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2033A -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 및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을 코팅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 및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을 코팅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2033A
KR20100072033A KR1020107008490A KR20107008490A KR20100072033A KR 20100072033 A KR20100072033 A KR 20100072033A KR 1020107008490 A KR1020107008490 A KR 1020107008490A KR 20107008490 A KR20107008490 A KR 20107008490A KR 20100072033 A KR20100072033 A KR 20100072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
coating
base layer
profil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4504B1 (ko
Inventor
빈센트 듀발
이브 페르부르흐
발레히 까흘리에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72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5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nti-friction or anti-adhesive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1/00Polymeric substrate or laminate
    • B05D2201/02Polymeric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2Two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27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 B60S2001/3829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squeegee or coa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98Wiper blades method for manufacturing wiper bla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특히 윈드실드 와이퍼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진 기판을 가진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프로파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찰을 감소시키는 코팅층을 갖는다. 상기 코팅층은 2개의 층을 포함하고, 기판에 직접 제공되는 베이스층은 내마모성 코팅이며, 베이스층에 제공되는 커버층은 마찰을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을 코팅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 단계에서 프로파일에 베이스층이 제공되고, 제 2 단계에서 커버층이 제공되고, 베이스층은 0 내지 45 중량% 건조 윤활제를 포함하고, 커버층은 60 내지 100 중량% 건조 윤활제를 포함한다. 커버층 내의 건조 윤활제의 양은 베이스층의 양보다 많다.

Description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 및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을 코팅하는 방법{Strand-shaped profile and method for coating a strand-shaped profile}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진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을 코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진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은 예컨대 와이퍼 블레이드, 특히 윈드실드 와이퍼용 와이퍼 블레이드로서 사용된다. 이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로서 사용된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은 차량 윈드실드의 윤곽에 가능한 양호하게 매칭될 수 있고, 상이한 온도에서도 플랙시블한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와이퍼 블레이드는 일반적으로 엘라스토머 프로파일로 제조되고, 실질적으로 예컨대 천연 고무 또는 클로로프렌 고무 같은 고무 재료가 사용된다. 그러나 그외에도 실리콘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고무로 이루어진 와이퍼 블레이드도 공지되어 있다.
유리 또는 플라스틱 같은 재료와 달리, 엘라스토머는 높은 미끄럼 마찰계수를 가지므로, 유리 윈드실드의 표면 위에서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 형태의 엘라스토머 프로파일의 수직 지지력이 정해져 있는 경우에 흔히 수평 이동을 위해 많은 지지력이 이용되어야 한다. 이는 윈드실드 와이퍼가 젖은 상태에서 작동되는 경우에 문제가 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윈드실드 상의 수막에 의해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와 윈드실드 사이에 윤활막이 형성되어, 유체역학적 윤활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가 예컨대 여름에 또는 짧은 소나기 후에 윤활막으로서의 물 없이 작동되는 경우에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조건에서 윈드실드가 신속하게 건조됨으로써, 마찰계수가 심하게 증가한다. 이는 윈드실드 와이퍼를 삐걱거리게 하고, 덜거덕거리게 하거나 또는 심지어 정지시킬 수 있다.
건조한 유리 윈드실드에 대해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의 마찰계수를 낮추기 위해, 흔히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의 표면의 염소화 또는 브롬화, 즉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의 경화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는 정확한 프로세스 제어를 필요로 하고, 환경 보호 관점에서 문제가 된다. 또한 이러한 처리 방법은 와이핑 품질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에 미끄럼 마찰계수를 감소시키는 코팅층을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DE-A 101 16 929 호에는 예컨대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용 엘라스토머를 코팅하는 미끄럼 래커 성분 및 미끄럼 래커가 공지되어 있다. 미끄럼 래커 성분은 폴리우레탄, 실록산 및 폴리아미드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또는 폴리아미드 용액을 포함한다. 제안된 미끄럼 래커는 코팅된 표면 위로 돌출한 경질의 물리적 스페이서로서 작용하고, 이로 인해 특히 와이핑 동안 다크닝 및 슐리렌(schlieren)이 형성됨으로써 와이핑 품질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미끄럼 래커에 포함된 충전제는 코팅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데, 그 이유는 이 충전제는 잘 부착되지 않고, 코팅 구조는 결합에 불완전한 점착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고무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제는 DE-A 101 32 026 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고무 와이퍼 블레이드에 코팅막이 제공되고, 상기 코팅막은 입자 형태의 고체 윤활제 및 결합제를 포함한다. 결합제는 1MPa의 0.5 % 이상의 탄성 계수 및, 1% 이상의 파단 연신율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탄성 계수는 코팅에만 관련되고 폴리머 결합제와 흑연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점착 강도 및 내마모성에는 관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낮은 마찰계수와 높은 내마모성을 가지며, 양호한 와이핑 품질을 유지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 특히 윈드실드 와이퍼용 와이퍼 블레이드용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진 기판을 가진,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찰을 감소시키는 코팅이 제공된다. 코팅은 본 발명에 따라 2개의 층을 포함한다. 기판에 직접 제공된 베이스층은 내마모 코팅이며, 상기 베이스층에 제공된 커버층은 마찰을 감소시킨다.
차량에서 소수성 표면을 가진 윈드실드가 흔히 이용된다. 소수성 표면상에서 윈드실드 와이퍼의 작동시 상기 윈드실드 와이퍼는 건조한 표면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과 같다. 윈드실드의 소수성으로 인해 윈드실드의 표면과 윈드실드 와이퍼의 와이퍼 블레이드 사이에 윤활 수막이 형성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에 의해 미끄럼 특성이 개선되고 내마모성이 높아진다. 윈드실드는 슐리렌과 다크닝 없이 와이핑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찰을 감소시키는 커버층은 건조 윤활제를 포함한다. 건조 윤활제로서 예컨대 흑연,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황화몰리브덴 또는 이 성분들 중 적어도 2개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적합하다. 건조 윤활제의 효율은 실질적으로 코팅 내의 상기 윤활제의 상대 농도에 의존한다. 건조 윤활제의 함량이 높을수록 마찰계수는 낮아진다. 그러나 동시에 건조 윤활제의 더 높은 함량은 점착 강도를 감소시키고 따라서 코팅층의 내마모성을 감소시킨다. 코팅이 2개의 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의해 마찰계수의 감소와 더불어 동시에 내마모성의 증가도 달성된다. 마찰을 감소시키는 커버층에 의해,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은 소수성 윈드실드 상에서 작동되는 윈드실드 와이퍼의 와이퍼 블레이드에 사용될 수 있다.
건조 윤활제는 바람직하게 0.1 내지 15 ㎛, 특히 0.1 내지 5 ㎛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코팅이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의 엘라스토머 재료상에 양호하게 부착되면 특히 바람직하다. 낮은 마찰계수는 상부층, 즉 커버층이 더 많은 함량의 건조 윤활제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동시에, 내마모성을 높이기 위해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에 직접 제공된 제 1 층, 즉 베이스층이 커버층보다 훨씬 더 높은 내마모성을 가져야 한다.
윈드실드 상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충분히 낮은 마찰계수를 달성하기 위해, 커버층 내의 건조 윤활제 함량은 바람직하게 층의 60 내지 100 중량%이다. 특히 바람직하게 건조 윤활제 함량은 75 내지 90 중량% 이다. 건조 윤활제의 이러한 함량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비한 윈드실드 와이퍼가 건조한 윈드실드에서도 삐걱거리지 않게 하고, 덜거덕거리지 않게 하고 또는 정지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내마모성을 갖는 베이스층도 건조 윤활제를 포함한다. 이 경우 베이스층의 건조 윤활제 함량은 커버층의 건조 윤활제 함량보다 낮다. 베이스층 내의 적은 건조 윤활제 함량으로 인해 베이스층의 점착 강도가 높아진다. 점착 강도의 증가는 예컨대 베이스층 재료 내의 더 많은 함량의 결합제과 가교제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내마모성을 높이기 위해 베이스 층은 경화 후에 가교된 폴리머를 포함한다.
충분한 내마모성을 달성하기 위해, 각각 경화된 층과 관련해서, 베이스층 내의 건조 윤활제 함량은 바람직하게 커버층 내의 건조 윤활제 함량보다 적어도 30 중량% 더 적다. 특히 바람직하게 베이스층 내의 건조 윤활제 함량은 커버층 내의 건조 윤활제 함량보다 적어도 50 중량% 더 적다.
충분한 내마모성을 달성하기 위해, 코팅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가교 폴리머를 포함하고, 베이스층 내의 상기 가교 폴리머의 함량은 커버층에서보다 높다. 커버층이 비가교 폴리머를 포함하거나 또는 결합제를 전혀 포함하지 않으면 특히 바람직하다.
커버층이 적은 함량의 가교 폴리머를 포함하거나 또는 가교 폴리머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결합제를 전혀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건조 윤활제는 작동시 베이스층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다.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이 얻어지고, 상기 표면에 의해 윈드실드 상에서 균일한 지지가 달성된다. 이로 인해 양호한 와이핑 품질이 달성되고, 윈드실드와 와이퍼 블레이드의 코팅 사이의 영구적으로 양호하게 윤활된 경계면으로 인해 소수성 윈드실드 상에서 덜거덕거림이 적어지므로 긴 수명이 달성된다. 따라서 특히 젖은 소수성 윈드실드 상에서 테스트시 건조 윤활제를 포함하는 커버층에 의해 시간이 경과해도 일정한 낮은 마찰계수가 달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찰을 감소시키는 커버층의 보호 효과로 인해 베이스층의 내마모성도 더욱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의 코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 단계에서 베이스층이 프로파일 상에 제공되고, 제 2 단계에서 커버층이 제공된다. 베이스층은 0 내지 45 중량%의 건조 윤활제를 포함하고, 커버층은 60 내지 100 중량%의 건조 윤활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베이스층은 30 내지 45 중량%의 건조 윤활제를 포함하고 베이스층은 75 내지 95 중량%의 건조 윤활제를 포함한다. 건조 윤활제 함량은 본 발명에 따라 베이스층에서보다 커버층에서 더 많다.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진 코팅되지 않은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은 예컨대 압출 성형, 사출 성형 또는 압축 몰딩에 의해 당업자에게 공지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내마모성 코팅을 달성하기 위해, 베이스층을 위한 코팅 재료가 적어도 하나의 결합제 및 적어도 하나의 가교체를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결합제는 바람직하게 폴리우레탄 기반 결합제이다. 예컨대 결합제로서 히드록시-작용기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수지가 적합하다. 경화제로서 예컨대 아미노 함량이 높은 메틸화된 멜라민-아미노플라스트가 사용된다. 다른 적합한 결합제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레이트수지,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수지,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수지이고, 다른 적합한 경화제는 예컨대 이소시아네이트-가교제, 에폭시드-가교제, 실란-가교제, 폴리아지리딘-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가교제이다.
커버층을 위한 코팅 재료는 건조 윤활제 외에도 바람직하게 비가교 결합제, 예컨대 아크릴레이트에스테르, 메타크릴레이트에스테르 및 스티롤 기반의 결합제를 포함한다. 또한, 안정한 분산을 위해, 커버층을 위한 코팅 재료는 첨가제, 예컨대 증점재 및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제로서 예컨대 통상의 텐사이드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1 실시예에서 베이스층은 커버층이 제공되기 전에 경화된다.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베이스층은 예컨대 먼저 건조된다. 후속해서 층의 경화가 이루어진다. 경화시 결합제 및 경화제가 가교되므로, 내마모성 가교층이 형성된다. 용매의 제거를 위한 건조는 바람직하게 5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 내지 5분 동안 이루어진다. 경화는 바람직하게 75 내지 160 ℃의 온도에서 5 내지 15분 동안 이루어진다. 대안으로서, 적어도 6일의 지속 시간 동안 실온에서 경화될 수 있다. 이로써 가교제와 방수막이 얻어진다. 막 두께는 바람직하게 0.2 내지 5 ㎛이다.
베이스층의 경화 후에 커버층이 제공된다. 커버층의 제공 후에 상기 커버층은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건조된다. 건조는 바람직하게 50 내지 150℃에서 이루어진다. 비가교 결합제 사용시 비가교 커버층이 얻어진다.
제 2 실시예에서 커버층은 아직 경화되지 않은 베이스층에 제공된다. 커버층의 제공 후에 2개의 층들은 함께 건조되고 경화된다. 대안으로서, 베이스층을 먼저 건조하고 나서 커버층을 제공한 후에 2개의 층들을 함께 경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코팅은 가황 후에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에 제공된다. 이로 인해, 먼저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을 형성한 후에 코팅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가황되지 않은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에 코팅이 제공되면 바람직하다. 프로파일은 후속해서 코팅과 함께 가황된다. 이로 인해 가황시 제공된 에너지는 동시에 코팅의 경화 및/또는 열에 의한 가교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코팅 재료의 경화가 매우 짧은 시간에 이루어진다. 또한,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에 대한 가황되지 않은 엘라스토머 재료의 더 높은 반응성으로 인해 기판을 형성하는 엘라스토머와 베이스층의 코팅 재료의 개선된 가교가 달성된다.
커버층이 가교되고 이로써 미끄럼 특성이 감소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코팅의 베이스층이 가황되지 않은 엘라스토머 재료에 제공된 후에, 엘라스토머 재료가 가황되고, 후속해서 마찰계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커버층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이 이중 프로파일로서 형성되고, 베이스층이 상기 이중 프로파일에 제공된 후에, 이중 프로파일이 2개의 개별 프로파일로 분리되고, 이어서 커버층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 프로파일 형태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제조시, 2개의 프로파일은 일반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연결된다. 2개의 개별 프로파일로 분리는 와이핑 가장자리를 따라 프로파일을 커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로써, 단면이 커버층으로만 코팅된다. 이는, 베이스층과 커버층으로 코팅하는 것에 비해 와이핑 품질을 개선시킨다.
개별 프로파일로 분리된 후에 마찰을 감소시키는 제 2 층이 제공된다. 마찰을 감소시키는 층은 약간만 가교되거나 또는 가교되지 않기 때문에 와이핑 가장자리에서 균일한 막이 형성된다.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에 코팅이 제공됨으로써, 마찰계수가 낮아지고 내마모성이 높아지며, 양호한 와이핑 품질이 달성된다.
비교 실시예
수성 코팅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분산제, 메틸화된 이미노멜라민아미노플라스트-가교제, 건조 윤활제인 흑연 및 증점제를 포함한다. 이 코팅 조성물은 엘라스토머 기판에 제공된다. 엘라스토머 기판은 염화 고무 조성물로 사출 성형된 이중 와이퍼 프로파일이다. 수성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한 최초 건조 후에, 코팅 조성물은 150 ℃에서 10분 동안 경화된다. 4 ㎛ 두께의 가교 방수막이 형성된다.
경화된 베이스층의 조성은 높은 아미노 함량을 가진 메틸화된 멜라민-아미노플라스트-경화제(Cytec사의 Cymel 303 LF®)와 가교되어 2.5%의 평균 히드록실 함량을 가진 히드록실-작용기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수지(Bayer Material Science사의 Bayhydrol PT24]®)의 가교 수지 조성물 54.6 중량%, 34.0 중량% 흑연, 10.6 중량% 폴리에틸렌(HDPE) 및 0.8 중량% 아크릴레이터 증점재를 포함한다.
이렇게 형성된 베이스층은 강우 조건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물이 분무된 소수성 윈드실드 상에서 와이핑 테스트시 30분 동안 테스트 되었다. 초기 와이핑 품질은 그렇게 양호하지 않았고, 긴 시간 범위에 걸쳐 줄무늬 및 혼탁이 나타났다. 5분 후에 래터-진폭(Ratter-Amplitude)이 상승하기 시작했고 14 mm 이상의 레벨에 도달했다.
젖은 상태에서 회전하는 소수성 윈드실드 상에서 테스트시 베이스층의 마찰 계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높아졌고, 30 cm/s의 속도에서 30분 후에 0.60이었다.
실시예 1
이중 프로파일에 베이스층이 비교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다. 베이스층의 경화 후에 이중 프로파일은 2개의 개별 프로파일로 커팅된다. 베이스층 및 단면을 코팅하기 위해 개별 프로파일에 흑연 분산액이 분무된다. 수성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흑연 분산액은 90℃에서 건조되었다. 비가교 커버층이 얻어졌다. 커버층은 각각 건조한 커버층과 관련해서, 4.6 중량% 고체 결합제 폴리머, 3.4 중량% 증점재, 10.2 중량% 텐사이드 및 81.8 중량% 흑연을 포함한다.
젖은 상태의 회전하는 소수성 유리 윈드실드에서 테스트시 2개의 층들을 포함하는 코팅은 안정적인 낮은 마찰계수를 나타냈다. 즉, 테스트 동안 측정된 마찰계수는 일정했다.
2개의 층들을 포함하는 코팅의 마찰 계수는 30분 후에 0.4였다(30 cm/s의 속도에서).
2개의 층의 코팅이 제공된 와이퍼 블레이드는 윈드실드 와이퍼 테스트시에도 차량의 소수성 윈드실드 상에서 30분 동안 테스트 되었다. 비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윈드실드 상에 물이 분무되었다. 기록된 래터-진폭은 전체 테스트 동안 매우 낮게 유지되었고(5 mm 미만), 와이퍼 블레이드는 윈드실드 상으로 소음 없이 슬라이딩했다. 와이핑 품질은 우수하게 유지되었다.
실시예 2
염화 고무 재료로 이루어진 와이퍼 블레이드에 먼저 비교 실시예의 베이스층에 상응하게 베이스층이 제공된다. 베이스층에 건조한 흑연 분말이 제공되고, 상기 흑연 분말은 개별 프로파일의 베이스층의 표면에 걸쳐 코팅되었다. 2개의 층들을 포함하는 코팅이 제공된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핑 테스트시 30분 동안 소수성 윈드실드 상에서 테스트 되었고, 비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상기 윈드실드 상에 물이 분무되었다. 테스트 동안 기록된 래터-진폭은 2 내지 4 mm이다.

Claims (13)

  1. 와이퍼 블레이드, 특히 윈드실드 와이퍼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위한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진 기판을 가진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찰을 감소시키는 코팅이 제공된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2개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에 직접 제공된 베이스층은 내마모성 코팅이며, 상기 베이스층에 제공된 커버층은 마찰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
  2. 제 1 항에 있어서, 마찰을 감소시키는 상기 커버층은 건조 윤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윤활제는 흑연,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황화몰리브덴 또는 상기 성분들 중 적어도 2개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 내의 상기 건조 윤활제의 함량은 경화된 층의 60 내지 1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마모성을 갖는 제 1 코팅은 건조 윤활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 내의 상기 건조 윤활제의 함량은 상기 커버층의 상기 건조 윤활제의 함량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 내의 상기 건조 윤활제의 함량은 경화된 층과 관련해서, 상기 커버층 내의 상기 건조 윤활제의 함량보다 적어도 30 중량%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가교 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 내의 상기 가교 폴리머의 함량은 상기 커버층 내에서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
  8.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의 코팅 방법으로서, 제 1 단계에서 상기 프로파일에 베이스층이 제공되고, 제 2 단계에서 커버층이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층은 0 내지 45 중량%의 건조 윤활제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층은 60 내지 100 중량%의 건조 윤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의 코팅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커버층이 제공되기 전에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의 코팅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은 아직 경화되지 않은 베이스층에 제공되고, 2개의 층들은 함께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의 코팅 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진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의 몰딩 후에 상기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에 제공되고, 후속해서 상기 코팅을 가진 상기 프로파일이 가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의 코팅 방법.
  12.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가황 후에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의 코팅 방법.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은 이중 프로파일로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이중 프로파일에 제공된 후에, 상기 이중 프로파일은 2개의 개별 프로파일로 분리되고, 이어서 상기 커버층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의 코팅 방법.
KR1020107008490A 2007-10-19 2008-09-22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 및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을 코팅하는 방법 KR101524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50120A DE102007050120A1 (de) 2007-10-19 2007-10-19 Strangförmiges Profil sowie Verfahren zum Beschichten eines strangförmigen Profils
DE102007050120.1 2007-10-19
PCT/EP2008/062591 WO2009053186A1 (de) 2007-10-19 2008-09-22 Strangförmiges profil sowie verfahren zum beschichten eines strangförmigen profi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033A true KR20100072033A (ko) 2010-06-29
KR101524504B1 KR101524504B1 (ko) 2015-06-01

Family

ID=39995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490A KR101524504B1 (ko) 2007-10-19 2008-09-22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 및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을 코팅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203332B1 (ko)
JP (1) JP5389035B2 (ko)
KR (1) KR101524504B1 (ko)
CN (2) CN105128823A (ko)
DE (1) DE102007050120A1 (ko)
ES (1) ES2426454T3 (ko)
WO (1) WO20090531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6441A1 (de) * 2009-05-25 2010-12-02 Robert Bosch Gmbh Wischerblatt für einen Scheibenwischer
DE102010003139A1 (de) * 2010-03-23 2011-09-2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Wischblatts
FR2969078B1 (fr) 2010-12-15 2013-04-12 Valeo Systemes Dessuyage Organe d'essuyage en materiau a base d'elastomere(s) sur-reticule
DE102012204749B4 (de) * 2012-03-26 2023-05-25 Robert Bosch Gmbh Wischgummi-Herstellung mittels überkritischem Fluid
CN111393977A (zh) * 2020-05-07 2020-07-10 江苏云睿汽车电器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雨刷用水性涂料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5838A (en) 1976-03-15 1977-09-06 Acushnet Company Surface layer for windshield wiper blades
DE19814805A1 (de) * 1998-04-02 1999-10-07 Bosch Gmbh Robert Beschichtungsverfahren eines Wischergummis
TW446654B (en) * 1999-06-07 2001-07-21 Shinetsu Polymer Co Silicone rubber-based wiper blade for vehicle windows
JP3821634B2 (ja) * 2000-07-05 2006-09-13 株式会社デンソー ワイパーブレードゴム用コーティング剤及びワイパーブレードゴム
DE10116929A1 (de) * 2001-04-05 2002-11-07 Bosch Gmbh Robert Gleitlackkomponente, Gleitlack und Verfahren zum Beschichten von Elastomeren wie Scheibenwischerblättern
DE10226752A1 (de) * 2002-06-14 2004-01-08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für Scheibenwisch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JP2005088767A (ja) * 2003-09-18 2005-04-07 Fuiisa Kk ワイパーブレ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ワイパー
US20050127552A1 (en) * 2003-12-11 2005-06-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forming an elastomeric article
DE102007036780A1 (de) * 2007-08-03 2009-02-0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schichteten Elastomerprofiles, ein Elastomerprofil sowie dessen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28823A (zh) 2015-12-09
WO2009053186A1 (de) 2009-04-30
ES2426454T3 (es) 2013-10-23
KR101524504B1 (ko) 2015-06-01
EP2203332B1 (de) 2013-07-24
JP5389035B2 (ja) 2014-01-15
JP2011500412A (ja) 2011-01-06
EP2203332A1 (de) 2010-07-07
CN101827734A (zh) 2010-09-08
DE102007050120A1 (de)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1450B2 (ja) 弾性の線状異形材、殊にウインドウワイパーブレード用のコーティン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778744B (zh) 用于制造被涂层的弹性体成型件的方法, 弹性体成型件以及它的使用
KR100878129B1 (ko) 마찰방지 코팅 성분, 마찰방지 코팅제 및 자동차 앞유리 와이퍼 블레이드와 같은 탄성중합체를 코팅하기 위한 방법
KR101524504B1 (ko)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 및 스트랜드 형태의 프로파일을 코팅하는 방법
US20060046047A1 (en) Wiper blade for windscreen wip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9990071611A (ko) 와이퍼블레이드및그의제조방법
EP2130857B1 (de) Beschichtungsmaterial für Elastomermaterialien
JP2004510835A (ja) 自動車のウェザーシール用のオレフィンスリップコーティング
JP5496097B2 (ja) ウインドウワイパーのワイパーブレードを被覆するための減摩塗料
KR100371303B1 (ko) 고무 표면처리용 도료 조성물
JP3254555B2 (ja) ガラス用ウェザストリップ
US20160297405A1 (en) Wiper blade for windscreen wiper
US20190176764A1 (en) Rubber wiper blade element with friction reducing agent that continuously migrates to the surface
JP2001151085A (ja) ワイパーブレード
KR20060002063A (ko) 저온 또는 상온에서 경화 가능한 고무 표면처리용 도료조성물
JPH0940810A (ja) ワイパーブレードゴム
JPH08283467A (ja) はっ水性ゴム組成物
KR20050110801A (ko) 글래스 런 웨더스트립용 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