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3994A - 낚시용 릴의 줄 클립 및 줄 클립 조립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줄 클립 및 줄 클립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3994A
KR20100073994A KR1020090122226A KR20090122226A KR20100073994A KR 20100073994 A KR20100073994 A KR 20100073994A KR 1020090122226 A KR1020090122226 A KR 1020090122226A KR 20090122226 A KR20090122226 A KR 20090122226A KR 20100073994 A KR20100073994 A KR 20100073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fishing
reel
fishing reel
fish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첸 위 츄
켄이치 스가하라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filed Critical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ublication of KR20100073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9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낚시용 릴의 줄 클립에 있어서, 줄 클립이 스프링 부재에 의하여 압박되어도 낚싯줄이 절단 및 손상되기 어렵게 한다
<해결 수단> 줄 클립(20)은, 낚싯줄을 낚시용 릴에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되어 있다. 줄 클립(20)은 축부(21)와 머리부(22)를 가진다. 머리부(22)는 축부(21)에 장착되고, 축부(21)는 낚시용 릴에 접속되어 있다. 줄 클립(20)은, 축부(21)에 대향하는 머리부(22)의 면(22b)에 형성된 환상(環狀) 홈(22a)을 구비한다. 환상 홈(22a)은 축부(21)와 동심원상(同心圓狀)으로 배치되어 있다. 줄 클립(20)은 코일 스프링(24)과 스프링 보지부(保持部)(25)를 축부(21)에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낚시용 릴에 접속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4)과 스프링 보지부(25)는, 축부(21)에 장착된 스냅 링(23)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에 보지된다.
스피닝 릴, 줄 클립, 스프링 부재, 환상 홈, 축부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줄 클립 및 줄 클립 조립체{LINE CLIP AND LINE CLIP ASSEMBLY OF FISHING REEL}
본 발명은, 줄 클립 특히, 낚시용 릴에 낚싯줄을 멈추기 위한 줄 클립 및 줄 클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닝 릴 등의 낚시용 릴은, 릴 본체와, 핸들과, 로터와, 스풀과, 스풀에 장착된 줄 클립을 가진다. 릴 본체는 낚싯대에 취부된다. 핸들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로터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풀은, 로터의 전부(前部)에 있어서 릴 본체에 장착되고, 전후 이동 가능하다. 낚싯줄은, 로터에 의하여 가이드되고, 스풀의 외주면(外周面)에 감긴다.
낚싯줄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통상, 낚싯줄의 단부(端部)는, 낚싯줄이 스풀로부터 개방되지 않도록 줄 클립에 고정된다.
낚싯줄을 사용하는 경우, 줄 클립은, 예를 들면, 물고기에게 밑밥을 주기 위하여 「스포드(spod)」 또는 「스포드 로켓트(spod rocket)」 등의 밑밥 바구니를 캐스팅마다 확실하게 대략 동일 영역에 착수시킨다. 그러나, 실제로는, 종래의 줄 클립은 그 사용 방법에 관계없이, 시간 경과에 수반하여 낚싯줄의 파손이나 절단을 발생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줄 클립은 면을 따라 낚싯줄을 압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것에 의하여, 강력한 보지력(保持力)이 가해지지 않는 한 낚싯줄은 계지(係止)되지 않는다. 그러나, 보지력이 강해지면, 낚싯줄을 줄 클립의 머리부 아래에서 압박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특히 나일론제의 낚싯줄을 계지하는 것은 더 곤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낚싯줄이 매우 손상을 받는다.
상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받이면에 단차부가 구비되고, 이것에 의하여 낚싯줄이 용이하게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소53-23794호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소63-15777호
그러나, 단차부의 날카로운 가장자리부가, 낚싯줄을 매우 손상 또는 절단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낚시용 릴의 표면에 대하여 줄 클립의 머리부를 보지하기 위하여, 줄 클립을 압박하는 보지 스프링이 사용되고 있다.
낚싯줄은, 줄 클립의 머리부와 낚시용 릴 표면의 단차부의 사이에 보지된다. 시간 경과에 수반하여, 낚싯줄은, 클립의 머리부와 단차부의 날카로운 가장자리부의 사이에 낚싯줄을 보지하기 위한 보지 스프링으로부터의 힘에 의하여 마모한다. 이 결과, 낚싯줄의 손상 또는 절단이 발생한다.
이상을 감안하면, 이 개시에 의하여, 낚시용 릴용의 개량된 줄 클립의 필요성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또한, 이 개시에 의하여, 본 발명이 상기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당해 필요성 및 다른 필요성을 주장하는 것인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본 발명의 각 태양(態樣)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고 있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목적으로 창출된 것이며, 본 발명의 과제는, 낚시용 릴의 줄 클립에 있어서, 줄 클립이 스프링 부재에 의하여 압박되어도 낚싯줄이 절단 및 손상되기 어렵게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낚시용 릴용 줄 클립이, 낚시용 릴에 낚싯줄을 멈추기 위하여 구비된다. 줄 클립은 축부와 머리부를 가진다. 축부는 낚시용 릴에 장착된다. 머리부는 축부에 설치되고, 축부보다도 큰 외경(外徑)을 가진다. 또한, 머리부는 환상(環狀) 홈을 가지고, 환상 홈은 머리부의 축부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줄 클립에서는, 낚시용 릴에 축부가 장착되면, 머리부와 낚시용 릴의 사이에 낚싯줄이 보지된다. 이 때, 머리부의 축부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환상 홈에 낚싯줄이 배치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낚싯줄을 줄 클립으로부터 떼어낼 때 및 캐스팅 시에 낚싯줄이 줄 클립에 멈춤되는 도중에 장력이 작용할 때, 줄 클립이 낚시용 릴의 표면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낚싯줄이 손상 및 절단되기 어려워지고, 머리부와 낚시용 릴의 표면의 사이에 낚싯줄이 확실하게 보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환상 홈은 축부와 동심원상(同心圓狀)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머리부가 축부와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환상 홈을 축부와 동심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의하면, 낚시용 릴은 스풀에 원통형 스커트부를 구비한 스피닝 릴이며, 머리부는 스커트부와의 사이에서 낚싯줄을 보지한다. 이 경우에는, 낚시용 릴의 스풀의 스커트부와 머리부의 사이에, 손상 및 절단되는 것 없이 낚싯줄이 보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의하면, 스커트부는, 외주면에 형성된 바닥이 평탄하고 얕은 오목부와, 오목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가지고, 축부는 관통공에 장착된다. 이 경우에는, 머리부, 환상 홈 및 오목부의 사이에, 손상 및 절단되는 것 없이 낚싯줄이 보지된다. 여기에서는, 오목부에서 줄 클립에 계지된 낚싯줄이 손상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오목부를 머리부의 두께분만큼 움푹 들어가게 하는 것에 의하여, 머리부가 스커트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의하면, 줄 클립 조립체는, 낚시용 릴의 스풀에 낚싯줄을 멈추기 위한 조립체이고, 상기의 줄 클립과 스프링 받이부재와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 받이부재는, 스커트부의 내주면보다 내주 측에서 축부에 빠짐 방지된 부재이다. 스프링 부재는, 스프링 받이부재와 스커트부의 내주부(內周部)의 관통공의 주위의 사이에서 배치되고, 줄 클립을 스풀 중심을 향하여 압박한다.
이 줄 클립 조립체에서는, 줄 클립의 축부가 관통공에 배치되고, 머리부가 오목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줄 클립은 스프링 부재에 의하여 스커트부의 내주 측으로 압박된다. 이 상태로 낚싯줄을 오목부와 머리부의 사이에 끼우면, 줄 클립은, 오목부로부터 일단 떨어져 낚싯줄이 환상 홈에 배치되면, 스프링 부재에 의하여 압박되어 오목부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 때, 낚싯줄이 오목부와 환상 홈의 사이에서 보지되기 때문에, 줄 클립이 스프링 부재에 의하여 압박되어도 낚싯줄이 절단 및 손상되기 어렵게 하게 된다.
낚싯줄은, 낚시용 릴의 표면의 줄 클립에 장착되면, 손상 및 절단되는 것 없이, 머리부와 낚시용 릴의 표면의 사이에 확실히 보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개시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하기의 기재는, 예증 목적으로 제공된 것에 지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들의 균등물에 의하여 정의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닌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도 1부터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스피닝 릴이 도시되어 있다. 스피닝 릴은, 주로,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2)는 핸들(1)을 가지고, 낚싯대에 장착된다. 로터(3)는, 릴 본체(2)의 전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로터(3)의 전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스피닝 릴은, 로터 구동 기구(5)와 오실레이팅 기구(6)를 구비한다. 로터 구동 기구(5)는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로터(3)를 회전 구동시킨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로터(3)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킨다.
릴 본체(2)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오실레이팅 기구(6)를 내부에 수용한다. 도 1부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는, 릴 보디(8)와 제1 덮개 부재(9)와 제2 덮개 부재(10)와 T자형의 장대 취부 다리(11)와 제1 커버 부재(12)와 제2 커버 부재(13)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보디(8)는 양측에 개구(開口, 부재의 열린 구멍)를 가지는 프레임 부재이다. 제1 덮개 부재(9)와 제2 덮개 부재(10)는, 릴 보디(8)의 양측을 막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1 덮개 부재(9)와 제2 덮개 부재(10)는, 알루미늄 합금제이지만, 마찬가지의 특징을 가지는 다른 재료를 마찬가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장대 취부 다리(11)는 릴 보디(8)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제1 커버 부재(12)와 제2 커버 부재(13)는, 릴 보디(8)와 제1 덮개 부재(9)와 제2 덮개 부재(10)를 후방(後方)으로부터 덮는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보디(8)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제이지만, 마찬가지의 특징을 가지는 다른 재료를 마찬가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릴 보디(8)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오실레이팅 기구(6)를 수용 및 지지하기 위한 내부 공간(8a)을 가진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보디(8)의 전면(前面)에는, 원판상(圓板狀)의 기구 지지부(8b)가 형성되어 있다. 기구 지지부(8b)에는, 역전 방지 기구(50)의 원 웨이 클러치(51)나 피니언 기어(7) 등의 구성 요소가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는 로터 보디(35)와 베일 암(34)을 가진다. 로터 보디(35)는, 피니언 기어(7)를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일 암(34)은 요동 가능하게 로터 보디(35)에 장착되어 있다. 로터 보디(35)는 알루미늄 합금제이지만, 마찬가지의 특징을 가지는 다른 재료를 마찬가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로터 보디(35)는 통상(筒狀) 지지부(30)와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을 가진다. 통상 지지부(30)는 피니언 기어(7)에 고정된다.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은, 지지부(3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지부(30)의 후단(後端)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전방(前方)으로 연장된다. 지지부(30)와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이, 로터 보디(35)를 구성한다. 예를 들면, 지지부(30)와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은, 알루미늄 합금제이지만, 마찬가지의 특징을 가지는 다른 재료를 마찬가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지지부(30)와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은, 다이캐스트 성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마찬가지의 결과를 실현하는 다른 방법을 마찬가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1 및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로터 암(31)의 직경 방향 외주 측은 제1 커버 부재(36)로 덮여 있고, 제2 로터 암(32)의 직경 방향 외주는 제2 커버 부재(37)로 덮여 있다. 또한, 제1 베일 지지 부재(40)와 제2 베일 지지 부재(42)가, 베일 암(34)을 구성한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는 제1 로터 암(31)의 선단부(先端部)의 외주 측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제2 베일 지지 부재(42)는 제2 로터 암(32)의 선단부의 외주 측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일 암(34)은 낚싯줄을 스풀(4)로 가이드하여, 감기 위하여 구비되어 있다. 베일 암(34)은, 줄 권취(卷取) 자세와 줄 권취 자세로부터 반전한 줄 개방 자세로 요동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는 역전 방지 기구(50)에 의하여 줄 개방 방향으로의 회전을 허가·금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역전 방지 기구(50)는, 릴 보디(8)의 기구 지지부(8b)에 장착된 롤러형의 원 웨이 클러치(51)를 가진다. 원 웨이 클러치(51)는, 역전 금지 상태와 역전 허가 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나아가, 역전 방지 기구(50)는, 원 웨이 클러치(51)의 역전 금지 상태와 역전 허가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조작부(52)를 가진다. 전환 조작부(52)는, 릴 보디(8)의 기구 지지부(8b)의 저부(底部)에 있어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은 얕은 바닥 홈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권사(卷絲) 몸통부(4a)와 전 플랜지부(4b)와 통상 스커트부(4c)를 구비한다. 낚싯줄은 권사 몸통부(4a)의 외주에 감긴다. 전 플랜지부(4b)는 권사 몸통부(4a)의 전단(前端)에 형성되어 있고, 권사 몸통부(4a)보다도 약간 대경(大徑)이다. 통상 스커트부(4c)는 권사 몸통부(4a)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고, 권사 몸통부(4a)보다도 대경이다.
여기서, 도 4부터 도 7을 참조하면, 통상 스커트부(4c)는, 관통공(4e)이 형성된 얕은 바닥 오목부(4d)를 가진다. 낚싯줄(FL, 도 7)을 릴 본체(2)에 고정하기 위한 줄 클립(20)이 관통공(4e)에 삽입된다. 줄 클립(20)은 황동제이지만, 마찬가지의 특징을 가지는 다른 재료를 마찬가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줄 클립(20)은 축부(21)와 머리부(22)를 가진다. 머리부(22)는 축부(21)의 단부와 일체 형성되어 있지만, 축부(21)의 단부에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머리부(22)의 외경은, 축부(21)의 직경보다도 대경이다. 머리부(22)는, 축부(21)에 대향하는 면(22b)에 형성된 환상 홈(22a)을 가진다. 환상 홈(22a)은 축부(21)와 동심원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환상 홈(22a)의 바깥 가장자리부 및 머리부(22)의 환상 홈(22a)이 형성된 면의 바깥 가장자리부는, 각각 필렛 가공(R 모따기 가공)되어 있다.
도 5 및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21)는 통상 스커트부(4c)에 접속되어 있고, 외주면에 스냅 링(23)을 장착하기 위한 오목부(21a)를 가진다. 줄 클립(20)을 통상 스커트부(4c)에 접속하기 위하여, 코일 스프링(24)이 축부(21)에 장착되고, 링 보지부(25)와 스냅 링(23)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에 보지된다. 코일 스프링(24)은, 줄 클립(20)을 스풀(4)의 중심을 향하여 직경 방향으로 압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줄 클립(20)은, 스풀(4)의 중심을 향하여 직경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은 손상 또는 절단되는 것 없이, 머리부(22)와 환상 홈(22a)과 통상 스커트부(4c)의 얕은 바닥 오목부(4d)의 사이에 보지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피닝 릴의 스풀의 스커트부에 설치된 줄 클립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피닝 릴의 스풀의 권사 몸통부나 양 베어링 릴의 스풀의 권사 몸통부나 플랜지부에 설치되는 줄 클립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 즉, 「전방」, 「후방」, 「상방」, 「하방」, 「수직」, 「수평」, 「직경 방향」, 「횡 방향」은, 다른 마찬가지의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과 함께, 본 발명에 구비된 장치의 방향에 관하여 언급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용어는 본 발명의 각 태양을 기재하기 위하여 이용되도록, 본 발명에 구비된 장치에 관련하여 해석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의 실시예만이 선택되어 있지만, 이 개시에 의하여,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정의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러가지 변경 및 수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 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실시예에 관한 상기의 기재는, 예증 목적으로 제공된 것에 지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들의 균등물에 의하여 정의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스피닝 릴에 관한 사시도.
도 2는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스피닝 릴의 후단부에 관한 도면.
도 4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 관한 사시도.
도 5는 스풀의 통상 스커트부에 접속된 줄 클립에 관한 확대 측면 단면도.
도 6은 줄 클립 코일 스프링, 스프링 보지부 및 스냅 링에 관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낚싯줄이 사이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의, 스풀의 통상 스커트부에 접속된 줄 클립에 관한 확대 측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스풀 4c: 통상 스커트부
4d: 얕은 바닥 오목부 4e: 관통공
20: 줄 클립 21: 축부
22: 머리부 22a: 환상 홈
24: 코일 스프링(스프링 부재의 일례)
25: 링 보지부(빠짐 방지 부재의 일례)
FL: 낚싯줄

Claims (5)

  1. 낚시용 릴에 낚싯줄을 멈추기 위한 낚시용 릴의 줄 클립이고,
    상기 낚시용 릴에 장착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낚싯줄 계지(係止)용의 환상(環狀) 홈을 가지고, 상기 축부에 설치되고, 상기 축부보다 큰 외경(外徑)을 가지는 머리부
    를 구비한 낚시용 릴의 줄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상기 축부와 동심으로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줄 클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용 릴은 스풀에 원통형의 스커트부를 구비한 스피닝 릴이며,
    상기 머리부는 상기 스커트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낚싯줄을 보지(保持)하는, 낚시용 릴의 줄 클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외주면(外周面)에 형성된 바닥이 평탄하고 얕은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축부는 상기 관통공에 장착되는, 낚시용 릴의 줄 클립.
  5. 낚시용 릴의 스풀에 낚싯줄을 멈추기 위한 낚시용 릴의 줄 클립 조립체이고,
    제4항에 기재된 줄 클립과,
    상기 스커트부의 내주면(內周面)보다 내주 측에서 상기 축부에 빠짐 방지된 스프링 받이부재와,
    상기 스프링 받이부재와 상기 스커트부의 내주부(內周部)의 상기 관통공의 주위의 사이에서 배치되고, 상기 줄 클립을 상기 스풀의 중심을 향하여 압박하는 스프링 부재
    를 구비한 낚시용 릴의 줄 클립 조립체.
KR1020090122226A 2008-12-22 2009-12-10 낚시용 릴의 줄 클립 및 줄 클립 조립체 KR201000739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YPI20085224 2008-12-22
MYPI20085224 2008-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994A true KR20100073994A (ko) 2010-07-01

Family

ID=42078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226A KR20100073994A (ko) 2008-12-22 2009-12-10 낚시용 릴의 줄 클립 및 줄 클립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198706A1 (ko)
JP (1) JP2010142220A (ko)
KR (1) KR20100073994A (ko)
CN (1) CN101755717A (ko)
SG (1) SG162663A1 (ko)
TW (1) TW20103270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9454B2 (ja) * 2013-02-18 2016-12-07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の糸係止具及びそれを用いた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AT514425B1 (de) * 2014-02-18 2015-01-15 Hannes Sommer Spule zur Verwendung im Angelsport
JP6994310B2 (ja) * 2017-06-07 2022-01-1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6978310B2 (ja) * 2017-12-28 2021-12-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糸係止具、及び糸係止具を有する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CN112262828A (zh) * 2020-11-19 2021-01-26 许一帆 一种可实现缓冲的定位卡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4964U (ko) 1975-02-21 1976-08-23
FR2565067B1 (fr) * 1984-06-01 1987-03-20 Mitchell Sports Dispositif d'accrochage du fil pour moulinet de peche
JPS61110766U (ko) 1984-12-26 1986-07-14
US4883238A (en) * 1988-12-23 1989-11-28 The Orvis Company, Inc. Fly fishing reel with a line retainer
JP4926823B2 (ja) * 2007-05-24 2012-05-0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42220A (ja) 2010-07-01
SG162663A1 (en) 2010-07-29
EP2198706A1 (en) 2010-06-23
CN101755717A (zh) 2010-06-30
TW201032708A (en) 201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5880B2 (en) Rotary cutter for mower
EP2363021B1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KR20100073994A (ko) 낚시용 릴의 줄 클립 및 줄 클립 조립체
JP4926823B2 (ja) 魚釣用リール
EP2767162B1 (en) Spinning reel line clip and spinning reel spool using the same
JP2007006710A (ja) 両軸受リール
JP2007185432A (ja) 縫製ミシンの下糸巻き取り用ボビン
JP2011167134A (ja) スプール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KR102654888B1 (ko) 양 베어링 릴
JP2959662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233582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KR102057049B1 (ko) 낚시용 릴의 스풀 착탈 기구
US7350729B2 (en) Rotor assembly for fishing reels
CN108990929B (zh) 钓鱼用渔线轮
JP5021699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748345B2 (ja) 釣用仕掛巻
JP3027228U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0032894A (ja) 釣糸ケース
JP3999699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2084932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20230141550A (ko) 낚시용 릴
JP3018962U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糸案内装置
JP404500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H09131150A (ja) 魚釣用リールの釣糸係止構造
JP3971110B2 (ja) 魚釣用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