
cabl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9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8590B1 (ko
Inventor
코르넬리스 슈티니스
Original Assignee
슈티니스 베헤르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티니스 베헤르 비.브이. filed Critical 슈티니스 베헤르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00075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01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B66C15/065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 하물 상에서 케이블 활차 둘레에서 끌리는 2 개 이상의 호이스팅 케이블에 의해 크레인의 호이스팅 기구로부터 매달리는 적재 하물의 호이스팅 또는 로어링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적재 하물의 위치를 감시하는 단계, 원하지않는 위치의 검출시에 호이스팅 기구를 제동 및/또는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블 활차는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하기 위해 적재 하물에 각각 연결되며, 적재 하물의 위치는 케이블 활차중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활차의 선회 이동을 검출함으로써 감시된다.
본 발명은 또한, 2 개 이상의 서로 평행한 케이블 활차를 포함하는 호이스팅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 활차는 호이스팅 프레임과 크레인의 호이스팅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서 호이스팅 프레임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 중 하나에 근접하게 각각 배치되고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각각의 케이블 활차는 그 회전 축선에 수직하게 이어진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하기 위해 프레임에 장착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각각의 케이블 활차의 선회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 있으며, 한편 제 2 실시형태는, 각각의 케이블 활차를 수직 위치로 편향시키는 수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호이스팅 프레임이 매달리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호이스팅 또는 페잉 아웃 이동 제어 방법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기울어짐 가능한 케이블 쉬리브를 갖는 호이스팅 프레임 {METHOD FOR CONTROLLING A HOISTING OR PAYING OUT MOVEMENT AND HOISTING FRAME HAVING TILTABLE CABLE SHREAVE FOR USE THEREIN}
본 발명은 적재 하물 상에서 케이블 활차 둘레에서 끌리는 적어도 2 개의 호이스팅 케이블에 의해 크레인의 호이스팅 기구로부터 매달리는 적재 하물의 호이스팅 또는 로어링 (lowering)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적재 하물의 위치를 감시하는 단계, 원하지않는 위치의 검출시에 호이스팅 기구를 제동 및/또는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크레인에 의한 적재 하물의 호이스팅 또는 로어링시, 예컨대 부두에서 콘테이너 크레인을 사용한 선박의 하역 또는 선적중, 적재 하물의 바람직하지 않으며, 위험 가능성이 있는 이동을 적시에 검출하고 대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위험한 이동은 예컨대, 호이스팅 또는 로어링 이동을 제동시키거나 또는 완전 정지시킴으로써 방지될 수 있는데, 그 결과물, 특히 가능한 파괴가 가능한한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적재 하물" 은 크레인의 호이스팅 케이블 아래에 있는 무거운 물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적재 하물은 스프레더 (들) 및/또는 콘테이너 (들) 와 소위 "헤드 블록" 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적재 하물은 임의의 스프레더 (들) 및/또는 콘테이너 (들) 를 갖지 않는 헤드 블록만일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위험한 이동" 은 특별히 경사 이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여기에서 다른 경우가 구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적재 하물은 호이스팅 또는 로어링 중 기울어짐으로써 선박의 셀에 끼일 수도 있다. 이를 "스내깅(snagging)" 이라 한다. 또한, 기울어짐 이동은 적재 하물의 호이스팅 또는 로어링 중 적재 하물과의 접촉의 결과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적재 하물은 적재 하물이 정확한 방법으로 지면에 내려지지 않을 때 경사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언급된 이동, 소위 스내깅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최소화하는 것이다. 호이스팅 중, 적재 하물은 외부의 영향, 예컨대 부정확한 이동에 기인하여 선박의 셀의 일측에 접촉할 수 있다. 이후, 적재 하물은 통상 길이 방향으로 기울어질 것이다. 이러한 기울어짐에 기인하여, 적재 하물은 끼게되고 파손될 수 있다. 게다가, 케이블 활차, 호이스팅 케이블 및/또는 크레인 구조 전체가 파손될 수 있다.
고정된 케이블 활차가 콘테이너 전달을 위해 부두 지구 크레인에 통상 적용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적재 하물이 기울어지면, 케이블은 활차에 대해 각지게 놓여진다. 각도가 너무 크면, 케이블은 파손될 수도 있고, 심지어 케이블이 활차와 접촉되는 지점에서 파괴될 수도 있다. 또한, 활차도 파손될 수 있다. 호이스팅 또는 로어링 이동이 더 빠르게 정지할 수록, 그로 인한 파손은 덜할 것이다.
파손, 특히 케이블 파손이 발생한다면, 크레인은 더 이상 기능할 수 없다. 특히, 크레인이 선박에 서로 근접한 수개의 크레인중 중심 크레인이라면, 그리고, 부두에서의 선박의 다른 정박 위치 (mooring position) 를 위해 부두에 이동의 자유가 거의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달 용량에 심각한 하락을 유발한다.
크레인의 전달 용량의 하락은 배가 소망하는 것보다 더 오래동안 부두에 정박하는 것을 유발하는데, 이는 상당한 비용을 수반한다. 게다가, 파손의 결과로서의 크레인의 고장은 또한, 크레인의 수리, 예컨대 호이스팅 케이블의 교체에 대한 실제 비용의 추가와 함께 높은 비용을 포함한다. 결국, 적재 하물에의 파손이 추가의 상당한 비용을 수반할 수 있다.
호이스팅 케이블 상의 적재 하물을 허용가능한 한계 내에서 제어하고 유지하는 지금까지 공지된 방법은 호이스팅 케이블에서 적재 하물을 측정하고, 호이스팅 케이블 (들) 자체에 소위 스내그 실린더를 적용시키고, 및/또는 레벨링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다.
제일 먼저 언급된 방법, 즉 호이스팅 케이블에 있는 적재 하물을 측정하는 것에서, 호이스트될 적재 하물이 설정된 최대 호이스팅 적재 하물에 도달될 때까지, 크레인은 호이스팅 또는 로어링을 계속할 것이다. 호이스팅 또는 로어링 이동을 정지시킴으로써 그 때만 크레인이 대응한다. 속도가 낮아지면, 이후 크레인은 신속하게 정지하고, 어떠한 파손의 가능성도 거의 없을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속도가 높아지면, 예컨대, 빈 콘테이너를 호이스팅할 때, 정지에 필요한 제동 거리는 훨씬 길며, 크레인 및 적재 하물 모두 파손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사용된 다른 해결책은 호이스팅 케이블에 소위 스내그 실린더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들 스내그 실린더는 이론적으로 호이스팅 케이블에서 최대 힘을 제한시키는 것으로 작용하며, 이에 의해 크레인 상의 적재 하물이 판정된 최대치로 제한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내그 실린더는 매우 느리게 반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게다가, 스내그 실린더의 작동 시험은 크레인과 시험이 실행되지 않은 주변 영역에서 너무 위험하다. 따라서, 이러한 스내그 실린더의 정확한 기능은 종종 이론상으로 존재한다.
시도되고 있는 또다른 해결책은 적재 하물의 경사를 측정하기 위해 전자 레벨러 (경사계) 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레벨링 도구도 또한 느리므로, 적재 하물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시기적절한 신호를 발생시키는데에는 적절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곧 닥쳐올거 같은 고장을 더욱 신속하게 예측함으로써 가능한 파손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도록 공지된 방법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크레인이 위험 상황을 빠르게 경고할수록, 크레인은 호이스팅 또는 로어링 이동을 신속하게 중단할 수 있어, 파손이 적게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를 위해, 케이블 활차가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하기 위해 적재 하물에 각각 연결되며, 적재 하물의 위치는 케이블 활차중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활차의 선회 이동을 검출함으로써 감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활차가 선회하거나 기울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케이블은 (기울어진 활차의 허용가능한 기울어짐 각도 내에서) 더이상 위험한 각도로 활차와 접촉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케이블과 활차는 이러한 기울어짐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이 훨씬 적어질 것이다.
이러한 선회 또는 기울어짐 이동이 즉시 발생하여, 적재 하물이 끼게될 위험이 있고, 기울어지기 시작하기 때문에, 크레인은 더욱이 매우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활차의 기울어짐을 측정함으로써, 사실상 크레인은 이러한 이동에 따라 기능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크레인은 관련된 호이스트의 최대 호이스팅 적재 하물에 도달할 때를 검출하는 것, 또는 적재 하물의 경사를 측정하기 위해서 느리게 반응하는 레벨링 도구의 사용과 같은, 일반적인 용도에서 현재의 표시기에 의해 가능한 것보다 훨씬 더 빠르게 호이스팅 또는 로어링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 방법을 실행하는데 적합한 호이스팅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호이스팅 프레임 (또한, 헤드 블록이라 함) 은 적어도 2 개의 서로 평행한 케이블 활차를 포함하며, 케이블 활차가 호이스팅 프레임과 크레인의 호이스팅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서 호이스팅 프레임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 중 하나에 근접하게 각각 배치되고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이러한 형식의 호이스팅 프레임은, 각각의 케이블 활차가 그 회전 축선에 수직하게 이어진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하기 위해 프레임에 장착되며,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각각의 케이블 활차의 선회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제공된다.
검출 수단은, 검출된 선회 이동이 판정된 제한값을 초과할 때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게 될 수 있다. 크레인 조작자는 예컨대, 광학적 또는 청각적일 수 있는 이러한 경고 신호에 기초하여 호이스팅 또는 로어링 이동을 제동 및/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게다가 또는 대신에, 검출 수단은 신호 발생을 위해 크레인의 제어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크레인은 곧 닥쳐올것 같은 원하지 않는 이동 또는 호이스팅 프레임의 위치에 완전 자동방식으로 대응할 수 있다.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강하며 신뢰가능한 실시형태는, 각각의 케이블 활차를 위한 검출 수단이 프레임에서 일부 상에서 활차 근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때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공지된 형식의 호이스팅 프레임은, 각각의 케이블 활차가 회전 축선에 수직하게 이어진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하기 위해 프레임에 장착되며, 각각의 케이블 활차를 수직 위치로 편향시키는 수단이 있도록 변경된다. 이러한 편향 수단은, 케이블 및 활차가 하역할 때 (예컨대, 적재 하물이 제위치에 놓여질 때) 활차가 측면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하역 상황에서의 활차의 기울어짐은 셀에서 인접한 주변 영역에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편향 수단은, 하역 상황에서 활차가 호이스팅 케이블의 요동 이동 때문에 선회될 수 없지만, 활차가 호이스팅 및 로어링 이동중 적재 하물의 기울어짐중 선회할 수 있도록 되어야만 한다.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강한 실시형태는, 각각의 케이블 활차의 편향 수단이 활차와 프레임의 일부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할 때 얻어진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방법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크레인은, 통상적으로 직립 프레임, 상부측 가까이에서 직립 프레임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 및 아암으로부터 하방으로 신장하며 구동 수단에 의해 당겨질 수 있고 풀릴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호이스팅 프레임의 케이블 활차 둘레에서 끌리는 적어도 2 개의 호이스팅 케이블을 갖는 호이스팅 기구를 포함한다.
크레인에는, 신호 수신을 위해 호이스팅 프레임의 검출 수단에 연결되는 호이스팅 기구 제어 시스템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 제어 시스템은, 검출 수단이 호이스팅 프레임의 케이블 활차 중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활차가 선회 이동을 실행하는 것을 나타낼 때, 호이스팅 기구를 제동 및/또는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로 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되는데, 도면에서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은 도면부호에 100 씩 증가시켜 나타낸다.
도 1 은 종래의 호이스팅 프레임 (헤드 블록) 의 개략도인데, 호이스팅 프레임으로부터 매달린 스프레더가 셀에서 끼이게 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a 는 도 1 의 1A 선을 따라 취한 상세도인데, 케이블 활차의 하우징의 호이스팅 프레임으로의 고정 연결을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팅 프레임의 개략적인 측면도인데, 프레임으로부터 수평 위치에 매달린 스프레더가 셀의 장애물에 도달하기 직전인 상태를 도시한다.
도 2a 는 도 2 의 2A 선을 따라 취한 상세도인데, 호이스팅 프레임 상의 케이블 활차의 하우징의 수직한 휴지 위치로의 선회 장착을 도시한다.
도 3 은 도 2 에 따른 호이스팅 프레임의 도 1 에 대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는 도 3 의 3A 선을 따라 취한 상세도인데, 호이스팅 프레임 상의 케이블 활차의 하우징의 선회 또는 경사 위치로의 선회 장착을 도시한다.
도 1 은 종래의 호이스팅 프레임 (1) 또는 헤드 블록을 도시하는데, 이로부터 스프레더 (2) 가 연결 부재, 예컨대 핀 (10) 에 의해 매달린다. 여기에 도시된 스프레더 (2) 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양측에서 아암 (4) 이 미끄러짐 가능하게 수용되는 중앙 본체부 (3) 를 포함한다. 미끄러짐 가능한 아암 (4) 의 각 단부에는 콘테이너 (도시 생략) 의 코너 캐스팅에서 결합될 수 있는 소위 트위스트 록 (5) 이 2 개 배치된다.
호이스팅 프레임 (1) 에는 각각 수평 축선 (7) 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2 개의 케이블 활차 (6L, 6R) 가 외부 단부 양측에 근접하게 제공된다. 각각의 케이블 활차 (6L, 6R) 는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팅 프레임 (1) 상에 장착되는, 하우징 또는 활차 케이싱 (8) 에 장착된다. 호이스팅 케이블 (9L, 9R) 은 각각의 케이블 활차 (6L, 6R) 둘레에서 끌리며, 이에 의해 호이스팅 프레임 (1) 은 크레인 (도시생략) 에 매달리게 된다.
이 크레인을 사용하면, 스프레더 (2) 와 그 위에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콘테이너를 갖는 호이스팅 프레임 (1) 은 선박의 셀 (11) 내로 하강되며, 셀로부터 다시 끌어올려질 수 있다. 여기서, 셀 (11) 의 양측에는 셀 가이드 (12, 13) 가 제공된다. 도시된 예시에서, 장애물 (14) 은 우측 셀 가이드의 위치에서 셀 (11) 에 놓여 있다. 이에 의해, 스프레더 (2) 의 우측이 더 이상 상방으로 움직일 수 없어, 적재 하물 (load) 이 비스듬하게 매달리기 시작하고 완전히 끼게 될 것이다.
그 결과, 우측 호이스팅 케이블 (9R) 에 매우 심하게 하중이 가해지는 반면, 좌측 호이스팅 케이블 (9L) 은 느슨해진다. 여기서, 우측 호이스팅 케이블 (9R) 은 활차 (6R) 를 각지게 떠나 국부적으로 구부러지게 되며 이는 파손의 우려를 수반한다. 또한, 활차 (6R) 가 파괴될 수 있는데 한편으로, 연관된 활차 케이싱 (8) 에는 부가적으로 하중이 가해지며, 호이스팅 프레임 (1) 에는 큰 굽힘 모멘트가 부과된다. 결국, 스프레더 (2) 의 우측에 매우 심하게 하중이 가해져 파괴의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사가 측정되지 않아 크레인의 능동적인 제어가 호이스팅 프레임 (1) 으로부터 가능하지 않다는 점에서 악화된다. 이에 의해, 크레인의 호이스팅 기어는, 크레인 조작자가 무슨 일이 발생하였는지를 조사할 때만 정지될 것이다. 또한, 적재 하물이 실제로 셀에 완전히 끼인다면, 특수한 추가 크레인을 사용하여야만 끼임이 해제될 것이다. 그러면, 파손이 막대해진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팅 프레임 (101) 을 도시하는데, 이 호이스팅 프레임에는 프레임 각각의 회전 축선 (107) 에 수직하게 놓여진 수평 축선 (115) 을 중심으로 각각 선회 가능한 케이블 활차 (106L, 106R) 가 제공된다. 2 개의 케이블 활차 (106L, 106R) 를 수직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한 수단 (116) 이 존재한다. 도시된 예시에서, 이들 편향 수단 (116) 은 각각의 활차 (106L, 106R) 와 호이스팅 프레임 (101) 의 일부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118) 세트를 포함한다. 특히, 각각의 스프링 (118) 은 활차 케이싱 (108) 과 호이스팅 프레임 (101) 의 직립 벽부 (121) 에 연결된 요크 (120) 를 통해 돌출하는 핀 (119) 둘레에 배치된다 (도 2a). 스프링 (118) 은 벽부 (121) 에 대해 얹혀 있는 링 (122) 과 핀 (119) 의 단부에 장착된 너트 (123) 사이에 둘러싸인다. 활차 케이싱 (108) 이 호이스팅 프레임 (101) 에 대해 수평 축선 (115) 을 중심으로 선회 이동을 실행할 때, 스프링 (118) 은 압축되거나 (도 3a), 반대로 신장될 것이며, 여기서는 활차 케이싱 (108) 에 리셋팅 힘을 부과할 것이다. 이에 의해, 이들 편향 수단 (116) 또는 스프링 (118) 은, 호이스팅 케이블 (109L, 109R) 의 요동에 기인하여 케이블 활차 (106L, 106R) 가 하역 상황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수평 축선 (115) 을 중심으로 각각의 케이블 활차 (106L, 106R) 의 선회 이동을 검출하는 수단 (117) 이 존재한다. 이들 검출 수단 (117) 은 각각의 케이블 활차 (106L, 106R) 를 위해 호이스팅 프레임 (101) 의 일부에서 그 근처에 배치되는 센서 또는 스위치 (124) 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센서 (124) 는 직립 벽부 (121) 에 부착되고, 선회가능한 활차 케이싱 (108) 의 하부측 상에서 요크 (120) 와 공동으로 작동한다. 이 센서 (124) 는, 요크 (120) 가 너무 멀리 움직여 이에 의해 케이블 활차 (106L, 106R) 의 검출된 선회 이동이 판정된 제한 값을 초과할 때, 경고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센서 (124) 는, 호이스팅 프레임 (101) 이 경사지기 시작할 때 크레인 조작자가 즉시 알 수 있도록 신호 발생을 위해 크레인의 제어 시스템에 연결된다.
도 3 은 도 1 의 종래의 호이스팅 프레임 (1) 과 동일한 상황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팅 프레임 (101) 을 도시한다. 또한, 이 도면에서, 적재 하물은 호이스팅 중 장애물 (14) 에 대해 셀의 우측에 끼게 된다. 또한, 여기서 적재 하물은 비스듬하게 매달리기 시작하여 완전히 끼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팅 프레임의 보다 구조적인 변경의 결과로서, 결과물은 비교적 덜 심각하다.
케이블 활차 (106L, 106R) 의 선회가능한 매달림의 결과로서, 우측 케이블 활차 (106R) 의 위치가 움직임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측 호이스팅 케이블 (109R) 이 활차 (106R) 에 각지게 떠나지 않아 어느 한쪽이 국부적으로 구부러지지 않을 것이므로, 파괴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케이블 활차 (106R) 자체가 파손될 가능성도 없다.
또한, 센서 (124) 가 호이스팅 프레임 (101) 의 기울어짐에 대해 즉시 신호를 보내기 때문에, 크레인의 호이스팅 기어는 매우 신속하게 정지될 것이다. 이에 의해, 우측 호이스팅 케이블 (109R) 은 단단히 (rigidly) 매달린 케이블 활차 (6L, 6R) 를 갖는 호이스팅 프레임에서 보다 널 무겁게 하중을 받는다. 또한, 활차 케이싱 (108) 상의 하중은 호이스팅 프레임 (101) 에서의 굽힘 모멘트에서와 같이 작다. 결국, 스프레더 (102) 의 우측의 하중은 단단히 장착된 케이블 활차 (6L, 6R) 를 갖는 스프레터의 경우에서 보다 상당히 가볍다.
본 발명은 일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상술하였지만,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명확할 것이다. 이에 의해, 호이스팅 프레임에 움직임 가능하게 케이블 활차를 연결하는 다른 방법을 상정할 수도 있다. 또한, 편향 수단과 검출 수단은 첨부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매우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1, 101 : 호이스팅 프레임 또는 헤드 블록
2 : 스프레더
3 : 중앙 본체부
4 : 아암
5 : 트위스트 록
6L, 6R, 106L, 106R : 케이블 활차
7, 107 : 수평 축선
8, 108 : 하우징 또는 활차 케이싱
9L, 9R : 호이스팅 케이블
10 : 돌출 핀
11 : 셀
12, 13 : 셀 가이드
14 : 장애물
115 :수평 축선
116 : 편향 수단
117 : 검출 수단
118 : 스프링
119 : 핀
120 : 요크
121 : 벽부
122 : 링
123 : 너트
124 : 센서 또는 스위치

Claims (10)

  1. 적재 하물 상에서 케이블 활차 둘레에서 끌리는 적어도 2 개의 호이스팅 케이블에 의해 크레인의 호이스팅 기구로부터 매달리는 적재 하물의 호이스팅 또는 로어링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적재 하물의 위치를 감시하는 단계, 원하지않는 위치의 검출시에 호이스팅 기구를 제동 및/또는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활차는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하기 위해 적재 하물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적재 하물의 위치는 케이블 활차중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활차의 선회 이동을 검출함으로써 감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제어 방법.
  2. 적어도 2 개의 서로 평행한 케이블 활차를 포함하는 호이스팅 프레임으로서, 상기 케이블 활차는 호이스팅 프레임과 크레인의 호이스팅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서 호이스팅 프레임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 중 하나에 근접하게 각각 배치되고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호이스팅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케이블 활차는 그 회전 축선에 수직하게 이어진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하기 위해 프레임에 장착되며,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각각의 케이블 활차의 선회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프레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검출된 선회 이동이 판정된 제한값을 초과할 때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프레임.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신호 발생을 위해 크레인의 제어 시스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프레임.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케이블 활차를 위한 검출 수단은 프레임의 일부 상에서 활차 근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프레임.
  6. 적어도 2 개의 서로 평행한 케이블 활차를 포함하는 호이스팅 프레임으로서, 상기 케이블 활차는 호이스팅 프레임과 크레인의 호이스팅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서 호이스팅 프레임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 중 하나에 근접하게 각각 배치되고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호이스팅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케이블 활차는 그 회전 축선에 수직하게 이어진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하기 위해 프레임에 장착되며, 각각의 케이블 활차를 수직 위치로 편향시키는 수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프레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케이블 활차를 위한 편향 수단은 케이블 활차와 프레임의 일부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프레임.
  8. 직립 프레임, 상부측 가까이에서 직립 프레임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 및 아암으로부터 하방으로 신장하며 구동 수단에 의해 당겨질 수 있고 풀릴 수 있으며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호이스팅 프레임의 케이블 활차 둘레에서 끌리는 적어도 2 개의 호이스팅 케이블을 갖는 호이스팅 기구를 포함하는, 크레인
  9. 제 8 항에 있어서,
    신호 수신을 위해 호이스팅 프레임의 검출 수단에 연결되는 호이스팅 기구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검출 수단이 호이스팅 프레임의 케이블 활차 중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활차가 선회 이동을 실행하는 것을 나타낼 때, 호이스팅 기구를 제동 및/또는 정지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KR1020107009500A 2007-10-01 2008-10-01 호이스팅 또는 페잉 아웃 이동 제어 방법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기울어짐 가능한 케이블 쉬리브를 갖는 호이스팅 프레임 KR101648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34449 2007-10-01
NL1034449 2007-10-0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739A Division KR20160049055A (ko) 2007-10-01 2008-10-01 호이스팅 또는 페잉 아웃 이동 제어 방법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기울어짐 가능한 케이블 쉬리브를 갖는 호이스팅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981A true KR20100075981A (ko) 2010-07-05
KR101648590B1 KR101648590B1 (ko) 2016-08-16

Family

ID=403019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500A KR101648590B1 (ko) 2007-10-01 2008-10-01 호이스팅 또는 페잉 아웃 이동 제어 방법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기울어짐 가능한 케이블 쉬리브를 갖는 호이스팅 프레임
KR1020167010739A KR20160049055A (ko) 2007-10-01 2008-10-01 호이스팅 또는 페잉 아웃 이동 제어 방법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기울어짐 가능한 케이블 쉬리브를 갖는 호이스팅 프레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739A KR20160049055A (ko) 2007-10-01 2008-10-01 호이스팅 또는 페잉 아웃 이동 제어 방법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기울어짐 가능한 케이블 쉬리브를 갖는 호이스팅 프레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10806B2 (ko)
EP (1) EP2205517B1 (ko)
KR (2) KR101648590B1 (ko)
CN (1) CN101855161B (ko)
ES (1) ES2423757T3 (ko)
HK (1) HK1147467A1 (ko)
MY (1) MY153990A (ko)
PL (1) PL2205517T3 (ko)
WO (1) WO20090450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29549C2 (ru) * 2015-10-07 2017-08-31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ракетный центр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В.П. Макеева" Способ замены каната грузоподъёмного крана
US11124391B2 (en) * 2017-02-17 2021-09-21 Blok Container Systems Limited Lifting shipping containers
EP3431435B1 (fr) * 2017-07-17 2020-04-22 Manitou Bf Commande d'une machine de manutention
JP7364612B2 (ja) 2021-03-19 2023-10-18 株式会社三井E&S クレーンおよびその制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2227A (en) * 1958-09-26 1962-07-03 Sea Land Service Shipboard freight container transferring apparatus
US3598440A (en) * 1969-03-18 1971-08-10 Fruehauf Corp Rotatable container-hoisting apparatus
US3944272A (en) * 1974-08-12 1976-03-16 Midland-Ross Corporation Cargo container spreader with articulated structure for skewing and tilt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927B1 (ko) * 1999-05-21 2003-09-03 이시가와지마 하리마 쥬우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AU2003238489A1 (en) * 2002-06-10 2003-12-22 Stinis Beheer B.V. Hoisting frame and method for its use
CN2723406Y (zh) * 2004-08-16 2005-09-07 天津港第一港埠公司 集装箱正面吊多用途设备吊架
JP4508904B2 (ja) * 2005-02-25 2010-07-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レーンの巻下げ衝突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2227A (en) * 1958-09-26 1962-07-03 Sea Land Service Shipboard freight container transferring apparatus
US3598440A (en) * 1969-03-18 1971-08-10 Fruehauf Corp Rotatable container-hoisting apparatus
US3944272A (en) * 1974-08-12 1976-03-16 Midland-Ross Corporation Cargo container spreader with articulated structure for skewing and til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55161B (zh) 2013-01-02
PL2205517T3 (pl) 2013-10-31
EP2205517A1 (en) 2010-07-14
MY153990A (en) 2015-04-30
WO2009045098A1 (en) 2009-04-09
US8910806B2 (en) 2014-12-16
US20110120968A1 (en) 2011-05-26
HK1147467A1 (en) 2011-08-12
ES2423757T3 (es) 2013-09-24
CN101855161A (zh) 2010-10-06
KR20160049055A (ko) 2016-05-04
KR101648590B1 (ko) 2016-08-16
EP2205517B1 (en) 201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3568B1 (en) Crane control
RU2722326C2 (ru) Кран, а также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предохранения от перегрузок такого крана
JPH05278994A (ja) 荷重モーメントインジケータシステム
CN111108058A (zh) 用于提升和/或降下尤其是起重机的升降机的负载装卸机构的方法及其升降机
WO2018074532A1 (ja) クレーン車
KR20100075981A (ko) 호이스팅 또는 페잉 아웃 이동 제어 방법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기울어짐 가능한 케이블 쉬리브를 갖는 호이스팅 프레임
CN110715591A (zh) 一种跳板到码头距离的测量装置及方法
CN108602649B (zh) 用于检测提升框架位置的设备及其控制悬挂在起重机上的提升框架的用途
CN110194419B (zh) 甲板起重机系统及甲板起重机的控制方法
KR101930750B1 (ko) 크레인 점검 장치 및 방법
JP2001139280A (ja) 建設機械の過負荷防止装置
CN108883918B (zh) 起重机
KR20220054202A (ko) 가이드형 리프팅 시스템
CN113677614A (zh) 起重机
CN111747311A (zh) 起重机
JP2017145132A (ja) 過巻防止装置付きクレーン
CN115884937B (zh) 悬臂旋转式起重机及在起重机运行中减少负载钟摆的方法
US20230391588A1 (en) Lifting gear, and method for determining slack rope on the lifting gear
JP2008013025A (ja) 上限位置停止機構
CA2139030C (en) Dual weight assembly for a crane
JP6527092B2 (ja) クレーン
JP2022120456A (ja) クレーン
JP2022144597A (ja) クレーン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50075534A (ko) 체결상태 감지 기능을 갖는 권상장치 및 권상방법
JP2009126652A (ja) トラック搭載型クレーン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