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1652A - 패출리 알코올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패출리 알코올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1652A
KR20100071652A KR1020080130443A KR20080130443A KR20100071652A KR 20100071652 A KR20100071652 A KR 20100071652A KR 1020080130443 A KR1020080130443 A KR 1020080130443A KR 20080130443 A KR20080130443 A KR 20080130443A KR 20100071652 A KR20100071652 A KR 20100071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ouli alcohol
whitening
skin
composition
skin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4010B1 (ko
Inventor
이용화
배성윤
이응지
손락호
남궁우
김재기
윤동영
Original Assignee
정산생명공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산생명공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산생명공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0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010B1/ko
Publication of KR20100071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출리(Patchouli) 알코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및 광곽향으로부터 패출리 알코올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곽향, 패출리 알코올, 피부미백, 멜라닌 생성 억제

Description

패출리 알코올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Skin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patchouli alcohol}
본 발명은 패출리(patchouli) 알코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및 광곽향으로부터 패출리 알코올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 색소의 농도 및 분포에 따라 결정된다. 정상 상태에서는 멜라닌의 과다 생성이 일어나지 않지만, 피부가 자외선, 환경 오염, 스트레스 등과 같은 외부 자극이나 호르몬, 염증 유발인자 등과 같은 내적 요인에 대해 반응하면 멜라닌 색소가 과다 생성되고, 정상적으로 피부로부터 배출되지 못하고 피부에 축적되면 색소 침착이 유발된다.
최근 환경오염, 오존층의 파괴로 인한 자외선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피부에 대한 자극이 증가되면서 피부의 건강, 특히 미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주로 멜라닌 색소의 합성에서 주요한 속도 결정 단계를 수행하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제들이 피부미백을 위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천연물에서 수득된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코직산(kojic acid),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및 그 유도체 등이 티로시나아제 활성의 억제에 의한 피부미백과, 햇볕에 의한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 개선의 목적으로 연고, 에센스 등의 화장료에 첨가제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하이드로퀴논은 소정의 미백효과를 발휘하지만,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높아 안전성 문제로 인해 화장료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코직산은 용액 내에서 불안전하여 화장료의 제조공정이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아스코르빈산은 산화하기 쉬워 이를 배합한 화장료는 변색, 변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이 되어 미백 원료로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멜라닌 색소의 과다 생성을 억제하고, 피부에 대한 독성이 낮으며 안정성이 높은 피부미백용 활성 물질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높은 미백 활성과 안정성 및 안전성을 갖는 미백 활성 물질을 탐색하여, 광곽향 추출물에서 분리, 정제한 패출리 알코올이 세포독성 없이 높은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독성이 낮고, 안정성 및 피부미백 활성이 높은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곽향으로부터 패출리 알코올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패출리 알코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패출리 알코올은 피부 세포의 흑화를 방지하는 활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물질 자체의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여 그 활성이 장기간 유지되며, 피부 자극이 거의 없는 안전성이 매우 우수한 물질이다. 패출리 알코올은 광곽향으로부터 추출, 정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이전에는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은 물론, 피부미백제로서의 용도에 관해 전혀 보고된 바 없었다.
광곽향은 꿀풀과의 광곽향(Pogostemon cablin Bentham)의 지상부를 건조한 것으로서, 땀이 나게 해서 더위 먹은 것을 없애며, 기를 잘 통하게 하고, 비위의 기능을 강화하여 소화를 돕고, 구토, 복통, 두통 등의 개선을 위해 사용된다. 광곽향은 위액 분비 촉진, 진정, 지사, 건위, 및 해열 효과를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광곽향 추출물 중에 포함된 미백 활성 물질은 규명되지 않았으며, 광곽향 추출물 자체에는 미백 활성 물질 외에도 다른 물질들이 혼합되어 있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이 미백 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생약 조추출물 자체를 피부미백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 조추출물 내에는 미백 활성 물질 외에도 다른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일부 성분들이 미백 활성 물질과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에 의해 미백 활성이나 안정성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또는 원하는 미백 활성을 위해 첨가되어야 하는 유효 성분의 양이 증가되어 피부미백용 조성물의 제조에 제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실제로, 광곽향 추출물 자체와 본원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한 패출리 알코올은 멜라노마 세포를 대상으로 한 멜라닌 생성 억제에서 그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IC50이 각각 14.4 ㎍/㎖ 및 4.0 ㎍/㎖로 확인되었다. 즉, 광곽향으로부터 추출, 정제된 미백 활성 물질인 패출리 알코올이 광곽향 추출물 자체보다 훨씬 높은 미백 활성을 가지며, 따라서 보다 낮은 농도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광곽향으로부터 추출 및 정제한 패출리 알코올은 공지된 피부미백 활성 물질들과 비교할 때,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패출리 알코올과 공지된 미백 활성 물질인 알부틴 및 코직산를 각각 여러 농도로 함유시킨 배 지에서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72시간 배양한 후 흑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 알부틴은 100㎍/㎖의 농도에서 유의성 있는 세포의 흑화 억제 활성을 보이고(IC50=84㎍/㎖), 코직산은 150㎍/㎖의 농도에서 유의성 있는 세포의 흑화 억제 활성을 보이는 반면(IC50=124㎍/㎖), 패출리 알코올은 이들보다 훨씬 낮은 5㎍/㎖의 농도(IC50=4.0㎍/㎖)에서 유의성 있는 세포의 흑화 억제 활성을 보였다. 이는 패출리 알코올이 미백활성 물질로 사용되고 있는 알부틴 및 코직산에 비해 미백 활성이 탁월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패출리 알코올은 보다 효과적인 미백 활성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에서 패출리 알코올은 화학적으로 합성되거나 또는 광곽향을 포함한 천연 약재로부터 추출, 정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에서 패출리 알코올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0.0중량%이다. 피부미백용 조성물에서 패출리 알코올의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이면 뚜렷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및 미백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10.0중량%를 초과하면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 증진이 크지 않다. 패출리 알코올을 피부미백 효과를 위하여 사용하는 경우, 사용 목적에 따라 그 농도를 달리하여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피부미백용 조성물의 제제, 즉 로션이나 크림 등에는 상기 함량으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피부미백용 조성물은 화장수, 크림, 팩, 파 운데이션, 및 메이크업 베이스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피부미백용 조성물은 유효 성분인 패출리 알코올 외에,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유화제, 충전제, 보존제, 습윤제, 오일, 염료, 리포좀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분들은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광곽향으로부터 패출리 알코올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곽향으로부터 패출리 알코올을 제조하는 방법은
광곽향을 수증기 증류에 의해 12-24시간 동안 처리하여 정유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에서 추출된 광곽향의 정유 성분을 노르말 헥산에 용해시켜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정유 성분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정유 성분의 추출물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정제된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출리 알코올의 제조방법은 광곽향을 수증기 증류 추출법으로 처리하여 정유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증기 증류 추출법은 2-4회 또는 필요에 따라 그 이상 반복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출리 알코올의 제조방법은 수증기 증류 추출에 의해 수득된 광곽향의 정유 성분을 노르말 헥산에 용해시켜 노르말 헥산에 용해된 정유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출리 알코올의 제조방법은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정유 성분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농축은 노르말 헥산에 용해된 정유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액을 회전 진공 농축기를 이용하여 약 10-30℃에서 증발시키는 방법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출리 알코올의 제조방법은 광곽향으로부터 수증기 증류 추출, 노르말 헥산에 의한 용해 및 농축에 의해 수득된 정유 추출물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유 추출물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는 단계는 실리카겔 컬럼(Merck, Art 7734) 및 노르말 헥산:에틸아세테이트(50:1, 구배농도)를 용리액으로 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분획을 노르말 헥산:에틸아세테이트(50:1, 구배농도)를 이용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에 의해 전개시켜 확인, 분리하고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에서 선별된 분획을 C18-수지를 충진제로 충진한 컬럼 및 물:메탄올(15:85) 용액을 용리액으로 한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 정제하고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을 선 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는 단계는 수득하고자 하는 패출리 알코올의 수율 및 활성에 따라 필요한 만큼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정제 단계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을 선별하는 단계는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곽향으로부터 패출리 알코올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단계 후에 정제된 추출물을 수집하고 증발시켜 정유 상태의 패출리 알코올을 수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패출리 알코올의 제조는 하기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광곽향을 수증기 증류 추출법으로 12-24시간 동안 처리하여 정유 성분을 추출한다. 상기 추출액에 노르말 헥산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분배에 의해 헥산층을 수득한다. 상기에서 수득된 헥산층을 회전 진공 농축기로 약 10-30℃에서 증발시켜 정유 성분의 추출물을 수득하고, 실리카겔 컬럼(Merck, Art 7734) 및 노르말 헥산:에틸아세테이트(50:1, 구배농도)를 용리액으로 이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한다. 이때 용리액을 250㎖ 단위로 분획하여 전개시키고 얻은 각각의 분획물을 동일 용리액을 이용하여 박층크로마토그래피(Merck, Art 5554)를 실시하여 확인한 후 멜라닌 생성 억제력을 평가하여 그 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을 선별하고 수집한다. 상기에서 수집된 분획을 대상으로 물:메탄올(15:85)을 용리액으로 C18-수지를 충진제로 한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고 정제된 분획을 수득한다. 이때 용리액 을 20㎖ 단위로 분획하여 전개시키고 수득한 각각의 분획물에 대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력을 평가하여 그 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을 모아 증발시키고 정유 상태의 패출리 알코올을 수득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출리 알코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의 억제에 의한 피부미백 효과가 뛰어나며 독성이나 부작용에 대한 우려없이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패출리 알코올의 제조
(1) 패출리 알코올의 분리 및 정제
광곽향 600g에 3차 증류수 5ℓ를 가하고 약 100℃에서 24시간 가열한 후 정유 상태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물과 노르말 헥산의 1:1 혼합액 800 ㎖에 용해시키고 3회 분배 추출하여 헥산 층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된 헥산 층을 진공 건조하여 약 10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 추출물 중 패출리 알코올의 함량은 GC(HP5890 SERIES II, HP-1 capillary column)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약 0.7% 였다.
상기에서 수득된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에틸아세테이트(50:1, 구배농도)를 용리액으로 이용한 실리카겔(Merck, Art 7734)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때 용리액을 250㎖ 단위로 분획하여 전개시키고 얻은 각각의 분획물을 동일한 용리액에 의한 박층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전개를 확인하고 분리한 후 멜라닌 생성 억제력을 평가하여 그 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분획을 물:메탄올(15:85)을 용리액으로 하여 C18-수지를 충진제로 한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였다. 이 때 용리액은 20㎖ 단위로 분획하여 전개시키고 얻은 각각의 분획물에 대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력을 평가하여 그 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을 모아 증발시켜 정유 상태의 미백 활성 물질을 수득하였다.
(2) 패출리 알코올의 구조 확인
상기 (1)에서 수득된 미백 활성 물질을 시료로 NMR System: 500 Spectrophotometer(Varia, Palo Alto, CA)를 이용한 NMR 분석을 수행하여 표 1의 데이터를 수득하고(GC/MS m/z = 222[M]+), 패출리 알코올로 확인하였다. 패출리 알코올은 정유 상태로서, 그 구조는 하기 화학식 1과 같았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87537181-PAT00001
표 1. 패출리 알코올의 1H, 13C-NMR 데이터
Figure 112008087537181-PAT00002
실시예 2. 패출리 알코올의 세포독성 및 피부미백 활성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패출리 알코올의 세포 독성 및 피부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하여 MTT(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Sigma Chemical Co. USA) 분석 및 멜라닌 생성 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B16F10 멜라노마 세포는 멜라닌을 분비하는 마우스에서 유래된 세포주이며, 미국세포주은행(ATCC)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 패출리 알코올의 세포독성
패출리 알코올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 대해 MTT 분석을 실시하였다. 트립신 처리(trypsinization)에 의해 회수한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10%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과 1% 항생제(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Lonza)를 첨가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현탁시킨 후 96-웰 조직배양용 플레이트의 각 웰에 세포 현탁액(5×103 세포/웰)을 접종한 다음, 37℃에서 5% CO2 조건으로 5시간 배양하였다. 5시간 배양 후 패출리 알코올을 디메틸설폭시드(DMSO, dimethyl sulfoxide)에 용해시킨 용액을 하기 표 2에 열거한 농도별로 처리한 후 72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생리 식염수에 용해시킨 MTT 용액 20㎕(4㎎/㎖)을 각 웰에 첨가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200㎕의 DMSO를 첨가하여 형성된 포르마잔(formazan) 결정을 용해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95㎚에서 농도 별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세포독성 시험에서 대조군은 패출리 알코올 용액 대신, 패출리 알코올을 용해시키기 위해 이용한 DMSO로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하기 식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 타내었다.
세포 생존율 (%) = 100 - (1 - 각 시료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 100
표 2. 패출리 알코올의 세포독성
시료 평균 세포 생존율 (%)
DMSO (대조군) 100
패출리 알코올 1.0㎍/㎖ 106
2.5㎍/㎖ 102
5.0㎍/㎖ 105
10.0㎍/㎖ 95
20.0㎍/㎖ 90
(2) 멜라닌 생성 저해율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패출리 알코올의 미백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 대한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B16F10 멜라노마 세포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측정은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10% 우태혈청과 1% 항생제(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Lonza)를 첨가한 DMEM에 현탁시킨 후, 조직배양용 배지를 담은 24-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상기 세포현탁액(4x104 세포/웰)을 접종하고 5시간 동안 5% CO2, 37℃에서 배양시켰다. 그 후 α-MSH(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와 IBMX (3-isobutyl-1-methylxanthine)가 보충된 DMEM 배지에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농도(1-20㎍/㎖)로 패출리 알코올을 첨가한 배지로 교체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시료 대신 시료를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한 DMSO를 처리하고, 양성 대조군은 패출리 알코올 대신, 기존에 멜라노마에서 멜라닌 저해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진 알부틴(arbutin)과 코직산(kojic acid)을 농도 별로 처리하여 사용하였다. 배양 후 멜라닌 함량을 측정할 세포를 트립신-EDTA로 떼어낸 후 원심 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세포 내의 멜라닌 정량은 Lotan(Cancer Res., 40:3345-3350, 1980)의 방법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원심분리에 의해 수득된 세포 펠렛(pellet)에 1N NaOH + 10% DMSO를 첨가하여 멜라닌을 추출하고 용해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를 이용하여 405㎚에서 멜라닌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하기 식을 이용하여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서, IC50은 멜라닌 생성 저해율 50%를 달성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로서 다른 물질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사용하는 지표이며 값이 작을수록 멜라닌 생성 저해율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멜라닌 생성 저해율(%) = 100 - (각 시료의 흡광도/음성 대조군의 흡광도 X 100)
표 3. 멜라닌 생성 저해
시료 IC50 (㎍/㎖)
알부틴(양성 대조군 1) 84
코직산(양성 대조군 2) 126
패출리 알코올 4.0
(3) 인 비보 머쉬룸 티로시나아제(mushroom tyrosinase) 활성 저해 시험
티로시나아제는 생체 내에서 티로신(tyrosine)이라는 물질의 산화 과정을 촉진하여 멜라닌의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티로신의 산화에 의해 멜라닌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Pomerantz S.H., J. Biochem., 24:161-168, 1966)을 응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패출리 알코올의 미백 효과를 평가하였다.
B16F10 멜라노마를 10% 우태혈청과 1% 항생제(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Lonza)를 첨가한 DMEM에 현탁시킨 후, 조직배양용 배지를 담은 6-웰 프레이트의 각 웰에 상기 세포 현탁액을 5×105 세포/웰의 밀도로 접종하고 5시간 동안 5% CO2, 37℃에서 배양시켰다. 그 후 하기 표 4에 표시된 농도로 패출리 알코올 용액을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했다. 대상 세포를 트립신-EDTA로 떼어낸 후 원심 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고 세포용해 용액 (PBS + Triton X-100)으로 세포를 용해시켰다. 상기 세포 용해액을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세포 용해물 80㎕에 L-도파 20㎕를 넣고 37℃에서 5 내지 10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를 이용하여 49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인 비보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시험에서 음성 대조군은 시료 대신 시료를 용해시키기 위해 이용된 DMSO를 넣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알부틴을 100㎍/㎖ 농도로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하기 식를 이용하여 인 비보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표시하였다.
인 비보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 (%) = 100 - (각 시료의 흡광도/음성대조군의 흡광도 x 100)
표 4. 인 비보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시료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 (%)
알부틴 (100㎍/㎖, 양성 대조군) 51
패출리 알코올 5㎍/㎖ 36
10㎍/㎖ 53
(4) 갈색 기니아 피그(Brown guinea pig)에 대한 피부미백 활성 확인
갈색 기니아 피그는 사람과 같이 자외선, UV, 알레르기 반응 등에 의해 색소침착이 발생하는 동물이다. 갈색 기니아 피그는 털과 피부의 빛깔이 동일하기 때문에 털의 빛깔이 균일하게 갈색인 것을 고르면 제모한 뒤에 광범위한 부위를 피부에 대한 활성 시험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하기에 기재된 방법으로 색소 침착을 유발하고, 그 색소 침착 부위에 미백제를 도포하는 방법에 의해, 색소 침착의 개선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해 색소 침착의 개선 효과가 확인된 물질은 사람의 자외선 색소 반에서의 평가에도 효과가 나타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일차 인 비보 활성 시험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① 자외선 색소반의 형성
자외선(UVB)에 의한 색소침착의 유발은, 갈색 기니아피그의 배후의 털을 제거한 피부에 3×3cm의 정방형의 개구부가 6개 뚫린 차광용 알루미늄 호일을 접착시킨 후, SE 램프(파장 290-320nm, Toshiba)로 자외선(UVB)을 1,350 mJ/㎠ 조사하였다. 조사 후, 알루미늄 호일을 벗겨내고, 하기의 도포법으로 시험물질의 미백효과를 평가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색소 침착은 2 내지 3일 후에 나타나며, 약 1 내지 2주 후에 정점에 도달한다. 생성된 자외선 색소반의 색조가 동일하며 얼룩이 생기 지 않는 것이 중요하고, 자외선 색소반의 형성이 좋지 않은 개체는 좋은 결과를 위해 쓰지 않는 편이 좋다.
② 미백제의 도포
자외선 조사 후 미백제의 도포는 색소 침착이 정점에 도달하는, 즉 색소 침착이 유발된 후 약 10일 후에 시작하였다. 도포 횟수는 l일 1회 또는 2회로 하여, 30일간 도포를 계속하였다. 도포 물질은 표 5의 시험물질을 부형제(프로필렌글리콜:에탄올:정제수=5:3:2의 혼합용매)에 누적 자극이 나타나지 않는 농도로 용해시킨 것으로, 면봉으로 도포하며 도포 부위와 구별되는 다른 부위에 부형제만을 도포하여, 이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③ 효과의 판정
Chroma Meter CR-400(Minolta, Japan)을 사용하여 피부의 흑백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미백 효과를 판정하였다. 색을 표시하는 데에는 L* a* b*표색계를 사용하였으며, L* 값은 정해진 백판으로 교정하고, 측정은 1개 부위당 5회 이상 측정하여 색소 침착부를 균등하게 측정하였다. 도포 시작 시점과 완료 시점의 피부색의 차이(△L*)를 하기 식에 따라 계산하여, 이를 표 6에 나타내었다. 미백 효과는 시료 도포 부위와 대조군 부위의 △L* 의 비교로 판정하는데, △L* 값이 2 정도일 경우는 침착된 색소에 대한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경우이고, 1.5 정도 이상이면 미백효과가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L* = 도포 30일 후의 L* 값 - 도포 개시할 때의 L*
표 5. 갈색 기니어 피그에서의 피부미백 효과
시료 (2%) 미백 효과 (△L*)
부형제 (비히클, 음성대조군) 0.77
알부틴 (양성대조군) 1.09
패출리 알코올 1.72
실시예 3. 패출리 알코올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의해 패출리 알코올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미백용 크림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미백용 크림 조성물 100g에 패출리 알코올 1g 혼합하여 패출리 알코올을 미백 활성 물질로 포함하는 미백용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대조군는 패출리 알코올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만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해 미백용 크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패출리 알코올을 포함하는 시험군 미백용 크림 및 대조군 미백용 크림의 피부미백효과 및 피부자극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관능시험을 실시하였다.
건강한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패출리 알코올을 포함하는 시험군 미백용 크림과 패출리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은 대조군 미백용 크림을 일반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3개월 동안 사용하여 피부자극 및 미백 효과를 평가하게 하였다. 특히 피부의 미백효과는 대조군 크림을 기준으로 패출리 알코올을 포함하는 크림이 나타내는 미백효과를 상대적으로 평가하게 하였다, 관능평가는 매우 우수(5점), 우수(3점), 보통(0점), 나쁨(-3점), 매우 나쁨(-5점)의 오점법 기준에 의거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표시하였다. 하기 표 7에서 피부자극 항목은 피부자극이 없는 정도를 나타낸다.
평가항목인 피부자극은 피부의 가려움, 따가움 및 홍반 등의 현상에 대한 평가이며, 미백효과는 상대적으로 피부의 맑아짐 및 밝아짐 정도에 대한 평가이다.
표 6. 피부미백 및 자극에 대한 관능 시험

피부자극 미백효과
(대조군 크림 대비 패출리 알코올 함유 크림의 효과)
패출리 알코올 함유 크림 대조군 크림
1 4 4 5
2 4 4 4
3 4 4 4
4 3 5 5
5 4 3 4
6 4 4 4
7 5 4 4
8 5 4 4
9 3 3 5
10 4 3 3
11 4 4 4
12 5 5 4
13 4 5 4
14 4 4 3
15 4 4 4
16 3 4 4
17 4 5 5
18 5 4 4
19 4 4 5
20 4 4 4
평균 4.05 4.05 4.15
상기 표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출리 알코올을 포함하는 미백용 크림에 대한 피부자극 평가점수는 4.05점으로 매우 우수하게 평가되어, 패출리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대조군과 마찬가지로 피부자극 정도가 낮아 피부 안전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조군 대비 본 발명에 따른 패출리 알코올을 포함하는 미백용 크림의 상대적인 피부미백효과는 평가점수 4.15점으로 대조군 대비 미백효과가 매우 우수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패출리(patchouli) 알코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출리 알코올은 광곽향으로부터 추출되고 정제된 것인 피부미백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출리 알코올은 광곽향으로부터 수증기 증류에 의해 추출되는 것인 피부미백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출리 알코올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피부미백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미백용 조성물은 화장수, 크림, 팩, 파운데이션, 및 메이크업 베이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인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0080130443A 2008-12-19 2008-12-19 패출리 알코올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034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443A KR101034010B1 (ko) 2008-12-19 2008-12-19 패출리 알코올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443A KR101034010B1 (ko) 2008-12-19 2008-12-19 패출리 알코올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652A true KR20100071652A (ko) 2010-06-29
KR101034010B1 KR101034010B1 (ko) 2011-05-11

Family

ID=4236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443A KR101034010B1 (ko) 2008-12-19 2008-12-19 패출리 알코올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0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47550A (zh) * 2015-09-09 2015-12-16 湖南炎帝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含有葛仙米提取物的美白保湿面膜液及其制备方法
CN115475123A (zh) * 2022-09-15 2022-12-16 植物医生(广东)生物科技有限公司 美白淡斑组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1993B1 (fr) 2019-01-29 2021-01-22 Isp Investments Llc Procede d’obtention d’un extrait de feuilles de patchouli et ses utilisations cosmetiqu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3884B2 (ja) 2000-01-28 2004-03-08 花王株式会社 化粧料
WO2004110153A1 (de) * 2003-06-17 2004-12-23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Mittel gegen mikroorganismen enthaltend patchouliöl, patchoulialkohol und/oder dessen derivate
KR20050073080A (ko) * 2004-01-08 2005-07-13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식물 정유를 포함하는 항여드름균 조성물
US20050191267A1 (en) 2004-02-04 2005-09-01 Omboon Luanratana Anti-photoaging cosmeceutical composi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47550A (zh) * 2015-09-09 2015-12-16 湖南炎帝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含有葛仙米提取物的美白保湿面膜液及其制备方法
CN105147550B (zh) * 2015-09-09 2018-01-23 湖南炎帝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含有葛仙米提取物的美白保湿面膜液及其制备方法
CN115475123A (zh) * 2022-09-15 2022-12-16 植物医生(广东)生物科技有限公司 美白淡斑组合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010B1 (ko)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968B1 (ko) 마트린 또는 옥시마트린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제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7487A (ko) 베어바스코사이드 및 루테오린을 포함하는 조합물 또는 식물 추출물 및 색소침착 조절을 위한 화장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에서의 이의 용도
KR101493158B1 (ko) 가공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77554B1 (ko) 시토스테롤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504408B1 (ko) 생큐노라이드 a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EP0970693B1 (en) Biologically active labdane or labdene derivatives from Cistus
KR101034010B1 (ko) 패출리 알코올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190993B1 (ko) 흑화 성분을 제거하여 개선된 미백효과를 갖는 천문동 수용성 분획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미,주근깨 개선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107311B1 (ko) 퓨라노디에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454736B1 (ko) 베라트라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757790B1 (ko) 황숙종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57130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베라진 및 에피-베라진을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681700B1 (ko) 생큐노라이드 a 및 글루콘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92313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466379B1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034009B1 (ko) 3-베타-히드록실라노스타-7,9(11),24-트리엔-21-오익산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248548B1 (ko) 곰보 배추 추출물, 플라바논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0453217B1 (ko) 피부미백재
KR100867202B1 (ko) 결명자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에모딘을 포함하는미백용 피부 외용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101109620B1 (ko) 단삼소납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화장료 조성물
KR0180689B1 (ko) 흑화 성분을 제거하여 개선된 미백효과를 갖는 반하 비극성 지질 분획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미, 주근깨 개선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592176B1 (ko) 캄페롤-3-갈락토피라노사이드,캄페롤-3-0-알파-l-람노피라노사이드,캄페롤-3-0-베타-l-글루코피라노사이드가 함유된도인추출물 제조 및 이를 이용한 미백 화장료
KR20120078064A (ko) 곰보 배추 추출물, 3′,4′,5,6,7-펜타하이드록시플라바논 및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