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980B1 - 대구경 사진 렌즈 - Google Patents

대구경 사진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980B1
KR0177980B1 KR1019950033026A KR19950033026A KR0177980B1 KR 0177980 B1 KR0177980 B1 KR 0177980B1 KR 1019950033026 A KR1019950033026 A KR 1019950033026A KR 19950033026 A KR19950033026 A KR 19950033026A KR 0177980 B1 KR0177980 B1 KR 0177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efractive power
convex
positive refractive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734A (ko
Inventor
박천호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101995003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7980B1/ko
Priority to CA002184883A priority patent/CA2184883A1/en
Priority to CN96112410A priority patent/CN1152717A/zh
Priority to DE19639594A priority patent/DE19639594A1/de
Priority to US08/720,135 priority patent/US5796529A/en
Priority to JP8259126A priority patent/JPH09113964A/ja
Publication of KR970016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9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물체측으로부터, 물체측면이 볼록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와, 물체측면이 볼록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와, 상측면이 오목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와, 물체측면이 오목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와, 상측며이 볼록하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4렌즈와 접합된 제5렌즈와, 상측면이 볼록한 정의 굴절을 가지는 제6렌즈와, 양면이 볼록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7렌즈로 이루어지는 대구경 사진 렌즈는 0.29×f〈R6〈0.35×f, 0.30×f〈 eR7e〈0.35×f, R7〈0(f:전체 렌즈계의 초점거리, R6: 제6렌즈면의 곡률 반경, R7: 제7렌즈면의 곡률 반경)을 만족하여, 고굴절율을 가지는 가우스형 렌즈를 사용하여 렌즈계의 전장을 일정하게 증가시키면서 구면 수차 및 색수차를 보정할 수 있으며, 또한, 무한원 물체 및 근거리 물체에 대한 수차를 동시에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구경 사진 렌즈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사진 렌즈의 렌즈 구성도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사진 렌즈의 구면 수차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사진 렌즈의 비점 수차도이고,
제4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사진 렌즈의 왜곡 수차도이다.
이 발명은 대구경 사진 렌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일안리플렉스 카메라에 사용되는 더블 가우스형(double gauss type) 렌즈에 있어서, 고굴절률을 가지는 가우스형 렌즈를 사용하여 렌즈계의 전장을 작게 하면서 구면 수차 및 색수차를 보정한 대구경 사진 렌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 렌즈는 무한원 물체에 대한 수차보정을 중심으로 설계되나, 사용 목적의 다양화와 함께 근거리 물체에 대한 성능도 중요시하여 무한원 물체 및 근거리 물체에 대한 성능이 동시에 충족되고 그 차이가 적은 렌즈가 이상적인 렌즈이다.
최근 들어 가우스형 표준 사진 렌즈 기술은 현저하게 발전되었지만, 고굴절률의 소재를 사용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컨트라스트(contrast)가 좋은 가우스형 표준 사진 렌즈를 설계하는 경우에는 중간 화각의 코마 플레어의 증대와 구면 수차 및 색수차의 보정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아베수가 큰 렌즈 소재를 사용하였으나, 상기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에 굴절률이 낮은 가우스형 렌즈를 사용해야만 한다.
따라서, 구면 수차가 증대되고 렌즈의 전장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굴절률을 가지는 렌즈 소재를 사용하여 렌즈계의 전장을 작게 하면서 구면 수차 및 색수차를 보정하므로서, 고성능 및 고컨트라스트(hi로 contrast)를 가지는 대구경 사진 렌즈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물체측면이 볼록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와,
물체측면이 볼록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와,
상측면이 오목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와,
물체측면이 오목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와,
상측면이 볼록하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4렌즈와 접합된 제5렌즈와,
상측면이 볼록한 정의 굴절을 가지는 제6렌즈와,
양면이 볼록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7렌즈로 이루어지며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
상기의 f는 전체 렌즈계의 초점 거리를 나타내며, 상기 R6은 제3렌즈의 상측면의 곡률 반경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대구경 사진 렌즈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R7은 제4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 반경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대구경 사진 렌즈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R1은 제1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 반경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대구경 사진 렌즈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R9는 제5렌즈의 상측면의 곡률 반경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대구경 사진 렌즈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R4는 제2렌즈의 상측면의 곡률 반경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대구경 사진 렌즈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1은 전체 렌즈계의 두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대구경 사진 렌즈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d6은 제3렌즈의 상측면에서 제4렌즈의 물체측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사진 렌즈의 렌즈 구성도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사진 렌즈의 구면 수차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사진 렌즈의 비점 수차도이고,
제4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사진 렌즈의 왜곡 수차도이고,
첨부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사진렌즈는, 물체측면이 볼록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1)와, 물체측면이 볼록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Ⅱ)와, 상측면이 오목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Ⅲ)와, 물체측면이 오목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Ⅳ)와, 상측면이 볼록하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렌즈(V)와, 상면측이 볼록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6렌즈(Ⅵ)와, 양면이 볼록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7렌즈(Ⅶ)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렌즈(Ⅰ)∼제6렌즈(Ⅴ)는 메니스커스(meniscus) 타입의 렌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렌즈(Ⅳ)와 제5렌즈(Ⅴ)는 서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4렌즈(Ⅳ)와 제5렌즈(Ⅴ)가 접합되어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사진 렌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한 조건식(1)∼식(4)는 전체 렌즈계의 발산, 수렴 광속에 관련되어 가장 큰 역할을 수행하는 R6, R7, R1, R9의 각 렌즈면에 강한 곡률을 주어, 페쯔발(Petzval)합의 감소와 비점 수차 및 구면 수차의 적절한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식이다.
상기 조건식(1)과 조건식(2)은 R6과 R7을 가능한 강하게 하여 페쯔발 합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조건식(3)과 조건식(4)에서 R1과R9를 강하게 하여 페쯔발 합의 감소로 인하여 발생되는 화면 중간부의 코마 플래어 및 과잉보정형의 구면 수차 등을 해결한다.
또한, R9를 강하게 하여 음의 왜곡 수차를 보정한다.
상기 조건식(1)과 조건식(2)의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페쯔발 합을 감소시키기가 어려워지고, 하한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화면 중간부에 형성되는 코마 플레어의 제거가 어려워지게 된다.
상기 조건식(3)과 조건식(4)도 또한 페쯔발 합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조건식(3)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구면 수차의 보정이 어려워진다.
상기 조건식(4)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왜곡 수차의 보정이 어려워지게 되고, 특히 하한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충분한 뒷받침거리를 확보하기가 어려워진다.
상기한 조건식(5)은 조건식(1)과 조건식(2)에서의 화살촉 모양의 광선(sagittalray)인 코마 수차를 줄이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상기한 조건식(5)의 하한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변부를 지나는 광선의 수차가 증가하고,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점 수차가 증가한다.
상기한 조건식(6)과 조건식(7)은 보다 페쯔발 합을 감소시키고 비점 수차의 보정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조건식(6)과 조건식(7)은 상한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변 광량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게 되고, 렌즈의 컴패트화가 어려워진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여 이루어지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사진렌즈의 실시예값은 다음과 같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구경 사진 렌즈의 초점 거리 f는 1.0㎜이고, 조리개치 Fno는 1.4이고, 화각 W는 23°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굴절율을 가지는 가우스형 렌즈를사용하여 렌즈계의 전장을 작게 하면서 구면 수차 및 색수차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무한원 물체 및 근거리 물체에 대한 수차를 동시에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조리개를 개방하였을때와 조리개를 줄였을 때의 최적 상면 이동량이 적고 고성능 및 고컨트라스를 가지는 대구경 사진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물체측으로부터, 물체측면이 볼록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와, 물체측면이 볼록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와, 상측면이 오목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와, 물체측면이 오목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와, 상측면이 볼록하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4렌즈와 접합된 제5렌즈와, 상측면이 볼록한 정의 굴절을 가지는 제6렌즈와, 양면이 볼록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7렌즈로 이루어지며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사진 렌즈.
    f : 전체 렌즈계의 초점 거리
    R6: 상기 제3렌즈의 상측면의 곡률 반경
    R7: 상기 제4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 반경
    R4: 상기 제2렌즈의 상측면의 곡률 반경
  2.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조건을 더 포함하여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사진 렌즈.
    R1: 제1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 반경
    R9: 제5렌즈의 상측면의 곡률 반경
  3.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조건을 더 포함하여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사진 렌즈.
    l : 전체 렌즈계의 두께
    d6: 제3렌즈의 상측면에서 제4렌즈의 물체측면까지의 거리
KR1019950033026A 1995-09-29 1995-09-29 대구경 사진 렌즈 KR0177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3026A KR0177980B1 (ko) 1995-09-29 1995-09-29 대구경 사진 렌즈
CA002184883A CA2184883A1 (en) 1995-09-29 1996-09-05 Fast photographic lens system
CN96112410A CN1152717A (zh) 1995-09-29 1996-09-25 快速摄影镜头系统
DE19639594A DE19639594A1 (de) 1995-09-29 1996-09-26 Schnelles Photolinsensystem
US08/720,135 US5796529A (en) 1995-09-29 1996-09-27 Fast photographic lens system
JP8259126A JPH09113964A (ja) 1995-09-29 1996-09-30 大口径写真レンズ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3026A KR0177980B1 (ko) 1995-09-29 1995-09-29 대구경 사진 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734A KR970016734A (ko) 1997-04-28
KR0177980B1 true KR0177980B1 (ko) 1999-05-15

Family

ID=19428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3026A KR0177980B1 (ko) 1995-09-29 1995-09-29 대구경 사진 렌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96529A (ko)
JP (1) JPH09113964A (ko)
KR (1) KR0177980B1 (ko)
CN (1) CN1152717A (ko)
CA (1) CA2184883A1 (ko)
DE (1) DE196395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5747B2 (ja) * 1997-03-27 2007-06-06 フジノン株式会社 低照度撮影用大口径レンズ
KR101553835B1 (ko) * 2008-12-17 2015-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구경 표준 렌즈
TWI443404B (zh) * 2011-05-27 2014-07-01 Asia Optical Co Inc Fixed focus projection lens
CN102253465B (zh) * 2011-08-03 2013-03-06 福建省光学技术研究所 高清定焦机器视觉镜头
TWI479191B (zh) * 2013-01-04 2015-04-01 Largan Precision Co Ltd 光學結像系統
KR101627133B1 (ko) * 2014-03-28 2016-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CN103913818B (zh) * 2014-04-08 2015-12-30 福建福光股份有限公司 大视场低畸变微型摄像镜头
KR101659165B1 (ko) * 2014-09-30 2016-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WO2018207833A1 (ja) * 2017-05-11 2018-11-15 株式会社ニコン 対物レンズ、光学系および顕微鏡
US11347030B2 (en) * 2017-06-20 2022-05-31 Apple Inc. Imaging lens system
JP6360958B1 (ja) * 2017-10-19 2018-07-18 エーエーシー テクノロジーズ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Aac Technologies Pte.Ltd. 撮像光学レンズ
KR101983194B1 (ko) * 2017-10-31 2019-05-28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CN109752820B (zh) * 2017-11-01 2024-03-29 广州长步道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高分辨率低畸变微距工业镜头
JP6517394B1 (ja) * 2018-01-23 2019-05-22 エーエーシー テクノロジーズ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Aac Technologies Pte.Ltd. 撮像光学レンズ
JP6485794B1 (ja) * 2018-03-13 2019-03-20 エーエーシー テクノロジーズ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撮像光学レンズ
JP6497469B1 (ja) * 2018-04-26 2019-04-10 エーエーシー テクノロジーズ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撮像光学レンズ
JP6583488B1 (ja) * 2018-04-26 2019-10-02 エーエーシー テクノロジーズ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撮像光学レンズ
CN108594401B (zh) * 2018-06-20 2023-10-03 广东奥普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大靶面定焦机器视觉线阵镜头
CN109856764B (zh) * 2018-12-27 2021-03-02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09856771B (zh) * 2018-12-27 2021-07-30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09581630B (zh) * 2019-01-17 2021-02-26 广东奥普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大光圈低畸变定焦线扫机器视觉镜头
KR20200098047A (ko) * 2019-02-11 2020-08-20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CN109839730B (zh) * 2019-03-26 2023-07-25 厦门力鼎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成像镜头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3386B1 (ko) * 1970-12-25 1979-12-19
US3743387A (en) * 1971-11-05 1973-07-03 Olympus Optical Co Large aperture six component photographic lens
JPS5035813B2 (ko) * 1972-05-04 1975-11-19
JPS50124631A (ko) * 1974-02-14 1975-09-30
JPS50124632A (ko) * 1974-02-14 1975-09-30
JPS5198020A (ko) * 1975-02-25 1976-08-28
JPS5817929B2 (ja) * 1975-06-14 1983-04-11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ダイコウケイヒシヤシンレンズ
JPS5817930B2 (ja) * 1976-03-02 1983-04-11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コンパクトでバツクフオ−カスの長い大口径写真レンズ
JPS53117420A (en) * 1977-03-23 1978-10-13 Minolta Camera Co Ltd Large aperture ratio lens of long back focus
JPS53122423A (en) * 1977-03-31 1978-10-25 Canon Inc Compact photographic lens of large aperture
JPS55159409A (en) * 1979-05-30 1980-12-11 Canon Inc Larger aperture photographic lens
JPS578513A (en) * 1980-06-18 1982-01-16 Canon Inc Objective lens of large aperture ratio
JPS57192916A (en) * 1981-05-25 1982-11-27 Canon Inc Objective lens with large aperture rati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734A (ko) 1997-04-28
CA2184883A1 (en) 1997-03-30
DE19639594A1 (de) 1997-04-24
JPH09113964A (ja) 1997-05-02
US5796529A (en) 1998-08-18
CN1152717A (zh) 1997-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7980B1 (ko) 대구경 사진 렌즈
US5627686A (en) Large-aperture medium-range telephoto lens system
JP3306129B2 (ja) 標準レンズ
JPS63247713A (ja) フロ−テイングを利用した撮影レンズ
JPH06324264A (ja) 広角レンズ
US4770508A (en) Conversion lens releasably attached behind master lens
US4099842A (en) Wide field eyepiece lens system
US4364641A (en) Wide angle zoom lens
US4705364A (en) Wide angle lens
JP3964533B2 (ja) 中望遠レンズ
KR100189069B1 (ko) 소형 광각 사진 렌즈
JP2000028919A (ja) 中望遠レンズ
US4676607A (en) Behind stop lens
US4537476A (en) Retro-focus type wide angle lens
US4606615A (en) Behind stop lens
US4257678A (en) Wide angle photographic lens
JPH07168095A (ja) トリプレットレンズ
JPS5820009B2 (ja) 大口径超広角写真レンズ
US4345823A (en) Reproduction lens having a six group six element composition a large vignetting factor and a compact size
JPH0850238A (ja) 広角レンズ
JPS6048014B2 (ja) 広視野接眼レンズ
US4396256A (en) Large aperture ratio, long focus lens
KR0144433B1 (ko) 대구경 사진렌즈
JPS6157611B2 (ko)
JPS5994727A (ja) 写真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