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059A - 대구경 표준 렌즈 - Google Patents

대구경 표준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059A
KR20100070059A KR1020080128650A KR20080128650A KR20100070059A KR 20100070059 A KR20100070059 A KR 20100070059A KR 1020080128650 A KR1020080128650 A KR 1020080128650A KR 20080128650 A KR20080128650 A KR 20080128650A KR 20100070059 A KR20100070059 A KR 20100070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urvature
standard
lense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3835B1 (ko
Inventor
허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8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835B1/ko
Priority to US12/624,512 priority patent/US8427765B2/en
Publication of KR20100070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iv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대구경 표준렌즈가 개시된다. 개시된 표준렌즈는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의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의 제2렌즈; 조리개; 부의 굴절력의 제3렌즈; 정의 굴절력의 제4렌즈; 및 정의 굴절력의 제5렌즈;를 포함하며,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및 제4렌즈는 모두 조리개 측의 면이 오목면으로 된 메니스커스 렌즈이며, 다음 식을 만족한다.
Figure 112008086756790-PAT00001
여기서, R4는 제2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 반경이고, R6는 제3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이다.

Description

대구경 표준 렌즈{Large caliber standard lens}
개시된 표준 렌즈는 렌즈 교환식 카메라에 사용할 수 있는 대구경 표준렌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은염필름 대신 고체촬상소자등의 이미지센서를 채용한 카메라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이미지센서는 반도체 집적기술의 향상으로 더욱 더 고화소화 하는 경향이 있어 그에 어울리는 우수한 광학 성능을 지닌 렌즈를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점차 카메라의 휴대성이 중시되고 있어, 우수한 광학성능을 가지면서도 작은 크기의 카메라에 적합한 렌즈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밝은 표준렌즈는 대부분 더블가우스타입의 렌즈나 그를 변형한 구성이 주류를 이뤘다. 더블가우스타입의 렌즈는 조리개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대칭적인 광학계를 구성하고 조리개를 마주보고 있는 렌즈면의 굴절력을 크게 하여 구면수차를 효과적으로 보정하는 장점이 있지만, 그로 인하여 사지털코마플레어가 크게 발생하는 단점이 함께 존재한다.
이에 따라 이러한 단점을 보상하기 위하여 각 렌즈의 곡률반경을 제한하고 각 렌즈 재료의 굴절률 및 아베수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렌즈 광학계를 구성하는 다 양한 설계안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고화소화에 필요한 광학 성능을 구비하면서도 가공성을 고려하는 설계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화소의 이미지 센서에 필요한 우수한 광학 성능을 가지며, 가공성이 우수하고, 소형의 렌즈 교환식 카메라에 사용할 수 있는 대구경 표준렌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준렌즈는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의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의 제2렌즈; 조리개; 부의 굴절력의 제3렌즈; 정의 굴절력의 제4렌즈; 및 정의 굴절력의 제5렌즈;을 포함하며, 상기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및 제4렌즈는 모두 상기 조리개 측 면이 오목면을 된 메니스커스 렌즈이며, 다음 식을 만족한다.
Figure 112008086756790-PAT00002
여기서, R4는 제2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 반경이고, R6는 제3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이다.
상기 제1렌즈 내지 제5렌즈 각각의 사이에는 공기 간격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표준렌즈는 상기 제3렌즈, 제4렌즈 및 제5렌즈의 굴절률이 각각 n3, n4, n5일 때, 다음 식을 만족한다.
1.80 < (n3+n4+n5)/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준렌즈는 다음 식을 만족한다.
  
Figure 112008086756790-PAT00003
여기서, R7은 제3렌즈의 상측 면 곡률 반경이고, R8은 제4렌즈의 물체측면 곡률 반경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 도 3, 도 5, 도 7, 도 9, 도 11 및 도 13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실시예에 의한 표준렌즈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표준렌즈는 물체(OBJ)측에서 상(IMG)측으로 순서대로, 제1렌즈(10), 제2렌즈(20), 조리개(ST), 제3렌즈(30), 제4렌즈(40) 및 제5렌즈(50)를 포함한다. 각 렌즈들 사이에는 공기 간격이 존재하며, 제1 내지 제4렌즈(10)(20)(30)(40)는 모두 조리개 쪽의 면이 오목면으로 된 메니스커스 렌즈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준렌즈는 구경비가 작은 대구경의 광학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의 구성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은 구면수차이다. 구면수차를 효과적으로 보정하기 위하여 조리개를 마주보고 있는 렌즈면의 곡률 반경을 작게 하는 경우, 구면수차는 보정되지만 큰 사지털 코마플레어가 발생하며 페츠발합이 커지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페츠발합을 작게 하기 위해서 제2렌즈(20)의 물 체측 면과 상측 면이 비슷한 크기의 매우 작은 곡률 반경을 갖게 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경우 렌즈의 가공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준 렌즈는 수차 보정 및 가공성을 고려한 설계안으로서,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112008086756790-PAT00004
여기서, R4는 제2렌즈(20)의 상측면의 곡률 반경이고, R6는 제3렌즈(30)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이다.
상기 식은 제2렌즈(20)의 상측면 곡률반경에 대한 제3렌즈(30)의 물체측 면 곡률반경의 비를 제한한 것이다. 상한값을 벗어나는 범위에서는 구면수차를 효과적으로 보정하는 것이 어려워지거나 제2렌즈의 가공성이 나빠지게 된다. 하한값을 벗어나는 범위에서는 더블가우스타입이 가지는 대칭성이 깨져 양호한 광학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준 렌즈는 페츠발 합을 보상하기 위해 조리개(ST)로부터 상측에 위치하는 렌즈에 고굴절률 소재를 채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조리개(ST)로부터 상(IMG) 측에 위치하는 렌즈들의 굴절률 평균값은 조리개(ST)로부터 물체(OBJ) 측에 위치하는 렌즈들의 굴절률 평균값보다 큰 값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리개(ST)로부터 상(IMG) 측에 위치하는 렌즈들의 굴절 률은 조리개(ST)로부터 물체(OBJ) 측에 위치하는 렌즈들의 굴절률보다 큰 값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준렌즈는 조리개(ST)로부터 상측에 위치하는 제3렌즈(30), 제4렌즈(40) 및 제5렌즈(50)의 굴절률 n3, n4 및 n5가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1.80 < (n3+n4+n5)/3 
상기 식은 제3렌즈(30), 제4렌즈(40), 제5렌즈(50)의 평균 굴절률 범위를 제한한 것이다. 즉, 페츠발 합을 보상하기 위해 조리개(ST)로부터 상측에 위치하는 렌즈에 고굴절률 소재를 채용하고 있다. 상기 식을 만족하지 않는 범위에서는 페츠발 합을 충분히 보상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준 렌즈는 다음 식을 만족한다.
Figure 112008086756790-PAT00005
여기서, R7은 제3렌즈(30)의 상측 면 곡률 반경이고, R8은 제4렌즈(40)의 물체측면 곡률 반경이다. 상기 식은 제4렌즈(40)의 물체측 면 곡률 반경에 대한 제3렌즈(30)의 상측 면 곡률반경의 비를 제한하는 조건식으로, 제3렌즈(30)와 제4렌즈(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간격의 형상을 통해 페츠발 합 및 비점수차를 효과적 으로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3렌즈(30)와 제4렌즈(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간격 형상을, 광축 중심부와 주변부에서 간격차가 커지는 형상으로 하여, 비점수차를 보정하는 것이다. 제3렌즈(30)와 제4렌즈(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간격은 예를 들어, 광축 주변부에서보다 광축 중심부에서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의 값이 상한값을 벗어나는 범위에서 페츠발합을 보정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해지며, 하한값을 벗어나는 범위에서는 광축 중심부에서의 공기 간격과 주변부에서의 공기 간격의 차가 너무 작아져, 충분한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줌 광학계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렌즈 데이터들을 기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나타나는 비구면(ASP)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8086756790-PAT00006
여기서, x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이고, y는 광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이며, K는 코닉상수(conic constant), A,B,C,D는 비구면계수, c'은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반경의 역수(1/R)이다.
이하에서, EFL은 표준 렌즈 전체의 합성초점거리를, Fno는 F수를, 2ω는 화각을 나타낸다. 또한, ST는 조리개를 의미하며, ASP로 표시된 부분에서 해당 면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제1실시예>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표준 렌즈의 구성을 보이며,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표준 렌즈의 종방향 구면 수차, 상면 만곡(astigmatic field curvature), 왜곡 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종방향 구면수차는 파장이 656.28(nm), 587.56(nm), 486.13(nm)인 광에 대해 각각 나타내었고, 상면 만곡은 파장 587.56(nm)인 광에 대해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과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을 나타내며, 왜곡은 파장 587.56(nm)인 광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다음은 제1실시예의 렌즈데이터이다.
EFL : 30.76mm Fno : 2.07 2ω: 50.66
면 곡률반경 두께 굴절률(nd) 아베수(vd)
1 12.875 3.34 1.69680 55.5
2 35.400 0.29
3 13.830 1.85 1.68384 31.6
4* 8.946 4.25
ASP
K : 0.02
A : 1.107210e-005 B : 1.837000e-007 C : 0.000000e+000 D : 0.000000e+000
ST Infinity 5.40
6 -8.300 0.65 1.78472 25.7
7 -53.590 0.22
8 -37.470 3.62 1.80420 46.5
9 -11.763 0.12
10 206.300 3.50 1.88300 40.8
11 -26.520 21.35
IMG
<제2실시예>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표준 렌즈의 구성을 보이며,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표준 렌즈의 종방향 구면 수차, 상면 만곡(astigmatic field curvature), 왜곡 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종방향 구면수차는 파장이 656.28(nm), 587.56(nm), 486.13(nm)인 광에 대해 각각 나타내었고, 상면 만곡은 파장 587.56(nm)인 광에 대해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과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을 나타내며, 왜곡은 파장 587.56(nm)인 광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다음은 제2실시예의 렌즈데이터이다.
EFL :  31.01mm    Fno :  2.02    2ω: 50.22
   면 곡률반경 두께 굴절률(nd) 아베수(vd)
     1         14.080       3.25      1.69680     55.5
     2         35.000       0.33
     3         12.000       1.98      1.76182     26.6
     4          8.680       5.00
    ST        Infinity      5.07
     6         -8.530       0.90      1.84666     23.8
     7        -39.370       0.21
     8        -29.500       3.24      1.88300     40.8
     9        -11.690       0.33
    10        147.500       3.46      1.88300     40.8
    11        -28.860      21.58
   IMG
<제3실시예>
도 5는 제3실시예에 따른 표준 렌즈의 구성을 보이며, 도 6은 제3실시예에 따른 표준 렌즈의 종방향 구면 수차, 상면 만곡(astigmatic field curvature), 왜곡 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종방향 구면수차는 파장이 656.28(nm), 587.56(nm), 486.13(nm)인 광에 대해 각각 나타내었고, 상면 만곡은 파장 587.56(nm)인 광에 대해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과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을 나타내며, 왜곡은 파장 587.56(nm)인 광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다음은 제3실시예의 렌즈데이터이다.
EFL :  31.02mm    Fno :  2.08    2ω: 49.13
 면 곡률반경 두께 굴절률(nd) 아베수(vd)
 1         17.559       2.85      1.75500     52.3
 2        114.616       1.58
 3         37.056       2.00      1.68893     31.1
 4*        15.901       3.31
           ASP
           K :      -2.995164
           A :  1.070950e-004   B :  -7.887539e-008   C :  0.000000e+000   D :  0.000000e+000
ST        Infinity      5.40
 6         -9.655       0.65      1.75211     25.0
 7        -81.458       0.47
 8        -29.213       2.84      1.83481     42.7
 9        -12.524       0.10
10        135.931       3.21      1.83481     42.7
11        -25.720      22.72
IMG
<제4실시예>
도 7은 제4실시예에 따른 표준 렌즈의 구성을 보이며, 도 8은 제4실시예에 따른 표준 렌즈의 종방향 구면 수차, 상면 만곡(astigmatic field curvature), 왜곡 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종방향 구면수차는 파장이 656.28(nm), 587.56(nm), 486.13(nm)인 광에 대해 각각 나타내었고, 상면 만곡은 파장 587.56(nm)인 광에 대해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과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을 나타내며, 왜곡은 파장 587.56(nm)인 광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다음은 제4실시예의 렌즈데이터이다.
EFL :  31.03mm    Fno :  2.15    2ω: 50.24
면 곡률반경 두께 굴절률(nd) 아베수(vd)
     1         20.706       2.21      1.75500     52.3
     2         55.099       0.21
     3*        11.913       2.20      1.80518     25.5
           ASP
           K :      -0.300000
           A :  2.633735e-005   B :  2.520640e-007   C :  2.773300e-009   D :  0.000000e+000
     4          9.730       4.37
    ST        Infinity      4.56
     6         -9.488       0.65      1.78472     25.7
     7       -121.807       0.38
     8        -37.793       2.82      1.80420     46.5
     9        -12.520       1.63
    10        142.166       3.68      1.83481     42.7
    11        -24.517      23.94
   IMG
<제5실시예>
도 9는 제5실시예에 따른 표준 렌즈의 구성을 보이며, 도 10은 제5실시예에 따른 표준 렌즈의 종방향 구면 수차, 상면 만곡(astigmatic field curvature), 왜곡 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종방향 구면수차는 파장이 656.28(nm), 587.56(nm), 486.13(nm)인 광에 대해 각각 나타내었고, 상면 만곡은 파장 587.56(nm)인 광에 대해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과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을 나타내며, 왜곡은 파장 587.56(nm)인 광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다음은 제5실시예의 렌즈데이터이다.
EFL :  29.02mm    Fno :  1.75    2ω: 52.97
면 곡률반경 두께 굴절률(nd) 아베수(vd)
     1         13.874       3.67      1.75500     52.3
     2         40.801       0.45
     3*        14.264       1.80      1.80518     25.5
           ASP
           K :      -3.596372
           A :  1.313547e-004   B :  -2.479602e-007   C :  -2.794144e-009   D :  2.531811e-011
     4          9.261       5.05
    ST        Infinity      4.76
     6         -9.118       0.65      1.78472     25.7
     7        -73.332       0.20
     8        -47.241       3.56      1.88300     40.8
     9        -12.547       0.10
    10         95.761       3.50      1.83481     42.7
    11        -30.761      18.84
   IMG
<제6실시예>
도 11은 제6실시예에 따른 표준 렌즈의 구성을 보이며, 도 12는 제6실시예에 따른 표준 렌즈의 종방향 구면 수차, 상면 만곡(astigmatic field curvature), 왜곡 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종방향 구면수차는 파장이 656.28(nm), 587.56(nm), 486.13(nm)인 광에 대해 각각 나타내었고, 상면 만곡은 파장 587.56(nm)인 광에 대 해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과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을 나타내며, 왜곡은 파장 587.56(nm)인 광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다음은 제6실시예의 렌즈데이터이다.
 EFL :  31.82mm    Fno :  1.99    2ω: 47.90
면 곡률반경 두께 굴절률(nd) 아베수(vd)
     1         14.891       3.47      1.70875     55.2
     2         42.004       0.33
     3         12.897       1.97      1.75211     25.0
     4          9.206       5.08
    ST        Infinity      5.08
     6         -9.077       0.66      1.80518     25.5
     7       -142.976       0.23
     8        -63.550       3.50      1.88300     40.8
     9*       -13.119       1.30
           ASP
           K :       0.464885
           A :  3.164547e-005   B :  9.715045e-008   C :  2.986636e-009   D :  0.000000e+000
    10       -591.202       3.51      1.88300     40.8
    11        -23.755      21.44
   IMG
<제7실시예>
도 13은 제7실시예에 따른 표준 렌즈의 구성을 보이며, 도 14는 제7실시예에 따른 표준 렌즈의 종방향 구면 수차, 상면 만곡(astigmatic field curvature), 왜곡 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종방향 구면수차는 파장이 656.28(nm), 587.56(nm), 486.13(nm)인 광에 대해 각각 나타내었고, 상면 만곡은 파장 587.56(nm)인 광에 대해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과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을 나타내며, 왜곡은 파장 587.56(nm)인 광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다음은 제7실시예의 렌즈데이터이다.
EFL :  30.47mm    Fno :  2.07    2ω: 51.12
   면 곡률반경 두께 굴절률(nd) 아베수(vd)
     1         13.881       3.17      1.69680     55.5
     2         35.782       0.18
     3         14.447       1.84      1.76182     26.6
     4         10.329       5.65
    ST        Infinity      5.07
     6*        -8.345       1.31      1.84666     23.8
           ASP
           K :       0.102629
           A :  -3.210067e-006   B :  5.693900e-007   C :  -6.398816e-009   D :  0.000000e+000
     7        -32.042       0.20
     8        -26.702       3.39      1.88300     40.8
     9        -11.500       0.10
    10         89.777       3.17      1.88300     40.8
    11        -37.708      18.83
   IMG
다음 표는 상기 실시예들이 수학식 1 내지 3을 만족함을 보인 것이며, 이에 상응한 값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수학식 1 0.928 0.983 0.607 0.975 0.935 0.986 0.808
수학식 2 1.824 1.871 1.807 1.808 1.820 1.857 1.871
수학식 3 1.430 1.335 2.788 3.223 1.428 2.250 1.200
이상, 설명한 실시예들의 표준렌즈는 상술한 렌즈 구성을 통해, 가공성이 좋으면서도 수차 보정이 유리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표준렌즈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표준 렌즈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표준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표준 렌즈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표준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표준 렌즈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제3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표준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표준 렌즈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제4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표준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표준 렌즈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제5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표준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표준 렌즈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제6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표준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표준 렌즈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제7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표준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7)

  1.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의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의 제2렌즈;
    조리개;
    부의 굴절력의 제3렌즈;
    정의 굴절력의 제4렌즈; 및
    정의 굴절력의 제5렌즈;을 포함하며,
    상기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및 제4렌즈는 모두 상기 조리개 측의 면이 오목면으로 된 메니스커스 렌즈이며, 다음 식을 만족하는 표준렌즈.
    Figure 112008086756790-PAT00007
    여기서, R4는 제2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 반경이고, R6는 제3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내지 제5렌즈 각각의 사이에는 공기 간격이 존재하는 표준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 제4렌즈 및 제5렌즈의 굴절률이 각각 n3, n4, n5일 때, 다음 식을 만족하는 표준렌즈.
    <식>
      1.80 < (n3+n4+n5)/3 
  4. 제1항에 있어서,
    조리개에서 상측에 위치한 렌즈들의 굴절률 평균은 조리개에서 물체측에 위치한 렌즈들의 굴절률 평균보다 큰 표준렌즈.
  5. 제4항에 있어서,
    조리개에서 상측에 위치한 렌즈들의 굴절률은 조리개에서 물체측에 위치한 렌즈들의 굴절률보다 큰 표준렌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간격은 광축 주변부에서보다 광축 중심부에서 더 큰 표준렌즈.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만족하는 표준렌즈.
    <식>
      
    Figure 112008086756790-PAT00008
    여기서, R7은 제3렌즈의 상측 면 곡률 반경이고, R8은 제4렌즈의 물체측면 곡률 반경이다.
KR1020080128650A 2008-12-17 2008-12-17 대구경 표준 렌즈 KR101553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650A KR101553835B1 (ko) 2008-12-17 2008-12-17 대구경 표준 렌즈
US12/624,512 US8427765B2 (en) 2008-12-17 2009-11-24 Large caliber standard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650A KR101553835B1 (ko) 2008-12-17 2008-12-17 대구경 표준 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059A true KR20100070059A (ko) 2010-06-25
KR101553835B1 KR101553835B1 (ko) 2015-09-17

Family

ID=4224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650A KR101553835B1 (ko) 2008-12-17 2008-12-17 대구경 표준 렌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27765B2 (ko)
KR (1) KR1015538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800B1 (ko) 2014-12-10 2019-07-29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RU2611106C1 (ru) * 2015-10-27 2017-02-21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расногорский завод им. С.А. Зверева" Светосильный объектив
JP6474434B2 (ja) * 2017-01-20 2019-02-27 カンタツ株式会社 撮像レンズ
CN111665610B (zh) * 2019-03-06 2022-08-16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光学镜头
JP7409811B2 (ja) * 2019-09-19 2024-01-09 東京晨美光学電子株式会社 撮像レンズ
RU2726280C1 (ru) * 2019-10-30 2020-07-10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расногорский завод им. С.А. Зверева" ПАО КМЗ Светосильный объектив
CN112379510B (zh) * 2021-01-08 2022-03-22 深圳市锐思华创技术有限公司 无偏轴式镜头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397A (en) * 1883-07-17 renwick
US2116264A (en) * 1936-06-09 1938-05-03 Hasselkus John William Objective suitable for photographic purposes
CH325526A (de) * 1954-02-12 1957-11-15 Zeiss Carl Fa Photographisches Objektiv
US2744447A (en) * 1954-06-14 1956-05-08 Zeiss Carl Photographic objective comprising four air spaced meniscus shaped components
DE1083565B (de) * 1954-08-02 1960-06-15 Zeiss Carl Fa Photographisches Objektiv
US3376090A (en) * 1964-08-28 1968-04-02 Bausch & Lomb Modified 4-member gaussian projection objective
GB1055222A (en) * 1964-11-12 1967-01-18 Nippon Kogaku Kk A photographic lens of large aperture ratio and having a long back focal length
JPS5198020A (ko) * 1975-02-25 1976-08-28
JPS5817929B2 (ja) * 1975-06-14 1983-04-11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ダイコウケイヒシヤシンレンズ
JPS5286329A (en) * 1976-01-12 1977-07-18 Minolta Camera Co Ltd Photographic lens of gaussian type
US4087161A (en) * 1976-06-03 1978-05-02 Vivitar Corporation Lens
JPS6034724B2 (ja) * 1976-09-09 1985-08-10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小型準広角写真レンズ
JPS53117420A (en) * 1977-03-23 1978-10-13 Minolta Camera Co Ltd Large aperture ratio lens of long back focus
JPS5451826A (en) 1977-10-01 1979-04-24 Olympus Optical Co Ltd Photographic lens
JPS54158225A (en) * 1978-06-05 1979-12-13 Ricoh Co Ltd Photographic lens having long back focus and large aperture ratio
JPS57161822A (en) * 1981-03-31 1982-10-05 Nippon Kogaku Kk <Nikon> Large aperture ratio lens
JPS5898718A (ja) * 1981-12-07 1983-06-11 Minolta Camera Co Ltd 非球面使用の大口径比レンズ
JPS59149312A (ja) * 1983-02-16 1984-08-27 Asahi Optical Co Ltd 大口径比写真レンズ
US4671626A (en) * 1984-03-21 1987-06-09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Photographic lens system
JPH06242370A (ja) 1993-02-17 1994-09-02 Canon Inc 大口径レンズ
JP3415950B2 (ja) 1994-12-08 2003-06-0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写真レンズ
KR0177980B1 (ko) 1995-09-29 1999-05-15 이대원 대구경 사진 렌즈
JP3254165B2 (ja) * 1997-05-07 2002-02-04 株式会社リコー ガウス型レンズ
JP2001051190A (ja) 1999-08-12 2001-02-23 Mamiya Op Co Ltd 大口径レンズ
JP2001091828A (ja) * 1999-09-27 2001-04-06 Fuji Photo Optical Co Ltd 画像読取用レンズ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02287029A (ja) * 2001-03-28 2002-10-03 Fuji Photo Optical Co Ltd 投影光学系およびこれを用いた投影露光装置
JP4121750B2 (ja) 2002-02-14 2008-07-23 株式会社シグマ 大口径比レンズ
US7312935B2 (en) * 2005-06-15 2007-12-25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system and optical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27765B2 (en) 2013-04-23
US20100149663A1 (en) 2010-06-17
KR101553835B1 (ko) 2015-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7311B (zh) 影像拾取鏡組
TWI434096B (zh) 光學攝像透鏡組
TWI424215B (zh) 取像用光學系統
KR20150070858A (ko) 촬상 렌즈 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촬상 장치
TW201300871A (zh) 影像拾取光學系統
JP2005284153A (ja) 撮像レンズ
CN111913274A (zh) 成像光学系统以及摄像装置
TWI417595B (zh) 薄型光學系統
TWI435105B (zh) 成像用光學透鏡組
KR101215826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20140089007A (ko) 촬영 렌즈 광학계
JP2006201674A (ja) 広角撮像レンズ
KR20120137106A (ko) 촬상 렌즈
JP2006162829A (ja) 広角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KR101553835B1 (ko) 대구경 표준 렌즈
JP2006003900A (ja) 小型撮像レンズ系
JP2005345919A (ja) 撮像レンズ
KR20140036811A (ko) 촬상 렌즈
KR20120089116A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20160069389A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853498B1 (ko) 촬상 렌즈
KR102363536B1 (ko) 촬상 광학계
KR20160059239A (ko) 촬영 렌즈 광학계
JP2007065374A (ja) 撮像レンズ及びこれを備えた撮像モジュール
KR101724265B1 (ko) 촬영 렌즈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