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2339A - 이중 대역 무선 주파수 송신기 - Google Patents

이중 대역 무선 주파수 송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2339A
KR20100072339A KR1020107009865A KR20107009865A KR20100072339A KR 20100072339 A KR20100072339 A KR 20100072339A KR 1020107009865 A KR1020107009865 A KR 1020107009865A KR 20107009865 A KR20107009865 A KR 20107009865A KR 20100072339 A KR20100072339 A KR 20100072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band
transmitter
ended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9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5410B1 (ko
Inventor
준시옹 덩
마울린 파레시바이 바가트
거칸월 싱 사호타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37492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07233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72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one or more circuit blocks in common for different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58Arrangements for matching and coupling between power amplifier and antenna or between amplifying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83Transmitters with multiple parallel pa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송신기는 트랜스포머 및 트랜스포머 튜닝 회로를 포함한다. 트랜스포머는 차분 무선 주파수 (RF) 신호를 단일-종단 RF 신호로 변환한다. 트랜스포머 튜닝 회로는, 송신기가 제 1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셀룰러 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PCS 주파수 대역) 에서 단일-종단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트랜스포머를 튜닝한다.

Description

이중 대역 무선 주파수 송신기{DUAL BAND RADIO FREQUENCY TRANSMITT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통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중 대역 무선 주파수 송신기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전화기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기술에서의 진보는, 이들 디바이스의 비용, 크기, 중량 및 전력과 같은 특성이 이들 디바이스의 성능 표준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면서 감소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들 디바이스가 현재 통상적인 랜드라인 전화기에 대한 대체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도까지 이들 디바이스의 휴대성 (portability) 을 향상시킨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비용 및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에 대한 하나의 효과적인 접근법은, 디바이스의 2 개 이상의 기능에 동일한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접근법은 회로 재사용 또는 컴포넌트 집적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서 알려질 수도 있다.
이 진보가 이들 디바이스의 휴대성을 향상시켰지만, 이들 디바이스의 소비자는 계속해서 이들 디바이스에 대해 보다 많은 기능 및 서비스를 요구한다. 예를 들어, 이들 디바이스의 제조자는, 디바이스가 2 개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를 갖는 환경 내에서 동작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2 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 (즉, 다수의 대역) (예를 들어, 2 개의 주파수 대역) 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를 개발하였다. 예를 들어, 2 개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셀룰러 전화기는 이중 대역 셀룰러 전화기로 언급될 수도 있다.
2 개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를 갖는 하나의 예시적인 환경은, 대략 850 ㎒ 의 캐리어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CDMA) 으로서 공지된 표준, 및 대략 1950 ㎒ 의 캐리어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PCS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로서 공지된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이다. 다른 예시적인 환경은, 표준 GSM 에 대해 대략 900 ㎒ 의 캐리어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으로서 공지된 표준, 및 DCS1800 에 대해 대략 1800 ㎒ 의 캐리어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DCS (Digital Communications System) 로서 공지된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이다.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표준의 조합의 각종 다른 실시예가 알려지거나 또는 가능하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발생할 통신을 위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트랜시버의 일부이거나 트랜시버와 분리된 송신기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해 신호를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송신기는 송신을 위해 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내부적으로 발생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수락한다. 기저대역 신호는, 동위상 (I) 신호 및 직교위상 (Q) 신호와 같이 복소 신호로서 공지된 디지털 신호의 형태일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송신기는 후속하여 기저대역 신호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주파수 변조 및 전력 증폭의 형태를 수행한다.
2 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각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있고, 그에 따라 2 개 이상의 송신 기능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이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주파수 변조 및 전력 증폭의 기능 각각에 대해 2 개 이상의 개별 기능을 갖는 것을 요구할 수도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이중 대역 송신기는 2 개의 개별 송신 신호 경로 (그 중 하나는 고주파수 대역 송신기를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1950 ㎒), 다른 하나는 저주파수 대역 송신기를 위한 것임 (예를 들어, 850㎒)) 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2 개의 개별 송신 신호 경로는 이중 대역 능력을 지원하기 위해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비용 및 크기 (예를 들어, 집적 회로 다이 면적) 를 증가시킨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기술에서의 진보는, 이중 대역 송신기의 비용 및 크기가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디바이스의 성능 표준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면서 감소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및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 1 이중 대역 무선 주파수 (RF) 송신기 (100) 및 제 2 이중 대역 RF 송신기 (200) 의 블록도 표현을 각각 나타낸다.
도 1 에 있어서, 이중 대역 RF 송신기 (100) 는 기저대역 필터 (102), 전압 제어 발진기 (VCO) (108), 국부 발진기 (LO) 버퍼 (110), 2 개의 주파수 분주기 (112 (4 로 분주) 및 114 (2 로 분주)), 2 개의 믹서 (104 및 106), 2 개의 RF 가변 이득 증폭기 (VGA) (116 및 124), 2 개의 트랜스포머 (118 및 126), 2 개의 드라이버 증폭기 (DA) (120 및 128), 및 2 개의 RF SAW 필터 (122 및 130) 를 포함한다. 도 1 은 2 개의 믹서 (104 및 106), 2 개의 RF VGA (116 및 124), 및 2 개의 DA (120 및 128) 각각에 대해 180 나노미터 CMOS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집적 회로 다이 상에 필요한 폭 및 길이 (w/L) 에 관하여 그 면적을 기술한다. 기저대역 필터 (102), VCO (108), LO 버퍼 (110), 주파수 분주기 (112 (4 로 분주)), 믹서 (104), RF VGA (116), 트랜스포머 (118), DA (120) 및 RF SAW 필터 (122) 는 예를 들어 셀룰러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제 1 송신 경로에 대한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기저대역 필터 (102), VCO (108), LO 버퍼 (110), 주파수 분주기 (114 (2 로 분주)), 믹서 (106), RF VGA (124), 트랜스포머 (126), DA (128) 및 RF SAW 필터 (130) 는 예를 들어 PCS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제 2 송신 경로에 대한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기저대역 필터 (102), VCO (108) 및 LO 버퍼 (110) 는 제 1 송신 경로 및 제 2 송신 경로 각각에 대해 공통이며 재사용됨으로써, 이들 공통 엘리먼트에 대한 집적 회로 다이 면적 및 연관된 비용을 감소시킨다.
도 2 에 있어서, 이중 대역 RF 송신기 (200) 는 기저대역 필터 (102), VCO (108), LO 버퍼 (110), 2 개의 주파수 분주기 (112 (4 로 분주) 및 114 (2 로 분주)), 버퍼 (132), 1 개의 믹서 (104), 1 개의 RF VGA (116), 2 개의 트랜스포머 (118 및 126), 2 개의 DA (120 및 128), 및 2 개의 RF SAW 필터 (122 및 130) 를 포함한다. 도 2 는 믹서 (104), RF VGA (116), 및 2 개의 DA (120 및 128) 각각에 대해 180 나노미터 CMOS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집적 회로 다이 상에 필요한 폭 및 길이 (w/L) 에 관하여 그 면적을 기술한다. 기저대역 필터 (102), VCO (108), LO 버퍼 (110), 주파수 분주기 (112 (4 로 분주)), 버퍼 (132), 믹서 (104), RF VGA (116), 트랜스포머 (118), DA (120) 및 RF SAW 필터 (122) 는 예를 들어 셀룰러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제 1 송신 경로에 대한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기저대역 필터 (102), VCO (108), LO 버퍼 (110), 주파수 분주기 (114 (2 로 분주)), 버퍼 (132), 믹서 (104), RF VGA (116), 트랜스포머 (126), DA (128) 및 RF SAW 필터 (130) 는 예를 들어 PCS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제 2 송신 경로에 대한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기저대역 필터 (102), VCO (108), LO 버퍼 (110), 버퍼 (132), 믹서 (104) 및 RF VGA (116) 는 제 1 송신 경로 및 제 2 송신 경로 각각에 대해 공통이며 재사용됨으로써, 이들 공통 엘리먼트에 대한 집적 회로 다이 면적 및 연관된 비용을 절약한다. 그러므로, 도 2 에서의 이중 대역 RF 송신기 (200) 는, 재사용된 것보다 버퍼 (132) 에 대해 훨씬 더 작은 집적 회로 다이 면적 및 연관된 비용을 부가함으로써, 도 1 에서의 이중 대역 RF 송신기 (100) 에 사용된 믹서 (106) 및 RF VGA (124) 에 필요한 집적 회로 다이 면적 및 연관된 비용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계속해서 성능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면서, 도 1 및 도 2 에 각각 도시된 이중 대역 RF 송신기 (100 및 200) 에 대해 기술되는 것보다 더욱 더 많이 이중 대역 송신기에 필요한 집적 회로 다이 면적 및 연관된 비용을 계속해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 요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 주파수 집적 회로, 무선 주파수 송신기,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장치는, 이 방법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이 데이터 처리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이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 하여금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가능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송신기는 트랜스포머 및 트랜스포머 튜닝 회로를 포함한다. 트랜스포머는 차분 무선 주파수 (RF) 신호를 단일-종단 RF 신호로 변환한다. 트랜스포머 튜닝 회로는, 이 송신기가 제 1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셀룰러 주파수 대역) 또는 이 제 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 2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PCS 주파수 대역) 에서 단일-종단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트랜스포머를 튜닝한다.
본 발명의 이들 양태 및 다른 양태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는 첨부 도면에서 제한이 아니라 실시예로서 예시되며, 이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대응하는 엘리먼트를 나타낸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 1 무선 주파수 송신기의 블록도 표현을 나타낸다.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 2 무선 주파수 송신기의 블록도 표현을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 표현을 나타낸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 주파수 송신기의 블록도 표현을 나타낸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 주파수 송신기에 대한 특성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 주파수 송신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세한 설명
다음의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도록 다수의 특정 상세가 기재된다. 그러나, 특정 경우에, 본 발명의 설명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잘 알려지거나 통상적인 상세는 기재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의 하나의 실시형태 또는 일 실시형태에 대한 언급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형태에 대한 것은 아니며, 이러한 언급은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 (300) 의 블록도 표현을 나타낸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300) 는, 예를 들어 코드리스 전화기, 이동국, 휴대용 전화기, 무선 전화기, 셀폰, 모바일 전화기로도 언급되는 셀룰러 전화기 등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300) 는,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및 적외선 주파수를 포함하는 주파수 스펙트럼의 임의의 부분을 이용하는 임의의 타입의 무선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 (300) 는,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 또는 랜드라인 전화기, 컴퓨터, 서버 등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 (BS) (도시되지 않음) 을 통하는 것과 같이 하나 이상의 통신 표준 또는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지만, 통신 네트워크를 통과하지 않고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실시예는 특정 통신 표준 또는 프로토콜에 관련되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일반적으로 임의의 형태의 무선 통신에 적용가능하다. 통신 표준 또는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CDMA, TDMA, FDMA, GSM, PCS 또는 그 조합과 같은 임의의 표준 또는 프로토콜을 언급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300) 는 고정형 (즉, 거치용) 및/또는 이동형 (즉, 휴대용) 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300) 는, 셀룰러 전화기, 퍼스널 컴퓨터 (PC),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수퍼컴퓨터, 네트워크-기반 디바이스, 데이터 프로세서,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카드, 페이저 및 손목시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각종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300) 는, 다른 엘리먼트들 중에서, 제어기 (302), 송신기 (304), 수신기 (306), 메모리 (308)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310) 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다른 엘리먼트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발견되는데, 이들은 도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안테나, 전원 및 위성 위치확인 수신기 (global positioning receiver)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기 (302) (프로세서로도 언급됨) 는, 송신기 (304), 수신기 (306), 메모리 (308)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310) 의 기능을, 이들 엘리먼트에 제어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제어한다. 제어기 (302) 는 이들 엘리먼트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송신기 (304) 는 BS 수신기 (도시되지 않음) 로 통신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기 (306) 는 BS 송신기 (도시되지 않음) 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한다.
송신기 (304) 와 수신기 (306) 는 함께 통신 링크를 통해 각각 송신 및 수신되는 통신 신호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트랜시버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통신 링크 (통신 채널 또는 통신 경로로도 언급됨) 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 (도시되지 않음) 과 같은 다른 컴포넌트에 대한 무선 주파수 통신 링크이다.
메모리 (308) 는, 예를 들어 컴퓨터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다른 유형 (tangible)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메모리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300) 의 특정 구현에 종속하여 하나 이상의 기술로서 구현되며 하나 이상의 위치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또한, 메모리 (308) 는, 제어기 (302) 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프로세스를 구체화하는 일련의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일 수도 있다. 메모리 디바이스의 예로는, RAM, ROM, EPROM, EEPROM, PROM, 디스크 (하드 또는 플로피), CD-ROM, DVD, 플래시 메모리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310) 는 데이터 입력 디바이스 및 데이터 출력 디바이스 (그 각각은 도시되지 않음) 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데이터 입력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수동적으로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자동적으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기 (302) 로 데이터를 제공한다. 수동 입력에 있어서, 예를 들어, 데이터 입력 디바이스는 키보드 및 마우스일 수도 있지만, 또한 터치 스크린, 키패드, 또는 마이크로폰과 음성 인식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데이터 출력 디바이스는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사용을 위해 제어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사용자에 대한 출력에 있어서,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디바이스는 제어기 (302) 로부터 디스플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발생시키는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지만, 또한 스피커나 프린터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예로는, 예를 들어 텍스트, 그래픽, 비디오, 사진, 이미지, 그래프, 차트, 형태, 숫자 등이 포함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제어기 (302) 에 의해 제어되는 송신기 (304) 의 블록도 표현을 나타낸다. 송신기 (304) 는 이중 대역 송신기로서 구현된다.
송신기 (304) 의 일부는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집적 회로 (RFIC) (402) 로서 구현된다. RFIC (402) 는, 기저대역 (BB) 가변 이득 증폭기 (VGA) (404), 기저대역 필터 (102), VCO (108), LO 버퍼 (110), 2 개의 주파수 분주기 (112 (4 로 분주) 및 114 (2 로 분주)), 버퍼 (132), 1 개의 믹서 (104), 1 개의 RF VGA (116), 1 개의 트랜스포머 (118), 트랜스포머 튜닝 회로 (422 및 423), 1 개의 드라이버 증폭기 (120), 튜닝 (427) 을 갖는 출력 정합 네트워크 (426), 및 2 개의 RF 스위치 (428 및 430) 를 포함한다. 개별적으로, 개별 엘리먼트로서, RFIC (402) 에서의 엘리먼트 각각의 기능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집적 회로에 이들 엘리먼트를 집적하는 것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 (300) 가 보다 적은 비용 및 보다 작은 크기에 대해 제조되는 것을 허용한다. 대안적으로, RFIC (402) 내부에 있는 것으로서 도 4 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는 RFIC (402) 외부에 구현될 수도 있다.
RFIC (402) 외부에, 송신기 (304) 는 1 개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DAC) (406), 2 개의 RF SAW 필터 (122 및 130), 2 개의 전력 증폭기 (PA) (440 및 450), 2 개의 전력 커플러 (442 및 452), 2 개의 필터 (444 및 454), 2 개의 안테나 (446 및 456), 및 적어도 하나의 전력 검출기 (458) 를 더 포함한다. 개별적으로, 개별 엘리먼트로서, RFIC (402) 외부의 엘리먼트 각각의 기능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기술에서의 진보는, 단 1 개의 RF SAW 필터 (122), 1 개의 전력 증폭기 (PA) (440), 1 개의 전력 커플러 (442), 1 개의 필터 (444), 및 1 개의 안테나 (446) 가 2 개 이상의 송신 주파수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경우에, 이들 엘리먼트의 사용을 허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술에서의 진보는, 1 개 또는 2 개의 RF SAW 필터 (122 및 130), 1 개 또는 2 개의 전력 증폭기 (PA) (440 및 450), 1 개 또는 2 개의 전력 커플러 (442 및 452), 1 개 또는 2 개의 필터 (444 및 454), 및 1 개 또는 2 개의 안테나 (446 및 456) 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의 일부가 하나 또는 2 개의 송신 경로에서 다른 엘리먼트의 기능과 결합되거나 또는 하나 또는 2 개의 송신 경로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또한, RFIC (402) 외부에 있는 것으로서 도 4 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는 RFIC (402) 내부에 구현될 수도 있다.
DAC (406), BB VGA (404), 기저대역 필터 (102), VCO (108), LO 버퍼 (110), 주파수 분주기 (112 (4 로 분주)), 버퍼 (132), 믹서 (104), RF VGA (116), 트랜스포머 (118), 트랜스포머 튜닝 회로 (422 및 423), 드라이버 증폭기 (120), 튜닝 (427) 을 갖는 출력 정합 네트워크 (426), 및 RF 스위치 (428) 는, 예를 들어 셀룰러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제 1 송신 경로에 대한 RFIC (402) 에서의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DAC (406), BB VGA (404), 기저대역 필터 (102), VCO (108), LO 버퍼 (110), 주파수 분주기 (114 (2 로 분주)), 버퍼 (132), 믹서 (104), RF VGA (116), 트랜스포머 (118), 트랜스포머 튜닝 회로 (422 및 423), 드라이버 증폭기 (120), 튜닝 (427) 을 갖는 출력 정합 네트워크 (426), 및 RF 스위치 (430) 는, 예를 들어 PCS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제 2 송신 경로에 대한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DAC (406), BB VGA (404), 기저대역 필터 (102), VCO (108), LO 버퍼 (110), 버퍼 (132), 믹서 (104), RF VGA (116), 트랜스포머 (118), 트랜스포머 튜닝 회로 (422 및 423), 드라이버 증폭기 (120), 및 튜닝 (427) 을 갖는 출력 정합 네트워크 (426) 는 제 1 송신 경로 및 제 2 송신 경로 각각에 대해 공통이며 재사용됨으로써, 이들 공통 엘리먼트에 대한 집적 회로 다이 면적 및 연관된 비용을 절약한다. 그러므로, 도 4 에서의 이중 대역 송신기 (304) 는, 도 4 에서의 이중 대역 송신기 (304) 에서 제거되는 도 2 에서의 이중 대역 RF 송신기 (200) 에 사용된 트랜스포머 (126) 및 드라이버 증폭기 (128) 에 필요한 집적 회로 다이 면적 및 연관된 비용을 더 감소시킨다. 도 4 는 믹서 (104), RF VGA (116), 및 드라이버 증폭기 (120) 각각에 대해 180 나노미터 CMOS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집적 회로 다이 상에 필요한 폭 및 길이 (w/L) 에 관하여 그 면적을 기술한다.
일반적으로, 동작 시에, 주파수 분주기 (112 또는 114) 로부터 2 개의 국부 발진기 주파수 신호 중 하나의 국부 발진기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차분 송신 RF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디지털 송신 기저대역 신호 (예를 들어, 이중-종단 또는 차분 직교 I 및 Q 신호) 는 DAC (406) 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BB VGA (404) 에 의해 이득-조정되고, 기저대역 필터 (102) 로 필터링되며, 믹서 (104) 에 의해 주파수 업컨버팅된다. RF VGA (116) 는 수신된 차분 송신 RF 신호에 대해 전력 및/또는 이득 제어를 제공한다. 트랜스포머 (118) 는 VGA 의 출력에서의 이득 제어된 차분 송신 RF 신호를 트랜스포머 (118) 의 일차측에서의 이중-종단 신호로부터 트랜스포머 (118) 의 이차측에서의 단일-종단 신호로 변환한다. 드라이버 증폭기 (120) 는 RF 스위치 (428 또는 430) 중 하나의 RF 스위치를 통한 RFIC (402) 에 의한 출력을 위해 단일-종단 신호에 대해 전력/이득 제어뿐만 아니라 신호 증폭을 제공한다.
제어기 (302) 는, 송신기 (304) 로 하여금 제 1 송신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셀룰러 주파수 대역과 같은 저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송신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PCS 주파수 대역과 같은 고주파수 대역) 에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서 주파수 대역 선택 (434) 및 이득 조정 (436) 에 대한 제어 기능을 포함한다. 제 1 송신 주파수 대역 및 제 2 송신 주파수 대역은 임의의 2 개의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2 개의 송신 주파수 대역일 수도 있다. 또한, 3 개 이상의 송신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3 개 이상의 송신 주파수 대역이 구현될 수도 있다.
주파수 대역 선택 (434) 은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일반적으로 A, B, C 및 D 로 식별되는 송신기 (304) 의 부분을 제어한다. 주파수 대역 선택 (434) 은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주파수 분주기 (112 (4 로 분주)) 또는 주파수 분주기 (114 (2 로 분주)) 를 선택함으로써 송신기 부분 A 를 제어한다. 주파수 대역 선택 (434) 은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캐패시턴스 튜닝 탱크로도 지칭되는 캐패시터 (422 ; Ctune) 및 캐패시터 (423 ; Ctune2) 를 특정값으로 튜닝함으로써 송신기 부분 B 를 제어한다. 주파수 대역 선택 (434) 은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캐패시터 (427 ; Ctune3) 를 특정값으로 튜닝함으로써 송신기 부분 C 를 제어한다. 주파수 대역 선택 (434) 은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RF 스위치 (428) 또는 RF 스위치 (430) 중 어느 하나의 RF 스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송신기 부분 D 를 제어한다.
이득 조정 (436) 은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일반적으로 E 로 식별되는 송신기 (304) 의 부분을 제어한다. 이득 조정 (436) 은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송신 신호 Tx IQ 의 전력 레벨을 특정값으로 조정함으로써 송신기 부분 E 를 제어한다. 송신 신호의 전력 레벨은, 기저대역 주파수에서 BB VGA (404) 의 출력 진폭을 조정함으로써 및/또는 무선 주파수에서 RF VGA (116) 의 이득을 조정함으로써, 또는 다른 원하는 방식으로 조정될 수도 있다. 입력 신호의 전력 레벨은, 전력 검출기 (458) 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각각 전력 커플러 (442 또는 452) 를 통해 전력 증폭기 (440 또는 450) 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에 응답하여 조정될 수도 있고, 또는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소정값으로 조정될 수도 있다.
제어기 (302) 는, 송신기 (304) 로 하여금, 주파수 대역 선택 (434) 이 주파수 분주기 (112 (4 로 분주)) 를 선택하고, 캐패시터 (422 ; Ctune) 를 3.7 ㎊ 으로 튜닝하고, 캐패시터 (423 ; Ctune2) 를 1.0 ㎊ 으로 튜닝하며, RF 스위치 (428) 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 1 송신 주파수 (예를 들어, 저대역, 셀룰러 주파수) 에서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기 (302) 는, 송신기 (304) 로 하여금, 출력 전력을 최적화하도록 출력 정합 네트워크 (OMN) 를 튜닝함으로써, 예를 들어 캐패시터 (427 ; Ctune3) 를 튜닝함으로써, 제 1 송신 주파수 (예를 들어, 저대역, 셀룰러 주파수) 에서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기 (302) 는, 송신기 (304) 로 하여금, 이득 조정 (436) 이 송신 신호 Tx IQ 의 기저대역 입력 전력 레벨을 0.6 으로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 1 송신 주파수 (예를 들어, 저대역, 셀룰러 주파수) 에서 동작하도록 한다.
제어기 (302) 는, 송신기 (304) 로 하여금, 주파수 대역 선택 (434) 이 주파수 분주기 (112 (2 로 분주)) 를 선택하고, 캐패시터 (422 ; Ctune) 를 0.0 ㎊ 으로 튜닝하고, 캐패시터 (423 ; Ctune2) 를 0.0 ㎊ 으로 튜닝하며, RF 스위치 (430) 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 2 송신 주파수 (예를 들어, 고대역, PCS 주파수) 에서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기 (302) 는, 송신기 (304) 로 하여금, 출력 전력을 최적화하도록 출력 정합 네트워크 (OMN) 를 튜닝함으로써, 예를 들어 캐패시터 (427 ; Ctune3) 를 튜닝함으로써, 제 2 송신 주파수 (예를 들어, 고대역, PCS 주파수) 에서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기 (302) 는, 송신기 (304) 로 하여금, 이득 조정 (436) 이 송신 신호 Tx IQ 의 기저대역 입력 전력 레벨을 0.8 로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 2 송신 주파수 (예를 들어, 고대역, PCS 주파수) 에서 동작하도록 한다.
캐패시터 (422 ; Ctune) 및 캐패시터 (423 ; Ctune2) 는 트랜스포머 (118) 를 튜닝하기 위해 각각 트랜스포머 (118) 의 일차측 (즉, 입력) 및 이차측 (즉, 출력) 에서 캐패시턴스 튜닝 탱크를 형성한다. 캐패시터 (427 ; Ctune3) 는 드라이버 증폭기 (120) 에 대해 출력 정합 네트워크 (OMN ; 426) 를 튜닝한다. 튜닝가능 OMN (426) 은 출력 임피던스를 50 옴과 같은 원하는 값으로 유지함으로써 원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최적 출력 전력 레벨을 제공한다. 2 개의 캐패시터 (422 및 423) 가 트랜스포머 (118) 를 튜닝하는데 사용되며, 1 개의 캐패시터 (427) 가 출력 정합 네트워크 (426) 를 튜닝하는데 사용되지만, 각 엘리먼트에 대한 캐패시터의 개수 및 위치는 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캐패시터 (423 ; Ctune2) 는, 트랜스포머 (118) 의 출력 (즉, 이차측) 에, 트랜스포머 (118) 의 입력 (즉, 일차측) 에 위치된 캐패시터 (422 ; Ctune) 와 공동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단독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캐패시터를 튜닝하는 것보다는, 다른 기술 또는 엘리먼트가 트랜스포머 (118) 의 주파수 특성 및/또는 출력 정합 네트워크 (426) 의 임피던스 특성을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송신기 (304) 에 대한 특성 테이블 (500) 을 도시한 도면이다. 테이블 (500) 은 열 (501 내지 506) 및 행 (507 내지 510) 을 포함한다.
"Ctune/Ctune2 (㎊)" 로 기재된 열 (501) 은 캐패시터 (422 및 423) 를 튜닝하기 위한 캐패시터 값을 기술한다. 캐패시터 (422 및 423) 를 튜닝하기 위한 캐패시터 값은 제어기 (302) 의 대역 선택 (434) 부분에 의해 조정된다. 캐패시터 값은,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 신호를 송신하면서 송신기 (304) 의 적절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설계, 실험 및/또는 테스팅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캐패시터 (422 및 423) 는, 송신기 (304) 가 제 1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셀룰러를 위한 저주파수 대역) 에서 적절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3.7 ㎊ 및 1.0 ㎊ 으로 각각 튜닝된다. 또한, 예를 들어, 캐패시터 (422 및 423) 각각은, 송신기 (304) 가 제 2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PCS 를 위한 저주파수 대역) 에서 적절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0.0 ㎊ 으로 튜닝된다.
"BB 입력" 으로 기재된 열 (502) 은 송신 신호 Tx IQ 에 대한 기저대역 입력 전력 레벨을 기술한다. 송신 신호 Tx IQ 에 대한 기저대역 입력 전력 레벨은 제어기 (302) 의 이득 조정 (436) 부분에 의해 조정된다. 송신 신호 Tx IQ 에 대한 기저대역 입력 전력 레벨은,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 신호를 송신하면서 송신기 (304) 의 적절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설계, 실험 및/또는 테스팅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송신 신호 Tx IQ 에 대한 기저대역 입력 전력 레벨은, 송신기 (304) 가 제 1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셀룰러를 위한 저주파수 대역) 에서 적절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0.8 로 조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송신 신호 Tx IQ 에 대한 기저대역 입력 전력 레벨은, 송신기 (304) 가 제 2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PCS 를 위한 고주파수 대역) 에서 적절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0.6 으로 조정된다.
"주파수 (㎐)" 로 기재된 열 (503) 은 원하는 송신 주파수 대역을 기술한다. 원하는 송신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 분주기 (112 및 114) 중 하나의 주파수 분주기를 통해 국부 발진기 주파수를 선택하고, 트랜스포머 (118) 를 튜닝함으로써, 트랜스포머 (118) 를 튜닝함으로써, 그리고 대응하는 RF 스위치 (428 및 430) 를 선택함으로써, 제어기 (302) 의 대역 선택 (434) 부분에 의해 선택된다. 원하는 송신 주파수 대역은,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 신호를 송신하면서 송신기 (304) 의 적절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설계, 실험 및/또는 테스팅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송신 주파수 대역은, 송신기 (304) 가 제 1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셀룰러를 위한 저주파수 대역) 에서 적절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850 ㎒ 로 선택된다. 또한, 예를 들어, 송신 주파수 대역은, 송신기 (304) 가 제 2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PCS 를 위한 고주파수 대역) 에서 적절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1.95 ㎓ 로 선택된다.
"Ida (㎃)" 로 기재된 열 (504) 은 드라이버 증폭기 (120) 에 대한 전류를 기술한다. 드라이버 증폭기 (120) 에 대한 전류는, 송신기 (304) 가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측정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결정되는 송신기 (304) 의 성능 특성이다. 예를 들어, 송신기 (304) 가 제 1 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적절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허용가능 전류는 약 25 ㎃ 이다.
"Pout (dBm)" 으로 기재된 열 (505) 은 각각 RF 스위치 (428 및 430) 이후의 그리고 RF SAW 필터 (122 및 130) 이전의 송신기 (304) 의 출력 전력을 기술한다. 송신기 (304) 의 출력 전력은, 송신기 (304) 가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의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측정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결정되는 송신기 (304) 의 성능 특성이다. 예를 들어, 송신기 (304) 가 제 1 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의 주파수 대역에서 적절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송신기 (304) 의 출력 전력은 약 10 dBm 이다.
"ACPR @ 7 dBm" 으로 기재된 열 (506) 은 송신기 (304) 에 대한 인접 채널 전력비 (Adjacent Channel Power Ratio: ACPR) (인접 채널 누설비 (ACLR) 로도 언급됨) 를 기술한다. 송신기 (304) 에 대한 ACPR 은, 송신기 (304) 가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측정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결정되는 송신기 (304) 의 성능 특성이다. ACPR 은 다른 디바이스에 대한 인접 주파수 채널에서의 간섭 또는 전력의 양의 측정치이다. 일반적으로, ACPR 은 송신 주파수 채널에서의 평균 전력에 대한 인접 주파수 채널에서의 평균 전력의 비율 (또는 오프셋) 로서 정의된다. ACPR 은 CDMA 송신기 및 그 컴포넌트에 대한 중요한 측정치이다. ACPR 은 송신기 (304) 에서의 엘리먼트와 같은 RF 컴포넌트에서의 비선형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왜곡의 양을 기술한다. ACPR 은, 비선형 시스템을 통해 전달되고 있는, 사용자의 채널에 인접한 스펙트럼 에너지를 측정하는 정량화가능 방법이다. 시스템의 ACPR 을 획득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할당된 송신 채널의 대역폭에서의 스펙트럼 에너지가 측정될 필요가 있다. 그런 다음, 인접 채널에서의 스펙트럼 에너지가 측정될 필요가 있다. 일단 2 개의 측정치 모두가 취해졌으면, 이들 2 개의 측정치의 비율이 계산되고, 그에 따라 ACPR 로 명명된다. 예를 들어, 송신기 (304) 가 제 1 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의 주파수 대역에서 적절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송신기 (304) 에 대한 ACPR 은 7 dBm 의 출력 전력에서 약 53.6 이다.
열 (501, 502 및 503) 은 송신기 (304) 로 제어기 (302) 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술한다. 열 (504, 505 및 506) 은 제어기 (302)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300) 의 내부나 외부의 다른 테스트 장비로 송신기 (304) 에 의해 제공되는 측정된 성능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술한다. 그러므로, 열 (501, 502 및 50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기 (304) 로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대해, 송신기 (304) 는 열 (504, 505 및 50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된 성능 데이터를 제공한다.
행 (507) 은, 송신기 (304) 가, 캐패시터 (422 및 423 ; Ctune/Ctune2) 각각을 0 ㎊ 으로 튜닝하고, 송신 신호 Tx IQ 의 기저대역 입력 전력 레벨을 0.6 으로 설정하며, (예를 들어, 주파수 분주기 (114) 및 RF 스위치 (430) 를 선택함으로써) 송신 주파수 대역을 PCS 를 위한 1.95 ㎓ 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기술한다. 행 (507) 은, 드라이버 증폭기 (120) 에 대해 25.68 ㎃, RF 스위치 (430) 의 출력에서의 10.13 dBm 출력 전력, 및 7 dBm 에서의 53.8 ACPR 의 측정된 성능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한다. 행 (507) 은 송신기 (304) 의 초기 상태 및/또는 디폴트 조건을 나타낼 수도 있다. 행 (507) 에서, 열 (501, 502 및 503) 에서의 제어 신호는, 송신기 (304) 가 제 2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PCS 를 위한 고주파수 대역) 에서 적절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열 (504, 505 및 506) 에서의 적절한 대응하는 측정된 성능 데이터를 제공한다.
행 (508) 은, 송신기 (304) 가, 캐패시터 (422 및 423 ; Ctune/Ctune2) 각각을 0 ㎊ 으로 튜닝하고, 송신 신호 Tx IQ 의 기저대역 입력 전력 레벨을 0.6 으로 설정하며, 송신 주파수를 850 ㎒ 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 및 드라이버 증폭기 (120) 에 대해 20.69 ㎃, RF 스위치 (430) 의 출력에서의 -14.40 dBm 출력 전력, 및 적용 없음 (n/a) ACPR 의 측정된 성능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한다. 행 (508) 에서, 열 (501 및 502) 에서의 값은 행 (507) 에서와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열 (503) 에서의 값은 제 1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셀룰러를 위한 850 ㎒) 으로 변경된다. 행 (508) 에서, 열 (501, 502 및 503) 에서의 값은, 송신기 (304) 가 제 1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셀룰러를 위한 저주파수 대역) 에서 적절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열 (504, 505 및 506) 각각에서의 적절한 대응하는 측정된 성능 데이터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행 (50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 (501 및 502) 에 나타낸 값에 대한 값의 추가 고려가 필요하다.
행 (509) 은, 송신기 (304) 가, 캐패시터 (422 및 423 ; Ctune/Ctune2) 를 각각 3.7/1.0 ㎊ 으로 튜닝하고, 송신 신호 Tx IQ 의 기저대역 입력 전력 레벨을 0.6 으로 설정하며, 송신 주파수를 850 ㎒ 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 및 드라이버 증폭기 (120) 에 대해 21.86 ㎃, RF 스위치 (430) 의 출력에서의 4.04 dBm 출력 전력, 및 53.6 ACPR 의 측정된 성능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한다. 행 (509) 에서, 열 (502 및 503) 에서의 값은 행 (508) 에서와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열 (501) 에서의 값은 캐패시터 (422 및 423) 에 대한 값 (예를 들어, 각각 3.7 ㎊ 및 1.0 ㎊) 으로 변경된다. 행 (509) 에서, 열 (501, 502 및 503) 에서의 값은 여전히 열 (504 및 505) 각각에서의 적절한 대응하는 측정된 성능 데이터를 제공하지는 않지만, 열 (506) 에서는 허용가능하여, 송신기 (304) 가 제 1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셀룰러를 위한 저주파수 대역) 에서 적절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행 (5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 (501 및 502) 에 나타낸 값에 대한 값의 추가 고려가 필요하다.
행 (510) 은, 송신기 (304) 가, 캐패시터 (422 및 423 ; Ctune/Ctune2) 를 각각 3.7/1.0 ㎊ 으로 튜닝하고, 송신 신호 Tx IQ 의 기저대역 입력 전력 레벨을 0.8 로 설정하며, 송신 주파수를 850 ㎒ 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 및 드라이버 증폭기 (120) 에 대해 25.52 ㎃, RF 스위치 (430) 의 출력에서의 9.95 dBm 출력 전력, 및 53.6 ACPR 의 측정된 성능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한다. 행 (510) 에서, 열 (501 및 503) 에서의 값은 행 (509) 에서와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열 (502) 에서의 값은 기저대역 입력 전력에 대한 값을 0.8 로 변경한다. 행 (510) 에서, 열 (501, 502 및 503) 에서의 값은, 송신기 (304) 가 제 1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셀룰러를 위한 저주파수 대역) 에서 적절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열 (504, 505 및 506) 각각에서의 적절한 대응하는 측정된 성능 데이터를 제공한다. 열 (502) 에서의 기저대역 입력 전력에 대한 값을 변경하는 것에 부가하여 또는 그 대안으로서, 열 (504, 505 및 506) 각각에서의 적절한 대응하는 측정된 성능 데이터를 제공하려는 시도에서 캐패시터 (422, 423 및/또는 427) 의 값이 변경될 수도 있다. 그러나, 집적 회로에 대한 제조 프로세스는 캐패시터 (422, 423 및/또는 427) 에 필요한 값을 제한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입력 신호의 전력 레벨에 대한 값을 조정하면서 또는 조정하지 않고 RFIC (402) 외부에서 캐패시터 (422, 423 및/또는 427) 에 대한 바람직한 값이 제공될 수도 있지만, RFIC (402) 내부에 캐패시터 (422, 423 및/또는 427) 를 유지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 (300) 의 크기 및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송신기 (304) 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600) 을 도시한 도면이다. 송신기 (304) 는, 제어기 (302) 로부터 제어 신호 (명령들, 커맨드 또는 값으로도 언급됨) 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이 방법 (600) 을 수행한다. 제어기 (302) 는 메모리 (308) 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들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도 6 에 도시된 기능은 도시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송신기 (304) 의 설계에 종속하여 일부 기능이 제거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블록 601 에서, 이 방법 (600) 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 (300) 에 대해 다른 프로세스로부터 계속되는 것으로서 시작된다.
블록 602 에서, 제어기 (302) 는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여, 송신기 (304) 로 하여금 제 1 송신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셀룰러 주파수 대역과 같은 저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송신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PCS 주파수 대역과 같은 고주파수 대역) 에서 동작하도록 한다. 제어기 (302) 는, 예를 들어 서브블록 603, 서브블록 604 및 서브블록 605 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주파수 대역을 선택한다. 다른 선택 방법이 구현될 수도 있다.
블록 603 에서, 제어기 (302) 는, 이 제어기 (302) 에서의 주파수 대역 선택 (434) 을 통해,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제 1 송신 주파수 (예를 들어, 저주파수 대역, 셀룰러 주파수) 에 대해서는 주파수 분주기 (112 (4 로 분주)) 를 선택함으로써 또는 제 2 송신 주파수 (예를 들어, 고주파수 대역, PCS 주파수) 에 대해서는 주파수 분주기 (114 (2 로 분주)) 를 선택함으로써 송신기 부분 A 를 제어한다.
블록 604 에서, 제어기 (302) 는, 주파수 대역 선택 (434) 을 통해,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각각 트랜스포머 (118) 의 입력 및 출력에서의 캐패시터 (422 ; Ctune) 및 캐패시터 (423 ; Ctune2) 를 특정값으로 튜닝함으로써 송신기 부분 B 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송신기 (304) 가 제 1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셀룰러를 위한 저주파수 대역) 에서 적절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캐패시터 (422 및 423) 는 3.7 ㎊ 및 1.0 ㎊ 으로 각각 튜닝된다. 또한, 예를 들어, 송신기 (304) 가 제 2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PCS 를 위한 고주파수 대역) 에서 적절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캐패시터 (422 및 423) 각각은 0.0 ㎊ 으로 튜닝된다.
블록 605 에서, 제어기 (302) 는, 이 제어기 (302) 에서의 주파수 대역 선택 (434) 을 통해,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제 1 송신 주파수 (예를 들어, 셀룰러를 위한 저주파수 대역) 에 대해서는 RF 스위치 (428) 를 선택함으로써 또는 제 2 송신 주파수 (예를 들어, PCS 를 위한 고주파수 대역) 에 대해서는 RF 스위치 (430) 를 선택함으로써 송신기 부분 D 를 제어한다.
블록 606 에서, 제어기 (302) 는, 주파수 대역 선택 (434) 을 통해,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출력 정합 네트워크 (426) 에서의 캐패시터 (427; Ctune3) 를 특정값으로 튜닝함으로써 송신기 부분 D 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송신기 (304) 가 제 1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셀룰러를 위한 저주파수 대역) 에서 적절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캐패시터 (427) 는 제 1 적절값으로 튜닝된다. 또한, 예를 들어, 송신기 (304) 가 제 2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PCS 를 위한 고주파수 대역) 에서 적절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캐패시터 (427) 는 제 2 적절값으로 튜닝된다.
블록 607 에서, 제어기 (302) 는, 이득 조정 (436) 을 통해,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송신 신호 Tx IQ 의 기저대역 입력 전력 레벨을 특정값으로 조정함으로써 송신기 부분 E 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송신기 (304) 가 제 1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셀룰러를 위한 저주파수 대역) 에서 적절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송신 신호 Tx IQ 에 대한 기저대역 입력 전력 레벨은 0.8 로 조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송신기 (304) 가 제 2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PCS 를 위한 고주파수 대역) 에서 적절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송신 신호 Tx IQ 에 대한 기저대역 입력 전력 레벨은 0.6 으로 조정된다.
블록 609 에서, 이 방법 (600) 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 (300) 에 대해 다른 프로세스로 계속되는 것으로서 종료된다.
이중 대역 송신기 (304) 는, BB VGA (404), 기저대역 필터 (102), 믹서 (104), RF VGA (116), 트랜스포머 (118), 드라이버 증폭기 (120) 및 출력 정합 네트워크 (426) 의 경로를 따라 RFIC (402) 를 통한 단일 송신 신호 경로를 제공한다. 송신기 (304) 는 제 1 송신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셀룰러 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송신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PCS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의 송신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하면서 적절한 성능을 갖는다.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 모두에 대한 단일 송신 신호 경로는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 각각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존의 이중 대역 RF 송신기 (100 및 200) 보다 더 콤팩트하다. 이들 진보는 RFIC (402) 상에 A, B, C, D 및 E 로서 식별되는 기술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중 대역 송신기 (304) 는, 도 2 에 도시된 이중 대역 RF 송신기 (200) 와 비교하여 볼 때, 단 1 개의 트랜스포머 (118) 및 1 개의 드라이버 증폭기 (120) 를 사용함으로써 40% 만큼 송신기 다이 크기를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집적 회로 패키지의 크기와 비용 및 집적 회로 다이의 대응하는 비용을 감소시킨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시스템, 엘리먼트 및/또는 프로세스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제어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기는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머신 판독가능 명령들의 세트 및/또는 디바이스이다. 제어기는, 프로세스를 구체화하는 일련의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는데, 이는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유한 상태 머신,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또는 일부 다른 메커니즘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어기는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제어기는, 실행가능 애플리케이션 또는 절차 또는 정보 디바이스에 의한 이용을 위해 정보를 컴퓨팅, 조작, 분석, 변경, 변환 또는 전송함으로써, 및/또는 이 정보를 출력 디바이스로 라우팅함으로써, 저장 및/또는 수신된 정보에 대해 동작한다.
실행가능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 커맨드 또는 입력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다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기능을 포함한 소정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머신 코드 또는 머신 판독가능 명령을 포함한다.
실행가능 절차는, 코드 세그먼트 (즉, 머신 판독가능 명령), 서브루틴, 또는 하나 이상의 특정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실행가능 애플리케이션의 부분이나 코드의 다른 별개의 섹션이며, 수신된 입력 파라미터에 대해 (또는 수신된 입력 파라미터에 응답하여) 연산을 수행하는 것, 및 그 결과적인 출력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종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드와이어드 (hardwired) 회로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 명령들과 공동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술들은 하드웨어 회로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특정 조합에도,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들에 대한 임의의 특정 소스에도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 설명 전체에 걸쳐, 각종 기능 및 동작은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 코드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서 또는 이 소프트웨어 코드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표현은, 기능이 프로세서에 의한 코드의 실행으로부터 기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인식할 것이다.
이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양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즉, 그 기술은, 컴퓨터 시스템이나 다른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그 프로세서가 머신 판독가능 매체에 포함된 명령들의 시퀀스를 실행하는 것에 응답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머신 (예를 들어, 컴퓨터, 네트워크 디바이스,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컴퓨터, 데이터 프로세서, 제조 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세트를 갖는 임의의 디바이스 등) 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제공 (즉, 저장 및/또는 전송) 하는 임의의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이 시스템이 본 발명의 각종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실행가능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의 부분은 각종 장소에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기록가능/비-기록가능 매체 (예를 들어,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비휘발성 메모리, 캐시, 원격 저장 디바이스 등) 뿐만 아니라, 전파 신호의 전기 형태, 광학 형태, 음향 형태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명세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그 특정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기재되었다.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보다 광범위한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그 각종 변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 의미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25)

  1. 송신기로서,
    차분 무선 주파수 (RF) 신호를 단일-종단 RF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트랜스포머; 및
    상기 송신기가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트랜스포머를 튜닝하도록 구성된 트랜스포머 튜닝 회로를 포함하는, 송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 튜닝 회로는, 상기 차분 RF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입력측을 튜닝하도록 구성된 제 1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송신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 튜닝 회로는,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출력측을 튜닝하도록 구성된 제 2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송신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가 각각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제 1 기준 주파수 신호 및 제 2 기준 주파수 신호 중 하나의 기준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차분 기저대역 신호를 상기 차분 RF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믹서를 포함하는, 송신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에 대해 원하는 출력 전력 레벨을 제공하기 위해서, 소정값으로 상기 송신기의 출력 임피던스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출력 정합 네트워크; 및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원하는 출력 전력 레벨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출력 정합 네트워크를 튜닝하도록 구성된 출력 정합 네트워크 튜닝 회로를 포함하는, 송신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정합 네트워크 튜닝 회로는, 상기 출력 정합 네트워크를 튜닝하도록 구성된 제 3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송신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가 각각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제 1 송신 경로 및 제 2 송신 경로 중 하나의 송신 경로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된 제 1 스위치와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는, 송신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가 각각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원하는 출력 전력 레벨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차분 RF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증폭기를 포함하는, 송신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에 의해 송신되며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나타내는 송신 신호의 출력 전력 레벨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전력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기는, 상기 송신 신호의 상기 출력 전력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차분 RF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는, 송신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상기 차분 RF 신호로 변환되기 이전에 차분 기저대역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기저대역 가변 이득 증폭기를 포함하는, 송신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상기 차분 RF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무선 주파수 가변 이득 증폭기를 포함하는, 송신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각각 셀룰러 주파수 대역 및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송신기.
  13. 송신기로서,
    차분 기저대역 신호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차분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기저대역 필터;
    상기 송신기가 각각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단일-종단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제 1 기준 주파수 신호 및 제 2 기준 주파수 신호 중 하나의 기준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필터링된 차분 기저대역 신호를 차분 RF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믹서;
    상기 송신기가 각각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원하는 출력 전력 레벨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차분 RF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증폭기;
    상기 차분 RF 신호를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트랜스포머;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트랜스포머를 튜닝하도록 구성된 트랜스포머 튜닝 회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버 증폭기;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에 대해 상기 원하는 출력 전력 레벨을 제공하기 위해서, 소정값으로 상기 송신기의 출력 임피던스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출력 정합 네트워크;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원하는 출력 전력 레벨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출력 정합 네트워크를 튜닝하도록 구성된 출력 정합 네트워크 튜닝 회로; 및
    상기 송신기가 각각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단일-종단 아날로그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단일-종단 아날로그 RF 신호를 제 1 송신 경로 및 제 2 송신 경로 중 하나의 송신 경로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된 제 1 스위치와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는, 송신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반도체 다이 상의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송신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 튜닝 회로는, 상기 차분 RF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입력측을 튜닝하도록 구성된 제 1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송신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 튜닝 회로는,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출력측을 튜닝하도록 구성된 제 2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송신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정합 네트워크 튜닝 회로는, 상기 출력 정합 네트워크를 튜닝하도록 구성된 제 3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송신기.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에 의해 송신되며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나타내는 송신 신호의 출력 전력 레벨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전력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기는, 상기 송신 신호의 상기 출력 전력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차분 RF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는, 송신기.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상기 차분 RF 신호로 변환되기 이전에 차분 기저대역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기저대역 가변 이득 증폭기를 포함하는, 송신기.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상기 차분 RF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무선 주파수 가변 이득 증폭기를 포함하는, 송신기.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각각 셀룰러 주파수 대역 및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송신기.
  22. 송신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차분 무선 주파수 (RF) 신호를 단일-종단 RF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기가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트랜스포머를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기를 동작시키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차분 기저대역 신호를 필터링된 차분 기저대역 신호로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가 각각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제 1 기준 주파수 신호 및 제 2 기준 주파수 신호 중 하나의 기준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필터링된 차분 기저대역 신호를 차분 RF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가 각각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원하는 출력 전력 레벨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차분 RF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에 대해 상기 원하는 출력 전력 레벨을 제공하기 위해서, 소정값으로 상기 송신기의 출력 임피던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원하는 출력 전력 레벨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출력 정합 네트워크를 튜닝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기가 각각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단일-종단 아날로그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단일-종단 아날로그 RF 신호를 제 1 송신 경로 및 제 2 송신 경로 중 하나의 송신 경로에 접속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기를 동작시키는 방법.
  24.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송신기; 및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차분 무선 주파수 (RF) 신호를 단일-종단 RF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트랜스포머; 및
    상기 송신기가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트랜스포머를 튜닝하도록 구성된 트랜스포머 튜닝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원하는 출력 전력 레벨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트랜스포머 튜닝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분 RF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5.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제어하기 위해 데이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머신 판독가능 명령들 세트를 포함하는 신호 베어링 매체로서,
    상기 송신기가 각각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단일-종단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차분 기저대역 신호를 차분 RF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제 1 기준 주파수 신호 및 제 2 기준 주파수 신호 중 하나의 기준 주파수 신호를 선택하는 것;
    상기 송신기가 각각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원하는 출력 전력 레벨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차분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차분 RF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는 것;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차분 RF 신호를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트랜스포머를 튜닝하는 것;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원하는 출력 전력 레벨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출력 정합 네트워크를 튜닝하는 것; 및
    상기 송신기가 각각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단일-종단 아날로그 RF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단일-종단 RF 신호를 제 1 송신 경로 및 제 2 송신 경로 중 하나의 송신 경로에 접속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신호 베어링 매체.
KR1020107009865A 2007-10-10 2008-10-09 이중 대역 무선 주파수 송신기 KR101135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70,365 2007-10-10
US11/870,365 US8095082B2 (en) 2007-10-10 2007-10-10 Dual band radio frequency transmitter
PCT/US2008/079293 WO2009049014A1 (en) 2007-10-10 2008-10-09 Dual band radio frequency transmit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339A true KR20100072339A (ko) 2010-06-30
KR101135410B1 KR101135410B1 (ko) 2012-04-17

Family

ID=40374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865A KR101135410B1 (ko) 2007-10-10 2008-10-09 이중 대역 무선 주파수 송신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95082B2 (ko)
EP (1) EP2206238B1 (ko)
JP (2) JP5059944B2 (ko)
KR (1) KR101135410B1 (ko)
CN (2) CN103840843B (ko)
TW (1) TW200931819A (ko)
WO (1) WO200904901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404A (ko) * 2010-07-12 201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20160123946A (ko) * 2015-04-17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송파 집성을 이용하는 송신 장치 및 방법
KR20170004850A (ko) * 2015-07-01 2017-01-11 선라이즈 마이크로 디바이스 인코퍼레이티드 스케일러블 rf 튜닝 저잡음 증폭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5368B2 (en) 2007-11-29 2013-08-20 Broadcom Corporation Gain control using a dynamically configurable transformer
JP2009253898A (ja) * 2008-04-10 2009-10-29 Nec Electronics Corp 通信装置
US20090320085A1 (en) * 2008-06-23 2009-12-24 Jon-En Wang House amplifier with return path gating
US8769597B2 (en) * 2008-06-23 2014-07-01 Pct International, Inc. Amplifier with noise reduction
US8724736B2 (en) * 2008-09-05 2014-05-13 Icera, Inc. Passive transmitter architecture with switchable outputs for wireless applications
US9647851B2 (en) 2008-10-13 2017-05-09 Ppc Broadband, Inc. Ingress noise inhibiting network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cable television networks
US7996035B2 (en) * 2009-08-17 2011-08-09 Sony Corporation Matching circuit for adaptive impedance matching in radio
US9144073B2 (en) * 2010-07-16 2015-09-22 Kyocera Corporation Radio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TWI407691B (zh) * 2010-08-24 2013-09-01 Htc Corp 天線模組及其阻抗匹配方法
DE102011006269A1 (de) * 2011-02-28 2012-08-30 Infineon Technologies Ag Hochfrequenzumschaltanordnung, Sender und Verfahren
JP5699823B2 (ja) * 2011-06-17 2015-04-1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バランス/アンバランス信号出力回路
CN102523009A (zh) * 2011-12-30 2012-06-27 广州市广晟微电子有限公司 一种低噪声混频器及发射机
US9263990B2 (en) * 2013-05-21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Impedance transformer for use with a quadrature passive CMOS mixer
US9425835B2 (en) * 2013-08-09 2016-08-23 Broadcom Corporation Transmitter with reduced counter-intermodulation
US9197179B2 (en) * 2013-08-30 2015-11-24 Broadcom Corporation Low voltage transmitter
US9595933B2 (en) * 2013-12-30 2017-03-14 Lansus Technologies Inc. Power amplifier device and circuits
KR102403105B1 (ko) * 2014-08-08 2022-05-27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간헐적 방출들 및/또는 공존 사양들에 대한 프론트 엔드 아키텍처
KR101930802B1 (ko) * 2017-01-23 2018-12-19 (주)에프씨아이 집적된 전력 증폭기를 갖는 cmos 송수신기
KR20200043615A (ko) * 2018-10-18 2020-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상태에 기반한 상향링크 선택 장치 및 방법
WO2020199047A1 (zh) * 2019-03-29 2020-10-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射频电路和可调变压器
KR20210046527A (ko) 2019-10-18 2021-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칭 트랜스포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JP7492128B2 (ja) 2020-06-18 2024-05-29 アイコム株式会社 無線機
US11695439B2 (en) * 2020-10-30 2023-07-04 Mediatek Inc. Semiconductor chip with local oscillator buffer reused for signal transmission and associated transmiss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14412A1 (fr) * 1981-10-14 1983-04-15 Peugeot Cycles Dispositif de modulation de l'ecoulement des gaz dans un silencieux d'echappement de moteur a combustion interne
US5742897A (en) 1995-11-06 1998-04-2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atching transformer for dual-band radio receiver
JPH10173453A (ja) * 1996-12-09 1998-06-26 Sony Corp 高周波可変利得増幅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6009318A (en) 1997-07-23 1999-12-28 Ericsson Inc. Electronically adjustable balanced-to-unbalanced converters (balun)
US5986617A (en) 1998-08-31 1999-11-16 Lucent Technologies Multiband antenna matching unit
JP2002171194A (ja) * 2000-11-30 2002-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る携帯情報端末および無線基地局、並びにそれらを含む無線通信システム
US6960962B2 (en) * 2001-01-12 2005-11-01 Qualcomm Inc. Local oscillator leakage control in direct conversion processes
JP2003152587A (ja) * 2002-08-26 2003-05-23 Toshiba Corp 複合システム共用端末
US7129803B2 (en) 2004-03-16 2006-10-31 Broadcom Corporation Tuned transformer balun circuit and applications thereof
US8270926B2 (en) * 2004-03-16 2012-09-18 Broadcom Corporation Radio front end and applications thereof
JP2005269305A (ja) * 2004-03-19 2005-09-29 Sharp Corp 高周波フロントエンド回路および高周波通信装置
US7199679B2 (en) 2004-11-01 2007-04-03 Freescale Semiconductors, Inc. Baluns for multiple band operation
JP2006237711A (ja) * 2005-02-22 2006-09-07 Renesas Technology Corp マルチバンド低雑音増幅器、マルチバンド低雑音増幅器モジュール、無線用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マルチバンドrfモジュール
US7526256B2 (en) 2005-05-25 2009-04-28 Broadcom Corporation Transformer-based multi-band RF front-end architecture
US7869771B2 (en) * 2006-06-23 2011-01-11 Broadcom Corporation Multi-band transformer for wireless transmitter
US7899407B2 (en) * 2007-05-01 2011-03-01 Broadcom Corporation High frequency signal combining
US20080278258A1 (en) * 2007-05-08 2008-11-13 Lianjun Liu Integrated circuit having re-configurable balun circuit and method therefor
US8254983B2 (en) * 2007-07-31 2012-08-28 Broadcom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with millimeter wave intra-device communicat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404A (ko) * 2010-07-12 201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20160123946A (ko) * 2015-04-17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송파 집성을 이용하는 송신 장치 및 방법
KR20170004850A (ko) * 2015-07-01 2017-01-11 선라이즈 마이크로 디바이스 인코퍼레이티드 스케일러블 rf 튜닝 저잡음 증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40843A (zh) 2014-06-04
US20090098831A1 (en) 2009-04-16
JP5722173B2 (ja) 2015-05-20
KR101135410B1 (ko) 2012-04-17
CN103840843B (zh) 2017-05-03
JP5059944B2 (ja) 2012-10-31
JP2012039637A (ja) 2012-02-23
TW200931819A (en) 2009-07-16
WO2009049014A1 (en) 2009-04-16
US8095082B2 (en) 2012-01-10
EP2206238A1 (en) 2010-07-14
EP2206238B1 (en) 2012-07-25
CN101868921A (zh) 2010-10-20
JP2011501520A (ja) 2011-01-06
CN101868921B (zh)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410B1 (ko) 이중 대역 무선 주파수 송신기
US85483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er output power compensation
KR100987487B1 (ko)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용 스위칭 가능 전력 레벨 검출기
US7979038B2 (en) PLL modulation circuit, radio transmiss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100470582B1 (ko) 다중 대역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0593912C (zh) 发送装置及无线通信设备
US20070087702A1 (en) Radio transmission apparatus and radio transmission method
CN104124929A (zh) 用于在功率放大器系统中包络整形的装置和方法
KR20130079551A (ko) 변조 방식 및 전송 전력 피드백에 기초하여 조정된 증폭기 바이어스를 가지는 무선 트랜시버
KR20010015391A (ko) 인접 채널 및 선택 채널 전력의 제어용 부하 조정을 갖는전력 증폭 회로
KR20120031456A (ko) 자체 진단 트랜스시버 아키텍처 및 관련된 방법
RU2304346C2 (ru) Использование фильтров с фиксированной полосой пропускания для программируемой полосы пропускания промежуточной частоты
US8442459B2 (en) Transmitt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US9130522B2 (en) Matching device, transmitting amplifi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0439560B2 (en) Power amplification module
JP2016201787A (ja) 電力増幅モジュール
US20240106395A1 (en) Radio frequency (rf) front end envelope tracking with machine learning
JP2010103791A (ja) 送信器及び携帯情報端末
JP2004336094A (ja) 送信装置
KR20040079040A (ko) 광대역 전력 증폭 회로
JP2003037507A (ja) 制御電圧調整装置、及び制御電圧調整方法
KR20100035910A (ko) 통신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